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7547A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7547A
KR20090087547A KR1020080012856A KR20080012856A KR20090087547A KR 20090087547 A KR20090087547 A KR 20090087547A KR 1020080012856 A KR1020080012856 A KR 1020080012856A KR 20080012856 A KR20080012856 A KR 20080012856A KR 20090087547 A KR20090087547 A KR 20090087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pad
data input
pads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익수
김용주
한성우
송희웅
장재민
김형수
이지왕
박창근
최해랑
황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80012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7547A/ko
Publication of KR20090087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5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G11C5/025Geometric lay-out considerations of storage- and peripheral-blocks in a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6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ng storage elements electrically, e.g. by wiring
    • G11C5/063Voltage and signal distribution in integrated semi-conductor memory access lines, e.g. word-line, bit-line, cross-over resistance, propagation del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10Aspects relating to interfaces of memory device to external buses
    • G11C2207/105Aspects related to pads, pin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am (AREA)

Abstract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며 일렬로 배치되되 이분화되어 그룹핑된 복수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 외부로부터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를 인가받으며, 상기 그룹핑된 데이터 입출력 패드의 일측과 인접하여 일렬로 배치되는 일군(一群)의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 패드 및 이분화된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 클럭 핀으로부터 클럭 신호를 인가받는 제 1 클럭 패드 및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의 상기 일측과 일군의 상기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 패드 일측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외부 클럭 핀으로부터 클럭 신호를 인가받는 제 2 클럭 패드를 포함한다.
패드, 클럭, 스큐, DLL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클럭 패드가 배치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기식 메모리란 클럭에 동기시켜 동작하는 메모리를 의미한다. 한편, DDR(Double Data Rate)과 같은 고속 동기식 메모리에서는 외부 클럭에 데이터가 적절히 동기되도록 클럭을 지연 및 고정시키는 DLL(Delay Locked Loop) 회로를 이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기식 메모리에서 클럭은 모든 신호들을 동기시키는 기준이 되는 신호로서 중요하며, 특히, 데이터의 입출력시 DLL회로부를 경유한 클럭과 데이터를 동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외부의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외부 연결 단자(핀, 니들, 혹은 솔더링볼)로부터 회로부가 탑재되어 있는 칩내에 구비된 칩 패드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외부 신호를 인가받거나 칩으로부터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DLL 회로부는 칩 중앙에 배치하고, 칩의 가장자리이며DLL 회로부의 하측(또는 상측)에 클럭 패드를 구비하여 클럭에 의한 신호들의 중계를 관장한다. 하지만, 데이터 입출력 핀들의 물리적 위치에 따라 DLL회로부를 경유한 클럭 신호 들 사이에 스큐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DLL 회로부로부터 데이터 입출력 핀까지 경유되는 회로부들(클럭 버퍼등)의 로딩에 의해 각각의 데이터 입출력핀 사이에 신호의 스큐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큐의 발생을 최소화하며 데이터 입출력 핀에 클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중요하게 대두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클럭의 스큐를 줄이도록 클럭 패드가 배치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며 일렬로 배치되되 이분화되어 그룹핑된 복수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 외부로부터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를 인가받으며, 상기 그룹핑된 데이터 입출력 패드의 일측과 인접하여 일렬로 배치되는 일군(一群)의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 패드 및 이분화된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 클럭 핀으로부터 클럭 신호를 인가받는 제 1 클럭 패드 및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의 상기 일측과 일군의 상기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 패드 일측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외부 클럭 핀으로부터 클럭 신호를 인가받는 제 2 클럭 패드를 포함한다.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며 일렬로 배치되되 이분화되어 그룹핑된 복수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 외부로부터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를 인가받으며, 상기 그룹핑된 데이터 입출력 패드의 일측과 인접하여 일렬로 배치되는 일군(一群)의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 패드 및 이분화된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 사이에 개재되어 제 1외부 클럭 핀으로부터 클럭 신호를 인가받는 제 1 클럭 패드 및 상기 데 이터 입출력 패드의 상기 일측과 일군의 상기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 패드 일측 사이에 개재되어 제 2 외부 클럭 핀으로부터 클럭 신호를 인가받는 제 2 클럭 패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입출력 패드 그룹의 이분화된 중앙 위치에 클럭 패드를 배치시킨다. 또한, 클럭 패드 상부 중앙에 DLL 회로부를 배치시킴으로써 DLL 회로부로부터 각 데이터 입출력 패드와의 결선 경로를 단축하고, 신호의 비대칭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입출력 패드의 신호 스큐 현상을 감소시키며 안정적으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럭 패드가 배치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1)의 탑뷰(top-view)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1)는 회로 기판(10), 외부 연결 단자(20), 및 칩(100; chip)을 포함한다.
우선, 회로 기판(10)위에 칩(100)이 장착되고, 회로 기판(10)의 길이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측, 하측에 배열된 외부 연결 단자(20)가 구비된다. 여기서, 회로 기판(10)은 금속 패턴이 형성된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일 수 있다.
외부 연결 단자(20)는 외부에서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금속 물질로 형성된 단자로서, 외부 신호 인가 단자와 탐촉할 수 있는 핀(pin), 니들(niddle) 또는 솔더링볼(soldering ball)일 수 있다. 여기서는 형태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며, 다만 외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는 단자이면 가능한 것으로 예시한다.
칩(100)은 회로부(예컨대, 클럭 버퍼부(110), DLL 회로부(120), 입력 버퍼부(130)) 및 다수의 칩 패드(데이터 입출력 패드(GRI),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 패드(GRⅡ), 기타 패드(GRⅢ))들을 포함한다. 칩(10)은 회로 기판(10)과 열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칩(100)의 칩 패드(데이터 입출력 패드(GRI),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 패드(GRⅡ), 기타 패드(GRⅢ))와 외부 연결 단자(20)는 와이어 본딩(wire bonding)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는 전도성을 높인 금 도금된 물질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칩 패드(데이터 입출력 패드(GRI),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 패드(GRⅡ), 기타 패드(GRⅢ)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군(一群)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GRI)가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칩(100)의 길이 연장 방향의 가장자리 일측에 일렬로 배치된다. 이때, 데이터 입출력 패드(GRI)는 두 그룹으로 이분화(二分化)되어 배치된다. 데이터 입출력 패드(GRI)는 소정의 외부 연결 단자(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칩(100)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한다.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 패드(GRⅡ)는 데이터 입출력 패드(GRI)의 일측과 인접하여 일렬로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를 인가받는다.
여기서, 어드레스 패드 또는 커맨드 패드를 별도로 구분하지 않는 것은 DLL회로부(120)를 경유한 클럭을 인가받지 않는 패드 그룹이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외의 다른 패드들도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 패드(GRⅡ)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기타 패드(GRⅢ)는 데이터 입출력 패드(GRI)와 대향되어 칩(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패드로서 예시한다. 기타 패드(GRⅢ)는 어드레스 패드, 커맨드 패드 또는 기타 컨트롤 신호 패드일 수 있다.
한편, 제 1 클럭 패드(CK, CKB; CI)는 두 그룹으로 이분화된 데이터 입출력 패드(GRI) 위치에 개재되어 외부 클럭 핀(30)으로부터 클럭 신호를 인가받는다. 또한, 제 2 클럭 패드(CⅡ)는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 패드(GRⅡ) 일측과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 패드(GRII)에 인접한 데이터 입출력 패드(GRI)의 일측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 클럭핀(30)으로부터 클럭 신호를 인가받는다. 즉, 동일한 외부 클럭 핀(30)의 신호가 제 1 및 제 2 클럭 패드(CI, CⅡ)에 전달된다.
DLL 회로부(120)는 제 1 클럭 패드(CI)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어, 제 1 클럭 패드(CI)로부터의 클럭 신호를 수신하여 지연 및 고정시킨다. 이 경우, 제 1 클럭 패드(CI)의 상부 중앙에 배치된 DLL 회로부(120)는 제 1 클럭 패드(CI)로부터의 신호 전송 경로(path)가 단축되고, 이에 따라 클럭 신호 전송 경로의 RC 딜레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클럭 버퍼부(110)는 DLL 회로부(120)를 경유하여 출력되는 지연 고정된 클럭 신호를 버퍼링한다. 그리하여, 클럭 버퍼부(110)는 클럭 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 및 데이터 입출력 패드(GRI)와 결선되는 연결 라인(interconnection line;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지원하도록 클럭 신호는 모든 데이터 입출력 패드(GRI)에 전송되도록, 클럭 버퍼부(110)를 경유한 클럭 신호는 구동 능력이 큰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클럭 신호는 데이터 입출력 패드(GRI)와 결선된 연결 라인(미도시)을 통하여 모든 데이터 입출력 패드(GRI)에 전달될 수 있다.
종래에는 한쌍의 클럭 패드(CK, CKB)가 구비되고, 이를 통하여 데이터 입출력 패드 및 어드레스/커맨드 패드에 클럭 신호를 전송하였다. 이러한 클럭 패드 상측에 DLL 회로부가 구비되어 이를 통해 클럭 신호를 모든 데이터 입출력 패드에 전달시, 데이터 입출력 패드의 위치에 따라, 또는 DLL 회로부로부터 인가받은 클럭 신호를 중계하는 회로부들의 로딩에 의해 스큐가 발생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입출력 패드(GRI)가 이분화된 위치에 제 1 클럭 패드(CI)가 배치되고, 이러한 제 1 클럭 패드(CI)의 상부 중앙에 DLL 회로부(120)가 배치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클럭의 전송 경로를 단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DLL 회로부(120)가 이분화되어 그룹핑된 복수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GRI)의 중앙에 배치됨으로써, DLL 회로부(120)로부터 결선 구조에 따른 신호의 비대칭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에는 DLL 회로부(120)로부터 최장 거리에 위치한 데이터 입출력 패드(GRI)와 최단측 거리에 위치한 데이터 입출력 패드(GRI)의 물리적 위치에 따른 신호의 비대칭 현상으로 스큐 차이가 컸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신호의 비대칭 현상을 감소시키도록 이분화된 데이터 입출력 패드(GRI)의 중앙에 제 1 클럭 패드(CK, CKB)를 구비하고, 제 1 클럭 패드(CI)의 상측에 DLL 회로부(120)를 구비한다. 그리하여, DLL 회로부(120)로부터 데이터 입출력 패드(GRI)에 전달되는 클럭 신호의 스큐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제 1 클럭 패드(CI)는 데이터 입출력 패드(GRI)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클럭 패드(CⅡ)는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 패드(GRⅡ)용 클럭 패드일 수 있다.
즉, 동일한 외부 클럭 핀(30)으로부터 제 1 및 제 2 클럭 패드(CI, CII)에 클럭 신호가 인가되나, 제 1 및 제 2 클럭 패드(CI, CⅡ)의 위치에 따라 데이터 입출력 패드(GRI)용과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 패드(GRⅡ)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 패드(GRⅡ)로부터, 도시하지 않았으나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 회로부를 경유하여 입력 버퍼부(130)를 통해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이 경우,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지원하도록 제 2 클럭 패드(CⅡ)의 클럭 신호에 동기하여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럭 패드가 배치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1)의 탑뷰이다.
도 1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도 1과 다른 점만 자세히 상술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클럭 패드(CI)에 대응되는 제 1 외부 클럭핀(31)이 구비되고, 제 2 클럭 패드(CII)에 대응되는 제 2 외부 클럭 핀(32)이 구비된다.
즉, 각각의 제 1 및 제 2 클럭 패드(CI, CII)에 직접 대응되도록 추가의 외부 핀을 클럭 핀으로 할당하여 신호 전송 경로를 단축시킬 수 있다. 이로써, 결선 구조에 따른 신호의 비대칭을 보다 감소시킴과 동시에 고속화 동작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입출력 패드 그룹의 이분화된 중앙 위치에 클럭 패드를 배치시킨다. 또한, 클럭 패드 상부 중앙에 DLL 회로부를 배치시킴으로써 DLL 회로부로부터 각 데이터 입출력 패드와의 결선 경로를 단축하고, 신호의 비대칭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입출력 패드의 신호 스큐 현상을 감소시키며 안정적으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괼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럭 패드가 배치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탑뷰(top view),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럭 패드가 배치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탑뷰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로 기판 100 : 칩
110 : 클럭 버퍼부 120 : DLL 회로부
130 : 입력 버퍼부

Claims (4)

  1.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며 일렬로 배치되되 이분화되어 그룹핑된 복수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
    외부로부터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를 인가받으며, 상기 그룹핑된 데이터 입출력 패드의 일측과 인접하여 일렬로 배치되는 일군(一群)의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 패드; 및
    이분화된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 클럭 핀으로부터 클럭 신호를 인가받는 제 1 클럭 패드 및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의 상기 일측과 일군의 상기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 패드 일측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외부 클럭 핀으로부터 상기 클럭 신호를 인가받는 제 2 클럭 패드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럭 패드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클럭 신호를 수신하여 지연 및 고정시키는 DLL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며 일렬로 배치되되 이분화되어 그룹핑된 복수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
    외부로부터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를 인가받으며, 상기 그룹핑된 데이터 입출 력 패드의 일측과 인접하여 일렬로 배치되는 일군(一群)의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 패드; 및
    이분화된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 사이에 개재되어 제 1외부 클럭 핀으로부터 클럭 신호를 인가받는 제 1 클럭 패드 및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의 상기 일측과 일군의 상기 어드레스 또는 커맨드 패드 일측 사이에 개재되어 제 2 외부 클럭 핀으로부터 상기 클럭 신호를 인가받는 제 2 클럭 패드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상기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럭 패드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클럭 신호를 수신하여 지연 및 고정시키는 DLL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0080012856A 2008-02-13 2008-02-13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900875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856A KR20090087547A (ko) 2008-02-13 2008-02-13 반도체 메모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856A KR20090087547A (ko) 2008-02-13 2008-02-13 반도체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547A true KR20090087547A (ko) 2009-08-18

Family

ID=4120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856A KR20090087547A (ko) 2008-02-13 2008-02-13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75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27345A4 (en) * 2020-08-26 2022-11-23 Changxin Memory Technologies, Inc. TRANSMISSION CIRCUIT, INTERFACE CIRCUIT AND MEMO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27345A4 (en) * 2020-08-26 2022-11-23 Changxin Memory Technologies, Inc. TRANSMISSION CIRCUIT, INTERFACE CIRCUIT AND MEMO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9982B2 (en) Deskewed multi-die packages
US81499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of clock information in serial link ports
US8458507B2 (en) Bus frequency adjustment circuitry for use in a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WO1999046687A1 (fr) Emetteur de donnees
KR101916992B1 (ko) 넓은 주파수 범위에 걸친 정확한 클록 도메인 동기화를 위한 반도체 디바이스 및 방법
EP3058468B1 (en) Receiver architecture for memory reads
US20220200611A1 (en) Field programmable platform array
KR101895017B1 (ko) 창이 없는 와이어 본드 어셈블리를 위한 스터브 최소화
TW507505B (en) Electronic apparatus
KR20090087547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2006128339A (ja) マルチチップ・パッケージおよびicチップ
US9361971B2 (en) Semiconductor module
JP4812107B2 (ja) 半導体装置
US6151257A (en) Apparatus for receiving/transmitting signals in an input/output pad buffer cell
US81387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output module that optimizes frequency performance in a circuit
KR20080006749A (ko) 메모리 모듈 실장 테스트 시스템
KR20100040198A (ko) 전자소자 패키지
JP2005150391A (ja) 半導体装置
US7574687B1 (en) Method and system to optimize timing margin in a system in package module
JP2016035792A (ja) 半導体装置
JP5982836B2 (ja) 集積回路装置及び試験方法
KR101033490B1 (ko) 패드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H1168028A (ja) 集積回路パッケージおよびシステム
KR20030071094A (ko)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소자
JP2008270611A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