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7972A -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루터 및 그의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루터 및 그의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7972A
KR20090087972A KR1020097016152A KR20097016152A KR20090087972A KR 20090087972 A KR20090087972 A KR 20090087972A KR 1020097016152 A KR1020097016152 A KR 1020097016152A KR 20097016152 A KR20097016152 A KR 20097016152A KR 20090087972 A KR20090087972 A KR 20090087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b
lma
router
maga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6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0189B1 (ko
Inventor
스그루 토요카와
마사후미 아라모토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7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087Mobility data transfer for preserving data network PoA address despite hand-off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04W36/023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이동 단말이 특별한 프로토콜을 탑재하지 않아도 이동가능한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에 있어서, 핸드오버 중의 패킷 손실을 없애고, 또한 루터의 리소스를 효과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루터 및 그의 통신방법을 제공한다. 이동단말인 MN(1)이 이동한 경우에, MN(1)으로부터 루터 솔리시테이션을 받은 이동 목적지의 루터, 모바일 액세스 게이트웨이(MAGb)(3)는 제어장치, 로컬 모빌리티 앵커(LMA)(4)에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을 송신하고, LMA(4)가 핸드오버라고 판단한 때는, LMA(4)는 이동원을 루터, MAGa(2) 또는 MAGb(3)에 대해, MAGa(2)로부터 MAGb(3)로의 버퍼의 전송을 지시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루터 및 그의 통신 방법{COMMUNICATION SYSTEM USING NETWORK BASE IP MOBILITY PROTOCOL, CONTROL DEVICE, ROUTER, AND ITS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년, 모바일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6) 등의 IP층에서의 모빌리티 서포트의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다. 모바일 IP는, ISO(국제 표준화 기구)에 의해 제정된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기본 참조 모델에 있어서의 제3층인 네트워크층의 프로토콜이고, 상위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클라이언트의 이동(네트워크/통신 미디어의 절환이나, 통신의 순간차단 등)을 은폐하고, 통신을 계속하게 하는 기술이다.
현재의 인터넷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통신 프로토콜인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은, IP 어드레스가 식별자임과 동시에, 네트워크상의 위치도 의미하고 있다. 그 때문에, 어떤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는 노드를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하게 되면, IP 어드레스가 바뀌게 되어, 세션 이 계속 불가능하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모바일 IP는, 노드에 일의(一意)의 어드레스를 할당하여, TCP/IP 스택 내에서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IP 어드레스로 바꿔 넣는 것에 의해 상위 레이어나 통신 상대에 대해, 어떠한 네트워크에서도 할당된 일의의 어드레스로 통신하고 있는 것 같이 보이는 구성을 제공한다(예컨대, 비특허 문헌1 참조).
이 모바일 IP는, 모바일 노드(Mobile Node, 이동 단말, 이하,「MN」이라 한다), 홈에이전트(Home Agent, 이하,「HA」라 한다), 코레스폰던트 노드 (Correspondent Node, 대향 노드, 이하,「CN」이라 한다)로 불리는 노드로 구성된다.
MN은, 홈 어드레스(Home Address, 이하,「HoA」라 한다)로 불리는 상시 불변의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그 어드레스를 관리하는 노드가 HA이다. MN은 HA의 링크인 홈 링크 이외의 네트워크에 접속한 때, 케어 오브 어드레스(Care-of-Address, 주의 어드레스, 이하,「CoA」라 한다)로 불리는 실제로 통신에 사용하는 어드레스를 어떠한 수단, 예컨대, 스테이트리스(stateless) 어드레스 자동 설정의 루터 광고(Router Advertisement, 이하「RA」라 한다)나 스테이트풀(stateful) 어드레스 자동 설정의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v6 등으로 얻을 수 있다. MN은, 여기에서 얻은 CoA를 HA에 바인딩 업데이트(Binding Update, 이하,「BU」라 한다)라고 하는 메시지로 통지한다.
그 결과, MN과 통신하고자 하는 노드(=CN)가 HoA에 패킷을 송신하면, HoA는 HA가 관리하는 링크의 어드레스이기 때문에, 일단, HA에 머무른다. 그때, HA는, HoA에 관련된 CoA에 전송한다. 그 결과, MN은, HoA에 의해 항상 통신가능하게 된다. MN에 있어서는, MN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HoA로 불리는 IP 어드레스를 항상 사용하여 통신한다.
실제의 IPv6 패킷의 소스 어드레스 또는 데스티네이션 어드레스에는 CoA를 사용한다. 또, 상위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을 은폐하기 위해, IPv6 in IPv6 캡슐화, 모빌리티 헤더(mobility header) 등의 기술을 사용한다. 이 결과, 애플리케이션에는 HoA를 통지하고, 실제로 사용하는 IPv6 어드레스(CoA)를 은폐하고 있다.
그러나, 이 Mobile IPv6은 고속 핸드오버를 할 수 없기 때문에, FMIPv6 (Fast Handovers for Mobile IPv6)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비특허 문헌2 참조).
이 FMIPv6을, 도21을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도21의 S1201의 RtSolPr(Router Solicitation for Proxy Advertisement, 루터 요청 대리, 이하,「RtSolPr」라 한다)은, 통상의 IPv6에 사용하는 호스트가 루터 통지를 생성하게 하기 위해 루터에 보내는 메시지인 루터 솔리시테이션(루터 요청)을 FMIPv6 용으로 확장한 것이다. MN은, 이 RtSolPr을 PAR(previous Access Router, 통신 중의 액세스 루터, 이하,「PAR」이라 한다)에 송신한다.
이 RtSolPr을 MN으로부터 받은 PAR는, S1202에서 PrRtAdv(Proxy Router Advertisement, 대리 루터 광고, 이하,「PrRtAdv」라 한다)을 MN에 송신한다. PrRtAdv는 통상의 IPv6에 사용하는 RA를 FMIPv6 용으로 확장한 것이다
PAR로부터 PrRtAdv를 받은 MN은, S1203에서 고속 핸드오버를 위한 바인딩 업데이트인 FBU(Fast Binding Update)를 PAR에 송신한다. 이 FBU에는, NCoA(New Care of Address, 새로운 CoA, 이하, 「NCoA」라 한다)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NCoA는 NAR(New Access Router, 이동 목적지의 액세스 루터, 이하,「NAR」라고 한다)의 링크에 속하는 어드레스이기 때문에, PAR는 NAR에 패킷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MN으로부터 FBU를 받은 PAR은, S1204에서 MN의 교환 및 핸드오버의 초기화를 위해, HI(Handover Initiate, 이하,「HI」라 한다)을 NAR에 송신한다. NAR은, S1205에서 이 HI에 대한 확인으로서 HAck(Handover Acknowledgement, 이하,「HAck」라고 한다)를 PAR에 송신하고, S1206에서 PAR와 NAR간의 패킷 전송이 개시된다.
그리고, MN은, 이동을 마친 NAR의 제어 하에(동일 링크) 이동을 완료하면, S1207에서 FNA(Fast Neighbor Advertisement, 고속 근린 광고, 이하 「FNA」라고 한다)을 NAR에 송신한다. 이것은 이동이 완료한 것을 NAR에 통지하기 위함이다. 그 결과, S1208에서 NAR은, MN에 패킷의 배달을 개시한다.
이 방법에서는, 핸드오버 시에 과도기의 PAR와 NAR간의 터널을 생성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으나, 과도기의 상태로부터 정상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수단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상기한 모바일 IP는, 이동 단말측 주도의 시그널링에 의해 모빌리티의 관리를 행하기 때문에, 호스트 베이스의 모빌리티 프로토콜이라고 불린다. 한편, 네트워크측에서 이동 제어를 위한 시그널링을 행하고, MN은 이동을 위해서 특별한 프로토콜을 탑재하지 않아도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이,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로부터 다시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비특허 문헌3 참조).
이는, MN이 CoA를 다루지 않고 끝나거나, 패킷의 캡슐화나 모빌리티 헤더에 의한 오버헤드를 없애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이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하여, 도2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MN은 이동 후에, S1301에서, 도22에「NewMAG」로 표기하는 이동 목적지의 링크의 루터, 모바일 액세스 게이트웨이(Mobile Access Gateway, 이하,「MAG」라고 한다)에, RS(Router Solicitation, 루터 요청, 이하, 「RS」라고 한다) 또는 DHCP 요구 등의 네트워크 컨피규레이션(네트워크 설정)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
MAG란, 링크로 이동한 MN과 IP 모빌리티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인 루트 루터, 로컬 모빌리티 앵커(Local Mobility Anchor, 이하「LMA」라 한다) 간에 중계를 행하는 루터이다.
LMA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여러 MAG를 제어하고 있다. LMA는, MN과 MAG의 식별자 및 IP 어드레스를 기억부에 관리하고 있다.
또한, MAG도, MN과 LMA의 식별자 및 IP 어드레스를 기억부에 관리하고 있다. MAG가 관리하고 있는 정보는, LMA와 통신을 행함으로써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MAG와 LMA 간은, 패킷을 IPv6 in IPv6 캡슐화하여, 기억부에 관리하고 있는 정보를 참조하여 헤더를 붙임으로써 터널링을 행하고, 정확히 루팅을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네트워크에 있어서, MN은, 이동 목적지의 동일 링크의 MAG에, 여기에서는, 예컨대, RS를 송신한 것으로 한다.
MAG(NewMAG)에서는, MN으로부터 RS를 받으면, S1302에서,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위치 등록 요구)를 LMA에 송신한다.
LMA에서는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을 받으면, 핸드오버인 것을 검지하고, S1303에서 루팅 셋업을 MAG(NewMAG)에 송신하고, NewMAG와 LMA 간에 터널 경로를 설정한다.
터널 경로의 설정이란, LMA에 MN용의 패킷을 캡슐화하고, MAG(NewMAG)로 송신하고, MAG에서 캡슐을 제외하고, MN에 전송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이 루팅 셋업을 받은 MAG(NewMAG)는, S1304에서 확인을 위해 루팅 셋업 Ack를 LMA에 송신한다.
또한, MAG(NewMAG)로부터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을 받은 LMA는, S1305에서 확인을 위해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 Ack를 MAG(NewMAG)에 송신한다.
MAG(NewMAG)는, S1306에서, RA를 MN에 송신하고, MN은 어드레스 컨피규레이션(어드레스 설정)을 행한다.
그 후, S1307에서 MN은 MAG(NewMAG)에 대해, DAD(Duplicate Address Detection, 중복 어드레스 검출, 이하,「DAD」라고 한다)을 NA(Neighbor Advertisement, 근린 광고, 이하,「NA」라고 한다)을 사용하여 행하고, 어드레스가 단일인 것을 확인하여 어드레스 컨피규레이션을 완성한다. 또한, MAG(NewMAG)는, S1308에서 MN어드레스 셋업을 LMA에 송신하고, S1309에서 LMA는, MAG(NewMAG)에 MN어드레스 셋업 Ack를 송신한다.
이 LMA와 MAG간 터널 경로의 설정과, MN의 어드레스 컨피규레이션이 완료된 결과, 패킷은 MN에 도달 가능하게 된다. 이것이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의 핸드오버 방법이다. 즉, MN에 어드레싱된 패킷은 LMA 경유하여 보내지기 때문에, LMA와 MAG간에 터널이 완성됨으로써 MN까지 루팅 가능하게 된다.
비특허 문헌1: Request for Comments(RFC)3775, “Mobility Support in IPv6"
비특허 문헌2: Request for Comments(RFC)4068, “Fast Handovers for Mobile IPv6"
비특허 문헌3: Internet Draft “draft-giaretta-netlmm-dt-Protocol"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에서는, 핸드오버 중의 패킷이 손실될 가능성이 있고, 패스트 핸드오버는 가능하지 않다. 이에 대해 도2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MN이 이동원(移動元)의 링크의 루터(PreMAG)와의 접속을 절단하고(도면의 (1)), NewMAG와의 접속을 개시하고, 그 결과가 LMA에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으로서 도달할 때(도면의 (2))까지의 사이에 LMA에 배달된 패킷은 LMA에 유지할 수도 없고, 반드시 PreMAG에 배달된다. 즉, PreMAG에 배달된 패킷은 일정 시간을 기다려 파기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도21에서 설명한 FMIPv6을 사용하는 방법 등에서는 핸드오버 시에 PAR와 NAR간의 터널을 생성하는 것에 관해서는 기술되어 있으나, 삭제에 관해서는 기 술되어 있지 않아, 타이머가 없으면 루터는 무제한으로 터널을 보유해야 한다. 그 결과, 루터의 리소스가 없어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작성된 것으로, 이동 단말이 특별한 프로토콜을 탑재하지 않아도 이동 가능한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에 있어서, 핸드오버 중의 패킷 손실을 없애고, 또한 루터의 리소스를 효과적으로 개방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시스템, 제어장치, 루터 및 그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제1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이 일의적으로 부여된 어드레스에 의해 동일 링크에 속하는 루터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통신을 행하고, 상기 이동 단말이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한 때에는,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통신을 절환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의 이동 목적지의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상기 루터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통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장치에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 및 상기 루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통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의 이동원 또는 이동 목적지의 상기 루터에, 이동원의 상기 루터로부터 이동 목적지의 상기 루터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전송 지시 통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은, 상기 이동 목적지의 루터가, 인증을 행하는 정보 관리 장치에,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송신하고,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 및 상기 제어장치에 관한 어드레스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은, 상기 이동 단말이 이동한 때에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이동원의 루터 및 상기 이동 목적지의 루터를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이동 목적지의 루터와의 통신 및 상기 이동 목적지의 루터와 상기 이동 단말과의 통신이 확립된 후에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이동 목적지의 루터만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은, 상기 이동원의 루터가, 상기 이동 단말에 어드레싱된 데이터를 다른 루터로부터 전송에 의해 수신하고 있던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송 설정을 해제 지시하는 전송 해제 지시 통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5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은, 상기 이동원의 루터가, 상기 이동 단말에 관하여 전송하기 위한 버퍼에 데이터가 없어진 것을 검지한 경우, 상기 이동 목적지의 루터에 전송 설정을 해제하는 전송 해제 지시 통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6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은, 상기 이동 목적지의 루터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의 통신 종료 통지를 수신한 경우, 또는 상기 이동 단말의 통신 이상 종료를 검지한 경우, 상기 이동원의 루터에 전송설정을 해제하는 전송 해제 지시 통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7의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는,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이 일의적으로 부여된 어드레스에 의해 동일 링크에 속하는 루터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하여 통신을 행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 단말이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한 때에는 통신을 절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로서,
상기 이동 단말의 이동 목적지의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상기 루터로부터의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 및 상기 루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통지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중계를 행하는 상기 루터 및 상기 이동 단말에 관한 통신 정보를 유지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루터로부터의 통지에 포함되는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통신 정보에 대해 상기 기억 수단을 참조하여, 이동 목적지의 상기 루터의 정보를 갱신하고, 이동원의 상기 루터로부터 이동 목적지의 상기 루터에 데이터의 전송을 지시하는 전송 지시 통지를 생성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이동 단말의 이동원 또는 이동 목적지의 상기 루터에 상기 전송 지시 통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8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이동 목적지의 루터로부터의 통지에 포함되는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이동원의 루터의 식별자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이동원 또는 상기 이동 목적지의 루터에의 전송지시 통지에는, 상기 이동 목적지의 루터의 식별자 또는 상기 이동원의 루터의 식별자,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9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이동원의 루터에, 상기 이동 단말에 관한 상기 루터와 상기 제어장치의 통신 정보를 삭제하도록 지시하는 삭제지시 통지를 생성하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이동원의 루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0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삭제 지시 통지와 상기 전송 지시 통지를 합성하여,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이동원의 루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1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이동 목적지의 루터 및 상기 이동 목적지의 루터와 상기 이동 단말과의 통신이 확립한 후에, 상기 이동 목적지의 루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2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이동원의 루터가 상기 이동 단말에 어드레싱된 데이터를 다른 루터로부터 전송에 의해 수신하고 있던 경우에, 상기 전송의 설정을 삭제하도록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 및 상기 다른 루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전송 설정 해제 통지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이동원의 루터에, 상기 전송 지시 통지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전송 설정 해제 통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3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이동원의 루터가 상기 이동 단말에 어드레싱된 데이터를 다른 루터로부터 전송에 의해 수신하고 있던 경우에, 상기 전송 설정을 삭제하도록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 및 상기 다른 루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전송 설정 해제 통지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이동원의 루터에, 상기 전송 지시 통지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전송 설정 해제 통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4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이동원의 루터에, 상기 전송 지시 통지와 상기 전송 설정 해제 통지를 합성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5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이동원의 루터에, 상기 전송 지시 통지와 상기 전송 설정 해제 통지를 합성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6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이동원의 루터에, 해당 제어장치와의 통신 해소를 지시하는 통지와 상기 전송 설정 해제 통지를 합성하고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7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이동원의 루터에, 상기 제어장치와의 통신 해소를 지시하는 통지와 상기 전송 설정 해제 통지를 합성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8 발명에 의한 루터는,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일의적으로 부여된 어드레스에 의해 통신을 행 하는 동일 링크에 속하는 이동 단말과 데이터의 송신기를 행하는 루터로서,
이동을 행한 이동 단말로부터의 통지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제어장치에 송신하는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 및 상기 루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통지를 생성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제어장치에 상기 통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어장치로부터의 전송 지시 통지 또는 이동원의 상기 루터로부터의 통지에 의해 이동원의 상기 루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9 발명에 의한 루터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한 이동 단말에 관한 전송 지시 통지를 수신한 경우, 이동 목적지의 상기 루터에 상기 이동 단말에 어드레싱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0 발명에 의한 루터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이동 단말에 어드레싱된 데이터에 상기 이동 목적지의 루터의 어드레스를 헤더로서 첨부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1 발명에 의한 루터는, 상기 통신 수단이, 인증을 행하는 정보 관리 장치에, 수신한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송신하고,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 및 상기 제어장치에 관한 어드레스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2 발명에 의한 루터는, 상기 이동 단말에 관한 통신 정보를 유지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삭제 지시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에 관한 상기 루터와 상기 제어장치의 통신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3 발명에 의한 루터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이동 단말에 어드레싱된 데이터를 다른 루터로부터 전송에 의해 수신하고 있던 전송 설정을 해제 지시하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의 통지에 의해 상기 다른 루터에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 및 상기 루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전송설정 해제 통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4 발명에 의한 루터는,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제어장치로부터의 상기 전송지시통지에 상기 전송 설정 해제 통지가 합성된 것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5 발명에 의한 루터는,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제어장치로부터의 상기 제어장치와의 통신 해소를 지시하는 통지에, 상기 전송 설정 해제 통지가 합성된 것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6 발명에 의한 루터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이동 단말에 관하여 전송하기 위한 버퍼에 데이터가 없어진 것을 검지한 경우, 상기 이동 목적지의 루터에 전송 설정을 해제하는 통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7 발명에 의한 루터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의 통신 종료 통지를 수신한 경우, 또는 상기 이동 단말의 통신 이상 종료를 검지한 경우, 상기 이동 목적지의 루터에 전송 설정을 해제하는 통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8 발명에 의한 통신 방법은,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에, 일의적으로 부여된 어드레스에 의해 동일 링크에 속하는 루터로부터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게 하고, 상기 이동 단말이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한 때에는, 제어 장치에 상기 이동 단말의 통신을 절환하는 제어를 행하게 하는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에,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통지를 생성하는 스텝과, 이동 목적지에 있어서의 상기 루터에 상기 통지를 송신하는 스텝을 실행시키고,
이동 목적지의 상기 루터에,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 및 상기 루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통지를 생성하는 스텝과, 상기 제어장치에 상기 통지를 송신하는 스텝을 실행시키고,
상기 제어장치에, 이동원의 상기 루터로부터 이동 목적지의 상기 루터에 데이터의 전송을 지시하는 전송 지시 통지를 생성하는 스텝과, 이동원 또는 이동 목적지의 상기 루터에 상기 전송 지시 통지를 송신하는 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9 발명에 의한 통신 방법은, 상기 이동 목적지의 루터에, 인증을 행하는 정보관리장치로,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송신시키고, 상기 이동 목적지의 루터는, 상기 정보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 및 상기 제어장치에 관한 어드레스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0 발명에 의한 통신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이 이동한 때에는, 상 기 제어장치에, 상기 이동원의 루터 및 상기 이동 목적지의 루터를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시키고,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이동 목적지의 루터 및 상기 이동 목적지의 루터와 상기 이동 단말과의 통신이 확립한 후에는, 상기 제어장치에 상기 이동 목적지의 루터만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에 데이터를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1 발명에 의한 통신 방법은, 상기 이동원의 루터가, 상기 이동 단말에 어드레싱된 데이터를 다른 루터로부터 전송에 의해 수신하고 있던 경우, 상기 제어장치에, 상기 이동원의 루터에, 상기 전송 설정을 해제 지시하는 전송 해제 지시 통지를 송신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에 있어서,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이동원의 루터로부터 이동 목적지의 루터에의 터널을 생성시키고, 데이터의 전송을 행함으로써 핸드오버 중의 패킷 손실을 없애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새로운 루터 간의 터널을 생성할 때, 이동원 링크의 루터가 지속되는 버퍼가 없어졌을 때, 통신 종료시 또는 통신 이상 종료시 등의 루터 간에 전송의 필요가 없어진 타이밍을 트리거로 하여, 상기 루터 간의 터널을 삭제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루터의 리소스를 효과적으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어장치는, 이동원의 루터에, 이동 단말에 어드레싱된 패킷의 버퍼의 전송 지시 통지와,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이동원의 루터와의 통신 설정을 삭제 지 시하는 삭제지시 통지를 합성하여 송신함으로써 버퍼전송과, 제어장치와 이동원의 루팅 설정 삭제의 처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는, 이동원의 루터에, 이동 단말에 어드레싱된 패킷의 버퍼의 전송지시 통지와, 상기 이동원의 루터와 다른 루터 간의 불필요하게 된 통신 설정을 삭제 지시하는 삭제 지시 통지를 합성하여 송신함으로써, 버퍼전송과, 불필요하게 된 루터 간의 터널 설정의 삭제의 처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는, 이동원의 루터에,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이동원의 루터와의 통신 설정을 삭제 지시하는 삭제 지시 통지와, 상기 이동원의 루터와 다른 루터 간의 불필요하게 된 통신 설정을 삭제 지시하는 삭제 지시 통지를 합성하여 송신함으로써, 제어장치와 이동원의 루터의 터널 설정 삭제와, 불필요하게 된 루터 간의 터널 설정의 삭제의 처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록시 모바일 IP 방식을 적용하여, 루터가 정보 관리 장치(서버)로부터 이동 단말 및 제어장치의 어드레스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하여도 작용·효과는 동일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MN이나 MAG는 통상은 무선 통신 수단을 갖고, 모든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에서의 핸드오버를 주로 고려하여 설명하지만, 유선 통신으로의 사용도 가능하고, 통신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통신 수단의 상세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의 개략 구성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MAG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LMA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MN(1)은, MAGa(2)의 링크로부터 MAGb(3)의 링크로 이동하고, LMA(4)에 의해 통신 제어가 행해지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G(2,3)는, MN(1)과의 통신을 행하는 MN 통신수단(5)과, 다른 MAG 또는 LMA(4)와의 통신을 행하는 Netlmm통신수단(6)과, 본 발명에 관계되는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에 의한 제어를 행하는 Netlmm제어수단(7)과, 통신에 관한 정보 등을 기억하는 기억부(8)와, MN에 어드레싱된 버퍼를 계류시키는 일시기억부(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LMA(4)는, MAG(2,3)과의 통신을 행하는 Netlmm통신수단(10)과,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행하는 외부 네트워크 통신 수단(11)과, 본 발명에 관계되는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에 의한 제어를 행하는 Netlmm제어수단(12)과, 통신에 관한 정보 등을 기억하는 기억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S101에서, MN(1)은 MAGb(3) 또는 링크 로컬 멀티 캐스트 어드레스에 적어도 MN(1)의 식별자인 MN-ID를 포함하는 RS를 송신한다.
RS를 MN통신 수단(5)으로부터 받은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기억부(8)에 MN-ID를 기억함과 동시에, S1O2에서, 적어도 MN-ID와 MAGb(3)의 식별자인 MAGb-ID를 포함하는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을 생성하고, Netlmm통신수단(6)으로부터 LMA(4)에 송신한다.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을 Netlmm통신수단(10)으로부터 받은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MN-ID를 키(key)로 사용하여 현재의 MN(1)의 상태를 LMA(4)의 기억부(13)에 유지하는 데이터로부터 검색하고, 데이터에서는 MN(1)이 현재 MAGa(2)에 속하고 있는 상태인 것을 파악한다.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데이터에 MN(1)이 현재 MAGa(2)에 속해 있는 상태로 되어 있으나, MAGb(3)로부터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이 온 것에 의해 MN(1)이 이동한 것을 인식한다.
따라서, S103에서,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적어도 LMA(4)의 식별자인 LMA-ID 및 MN(1)의 글로벌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루팅 셋업(루팅설정 지시)을 생성하고, Netlmm통신수단(10)으로부터 MAGb(3)에 송신한다. 또한, S104에서,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MAGa(2)에, 적어도 MAGb(3)의 MAGb-ID와 MN(1)의 MN-ID를 포함하는 전송 지시 통지를 송신한다.
전송 지시 통지를 받은 MAGa(2)의 Netlmm제어수단(7)은, S105에서, MN-ID로부터 식별되는 MN(1)의 어드레스에 어드레싱된 패킷을 MAGb-ID로부터 식별되는 MAGb(3)의 IP 어드레스에 전송하는 것을 개시한다. 이 전송 설정은 MAGa(2)의 기억 부(8)에 갖는 루팅 테이블의 갱신에 의해 행해진다. 즉, 지금까지 MAGa(2)의 루팅 테이블에 있어서,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은 MN(1)이 갖는 링크 로컬 어드레스와 관련되어 있다. 그 루팅 테이블의 설정을,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이 MAGb(3)에 전송되도록 갱신한다.
MAGb(3)로의 전송은,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의 후속 호프(hop)를, MAGb(3)의 링크 로컬 어드레스, MAGb(3)의 글로벌 어드레스, MAGb(3)의 상위 루터 어드레스 및 MAGa(2)의 상위 루터 어드레스 중 어느 것에 전송하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실현한다.
LMA(4)로부터 루팅 셋업을 받은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LMA(4)와 MAGb(3)간에 터널 경로를 설정하고, S106에서, 확인을 위해 루팅셋업 Ack(Acknowledgement)을 LMA(4)에 송신한다.
MAGb(3)로부터 루팅 셋업 Ack를 받은 LMA(4)의 Netlmm 제어수단(12)은, S107에서 MN(1)의 적어도 프레픽스 정보를 포함한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 Ack를 MAGb(3)에 송신한다.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 Ack를 받은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S108에서 상기 프레픽스 정보를 토대로 RA를 MN(1)에 송신한다.
MAGb(3)로부터 RA를 받은 MN(1)은, S109에서 DAD 수순에 있어서 NA를 링크에 송신한다.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MN(1)으로부터 이 NA를 받은 후, S110에서, LMA(4)에, MAGb-ID, MN어드레스 및 MN-ID를 포함하는 MN 어드레스 셋업을 송신하고, S111에서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MAGb(3)에 확인을 위해 MN어 드레스 셋업 Ack를 송신한다.
이 후, S112에서,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MAGa(2)로부터 MN(1)에의 전송을 포함하는 패킷의 배달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MN(1)이 이동을 위해 MAGa(2)와 절단하고 나서 LMA(4)에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이 도착하기까지 MAGa(2)의 버퍼에 머무르고 있던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은, MAGb(3) 경유하여 전송되게 되어, 패킷 손실이 없는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도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실시 형태와 같이,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MN(1)은, MAGa(2)의 링크로부터 MAGb(3)의 링크로 이동한다.
제1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제1실시 형태에서는, LMA(4)이 이동원의 루터 MAGa(2)에 이동 목적지의 루터 MAGb(3)에의 전송 지시 통지를 송신하는 것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LMA(4)이 MAGb(3)에 전송 지시 통지를 송신하는 점에 있다.
우선,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S201에서, MN(1)은 MAGb(3) 또는 링크 로컬 멀티캐스트 어드레스에 적어도 MN(1)의 식별자인 MN-ID를 포함하는 RS를 송신한다.
MN(1)로부터 RS를 받은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S202에서, 적어도 MN-ID와 MAGb(3)의 식별자인 MAGb-ID를 포함하는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을 LMA(4)에 송신한다.
MAGb(3)로부터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을 받은 LMA(4)의 Netlmm 제어수 단(12)은, MN-ID를 키로 사용하여 현재의 MN(1)의 상태를 LMA(4)의 기억부(13)에 유지하는 데이터로부터 검색하고, LMA(4)의 데이터에서는, 현재 MN(1)은 MAGa(2)에 속해 있는 상태인 것을 파악한다.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데이터에 현재 MN(1)이 MAGa(2)에 속해 있는 상태로 되어 있으나, MAGb(3)로부터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이 온 것에 의해 MN(1)이 이동한 것을 인식한다.
따라서, S203에서,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LMA(4)와 MAGb(3)간의 터널 생성을 위한 적어도 LMA(4)의 식별자인 LMA-ID, MN(1)의 글로벌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루팅 셋업을 MAGb(3)에 송신한다.
또한, 이때에는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적어도 MAGa(2)의 식별자인 MAGa-ID와 MN(1)의 MN-ID를 포함하는 전송 지시 통지를 MAGb(3)에 송신한다. 이 LMA(4)로부터 MAGb(3)에의 전송 지시 통지를, 통상의 루팅 셋업에 더하여 송신해도 된다.
LMA(4)로부터 전송 지시 통지를 수신한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에서는, S204에서, MAGa(2)의 MAGa-ID로부터 파악되는 MAGa(2)의 IP 어드레스에, 적어도 MN-ID와 MAGb의 MAGb-ID를 포함하는 터널 생성 메시지를 송신한다.
MAGb(3)로부터의 터널 생성 메시지를 받은 MAGa(2)의 Netlmm제어수단(7)은, MAGb(3)와의 사이에 터널 경로를 설정하고, S205에서, 확인을 위해 터널 생성 Ack를 MAGb (3)에 송신하고, MAGa(2)의 버퍼에 있는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을 MAGb(3)에 전송가능하게 한다. MAGb(3)의 IP 어드레스를 외측 데스티네이션 어드레스로 하고 MAGa(2)의 IP 어드레스를 외측 소스 어드레스로 하는 IPv6 in IPv6 캡슐 화를 수행함으로써, 터널 경로를 실현한다.
루팅 셋업을 받은 MAGb(3)의 Netlm제어 수단(7)은, LMA(4)와 MAGb(3)간에 터널 경로를 설정하고, S206에서 루팅 셋업 Ack를 LMA(4)에 송신한다.
또한, 전송 지시를 받은 MAGa(2)의 Netlmm제어수단(7)은, S207에서 MN-ID로부터 식별되는 MN(1)의 어드레스에 어드레싱된 패킷을 MAGb-ID로부터 식별되는 MAGb(3)의 IP 어드레스에 전송하는 것을 개시한다.
MAGb(3)로부터 루팅 셋업 Ack를 받은 LMA(4)의 Netlmm 제어수단(12)은, S208에서, MN(1)의 적어도 프레픽스 정보를 포함한,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 Ack를 MAGb(3)에 송신한다.
LMA(4)로부터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 Ack를 받은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S209에서, 상기 프레픽스 정보를 토대로 RA를 MN(1)에 송신한다.
MAGb(3)로부터 RA를 받은 MN(1)은, S210에서 DAD 수순에 있어서 NA를 링크에 송신한다.
S211에서,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MN(1)으로부터 이 NA를 받은 후, LMA(4)에 MAGb-ID, MN어드레스 및 MN-ID를 포함하는 MN어드레스 셋업을 송신하고, S212에서,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확인을 위해 MN 어드레스 셋업 Ack를 MAGb(3)에 송신한다.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S213에서, MAGa(2)로부터의 전송을 포함하는,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의 배달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LMA(4)가 MAGb(3)에 전송 지시를 행하고, MAGb(3)로부 터 MAGa(2)에의 명령에 의해 터널링이 행해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이에 의해 MAGa(2)의 버퍼에 머무르고 있던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은 MAGb(3) 경유하여 전송되게 되고, 핸드오버 중의 패킷 손실을 없앨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의 개략 구성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어드레스를 나타낸 표이다.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MNa(21) 및 MNb(22)는 MAGa(2)의 지배하에 있다. MNa(21) 및 MNb(22)의 이동에 따라, MNa(21) 및 MNb(22)는, MAGa(2) 지배로부터 MAGb(3) 지배로 이동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MN이 이동하는 경우, 및 LMA(4)로부터 MAGa로의 터널링을 해소하는 로케이션 디레지스트레이션에 MAGb(3)로의 전송 지시를 포함시킨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S301에서, MNa(21) 및 MNb(22)는, MAGb(3) 또는 링크로컬 멀티 캐스트 어드레스에, 적어도 MNa(21) 및 MNb(22)의 식별자인 MNa-ID 및 MNb-ID를 포함하는 RS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MNa-ID 및 MNb-ID에는, 도8에 나타내는 MNa(21) 및 MNb(22)가 갖는 링크 로컬 어드레스(IP_LINK_MNa, IP_LINK_MNb) 및/또는 글로벌 어드레스 (IP_GLOBAL_ MNa, IP_GLOBAL_MNb)를 사용한다.
MNa(21) 및 MNb(22)부터 RS를 받은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S302에서, 적어도 MNa-ID, MNb-ID 및 MAGb(3)의 MAGb-ID를 포함하는 로케이션 레지스트 레이션을 LMA(4)(IP_LINK_LMAa 또는 IP_GLOBAL_LMAa)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MAGb-ID는 MAGb가 갖는 링크 로컬 어드레스(IP_LINK_MAGb) 및/또는 글로벌 어드레스(IP_GLOBAL_MAGb)를 사용한다. 이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은 MNa(21), MNb(22) 각각에 개별적으로 송신해도 되고, 쌍방에 관하여 하나의 메시지 중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된다.
MAGb(3)로부터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을 받은 LMA(4)의 Netlmm 제어수단(12)은, MNa-ID 및 MNb-ID를 키로 사용하여 현재의 MNa(21)과 MNb(22)의 상태를 LMA(4)의 기억부(13)에 유지하는 데이터로부터 검색하고, LMA(4)의 데이터에서 현재 MNa(21)과 MNb(22)가 MAGa(2)에 속해 있는 상태인 것을 파악한다.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데이터에 MNa(21)과 MNb(22)가 현재 MAGa(2)에 속해 있는 상태로 되어 있으나, MAGb(3)로부터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이 온 것에 의해 MNa(21)과 MNb(22)가 이동한 것을 인식한다.
따라서, S303에서,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MAGb(3)에 루팅 셋업을 송신한다.
또한, 이때, S304에서,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적어도 MAGb(3)의 MAGb-ID(IP_LINK_MAGb 및/또는 IP_GLOBAL_MAGb)와 MNa(21)과 MNb (22)의 MN-ID(IP_LINK_MNa 및/또는 IP_GLOBAL_MNa,IP_LINK_MNb 및/또는 IP_GLOBAL_ MNb)를 포함하는 전송 지시 통지를 MAGa(2)에 송신한다. 이 전송 지시 통지는 MNa(21), MNb(22)에 개별적으로 행해도 좋고, 한꺼번에 행해도 좋다. 또한, MNa(21) 및 MNb(22)에 관한 LMA-MAG 터널 경로를 삭제하기 위해, MAGa(2)에는, 로케이션 디레지스트레이션(위치 삭제 요구)를 송신한다. MAGa(2)에 대한 전송 지시 통지는 이 로케이션 디레지스트 레이션에 포함시켜도 좋다.
전송 지시를 받은 MAGa(2)의 Netlmm제어수단(7)은, S305에서, MNa-ID 및 MNb-ID로부터 식별되는 MNa(21) 및 MNb(22)의 어드레스(데스티네이션 어드레스가 IP_GLOBAL_MNa 또는 IP_GLOBAL_MNb임)에 어드레싱된 패킷을 MAGb-ID로부터 식별되는 MAGb(3)의 IP 어드레스에 전송하기 위해, MAGa-MAGb 간에서의 터널 생성을 MAGb(3)에 명령한다.
LMA(4)로부터 루팅 셋업을 받은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LMA(4)와 MAGb(3)간에 터널 경로를 설정하고, S306에서, 루팅 셋업 Ack를 LMA(4)에 송신한다.
또한, MAGa(2)로부터의 터널 생성 요구를 받은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S307에서, 확인으로서 터널 생성 Ack를 MAGa(2)로 회신한다.
MAGa(2)의 Netlmm제어수단(7)에서는 MAGb(3)의 이 터널링 생성 Ack를 받아, MAGa-MAGb 간의 터널을 생성한다. 이 터널은, MAGb(3)의 글로벌 어드레스 (IP_GLOBAL_MAGb)를 외측 데스티네이션 어드레스로 하고 MAGa(2)의 글로벌 어드레스 (IP_GLOBAL_MAGa)를 외측 소스 어드레스로 하는 IPV6 in IPv6 캡슐화함으로써 실현한다. 이 터널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MNa(21)와 MNb(22)(데스티네이션 어드레스가 IP_GLOBAL_MNa 또는 IP_GLOBAL_MNb임)에 어드레싱된 패킷이 통과하는 터널로 된다. 또한, MAGa-MN 간에서는 링크 테크놀로지에 있어서, 완전성을 보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OSI 기본 참조 모델의 제2층 이하의 기술을 사용하여 MAGa(2)는 MNa(21) 및/또는 MNb(22)에의 미도달 패킷을 파악할 수 있다. 이 미도달 패킷은 MAGa(2)의 버퍼에 보존되어 있고, 터널 생성 후, S308에서, 차례로 MAGb(3)로 전송된다.
MAGb(3)로부터 루팅 셋업 Ack를 받은 LMA(4)의 Netlmm 제어수단(12)은, S309에서, MAGb(3)에 MN의 적어도 프레픽스 정보를 포함한,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 Ack를 송신한다.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 Ack를 받은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S310에서 상기 프레픽스 정보를 토대로 RA를 MNa(21)과 MNb(22)에 송신한다.
MAGb(3)로부터 RA를 받은 MNa(21)과 MNb(22)는, S311에서, DAD 수순에 있어서 NA를 링크에 송신한다.
이 NA를 MNa(21) 또는 MNb(22)로부터 받은 후,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S312에서, MAGb-ID, MN어드레스, MN-ID를 포함하는 MN어드레스 셋업을 LMA(4)에 송신하고, S313에서, LMA(4)의 Netlmm제어 수단(12)이, 확인을 위해 MN 어드레스 셋업 Ack를 송신하고, S314에서 MAGb(3)는, MNa(21) 및 MNb(22)에 어드레싱된 패킷의 배달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MN이 복수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MN이 복수인 경우에 있어서도, MAGa(2)의 버퍼에 머무르고 있던 MNa(21) 또는 MNb(22)에 어드레싱된 패킷은 MAGb(3) 경유하여 전송되고, 핸드오버에 의한 패 킷 손실을 없앨 수 있다.
또한, LMA(4)는, 터널링을 해소하기 위해 MAGa(2)에 송신하는 로케이션 디레지스트레이션에 MAGb(3)의 ID를 첨부한 MAGb(3)으로의 전송 지시를 포함시킴으로써, LMA와 MAGa(2)의 터널링의 해소 및 MAGa(2)로부터 MAGb(3)로의 전송을 위한 터널링 설정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의 개략 구성 및 패킷의 흐름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우선, MN(1)은, MAGa(2)의 지배 하에 있다. 이때의 패킷은 도9(a)의 굵은선 화살표와 같이 배달된다. 그 후 MN(1)은, MAGb(3)의 지배 하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MN(1)이 MAGb(3)의 지배 하로 이동한 직후, LMA(4)로부터 MAGa(2)를 경유하고, MAGb(3)로부터 MN(1)에 패킷을 배달하며(도9(b),도9(c)), 그 후 MAGa(2)를 경유하지 않고 LMA(4)로부터 MAGb(3)에, MAGb(3)로부터 MN(1)(도9(d))으로 순차적으로 절환하여 배송하는 예를 설명한다.
MN(1)이 MAGb(3)의 링크로 이동하면,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S401에서, MN(1)은, 적어도 MN(1)의 식별자인 MN-ID를 포함하는 RS, DHCP Request, NA 등의 네트워크 컨피규레이션 요구를 MAGb(3)에 또는 링크 로컬 멀티 캐스트에서 송신한다.
MN(1)으로부터 네트워크 컨피규레이션 요구를 받은 MAGb(3)의 Netlmm 제어수 단(7)은, S402에서 적어도 자신의 식별자인 MAGb-ID와, 지금 받은 MN-ID를 포함한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을 LMA(4)에 송신한다.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에서는,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을 MAGb(3)로부터 받으면, MN-ID를 키로 사용하여 현재의 MN(1)의 상태를 LMA(4)의 기억부(13)에 유지하는 데이터로부터 검색하고, LMA(4)의 데이터로부터 MN(1)은 현재 MAGa(2)에 속해 있는 상태인 것을 파악한다.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데이터에 MN(1)이 현재 MAGa(2)에 속해 있는 상태로 되고 있으나, MAGb(3)로부터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이 온 것에 의해 MN(1)이 이동한 것을 인식한다.
따라서, S403에서,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MN-ID와 MAGb(3)의 MAGb-ID, MN(1)의 글로벌 어드레스를 포함한 전송 지시 통지를 MN(1)의 이전의 MAG인 MAGa(2)에 송신하고, S404에서, 적어도 LMA(4)의 식별자인 LMA-ID 및 MN(1)의 글로벌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루팅 셋업을 MAGb(3)에 송신한다.
S405, S406에서, 전송 지시를 받은 MAGa(2)의 Netlmm제어수단(7)은, MAGb(3)에 터널 생성 명령을 송신하고,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MAGa(2)에 터널 생성 Ack를 송신함으로써 MAGa(2)와 MAGb(3)간에 터널을 생성한다. 이것으로, S407에서 패킷은 LMA(4)로부터 MAGa(2), MAGa(2)로부터 MAGb(3), MAGb(3)로부터 MN(1)으로의 경로로 루팅된다.
LMA(4)로부터 루팅 셋업을 받은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S408에서 루팅 셋업 Ack를 LMA(4)에 송신한다.
MAGb(3)로부터 루팅 셋업 Ack를 받은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S409 에서 적어도 MN(1)의 프레픽스 정보를 포함하는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 Ack를 MAGb(3)에 송신한다.
LMA(4)로부터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 Ack를 받은 MAGb(3)의 Netlmm 제어수단(7)은, S410에서 프레픽스 정보로부터 RA 등의 MN(1) 용의 어드레스 컨피규레이션 정보를 작성하고, MN(1)에 송신한다.
S411에서, MN(1)은, 어드레스의 컨피규레이션을 하고, 최종 확인을 위해 DAD를 NA를 사용하여 MAGb(3)에 행한다. 이 DAD를 받고, S412에서 MAGb(3)의 Netlmm제어 수단(7)은, 적어도 MAGb(3)의 MAGb-ID, MN어드레스, MN-ID를 포함하는 MN어드레스 셋업을 LMA(4)에 송신한다. 또한, 네트워크 컨피규레이션에 DHCP를 사용한 경우는, DAD는 생략 가능하고, MAGb(3)는 MN(1)에 대해 DHCP Advertise 등으로 어드레스를 송신한 후, MN어드레스 셋업을 LMA(4)에 송신하고, 이하의 순서로 진행할 수도 있다.
다음에, S413에서,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MN어드레스 셋업 Ack를 MAGb(3)에 송신하고, S414에서,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MAGa(2)로부터 받은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의 배달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에, S415, S416에서, LMA-MAGb간 터널을 작성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 터널이 생성된 후에, LMA-MAGa 터널을 삭제하기 위해,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S417에서, MAGa(2)에 로케이션 디레지스트레이션을 송신하고, S418에서, MAGa(2)의 Netlmm제어수단(7)은, LMA(4)에 로케이션 디레지스트레이션 Ack를 송신하여 터널링 설정을 해소한다.
그리고, S419에서,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MAGb(3)에 패킷의 전송을 시작한다.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패킷 배달의 경로를 LMA(4)로부터 MAGa(2), MAGb(3) 경유하여 MN(1)에, LMA(4)로부터 MAGb(3) 경유하여 MN(1)으로 순차적으로 절환함으로써 제1 내지 제3실시 형태의 경우보다 MAGa(2)의 버퍼에 잔류하는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을, 보다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5 실시 형태]
도1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의 개략 구성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1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MN(1)이 MAGa(2)의 링크로부터 MAGb(3)의 링크로 이동되고, 그리고 MAGc(31)의 링크로 이동되고, LMA(4)에 의해 MN(1)의 통신 절환의 제어가 행해지는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MN(1)은, 3개의 MAG와 통신 절환을 행한다.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S501에서, MN(1)은 이동 후, 통상대로 새로운 링크의 MAG인 MAGc(31)에 네트워크 컨피규레이션을 위한 정보를 송신한다. 이 정보는, 예컨대, RS, DHCP Request, NA 등이 고려된다. 이 네트워크 컨피규레이션을 위한 정보에는 MN의 식별자인 MN-ID가 포함된다.
MN(1)으로부터 받은 정보를 토대로 MAGc(31)의 Netlmm제어수단(7)은, 기억부(8)에 MN의 정보를 보존하고, S502에서 LMA(4)에 대해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 을 송신한다. 이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은, MAGc(31)의 식별자인 MAGc-ID와 MN-ID를 포함하고 있다.
MAGc(31)로부터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을 받은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MN-ID을 키로 사용하여 기억부(13)에 갖는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고, 현재 MN(1)이 데이터 상에서 MAGb(3)의 링크에 있는 상태인 것, MAGb(3)가 MAGa(2)와 터널을 갖는 것을 인식한다.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을 받은 결과,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MN(1)가 이동 중에 핸드오버인 것을 검지하고, MAGb-ID, MAGc-ID 및 MN-ID를 일 세트로 하고 MAGa-ID, MAGb-ID 및 MN-ID를 일 세트로 하여 일시적으로 기록한다. 그리고, S503에서,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적어도 LMA(4)의 식별자인 LMA-ID 및 MN(1)의 글로벌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루팅 셋업(루팅 설정 지시)을 생성하고, Netlmm통신수단(10)으로부터 MAGc(31)에 송신한다.
또한, S504에서,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의 MAGc(31)에의 전송과 MAGa(2)와의 터널의 삭제를 지시하는 통지를 MAGb(3)에 송신한다. 이 지시 통지에는 적어도 MAGa-ID, MAGc-ID 및 MN-ID가 포함되어 있고, MAGa-ID에 관련시켜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용의) 터널 삭제인 취지, 및 MAGc-ID에 관련시켜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용의) 터널 생성인 취지가 지시통지 제어 정보로 기술되고, 이들 제어 정보가 합성되어 동시에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때에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기억부(13)가 갖는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 하고, MN(1)에 관한 통신 정보 중의 MAG와 MAG간 터널에 관한 데이터에 있어서, MAGb(3)와 MAGa(2)간의 터널의 정보는 삭제되고, 새로 MAGc(31)와 MAGb(3)간 의 터널이 생성된 취지의 정보를 기억한다.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에서는, LMA(4)로부터의 전송 지시와 터널의 삭제의 지시를 받고, S505에서, MAGa(2)에 대해서는 적어도 MAGb-ID와 MN-ID를 포함하는 터널 삭제를 행하는 취지의 제어 정보를 기술한 지시 통지를 송신하고, S506에서 MAGc(31)에는 적어도 MAGb-ID와 MN-ID를 포함하는 터널 생성을 명령하는 제어정보를 기술한 지시 통지를 송신한다.
S507에서 MAGa(2)의 Netlmm제어수단(7)은, 기억부(8)에 있는 루팅 테이블로부터 MAGa(2)와 MAGb(3)간의 터널 설정을 삭제하고, 확인을 위해 터널 삭제 Ack를 MAGb(3)에 송신하여 터널을 삭제한다. 단, 여기에서, MAGa(2)에 터널 설정을 삭제할 때에, MAGb(3)에 확인 통지를 송신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MAGb-ID 및 MN-ID를 기억해 놓을 필요가 있다.
S508에서, MAGc(31)의 Netlmm제어수단(7)은, 기억부(8)에 있는 루팅 테이블에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에 관한 MAGb(3)과의 터널링을 설정하고, 확인을 위해 터널 생성 Ack를 MAGb(3)에 송신한다. 이것으로, S509에서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은 MAGc(31)에 전송되게 된다.
LMA(4)로부터 루팅 셋업을 받은 MAGc(31)의 Netlmm제어수단(7)은, S510에서 루팅 셋업 Ack를 LMA(4)에 송신한다.
MAGc(31)로부터 루팅 셋업 Ack를 받은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S511에서 적어도 MN(1)의 프레픽스 정보를 포함하는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 Ack를 MAGc(31)에 송신한다.
또한, S512에서,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MAGb(3)에 대해, LMA(4)-MAGb(3) 간의 터널을 삭제하기 위해, MAGb(3)에 로케이션 디레지스트레이션을 송신하고, S513에서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기억부(8)에 있는 루팅 테이블로부터 LMA(4)-MAGb(3)에 관한 터널링 설정을 삭제하고, LMA(4)에 로케이션 디레지스트 레이션 Ack를 송신하여 터널링 설정을 해소한다.
LMA(4)로부터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 Ack를 받은 MAGc(31)의 Netlmm제어수단(7)은, S514에서 프레픽스 정보로부터 RA 등의 MN(1)용의 어드레스 컨피규레이션 정보를 생성하고, MN(1)에 송신한다.
S515에서, MN(1)은, 어드레스의 컨피규레이션을 행하고, 최종 확인을 위해 DAD를 NA를 사용하여 MAGc(31)에 행한다. 이 DAD를 받고, S516에서 MAGc(31)의 Netlmm제어수단(7)은, 적어도 MAGc-ID, MN어드레스 및 MN-ID를 포함하는 MN어드레스 셋업을 LMA(4)에 송신한다.
그리고, S517에서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기억부(13)의 데이터 베이스에 액세스하고, MN(1)에 관한 통신 정보 중의 패킷을 배달하는 MAG에 관한 데이터에 있어서, MAGb(3)의 데이터를 삭제하고, MAGc(31)의 데이터를 기억하고, MN어드레스 셋업 Ack를 MAGc(31)에 송신하고,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S518에서, MAGc(31)에 패킷을 전송하기 시작한다. 또한, MAGc(31)의 Netlmm제어수단(7)은, S519에서, MN(1)에 패킷의 배달을 시작한다.
이상과 같이, MAG간에서의 전송 필요가 없어진 타이밍에 전송의 터널 설정을 해소함으로써, MAG의 리소스를 효과적으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6 실시 형태]
도1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실시 형태의 도1과 같이, MN(1)이 MAGa(2)로부터 MAGb(3)로 이동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동원의 루터 MAGa(2)의 버퍼에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이 없어진 시점에서, MAGa(2) 자신이 MAGb(3)과의 터널을 해소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13과 같이, S601에서, MN(1)은 통상대로, 새로운 MAG인 MAGb(3)에 네트워크 컨피규레이션을 위한 정보, 예컨대 RS를 송신한다. 이 정보는 MN의 식별자인 MN-ID를 포함한다.
S602에서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받은 정보를 토대로 LMA(4)에 대해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을 송신한다. 이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은 MAGb(3)의 식별자인 MAGb-ID와 MN-ID를 포함하고 있다.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을 받은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MN-ID를 키로 사용하여 기억부(13)에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데이터에서는 현재 MN(1)가 MAGa(2)의 지배하에 있는 상태인 것을 인식한다.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을 받은 결과,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MN(1)은 이동 중에 핸드오버인 것을 검지하여, MAGa-ID, MAGb-ID 및 MN-ID를 일 세트로 하여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S603에서,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MAGa(2)에 대해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을 MAGb(3)에 전송 지시하는 통지를 송신한다. 이 지시 통지에는, MAGb-ID 및 MN-ID가 포함되어 있고, MAGb-ID와 관련시켜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 용 의) 터널 생성인 취지의 제어 정보가 동시에 기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S604에서,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적어도 LMA(4)의 식별자인 LMA-ID, MN(1)의 글로벌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루팅 셋업을 생성하여 MAGb(3)에 송신한다.
MAGa(2)의 Netlmm제어수단(7)에서는, LMA(4)로부터의 전송 지시를 받고, S605에서, MAGb(3)에 대해, 적어도 MAGa-ID와 MN-ID를 포함하는 터널 생성 명령을 행한다.
S606에서,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기억부(8)에 있는 루팅 테이블에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에 관한 MAGa(2)와의 터널링을 설정하고, MAGa(2)에 확인을 위해 터널 생성 Ack를 송신한다. 이것으로 MAGa(2)의 버퍼 전송용의 터널이 MAGa(2)와 MAGb(3)간에 생성되게 되고, MAGa(2)는, S607에서, MAGb(3)에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의 전송을 개시한다.
LMA(4)로부터 루팅 셋업을 받은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S608에서 루팅 셋업 Ack를 LMA(4)에 송신한다.
MAGb(3)로부터 루팅 셋업 Ack를 받은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S609에서 적어도 MN(1)의 프레픽스 정보를 포함하는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 Ack를 MAGb(3)에 송신한다.
LMA(4)로부터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 Ack를 받은 MAGb(3)의 Netlmm 제어수단(7)은, S610에서 프레픽스 정보로부터 RA 등의 MN(1)용의 어드레스 컨피규레이션 정보를 작성하고, MN(1)에 송신한다.
S611에서, MN(1)은, 어드레스의 컨피규레이션을 행하고, 최종 확인을 위해 DAD를 NA를 사용하여 MAGb(3)에 행한다. 이 DAD를 받고, S612에서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적어도 MAGb(3)의 MAGb-ID, MN어드레스 및 MN-ID를 포함하는 MN어드레스 셋업을 LMA(4)에 송신한다.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기억부(13)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 MN(1)에 관한 통신 정보 중의 패킷을 배송하는 MAG에 관한 데이터에 있어서, MAGa(2)의 데이터를 삭제, MAGb(3)의 데이터를 기억하고, MAGb(3)와 LMA(4)간에 터널이 생성되고, S613에서 MN어드레스 셋업 Ack를 MAGb(3)에 송신하고,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S614에서, MAGb(3)에 패킷을 전송하기 시작한다. 또한,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S615에서, MN(1)에 패킷의 배달을 시작한다.
LMA(4)-MAGb(3) 간에 터널이 생성된 결과,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은 MAGa(2)에는 달하지 않게 되고, MAGa(2)에서 버퍼링하고 있던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은 MAGb(3)에 전송하면 감소한다. MAGa(2)의 Netlmm제어수단(7)은, 일시기억부(9)의 버퍼를 감시하고, 버퍼가 0으로 되면, MAGb(3)에 대해 터널 삭제를 통지하고, 터널을 삭제한다.
즉, S616에서, MAGa(2)의 Netlmm제어수단(7)은, 기억부(8)에 있는 루팅 테이블로부터 MAGa(2)와 MAGb(3)간의 터널 설정을 삭제하고, 터널의 삭제를 지시하는 통지를 MAGb(3)에 송신한다. 이 지시 통지에는 적어도, MAGa-ID 및 MN-ID가 포함되어 있고, MAGa-ID에 관련시켜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용의) 터널 삭제의 취지가 지시 통지 제어 정보에 기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617에서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확인을 위해 터널 삭제 Ack를 MAGa(2)에 송신한다.
또한, S618에서,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MAGa(2)에 대해, LMA(4)-MAGa(2) 간의 터널을 삭제하기 위해, MAGa(2)에 로케이션 디레지스트레이션을 송신하고, S619에서 MAGa(2)의 Netlm제어수단(7)은, 기억부(8)에 있는 루팅 테이블로부터 LMA(4)-MAGa(2)에 관한 터널링 설정을 삭제하고, LMA(4)에 로케이션 디레지스트레이션 Ack를 송신하여 터널링 설정을 해소한다.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전송원의 MAG의 버퍼가 0으로 된 시점에서, 전송원의 MAG가 전송 목적지의 MAG와의 터널 설정을 자동적으로 해소하기 때문에, MAG의 리소스를 효과적으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7 실시 형태]
도1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5실시 형태와 같이,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MN(1)이 MAGa(2)의 링크로부터 MAGb(3)의 링크로 이동되고, 그리고 MAGc(31)의 링크로 이동된 경우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MAGb(3)는, LMA(4)로부터 로케이션 디레지스트레이션을 받으면, MAGa(2)와의 터널을 삭제하는 점에 있다.
도14와 같이, S701에서, MN(1)은 통상대로, 새로운 MAG인 MAGc(31)에 네트워크 컨피규레이션을 위한 정보를 송신한다. 이 정보는 예컨대, RS, DHCP Request, NA 등이 고려된다. 이 정보에는 MN의 식별자인 MN-ID가 적어도 포함된다.
S702에서, MAGc(31)의 Netlmm제어수단(7)은, 받은 정보를 토대로 LMA(4)에 대해 로케이션 디레지스트레이션을 송신한다. 이 로케이션 디레지스트레이션은, MAGc(31)의 식별자 및 MAGc-ID와 MN-ID를 포함하고 있다.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을 받은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MN-ID를 키로 사용하여 기억부(13)에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데이터에서 현재 MN(1)이 MAGb(3)의 링크에 있는 상태인 것과, MAGb(3)이 MAGa(2)와 터널을 갖는 것을 인식한다. 로케이션 디레지스트레이션을 받은 결과,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MN(1)은 이동 중에 핸드오버인 것을 검지하고, MAGb-ID, MAGc-I 및 MN-ID를 일 세트로 하고 MAGa-ID, MAGb-ID 및 MN-ID를 일 세트로 하여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S703에서, 적어도 LMA(4)의 식별자인 LMA-ID 및 MN(1)의 글로벌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루팅 셋업을 생성하여 MAGc(31)에 송신한다.
또한, S704에서,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의 MAGc(31)에의 전송 지시 통지를 MAGb(3)에 송신한다. 이 지시 통지에는 적어도, MAGc-ID 및 MN-ID가 포함되어 있고, MAGc-ID와 관련시켜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 용의) 터널 생성의 취지의 제어 정보가 기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때에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기억부(13)의 데이터베이스의 MN(1)에 관한 통신 정보에 액세스하고, MAG와 MAG간의 터널에 관한 데이터에 있어서, MAGb(3)와 MAGc(31)간에 터널이 생성된 취지의 정보를 기억한다.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에서는, LMA(4)로부터의 전송 지시를 받고, S705에서 MAGc(31)에 적어도 MAGb-ID와 MN-ID를 포함하는 터널 생성을 명령한다.
S706에서, MAGc(31)의 Netlmm제어수단(7)은, 기억부(8)에 있는 루팅 테이블에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에 관한 MAGb(3)과의 터널링을 설정하고, 확인을 위해 터널 생성 Ack를 MAGb(3)에 송신한다. 이것으로 MAGb(3)의 버퍼 전송용의 터널이 MAGb와 MAGc간에 생성되게 되고, S707에서, MAGb(3)는,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을 MAGc(31)에 전송을 개시한다.
LMA(4)로부터 루팅 셋업을 받은 MAGc(31)의 Netlmm제어수단(7)은, S708에서 루팅 셋업 Ack를 LMA(4)에 송신한다.
MAGc(31)로부터 루팅 셋업 Ack를 받은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S709에서 적어도 MN(1)의 프레픽스 정보를 포함하는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 Ack를 MAGc(31)에 송신한다.
또한, LMA(4)-MAGc(31) 간의 터널이 완성한 후, LMA(4)는 MAGb(3)에 대해 로케이션 디레지스트레이션을 송신한다.
S710에서,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LMA(4)와 MAGb(3)간의 터널을 삭제하기 위해, 로케이션 디레지스트레이션을 MAGb(3)에 송신한다. 이것은 통상, LMA(4)-MAGb(3) 간 터널의 삭제를 위해 송신하고, 통상 MN-ID, LMA-ID 및 MAGb-ID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로케이션 디레지스트레이션에, 다시, MAGa(2)의 식별자인 MAGa-ID와 이에 관련되어 MAGa(2)와의 터널 삭제 지령 제어 정보를 추가한다.
그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은 로케이션 디레지스트레이션을 받은 MAGb(3)에서는, LMA(4)와의 터널 해소 이외에 MAGa(2)와의 터널도 삭제한다.
한편, LMA(4)로부터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 Ack를 받은 MAGc(31)의 Netlmm제어수단(7)은, S711에서 프레픽스 정보로부터 RA 등의 MN(1)용의 어드레스 컨피규레이션 정보를 작성하고, MN(1)에 송신한다.
S712에서, MN(1)은, 어드레스의 컨피규레이션을 행하고, 최종 확인을 위해 DAD를 NA를 사용하여 MAGc(31)에 행한다. 이 DAD을 받고, S713에서, MAGc(31)의 Netlmm제어수단(7)은, 적어도 MAGc(31)의 MAGc-ID, MN어드레스 및 MN-ID를 포함한 MN어드레스 셋업을 LMA(4)에 송신한다.
또한, LMA(4)로부터 MAGa(2)와의 터널 삭제 제어 정보를 부가한 로케이션 디레지스트레이션을 수신한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S714에서, 기억부(8)에 있는 루팅 테이블로부터 LMA(4)와 MAGb(3)간의 터널링 설정을 삭제하고, LMA(4)에 로케이션 디레지스트레이션 Ack를 송신하여 터널링 설정을 해소한다. 이 로케이션 디레지스트레이션 Ack에는 MAGa(2)의 MAGa-ID가 포함되어 있고, MAG와 MAG간의 터널 삭제를 나타내는 정보가 관련되어 있다.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MAGb(3)로부터의 로케이션 디레지스트레이션 Ack를 받으면, 로케이션 디레지스트레이션 Ack로부터 MAG와 MAG간의 터널 삭제의 정보를 추출하고, MAGb(3)와 MAGa(2)간의 터널이 삭제된 것으로 인식하여, 기억부(13)의 데이터베이스의 MN(1)에 관한 통신 정보로부터, MAGb(3)와 MAGa(2)간의 터널에 관한 정보를 삭제한다.
또한,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MAGa(2)에 대해 터널 삭제를 통지하고, 터널을 삭제한다.
즉, S715에서,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터널의 삭제를 지시하는 통지를 MAGa(2)에 송신한다. 이 지시 통지에는 적어도, MAGb-ID 및 MN-ID가 포함되어 있고, MAGb-ID에 관련시켜(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용의) 터널 삭제의 취지가 지시 통지 제어 정보로 기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716에서 MAGa(2)의 Netlmm제어수단(7)은, 기억부(8)에 있는 루팅 테이블로부터 MAGa(2)-MAGb(3) 간의 터널 설정을 삭제하고, 확인을 위해 터널 삭제 Ack를 MAGb(3)에 송신한다.
또한, 한편, MAGc(31)로부터 MN어드레스 셋업을 수신한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기억부(13)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 MN(1)에 관한 통신 정보 중의 패킷을 배달하는 MAG에 관한 데이터에 있어서, MAGb(3)의 데이터를 삭제하고, MAGc (31)의 데이터를 기억하고, S717에서 MN어드레스 셋업 Ack를 MAGc(31)에 송신하고, LMA(4)의 Netlmm제어수단(12)은, S718에서, MAGc(31)에, 패킷의 전송을 시작한다. 또한, MAGc(31)의 Netlmm제어수단(7)은, S719에서, MN(1)에 패킷의 배달을 시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LMA(4)로부터 MAGa(2)와의 터널 삭제 지시 제어 정보를 부가한 로케이션 디레지스트레이션을 받은 MAGb(3)에서는, LMA(4)와의 터널 삭제 이외에 MAGa(2)와의 터널도 삭제함으로써 MAG의 리소스를 효과적으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8 실시 형태]
도1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의 정상 종료를 트리거로 사용하여에 MAG-MAG 간의 터널을 삭제하는 경우에 대해, MN(1)이 MAGa(2)의 링크로부터 MAGb(3)의 링크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통신이 종료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
MN(1)이 통신을 정상적으로 종료하는 경우, OSI 기본참조 모델의 제5층인 세션층에 있어서의 통화 제어 프로토콜인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이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배신하기 위해 제어하는 프로토콜인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를 사용하여 통신 종료를 통신 상대에 통지하는 것이 많다. 이 통신 종료 메시지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링크의 MAG(본 예의 경우, MN(1)의 이동 목적지 링크에 있는 MAGb(3))를 통하기 때문에, 이 이동 목적지의 링크의 MAG에서는 이 통신 종료 메시지를 받은 것을 트리거로 사용하여 터널 삭제 지시 통지를 이동원 링크에 있는 MAG(본 예의 경우, MAGa(2))에 송신한다.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S801에서, MN(1)은 통신 상대에 SIP-Bye나 RTSP-TEARDOWN 메시지를 통신 종료를 위해 송신한다.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이 메시지를 통신 상대에게 중계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그 메시지를 받으면, 소스 어드레스 등으로부터 MN(1)을 특정하고, MN(1)의 식별자 MN-ID를 취득한다. 또한, 그 메시지 자체는 IP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한다.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MN-ID를 취득하면, S802에서, 기억부(8)에 있는 그의 MN-ID에 관한 루팅 테이블을 참조하고, 전송 상태를 확인하여 MAGb(3)와 MAGa(2)간에 터널을 보유하는 것을 검지하고, S803에서, MAGa(2)에 터널 삭제 지시 통지를 송신한다.
S804에서,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MAG와 MAG간의 터널의 삭제 통지를 LMA(4)에 송신한다. 이 터널 삭제 통지에는, MAGa-ID, MAGb-ID 및 MN-ID가 포함되고, MAG-MAG 터널 삭제를 나타내는 정보와 관련되어 있다.
S805에서, MAGa(2)의 Netlmm제어수단(7)에서는, MAGb(3)로부터의 터널 삭제 지시 통지를 받고, 기억부(8)에 있는 루팅 테이블로부터 MAGa(2)와 MAGb(3)간의 터널 설정을 삭제하고, 확인을 위해 터널 삭제 Ack를 MAGb(3)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S804 대신, MAGa(2)가 MAG와 MAG간의 터널 삭제 통지를 LMA(4)에 송신해도 좋다. 이 삭제 통지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정보가 기술된다.
또는, 제2실시 형태와 같이 LMA(4)가 MAG와 MAG간의 터널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필요가 없는 경우, 이와 같은 터널 삭제 통지를 LMA(4)에 송신하는 수순을 생략할 수 있다.
또는, MAGb(2)로부터 LMA(4)에 송신되는 로케이션 레지스트레이션에, 상기한 바와 같은 MAG-MAG 터널 삭제 정보를 부가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MN으로부터 송신되는 통신 종료 메시지를, 중계를 행하는 이동 목적지 링크의 MAG가 수신하기 때문에, 이것을 트리거로 사용하여, 이동 목적지의 MAG는, 이동원 링크의 MAG에 대해, 지금까지 전송을 행하고 있던 터널 설정 삭제 지시 통지를 송신할 수 있어, MAG의 리소스를 효과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제9 실시 형태]
도1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MN(1)의 통신 이상(異常) 종료를 트리거로 사용하여 MAG와 MAG간의 터널을 삭제하는 경우에 대해, MN(1)이 MAGa(2)의 링크로부터 MAGb(3)의 링크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통신이 이상 종료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
MN(1)이 권외로 이동하는 등으로 통신이 이상 종료한 경우, MN(1)은 MAG에 대해 세션층에서의 통신 종료를 통지할 수 없기 때문에, 제8실시 형태와 같은 방법은 사용할 수 없다.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G(본 예의 경우,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근린 탐색(ND, Neighbor Discovery, RFC2461)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S901에서, 자신의 링크에 MN(1)이 없는 것을 검출한다.
다음에 S902에서,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기억부(8)에 있는 루팅 테이블로부터, 없어진 MN(1)의 식별자인 MN-ID를 파악하고, 그의 MN(1)에 관한 전송 상태를 파악한다. 그 결과,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MAGa(2)와 터널링에 의한 전송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파악하고, S903에서, MN(1)에 관한 패킷의 터널을 삭제하는 것을 MAGa(2)에 통지한다.
S904에서, MAGb(3)의 Netlmm제어수단(7)은, MAG와 MAG간의 터널의 삭제 통지를 LMA(4)에 송신한다. 이 터널 삭제 통지에는, MAGa-ID, MAGb-ID 및 MN-ID가 포함되고, MAG-MAG 터널 삭제를 나타내는 정보와 관련되어 있다.
MAGa(2)의 Netlmm제어수단(7)에서는, 터널 삭제 지시 통지를 받고, 기억부(8)의 루팅 테이블로부터 MAGb(3)과의 터널 설정을 삭제하고, S905에서, MAGb(3)에 터널 삭제 Ack를 회신한다. 여기에서, S904 대신, MAGa(2)가 LMA(4)에 MAG와 MAG간의 터널 삭제 통지를 송신해도 된다. 이 삭제 통지에는, 상기와 같은 정보가 기술된다.
또는, 제6실시 형태와 같이 LMA(4)가 MAG-MAG 터널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필요가 없는 경우, 이와 같은 터널 삭제 통지를 LMA(4)에 송신하는 순서를 생략할 수 있다.
또는, MAGb로부터 LMA(4)에 송신되는 로케이션 디레지스트레이션에, 상기한 바와 같은 MAG와 MAG간의 터널 삭제 정보를 부가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MN과의 통신이 이상 종료한 경우에도, 그때까지 MN과 동일 링크였던 MAG가, MN에 관하여 전송을 위한 터널 설정을 행하고 있던 상대방의 MAG에 대해, 터널 삭제 지시 통지를 송신하므로, MAG의 리소스를 효과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제10 실시 형태]
도1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의 개략 구성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1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퀀스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로서, Proxy Mobile IP 방식을 이용한 경우에, 패킷 손실 없이 핸드오버하고, 효율적으로 터널을 삭제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Proxy Mobile IP 방식이란, 인증 등을 행하는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인증, 허가, 과금) 서버를 사용하고, MAG가 Mobile IP 에 있어서의 MN의 프록시(대리) 기능을 행하는 방식이다.
도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Ga(2)의 링크로부터 MAGb(3)의 링크로 이동한 MN(1)이, MAGc(31)의 링크로 옮기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Proxy Mobile IP 방식에 있어서의 AAA서버(41)와 LMA(4)는, 네트워크(42)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도18의 S10Ol에서, MN(1)은 이동 후, 통상대로 새로운 링크의 MAG인 MAGc(31)에 인증을 위한 정보를 송신한다. 이 정보는,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등을 사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 인증 요구에는, MN(1)의 식별자인 MN-ID가 포함된다.
MN(1)으로부터 인증 요구를 받은 MAGc(31)는, S10O2에서, AAA서버(41)에 대해 인증 정보를 송신한다. 이 인증 정보에는, MN-ID가 포함된다.
MAGc(31)로부터 인증 요구를 받은 AAA서버(41)은, MN-ID를 키로 사용하여 이 서버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인증을 허가할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인증을 허가하는 경우, S10O3에서, 데이터베이스 중의 MN(1)의 홈 어드레스 정보나 LMA(4)의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MN(1)에 관한 정보를 폴리시 프로파일로서 MAGc(31)에 송신한다.
인증 허가 및 폴리시 프로파일을 받은 MAGc(31)는, 폴리시 프로파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토대로, S1004에서, Proxy BU(Binding Update)를 작성하고, LMA(4)에 송신한다.
Proxy BU를 받은 LMA(4)는, S10O5에서, MAGc(31)의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한 버퍼전송 및 터널 삭제 지시 통지를, 이동 전에 속하고 있던 MAG인 MAGb(3)에 송신한다.
버퍼전송 및 터널 삭제 지시 통지를 받은 MAGb(3)는, S10O6에서 MAGc (31)에 터널 생성 지시 통지를 송신한다.
MAGb(3)로부터 터널 생성 지시 통지를 받은 MAGc(31)는, MAGb(3)로부터 MAGc(31)로의 터널을 생성하고, S10O7에서 MAGb(3)에 터널 생성 Ack를 송신한다.
터널 생성 Ack를 받은 MAGb(3)는, S10O8에서 MAGc(31)의 버퍼에 머무르던 MN(1)에 어드레싱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S1009에서, MAGb(3)는, LMA(4)와의 LMA(4)-MAGb(3) 간의 터널을 파기하여, 터널 삭제 Ack를 LMA(4)에 송신한다.
터널 삭제 Ack를 받은 LMA(4)는, S101O에서, MAGc(31)에 Proxy BAck (Binding Update Acknowledgement)를 송신한다. 이 결과, LMA(4)-MAGc(31) 터널이 생성된다.
한편, S1011에서, MAGb(3)는, MAGa(2)에 터널 삭제 지시 통지를 송신한다.
터널 삭제 지시 통지를 MAGb(3)로부터 받은 MAGa(2)는, MAGa(2)와 MAGb(3)간의 터널을 삭제하고, S1012에서, MAGb(3)에 터널 삭제 Ack를 송신한다.
Proxy BAck를 LMA(4)로부터 받은 MAGc(31)는, S1013에서, MN(1)에 RA 나 DHCP Advertise 등의 어드레스 컨피규레이션을 위한 정보를 송신한다.
어드레스 컨피규레이션 정보를 MAGc(31)로부터 받은 MN(1)은, S1014에서, NA(DAD)를 행한다.
MAGc(31)는, MN(1)의 어드레스 설정이 종료하고, 패킷을 받을 수 있게 되면 S1015에서,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을 MN(1)에 전송하기 시작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Proxy Mobile IP 방식에 있어서도, 핸드오버 시에 패킷 손실없이 통신할 수 있고, LMA와 MAG간의 터널의 삭제를 트리거로 사용하여 필요가 없어진 MAG와 MAG간의 터널도 삭제하여, MAG의 리소스를 효과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것을 기술했다.
즉, Proxy Mobile IP 방식을 채용하여도 본 발명에 관한 작용 및 효과는 동일하다.
[제11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로서 Proxy Mobile IP 방식을 이용한 경우의 다른 예에 대해 기술한다.
도1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의 개략 구성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2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퀀스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MN(1)은, MAGa(2)의 링크로부터 MAGb(3)의 링크로 이동한다. MAGb(3)는, LMA(4)와의 터널을 생성한 후에, MAGa(2)에 터널 생성 및 버퍼 전송의 지시 통지를 송신한다. MAGa(2)는, 버퍼가 없어진 시점에서, 터널 삭제 지시 통지를 MAGb(3)에 송신한다.
도20의 S11O1에서, MN(1)은 이동 후, 통상 대로 새로운 링크의 MAG인 MAGb(3)에 인증을 위한 정보를 송신한다. 이 정보로서, EAP 등을 사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 인증 요구에는 MN(1)의 식별자인 MN-ID가 포함된다.
인증 요구를 MN(1)로부터 받은 MAGb(3)는, S11O2에서, 인증 정보를 AAA서버(41)에 송신한다. 이 인증 정보는, MN-ID를 포함하고 있다.
MAGb(3)로부터 인증 요구를 받은 AAA서버(41)는, MN-ID를 키로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인증을 허가할지 여부의 판단을 한다. 인증을 허가하는 경우, S11O3에서, 데이터베이스 중의 MN(1)의 홈 어드레스 정보나 LMA(4)의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MN(1)에 관한 정보를 폴리시 프로파일로서 MAGb(3)에 송신한다.
AAA서버로부터 인증 허가/폴리시 프로파일을 받은 MAGb(3)는, S11O4에서, 폴리시 프로파일로부터 얻은 정보를 토대로, Proxy BU를 작성하여 LMA(4)에 송신한다.
MAGb(3)로부터 Proxy BU를 받은 LMA(4)는, S11O5에서, MAGb(3)로 Proxy BAck를 회신한다. 이 Proxy BAck에는, 핸드오버 전의 MAG인, MAGa(2)의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 Proxy BAck에 의해 LMA(4)와 MAGb(3)간의 터널이 생성된다.
LMA(4)로부터 Proxy BAck를 받은 MAGb(3)는, LMA(4)와 MAGb(3)간의 터널을 생성하고, S1106에서, LMA(4)로부터 MAGb(3)로 패킷의 전송이 개시된다. MAGb(3)는, 또한, S11O7에서, Proxy BAck로부터 얻은 정보를 토대로, Proxy FBU(Fast Binding Update)를 생성하고, MAGa(2)에 송신한다.
MAGb(3)로부터 Proxy FBU를 받은 MAGa(2)는, S11O8에서, Proxy FBAck를 생성하고, MAGb(3)에 송신한다. 이 결과, MAGa(2)와 MAGb(3)간에 터널이 완성되기 때문에, S11O9에서, MAGa(2)는,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의 버퍼전송을 개시한다.
LMA(4)에 다다른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은, MAGb(3)에 배달되기 때문에, MAGa(2)가 갖고 있는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의 버퍼는, MAGc(31)에 전송하면 없어진다. 이 버퍼가 없어지면, MAGa(2)는, S111O에서, MAGb(3)에 터널 삭제 지시 통지를 송신한다.
MAGa(2)로부터 터널 삭제 지시 통지를 받은 MAGb(3)는, S1111에서, MAGa(2)로부터 MAGb(3)에의 터널을 삭제하고, 터널 삭제 Ack를 MAGa(2)에 송신한다. 또한, 터널 삭제 지시 통지를 받은 것에 의해 MAGb(3)는, MN(1)에 전송할 패킷을 모두 수신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S1112에서, 어드레스 컨피규레이션을 위한 RA를 MN(1)에 송신한다.
MAGb(3)로부터 터널 삭제 Ack를 받은 MAGa(2)는, MAGa(2)로부터 MAGb(3)로의 터널을 삭제한다.
MAGb(3)로부터 RA를 받은 MN(1)은, S1113에서, 어드레스의 중복 확인을 위해, NA(DAD)를 행한다. 또한, 이 스텝은, 생략되기도 한다.
MN(1)의 어드레스 컨피규레이션이 종료하면, S1114에서, MAGb(3)는, MN(1)에 대해 MN(1)에 어드레싱된 패킷의 전송을 개시한다.
이상과 같이, Proxy Mobile IP 방식에 있어서, MN(1)의 이동 목적지의 MAG는, LMA와의 터널을 생성한 후에, 이동원의 MAG에 터널 생성 및 버퍼 전송의 지시 통지를 송신하기 때문에, 패킷 손실 없이 핸드오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동원의 MAG는, 버퍼가 없어진 시점에서, 이동 목적지의 MAG에 대해, 터널의 삭제의 지시 통지를 송신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MAG의 리소스의 개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루터 및 그의 통신 방법은, 상술한 도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제어장치, 루터 및 그의 통신 방법은, 이동 단말이 특별한 프로토콜을 탑재하지 않아도 이동가능한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에 있어서, 핸드오버 중의 패킷 손실을 없애고, 또한 루터의 리소스를 효과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1은 제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의 개략 구성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제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서의 MAG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서의 LMA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5는 제2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6은 제3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의 개략 구성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제3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8은 제3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어드레스를 나타낸 표이다.
도9는 제4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의 개략 구성 및 패킷의 흐름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10은 제4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11은 제5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의 개략 구성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12는 제5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13은 제6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14는 제7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15는 제8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16은 제9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17은 제10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의 개략 구성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18은 제10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19는 제1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의 개략 구성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20은 제1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21은 패스트 핸드오버 수법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22는 종래의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의 핸드오버 수법의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23은 종래의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의 핸드오버 수법의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부호의 설명
1,21,22,31 모바일 노드
2,3 모바일·액세스·게이트웨이
4 로컬·모빌리티·앵커
5 MN 통신 수단
6,10 Netlmm통신 수단
7,12 Netlmm제어수단
8,13 기억부
9 일시기억부
11 외부 네트워크 통신 수단
41 AAA서버
42네트워크

Claims (8)

  1. 이동 단말의 이동에 따라 중계 장치를 절환할 때, 상기 이동 단말에 부여된 소정의 어드레스를 유지하는 통신을 계속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의 절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이동원의 중계 장치로부터 이동 목적지의 중계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로가 확립되고, 이동원의 중계 장치로부터 이동 목적지의 중계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고,
    상기 이동 단말의 이동원의 중계 장치는, 데이터 전송이 종료될 때 전송 해제 통지를 상기 이동 목적지의 중계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로는 상기 전송 해제 통지에 기초하여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이동원의 중계 장치는, 전송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없어진 후에 상기 데이터 전송로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데이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이동원의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이동 목적지의 중계 장치 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이동 목적지의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5. 이동 단말의 이동에 따라 중계 장치를 절환하는 단계;
    상기 중계 장치의 절환 전후에 상기 이동 단말에 부여된 소정의 어드레스를 유지하는 통신을 계속하는 단계;
    상기 중계 장치의 절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이동원의 중계 장치로부터 이동 목적지의 중계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단계;
    이동원의 중계 장치로부터 이동 목적지의 중계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및
    데이터 전송이 종료될 때 전송 해제 통지를 상기 이동원의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이동 목적지의 중계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해제 통지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로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없어진 후에 상기 데이터 전송로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로를 통하여 상기 이동원의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이동 목적지의 중계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이동 목적지의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KR1020097016152A 2006-09-06 2007-08-31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루터 및 그의 통신 방법 KR101090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41684 2006-09-06
JPJP-P-2006-241684 2006-09-06
JP2006245719 2006-09-11
JPJP-P-2006-245719 2006-09-11
PCT/JP2007/067016 WO2008029732A1 (en) 2006-09-06 2007-08-31 Communication system using network base ip mobility protocol, control device, router, and its communication metho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896A Division KR101078243B1 (ko) 2006-09-06 2007-08-31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루터 및 그의 통신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726A Division KR101298080B1 (ko) 2006-09-06 2007-08-31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루터 및 그의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972A true KR20090087972A (ko) 2009-08-18
KR101090189B1 KR101090189B1 (ko) 2011-12-06

Family

ID=3915716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6152A KR101090189B1 (ko) 2006-09-06 2007-08-31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루터 및 그의 통신 방법
KR1020117005726A KR101298080B1 (ko) 2006-09-06 2007-08-31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루터 및 그의 통신 방법
KR1020097005896A KR101078243B1 (ko) 2006-09-06 2007-08-31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루터 및 그의 통신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726A KR101298080B1 (ko) 2006-09-06 2007-08-31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루터 및 그의 통신 방법
KR1020097005896A KR101078243B1 (ko) 2006-09-06 2007-08-31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루터 및 그의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20110149839A1 (ko)
EP (4) EP2134110B1 (ko)
JP (4) JP4950204B2 (ko)
KR (3) KR101090189B1 (ko)
CN (3) CN101536432B (ko)
ES (1) ES2547707T3 (ko)
WO (1) WO200802973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456B1 (ko) * 2009-12-11 2014-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로우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장치
WO2024076010A1 (ko) * 2022-10-06 2024-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70271A1 (en) * 2006-09-28 2009-06-17 Nxp B.V. Improved process for transferring data in a dual transfer mode between a mobile network and mobile stations, and corresponding circuit mobility management entity
US8768357B2 (en) 2007-04-25 2014-07-01 Qualcomm Incorporated Changes of forward-link and reverse-link serving access points
JP4572215B2 (ja) * 2007-05-28 2010-11-04 シャー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ベースipモビリティプロトコルを利用した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ルータ及びその通信方法
US8634344B2 (en) * 2007-08-06 2014-01-21 Marvell World Trade Ltd. Dynamic internet protocol addressing solutions with network-based mobility
WO2009068075A1 (en) * 2007-11-26 2009-06-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JP5214737B2 (ja) * 2007-11-26 2013-06-19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ネットワークで使用する方法および装置
GB2455978A (en) * 2007-12-24 2009-07-01 King S College London Packet-switched access networks
CN101547383B (zh) * 2008-03-26 2013-06-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接入认证方法及接入认证系统以及相关设备
US20090316650A1 (en) * 2008-05-02 2009-12-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Fast handover method using l2/l3 combination
KR101166030B1 (ko) 2008-05-02 2012-07-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L2/l3 결합방식의 고속 핸드오버 방법
EP2207379A1 (en) * 2009-01-09 2010-07-14 Alcatel, Lucent Method for handover of a mobile nod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JP5191936B2 (ja) * 2009-03-24 2013-05-08 Kddi株式会社 ハンドオーバ制御システム、magおよび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US9860793B2 (en) * 2009-04-20 2018-01-02 Nec Corporation Gateway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US8509815B1 (en) * 2009-05-21 2013-08-13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ynamically updating a home agent with location-based information
EP2478719B1 (en) * 2009-09-18 2017-06-2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ast mobility
US8873507B2 (en) 2009-10-02 2014-10-28 Futurewei Technologies, Inc. Distributed local mobility anchors for achieving optimized mobility routing
US8824353B2 (en) * 2009-10-02 2014-09-02 Futurewei Technologies, Inc. Mobility route optimization in a network having distributed local mobility anchors
CN102763460A (zh) * 2009-10-06 2012-10-31 北方电讯网络有限公司 用于移动接入网关间隧道传输以进行快速切换过渡的系统和协议
JP5317350B2 (ja) * 2009-12-24 2013-10-16 Kddi株式会社 Ip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移動端末のハンドオーバ方法、システム、アクセスゲートウェイ及びプログラム
US8842607B2 (en) * 2010-01-08 2014-09-23 Futurewei Technologies, Inc. Mob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2196402B (zh) * 2010-03-08 2016-06-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终端切换的方法及系统
US8744448B2 (en) 2010-06-09 2014-06-03 Panasonic Corporation Radio base station device, handover control system, and handover control method
CN102387584B (zh) * 2010-08-31 2014-10-22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移动接入网关及其快速切换方法、代理移动IPv6系统
CN103002527B (zh) 2011-09-13 2015-04-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中继节点切换方法、基站、和通讯系统
KR101909666B1 (ko) 2012-06-08 2018-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컨텐츠 센트릭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5977616B2 (ja) * 2012-08-08 2016-08-24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及びデータ転送方法
WO2015109583A1 (zh) * 2014-01-26 2015-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包发送方法及移动路由器
JP6520725B2 (ja) * 2016-01-05 2019-05-29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情報提供システム
EP3459228A1 (en) * 2016-05-18 2019-03-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ocal break-out in mobile ip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2162B2 (ja) * 1995-01-05 1999-08-30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移動パケット通信方法
JP3322176B2 (ja) * 1997-07-08 2002-09-09 日本電気株式会社 呼処理信号中継方式
JP2001339752A (ja) * 2000-05-30 2001-12-07 Mitsubishi Electric Corp 外部エージェントおよびスムーズハンドオフ方法
ATE469522T1 (de) * 2000-10-18 2010-06-15 Ericsson Telefon Ab L M Nahtlose weiterreichung bei mobile ip
US20020136226A1 (en) * 2001-03-26 2002-09-26 Bluesocke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seamless roaming of mobile devices among wireless networks
US7313628B2 (en) * 2001-06-28 2007-12-25 Nokia, Inc. Protocol to determine optimal target access routers for seamless IP-level handover
JP4108950B2 (ja) * 2001-09-12 2008-06-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ハンドオーバ制御装置、無線端末機、エッジルータ、ルータ、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JPWO2003071749A1 (ja) * 2002-02-20 2005-06-16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体ネットワーク
US7342903B2 (en) * 2002-04-15 2008-03-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utilization of multiple uplinks in reverse tunneling
US7539164B2 (en) * 2002-06-14 2009-05-2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local mobility management
JP2004128636A (ja) * 2002-09-30 2004-04-22 Ntt Docomo Inc 移動局、基地局、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選択方法、及び、ハンドオーバ方法
JP2004222156A (ja) * 2003-01-17 2004-08-05 Victor Co Of Japan Ltd 電話システム
JP2005012718A (ja) 2003-06-23 2005-01-13 Hitachi Ltd 移動体ip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2005160054A (ja) * 2003-11-04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通信方法および移動通信装置
EP1720363A1 (en) * 2004-02-25 2006-11-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handover method, communication mess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se methods, and communication system
CN1947359B (zh) * 2004-02-25 2010-05-05 日本电气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及移动通信方法
JP4423118B2 (ja) * 2004-06-08 2010-03-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アクセスルータ、管理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CN1993941B (zh) * 2004-07-30 2010-06-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新路径设置方法、移动终端、及路径管理设备
ITMI20051802A1 (it) * 2005-09-28 2007-03-29 Marconi Comm Spa Schema di ricevitore ottico con prestazioni migliorate ed elemento decisore tutto ottico
EP1968337B1 (en) * 2005-12-27 2013-07-17 Fujitsu Limited Handover control method
JP2007251249A (ja) * 2006-03-13 2007-09-27 Fujitsu Ltd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通信中継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456B1 (ko) * 2009-12-11 2014-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로우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장치
WO2024076010A1 (ko) * 2022-10-06 2024-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267A (ko) 2009-06-04
US8325677B2 (en) 2012-12-04
JP2013201781A (ja) 2013-10-03
US20150172960A1 (en) 2015-06-18
KR101298080B1 (ko) 2013-08-20
KR101090189B1 (ko) 2011-12-06
CN102638786A (zh) 2012-08-15
USRE45465E1 (en) 2015-04-14
JPWO2008029732A1 (ja) 2010-01-21
EP2733972A1 (en) 2014-05-21
WO2008029732A1 (en) 2008-03-13
CN101697617B (zh) 2014-11-05
KR20110034043A (ko) 2011-04-04
JP5592975B2 (ja) 2014-09-17
ES2547707T3 (es) 2015-10-08
EP2068507A1 (en) 2009-06-10
KR101078243B1 (ko) 2011-10-31
US20110149839A1 (en) 2011-06-23
CN101697617A (zh) 2010-04-21
JP2009296616A (ja) 2009-12-17
CN101536432B (zh) 2012-05-23
JP4950204B2 (ja) 2012-06-13
EP2134110B1 (en) 2012-10-17
EP2068507A4 (en) 2009-12-09
EP2733972B1 (en) 2015-07-01
EP2068507B1 (en) 2012-07-04
EP2477425A1 (en) 2012-07-18
US20090290529A1 (en) 2009-11-26
CN101536432A (zh) 2009-09-16
JP2012142983A (ja) 2012-07-26
EP2134110A1 (en) 2009-12-16
EP2477425B1 (en) 2017-05-03
JP4943474B2 (ja) 2012-05-30
JP5291817B2 (ja) 2013-09-18
CN102638786B (zh)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189B1 (ko) 네트워크 베이스 ip 모빌리티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루터 및 그의 통신 방법
EP1643693B1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home agent apparatus, access router information server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478700B2 (ja) ネットワークベースipモビリティプロトコルを利用した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ルータ及びその通信方法
JP4563941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並びにアクセスルータ
US20100208691A1 (en)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apparatus and router using network-based ip mobility protocol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the same
WO2005067228A1 (ja) 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並びにアクセスルータ
JP4572215B2 (ja) ネットワークベースipモビリティプロトコルを利用した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ルータ及びその通信方法
JP4461155B2 (ja) ネットワークベースipモビリティプロトコルを利用した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ルータ及びその通信方法
JP4500831B2 (ja) ネットワークベースipモビリティプロトコルを利用した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ルータ及びその通信方法
JP4500830B2 (ja) ネットワークベースipモビリティプロトコルを利用した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ルータ及びその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