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583A - 인체공학적 치과용 툴 - Google Patents

인체공학적 치과용 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583A
KR20160025583A KR1020167002177A KR20167002177A KR20160025583A KR 20160025583 A KR20160025583 A KR 20160025583A KR 1020167002177 A KR1020167002177 A KR 1020167002177A KR 20167002177 A KR20167002177 A KR 20167002177A KR 20160025583 A KR20160025583 A KR 20160025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ractor
tongue retractor
handle
tongu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누엘 배리 고든
Original Assignee
마누엘 배리 고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927,560 external-priority patent/US10813718B2/en
Application filed by 마누엘 배리 고든 filed Critical 마누엘 배리 고든
Publication of KR20160025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C17/04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8Aspiration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61C5/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17Spatulas or spatula like ext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작용 유닛, 넥 구역(neck region) 및 핸들 구역을 포함하는 치과용 툴이 개시되며, 이때 넥 구역은 S-형상이다. 작용 유닛은 혀 견인기(tongue retractor), 플랩 견인기(flap retractor),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석션 메카니즘(suction mechanism)은 유체들을 제거하기 위해 추가될 수 있다. 넥 구역은 측방향 굴곡부, 작업 단부의 회전부, 또는 둘 모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용 유닛 맞은편의 핸들 구역의 기단부는 여하한의 유용한 장치, 예컨대 골막 엘리베이터 또는 골막 견인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체공학적 치과용 툴{ERGONOMIC DENTAL TOOLS}
본 출원은 2012년 9월 21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13/624,257호의 일부계속출원이고, 2009년 3월 17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12/405,751호의 계속출원이며, 이들은 둘 다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서 인용참조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일반 치의학, 구강 외과 및 치주 수술의 분야, 및 여기에서 사용되는 수술 기구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일반 치과 절차들, 치주 및 구강 외과에서 사용되는 혀 및 플랩 견인기(tongue and flap retractor)들, 및 석션 툴(suction tool)들에 관한 것이다.
많은 치과 절차들은 작고 제한된 영역의 수술에서 수술 기구들의 정밀한 사용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치료 영역으로 공기 또는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치료 영역에서 드릴링(drill)하거나, 또는 연조직을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치과의사들은 원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동안 조직을 다루거나, 액체들을 석션하거나, 또는 혀를 견인(retract)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기구들을 갖는다. 예시로서, 혀를 견인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한 방법은 표준 치과용 거울을 이용하는 것과 관련된다. 하지만, 거울의 크기 및 적절한 물리학 및 인체공학의 결여가 이 절차를 불필요하게 어렵게 만든다.
이에 따라, 종래의 방법들은 흔히 다양한 문제점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한된 영역으로 인해, 구강을 다수 기구들로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비실용적이다. 2 또는 3 개의 상이한 기구들이 환자의 구강 내에 배치되는 경우, 의사는 수술 영역을 분명히 보지 못한다. 또한, 비좁은 구역으로 인해, 기구들은 그 운동 범위에서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가장 간단한 절차들에 대해서도 난이도가 불필요하게 증가된다.
다수 기구들의 사용은 일반 치과의사, 치주 외과의사, 구강 외과의사 또는 어시스턴트(본 명세서에서는 "치과의사")가 필요한 절차들을 적절히 수행할 능력을 심하게 제한하기 때문에 비실용적이다. 예를 들어, 치과의사가 한 손으로 혀를 견인하고 다른 손으로 수술 플랩(surgical flap)을 치료 영역으로부터 멀리 유지하는 경우, 그는 어시스턴트가 또 다른 기구를 집어줄 것을 요청하여야 할 것이며, 또는 어시스턴트가 기구를 유지하고 혀 또는 플랩(flap)을 견인하는 한편, 동시에 상이한 작업을 수행하거나 석션하여야 한다. 유일한 다른 선택사항은 절차가 완료될 때까지 수술을 나눠서 수행하거나, 기구들 사이에서 왔다갔다하는 것이다. 이 불필요한 복잡성은 수술 시간을 연장하고, 절차의 효율성을 감소시키며, 환자의 불편함을 증가시킨다.
최종적으로, 본 분야에서의 일반적인 문제는 치과의사들이 자주 목, 등 및 어깨의 통증, 및 손목터널증후군에 관한 통증을 호소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포괄적 문헌 탐색은 치아 관리 제공자들이 작업장 근골격계 질환(WMSD) 및 신경근 질환, 예를 들어 디스크 탈출증을 경험할 위험이 높음을 나타낸다. WMSD 부상을 겪는 치과의사들은 발병할 경우 평균 93일의 손실 작업일을 갖는다는 연구들이 보고되었다. 실제로, 치과 위생사의 62 퍼센트가 목의 문제를 호소하였고, 81 퍼센트가 한 어깨 또는 양 어깨에서 어깨 통증을 호소하였다. 또한, 연구들은 모든 치과 위생사의 6 내지 7 퍼센트가 손목터널증후군을 갖는 것으로 진단되고, 치과의사들의 59 퍼센트가 근골격계 통증을 보고하였음을 나타내었다. 미육군 치과 클리닉(U.S. Army dental clinic)의 조사는, 모든 치과 종사자의 75 퍼센트 이상이 1 이상의 손목터널증후군 증상들을 호소하고, 50 퍼센트 이상이 등 및 어깨 통증을 호소하고, 11 퍼센트가 손목터널증후군을 갖는 것으로 진단되었음을 보고하였다. 이 질환들 및 다른 질환들은 인체공학 및 자세에 적절한 중점을 두고, 및 치과 절차의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대처될 수 있다.
따라서, 치과의사에게 더 나은 자세로 실시할 기회를 제공하면서 더 우수한 제어를 허용하는 발명이 본 기술분야에서 빠져있다. 또한, 수술 시간을 감소시키는 발명이: (ⅰ) 치과의사들의 목, 등, 어깨 및 손의 부담을 감소시키고, (ⅱ) 환자들이 깨어있는 절차들 동안 이들이 겪는 불편함의 양을 감소시키며, (ⅲ) 환자들이 절차 동안 마취되는 상황들에서 전신 마취의 사용과 연계된 환자의 불리한 위험들을 감소시킴으로써 환자 및 치과의사 둘 모두에 대한 몇몇 이점들을 가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합형(combination) 혀 및 수술 플랩 견인기로 지향된다. 조합형 견인기는 작용 유닛(operational unit), 넥 구역(neck region) 및 핸들 구역(handle region)을 포함할 수 있다. 작용 유닛은 혀 견인기 및 플랩 견인기를 더 포함한다. 혀 견인기는 오목한 형상, 평탄한 형상, 또는 작용 유닛의 증가되는 전체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랩 견인기는 좁아져 연장되는 에지 또는 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길이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플랩 견인기는 비스듬한 에지(beveled edge)를 포함할 수도 있다. 조합형 견인기는 혀 견인기가 플랩 견인기와 상이한 평면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견인기는 구강으로부터 침, 물, 및 피와 같은 유체들을 제거하는 석션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용 유닛의 넥 구역에서의 개선된 인체공학으로 지향된다. 일 실시예에서, 넥 구역은 더 우수한 인체공학을 위해 S-형상 디자인을 포함한다. 또한, 넥 구역은 작용 유닛의 기단부(proximal end)에 위치되는 측방향 굴곡부(lateral bend)를 포함하여, 작용 유닛을 핸들의 중심축에 대해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위치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절차 동안 환자의 구강의 위치 및 하악골의 구조에 툴을 수용하도록 더 돕기 위하여 작업 단부에 회전 오프셋(rotational offset)이 통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는 측방향 굴곡부의 방향에 기초하여 구강의 각 측에서의 특정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은 조합형 견인기의 핸들 구역에서의 개선으로 지향된다. 일 실시예에서, 핸들 구역은 치과의사가 치과의사의 개인적 선호에 따라 손바닥 잡기법(palm grasp) 또는 연필 잡기법(pen grasp)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폭들을 갖는 그립부(grip portion)를 포함한다. 핸들 구역의 기단부는 치과용 피크(dental pick), 치과용 프로브(dental probe), 치과용 후크(dental hook), 골막 엘리베이터(periosteal elevator), 또는 골막 견인기 또는 다른 치과용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 기재내용, 첨부된 도면들 및 첨부된 청구항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이 더 충분히 명백해지고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형태들 및 실시예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판독될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을 예시하기 위해, 도면들에서 바람직한 소정 실시예들이 나타내어진다. 하지만, 본원은 나타낸 정확한 구성, 구조들, 특징들, 실시예들, 실시형태들 및 디바이스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나타낸 구성들, 구조들, 특징들, 실시예들, 실시형태들 및 디바이스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다른 구성들, 구조들, 특징들, 실시예들, 실시형태들 및 디바이스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들은 반드시 비례척인 것은 아니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단지 본 발명의 예시된 실시예들을 분명히 하도록 제시된다. 이 도면들에서:
도 1a는 치과용 툴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치과용 툴의 측면도;
도 1c는 도 1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1d는 도 1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1e는 도 1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평면도;
도 1f는 도 1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저면도;
도 2a는 치과용 툴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치과용 툴의 측면도;
도 2c는 도 2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2d는 도 2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2e는 도 2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평면도;
도 2f는 도 2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저면도;
도 3a는 치과용 툴의 제 3 실시예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치과용 툴의 측면도;
도 3c는 도 3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3d는 도 3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3e는 도 3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평면도;
도 3f는 도 3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저면도;
도 4a는 치과용 툴의 제 4 실시예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치과용 툴의 측면도;
도 4c는 도 4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4d는 도 4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4e는 도 4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평면도;
도 4f는 도 4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저면도;
도 5a는 치과용 툴의 제 5 실시예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치과용 툴의 측면도;
도 5c는 도 5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5d는 도 5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5e는 도 5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평면도;
도 5f는 도 5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저면도;
도 6a는 치과용 툴의 제 6 실시예의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치과용 툴의 좌측면도;
도 6c는 도 6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6d는 도 6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6e는 도 6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평면도;
도 6f는 도 6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저면도;
도 6g는 도 6a의 치과용 툴의 우측면도;
도 7a는 치과용 툴의 제 7 실시예의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치과용 툴의 측면도;
도 7c는 도 7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7d는 도 7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7e는 도 7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평면도;
도 7f는 도 7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저면도;
도 8a는 치과용 툴의 제 8 실시예의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치과용 툴의 좌측면도;
도 8c는 도 8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8d는 도 8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8e는 도 8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및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평면도;
도 8f는 도 8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및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저면도;
도 8g는 도 8a의 치과용 툴의 우측면도;
도 9a는 치과용 툴의 제 9 실시예의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치과용 툴의 측면도;
도 9c는 도 9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9d는 도 9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9e는 도 9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및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평면도;
도 9f는 도 9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및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저면도;
도 10a는 치과용 툴의 제 10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b는 도 10a의 치과용 툴의 측면도;
도 10c는 도 10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10d는 도 10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10e는 도 10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평면도;
도 10f는 도 10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저면도;
도 11a는 치과용 툴의 제 11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b는 도 11a의 치과용 툴의 좌측면도;
도 11c는 도 11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11d는 도 11a의 치과용 툴의 우측면도;
도 11e는 도 11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11f는 도 11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평면도;
도 11g는 도 11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저면도;
도 12a는 치과용 툴의 제 12 실시예의 사시도;
도 12b는 도 12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12c는 도 12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12d는 도 12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평면도;
도 12e는 도 12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저면도;
도 13a는 치과용 툴의 제 13 실시예의 사시도;
도 13b는 도 13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13c는 도 13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13d는 도 13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평면도;
도 13e는 도 13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저면도;
도 13f는 도 13a의 치과용 툴의 측면도;
도 14a는 치과용 툴의 제 14 실시예의 사시도;
도 14b는 도 14a의 치과용 툴의 측면도;
도 14c는 도 14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14d는 도 14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14e는 도 14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평면도;
도 14f는 도 14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저면도;
도 15a는 치과용 툴의 제 15 실시예의 사시도;
도 15b는 도 15a의 치과용 툴의 측면도;
도 15c는 도 15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15d는 도 15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15e는 도 15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평면도;
도 15f는 도 15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저면도;
도 16a는 치과용 툴의 제 16 실시예의 사시도;
도 16b는 도 16a의 치과용 툴의 좌측면도;
도 16c는 도 16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16d는 도 16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16e는 도 16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평면도;
도 16f는 도 16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저면도;
도 16g는 도 16a의 치과용 툴의 우측면도;
도 17a는 치과용 툴의 제 17 실시예의 사시도;
도 17b는 도 17a의 치과용 툴의 측면도;
도 17c는 도 17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17d는 도 17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17e는 도 17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평면도;
도 17f는 도 17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저면도;
도 18a는 치과용 툴의 제 18 실시예의 사시도;
도 18b는 도 18a의 치과용 툴의 좌측면도;
도 18c는 도 18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18d는 도 18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18e는 도 18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평면도;
도 18f는 도 18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저면도;
도 18g는 도 18a의 치과용 툴의 우측면도;
도 19a는 치과용 툴의 제 19 실시예의 사시도;
도 19b는 도 19a의 치과용 툴의 좌측면도;
도 19c는 도 19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19d는 도 19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19e는 도 19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평면도;
도 19f는 도 19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저면도;
도 19g는 도 19a의 치과용 툴의 우측면도;
도 20a는 치과용 툴의 제 20 실시예의 사시도;
도 20b는 도 20a의 치과용 툴의 측면도;
도 20c는 도 20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20d는 도 20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20e는 도 20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평면도;
도 20f는 도 20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저면도;
도 21a는 치과용 툴의 제 2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1b는 도 21a의 치과용 툴의 측면도;
도 21c는 도 21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21d는 도 21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21e는 도 21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평면도;
도 21f는 도 21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혀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저면도;
도 22a는 치과용 툴의 제 22 실시예의 사시도;
도 22b는 도 22a의 치과용 툴의 측면도;
도 22c는 도 22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22d는 도 22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22e는 도 22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평면도;
도 22f는 도 22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 부분의 상세한 저면도;
도 23a는 치과용 툴의 제 23 실시예의 사시도;
도 23b는 도 23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23c는 도 23a의 치과용 툴의 측면도;
도 23d는 도 23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23e는 도 23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정면도;
도 23f는 도 23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배면도;
도 24a는 치과용 툴의 제 24 실시예의 사시도;
도 24b는 도 24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24c는 도 24a의 치과용 툴의 좌측면도;
도 24d는 도 24a의 치과용 툴의 우측면도;
도 24e는 도 24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24f는 도 24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정면도;
도 24g는 도 24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배면도;
도 25a는 치과용 툴의 제 25 실시예의 사시도;
도 25b는 도 25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25c는 도 25a의 치과용 툴의 측면도;
도 25d는 도 25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25e는 도 25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정면도;
도 25f는 도 25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배면도;
도 26a는 치과용 툴의 제 26 실시예의 사시도;
도 26b는 도 26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26c는 도 26a의 치과용 툴의 좌측면도;
도 26d는 도 26a의 치과용 툴의 우측면도;
도 26e는 도 26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26f는 도 26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정면도;
도 26g는 도 26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배면도;
도 27a는 치과용 툴의 제 27 실시예의 사시도;
도 27b는 도 27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27c는 도 27a의 치과용 툴의 좌측면도;
도 27d는 도 27a의 치과용 툴의 우측면도;
도 27e는 도 27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27f는 도 27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정면도;
도 27g는 도 27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배면도;
도 28a는 치과용 툴의 제 28 실시예의 사시도;
도 28b는 도 28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28c는 도 28a의 치과용 툴의 좌측면도;
도 28d는 도 28a의 치과용 툴의 우측면도;
도 28e는 도 28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28f는 도 28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정면도;
도 28g는 도 28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배면도;
도 29a는 치과용 툴의 제 29 실시예의 사시도;
도 29b는 도 29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29c는 도 29a의 치과용 툴의 측면도;
도 29d는 도 29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29e는 도 29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정면도;
도 29f는 도 29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배면도;
도 30a는 치과용 툴의 제 30 실시예의 사시도;
도 30b는 도 30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30c는 도 30a의 치과용 툴의 측면도;
도 30d는 도 30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30e는 도 30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정면도;
도 30f는 도 30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배면도;
도 31a는 치과용 툴의 제 31 실시예의 사시도;
도 31b는 도 31a의 치과용 툴의 평면도;
도 31c는 도 31a의 치과용 툴의 측면도;
도 31d는 도 31a의 치과용 툴의 저면도;
도 31e는 도 31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정면도;
도 31f는 도 31a에 나타낸 치과용 툴의 배면도; 및
도 32a 내지 도 32c는 각각 핸들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 사시도, 및 단부도(end view)이다.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 1a 내지 도 1f는 예시적인 툴(100)을 나타낸다. 툴(100)은 전반적으로 기다란 형상(generally longitudinal shape)이고, 제 1, 기단부(101) 및 제 2, 말단부(destal end: 102)를 갖는다. 툴(100)은 스테인리스 강, 탄화물, 플라스틱 또는 수지, 또는 본 기술분야에 알려진 여하한의 다른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단부(101)에 배치된 제 1 작용 유닛(110) 및 말단부(102)에 배치된 제 2 작용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재료들의 밀도는 최종 사용자에게 바람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더 무겁거나 더 가벼운 기구들을 제공하기 위해 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더 높은 밀도(denser grades)의 스테인리스 강이 비교적 더 무거운 제품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툴(100)은 일회용(disposable)일 수 있다. 툴(100)은 핸들 구역(130), 제 1 작용 유닛(110)과 핸들 구역(130) 사이에 배치된 제 1 넥 구역(140), 및 제 2 작용 유닛(120)과 핸들 구역(130) 사이에 배치된 제 2 넥 구역(150)을 더 포함한다. 핸들 구역(130)은 두껍거나, 폭이 좁거나, 둥글거나, 평탄할 수 있으며,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들을 가질 수 있다.
툴(100)은 일체형 구조체(unitary structure)로서 통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해제가능하게 기계적으로 함께 결합되는 별도 유닛들에 의해 형성된다. 본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은 여하한의 적절한 기계적 연결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함께 해제가능하게 연결하여 툴(100)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작용 유닛(110) 및 제 1 넥 구역(140)은, 예컨대 제 1 넥 구역(140)의 말단부의 나사산 부분(threaded section)에 의해, 핸들 구역(130)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되는 단일 유닛으로서 통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핸들 구역(130)은 제 1 넥 구역(140)의 맞물리는(mating) 나사산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그 기단부에 대응하는 나사산 부분을 갖는 단일 유닛으로서 통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핸들 구역(130)의 말단부는 제 2 넥 구역(150)의 기단부의 대응하는 맞물리는 나사산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나사산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제 2 넥 구역(150)은 제 2 작용 유닛(120)과 통합하여 형성된다. 많은 변형예들이 고려되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핸들 구역(130), 제 1 넥 구역(140) 및 제 1 작용 유닛(110)은 모두 단일 유닛으로서 통합하여 형성되고, 이는 제 2 넥 구역(150) 및 제 2 작용 유닛(120) -이 부분들(120, 150)은 다시 단일 유닛으로서 통합하여 형성될 수 있음- 에 나사 또는 다른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부착된다. 예를 들어, 도 1e 및 도 1f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 2 넥 구역(150) 및 제 2 작용 유닛(120)은 단일 유닛으로서 통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2 넥 구역(150)의 기단부(151)가 나사산 부분(159), 예컨대 나사산 돌출부(threaded protrusion) 또는 나사산 개구부(threaded aperture)를 포함하여, 핸들 구역(130)의 말단부의 나사산 부분과 대응하여 맞물릴 수 있다.
핸들 구역(130)은 툴(100)의 조작 시 치과의사에 의해 그리핑 구역(gripping region)으로서 사용되고, 그 길이에 수직인 단면이 일반적으로 원형, 육각형, 팔각형, 플랫형(flat) 등일 수 있다; 핸들 구역(130)은 바람직하게는 핸들 구역(130)에서 치과의사들의 그립을 개선하도록 널(knurl: 132)들 또는 다른 표면 텍스처링(surface texturing)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핸들 구역(130)은 플라스틱, 고무 또는 여하한의 다른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외부 그립 재료(exterior grip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예시적인 핸들 구역은 추후 설명되며, 이는 다음에 설명되는 여하한의 예시적인 툴들에서 채택될 수 있다. 툴(100)의 부분들은 구조에 있어서 중공(hollow) 또는 중실(solid)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툴(100)의 다양한 부분들(110, 140, 130, 150, 120)의 단면 형상은 상이한 형상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기단부(101)로부터 말단부(102)까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방식으로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b 및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 구역(130)의 종 길이(longitudinal length)는 종 방향(1)을 정의할 수 있다. 단부들(101, 102)의 좌우 운동(side-to-side motion)에 대응하는 측 방향(lateral direction: 2)은 종 방향(1)에 수직인 한편, 횡 방향(transverse direction)은 종 방향(1) 및 측 방향(2) 모두에 수직이고 단부들(101, 102)의 상하 운동에 대응한다. 이 방향들(종, 측 및 횡)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특징들을 설명하기 위해 다음 기재내용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
예시적인 툴(100)에서, 제 2 작용 유닛(120)은 오목한 혀 견인기(120)를 포함한다. 오목한 혀 견인기(120)는 치과의사가 작업하고 있는 치료 영역으로부터 혀를 견인하는 데 사용된다. 오목한 혀 견인기(120)는 절차 동안 혀를 견인 및/또는 격리하는 데 사용된다. 도 1a 내지 도 1f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오목한 혀 견인기(120)는 바람직하게는 혀의 일부분을 감싸는(encapsulate) 내추럴 영역(natural area)을 제공하도록 형상화되어, 이를 치료 영역으로부터 제거한다. 횡 평면(즉, 방향 1 및 방향 3에 의해 정의되고, 도 1b에 가장 잘 예시된 평면)을 따르는 단면에서, 혀 견인기(120)는 오목한 배쪽 표면(ventral surface: 122) 및 대응하는 볼록한 등쪽 표면(dorsal surface: 124)을 제공하기 위해 원형인,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반-원형(semi-circular)인 형상을 가지며, 이때 배쪽 표면(122)이 환자의 혀와 직접 접촉하게 되도록 설계되는 작업 표면이다. 만곡(curve)은 약 30 도 내지 160 도의 아크를 통해, 더 바람직하게는 약 70 도 내지 100 도의 아크를 통해, 더 바람직하게는 약 80 내지 90의 아크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횡 평면에서의 단면에서 반-원형 아크로서, 혀 견인기(120)의 주축(major axis)은 횡 방향(3)을 따라[또는 견인기(120)의 말단 연장부(distal extents)를 따라] 더 가깝게 정렬되는 한편, 부축(minor axis)은 길이 방향(1)을 따라[또는 말단 연장부에 수직으로 -- 즉, 저면(122)에 수직으로] 더 가깝게 정렬된다; 혀 견인기의 주축은 부축보다, 예를 들어 적어도 50 % 클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혀 견인기(120)는 측 평면(즉, 방향 1 및 방향 2에 의해 정의되고, 도 1c에 가장 잘 예시된 평면)을 따르는 단면에서 만곡 형상, 바람직하게는 원형을 가지며, 이는 배쪽 표면(122)의 오목한 성질 및 등쪽 표면(124)의 볼록한 성질을 더 증가시킨다. 혀 견인기(120)는 바람직하게는 측 평면의 단면에서 5 내지 90 도의 아크를 통해,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5 도의 아크를 통해,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30 도의 아크를 통해 연장된다. 혀 견인기(120)의 말단부(102)는 측 방향(2)을 따라 약 10 mm 내지 40 mm, 바람직하게는 약 25 mm의 크기(extent)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원하는 정도의 곡률에 의존하여 이보다 약간 더 큰 측 방향(2)을 따르는 만곡 길이를 제공한다. 혀 견인기(120)는 종 방향(1)을 따라 약 19 mm 내지 약 51 mm, 바람직하게는 약 32 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유사하게 약간 더 큰 만곡 길이를 제공할 수 있다. 말단부(102)의 측면 크기(2)는 약 15 mm 내지 약 40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26 mm일 수 있다.
다음의 목적들을 위해, 등쪽 방향은 등쪽 표면(124)이 향하는 횡 방향(3)을 따르는 방향(즉, "위쪽" 방향)인 반면, 배쪽 방향은 등쪽 방향과 반대인 횡 방향(3) - 즉, 배쪽 표면(122)이 향하는 방향으로 "아래쪽 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다. 이 실시예(100)에서, 제 1 넥 구역(140)은 일직선일 수 있으며, 따라서 종 방향(1)을 따라, 및 이에 평행으로 연장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제 2 넥 구역(150)은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 평면[종 방향(1) 및 측 방향(2)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서는 일직선이지만,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 평면[종 방향(1) 및 횡 방향(3)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서는 구부러진다. 제 2 넥 구역(150)은 횡 방향(3)에서 배쪽으로 구부러지는 제 1 각도 또는 굴곡부(bend: 152), 및 횡 방향(3)에서 등쪽으로 구부러지는 더 말단의 제 2 각도 또는 굴곡부(154)를 포함한다. 굴곡부들(152, 154)의 각도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제 2 넥(150)의 말단부가 핸들 구역(130)의 말단부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방향으로 끝나고, 횡방향 거리에 의해 배쪽으로 오프셋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말단의 위쪽 굴곡(154)은 초기 기단부쪽 굴곡(152)보다 작아, 제 2 넥 구역(150)의 말단부(102)가 핸들 구역(130)의 말단부(102)에 대해 횡 방향에서 약간 배쪽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배쪽, 횡방향 오프셋은 유리하게는 작업 영역에 도달하기 위해 환자의 인체에서 방향을 잡기(navigate)가 더 쉽도록 설계된다; 특히, 제 2 작용 유닛(120)은 핸들 구역(130)에 대해 배쪽으로 환자를 향해 배치되며, 이는 예를 들어 대측(contralateral side)으로부터 접근할 때 환자의 인체에서 더 방향 잡기 쉽게 만든다. 이 배쪽 오프셋은 조직 또는 인체, 예컨대 환자의 혀를 견인하는 경우에 치과의사의 부담을 감소시키는 예기치 않은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제 2 작용 유닛(120)의 이 배쪽 오프셋 및 선택적인 배쪽 각도는 제 2 작용 유닛(120)이 핸들 구역(130)으로 더 쉽게 조작되도록 허용하는데, 이는 제 2 넥 구역(150)이 더 편리하게 환자의 치아 및 턱을 뛰어넘기(clear) 때문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2 넥 구역(150)의 기단부(151)와 제 2 넥 구역의 말단부(158) 간의 횡 방향(3)으로의 배쪽 거리는 약 5 mm 내지 32 mm, 더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26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mm 내지 20 mm이다. 제 1 굴곡부(152) 및 제 2 굴곡부(154)의 조합은 제 2 넥 구역(150)에 일반적으로 S-형상이거나 계단형(stepped)인 외형을 제공하고, 설명을 위해 "S-형" 굴곡부들이라고 언급된다. 제 1 굴곡부(152)는 10 내지 90 도의 아크,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도의 아크, 더 바람직하게는 약 45 도의 아크를 통해 지나갈 수 있고, 관련 방향으로 7 내지 30 mm,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mm, 더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7 mm 연장될 수 있다. 제 2 굴곡부(154)는 5 내지 90 도의 아크,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0 도의 아크, 더 바람직하게는 약 30 도의 아크를 통해 지나갈 수 있고, 관련 방향으로 7 내지 30 mm,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mm, 더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7 mm 연장될 수 있다. 제 2 굴곡부(154)는 제 2 작용 유닛(120)이 장착되는 표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 2 작용 유닛(120)의 등쪽 표면(124)은 제 2 굴곡부(154)의 배쪽 표면에 접합될 수 있다. 또는, 제 2 작용 유닛(120)은 제 2 굴곡부(154)의 부분들이 작용 유닛(120)의 배쪽 표면(122) 및 등쪽 표면(124) 둘 다에 걸쳐 연장되도록 제 2 굴곡부(154) 내에 박혀(embed)있을 수 있다.
S-형 넥 구역(150)은 작용 유닛(120)의 배쪽 횡방향 공간 변위(ventral, transverse spatial displacement), 및 선택적으로 작용 유닛(120)의 배쪽 횡방향 각변위(ventral, transverse angular displacement)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작용 유닛(120)의 측 평면[이는 예를 들어 작용 유닛(120)의 측방향 및 종방향 연장부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음]은 툴(100)의 측 평면[이는 예를 들어 종 방향(1) 및 측 방향(2)에 의해 정의될 수 있음]에 대해 배쪽 횡 방향(3)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 횡방향 변위들, 즉 각변위 및 공간 변위는 통상적으로 치과의사의 위치보다 더 낮은 하악골의 위치에 대해 툴을 위치시키도록 돕고, 결과적으로 더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을 제공하며, 이는 더 적은 힘을 필요로 하고, 이에 따라 치과의사에게 더 적은 피로를 유도하며, 또한 핸들 구역(130)이 환자의 치아 및 하악골을 더 쉽게 뛰어넘도록 돕는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작용 유닛(120)의 배쪽 횡방향 각변위는 핸들 구역(130)의 종 축선에 대해 0 도 내지 90 도, 더 바람직하게는 15 도 내지 60 도, 더 바람직하게는 20 도 내지 30 도이다. 몇몇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넥 구역은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된 개별적인 굴곡부들을 제공하기보다는, 그 길이에 걸쳐 매끄럽게 구부러져 원하는 곡률 및 공간 변위들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매끄럽게 구부러진 구성들은 다음 설명을 위해 "S-형 굴곡부들"로 간주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이들은 여전히 실질적으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대응하는 각도 및 공간 크기들을 갖는 제 1 및 제 2 굴곡부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시적인 툴(100)은 S-형 굴곡부들(152, 154)의 사용을 통해 개선된 인체공학을 제공한다. 이 인체공학 특징들은 선택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툴들 및 실시예들 각각에 통합될 수 있다. 제 2 넥 구역(150)의 배쪽 S-형상은 툴(100) 및 특히 혀 견인기(120)로 하여금 구강 내에서 더 최적으로 정렬되게 하여, 횡 방향(3)으로 매우 감소된 양의 힘이 요구되도록 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실제로 S-형 구역(150)에 의해 제공되는 배쪽 방위는 통상적으로 혀를 견인하는 데 필요한 배쪽(즉, 아래쪽) 동작을 제공하고, 결과로서 이러한 혀 견인을 수행하기 위해 치과의사에 의해 요구되는 수고를 매우 감소시킨다. 이는 치과의사의 피로 및 불편함을 극적으로 감소시키고, 목, 어깨, 팔, 등 및 손의 장기적인 부담을 회피하여, 치과의사의 부상 위험을 감소시킨다.
제 1 작용 유닛(110)은 선택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또는 핸들 구역(130)의 기단부(101)는 적절한 형상 또는 적절한 피팅으로 끝날 수 있다. 하지만, 예시로서, 제 1 작용 유닛(110)은 예를 들어 핸들 구역(130)의 기단부(101)에 나사고정되어 툴(100)의 추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작용 유닛(110)은 골막 엘리베이터(123)일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핸들(130)의 기단부는 대신 치과용 프로브, 치과용 후크, 또는 다른 유용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체 툴은 핸들 구역, 넥 구역 및 작용 유닛이 모두 함께 단일 유닛으로서 형성되도록 통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예시적인 툴들이 설명된다. 예시적인 툴(100)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여하한의 다른 예시적인 툴로부터의 특징들이 설명되는 다른 각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관련 각도 및 공간 파라미터들을 갖는 S-형 넥 구역(150)이 성공적으로 채택될 수 있다. 간명함을 위해, 앞서 소개되지 않았던 특정 실시예의 특유한 특징들만이 그 실시예에서 설명되며, 다른 실시예들로 이러한 특징들, 예컨대 특유한 각도 오프셋들 또는 공간 크기들을 통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핸들 구역(230)에 제 2의 예시적인 혀 견인기(220)를 커플링하는 S-형상의 제 2 넥 구역(250)을 갖는 또 다른 예시적인 툴(200)을 나타낸다. 제 1의 예시적인 혀 견인기(120)에 비해, 예시적인 혀 견인기(220)는 측 방향(2)을 따라 증가된 연장부들을 갖는다 - 즉, 폭이 넓다. 이는, 예를 들어 더 큰 입 또는 혀를 갖는 환자를 수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환자의 특정한 인체에 맞춤인 툴들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혀 견인기(220)는 측 방향(2)을 따라 약 15 mm 내지 45 mm, 더 바람직하게는 20 mm 내지 35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28 mm만큼 연장된다. 혀 견인기(220)는 측 방향(2)을 따라 15 내지 180 도의 아크,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도의 아크,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도의 아크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f는 핸들 구역(330)에 혀 견인기(120)와 유사한 혀 견인기(320)와 같은 작용 유닛(320)을 커플링하는 S-형상의 제 2 넥 구역(350)을 갖는 또 다른 예시적인 툴(300)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S-형상의 제 2 넥 구역(350)은 횡 평면[즉, 도 3b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횡 방향(3)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서 구부러지고, 측 평면[즉, 도 3c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측 방향(2)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서도 구부러진다. 이러한 측방향 굴곡 또는 오프셋들은, 하악골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작업하는 경우에 중요할 수 있는 하악골의 곡률을 대응하여 구부러진 툴을 이용함으로써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는 하악골 내의 의도된 작업 위치에 기초하여 필요에 따라 측 방향(2)에서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사전설정된 굴곡부들을 갖는 툴들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넥 구역(350)은 제 1 굴곡부(352) 및 제 2 굴곡부(354)(또는 이러한 굴곡부들과 기능적으로 비슷한 매끄럽게 구부러진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고, 굴곡부들 중 적어도 하나(352 또는 354)는 측 방향으로 각도 오프셋을 구성하여, 작용 유닛(320)의 중심선이 핸들 구역(330)의 중심선으로부터 측방향으로 공간 및 각도 모두 오프셋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제 2 굴곡부(354)(즉, 가장 말단의 굴곡부)는 툴의 작용 유닛의 측방향 앵글링(lateral angling)을 모두 제공한다. 넥(350)의 기단부(351)에 대한 넥(350)의 말단부(358)의 배쪽 횡방향 변위(3) -공간 및 각도 모두- 는, 예를 들어 실시예들(100, 200)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을 수 있다. 하지만, 추가적으로, 넥(350)의 말단부(358)는 측방향 변위(2)도 거쳤을 것이다. 넥(350)의 기단부(351)에 대한 넥(350)의 말단부(358)의 공간 측방향 변위(2)는, 예를 들어 5 mm 내지 30 mm, 더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20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mm일 수 있으며, 핸들 구역(330)에 대한 작용 유닛(320)의 대응하는 공간 측방향 변위를 제공한다. 넥(350)의 기단부(351)[및 종 방향(1) 및 핸들 구역(330)]에 대한 넥(350)의 말단부(358)의 각도 측방향 변위는, 예를 들어 0 내지 90 도,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도, 더 바람직하게는 약 22 또는 33 도일 수 있으며, 핸들 구역(330)에 대한 작용 유닛(320)의 대응하는 각도 측방향 변위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는 가장 말단의 굴곡부(354)가 작용 유닛(320)의 총 각도 측방향 변위를 제공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각각의 굴곡부(352, 354)가 작용 유닛(320)의 총 각도 측방향 변위의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들에서, 넥 구역(350)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 평면에서 S-형상이지만,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 평면에서 C-형상[두 굴곡부들(352, 354)이 측방향 각도 변위들을 갖는 경우] 또는 L-형상[단 하나의 굴곡부(352, 354)만이 측방향 각도 변위를 갖는 경우]이다. 이러한 C-형상 또는 L-형상 곡률들은 본 기재내용을 위해 "오목한 곡률들"로 간주될 수 있다. 하지만, 넥(350)이 횡 및 측 평면들 모두에서 S-형상이도록 하나의 굴곡부(352 또는 354)가 측방향 각도 변위를 증가시키는 한편 또 다른 굴곡부(354 또는 352)가 측방향 각도 변위를 감소시키는 디자인들과 같은 다른 디자인들이 분명히 가능하다.
예시적인 넥 디자인(350)은 치과의사들로 하여금, 특히 치과의사가 하악골의 한 특정 측에서 툴(300)의 방향을 잡게 하는 훨씬 덜 어색한 방식으로 툴(300)을 이용하게 한다. 또한, 이 넥 디자인(350)은 치과의사로 하여금 툴(300)을 사용하기 위한 노력으로 상반신 사지들(예를 들어, 팔 및 손), 및 머리와 목을 비틀거나 돌릴 필요성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게 한다.
도 4a 내지 도 4f는 넥 구역(450)을 통해 핸들 구역(430)에 커플링되는 예시적인 혀 견인기(420)를 갖는 또 다른 예시적인 툴(400)을 나타낸다. 넥 구역(450)은 예를 들어 횡 평면(화살표 1 및 3에 의해 정의됨)에서 S-형상이지만, 측 평면(화살표 1 및 2에 의해 정의됨)에서는 일직선이다. 예시적인 혀 견인기(420)는 공간 크기들에 관하여 예시적인 혀 견인기(120)와 유사하지만, 말단 립(distal lip:402)을 향해 과장된 오목형상(concavity)을 더 포함한다. 특히, 도 4b에서와 같이 횡 평면에서 보면, 혀 견인기(420)는 곡률 대부분이 견인기(420)의 가장 말단의 3분의 1(the most distal third)에서 발생하여 립(402)에서 끝나는 배쪽 표면(422)에 대해 더 확연한 오목형상을 형성하는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이때 립(402)은 측 평면에 대해 45 내지 170 도, 더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150 도, 및 더 바람직하게는 측 평면에 대해 약 110 내지 130 도 기울어져, 사실상 혀 견인기(420)가 자신을 향해 도로 구부러진다(curve back upon itself).
도 5a 내지 도 5f는 넥 구역(550)을 통해 핸들 구역(530)에 커플링되는 혀 견인기(420)와 유사한 혀 견인기(520)를 갖는 또 다른 예시적인 툴(500)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툴(500)에서, 넥 구역(550)은 횡 평면(화살표 1 및 3에 의해 정의됨)에서 S-형상이고, 측 평면(화살표 1 및 2에 의해 정의됨)에서 L-형상이다. 이에 따라, 혀 견인기(520)는 예컨대 약 20 내지 45 도, 더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3 도만큼 핸들 구역(530)으로부터 측방향으로 공간 및 각도 모두 오프셋되고, 22 도 및 33 도가 각각 특히 바람직하다. 툴(500)은 예를 들어 하악골 주위, 예컨대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의 의도된 사용에 기초하여, 본 명세서에 나타낸 것과 반대 방향으로 측방향 굴곡부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예시적인 혀 견인기(620)를 갖는 또 다른 예시적인 툴(600)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혀 견인기(620)는 종 방향(1) 및 측 방향(2)에 의해 정의된 측 평면에 거의 수직인 표면을 생성하는 실질적으로 곧은 평평한 단부(627)를 갖는다. 평평한 단부(627)는 측 방향(2)으로 폭이 약 15 mm 내지 45 mm, 바람직하게는 약 25 mm이고, 횡 방향(3)으로 길이가 약 5 mm 내지 30 mm, 바람직하게는 약 15 mm일 수 있다. 중심 굴곡부(625)는 횡방향 곡률의 대부분을 제공하여, 도 6b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측 평면에서 혀 견인기(620)에 대해 주로 L-형인 단면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혀 견인기(620)는 더 큰 공간 크기들을 덮을 수 있다 - 즉, 더 큰 크기의 혀 견인기.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평평한 단부는 측 방향(2)에서 폭이 약 35 mm이고, 횡 방향(3)에서 길이가 약 25 mm일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f는 예시적인 혀 견인기(620)와 유사한 혀 견인기(720)를 갖는 또 다른 예시적인 툴(700)을 나타내며, 혀 견인기(720)는 횡 평면[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횡 방향(3)에 의해 정의됨]에서 S-형상이고, 측 평면[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측 방향(2)에 의해 정의됨]에서 C-형상인 넥 구역(750)에 의해 핸들 구역(730)에 커플링된다. 측방향 각도 및 공간 오프셋들은 앞선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된 것들과 유사하게 22 및 33 도 -하악골의 구조와 우수하게 정렬됨에 따라 측방향 각도 오프셋에 대해 특히 바람직함- 일 수 있지만, 0 내지 180 도의 여하한의 각도들도 고려된다.
도 8a 내지 도 8g는 예시적인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820)를 갖는 또 다른 예시적인 툴(800)을 나타내며, 상기 견인기(820)는 횡 평면[도 8b 및 도 8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횡 방향(3)에 의해 정의됨]에서 S-형상이고, 측 평면[도 8c 및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측 방향(2)에 의해 정의됨]에서 일직선인 넥 구역(850)에 의해 핸들 구역(830)에 커플링된다. 플랩 견인기(820)는 연조직 플랩, 예컨대 하악골의 설측면(lingual aspect)에서 수술용 플랩으로서 들어 올려진 잇몸 및/또는 잇몸 점막 및/또는 결합 조직을 반영(reflect)하기 유용하게 한다. 하지만, 툴의 작업 단부의 이례적인 두께는 혀 견인기로서의 사용에도 적절하게 하여, 혀의 비교적 강한 근육을 반영하기에 위해 필요한 견고함(sturdiness)을 제공한다. 플랩 견인기(820)는 저부면(822)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부면(824)을 가지며, 이 면들(822, 824)은 0.1 mm 내지 5 mm, 더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4 mm, 및 더 바람직하게는 약 3 mm의 균일한 두께를 제공하는 측면 측벽(lateral sidewall: 826)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이 통상적이지 않은(unconventional) 두께는 툴(800)에 예기치 않은 혀-견인 기능을 제공한다. 몇몇 다른 실시예들에서, 가장 말단의 에지에서 이 두께는 예컨대 약 0.1 mm의 두께로 좁아질(taper)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부면(824) 및 저부면(822)은 서로 평행하지 않고, 대신에 기단부로부터 말단부까지 완만한 테이퍼링(tapering)을 제공하도록 기울어질(angle) 수 있다. 측면 측벽(826)은 플랩 견인기(820)의 옆(sides) 및 말단부 주위에 연장되고, 상부면(824) 및 저부면(822)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플랩 견인기(820)의 말단부(802)는 반원형이고, 바람직하게는 측 방향(2)을 따라 5 내지 30 mm, 더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20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mm 연장된다.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820)의 배쪽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종 방향(1)을 따라 5 내지 40 mm,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30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28 mm 연장된다. 예시적인 플랩 견인기(820)는 평탄한 말단 표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낸다; 하지만, 플랩 견인기(820)의 말단 에지는 구부러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f는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920)를 갖는 또 다른 예시적인 툴(900)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툴(900)에서, 넥 구역(950)은 횡 평면[도 9b에 가장 잘 나타내고, 종 방향(1) 및 횡 방향(3)에 의해 정의됨]에서 S-형상이고, 측 평면[도 9c 및 도 9d에 가장 잘 나타내고, 종 방향(1) 및 측 방향(2)에 의해 정의됨]에서 C-형상이다. 이에 따라, 견인기(920)는 예컨대 횡방향으로 약 25 내지 40 도, 바람직하게는 약 30 도, 및 측방향으로 30 도,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측방향으로 22 또는 33 도만큼 핸들 구역(930)으로부터 측방향으로 공간 및 각도 모두 오프셋되고, 앞선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횡방향 공간 변위 및 측방향 공간 변위를 갖는다. 형상에 있어서, 예시적인 혀 및 플랩 견인기(920)는 예시적인 혀 및 플랩 견인기(820)와 유사하다. 하지만, 앞선 예시적인 플랩 견인기(820)와 달리, 상부면(924)과 저부면(922) 사이의 측면 측벽(926)은 실질적으로 이 표면들(922, 924)에 수직이 아니다. 그 대신, 측벽(926)은 예컨대 저부면(922)에 대해 1 내지 60 도,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도,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5 도, 더 바람직하게는 약 33 도만큼 기울어지거나 비스듬하다(bevel). 또한, 종 방향(1)을 따르는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920)의 배쪽 표면의 길이는 15 mm 내지 30 mm, 더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5 mm, 더 바람직하게는 20 m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등쪽 표면(924)은 배쪽 표면(922)보다 약간 더 작으며, 측벽(926)은 치과의사가 치료 영역으로부터 멀리 연조직의 플랩(예컨대, 잇몸, 잇몸 점막, 및/또는 결합 조직)을 유지하기 위해 플랩 견인기(920)를 절개부(incision)로 더 쉽게 삽입하게 하는 비스듬한 표면을 형성한다. 앞선 실시예(800)에서와 같이, 측면 측벽(926)은 구부러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예시적인 혀 및 플랩 견인기(1020)를 갖는 또 다른 예시적인 툴(1000)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툴(1000)에서, 넥 구역(1050)은 횡 평면[도 10b에 가장 잘 나타내고, 종 방향(1) 및 횡 방향(3)에 의해 정의됨]에서 S-형상이고, 측 평면[도 10c 및 도 10d에 가장 잘 나타내고, 종 방향(1) 및 측 방향(2)에 의해 정의됨]에서 일직선이지만, 측 방향에서의 굴곡부들도 고려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형상에 있어서, 예시적인 혀 및 플랩 견인기(1020)는 앞선 예시적인 플랩 견인기(920)와 유사하다. 하지만, 등쪽 표면(1024)과 배쪽 표면(1022) 간의 간격은 앞선 예시적인 플랩 견인기들(820, 920)에서의 간격보다 작다. 이 예시적인 플랩 견인기(1020)에 대해, 등쪽 표면(1024)과 배쪽 표면(1022) 간의 거리는 0.5 mm 내지 2.0 mm, 더 바람직하게는 0.8 mm 내지 1.5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 mm이다. 더 얇은 모양으로 인해, 측벽(1026)의 비스듬함(beveling)이 제 2의 예시적인 혀 및 플랩 견인기(920)에서보다 더 급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1026)은 약 45 도 기울어질 수 있다. 툴(1000)은 아이와 같은 작은 인체들을 다루기 위해 측방향(2) 및 종방향(1) 크기들을 따라 더 작은 프로파일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툴(1000)은 연조직이 얇은 설측 전방 구역(lingual anterior region)에서 작업하기에 아주 적합할 수 있다. 플랩 견인기(1020)의 말단부는 반원형이거나 평탄하고, 바람직하게는 측 방향(2)을 따라 3 내지 24 mm, 더 바람직하게는 5 mm 내지 18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12 mm의 크기들을 갖는다. 플랩 견인기(1020)의 배쪽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종 방향(1)을 따라 5 mm 내지 36 mm, 바람직하게는 8 mm 내지 24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18 mm의 크기들을 갖는다. 앞선 실시예들(800, 900)에서와 같이, 측면 측벽(1026)은 구부러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1a 내지 도 11g는 혀 및 플랩 견인기(1020)와 유사한 혀 및 플랩 견인기(1120)를 갖는 또 다른 예시적인 툴(1100)을 나타내며, 상기 견인기(1120)는 횡 평면[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횡 방향(3)에 의해 정의됨]에서 S-형상이고, 측 평면[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측 방향(2)에 의해 정의됨]에서 C-형상인 넥 구역(1150)에 의해 핸들 구역(1130)에 커플링된다. 측방향 및 횡방향 각도 및 공간 변위들은 앞선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을 수 있다; 하지만, 바람직한 굴곡부들은 하악골 상의 작업 위치에 기초하여 왼쪽 또는 오른쪽 측 방향들에서 22 내지 33 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횡 평면에서 S-형상인 넥 구역(1250)에 의해 핸들 구역(1230)의 말단부에 커플링되는 예시적인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1220)를 갖는 또 다른 예시적인 툴(1200)을 나타낸다.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1220)는 제 1의 예시적인 혀 견인기(12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형상화되는 혀 견인기 부분(1227)을 갖는다. 하지만, 플랩 견인기 부분(1228)이 혀 견인기 부분(1227)의 말단부(1229)로부터, 실질적으로 종 방향(1)을 따라 말단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혀 견인기 부분(1227)은 플랩 견인기 부분(1228)의 기부에 배치되고, 플랩 견인기 부분(1228)은 디바이스(1200)의 가장 말단인 구역에 위치된다. 플랩 견인기 부분(1228)은 혀 견인기 부분(1227)과 중심에 정렬될 수 있고, 연조직 플랩(예를 들어, 잇몸, 잇몸 점막, 및/또는 결합 조직)을 반영하기 위해 절개부로의 플랩 견인기 부분(1228)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비스듬한 에지(1226)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랩 견인기 부분(1228)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예시적인 플랩 견인기들과 유사한 측방향 폭(2) 및 두께[이를 통해, 비스듬한 표면(1226)이 연장됨],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1 mm를 갖고, 1 mm 내지 15 mm,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10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7 mm의 종방향 길이(1)[혀 견인기 부분(1227)과의 연결 위치로부터 플랩 견인기 부분(1228)의 가장 말단부까지 측정됨]를 가질 수 있다. 폭(2)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mm, 더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15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13 mm이다. 예를 들어, 앞선 소정 실시예들에 기재된 바와 같은 여하한의 적절한 각도가 비스듬한 에지(1226)의 각도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스듬한 에지들(1226)보다는 제 1의 예시적인 플랩 견인기(800)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측벽들이 채택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플랩 견인기 부분(1228)의 등쪽 표면(1224)(또는 배쪽 표면)은 종 방향(1) 및 측 방향(2)에 의해 정의된 측 평면(즉, 횡 방향에 수직인 평평한 표면)과 평행하다. 하지만,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등쪽 표면(1224)(또는 배쪽 표면)은 측 평면에 대해 배쪽 횡 방향으로, 예컨대 핸들 구역의 종 축선(1)에 대해 0 도 내지 75 도,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 도, 더 바람직하게는 5 도 내지 45 도, 및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도 기울어진다.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1220)는 치과의사의 필요에 따라 두 기능들(혀 견인 및 플랩 견인)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기능들을 단일 디바이스(1200)로 혼합하는 것은 절차들 동안 구강 내에서의 2 개의 별도 디바이스들에 대한 필요를 제거하거나, 다른 잠재적 사용을 위해 치과의사의 손을 확보하거나(free up), 또는 치료 영역에서 어시스턴트가 관여할 필요를 제거하여, 수술 시간을 단축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짧아진 플랩 견인기 부분(1228)이 제공될 수 있고, 이는 인체가 작은 경우에, 즉 어린이 또는 작은 성인에게 유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견인기의 길이는 1 mm 내지 4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2 mm이다.
도 13a 내지 도 13f는 예시적인 혀 및 플랩 견인기(1220)와 유사한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1320)를 갖는 또 다른 예시적인 툴(1300)을 나타내며, 상기 견인기(1320)는 횡 평면[도 13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횡 방향(3)에 의해 정의됨]에서 S-형상이고, 측 평면[도 13b 및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측 방향(2)에 의해 정의됨]에서 C-형상인 넥 구역(1350)에 의해 핸들 구역(1330)에 커플링된다. 앞선 예시적인 툴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여하한의 적절한 각도 및 공간 오프셋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f는 앞선 예시적인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1220)와 유사하지만, 혀 견인기 부분(1427)은 환자의 혀를 견인하기 위해 과장된 캐비티(exaggerated cavity)를 제공하도록 예시적인 혀 견인기(420)와 유사하게 형상화되는 예시적인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1420)를 갖는 또 다른 예시적인 툴(1400)을 나타낸다.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1420)는 횡 평면[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횡 방향(3)에 의해 정의됨]에서 S-형상이고, 측 평면[도 14c 및 도 1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측 방향(2)에 의해 정의됨]에서 일직선인 넥 구역(1450)에 의해 핸들 구역(1430)에 커플링된다.
도 15a 내지 도 15f는 예시적인 혀 및 플랩 견인기(1420)와 유사한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1520)를 갖는 또 다른 예시적인 툴(1500)을 나타내며, 상기 견인기(1520)는 횡 평면[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횡 방향(3)에 의해 정의됨]에서 S-형상이고, 측 평면[도 15c 및 도 1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측 방향(2)에 의해 정의됨]에서 L-형상인 넥 구역(1550)에 의해 핸들 구역(1530)에 커플링된다.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1520)의 측방향 각도 변위는 앞선 예시적인 툴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 도 내지 180 도, 바람직하게는 20 도 내지 35 도, 더 바람직하게는 22 도 또는 33 도이다. 도 15b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랩 견인기 부분(1528)의 등쪽 표면(1524)의 평면은 툴(1500)의 측 평면에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하지만,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등쪽 표면(1524)은 횡 방향(3)에서 배쪽으로 약 0 도 내지 90 도, 더 바람직하게는 0 도 내지 30 도, 및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도만큼 기울어진다.
도 16a 내지 도 16g는 횡 평면[도 16b 및 도 16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횡 방향(3)에 의해 정의됨]에서 S-형상이고, 측 평면[도 16c 및 도 1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측 방향(2)에 의해 정의됨]에서 일직선인 넥 구역(1650)에 의해 핸들 구역(1630)에 커플링되는 예시적인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1620)를 갖는 또 다른 예시적인 툴(1600)을 나타낸다. 하지만,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의 측방향 굴곡부들도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6b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혀 견인기 부분(1627)은 실질적으로 평탄하며, S-형상의 넥 구역(1650)으로 인해 핸들 부분(1630)의 종 길이(1)에 대해[즉, 툴(1600)의 측 평면에 대해] 약 10 도 내지 90 도, 및 바람직하게는 약 45 도의 각도를 갖는다. 혀 견인기 부분(1627)의 말단부(1629)는 앞선 예시적인 혀 견인기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측방향 폭(2), 및 바람직하게는 약 27 mm를 가질 수 있는 한편, 혀 견인기 부분(1627)은 10 mm 내지 50 mm, 및 바람직하게는 약 3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플랩 견인기 부분(1628)은 혀 견인기 부분(1627)의 등쪽 표면(1621)에 커플링되고, 혀 견인기 부분(1627)의 말단부(1629)를 넘어 연장된다. 플랩 견인기 부분(1628)의 말단부(1602)는 측 방향(2)에서 약 5 mm 내지 20 mm, 더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15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13 mm의 폭을 가질 수 있는 한편, 플랩 견인기 부분(1628)은 혀 견인기 부분(1627)의 말단부(1629)로부터 1 mm 내지 15 mm,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10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6 mm만큼 연장될 수 있다. 플랩 견인기 부분(1628)의 상부면(1624)은 혀 견인기 부분(1627)의 상부면(1621)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플랩 견인기 부분(1628)의 상부면(1624)은 0 도 내지 90 도, 더 바람직하게는 5 도 내지 30 도만큼 디바이스의 측 평면에 대한 횡방향 각도 변위를 가질 수 있으며, 약 15 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플랩 견인기 부분(1628)은 혀 견인기 부분(1627)의 가장 말단의 에지(1629)로부터 직접 연장될 수 있으며, 또는 대신에 혀 견인기 부분(1627)의 상부면(1621)으로부터 밖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f는 예시적인 혀 및 플랩 견인기(1620)와 유사한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1720)를 갖는 또 다른 예시적인 툴(1700)을 나타내며, 상기 견인기(1720)는 횡 평면[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횡 방향(3)에 의해 정의됨]에서 S-형상이고, 측 평면[도 17c 및 도 1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측 방향(2)에 의해 정의됨]에서 C-형상인 넥 구역(1750)에 의해 핸들 구역(1730)에 커플링된다.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1720)의 측방향 각도 변위는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예를 들어 약 22 또는 33 도일 수 있다. 플랩 견인기 부분(1728)의 등쪽 표면(1724)의 평면은 툴(1700)의 측 평면에 대해 횡 방향(3)에서 배쪽으로 약 5 내지 30 도, 및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g는 예시적인 툴(1600)과 유사하지만, 혀 견인기 부분이 연장된 폭을 갖고 측 방향(2)을 따라 가장 말단의 폭(1829), 예를 들어 약 26 mm 내지 35 mm, 바람직하게는 약 32 mm를 가질 수 있는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1820)를 갖는 또 다른 예시적인 툴(1800)을 나타낸다. 플랩 견인기 부분(1828)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약 5 mm 내지 20 mm, 더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15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mm의 폭을 갖는다. 작업 요소(1820)는 횡 평면[도 18b 및 도 18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횡 방향(3)에 의해 정의됨]에서 S-형상이고, 측 평면[도 18c 및 도 1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측 방향(2)에 의해 정의됨]에서 일직선인 넥 구역(1850)에 의해 핸들 구역(1830)에 커플링된다. 플랩 견인기 부분(1828)의 등쪽 표면(1824)의 평면은 툴(1800)의 측 평면에 대해 횡 방향(3)에서 배쪽으로 약 5 내지 30 도,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도 19a 내지 도 19g는 예시적인 툴(1600)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또 다른 예시적인 툴(1900)을 나타낸다. 하지만, 예시적인 혀 및 플랩 견인기(162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혀 견인기(1920)는 플랩 견인기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예시적인 툴(1900)은 제 1 작용 유닛(1910)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기능 이외에 혀 견인기의 기능만을 제공한다.
도 20a 내지 도 20f는 예시적인 혀 견인기(1920)와 유사한 혀 견인기(2020)를 갖는 또 다른 예시적인 툴(2000)을 나타내며, 상기 견인기(2020)는 횡 평면[도 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횡 방향(3)에 의해 정의됨]에서 S-형상이고, 측 평면[도 20c 및 도 20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측 방향(2)에 의해 정의됨]에서 C-형상인 넥 구역(2050)에 의해 핸들 구역(2030)에 커플링된다. 혀 견인기(2020)의 측방향 각도 변위는 예를 들어 약 22 또는 33 도일 수 있고, 이는 하악골에서 작업 영역에 따라 오른쪽 또는 왼쪽 방향으로 있을 수 있다.
도 21a 내지 도 21f는 예시적인 혀 견인기(700)와 유사한 혀 견인기(2120)를 갖는 또 다른 예시적인 툴(2100)을 나타낸다. 하지만, 도 21e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 말단의 에지(2129)는 종 방향(1) 및 측 방향(2)에 의해 정의되는 디바이스(2100)의 측 평면과 평행하지 않거나, 동등하지(level with) 않다. 측 평면은 도 21e에서 점선(2101)으로 나타낸다. 디바이스(2120)의 하위 경계(inferior border)와 측 평면(2101) 사이에 경사각(2103)이 존재하며, 결과로서 혀 견인기(2120)의 제 1 측면 에지(2121)가 반대쪽 제 2 측면 에지(2122)보다 더 길다. 경사각(2103)은 바람직하게는 5 도 내지 30 도, 더 바람직하게는 8 도 내지 20 도이고, 8 도 및 10 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혀 견인기 및 플랩 견인기,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제 2 작용 유닛의 가장 말단의 에지에 경사각을 제공하는 것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툴(2100)은 치과의사가 입 안에서 후방 방향으로 이동할 때 한 측이 자연적으로 더 낮은 구강 구조를 다루는 또 다른 방식을 제공하여, 개선된 혀 견인 능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 1 측면 에지(2121) 및 제 2 측면 에지(2122)는 구강 내 작업 구역에 기초하여 왼쪽 또는 오른쪽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22a 내지 도 22f는 앞선 예시적인 혀 및 플랩 견인기(1500)와 유사한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2220)를 갖는 또 다른 예시적인 툴(2200)을 나타낸다. 하지만, 툴(2200)의 작업 단부는 앞선 예시적인 툴들과 유사한 효과를 얻도록 회전된다. 도 22a를 참조하면, 툴(2200)의 작업 단부는 제 1 굴곡부(2222) 및 더 말단의 제 2 굴곡부(2224)에 의해 제공되는, 예를 들어 횡 평면에서 S-형상이고 측 평면에서 L-형상인 넥 구역을 가질 수 있다. 측방향 각도 변위는, 예를 들어 5 도 내지 90 도, 더 바람직하게는 15 도 내지 45 도, 더 바람직하게는 22 도 또는 33 도일 수 있으며, 제 2 굴곡부(2224)에 의해 완전히 제공될 수 있다. 배쪽 횡방향 각도 변위는 두 굴곡부들(2222, 2224)에 의해 제공되어 전체로서, 예를 들어 0 내지 90 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도, 및 더 바람직하게는 약 33 또는 45 도일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이 굴곡부들(2222, 2224)의 다양한 각도 크기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여하한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을 수 있으며, 독점적으로 측 평면들 및 횡 평면들에서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회전 오프셋들을 제공하기 위해, 측 평면에서의 L-형상 또는 C-형상의 굴곡부가 요구되지는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즉, 기구들은 종 방향(1)을 따라 일직선일 수도 있는 한편, 작업 단부의 회전 오프셋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작업 단부의 이러한 회전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여하한의 툴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 굴곡부들(2222, 2224)은 축선들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축선(2226)은 제 2 굴곡부(2224)에 제 1 굴곡부(2222)를 연결하는 라인을 따라 진행하는 바와 같이 정의될 수 있는 한편, 제 2 축선(2228)은 툴(2200)의 작업 단부의 중간선(midline)에 제 2 굴곡부(2224)를 연결하는 라인을 따라 진행하는 바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이 굴곡부들(2222, 2224)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 변위들 이외에, 작업 단부(2220)는 회전 변위들, 특히 툴(2200)의 작업 단부(2220)에 직접 커플링되는 제 2 축선(2228)을 따르는 회전 변위들을 겪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작업 단부는 제 2 축선(2228)을 중심으로 5 도 내지 90 도, 더 바람직하게는 20 도 내지 45 도, 더 바람직하게는 25 도 또는 35 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 단부(2220)의 종방향 및 측방향 연장부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툴(2200)의 작업 단부(2220)의 회전 방위는 핸들 및 넥 구역들의 방위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으며, 특히 측 평면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즉, 측 평면에 대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툴(2200)의 작업 단부[즉, 혀 및 플랩 견인기(2220)]의 이 회전은 축선들(2228, 2226)을 따라 어디로든지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회전은 굴곡부(2224)에서 부여된다. 툴(2200)의 작업 단부,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여하한의 다른 예시적인 견인기의 이러한 회전 오프셋들은 타겟 조직 영역으로의 더 용이한 접근을 허용하는 지금까지 인정받지 못한 이점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치과의사의 부담을 감소시킨다. 특히, 이러한 회전 오프셋들은 환자의 구강 내에서 타겟 구조와 툴의 작업 단부를 더 우수하게 정렬하도록 도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치과의사에 의한 더 적은 조정(readjusting) 및 조작을 필요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5 내지 45 도의 회전 오프셋들이 특히 유리할 수 있다.
도 23a 내지 도 23f는 또 다른 예시적인 툴(2700), 즉 석션 디바이스와 혀 및 플랩 견인기를 혼합한 제 1의 예시적인 다목적 툴(2700)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2700)는 플라스틱과 같은 여하한의 적절한 재료로부터 통합하여 형성되고, 일회용이다. 다목적 툴(2700)은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2720)를 갖는 말단부(2702)에서 끝나는 중공 관 부분(2704)을 포함한다. 관 부분(2704)은 직사각형, 타원형, 육각형, 팔각형, 또는 도 23a 내지 도 23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원형과 같은 여하한의 적절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단면 형상은 기단부(2701)로부터 말단부(2702)까지 변화될 수 있다. 관 부분(2704)의 기단부(2701)는 바람직하게는 표준 진공-제공 호스(standard vacuum-providing hose)를 수용하도록 둥글며, 스톱 링(stop ring: 2705)을 포함한다. 관 부분(2704)의 넥 구역(2750)이 핸들 구역(2730)에 말단부(2702), 및 특히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2720)를 연결한다. 도 2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넥 구역(2750)은 횡 평면[종 방향(1) 및 횡 방향(3)에 의해 정의됨]에서 S-형상이고, 측 평면[종 방향(1) 및 측 방향(2)에 의해 정의됨]에서 일직선일 수 있다.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2720)는 다른 예시적인 디바이스들에 관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혀 견인기 부분(2727) 및 플랩 견인기 부분(2728)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혀 견인기 부분(2727)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예시적인 혀 견인기들, 예컨대 도 16a 내지 도 16g에 관하여 설명된 혀 견인기 부분(1627)과 유사한 치수들을 가질 수 있다. 혀 견인기 부분(2727)과 중심에 정렬되는 플랩 견인기 부분(2728)은 혀 견인기 부분(2727)의 말단부(2729)로부터 연장된다. 플랩 견인기 부분(2728)은 다른 예시적인 플랩 견인기들 및 플랩 견인기 부분들에 대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치수들을 가질 수 있다.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도 23c에서, 플랩 견인기 부분(2728)은 혀 견인기 부분(2727)과 같은 평면에 있지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플랩 견인기 부분(2728)은 혀 견인기 부분(2727)의 평면에 대해 상이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혀 견인기 부분(2727)의 배쪽 표면(2722)이 환자의 혀와 직접 접촉하는 데 사용된다. 관 부분(2704)의 말단부 구역은 전적으로 혀 견인기 부분(2727)의 등쪽 표면(2721)의 최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면에 커플링되며, 말단부(2702)의 개방부(opening: 2709)는 혀 견인기 부분(2727)의 말단 에지(2729)에서, 및 이에 따라 소정 실시예들에서는 플랩 견인기(2728)의 기부에서 끝난다. 개방부(2709)는 폭이, 예를 들어 5 mm 내지 15 mm, 바람직하게는 약 12 mm일 수 있으며, 개방부(2709)의 높이는 5 내지 15 mm, 바람직하게는 약 10 mm이다.
도 24a 내지 도 24g는 앞선 제 1의 예시적인 다목적 툴(2700)과 유사하지만, 평탄하기보다는 약간 구부러지는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2820)를 갖는 제 2의 예시적인 다목적 툴(2800)을 나타내며, 상기 견인기(2820)는 횡 평면[도 2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횡 방향(3)에 의해 정의됨]에서 S-형상이고, 측 평면[도 2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측 방향(2)에 의해 정의됨]에서 L-형상인 넥 구역(2850)에 의해 핸들 구역(2830)에 커플링된다. 이 측방향 변위는 하악골에서의 작업 영역에 기초하여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측방향 각도 오프셋은 바람직하게는 종 축선으로부터 22 도 또는 33 도이다.
도 25a 내지 도 25f는 앞선 제 1의 예시적인 다목적 툴(2700)과 유사한 제 3의 예시적인 다목적 툴(2900)을 나타낸다. 하지만, 혀 견인기 부분은 측 방향으로 더 폭넓고, 예컨대 약 26 mm 내지 35 mm, 바람직하게는 약 32 mm일 수 있다.
도 26a 내지 도 26g는 앞선 다목적 툴(2800)과 유사하지만, 혀 견인기 부분(3020)이 더 좁은 조합된 혀 및 플랩 견인기(3020)를 갖는 제 4의 예시적인 다목적 툴(3000)을 나타내며, 상기 견인기(3020)는 횡 평면[도 2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횡 방향(3)에 의해 정의됨]에서 S-형상이고, 측 평면[도 2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1) 및 측 방향(2)에 의해 정의됨]에서 L-형상인 넥 구역(3050)에 의해 핸들 구역(3030)에 커플링된다.
도 27a 내지 도 27g는 석션 디바이스과 혀 견인기들 혼합한 제 1의 예시적인 조합된 혀 견인기 및 석션 툴(3100)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3100)는 앞선 다목적 디바이스들과 같이, 플라스틱과 같은 여하한의 적절한 재료로부터 통합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일회용이다. 하지만, 스테인리스 강 또는 여하한의 다른 적절한 재료로부터 만들어지는 디바이스와 같은 일회용이 아닌 디바이스도 고려된다. 툴(3100)은 앞서 설명된 관 부분들과 유사한 중공 관 부분(3104)을 포함한다. 넥 구역(3150)은 횡 평면[종 방향(1) 및 횡 방향(3)에 의해 정의됨]에서 S-형상이고, 측 평면[종 방향(1) 및 측 방향(2)에 의해 정의됨]에서 C-형상일 수 있으며, 핸들 구역(3130)에 말단부의 작용 유닛(3120)을 연결한다. 하지만, 디바이스는 측 평면에서 일직선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작용 유닛(3120)은 석션 개방부(3109)와 조합된 혀 견인기(3124)이다. 혀 견인기(3124)는 도 4a 내지 도 4f에 관하여 설명된 혀 견인기(40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과장된 오목형상을 갖고, 캐비티를 정의하는 횡 방향(3)에서의 곡률 대부분(즉, 50 % 이상)이 견인기(3124)의 종 길이의 마지막 3분의 1 이하에 있다. 관 부분(3104)의 말단부 구역의 하부 립(3110)이 혀 견인기(3124)의 등쪽 표면의 최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면에 커플링되어, 견인기(3124)에서 곡률의 대부분이 발생하는 구역 바로 위에 - 즉, 견인기(3124)의 가장 말단의 3분의 1 바로 위에 개방부(3109)가 배치되고, 혀 견인기(3124)의 가장 말단인 연장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한다.
도 28a 내지 도 28g는 앞서 설명된 툴(3100)과 유사하지만, 넥 구역에 측방향 굴곡부를 갖는 제 2의 예시적인 조합된 혀 견인기 및 석션 툴(3200)을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3200)에서, 말단 개방부(3202)의 가장 말단인 에지(3209)가 혀 견인기(3220)의 가장 말단인 에지(3221)를 넘어 연장된다. 석션 관(3204)의 추가적인 말단 연장부는, 예를 들어 하부 립 또는 그 밖의 유사한 것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혀 견인기(3220)의 말단 에지(3221)에 대한 석션 관(3204)의 말단 에지(3209)의 연장 거리(3206)는 0 mm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약 6 mm일 수 있다. 예시로서, 툴(3200)은 2 mm의 연장 거리(3206)를 갖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반면, 도 30에 나타내고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툴(3400)은 6 mm의 연장 거리(3499)를 갖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8b를 참조하면, 립 또는 연장부(3209)는 플랩 견인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연장부(3209)의 이 거리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3100)에서와 같이 0일 수 있으며, 또는 심지어 음수(negative)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앞서 설명된 실시예(3100)에서, 관 부분(3104)의 말단부 구역의 하부 립은 이 실시예(3200)에서 존재하는 연장 거리(3206)와 유사하게, 혀 견인기(3120)의 가장 말단인 연장부들을 넘어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9a 내지 도 29f는 제 3의 예시적인 조합된 혀 견인기 및 석션 툴(3300)을 나타낸다. 툴(3300)에서, 관 몸체(3304)는 그 말단부에서 S-형상의 구역(3302)으로 끝나, 관 몸체(3304)의 말단 개방부(3306)가 횡 방향(3)에서 핸들 부분(3330)으로부터 오프셋되도록 한다. 개방부(3306)는 개방부(2709)에 대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여하한의 적절한 치수들을 가질 수 있다. 이 횡방향 오프셋 거리(3399)는 15 mm 내지 40 mm, 더 바람직하게는 20 mm 내지 30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28 mm일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g를 참조하여 설명된 혀 견인기(620)와 유사한 혀 견인기(3320)가 석션 관(3304)의 말단 S-형 부분(3302)에 걸쳐 중첩된다. 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른 형태의 혀 견인기들이 이 실시예에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말단 개방부(3306)의 저부(3309)가 혀 견인기(3320)의 말단 저부(3329)와 실질적으로 정렬된다(즉, 말단 저부의 2 mm 내에 있다). 개방부(3306)의 이 저부(3309)는 혀 견인기(3320)의 말단 연장부를 넘어 0 mm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약 2 mm 연장될 수 있다. 석션 관(3304)의 말단 부분의 S-형상 곡률(3302)로 인해, 말단 개방부(3306)에 가까운 관(3304)의 구역이 완전히 혀 견인기(3320)의 등쪽(3324) 아래에 놓인다. 이에 따라, 관(3304)에 의해 제공되는 석션은 실제로 혀 견인기(3320)의 말단부를 통해 나오며, 혀 견인기(3320)의 배쪽(3322)으로부터 혀 견인기(3320)의 등쪽(3324)으로 나온다. 이 구성은 석션 관(3304)의 작업 단부(3306)가 타겟 부위에 더 가까워지게 한다. 가능한 대안적인 실시예들의 예시로서, 툴(3300)과 유사한 툴이 넥 구역의 측방향 굴곡부, 작업 단부의 회전 오프셋, 또는 둘 모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0a 내지 도 30f는 툴(3300)과 유사한 제 4의 예시적인 조합된 혀 견인기 및 석션 툴(3400)을 나타낸다. 하지만, 툴(3400)에서, 석션 관(3404)의 말단부 개방부(3406)의 저부 연장부(3409)는 플랩 견인기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증가된 말단 크기를 갖는다. 즉, 석션 개방부(3406)는 혀 견인기(3420)를 넘어 더 연장되는 하부 립(3409)을 갖는다. 혀 견인기(3420)의 상부면(3424)으로부터의 이 플랩 견인기(3409)의 길이(3499)는 0 mm 내지 10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6 mm일 수 있다. 또한, 넥 구역의 측방향 굴곡부들, 및 작업 단부의 회전 오프셋들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다른 혀 견인기 디자인들이 채택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31a 내지 도 31f는 툴(3100)과 유사한 제 5의 예시적인 조합된 혀 견인기 및 석션 툴(3500)을 나타낸다. 하지만, 툴(3100)과 대조적으로, 석션 개방부(3509)는 혀 견인기(3520)의 가장 말단인 연장부에 대해 기부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혀 견인기(3520)의 가장 말단인 연장부에 대한 기부 오프셋(proximal offset: 3599)을 갖는다. 기부 오프셋(3599)은 1 mm 내지 30 mm, 더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20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11 mm일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은, 때때로 석션 관의 개방부가 실제 작업 영역으로부터 약간 이격되는 경우에 석션이 더 나을 때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툴(3500)은 더 나은 핸드 피스(hand piece)로부터의 석션 스프레이일 수 있다.
도 32a 내지 도 32c는 다양한 앞서 설명된 예시적인 툴들의 핸들 구역에 이용될 수 있는 핸들(3600)의 다양한 도면들이다. 핸들(3600)은 실질적으로 일직선이고, 연속적 재료 조각(contiguous piece of material)으로부터 만들어지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강이지만, 플라스틱과 같은 다른 재료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핸들(3600)의 각 단부(3602)는 앞선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대응하는 작용 단부 및 선택적인 매개 넥 구역에 연결될 수 있다. 이들은 핸들(3600)과 통합하여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예컨대 나사산 연결 또는 그 밖의 유사한 것들을 이용하여 핸들(3600)에 부착될 수 있다.
핸들(3600)의 외부 표면은 핸들(3600)의 종 길이(3601)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표면 특징부(surface feature: 3610)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대응하는 디바이더(corresponding divider: 3612)들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표면 특징부(3610)가 종 방향(3601)을 따라 모든 다른 표면 특징부(36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이와 유사하게, 각각의 디바이더(3612)는 종 방향(3601)을 따라 모든 다른 디바이더(36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표면 특징부(3610)들 및 대응하는 디바이더(3612)들의 순차적 배열은 핸들(3600)의 단부(3602)로부터의 거리의 시각적 신호(visual cue)를 제공한다; 즉, 디바이더(3612)들은 자의 눈금과 같이 기능하여, 핸들(3600)의 대응하는 단부(3602)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낸다.
각각의 표면 특징부(3610)는 널링(knurling)을 포함하며, 이는 그 표면 특징부(3610)의 구역 내에서 핸들(3600)의 전체 외측 둘레부(outer circumference) 주위에 연장된다. 이 널링은 치과의사에게 우수한 그리핑 표면을 제공한다. 각각의 표면 특징부(3610)는 바람직하게는 종 방향(3601)을 따라 약 3 mm 내지 약 15 mm, 더 바람직하게는 3 mm 내지 10 mm, 및 더 바람직하게는 약 4 mm 내지 6 mm, 또는 약 5 mm의 길이를 갖는다.
각각의 디바이더(3612)는 핸들(3600)을 완전히 둘러싸고, 바람직하게는 핸들(3600)의 외표면 내의 후퇴부 또는 오목부(depression)로서 형성되며, 이는 인접한 표면 특징부(3610)들의 널링의 상부면 아래에 놓이는 저면을 갖는다. 이 후퇴부는 핸들(3600)을 잡을 때 치과의사에게 편리한 촉각적 기준(tactile reference)을 제공하며, 또한 핸들(3600)의 그리핑 특성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표면 특징부(3610)들과 디바이더(3612)들 간의 시각적 구별을 향상시키기 위해, 디바이더(3612)들의 저면들은 매끄럽거나 연마될 수 있고, 이는 시각적으로 표면 특징부(3610)들의 비교적 무광(matte)인 널링과 대조적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디바이더(3612)는 종 방향(3601)을 따라 0.3 mm 내지 2 mm, 더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1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0.7 또는 0.8 mm의 폭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디바이더(3612)는 약 0.3 내지 2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1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0.7 mm의 깊이[이는 인접한 표면 특징부(3610) 널링의 상부면 또는 외표면으로부터 측정될 수 있음]를 갖는다.
핸들(3600)에 의해 제공된 표면 특징부(3610)들 및 디바이더(3612)들은 핸들(3600)에 대한 치과의사의 그립을 개선할 뿐 아니라, 핸들(3600)을 구현하는 툴의 작업 단부로부터의 거리의 촉각적 및 시각적 신호들도 모두 제공하며, 이는 이러한 툴의 사용 용이성을 개선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많은 적용예들을 갖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앞선 실시예들 및 예시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상이한 실시예들의 여하한 수의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로 조합될 수 있고, 특정 요소들의 위치들은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든 특징들보다 적거나 많은 특징들을 갖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툴의 넥 구역은 S-형상 굴곡부, 작업 단부의 측방향 변위를 제공하는 측방향 굴곡부, 및 작업 단부의 회전 변위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측방향 변위는 핸들의 종 축선의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있을 수 있으며, 회전 오프셋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일 수 있다. 또한, 기능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현재 알려져 있거나 알려지게 되는 방식으로 다수 구성요소들에 분배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고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한 변형예들이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재된 특정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서의 수정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적용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 특징들을 나타내고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개시된 발명의 형태 및 세부내용의 생략 및 대체 및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성요소들에 대한 통상적으로 알려진, 장차 개발되는 변형예들 및 수정예들을 포괄한다.

Claims (55)

  1. 치과용 툴에 있어서:
    환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배쪽 표면(ventral surface), 및 맞은편 등쪽 표면(dorsal surface)을 포함하는 작용 유닛(operational unit);
    상기 작용 유닛의 기단부(proximal end)에서 상기 작용 유닛에 연결되는 넥 구역(neck region); 및
    상기 넥 구역의 기단부에서 상기 넥 구역에 연결되는 핸들 구역(handle region)
    을 포함하고,
    상기 넥 구역은, 상기 핸들 구역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longitudinal axis)에 대하여 횡 방향(transverse direction)을 향해 배쪽으로 구부러지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작용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부분의 종 축선에 대하여 횡 방향을 향해 등쪽으로 구부러지는 제 2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작용 유닛이 상기 핸들 구역으로부터 상기 횡 방향에서 배쪽으로 오프셋(offset)되도록 하는 치과용 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넥 구역은 적어도 측 방향(lateral direction)을 향해 굴곡부(ben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 방향은 상기 핸들의 종 축선 및 상기 횡 방향에 수직인 치과용 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작용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오프셋을 포함하는 치과용 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 유닛은 혀 견인기(tongue retractor)를 포함하는 치과용 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혀 견인기는 플랩 견인기(flap retractor)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랩 견인기는 상기 혀 견인기의 말단부(distal end)에 배치되는 치과용 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견인기는 상기 횡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 사전설정된 각도로 설정되는 평평한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사전설정된 각도는 0 내지 45 도인 치과용 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견인기는 상기 혀 견인기로부터 말단으로(distally) 연장되는 치과용 툴.
  8. 제 5 항에 있어서,
    석션 관(suction tube)을 더 포함하는 치과용 툴.
  9. 제 4 항에 있어서,
    석션 관을 더 포함하는 치과용 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 관의 말단부는 상기 혀 견인기의 말단부 부근에서 끝나는 치과용 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 관의 말단부는 상기 혀 견인기의 등쪽 표면에 배치되는 치과용 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 관의 말단부는 상기 혀 견인기의 말단부에 대해 기부 오프셋(proximal offset)을 갖고, 상기 기부 오프셋은 1 mm 내지 30 mm인 치과용 툴.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 관의 말단부는 말단으로 상기 혀 견인기의 말단부를 넘어 끝나는 치과용 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 관의 말단부는 상기 혀 견인기의 말단부를 넘어 1 mm 내지 10 mm 연장되는 치과용 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혀 견인기의 상부면은 상기 석션 관의 일부분을 덮는 치과용 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 관의 개방부(opening)는 상기 혀 견인기의 등쪽 면을 통과하는 치과용 툴.
  1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혀 견인기는 상기 횡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 아치형(arcuate) 단면을 갖는 치과용 툴.
  1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혀 견인기는 상기 횡 방향 및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서 만곡된 단면을 갖고, 곡률의 대부분은 상기 혀 견인기의 가장 말단 3분의 1(most distal third)에서 발생하는 치과용 툴.
  1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혀 견인기는 상기 혀 견인기의 횡방향 굴곡부의 대부분을 제공하는 중심 굴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혀 견인기가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 및 상기 횡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L-형상인 단면을 갖도록 하는 치과용 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혀 견인기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석션 관을 더 포함하는 치과용 툴.
  2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혀 견인기는 상기 넥 구역의 말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평평한 표면을 포함하는 치과용 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평한 표면의 등쪽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석션 관을 더 포함하는 치과용 툴.
  2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혀 견인기의 가장 말단인 에지는 상기 횡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 않아서, 상기 혀 견인기의 제 1 측면 에지가 상기 혀 견인기의 맞은편 제 2 측면 에지보다 더 긴 치과용 툴.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혀 견인기의 등쪽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석션 관을 더 포함하는 치과용 툴.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 유닛은 플랩 견인기를 포함하는 치과용 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견인기는 배쪽 면과 평행한 관계로 이격된 등쪽 면을 갖고, 상기 등쪽 면과 상기 배쪽 면 사이의 수직 거리는 0.1 mm 내지 5 mm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제공하는 치과용 툴.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견인기는 배쪽 면과 평행한 관계로 이격된 등쪽 면, 및 상기 등쪽 면과 상기 배쪽 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비스듬한 표면(beveled surface)을 갖고, 상기 비스듬한 표면과 상기 배쪽 면 간의 각도는 1 내지 60 도인 치과용 툴.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구역은 상기 핸들 구역의 종 길이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표면 특징부(surface feature)들을 포함하고, 인접한 표면 특징부들은 각각의 디바이더(divider)에 의해 분리되며, 각각의 표면 특징부는 널링(knurling)을 포함하고, 각각의 디바이더는 인접한 널링의 상부면 아래 또는 위에서 연장되는 후퇴부 또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특징부들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각의 종 길이들을 갖고, 상기 디바이더들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각의 종 길이들을 갖는 치과용 툴.
  30. 치과용 툴에 있어서:
    환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배쪽 표면, 및 맞은편 등쪽 표면을 포함하는 혀 견인기;
    상기 혀 견인기의 기단부에서 상기 혀 견인기에 연결되는 넥 구역; 및
    상기 넥 구역의 기단부에서 상기 넥 구역에 연결되는 핸들 구역
    을 포함하고,
    상기 넥 구역은, 상기 핸들 구역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에 대하여 횡 방향을 향해 배쪽으로 구부러지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혀 견인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부분의 종 축선에 대하여 횡 방향을 향해 등쪽으로 구부러지는 제 2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혀 견인기가 상기 핸들 구역으로부터 상기 횡 방향에서 배쪽으로 오프셋되도록 하고,
    상기 혀 견인기는 상기 혀 견인기의 횡방향 굴곡부의 대부분을 제공하는 중심 굴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혀 견인기가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 및 상기 횡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L-형상인 단면을 갖도록 하는 치과용 툴.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혀 견인기의 가장 말단인 에지는 상기 횡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 평행하지 않아서, 상기 혀 견인기의 제 1 측면 에지가 상기 혀 견인기의 맞은편 제 2 측면 에지보다 더 긴 치과용 툴.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넥 구역은 적어도 측 방향을 향해 굴곡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측 방향은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 및 상기 횡 방향에 수직임- , 상기 혀 견인기가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으로부터 상기 측 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하는 치과용 툴.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상기 제 2 부분, 및 작용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오프셋을 포함하는 치과용 툴.
  34. 치과용 툴에 있어서:
    환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배쪽 표면, 및 맞은편 등쪽 표면을 포함하는 혀 견인기;
    상기 혀 견인기의 기단부에서 상기 혀 견인기에 연결되는 넥 구역; 및
    상기 넥 구역의 기단부에서 상기 넥 구역에 연결되는 핸들 구역
    을 포함하고,
    상기 넥 구역은, 상기 핸들 구역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에 대하여 횡 방향을 향해 배쪽으로 구부러지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혀 견인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부분의 종 축선에 대하여 횡 방향을 향해 등쪽으로 구부러지는 제 2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혀 견인기가 상기 핸들 구역으로부터 상기 횡 방향에서 배쪽으로 오프셋되도록 하고,
    상기 혀 견인기는 상기 넥 구역의 말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평평한 표면을 포함하는 치과용 툴.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넥 구역은 적어도 측 방향을 향해 굴곡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측 방향은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 및 상기 횡 방향에 수직임- , 상기 혀 견인기가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으로부터 상기 측 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하는 치과용 툴.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상기 제 2 부분, 및 작용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5 내지 45 도의 회전 오프셋을 포함하는 치과용 툴.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혀 견인기는 플랩 견인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랩 견인기는 상기 혀 견인기의 말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랩 견인기는 상기 횡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 사전설정된 각도로 설정되는 제 2 평평한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사전설정된 각도는 0 내지 45 도인 치과용 툴.
  38. 치과용 툴에 있어서:
    환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배쪽 표면, 및 맞은편 등쪽 표면을 포함하는 혀 견인기;
    상기 혀 견인기의 기단부에서 상기 혀 견인기에 연결되는 넥 구역; 및
    상기 넥 구역의 기단부에서 상기 넥 구역에 연결되는 핸들 구역
    을 포함하고,
    상기 넥 구역은, 상기 핸들 구역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에 대하여 횡 방향을 향해 배쪽으로 구부러지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혀 견인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부분의 종 축선에 대하여 횡 방향을 향해 등쪽으로 구부러지는 제 2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혀 견인기가 상기 핸들 구역으로부터 상기 횡 방향에서 배쪽으로 오프셋되도록 하고,
    상기 혀 견인기는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 및 상기 횡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에서 만곡된 단면을 갖고, 상기 혀 견인기의 곡률의 대부분은 상기 혀 견인기의 가장 말단 3분의 1에서 발생하는 치과용 툴.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넥 구역은 적어도 측 방향을 향해 굴곡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측 방향은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 및 상기 횡 방향에 수직임- , 상기 혀 견인기가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으로부터 상기 측 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하는 치과용 툴.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상기 제 2 부분, 및 작용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5 내지 45 도의 회전 오프셋을 포함하는 치과용 툴.
  41. 치과용 툴에 있어서:
    환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배쪽 표면, 및 맞은편 등쪽 표면을 포함하는 혀 견인기;
    상기 혀 견인기의 기단부에서 상기 혀 견인기에 연결되는 넥 구역; 및
    상기 넥 구역의 기단부에서 상기 넥 구역에 연결되는 핸들 구역
    을 포함하고,
    상기 넥 구역은, 상기 핸들 구역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에 대하여 횡 방향을 향해 배쪽으로 구부러지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혀 견인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부분의 종 축선에 대하여 횡 방향을 향해 등쪽으로 구부러지는 제 2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혀 견인기가 상기 핸들 구역으로부터 상기 횡 방향에서 배쪽으로 오프셋되도록 하고,
    상기 혀 견인기는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 및 상기 횡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에서 만곡된 단면을 갖고, 상기 혀 견인기의 곡률의 대부분은 상기 혀 견인기의 가장 말단 3분의 1에서 발생하며, 상기 혀 견인기는 플랩 견인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랩 견인기는 상기 혀 견인기의 말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랩 견인기는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에 대해 사전설정된 각도로 설정되는 평평한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사전설정된 각도는 5 내지 60 도인 치과용 툴.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넥 구역은 적어도 측 방향을 향해 굴곡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측 방향은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 및 상기 횡 방향에 수직임- , 상기 혀 견인기가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으로부터 상기 측 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하는 치과용 툴.
  43.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상기 제 2 부분, 및 작용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5 내지 45 도의 회전 오프셋을 포함하는 치과용 툴.
  44. 치과용 툴에 있어서:
    환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배쪽 표면, 및 맞은편 등쪽 표면을 포함하는 조합된(combined) 플랩 및 혀 견인기;
    상기 플랩 견인기의 기단부에서 상기 플랩 견인기에 연결되는 넥 구역; 및
    상기 넥 구역의 기단부에서 상기 넥 구역에 연결되는 핸들 구역
    을 포함하고,
    상기 넥 구역은, 상기 핸들 구역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에 대하여 횡 방향을 향해 배쪽으로 구부러지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플랩 견인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부분의 종 축선에 대하여 횡 방향을 향해 등쪽으로 구부러지는 제 2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조합된 플랩 및 혀 견인기가 상기 핸들 구역으로부터 상기 횡 방향에서 배쪽으로 오프셋되도록 하고,
    상기 조합된 플랩 및 혀 견인기는 배쪽 면과 평행한 관계로 이격된 등쪽 면을 갖고, 상기 등쪽 면과 상기 배쪽 면 사이의 수직 거리는 1 mm 내지 3 mm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제공하며, 상기 등쪽 면과 상기 배쪽 면 사이에서 비스듬한 표면이 연장되고, 상기 비스듬한 표면과 상기 배쪽 면 간의 각도는 10 내지 60 도인 치과용 툴.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넥 구역은 적어도 측 방향을 향해 굴곡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측 방향은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 및 상기 횡 방향에 수직임- , 상기 조합된 플랩 및 혀 견인기가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으로부터 상기 측 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하는 치과용 툴.
  46.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상기 제 2 부분, 및 작용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오프셋을 포함하는 치과용 툴.
  47. 치과용 툴에 있어서:
    환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배쪽 표면, 및 맞은편 등쪽 표면을 포함하는 혀 견인기;
    상기 혀 견인기의 기단부에서 상기 혀 견인기에 연결되는 넥 구역;
    상기 넥 구역의 기단부에서 상기 넥 구역에 연결되는 핸들 구역; 및
    상기 혀 견인기의 등쪽 표면에 걸쳐 끝나는 말단부를 갖는 석션 관
    을 포함하고,
    상기 넥 구역은, 상기 핸들 구역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에 대하여 횡 방향을 향해 배쪽으로 구부러지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혀 견인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부분의 종 축선에 대하여 횡 방향을 향해 등쪽으로 구부러지는 제 2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혀 견인기가 상기 핸들 구역으로부터 상기 횡 방향에서 배쪽으로 오프셋되도록 하고,
    상기 혀 견인기는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 및 상기 횡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에서 만곡된 단면을 갖고, 상기 혀 견인기의 곡률의 대부분은 상기 혀 견인기의 가장 말단 3분의 1에서 발생하는 치과용 툴.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넥 구역은 적어도 측 방향을 향해 굴곡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측 방향은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 및 상기 횡 방향에 수직임- , 상기 혀 견인기가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으로부터 상기 측 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하는 치과용 툴.
  49.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상기 제 2 부분, 및 작용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오프셋을 포함하는 치과용 툴.
  50. 치과용 툴에 있어서:
    환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배쪽 표면, 및 맞은편 등쪽 표면을 포함하는 혀 견인기;
    상기 혀 견인기의 기단부에서 상기 혀 견인기에 연결되는 넥 구역;
    상기 넥 구역의 기단부에서 상기 넥 구역에 연결되는 핸들 구역; 및
    상기 혀 견인기까지 연장되는 석션 관
    을 포함하고,
    상기 넥 구역은, 상기 핸들 구역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에 대하여 횡 방향을 향해 배쪽으로 구부러지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혀 견인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부분의 종 축선에 대하여 횡 방향을 향해 등쪽으로 구부러지는 제 2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혀 견인기가 상기 핸들 구역으로부터 상기 횡 방향에서 배쪽으로 오프셋되도록 하고,
    상기 혀 견인기는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 및 상기 횡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에서 만곡된 단면을 가지며, 상기 혀 견인기는 플랩 견인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랩 견인기는 상기 혀 견인기의 말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랩 견인기는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에 대해 사전설정된 각도로 설정되는 평평한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사전설정된 각도는 0 내지 45 도이며, 상기 석션 관은 상기 혀 견인기의 등쪽 표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석션 관의 말단부는 상기 플랩 견인기 전에 끝나는 치과용 툴.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넥 구역은 적어도 측 방향을 향해 굴곡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측 방향은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 및 상기 횡 방향에 수직임- , 상기 혀 견인기가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으로부터 상기 측 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하는 치과용 툴.
  52.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상기 제 2 부분, 및 작용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오프셋을 포함하는 치과용 툴.
  53. 치과용 툴에 있어서:
    환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배쪽 표면, 및 맞은편 등쪽 표면을 포함하는 혀 견인기;
    상기 혀 견인기의 기단부에서 상기 혀 견인기에 연결되는 넥 구역;
    상기 넥 구역의 기단부에서 상기 넥 구역에 연결되는 핸들 구역; 및
    상기 혀 견인기까지 연장되는 석션 관
    을 포함하고,
    상기 넥 구역은, 상기 핸들 구역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에 대하여 횡 방향을 향해 배쪽으로 구부러지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혀 견인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부분의 종 축선에 대하여 횡 방향을 향해 등쪽으로 구부러지는 제 2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혀 견인기가 상기 핸들 구역으로부터 상기 횡 방향에서 배쪽으로 오프셋되도록 하고,
    상기 석션 관은 상기 혀 견인기의 등쪽 면을 통과하고 상기 석션 관의 말단부는 말단으로 상기 혀 견인기들 넘어 끝나는 치과용 툴.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넥 구역은 적어도 측 방향을 향해 굴곡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측 방향은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 및 상기 횡 방향에 수직임- , 상기 혀 견인기가 상기 핸들 구역의 종 축선으로부터 상기 측 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하는 치과용 툴.
  55.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상기 제 2 부분, 및 작용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오프셋을 포함하는 치과용 툴.
KR1020167002177A 2013-06-26 2014-05-07 인체공학적 치과용 툴 KR201600255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27,560 US10813718B2 (en) 2009-03-17 2013-06-26 Ergonomic dental tools
US13/927,560 2013-06-26
PCT/US2014/037077 WO2014209504A1 (en) 2013-06-26 2014-05-07 Ergonomic dental too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583A true KR20160025583A (ko) 2016-03-08

Family

ID=52142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177A KR20160025583A (ko) 2013-06-26 2014-05-07 인체공학적 치과용 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013274A4 (ko)
JP (1) JP2016526431A (ko)
KR (1) KR20160025583A (ko)
BR (1) BR112015032580A2 (ko)
CA (1) CA2916998A1 (ko)
WO (1) WO20142095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5934A1 (ko) * 2019-05-20 2020-11-26 Baek In Kyu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25709A (zh) * 2016-11-24 2017-05-31 中国医学科学院整形外科医院(整形外科研究所) 下颌骨下缘后缘剥离子
CN109044432A (zh) * 2018-09-28 2018-12-21 郑州康德钛制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牙科领域的软组织扩张器
EP4046592B1 (en) 2021-02-22 2024-01-17 Ferton Holding S.A. Suction device for suctioning material during a dental treatment, attachment for such a suction device
CA3208774A1 (en) 2021-02-22 2022-08-25 Marcel Donnet Suction device for suctioning material during a dental treatment, attachment for such a suction device and a method for suctioning material during a dental treat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0597A (en) * 1996-06-05 1998-03-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Lip and cheek retractor
US6837707B2 (en) * 2002-10-30 2005-01-04 Josefina Figueredo Torres Double dental mirror
US8297972B2 (en) * 2009-03-17 2012-10-30 Manuel Barry Gordon Combination tongue and flap retractor
US9339176B2 (en) * 2010-12-15 2016-05-17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Tools for transoral surge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5934A1 (ko) * 2019-05-20 2020-11-26 Baek In Kyu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13274A1 (en) 2016-05-04
JP2016526431A (ja) 2016-09-05
WO2014209504A9 (en) 2016-03-03
EP3013274A4 (en) 2016-12-28
CA2916998A1 (en) 2014-12-31
BR112015032580A2 (pt) 2017-07-25
WO2014209504A1 (en)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3718B2 (en) Ergonomic dental tools
US9198738B2 (en) Combination tongue and flap retractor
US7249948B2 (en) Ergonomic dental instruments for small hands
KR20160025583A (ko) 인체공학적 치과용 툴
US20210346125A1 (en) Combination Ergonomic Suction Tool
US6102701A (en) Retractor apparatus
JP6262650B2 (ja) 口腔および歯のケアに関連する器具
US8651862B2 (en) Dental tool with adjustable head
US5730597A (en) Lip and cheek retractor
KR20090122280A (ko) 개선된 구강 세정 장치
US9655689B2 (en) Forceps for molar extraction
US5538421A (en) Dental instrument
US8784101B1 (en) Retractor apparatus
US9936798B2 (en) Tooth brush and flossing aid combination
US10772493B2 (en) Dental retractor
EP2243440A1 (en) Hand instrument for manual dental care
RU2529413C1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ретрактор для дистальных участков зубных рядов
US20190038379A1 (en) Dental retractor
JP6621224B1 (ja) 医療器具
WO2008113001A1 (en) Dental handpiece
CN110393601B (zh) 一种用于刮净牙槽窝的牙科装置
RU71532U1 (ru) Хирургические щипцы
KR200469985Y1 (ko) 치과 거즈볼 제거용 익스플로러
CN116033849A (zh) 用于清洁牙齿及固定义齿的近中面和远中面的装置
KR200288962Y1 (ko) 입체절곡구조를 갖는 치과용 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