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7454A - 나노튜브, 특히 탄소 나노튜브 합성 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나노튜브, 특히 탄소 나노튜브 합성 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7454A
KR20090087454A KR1020097010722A KR20097010722A KR20090087454A KR 20090087454 A KR20090087454 A KR 20090087454A KR 1020097010722 A KR1020097010722 A KR 1020097010722A KR 20097010722 A KR20097010722 A KR 20097010722A KR 20090087454 A KR20090087454 A KR 20090087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tubes
catalyst
support
alumina
transition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미니끄 쁠레
쟝-루끄 뒤부아
안느 피가모
Original Assignee
아르끄마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0655226A external-priority patent/FR2909369B1/fr
Application filed by 아르끄마 프랑스 filed Critical 아르끄마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90087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45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1/00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82B1/008Nanostructur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82B1/001 - B82B1/00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Preparation
    • C01B32/162Preparation characterised by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06Multi-walled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20Nanotubes characterized by their properties
    • C01B2202/22Electron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20Nanotubes characterized by their properties
    • C01B2202/24Therm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20Nanotubes characterized by their properties
    • C01B2202/26Mechan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20Nanotubes characterized by their properties
    • C01B2202/36Dia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atalyst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제는 반응기 내 400 내지 1200℃ 범위의 온도에서, 기체 공급원을 적어도 하나 (하나 이상) 다가 전이 금속과 접촉시켜 분해함으로써, 나노튜브, 특히 탄소 나노튜브를 합성하는 방법으로, 상기 전이 금속(들)은 BET 법으로 측정된 비표면적이 50 ㎡/g 초과, 특히 70 ㎡/g 내지 400 ㎡/g 범위인 지지체 상에 지지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는 특히 무기성 지지체, 예를 들어, 다모드 다공성을 가진 알루미나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상기와 같이 수득된 나노튜브, 및 그 나노튜브의, 물질, 특히 중합체계 물질의 기계적 및/또는 전기적 및/또는 열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용도이다.

Description

나노튜브, 특히 탄소 나노튜브 합성 방법 및 이의 용도 {PROCESS FOR SYNTHESIZING NANOTUBES, ESPECIALLY CARBON NANOTUBES, AND THEIR USES}
본 발명의 주제는 촉매 유동층을 이용하는 화학적 기상 증착에 의한, 나노튜브 (nanotube), 특히 탄소 나노튜브의 합성 방법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합성된 나노튜브, 및 상기 합성된 나노튜브의, 물질, 특히 중합체계 물질의 기계적 및/또는 전기적 및/또는 열적 특성 개선을 위한 용도이다.
무기성 또는 탄소 나노튜브는 요즈음 이의 기계적 특성, 이의 매우 높은 형태 인자 (길이/직경 비율) 및 이의 전기적 및 열 전도 특성 때문에, 큰 장점을 가진 물질로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이들 나노튜브는 탄소, 붕소, 질소, 금속 디칼로코게나이드 (dichalocogenide) MX2 (M = Mo, Nb, Hf, W; X = S, Se), 산화 금속 MOx, 예컨대 TiO2, ZnO, ... 이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이루어진 나노튜브이다.
붕소, 질소 및/또는 탄소 기재 나노튜브는 풀러린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오각형 및 육각형으로 이루어진 반구체에 의해 감겨지고 종결되는 그래파이트 시트로 이루어진다.
나노튜브는 단일-벽 나노튜브, 즉 SWNT 로 지칭되는 단일 시트, 또는 다중- 벽 나노튜브, 즉 MWNT 로 불리우는 여러 동심 시트 (concentric sheet) 로 이루어진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붕소, 질소 및/또는 탄소 나노튜브는 방전, 레이져 제거 또는 화학적 기상 증착 (CVD) 과 같은 다양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금속-기재 나노튜브의 경우에, 졸-겔 (sol-gel) 공정이 사용된다.
이들 기술 중에서는, CVD 가, 자동차, 전자공학, 광전자공학, 항공 및 열 또는 전기 보호 산업 등의 각종 산업에 이용되는 중합체 및/또는 수지 기재 물질에서, 붕소, 질소 및/또는 탄소 나노튜브를, 대량 산업적으로 이용가능하게 만드는 비용 가격에 미치는 필수 조건으로, 상기를 상당량 제조할 수 있는 유일한 기술인 것처럼 보인다.
상기 CVD 방법에서는,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무기성 고체 상에 지지된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는 촉매 상으로, 질소-함유, 붕소-함유 및/또는 탄소-함유 기체 공급원을 주입한다. 상기 촉매 금속 중에서는, 바람직하게 철, 코발트, 니켈, 몰리브덴이 언급될 수 있으며, 지지체 중에서는, 알루미나, 실리카 및 마그네시아가 또는 심지어 탄소가 발견된다.
메탄, 에탄, 에틸렌, 아세틸렌, 벤젠,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또는 CO/H2 합성 기체 (HIPCO 공정) 조차도 예상할 수 있는 탄소 공급원이다.
붕소의 기상 공급원으로는 보란 (B2H6) 이 그 예이며, 질소의 기상 공급원은 특히 피리딘, 암모니아 또는 에틸렌디아민이다.
각종 유형의 나노튜브 및 이의 제조에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독자는 Marie Castignolles 의 박사 논문을 참고할 수 있다: "Etudes de la synthese et de la structure par microscopie et spectroscopie electroniques de nanotubes de carbone purs et dopes a l'azote [전자 현미경 및 분광을 이용하는, 순수 및 질소-도핑된 탄소 나노튜브의 합성 및 구조 연구]", University of Montpellier II, defended on 15 June 2006.
CVD 방법의 예로서, Hyperion Catalysis Internaional Inc. 의 문헌 [WO 86/03455A1] 에 기술된 방법을 언급할 수 있다. 탄소 나노튜브 (CNT) 의 합성은 철을 함유하는 촉매 (예를 들어, 탄소 지지체 상의 철, Fe3O4, 알루미나 지지체 상의 철, 또는 탄소-함유 원섬유 (fibril) 지지체 상의 철) 를 탄소-함유 기체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CO 또는 하나 이상의 탄화수소) 과 접촉시켜 실시하는데, 유리하게는 기체 생성물 (예를 들어, CO, H2 또는 H2O) 를 생산하도록 탄소와 반응할 수 있는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실시한다. 촉매는 지지체의 건조 함침 (impregnation), 침전 또는 습윤 함침으로 제조된다.
중량에 따른 생산성 (촉매 및 기체의 사용량과 비교되는 나노튜브의 생산량) 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형성된 나노튜브의 품질을 더 우수하게 제어하고자 하는 욕구로 인해, 몇몇의 작가들은 Co/Fe 촉매 혼합물을 고려해왔다.
요컨대, 논문 ["Metal mixtures catalyzed carbon nanotubes", Z. Konya, N. Nagaraju, A. Fonseca, J. B. Nagy, A. Tamasi 및 K.M. Mukhopadhyay, AIP Conference Proceedings, (1999), 486, 249-253] 을 언급할 수 있다. 이 문헌은 Fe/Co 촉매 혼합물이 Co 또는 Fe 를 단독으로 알루미나 상에 사용하는 것보다 MWNT 를 합성하는데 있어서 더욱 유효하다는 점을 설명한다. 상기 알루미나는 가수분해된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또는 BET 법으로 측정된 비표면적이 낮은 시중의 알루미나로부터 제조되었다.
Z. Fonseca 등의 문헌 ["Synthesis of SWNT by catalytic decomposition of hydrocarbons", Chem. Commun. (1999), 1344-1344] 에는,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 상 Co/Fe 촉매 혼합물이 Fe 단독으로의 것보다 더 나은 CNT 수율 결과를 이끌고, 알루미나가 실리카보다 더 나은 촉매 지지체인 점이 교시되어 있다.
나노튜브의 직경을 제어하는 것이 문헌 ["XPS characterization of catalysts during production of multiwall carbon nanotubes", Z. Konya, J. Kiss, A. Oszko, A. Siska 및 I. Kiricsi, Physical Chemistry, Chemical Physics (2001), 3(1), 155-158] 에 언급되어 있다. 요컨대, 상기 문헌에는 아세틸렌의 존재하에서 Co/Al2O3 또는 Fe/Al2O3 촉매를 이용하여 합성된 CNT 는 직경이 20 내지 40 nm 범위이지만, Fe-Co/Al2O3 촉매를 이용한 경우에는, 상기는 더 미세하다는 점 (직경 8 내지 12 nm) 이 언급되어 있다.
문헌 ["Control of the outer diameter of thin carbon nanotubes synthesized by catalytic decomposition of hydrocarbons", J. Willems, Z. Konya, JF. Colomer, G. van Tenderloo, N. Nagaraju, A. Fonseca 및 J. B. Nagy, CP 544, Electronic Properties of Novel Materials-Molecular Nanostructures, Kuzmany 등, (2000), 242-245 발행] 에는 CNT 의 외경(外徑)이 금속에 의해 제어된다는 점이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호한 중량 생산성 및 양호한 재현성 (reproducibility)을 가진, 나노튜브, 특히 탄소 나노튜브를 제조하는데 유효한 신규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또한 나노튜브 정제를 용이하게 하므로, 이러한 단계는 나노튜브 적용시에는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반응기 내 400 내지 1200℃ 범위의 온도에서, 기체 공급원을 적어도 하나 (하나 이상) 다가 전이 금속과 접촉시켜 분해함으로써, 나노튜브, 특히 탄소 나노튜브를 합성하는 방법으로, 상기 전이 금속 또는 금속들은 BET 법으로 측정된 비표면적이 50 ㎡/g 초과인 지지체 상에 지지되는 방법이다.
BET 법은 저온에서의 기체의 분자 다중층 흡착을 기초로 하는데, 이는 당업자에게 익히 공지되어 있다.
특히, 촉매는 유동층 내 기체와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지지체의 비표면적은 70 ㎡/g 내지 400 ㎡/g 의 범위인 것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 중에서, 무기성 지지체,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알루미나로 이루어진 지지체를 이용하는 것이 특히 유용한데, 상기 알루미나의 입자내 다공성은 수은 다공측정 법 (mercury porosimetry method) 으로 측정된 다모드 (multimodal) 이다.
본 발명의 한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지지체는 다모드 알루미나 (2 또는 2 초과 개수의 다공성 피크를 가짐) 이고, 이의 총 수은 다공 부피는 0.9 ㎤/g 초과인데, 상기 알루미나는 50 내지 3000 nm 범위의 다공성 피크를 적어도 하나 가진다.
한 특정 구현예에 의하면, 지지체는 최종 촉매의 50 중량% 이하, 특히 최종 촉매의 10 내지 50 중량% 범위의 전이 금속(들) 의 양으로 함침될 수 있다.
CNT 합성 반응 동안에 촉매의 유동이 양호하도록, 지지체 입자의 크기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실제로, 무난한 생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지체 입자가 20 ㎛ 내지 500 ㎛ 범위의 평균 직경 D50 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의 한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지지체 입자에, 특히 건조 기체의 스트림 (stream) 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이 금속 염, 특히 철 및/또는 코발트 및/또는 몰리브덴 염을 포함하는 함침 용액을, 실온 내지 상기 용액의 끓는점의 온도 범위 내의 온도에서 함침시킴으로써 촉매를 제조한다. 함침 용액의 양은, 지지체 입자가, 언제든지, 충분한 양의 함침 용액과 접촉하여, 지지체 입자의 표면 상에 상기 용액의 필름 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특히, 전이 금속이 철인 경우에, 철 함침 용액은 질산철 수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나노튜브를 합성하기 이전에, 촉매를 난방로에서 특히 300 내지 750℃ 의 온도에서, 나노튜브를 정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컨대 이에서 질소를 제거하기 위해 하소한다.
"건조" 작업의 진상, 즉, 촉매 지지체 입자의 표면 상에 액체 필름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만큼의 액체의 양을 언제 어느 때나 갖는 것은, 수성 방출 (예를 들어, 함침 용액이 질산철을 함유하는 경우, 수성 질산염 방출; 함침 후, 수득한 생성물을 불활성 또는 그렇지 않은 기체에서 300℃ 내지 400℃로 가열하여 질산염을 제거함) 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정 구현예에 의하면, 촉매는 합성 반응기 원위치 (in situ)에서 환원되며, 촉매는 나노튜브 합성 이전에 공기와 다시 마주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철이 금속 형태로 남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소 공급원은 임의 형태의 탄소-함유 물질, 예컨대 메탄, 에탄, 프로판, 부탄, 또는 탄소수 4 초과의 임의의 기타 지방족 알칸, 시클로헥산,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이소부텐, 또는 탄소수 4 초과의 임의의 기타 지방족 알켄, 벤젠, 톨루엔, 자일렌, 시멘, 에틸 벤젠, 나프탈렌, 페난트렌, 안트라센, 아세틸렌, 또는 탄소수 4 초과의 임의의 기타 알킨,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일산화탄소, 등을 이들 자체 또는 혼합물로 하여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붕소 공급원은 예를 들어 보란 (B2H6) 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질소 공급원은 예를 들어 피리딘, 암모니아 또는 에틸렌디아민이다.
기체 공급원 및 이의 조성물이 나노튜브 조성을 결정한다. 따라서, 탄소 공급원은 탄소 나노튜브를 제조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상기 방법으로 수득된, 나노튜브, 특히 탄소 나노튜브이다. 이렇게 수득된 나노튜브는 10 내지 30 nm 범위 내에 있는 외경을 가진 다중-벽 나노튜브이다.
이들 나노튜브는 특히 중합체 및/또는 수지를 기재로 하는 조성물에서, 기계적 및/또는 전기적 및/또는 열 전도 특성을 개선하는 시약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나노튜브는 다수의 분야, 특히 전자공학 (사용 온도 및 이의 구조에 따라, 이는 전도체, 반도체 또는 절연체일 수 있음) 에서; 자동차 분야, 항공 분야 등의 예컨대 복합물 강화 (CNT 는 강철보다 100 배 강하고 6 배 가벼움) 를 위한 기계학적 분야에서 및 전기기계 분야 (이는 전하 주입으로 신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음) 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석 스크리닝 등과 같은 수성 매질에서 분산되는 시약으로서, 에너지 부문 용 전극, 특히 슈퍼커패시터용 전극에서, 서미스터 (thermistor) 에서, 대전방지 코팅, 연료 (휘발유 또는 디젤) 라인의 제조, 전자 부품의 포장 등을 위해 의도된 거대분자 조성물에서 CNT 의 용도를 언급할 수 있다.
촉매 지지체는 다모드 다공성을 지니기 때문에, 촉매 잔류물을 제거하도록 예를 들어 산 용액을 이용하는 나노튜브의 정제 방법은, 지지체로의 더 큰 접근성으로 인해, 더욱 용이해진다.
이제, 본 발명을 하기에 기술한 이의 실행에 관한 특정 실시예로 예시할 것이다. 이들 실시예의 목적이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의 취지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이 강조되어야 한다.
BET 비표면적 측정 실시에 사용되는 장치는 Micromeritics ASAP® 2000 기기였다.
수은 다공측정 측정법을 실시하는데 사용된 기기는 3 내지 4000 바 (bar) 에서 조작한 Micromeritics AUTOPORE® 기기였다.
> 촉매 제조:
대조 실시예
35 중량% 철을 함유하는 촉매를, 하기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Sasol 의 Puralox® SCCA 5-150 알루미나의 함침으로 제조했다:
300 g 의 알루미나를, 100℃ 까지 가열한 재킷을 씌운 3 리터의 반응기에 도입하고, 공기 스트림을 상기에 통과시켰다. 그 다음, 펌프를 이용하여 545 g/l 의 질산철 9수화물을 함유하는 철 용액 1600 ml 을 연속해서 주입했다. 의도된 (금속 질량/최종 촉매 질량) 비율은 35 중량% 의 금속 형태의 철이었기 때문에, 철 용액을 23 시간에 걸쳐 첨가하였고, 상기 용액의 첨가 속도는 물 증발 속도와 동일했다. 그 다음에, 촉매를 16 시간 동안 오븐 내 100℃ 에서 가열했다.
처음에, 상기 알루미나의 입자는 약 85 ㎛ 의 중앙 직경 (median diameter) 을 가졌으며, 표면적 및 다공성 특징은 하기에 나타내었다:
BET 표면적 (㎡/g) 148
Hg 총 다공 부피 (㎤/g) 0.87
실시예 1 ( Ref : 2017 C27 ) (본 발명에 따름)
알루미나를, 사전에 미세화 (micronization) 하지 않고, 물, 하소된 알루미나 (Sasol Puralox® UF 5/230) 및 유사보헤마이트 (pseudoboehmite; Sasol Dispersal® 40) 로 이루어진 현탁액을 분무 건조함으로써 제조했다. 하소하여 유사보헤마이트를 γ-알루미나로 전환시킨 후, 촉매를 대조-실시예에서 설명한 대로 제조했다.
실시예 2 ( Ref : 2017 C01 ) (본 발명에 따름)
BET 표면적이 252 ㎡/g 이고 길이 5 mm 의 압출물 형태로 공급되는, Norton 의 2모드 알루미나를 분쇄 (milling) 하여, 알루미나를 제조했다.
실시예 3 ( Ref : 2017 C54 ) (본 발명에 따름)
알루미나를, 사전에 미세화하지 않고, 물, 하소된 알루미나 (Sasol Puralox® UF 5/230) 및 유사보헤마이트 (Eurosupport Versal® 250) 로 이루어진 현탁액을 분무 건조함으로써 제조했다. 고형분은 21.3 중량% 였다. 하소하여 유사보헤마이트를 γ-알루미나로 전환시킨 후, 촉매를 대조-실시예에서 설명한 대로 제조했다.
실시예 4 ( Ref : 2017 C70 ) (본 발명에 따름)
알루미나를, 사전에 미세화하지 않고, 물, 하소된 알루미나 (Sasol Puralox® UF 5/230) 및 유사보헤마이트 (Sasol Pural® 400) 로 이루어진 현탁액을 분무 건조함으로써 제조했다. 고형분은 42.5 중량% 였다. 하소하여 유사보헤마이트를 γ-알루미나로 전환시킨 후, 촉매를 대조-실시예에서 설명한 대로 제조했다.
실시예 5 ( Ref : 2017 C94 ) (본 발명에 따름)
알루미나를, 사전에 미세화하지 않고, 물 및 유사보헤마이트 (Sasol Versal® 250) 로 이루어진 현탁액을 분무 건조함으로써 제조했다. 고형분은 26 중량% 였다. 하소하여 유사보헤마이트를 γ-알루미나로 전환시킨 후, 촉매를 대조-실시예에서 설명한 대로 제조했다.
실시예 6 ( Ref : 2017 C93 ) (본 발명에 따름)
알루미나를, 사전에 미세화하지 않고, 물 및 유사보헤마이트 (Sasol Versal® 250) 로 이루어진 현탁액을 분무 건조함으로써 제조했다. 고형분은 15 중량% 였다. 하소하여 유사보헤마이트를 γ-알루미나로 전환시킨 후, 촉매를 대조-실시예에서 설명한 대로 제조했다.
실시예 7 ( Ref : 1870 C161 ) (본 발명에 따름)
알루미나를, Norton 의, 길이 1.2 mm 인 압출물 형태의 2모드 알루미나를 분쇄함으로써 제조했다.
이들 알루미나에 대한 주요 데이타는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31517303-PCT00001
실시예 8 (본 발명에 따름)
알루미나를, 사전에 미세화하지 않고, 물 및 유사보헤마이트 (Sasol Versal® 250) 로 이루어진 현탁액을 분무 건조함으로써 제조했다. 고형분은 15 중량% 였다. 하소하여 유사보헤마이트를 γ-알루미나로 전환시킨 후, 총 금속 함량이 35 중량% 이고, Co/Fe 비율 = 1 이 되도록, 코발트 아세테이트 디하이드레이트 및 질산철로 이루어진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촉매를 제조했다.
> 탄소 나노튜브의 제조:
실시예 9 (본 발명에 따름)
대조 실시예 및 실시예 1 내지 8 에 따라 수득된 촉매를 정제하는 단계에 상응하는 탈질 (denitrification) 조작을, 2 시간의 공기 스트림 하, 오븐 내 350℃ 에서 실시했다. 이에 따라 탈질된 약 2.5 g 의 촉매를, 층으로서, 반응기의 상부를 향해 미세 입자가 비말 동반하지 않도록 분리기가 장착된 직경이 5 cm 이고 유효 높이가 1 m 인 반응기에 도입시켰다. 반응기를 약 30 분 동안 650℃ 까지 가열한 다음, 촉매를 25 부피% H2/75 부피% N2 하에서 30 분 동안 환원시켰다. 이어서, 질소를 에틸렌으로 대체하고, 반응이 1 시간 동안 지속되게 방치한 다음 형성된 나노튜브를 수집했다. 모든 경우에서, 총 N2, H2/N2 또는 C2H2/H2 유속은 160 Sl/min 으로 일정했다.
형성된 나노튜브를 방출해 수집한 후, 생산성을 CNT 의 점화 손실로 측정하였고, CNT 의 품질은 전자 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31517303-PCT00002
대조 실시예를 제외하고는, 그 외의 모든 촉매들은 크기 면에서 5 ㎛ 보다 더 작은 다공 지역에서 2 개의 피크를 나타내는 γ-알루미나/철 촉매였다.
표 2 는 다모드 다공성을 가진 촉매로 최상의 생산성을 획득한 점을 나타낸다.
표 2 는 또한 철 및 코발트의 조합이 더 나은 CNT 생산성 및 더 작은 CNT 를 도모한다는 점을 나타낸다.
촉매의 양이, 생산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직경 및 구조 면에서의 CNT 의 재현성에도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점도 또한 볼 수 있다.

Claims (17)

  1. 기체 공급원을 400 내지 1200℃ 의 온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가 전이 금속과 접촉시켜 분해함으로써, 나노튜브, 특히 탄소 나노튜브를 합성하는 방법으로, 상기 전이 금속 또는 금속들은 BET 비표면적이 50 ㎡/g 초과인 지지체 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이 금속 또는 금속들이 BET 비표면적이 70 ㎡/g 내지 400 ㎡/g 범위 내에 있는 지지체 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튜브 합성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이 금속 또는 금속들이 무기성 지지체 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튜브 합성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지지체가 입자내 다공성이 다모드인 알루미나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지지체가 알루미나이고, 이의 총 수은 다공 부피는 0.9 ㎤/g 초과이며, 상기 알루미나는 50 내지 3000 nm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공성 피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전이 금속(들) 의 양이 최종 촉매의 50 중량% 이하에 상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전이 금속(들) 의 양이 최종 촉매의 10 내지 50 중량%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지지체 입자가 20 내지 500 ㎛ 범위 내에 있는 평균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촉매가 지지체 입자를 적어도 하나의 전이 금속 염을 함유하는 함침 용액에 함침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가 지지체 입자를 실온 내지 용액의 끓는점 범위 내에 있는 온도에서 함침함으로써 제조되고, 상기 지지체 입자는 언제든지 지지체 입자의 표면 상에 함침 용액의 필름 형성이 확보되도록 충분한 양으로 함침 용액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촉매가 지지체 입자를 철 함침 용액에 함침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촉매가 나노튜브 합성 이전에 난방로에서 하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촉매가 원위치에서 환원되고 나노튜브 합성 이전에 공기와 다시 마주치지 않는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체 공급원이 탄소 공급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는 나노튜브.
  16.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수득된, 나노튜브, 특히 탄소 나노튜브의, 기계적 및/또는 전기 및/또는 열 전도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시약으로서, 특히 중합체 및/또는 수지 기재 조성물에서의 시약으로서의 용도.
  17. 제 16 항에 있어서, 중합체 기재 조성물의 연료 라인, 대전방지 코팅에서, 또는 에너지 부문 전극에서의 용도.
KR1020097010722A 2006-11-30 2007-11-27 나노튜브, 특히 탄소 나노튜브 합성 방법 및 이의 용도 KR200900874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55226A FR2909369B1 (fr) 2006-11-30 2006-11-30 Procede de synthese de nanotubes, notamment de carbone, et leurs utilisations.
FR06/55226 2006-11-30
US87882707P 2007-01-05 2007-01-05
US60/878,827 2007-0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454A true KR20090087454A (ko) 2009-08-17

Family

ID=39189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722A KR20090087454A (ko) 2006-11-30 2007-11-27 나노튜브, 특히 탄소 나노튜브 합성 방법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086878A1 (ko)
KR (1) KR20090087454A (ko)
WO (1) WO20080651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6133A1 (ko) * 2015-02-06 2016-08-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밀도 번들형 카본나노튜브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184B1 (ko) * 2008-10-17 2011-01-12 제일모직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합성용 담지촉매,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KR101007183B1 (ko) * 2008-10-23 2011-01-12 제일모직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합성용 담지촉매,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US20150011380A1 (en) * 2012-02-22 2015-01-0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Catalyst for carbon nanotube production
CN104718170A (zh) 2012-09-04 2015-06-17 Ocv智识资本有限责任公司 碳强化的增强纤维在含水或非水介质内的分散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34757B1 (fr) * 1988-07-29 1992-09-18 Rhone Poulenc Chimie Procede de fabrication d'agglomeres d'alumine et agglomeres obtenus
FR2826646B1 (fr) * 2001-06-28 2004-05-21 Toulouse Inst Nat Polytech Procede de fabrication selective de nanotubes de carbone ordonne en lit fluidise
EP1449885B1 (fr) * 2003-02-18 2013-10-02 Arkema France Utilisation de nanotubes de carbone dans des mélanges de polyamide et de polyoléfine
US7186757B2 (en) * 2003-10-16 2007-03-06 Conocophillips Company Silica-alumina catalyst support with bimodal pore distribution, catalysts,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FR2872150B1 (fr) * 2004-06-23 2006-09-01 Toulouse Inst Nat Polytech Procede de fabrication selective de nanotubes de carbone ordonne
FR2875716B1 (fr) * 2004-09-28 2007-08-03 Inst Francais Du Petrole Nouveaux supports composites alumine sur alum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6133A1 (ko) * 2015-02-06 2016-08-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밀도 번들형 카본나노튜브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86878A1 (en) 2009-08-12
WO2008065121A1 (en)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708B1 (ko) 탄소 나노튜브의 합성 방법
Esteves et al. Carbon nanotubes as catalyst support in chemical vapor deposition reaction: A review
US7622059B2 (en) Method for synthesis of carbon nanotubes
US8562937B2 (en) Production of carbon nanotubes
EP1558524B1 (en) Cvd synthesis of carbon nanotubes
Pham-Huu et al. Large scale synthesis of carbon nanofibers by catalytic decomposition of ethane on nickel nanoclusters decorating carbon nanotubes
JP5624627B2 (ja) Coおよびh2から炭化水素を合成するための触媒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519679A (ja) 不均一触媒でガス状炭素化合物を分解することにより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製造するための触媒
JP2013502309A (ja) 二層触媒と、その製造方法と、ナノチューブの製造でのその使用
Xu et al. One-step preparation of highly dispersed metal-supported catalysts by fluidized-bed MOCVD for carbon nanotube synthesis
CN112888500A (zh) 基于中孔氧化铝的载体上含有铁、钴和铜的催化剂以及其制备方法
CN112752830A (zh) 催化转化石油烃的方法
KR20090087454A (ko) 나노튜브, 특히 탄소 나노튜브 합성 방법 및 이의 용도
Jiménez et al. Pilot plant scale study of the influence of the operating conditions in the production of carbon nanofibers
CN112654596A (zh) 用于由聚苯乙烯形成乙苯的方法
Gong et al. Preparation of carbon nanotubes (CNTs)-cordierite monoliths by catalytic chemical vapor deposition as catalyst supports for ammonia synthesis
FR2881734A1 (fr) Procede de synthese de nanotubes de carbone
KR20230017835A (ko) Mwcnt 제조를 위한 개선된 촉매
JP2008529941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合成方法
CN101541675A (zh) 纳米管尤其是碳纳米管的合成方法及其应用
Minchitha et al. Evaluation of catalytic activity of acid activat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in an esterification reaction
Mamun et al. Carbon nanotubes grown on oil palm shell powdered activated carbon as less hazardous and cheap substrate
Louis et al. Advances in the use of carbon nanomaterials in catalysis
JP2024510823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製造用触媒の製造方法
Frank 15 Nanocarbon materials for heterogeneous cat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