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7806A - 정맥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정맥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7806A
KR20090087806A KR1020080110310A KR20080110310A KR20090087806A KR 20090087806 A KR20090087806 A KR 20090087806A KR 1020080110310 A KR1020080110310 A KR 1020080110310A KR 20080110310 A KR20080110310 A KR 20080110310A KR 20090087806 A KR20090087806 A KR 20090087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guide member
vein
finger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모치즈키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7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2Sensors therefor direct reading, e.g. contactless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4Vascular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mage Inpu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을 절약하는 정맥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정맥 촬상 장치(10)는 촬상부(12)와 가이드 부재(13)를 갖는다. 촬상부(12)는 손바닥의 정맥 패턴을 촬상한다. 가이드 부재(13)는 촬상부(12)의 촬상면의 가장자리부에 세워 설치된다. 가이드 부재(13)는 촬상부(12)의 촬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의 위치에 손가락이 접촉됨에 의해, 촬상부(12)의 촬상면에 대한 손바닥의 위치를 유도한다.
지지 부재, 촬상부, 가이드 부재, 돌기부, 손가락 유지부

Description

정맥 촬상 장치{VEIN 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정맥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바닥의 정맥 패턴을 촬상하는 정맥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생체 인증 기술의 발달에 의해, 안전하고 정확하게 개인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 특히, 손바닥이나 손가락의 정맥에 의한 인증 방법은, 이용의 편이성이나 높은 인증률의 점으로부터, 금융 기관의 ATM(Automated Teller Machine)의 이용자 인증으로부터 개인 컴퓨터로의 로그인까지 강고(强固)한 시큐리티를 유지한 본인 확인 방법으로서 널리 보급되어 있다.
여기서, 정맥 인증에서는 체내의 기관인 정맥의 패턴을 근적외선을 이용하여 촬상한다. 그리고, 촬상한 정맥 패턴을 사전에 등록한 정맥 패턴과 비교하거나, 또는 촬상한 정맥 패턴으로부터 특징 정보를 취출·분석하고, 그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비교함으로써 인증을 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등록시의 정맥 패턴 또는 정맥 정보와 본인 확인시에 촬상된 정맥 패턴 또는 정맥 정보가 높은 정밀도로 일치할 필요가 있다. 본인 확인시에 정맥 패턴의 촬상 정밀도를 손상시키는 요인으로서, 촬상시의 손의 위치의 변화를 주요 요인으로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상시 에 손의 위치가 촬상에 적합한 소정의 위치에 없는 경우나, 손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움직이고 있는 경우에, 정확한 정맥 패턴의 촬상을 행하는 것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처럼, 본인 확인시의 정맥 패턴의 촬상을 높은 정밀도로 행하기 위해, 촬상 대상인 손가락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고 손가락의 정맥 패턴의 촬상을 행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또한, 손바닥의 정맥 패턴을 촬상하고, 특징 정보를 분석하여 본인 확인을 행하는 경우에는, 촬상 대상으로 되는 손 전체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여 정맥 패턴의 촬상을 행할 필요가 있다.
도 12는 손바닥의 정맥 패턴의 촬상에 이용되고 있는 정맥 촬상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a)는 정맥 촬상 장치(50)의 좌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b)는 정맥 촬상 장치(50)의 상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a)에는 정맥 촬상 장치(50)에 정맥의 촬상을 위해 탑재된 손(54)도 나타나 있다.
정맥 촬상 장치(50)는 지지 부재(51), 촬상부(52) 및 가이드 부재(53)를 갖는다. 지지 부재(51)는 촬상부(52) 및 가이드 부재(53)를 지지한다. 촬상부(52)는 지지 부재(51)에 삽입 설치된다. 촬상부(52)는 손(54)의 손바닥의 정맥 패턴을 촬상한다. 1쌍의 가이드 부재(53)는 촬상부(52)의 촬상면에 대하여 세워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53)는 1쌍의 손 유지부(53a)를 갖는다. 손 유지부(53a)는 손(54)의 손가락과 수근(手根)부를 탑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정맥 촬상 장치(50)에 의하면, 손(54)을 촬상부(52)에 대하여 일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촬상부(52)에 대하여 사용되는 렌즈의 광각화, 오토 포커스 기능 및 렌즈 수차(收差)를 보정하기 위한 기능이 불필요해져, 낮은 단가로 정맥 패턴에 의한 본인 확인 환경을 실현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 2006-9949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 2003-30632호 공보
그러나, 상기 정맥 촬상 장치(50)에서는, 1쌍의 손 유지부(53a) 사이의 영역으로서, 손(54)을 유지하기 위해 손바닥을 덮을 만큼의 면적을 갖는 영역이 필요해져, 정맥 촬상 장치(50)의 설치 면적이 이 영역의 면적에 의해 결정된다. 그 때문에, 촬상부(52)를 소형화해도, 정맥 촬상 장치(50)를 소형화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공간을 절약하는 정맥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손바닥의 정맥 패턴을 촬상하는 정맥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이 정맥 촬상 장치는 촬상부와 가이드 부재를 갖는다. 촬상부는 손바닥의 정맥 패턴을 촬상한다. 가이드 부재는 촬상부의 촬상면의 가장자리부에 세워 설치된다. 가이드 부재는 촬상부의 촬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의 위치에 손가락이 접촉됨에 의해, 촬상면에 대한 손바닥의 위치를 유도한다.
이러한 정막 촬상 장치에 의하면, 촬상부에 의해 손바닥의 정맥 패턴이 촬상된다. 또한, 촬상부의 촬상면의 가장자리부에 세워 설치된 가이드 부재의 촬상부의 촬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의 위치에 손가락을 접촉함에 의해, 촬상면에 대한 손바닥의 위치가 유도된다.
상기 정맥 촬상 장치에 의하면, 공간 절약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촬상 장치의 사시도이다. 정맥 촬상 장치(10)는 지지 부재(11), 촬상부(12) 및 가이드 부재(13)를 갖는다.
지지 부재(11)는 촬상부(12) 및 가이드 부재(13)를 지지한다.
촬상부(12)는 지지 부재(11)에 삽발(揷拔)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지지된다. 촬상부(12)는, 예를 들면 근적외선의 입사를 검출하는 촬상 소자로 이루어져, 손바닥의 정맥 패턴을 촬상한다.
가이드 부재(13)는 촬상되는 손가락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부재이고,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시에는 촬상부(12)의 촬상면의 가장자리부에 세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로서, 가이드 부재(13)는 지지 부재(11)에 삽발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지지된다. 가이드 부재(13)는 지지 부재(11)와는 반대측의 단부(端部)에, 돌기부(13a) 및 손가락 유지부(13b)를 갖는다.
돌기부(13a)는 촬상부(12)의 촬상면으로부터의 높이 방향에 돌기하고, 촬상면과 평행한 방향에 소정 간격만큼 떨어져서 설치된 1쌍의 돌기이다. 이러한 돌기의 높이는 손가락의 수평 방향(즉, 돌기의 병렬 방향)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예를 들면 1㎝로 한다.
손가락 유지부(13b)는 1쌍의 돌기부(13a)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 오목부에 대 응한다. 돌기부(13a) 사이에 가이드 부재(13)의 촬상부(12)측의 면으로부터 손가락이 삽입되고, 그 손가락이 손가락 유지부(13b)에 접촉됨으로써, 촬상부(12)로부터 손바닥까지의 거리와 손바닥의 수평 방향의 위치를 정맥 패턴의 촬상에 최적으로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3)는 지지 부재(11)에 삽입 설치된다. 가이드 부재(13)를 세워 설치할 때의 각도는, 손가락을 손가락 유지부(13b)에 삽입했을 시에, 촬상부(12)의 촬상면의 중심에 대하여 손바닥의 중심이 바로 위에 배치되도록 결정된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촬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이용시의 정면도, (b)는 (a)의 AA단면도이다.
여기서, 동 도면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부(12)와 손가락 유지부(13b) 사이의 거리는 촬상부(12)의 화각(畵角)이나 초점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거리는, 예를 들면, 5㎝이다. 또한, 동 도면의 (b)는 촬상부(12)와 가이드 부재(13)가 지지 부재(11)에 삽발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지지 부재(11)는 홈(11a)과 홈(11b)을 갖는다. 홈(11a)은 가이드 부재(13)를 삽입 설치하기 위한 홈이다. 홈(11b)은 촬상부(12)를 삽입 설치하기 위한 홈이다. 정맥 촬상 장치(10)의 수납시에는, 가이드 부재(13)는 홈(11a)으로부터 빼서, 지지 부재(11)와 가이드 부재(13)를 분리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촬상부(12)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와 가이드 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 낸 도면이다. 지지 부재(11)의 홈(11a)에 삽입 설치된 가이드 부재(13)는, 도면과 같이 홈(11a)으로부터 빼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지지 부재(11)와 가이드 부재(13)는 분리한 상태로 보관해둘 수 있다. 또한, 본인 확인에 이용할 때에는, 가이드 부재(13)를 홈(11a)에 삽입 설치한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촬상 장치의 이용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에는 정맥 촬상 장치(10)에 손가락을 얹은 상태인 손(15)도 나타나 있다. 정맥 촬상 장치(10)는 외부 접속 커넥터(14)를 더 갖는다.
외부 접속 커넥터(14)는 단말 장치(도시 생략)와 접속되어, 정맥 촬상 장치(10)가 촬상한 정맥 패턴이 단말 장치에 송신된다. 그리고, 단말 장치에 도입된 정맥 패턴의 조합(照合) 소프트웨어에 의해, 정맥 패턴에 의한 본인 확인이 행해진다. 또는 단말 장치에 도입된 소프트웨어(알고리즘)에 의해 특징 정보가 분석 추출되어, 미리 등록되어 있는 특징 정보에 의해 본인 확인이 행해진다. 외부 접속 커넥터(14)로서는,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2.0에 준거한 커넥터가 이용된다. 또한, 조합하기 위한 기능을 정맥 촬상 장치(10)가 갖고 있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외부 접속 커넥터(14)에 의해, 단말 장치로 본인 확인의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만이 송신된다.
그리고, 손(15)의 중지가 손가락 유지부(13b)에 삽입됨으로써, 손(15)의 손바닥의 수평 방향의 위치가 촬상에 적합해지도록 유도된다. 또한, 손가락 유지부(13b)의 높이를 촬상부(12)가 정맥 패턴을 촬상하기 위해 최적인 높이로 함으로써, 손(15)의 손바닥의 높이가 이 위치에 유도된다.
이처럼, 수근(手根)부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손가락을 얹기 위한 가이드 부재(13)를, 촬상부(12)와 거의 동일한 정도의 설치 면적인 지지 부재(11)에 삽입 설치하도록 했기 때문에, 정맥 촬상 장치(10)의 설치 면적이 최소한으로 되어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3)는 삽발 가능으로 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지지 부재(11)와 분리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 부재(13)를 눕혀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높이 방향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수납에서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가이드 부재(13)를 지지 부재(11)에 삽발 가능하게 삽입 설치하는 것으로 했지만, 회동(回動) 가능하게 장착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사용시에는 가이드 부재(13)가 촬상면에 대하여 세워 설치된 상태로 되고, 비사용시에는 가이드 부재(13)를 촬상면과 평행해지도록 촬상면측으로 쓰러뜨리도록 함으로써, 비사용시에 필요한 수납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맥 촬상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정맥 촬상 장치(20)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정맥 촬상 장치(10)의 가이드 부재(13)를 와이어에 의해 형성한다. 정맥 촬상 장치(20)는 지지 부재(21), 촬상부(22) 및 가이드 부재(23)를 갖는다.
지지 부재(21)는 촬상부(22) 및 가이드 부재(23)를 지지한다. 지지 부재(21)는 1쌍의 홈(21a)을 갖고 있다. 홈(21a)은 가이드 부재(13)를 수납하기 위한 홈이고, 촬상부(22)를 사이에 끼우고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관통 홀(21b)은 가이드 부재(23)의 일단(一端)을 관통시켜, 가이드 부재(23)를 지지 부재(21)에 장착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촬상부(22)는 도 1의 촬상부(12)에 대응한다.
가이드 부재(23)는 와이어를 구부림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이 예에서는 그 외형이 동일 평면상에 존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촬상부(22)의 촬상면의 가장자리부에 세워 설치된다. 가이드 부재(23)는 지지 부재(2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홈(21a)의 가장자리에 의해 촬상부(22)에 의한 정맥 패턴의 촬상에 최적인 각도로 지지된다. 가이드 부재(23)의 일단에는 돌기부(23a) 및 손가락 지지부(23b)가 형성되고, 타단(他端)은 회동부를 구성하고 있다.
돌기부(23a)는 도 1의 돌기부(13a)에 대응한다.
손가락 지지부(23b)는 도 1의 손가락 지지부(13b)에 대응한다.
가이드 부재(23)의 타단측은 지지 부재(21)에 설치된 1쌍의 관통 홀(21b)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가이드 부재(23)는 관통 홀(21b)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23)를 세워 설치한 상태로 했을 때의 각도는, 손가락을 가이드 부재(23)에 얹었을 때에, 촬상부(22)의 촬상면 중심에 대하여 손바닥의 중심이 바로 위에 배치되도록 결정된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맥 촬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a)는 이용시의 좌측면도, (b)는 수납시의 상면도이다. 가이드 부재(23)는 동 도면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21a)의 가장자리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동 도면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시에는 가이드 부재(23)를 정맥 촬상 장치(20)의 촬상부(22)측으로 쓰러뜨려서 홈(21a)에 수납할 수 있다.
여기서, 정맥 촬상 장치(20)의 이용예에 관해서는, 앞서 서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처럼, 수근부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손가락을 얹기 위한 가이드 부재(23)를 촬상부(22)와 거의 같은 정도의 설치 면적인 지지 부재(21)에 삽입 설치하도록 했기 때문에, 정맥 촬상 장치(20)의 설치 면적이 최소한으로 되어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23)는 회동 가능으로 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쓰러뜨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가이드 부재(23)를 옆으로 쓰러뜨려 보관할 수 있으므로, 높이 방향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수납에서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 가이드 부재(23)를 지지 부재(2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으로 했지만, 지지 부재(21)에 삽발 가능하게 삽입 설치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지지 부재(21)와 가이드 부재(23)를 분리하여, 가이드 부재(23)를 눕혀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높이 방향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수납에서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정맥 촬상 장치의 사시도이다. 정맥 촬상 장치(30)는 지지 부재(31), 촬상부(32) 및 가이드 부재(33)를 갖는다.
지지 부재(31)는 촬상부(32) 및 가이드 부재(33)를 지지한다. 지지 부 재(31)는 홈(31a)을 갖고 있다. 홈(31a)은 가이드 부재(33)를 수납하기 위한 홈이다.
촬상부(32)는 도 1의 촬상부(12)에 대응한다.
가이드 부재(33)는 봉 형상이고, 사용시에는 촬상부(32)의 촬상면의 가장자리부에 세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부재(33)는 지지 부재(3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홈(31a)의 가장자리에 의해 촬상부(32)에 의한 정맥 패턴의 촬상에 최적인 각도로 지지된다. 가이드 부재(33)는 높이 지시부(33a)를 갖는다.
높이 지시부(33a)는 정맥 패턴을 촬상하는 데 있어서의, 촬상부(32)의 촬상면으로부터의 최적인 높이 위치를 나타내는 표식이다. 높이 지시부(33a)는 유저에 대하여 손가락을 접촉할 장소를 유도한다. 높이 지시부(33a)에 손가락의 일부를 접촉시킴으로써, 촬상부(32)로부터 손바닥까지의 높이를 정맥 패턴의 촬상에 최적으로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정맥 촬상 장치(30)의 촬상부(32)측으로부터 높이 지시부(33a)에 대하여, 예를 들면 중지와 약지 사이의 손가락 뿌리 부분을 접촉시킴으로써, 수평 방향의 위치를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중지와 약지로 가이드 부재(33)를 사이에 끼우기 때문에, 유도된 위치로부터 손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정맥 촬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a)는 이용시의 우측면도, (b)는 수납시의 상면도이다. 정맥 촬상 장치(30)는 회동부(34)를 더 갖는다.
회동부(34)는,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의 단부가 지지 부재(31)에 대하여 수 평 방향에 대하여 관통됨으로써, 가이드 부재(33)의 회동 중심축으로 된다.
가이드 부재(33)는 동 도면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31a)의 가장자리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동 도면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시에는 가이드 부재(33)를 정맥 촬상 장치(30)의 촬상부(32)측으로 쓰러뜨려서 홈(31a)에 수납할 수 있다.
도 9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정맥 촬상 장치의 이용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에는, 정맥 촬상 장치(30)에 손가락을 접촉시킨 상태인 손(36)도 나타나 있다.
정맥 촬상 장치(30)는 외부 접속 커넥터(35)를 더 갖는다. 여기서, 외부 접속 커넥터(35)는 도 4의 외부 접속 커넥터(14)에 대응한다.
손(36)은 정맥 촬상 장치(30)의 촬상부(32)측으로부터, 그 중지와 약지 사이의 손가락 뿌리 부분이 높이 지시부(33a)에 접촉된다. 높이 지시부(33a)의 높이를 촬상부(32)가 정맥 패턴을 촬상하기 위해 최적인 높이로 함으로써, 손(36)의 높이를 이 위치에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손(36)의 수평 방향의 위치를 정맥 패턴의 촬상에 최적인 위치로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중지와 약지로 가이드 부재(33)를 사이에 끼우기 때문에, 유도된 위치로부터 손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수근부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손가락을 접촉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33)를 촬상부(32)와 거의 같은 정도의 설치 면적인 지지 부재(31)에 장착하도록 했기 때문에, 정맥 촬상 장치(30)의 설치 면적이 최소한으로 되어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33)는 회 동 가능으로 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쓰러뜨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가이드 부재(33)를 촬상부(32)측으로 쓰러뜨려 보관할 수 있으므로, 높이 방향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수납에서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 가이드 부재(33)를 지지 부재(3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으로 했지만, 지지 부재(31)에 삽발 가능하게 삽입 설치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지지 부재(31)와 가이드 부재(33)를 분리하고, 가이드 부재(33)를 눕혀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높이 방향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수납에서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10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정맥 촬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a)는 이용시의 우측면도, (b)는 수납시의 우측면도이다. 정맥 촬상 장치(40)는 제 3 실시예에 나타낸 봉 형상의 가이드 부재(33)를 신축 가능하게 한 것이다. 정맥 촬상 장치(40)는 지지 부재(41), 촬상부(42) 및 가이드 부재(43)를 갖는다.
지지 부재(41)는 촬상부(42) 및 가이드 부재(43)를 지지한다. 지지 부재(41)는 홈(41a)을 갖고 있다. 홈(41a)은 가이드 부재(43)를 삽입 설치하기 위한 홈이다.
촬상부(42)는 도 1의 촬상부(12)에 대응한다.
가이드 부재(43)는 신축 가능한 봉 형상이고, 촬상부(42)의 촬상면의 가장자리부에 세워 설치된다. 가이드 부재(43)는 지지 부재(41)에 삽발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홈(41a)의 가장자리에 의해 촬상부(42)에 의한 정맥 패턴의 촬상에 최적 인 각도로 지지된다.
높이 지시부(43a)는 도 7의 높이 지시부(33a)에 대응한다.
여기서, 가이드 부재(43)는 동 도면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시에는 짧게 줄일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수납을 위해 높이 방향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수납에서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43)는 삽발 가능하기 때문에, 줄인 상태로 지지 부재(41)와 분리하여 보관하면 더 효과적이다.
도 11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정맥 촬상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41a)을 정맥 촬상 장치(40)의 촬상부(42)측을 바라보는 방향으로부터 좌우에 설치함으로써, 유저가 선호하는 위치에 가이드 부재(43)를 세워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왼손으로 인증하고 싶은 경우나, 검지와 중지 사이를 가이드 부재에 접촉시켜서 인증하고 싶은 경우에는, 정맥 촬상 장치(40)의 촬상부(42) 측을 바라보는 방향으로부터 좌측에 가이드 부재(43)를 세워 설치시킬 수 있다.
정맥 촬상 장치(40)의 이용예에 관해서는 앞서 서술한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처럼, 수근부를 지지하기 이한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손가락을 접촉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43)를 촬상부(42)와 거의 같은 정도의 설치 면적인 지지 부재(41)에 삽입 설치하도록 했기 때문에, 정맥 촬상 장치(40)의 설치 면적이 최소한으로 되어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43)는 삽발 가능으로 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지지 부재(41)와 분리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 부재(43)를 눕혀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높이 방향의 공간을 필요 로 하지 않아, 수납에서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부재(43)는 신축 가능하기 때문에, 줄인 상태로 지지 부재(41)와 분리해서 보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 가이드 부재(43)를 지지 부재(41)에 삽발 가능하게 삽입 설치하는 것으로 했지만, 가이드 부재(43)는 지지 부재(4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도 된다. 이렇게 해도, 가이드 부재(43)를 줄이고, 또한 옆으로 쓰러뜨려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높이 방향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수납에서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의 주요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부기대로이다.
(부기 1) 손바닥의 정맥 패턴을 촬상하는 정맥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맥 패턴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의 촬상면의 가장자리부에 세워 설치된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촬상부의 촬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의 위치에 손가락이 접촉됨에 의해 상기 촬상면에 대한 상기 손바닥의 위치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촬상 장치.
(부기 2)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촬상면으로부터의 높이 방향으로 돌기하고, 또한, 상기 촬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떨어져서 배치된 1쌍의 돌기부를 갖고 있으며, 당해 1쌍의 돌기부 사이에 끼워진 오목부에 상기 손가락이 상기 촬상부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접촉됨에 의해, 상기 촬상면에 대한 상기 손바닥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위치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 된 정맥 촬상 장치.
(부기 3) 상기 가이드 부재는 판 형상 또는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에 기재된 정맥 촬상 장치.
(부기 4) 상기 촬상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갖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삽발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거나, 또는,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에 기재된 정맥 촬상 장치.
(부기 5) 상기 촬상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갖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수납할 때에는, 상기 촬상면을 따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에 기재된 정맥 촬상 장치.
(부기 6) 상기 촬상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갖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봉 형상이며, 상기 손가락을 접촉시키기 위한 상기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를 갖고 있고, 상기 지지 부재에 삽발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거나, 또는,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정맥 촬상 장치.
(부기 7) 상기 가이드 부재는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6에 기재된 정맥 촬상 장치.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촬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이용시의 정면도, (b)는 (a)의 AA 단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와 가이드 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맥 촬상 장치의 이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맥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맥 촬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이용시의 좌측면도, (b)는 수납시의 상면도.
도 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정맥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정맥 촬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이용시의 우측면도, (b)는 수납시의 상면도.
도 9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정맥 촬상 장치의 이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0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정맥 촬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이용시의 우측면도, (b)는 수납시의 우측면도.
도 11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정맥 촬상 장치의 상면도.
도 12는 손바닥의 정맥 패턴의 촬상에 이용되고 있는 정맥 촬상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지지 부재 12…촬상부
13…가이드 부재 13a…돌기부
13b…손가락 유지부

Claims (5)

  1. 손바닥의 정맥 패턴을 촬상(撮像)하는 정맥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맥 패턴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의 촬상면의 가장자리부에 세워 설치된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촬상부의 촬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의 위치에 손가락이 접촉됨에 의해 상기 촬상면에 대한 상기 손바닥의 위치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촬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촬상면으로부터의 높이 방향으로 돌기하고, 또한, 상기 촬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떨어져서 배치된 1쌍의 돌기부를 갖고 있으며, 당해 1쌍의 돌기부 사이에 끼워진 오목부에 상기 손가락이 상기 촬상부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접촉됨에 의해, 상기 촬상면에 대한 상기 손바닥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위치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촬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판 형상 또는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촬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갖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삽발(揷拔)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거나, 또는, 회동(回動)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촬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갖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봉(棒) 형상이며, 상기 손가락을 접촉시키기 위한 상기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를 갖고 있고, 상기 지지 부재에 삽발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거나, 또는,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 촬상 장치.
KR1020080110310A 2008-02-13 2008-11-07 정맥 촬상 장치 KR200900878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31204A JP2009189446A (ja) 2008-02-13 2008-02-13 静脈撮像装置
JPJP-P-2008-031204 2008-0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806A true KR20090087806A (ko) 2009-08-18

Family

ID=40939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310A KR20090087806A (ko) 2008-02-13 2008-11-07 정맥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204010A1 (ko)
JP (1) JP2009189446A (ko)
KR (1) KR20090087806A (ko)
CN (1) CN1015102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7693B2 (ja) * 2011-11-16 2015-12-02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
JPWO2013073031A1 (ja) * 2011-11-17 2015-04-02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生体情報取得装置
WO2013073031A1 (ja) * 2011-11-17 2013-05-23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生体情報取得装置
CN204229420U (zh) * 2014-11-05 2015-03-25 亿百葩鲜数据科技(上海)有限公司 手掌静脉图像获取装置
USD814548S1 (en) 2016-08-11 2018-04-03 Gemalto Sa Capture device
USD815147S1 (en) 2016-08-12 2018-04-10 Gemalto Sa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30412S1 (en) 2016-08-15 2018-10-09 Gemalto Sa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01971S1 (en) 2016-09-19 2017-11-07 Gemalt Sa Capture device
USD844606S1 (en) * 2017-04-26 2019-04-02 Gemalto Sa Captur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1282A (en) * 1968-12-03 1971-05-25 Norman G Altman Palm print identification system
US3668633A (en) * 1970-01-29 1972-06-06 Dactylog Co Orientation and linear scan device for use in an apparatus for individual recognition
US5073949A (en) * 1989-03-16 1991-12-17 Kabushiki Kaisha Toshiba Personal verification apparatus
GB9410216D0 (en) * 1994-05-21 1994-07-06 Evans Leighton D Improvements relating to recognition system
JP3758823B2 (ja) * 1997-08-06 2006-03-22 倉敷紡績株式会社 生体の位置決め装置
JP3617476B2 (ja) * 2001-07-19 2005-0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指認証装置
CN100437624C (zh) * 2002-01-17 2008-11-26 十字验证技术公司 指纹工作站和方法
CA2371665A1 (en) * 2002-02-13 2003-08-13 Tactex Controls In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person
JP4207717B2 (ja) * 2003-08-26 2009-01-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個人認証装置
JP4515850B2 (ja) * 2004-07-30 2010-08-04 富士通株式会社 生体認証装置の誘導画面制御方法、生体認証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546169B2 (ja) * 2004-06-28 2010-09-15 富士通株式会社 手のひら認証用撮像装置
JP4462011B2 (ja) * 2004-11-01 2010-05-12 日本電気株式会社 Tv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およびtvアンテナ兼入力ペン
JP4855727B2 (ja) * 2005-07-22 2012-01-18 富士通株式会社 生体認証装置の委任事項変更方法、生体認証方法及び生体認証装置
JP2007301058A (ja) * 2006-05-10 2007-11-22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個人認証装置
JP2007334659A (ja) * 2006-06-15 2007-12-27 Oki Electric Ind Co Ltd 個人認証システム
JP4957514B2 (ja) * 2007-11-12 2012-06-20 富士通株式会社 ガイド装置、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ガイド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04010A1 (en) 2009-08-13
JP2009189446A (ja) 2009-08-27
CN101510251A (zh) 200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7806A (ko) 정맥 촬상 장치
US20200279093A1 (en) System and method of capturing and producing biometric-matching quality fingerprints and other types of dactylographic images with a mobile device
KR101210750B1 (ko) 지정맥 인증 장치
US8223199B2 (en) Finger vein authentication unit an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US20080317293A1 (en) Finger vein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2921991B1 (en) Image correction apparatus and image correction method
JP5365527B2 (ja) 生体認証用の撮影装置
JP2009032227A (ja) 指静脈認証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EP2172911A2 (en) Authentication apparatus
JP2008102728A (ja) 個人認証装置
JP2010211579A (ja) 生体認証装置
JP5799960B2 (ja) 生体認証装置、生体認証方法及び生体認証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WO2019151368A1 (ja) 生体認証装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287080A (ja) 指静脈認証装置および指静脈認証方法
KR20150069799A (ko) 얼굴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JP2009087263A (ja) 指静脈認証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WO2016063971A1 (ja) 生体撮像装置、生体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27693B2 (ja) 情報入力装置
CN101930536B (zh) 活体信息生成装置及方法、活体认证装置及方法
JP6091745B2 (ja) 荷物収容装置
JP2021179769A (ja) カードリーダ
KR101768939B1 (ko)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JP2012212435A (ja) 指静脈認証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7188780B2 (ja) 端末装置
JP5299632B2 (ja) 個人認証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503

Effective date: 2013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