KR102336883B1 - 후드형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후드형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883B1
KR102336883B1 KR1020190054348A KR20190054348A KR102336883B1 KR 102336883 B1 KR102336883 B1 KR 102336883B1 KR 1020190054348 A KR1020190054348 A KR 1020190054348A KR 20190054348 A KR20190054348 A KR 20190054348A KR 102336883 B1 KR102336883 B1 KR 102336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light emitting
type retractor
user termina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638A (ko
Inventor
윤홍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Priority to KR1020190054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883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를 검진할 때에 사용하는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리트랙터를 후드형으로 구현하여 치아 검진 시 환자의 구강을 리트랙팅 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리트랙팅 된 상태에서 환자의 구강 내부에 일정 영역대 파장의 빛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형광 반응을 관찰할 수 있게 한 후드형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후드형 리트랙터{Hood-type retractor}
본 발명은 치아를 검진할 때에 사용하는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리트랙터를 후드형으로 구현하여 치아 검진 시 환자의 구강을 리트랙팅 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리트랙팅 된 상태에서 환자의 구강 내부에 일정 영역대 파장의 빛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형광 반응을 관찰할 수 있게 한 후드형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리트랙터(Retractor)란 환자의 구강을 리트랙팅하고 그 상태를 유지시키는 도구이며, 주로 치과에서 환자의 구강 내부를 검진할 때에 사용된다. 리트랙터는 환자 구강이 벌어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고 구강 내 공간을 넓게 확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 안으로 의료기기를 집어 넣거나 상악 및 하악의 관찰이 가능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매우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치과에서 환자 구강 내를 검진할 시 의사의 육안에 의한 검진뿐만 아니라 일정 영역대 파장의 빛을 치아에 조사한 후 필터를 통해 이에 의해 발현되는 형광을 관찰함으로써 치아의 미생물 활성화 여부까지 파악하는 검진도 이루어지고 있다.
육안에 의한 관찰 외에 필터를 통한 형광 관찰까지 이루어지는 검진은 환자의 구강 내 건강상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 주기에 최근 들어 이러한 다각적인 검진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종래 구강 내부에 빛을 조사한 뒤 형광을 관찰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어 상용화 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는 막대 형상으로 제작되고 그 말단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그리고 구강 내부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부만 갖추고 있어 일반적으로 환자의 구강 내에 장치의 말단부를 넣어 내부를 촬영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나, 이 경우 외부로부터의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가 어려워 형광을 제대로 관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구강 내부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구강을 벌려 있는 상태로 유지시켜야 하는데, 종래 막대 형상의 장치는 이러한 구성은 갖추고 있지 못하였기 때문에 별도의 리트랙터로 환자의 구강을 고정시킨 후 사용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또한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 내지 불편함에 착안하여 치과 병원 내에서 환자의 구강 내 상태를 관찰하고자 할 때에 환자 구강을 리트랙팅 시킨 상태에서 구강 내 형광 관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5979호 (2011.10.24. 공개)
본 발명은 종래 리트랙터를 후드형으로 구현함으로써 환자의 구강이 리트랙팅 된 상태에서 구강 내부 촬영이 쉽게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후드 커버의 내측에 발광부를 구비시키고 온/오프 스위치를 이용해 구강 내 빛을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육안 관찰 또는 형광 관찰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후드 커버의 외측에 개구부 및 필터를 구비시켜 사용자가 환자의 구강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촬영부가 구비된 사용자 단말기(예. 스마트폰)를 접면시켜 구강 내부를 촬영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후드 커버를 횡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구조물을 구비시킴으로써 환자의 구강 내부를 입체적으로 관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후드 커버의 내측에 발광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사용자 단말기(예. 스마트폰)의 촬영부 및 발광부를 후드 커버에 접면시켜 환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는 내부에 임의의 공간을 형성하는 후드 커버부; 및 사용자의 구강을 벌린 채로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후드 커버부로부터 연장되는 리트랙팅부;
를 포함하며, 상기 후드 커버부에는 바깥으로부터 내부 공간을 관찰 또는 촬영할 수 있게 하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임의 파장대역의 빛만 통과시키는 필터가 삽입되며, 상기 후드 커버부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가 구비되어 상기 리트랙팅부에 의해 벌려진 상기 사용자의 구강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드형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후드 커버부는, 곡면으로만 이루어진 곡면부; 및 상기 곡면부로부터 연장되며 평평한 면을 가지는 평면부;
를 포함하되, 상기 평면부에 상기 개구부 및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곡면부 또는 평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발광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는 내부에 임의의 공간을 형성하는 후드 커버부; 사용자의 구강을 벌린 채로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후드 커버부로부터 연장되는 리트랙팅부; 상기 후드 커버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슬라이딩 채널; 및 상기 슬라이딩 채널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드형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후드 커버부의 외측에 접하는 외측부; 상기 후드 커버부의 내측에 접하는 내측부; 및 상기 외측부 및 내측부를 연결하고 내부에 비어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관통부 내에는 기 정해진 대역파장의 빛만 통과시키는 필터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부에는 기 정해진 대역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는 내부에 임의의 공간을 형성하는 후드 커버부; 및 사용자의 구강을 벌린 채로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후드 커버부로부터 연장되는 리트랙팅부; 를 포함하며, 상기 후드 커버부에는 바깥으로부터 내부 공간을 촬영할 수 있게 하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제1필터 및 제2 필터가 구비되되, 상기 제1필터 또는 제2필터는, 상기 후드 커버부의 바깥쪽으로 접면(接面)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부 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발광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부와 접하는 제1필터 또는 제2필터 중 어느 하나의 필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부로 입사되는 빛 중 기 정해진 파장대역의 빛만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발광부와 접하는 제1필터 또는 제2필터 중 어느 하나의 필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발광부가 상기 후드 커버부 내부로 조사하는 빛 중 기 정해진 파장대역의 빛만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는 내부에 임의의 공간을 형성하는 후드 커버부; 사용자의 구강을 벌린 채로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후드 커버부로부터 연장되는 리트랙팅부; 를 포함하며, 상기 후드 커버부는 복수 개의 평면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평면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평면부에는 개구부 및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구강 내부를 관찰하고자 할 때에 환자 구강을 리트랙팅 시킨 상태에서 구강 내 관찰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후드 커버의 내측에 구비된 발광부를 이용하여 구강 내부를 밝게 비춘 상태에서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발광부로 하여금 일정 파장대역의 빛을 조사하도록 구현하는 경우 구강 내부의 형광 관찰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후드 커버를 횡으로 가로질러 관찰 또는 촬영이 가능하게 되어 환자의 구강 내부를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평상시 소지하고 다니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쉽게 관찰 및 촬영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의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도 2는 리트랙팅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이다.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의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의 후드 커버에 사용자 단말기가 접면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의 후드 커버에 사용자 단말기가 접면된 모습을 도시하되, 이 때 사용자 단말기에는 결합용 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사용자 단말기에 장착되는 결합용 부재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의 제1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의 좌측은 사시도를, 우측은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이 두 도면을 참조할 때에 후드형 리트랙터는 크게 후드 커버부(101), 그리고 리트랙팅부(102)를 주된 구성으로 한다.
먼저 후드 커버부(101)는 도 1에 보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돔(dome)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부재로, 해당 후드 커버부(101)의 열린 부분은 환자의 구강에 접근되는 부분이고 후드 커버부(101)의 닫힌 부분은 관찰자의 눈 또는 사용자 단말기가 접면되는 부분이다. 상기 후드 커버부(101)는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한 이를 제조하기 위한 물질에는 제한이 없다 할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실리콘 등과 같이 모양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유연성이 있는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후드 커버부(101)의 열린 부분에는 후술하게 될 바와 같이 리트랙팅부(102)가 구비되는데, 리트랙팅부(102)가 환자의 구강에 끼워질 때에 유연성을 가져야 함을 고려할 때에 상기 후드 커버부(101)는 리트랙팅부(102)와 동일하게 유연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후드 커버부(101)는 곡면부와 평면부(103)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평면부(103)는 향후 사용자의 눈 또는 사용자 단말기가 접면되기 쉽도록 하기 위한 부재이다. 평면부(103)는 후드 커버부(101)의 닫힌 부분에 형성되어야 하며, 이 때 평면부(103)에는 바깥쪽에서 안쪽을 관찰 또는 촬영할 수 있도록 개구부(10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104)에는 필터(F)가 삽입될 수 있는데, 이 때 필터는 발광부에 의해 조사된 빛이 환자의 구강 내부(예. 치아)에 반사되는 빛 중 일정 파장대역의 빛만 통과시키는 것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구강 내부에 대한 형광 관찰이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상기 필터와 관련하여, 상기 필터는 후술하게 될 발광부에 의해 빛이 조사되었을 경우 이에 의해 발생되는 형광을 보다 더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필터는 예를 들어 청색광 대역(중심파장이 440nm이고 430nm 내지 460nm를 포함하는 영역)의 투과율을 상대적으로 높여 후술하게 될 청색광에 의한 형광 현상을 보다 선명하게 관찰 및 촬영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 단, 전술한 청색광 대역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수치범위이며, 상기 필터는 510±15nm 대역에서 평균투과율 20±5%, 560±30nm 대역에서 1%이하, 600~800nm 대역에서 평균투과율 85%이상의 분광 특성을 가지도록 제작된 것일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후드 커버부(101)의 내측에는 복수 개의 발광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발광부는 환자의 구강 내부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는 곡면부 내측에 구비되는 발광부(106A), 그리고 평면부(103) 내측에 구비되는 발광부(106B)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곡면부 및 평면부(103) 모두에 발광부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곡면부 또는 평면부(103) 중 어느 하나에만 발광부가 구비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먼저 곡면부에 구비되는 발광부(106A)와 관련하여, 도 1의 저면도 상에서 후드형 리트랙터를 상하로 이분하는 수평선이 있다고 가정할 때에, 저면도를 기준으로 상부의 왼쪽, 중앙, 오른쪽에, 그리고 하부의 왼쪽, 중앙, 오른쪽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부와 하부에 하나씩 쌍을 이루어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발광부를 구비시키는 이유는 사람의 구강 내부, 예를 들어 치아의 구조형태를 따라 빛이 입체적으로 조사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특히 리트랙팅부(102)에 의해 상악 및 하악이 벌어진 상태에서의 치아를 고려할 때에 빛이 치아에 효과적으로 조사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단, 필요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구비위치 및 개수는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한다.
다음, 평면부(103)에 구비되는 발광부(106B)와 관련하여, 도 1의 사시도 및 저면도를 참조할 때에 평면부(103) 상에는 개구부(104)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복수개의 발광부들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상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평면부(103) 상에 구비되는 발광부들은 치아를 향한 효율적인 조사를 위하여 개구부(104)를 중심으로 바깥쪽을 향하도록, 즉 치아를 향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부는 특정 파장대역의 빛을 출력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80 내지 420nm 파장대역의 청색광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청색광은 치아 상에 존재하는 미생물, 균열 등을 분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특히 미생물의 대사과정 중에 생기는 물질에 조사되었을 때 상기 물질에 흡수된 후 최초 조사광선과는 다른 고유한 빛깔의 광선으로 바뀌어 방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치아의 미생물 대사 과정 중 생성되는 포피린이라는 물질은 380 내지 420nm의 청색광에 의해 형광 현상을 일으킬 수 있어 사용자가 환자의 치아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다른 한편,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들 중 일부는 백색광을 출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들은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로 구성되어 제1발광소자는 청색광을, 제2발광소자는 백색광을 발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발광부들 내에 각각 청색광을 발하는 소자와 백색광을 발하는 소자를 구비시켜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청색광 또는 백색광을 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발광부들에 의해 백색광이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개구부(104)를 통하여 백색광에 의해 밝아진 상태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발광부를 작동시키기 위하여서는 전원공급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당해 후드형 리트랙터에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수단, 예를 들어 배터리 또는 충전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의 또 다른 주된 구성인 리트랙팅부(102)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리트랙팅부(102)는 후드 커버부(101)에 연장되지 않은 상태의 리트랙팅부(102)만 도시한 것이며, 이를 참조할 때 리트랙팅부(102)는 좌측 리트랙팅부(102) 및 우측 리트랙팅부(102)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측 리트랙팅부(102)는 각각 입술 전체를 상하방향으로 벌린 후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 또는 유연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입술이 인입될 수 있도록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리트랙팅부(102)는 도 1의 사시도 및 저면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후드 커버부(101)의 열린 부분의 외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참고로, 리트랙팅부(102)는 환자의 구강을 벌어진 채로 유지 또는 지지시킬 수 있는 구조의 것이라면 반드시 도 2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한다.
이상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에 대해 살펴보았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의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 역시 후드 커버부(101) 및 리트랙팅부(102)로 이루어진 것은 모두 동일하나, 본 실시예에서의 후드형 리트랙터는 개구부(104) 및 필터가 구비된 슬라이딩 부재(300)를 더 두고, 이 슬라이딩 부재(300)가 슬라이딩 채널을 따라 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환자의 구강 내부를 입체적으로 관찰 및 촬영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의 측단면도이다. 슬라이딩 부재의 구조를 살펴볼 때, 슬라이딩 부재는 크게 외측부(301), 내측부(302), 그리고 외측부와 내측부를 연결하는 관통부(30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부는 후드 커버부(101)의 바깥쪽 면과 대응되는 면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또한 사용자의 눈 또는 사용자 단말기가 접면할 수 있도록 외측부의 바깥쪽 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면이 이루어지는 부분에는 개구부(104)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부는 후드 커버부(101)의 안쪽 면과 대응되도록 곡면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측부에는 복수개의 발광부(306)들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서도 볼 수 있듯 발광부들은, 바람직하게는 관통부를 기준으로 내측부의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복수개의 발광부들은 슬라이딩 부재의 수평적 이동에 따라 환자의 구강 내부를 비출 수 있도록, 특히 상악과 하악이 벌어진 상태에서 치아에 대한 조사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상기 발광부들에 대한 전원공급을 위하여 내측부(302) 내에는 전원공급수단(31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단, 전원공급수단은 반드시 내측부에 구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당해 후드형 리트랙터의 어느 위치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관통부(304)는 외측부(301)와 내측부(302)를 연결하되 그 내부는 비어있는 부재일 수 있으며, 비어있는 내부 공간에는 필터(F)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와 발광부에 대해서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다시 참조할 때, 후드형 리트랙터의 우측에는 사용자 단말기(1000) 및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촬영부(1001)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촬영부(1001)가 슬라이딩 부재의 외측부(301)에 접면이 되는 모습을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오늘 날 대부분의 사용자 단말기(스마트폰)에는 촬영부가 구비가 되어 있는데, 사용자는 환자의 구강에 후드형 리트랙터를 착용시킨 채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부를 외측부에 접면시킬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를 횡으로 이동(슬라이딩)시켜가면서 환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는 사용자 자신이 자신의 구강 내부를 촬영하고자 할 때에도 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후드형 리트랙터를 자신의 입에 착용한 후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전술한 것과 같이 활용함으로써 자가 촬영도 할 수 있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4와 비교할 때 외측부의 구조가 다소 상이하게 구현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즉, 도 5에서의 외측부는 바깥쪽 영역에 결합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해당 결합용 홈은 별도의 독립된 부재인 결합용 부재(7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할 때, 사용자 단말기(1000)에는 결합용 부재(700)가 부착되고, 그 결합용 부재의 돌출부(701)가 외측부의 결합용 홈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렇게 결합용 부재(700)라는 별도의 독립된 부재를 사용하여 외측부(301)에 고정시키는 이유는 사용자가 촬영을 시도할 때에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부(1001)가 외측부(301)에 단단히 접면될 수 있게 함으로써 촬영시 흔들림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즉, 결합용 부재의 돌출부(701)와 외측부(301)의 결합용 홈을 결착시키면 사용자로서는 슬라이딩 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킴에 있어서도 편의성을 느낄 수 있게 되며,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부가 외측부에 단단히 접면될 수 있으므로 영상 촬영에 있어서도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용 부재는 사용자 단말기들과 본 후드형 리트랙터 간 호환성을 높이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최근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단말기들이 존재하며, 이들 단말기들은 나아가 촬영부의 구비위치도 매우 다양하다 할 것인데, 비교적 자유로이 장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결합용 부재를 제작하는 경우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단말기들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후드형 리트랙터를 결합시켜 사용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도록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용 부재를 클립형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클립형 결합용 부재의 돌출부가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부와 대응되도록 쉽게 장착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클립형 결합용 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사용자 단말기를 후드형 리트랙터에 접면시킴으로써, 즉 클립형 결합용 부재의 돌출부를 후드형 리트랙터의 외측부 결합홈에 결착시킴으로써 각기 다른 종류의 사용자 단말기라 할지라도 쉽게 후드형 리트랙터에 결합시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에 대해 살펴보았다.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의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는 외관상으로는 제1 실시예의 것과 대부분 유사하나, 다만 후드 커버부(101)의 개구부(104) 내에 두 개의 필터(F1, F2)가 구비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후드 커버부(101)의 내측면에 발광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가 후드 커버부(101) 내측에 발광부를 구비하고 있어 해당 장치 자체적으로 구강 내부에 빛을 조사할 수 있었던 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는 장치 자체적인 발광부를 없애고 대신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발광부를 이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예. 스마트폰)가 후드형 리트랙터의 평면부(103)에 접면되었을 때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발광부로 하여금 직접 환자 구강 내부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발현된 형광 현상을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부를 통해 촬영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실시를 위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는 개구부(104) 내에 두 개의 필터(F1, F2)를 갖출 것을 요한다. 두 개의 필터 F1, F2는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부(1001) 및 발광부(1002)에 접면하게 되는 것들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부(1001)는 F1필터와 대응되도록,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의 발광부(1002)는 F2필터와 대응되도록 접면될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부 및 발광부가 후드형 리트랙터에 접면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부와 접면하게 되는 F1필터는, 환자의 구강 내로부터 발현되는 형광 현상을 관찰하기 위한 필터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청색광 대역 (중심파장이 440nm이고 430nm 내지 460nm를 포함하는 영역)의 투과율을 상대적으로 높여 후술하게 될 청색광에 의한 형광 현상을 보다 선명하게 관찰 및 촬영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 단, 전술한 청색광 대역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수치범위이며, 상기 필터는 510±15nm 대역에서 평균투과율 20±5%, 560±30nm 대역에서 1%이하, 600~800nm 대역에서 평균투과율 85%이상의 분광 특성을 가지도록 제작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의 발광부와 접면하게 되는 F2필터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의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백색광 중 일정 파장대역의 빛(예. 380~420nm 대역의 청색광)만 통과를 시킴으로써 필터 통과 후의 빛이 구강 내에서 형광 현상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일반적인 사용자 단말기의 발광부는 형광 현상을 유도할 수 있는 파장대역의 빛만을 조사하지 않으며 대부분 백색광을 출력하는데, 이러한 백색광으로부터 일정 파장대역의 빛만 통과를 시킴으로써 형광 현상을 유발할 수 있는 소스를 구현해 내기 위한 수단인 것이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는 장치의 자체적인 발광부 대신 사용자 단말기의 발광부를 활용토록 함으로써 장치 자체의 무게를 줄임은 물론 장치 내부에 전원공급수단을 별도로 구비시킬 필요도 없어 생산 단가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앞서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결합용 부재(500)를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후드형 리트랙터에 결착시킨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참고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결합용 부재(500)는 도 5의 결합용 부재(700)와 다소 상이하게 돌출부 대신 개구창(501, 502)이 형성되어 각각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부 및 발광부에 대응되도록 위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의 결합용 부재(500)는 별도의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후드형 리트랙터의 평면부(103)에 형성된 결합홈에는 상기 결합용 부재(500)가 결착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에 결합용 부재(500)가 장착되었을 시 사용자 단말기의 표면보다 돌출되는 결합용 부재(500) 자체가 결합용 돌출부분으로 활용되어 후드형 리트랙터의 평면부(103)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착될 수 있다.
참고로, 도 8을 참조할 때에 특기할 만한 사항으로, 후드형 커버부에 작은 구멍들, 즉 홀(105)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때 홀(105)들은 후드형 리트랙터를 환자가 착용하였을 시 환자의 호흡에 의해 후드형 리트랙터 내부에 습기가 차는 것을 줄이기 위한 용도의 것이다. 즉, 환자가 본 후드형 리트랙터를 착용하고 숨을 쉬는 경우 내부 공간에 습기가 차게 되면서 개구부(104) 및 필터가 뿌옇게 습기가 될 염려가 있고, 이에 따라 관찰 및 촬영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후드 커버부(101)에 복수 개의 홀(105)들을 형성시켰다. 한편, 홀(105)은 도 8에만 도시가 되어 있으나, 이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들에도 모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한다.
이상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에 대해 살펴보았다.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의 사시도와 정면에서 바라본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4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는, 기본적으로 제3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장치의 활용 방식 역시 제3 실시예의 것과 유사하다. 다만, 제4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는 후드 커버부(101)가 곡면으로만 이루어져 있지 않고 복수 개의 평면부(201)가 후드 커버부(101)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9에서도 볼 수 있듯 제4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는 복수 개의 평면부(201)들이 후드 커버부(101)의 적어도 일부 영역들에 형성되며, 이들 평면부(201)에는 각각 개구부(104) 및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개구부(104) 및 필터의 구조에 대해서는 이미 앞선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가 하나의 개구부(104)를 통하여서만 촬영이 가능하다는 한계를 개선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4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에는 복수 개의 평면부(201) 및 복수개의 개구부(204)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로서는 각 평면부(201)에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부 및 발광부를 접면시킴으로써 구강 내부를 보다 입체적으로 촬영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9의 하단 도면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후드 커버부(101)가 총 5개의 평면부(201)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 그리고 각 평면부(201)에는 개구부(204)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더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도 9의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평면부의 개수, 평면부 상에 형성되는 개구부(204)의 개수 등은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한다. 또한, 도 9에서는 필터에 대한 명시적인 도시를 하지 않았으나, 제3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부 및 발광부에 대응되는 필터들이 구비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또한, 도 9를 참조할 때에 각 개구부(204)들은 후드 커버부(101)에 비하여 단차가 낮게 설계를 함으로써, 즉 결합홈을 형성시킴으로써 별도의 결합형 부재를 장착한 사용자 단말기가 보다 단단하게 결착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후드형 리트랙터를 일부 변형 시킨 실시예이다.
앞서 도 9에서의 후드형 리트랙터가 평면부(201) 상에 하나의 개구부(204)만을 구비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일일이 각 평면부(201)에 사용자 단말기를 접면시켜야만 다각 촬영이 가능하였던 불편함이 존재하였다면, 도 10에서의 후드형 리트랙터는 이를 개선시키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의 평면부(201)들을 가로지르는 슬라이딩 채널(307)을 따라 수평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때 슬라이딩 부재(600)에는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부 및 발광부와 접면되는 개구부(304), 그리고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의 후드형 리트랙터가 복수 개의 평면부(201)들을 구비하고 있는 이유는, 일반적인 사용자 단말기(스마트폰)이 평평한 앞뒷면을 가지고 있음에 기인한 것이며, 사용자 단말기를 접면시키고자 할 때에 촬영부 및 발광부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600)에 밀착 접면된 뒤 안정적으로 수평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 도 10에서는 후드 커버부(101)가 복수 개의 평면부(201)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설계자의 의사에 따라 후드 커버부(101)는 곡면부로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곡면부를 따라 수평 이동되는 슬라이딩 부재 역시 곡면과 대응되도록 곡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사용자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더 정확하게는 촬영부 및 발광부의 구비 위치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앞서도 언급하였듯 슬라이딩 부재(600)에는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부 및 발광부와 접면되는 개구부(304)가 존재하는데, 사용자 단말기마다 촬영부 및 발광부의 위치, 특히 이들 사이의 간격이 모두 달라 후드형 리트랙터에 쉽게 접면시키지 못하는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부재로 하여금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위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단말기들이 본 후드형 리트랙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1을 다시 살펴볼 때, 슬라이딩 부재(6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수단(605)을 갖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부와 대응되는 개구부(304) 내지 필터(601), 그리고 발광부와 대응되는 개구부(304) 내지 필터(602)의 간격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길이 조절이 가능한 수단(605)에는, 예를 들어 양측변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부재로서 개구부(304)를 갖춘 부재들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의 것으로 구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것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이상 후드형 리트랙터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1 후드 커버부
102, 202 리트랙팅부
103, 201 평면부
104, 204 개구부
106A, B 발광부
F, F1, F2 필터
206 결합홈
300, 600 슬라이딩 부재
301 외측부 302 내측부 304 관통부 306 발광부 307 슬라이딩 채널
310 전원공급수단
601, 602 개구부 605 길이 조절 수단
500, 700 결합용 부재
501, 502 개구부
701 돌출부
1000 사용자 단말기
1001 촬영부 1002 (사용자 단말기) 발광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후드형 리트랙터에 있어서,
    내부에 임의의 공간을 형성하는 후드 커버부;
    사용자의 구강을 벌린 채로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후드 커버부로부터 연장되는 리트랙팅부;
    상기 후드 커버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슬라이딩 채널; 및
    상기 슬라이딩 채널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후드 커버부의 외측에 접하는 외측부;
    상기 후드 커버부의 내측에 접하는 내측부; 및
    상기 외측부 및 내측부를 연결하고 내부에 비어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관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형 리트랙터.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 내에는 기 정해진 대역파장의 빛만 통과시키는 필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형 리트랙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에는 기 정해진 대역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형 리트랙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54348A 2019-05-09 2019-05-09 후드형 리트랙터 KR102336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348A KR102336883B1 (ko) 2019-05-09 2019-05-09 후드형 리트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348A KR102336883B1 (ko) 2019-05-09 2019-05-09 후드형 리트랙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638A KR20200129638A (ko) 2020-11-18
KR102336883B1 true KR102336883B1 (ko) 2021-12-09

Family

ID=73697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348A KR102336883B1 (ko) 2019-05-09 2019-05-09 후드형 리트랙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8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3466A1 (en) * 2009-02-12 2010-08-12 Lawrence Kenneth H Illuminated dental retractor
JP2018134418A (ja) * 2017-02-23 2018-08-30 正樹 神原 撮影評価・検出ユニット及び光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172B1 (ko) * 2004-07-02 2012-08-21 디스커스 덴탈, 엘엘씨 치과 장비용 라이트 가이드
EP2614861B1 (en) * 2005-07-14 2022-11-30 Stryker Corporation Medical/surgical personal protection system including a fastening system for holding the hood to the helmet so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hood face shield varies
WO2011129504A1 (ko) 2010-04-16 2011-10-20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치과용 리트랙터
KR20180066506A (ko) * 2016-12-09 2018-06-19 박혜진 휴대용 내시경 장치
KR20180104388A (ko) * 2017-03-13 2018-09-21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구강 카메라용 후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3466A1 (en) * 2009-02-12 2010-08-12 Lawrence Kenneth H Illuminated dental retractor
JP2018134418A (ja) * 2017-02-23 2018-08-30 正樹 神原 撮影評価・検出ユニット及び光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638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6401B2 (en) Lighting system
US20160287108A1 (en) Light guide system for physiological sensor
USD879383S1 (en) Face shield
CN112566586B (zh) 用于口腔内处理的咬口器及方法
US20140362561A1 (en) Surgical eye wear and light combination
JP4576325B2 (ja) 口腔観察器
ES2841065T3 (es) Conjunto modular para aplicaciones dentales
DE602006008428D1 (de) Dentalhandstück
KR200470597Y1 (ko) 휴대용 피부진단 기구
JP3211531U (ja) 診療用装置
KR102336883B1 (ko) 후드형 리트랙터
WO2015173851A1 (ja) 無影灯
CN105147231A (zh) 一种口腔镜
CN205913333U (zh) 一种移动式舌面象仪
CN205322287U (zh) 一种口腔灯
KR20180104388A (ko) 구강 카메라용 후드
EP3151721B1 (en) Illumination balancing and solid state narrow band imaging utilizing fiber bundle design and assembly techniques in endoscopes
CN210990814U (zh) 一种可摄像牙科手机
CN210494027U (zh) 一种带有可拆卸性防护挡板的便携式纤维支气管镜
KR101528610B1 (ko) 치아 충치 및 불소증 진단을 위한 광섬유 조명기기
CN209733935U (zh) 一种儿童外耳道内窥镜
JP2020099502A (ja) 口腔の観察を支援する撮像装置
CN215424512U (zh) 一种五官科用额镜装置
JP2017023376A (ja) 照明装置
KR20070073569A (ko) 상하거울이 장착된 셀프검사용 검이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