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750A - 열풍순환식 건조기 - Google Patents

열풍순환식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750A
KR20090085750A KR1020080011514A KR20080011514A KR20090085750A KR 20090085750 A KR20090085750 A KR 20090085750A KR 1020080011514 A KR1020080011514 A KR 1020080011514A KR 20080011514 A KR20080011514 A KR 20080011514A KR 20090085750 A KR20090085750 A KR 20090085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main body
air
hot air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호
Original Assignee
홍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호 filed Critical 홍영호
Priority to KR1020080011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5750A/ko
Publication of KR20090085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2Velocity of flow; Quantity of flow, e.g. by varying fan speed, by modifying cross flow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9Alarm systems; Safety sytems, e.g. preventing fire and explo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6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the products to be dried being disposed on one or more containers, which may have at least partly gas-previous walls, e.g. trays or shelves in a st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단열재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미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열풍순환식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일측에 힌지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가 구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벽에 구성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내부에 구성되고 물품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선반이 구성되며 대칭되는 양 측면에 공기의 진입과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챔버와 상기 챔버의 어느 일측에 구성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의 어느 일측에 구성되는 히팅부로 구성되어 상기 송풍팬의 작동으로 챔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상기 공기가 히팅부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상기 챔버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건조시키는 열풍순환식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 측면 각각에는 단열재를 고정하기 의한 일정간격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를 구성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된 단열재와 본체 사이에 일정간격이 유지됨에 따라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조기, 세균 배양기, 강제순환 건조기

Description

열풍순환식 건조기{A oven}
본 발명은 열풍순환식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단열재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미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열풍순환식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풍순환식 건조기는 본체의 내부에 단열재가 외벽을 이루는 챔버를 구성하고, 상기 챔버의 어느 일측에는 송풍팬과 상기 숭풍팬의 어느 일측에는 히팅부를 구성하며, 상기 챔버의 대칭되는 양 측면 각각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송풍팬의 작동으로 발생하는 공기가 챔버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진입하고 또한 다른 일측의 통공을 통해 송풍팬으로 흡입되면서 챔버의 내부를 순환하게 되고, 또한 히팅부의 가열에 의해 상기 챔버 내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시킴으로써, 결국 상기 챔버의 내부를 가열시키게 된다.
상기 열풍순환식 건조기는 챔버 내부에 열풍이 순환하면서 챔버를 가열시키 면서 상기 가열에 의해 챔버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열풍순환식 건조기는 소형으로 실험기구의 건조나 내열성 측정 또는 노화 가속시험 및 멸균 등과 같은 작용으로 실험실 또는 연구소 등과 같은 곳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열풍순환식 건조기는 어떠한 물품을 건조하는데 사용의 한정되지 아니하고 균 배양을 위한 조건, 즉 일정온도 유지에서부터 온도 변화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는 특징으로 균 배양기로도 사용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열풍순환식 건조기는 챔버의 외주연에 구성되는 단열재가 본체와 밀착되게 구성되어, 장시간 사용시 단열재의 노후로 인해 내화력이 상실됨에 따라 챔버 내부의 고온이 본체에 전달됨에 따라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이 빈번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송풍팬의 작동으로 발생하는 공기가 상기 챔버의 어느 한 측면으로 진입되는 진입부의 단면적이 일정하여, 상기 송풍팬과 근거리에 위치된 측면의 통공으로 진입되는 공기량과 원거리에 위치된 통공을 통해 진입되는 공기량이 상호 다르므로 상기 챔버 내부에 수납된 물품의 위치에 따라 건조시간이 다르다는 문제점으로, 특히 실험실이나 연구소 등에 사용될 때 동일한 조건하에서 이루어지는 실험 데이터가 달라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가 포함된 본체와 단열재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와 단열재 사이를 일정간격 유지되도록 상기 단열재를 고정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에 의한 단열재의 노후로 내화력을 상실하여도 공기층에 의해 챔버의 내부 온도가 본체의 외부에 미치지못하므로 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열풍순환식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풍팬에서 발생하는 공기가 챔버의 어느 일측으로 진입되는 진입부의 단면적을 변화시켜 상기 송풍팬에서 근거리에 위치해 있든 원거리에 위치해 있든 상기 챔버 내부로 진입되는 공기량이 항상 일정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챔버 내부에 수납된 물품의 건조 조건이 항상 일정하도록 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열풍순환식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풍순화식 건조기는 일측에 힌지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가 구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벽에 구성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내부에 구성되고 물품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선반이 구성되며 대칭되는 양 측면에 공기의 진입과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챔버와 상기 챔버의 어느 일측에 구성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의 어느 일측에 구성되는 히팅부로 구성되어 상기 송풍팬의 작동으로 챔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상기 공기가 히팅부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상기 챔버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건조시 키는 열풍순환식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 측면 각각에는 단열재를 고정하기 의한 일정간격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를 구성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된 단열재와 본체 사이에 일정간격이 유지됨에 따라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챔버의 대칭되는 양측에는 송풍팬에서 발생하는 공기가 진입 및 배기되도록 진입부와 배기부가 구성되고; 상기 진입부 또는 배기부 및 상기 진입부와 배기부 각각에는 단면적을 달리하여 상기 숭풍팬과 근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되는 부분에 공기량이 항상 일정하도록 하여 상기 챔버 내에 수납된 물품에 미치는 열풍이 일정하도록;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의 어느 일측에는 챔버와 연통되는 연통구가 구성되고; 상기 연통구에는 챔버를 통해 배기되는 열풍이 직접적으로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하고 일정온도 이하로 냉각된 상태로 배기되도록 냉각부;가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도어가 포함된 본체와 단열재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와 단열재 사이를 일정간격 유지되도록 상기 단열재를 고정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에 의한 단열재의 노후로 내화력을 상실하여도 공기층에 의해 챔버의 내부 온도가 본체의 외부에 미치지못하므로 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송풍팬에서 발생하는 공기가 챔버의 어느 일측으로 진입되는 진입부 의 단면적을 변화시켜 상기 송풍팬에서 근거리에 위치해 있든 원거리에 위치해 있든 상기 챔버 내부로 진입되는 공기량이 항상 일정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챔버 내부에 수납된 물품의 건조 조건이 항상 일정하도록 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순환식 건조기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열풍순환식 건조기(1)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면에 구성되는 단열재(20)와, 상기 단열재(20)의 내부 면에 구성되는 챔버(30)와, 상기 챔버(30)의 어느 일측에 구성되는 모터가 구성된 송풍팬(40), 및 상기 송풍팬(40)의 어느 일측에 구성되는 히팅부(5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사각 함체의 밀폐 구조를 가지되 어느 일측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일측에는 힌지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어느 일측에는 콘트롤부(14)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외부면을 이루는 외부패널 및 도어에는 단열재(20)를 지지하기 위한 일정 높이를 가지는 지지부재(16)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성되어, 상기 지지부재(16)에 의해 본체(10)와 단열재(20) 사이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공기층이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20)로 전달된 열이 본체(10)로 전도되지아니하고 공기층에 의해 차단됨에 따라 상기 건조기(1)의 장시간 사용으로 단열재(20)의 내화력을 상실하여도 상기 공기층에 의해 충분한 단열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본체(10)의 외부패널 및 도어에는 공기층이 형성된 부분으로 외부 공기가 자유롭게 소통되도록 하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20)로 전도된 열이 상기 통기공을 통해 자유롭게 소통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재(20)는 내화력을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고, 여기에는 세라믹울(ceramic wool) 또는 그라스울(glass wool)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챔버(30)는 상기 단열재(20)의 내부면에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챔버(30)의 외부면에 단열재(20)가 구성되어, 상기 챔버(30)의 내부에서 열이 발생되어도 상기 단열재(20)에 의해 본체(10)의 외부로 일정 온도 이하로 전도되는 것이며, 특히 본체(10)와 단열재(20) 사이에 공기층이 더 구성됨에 따라 열전도율을 극감시키게 된다.
상기 챔버(30)의 내부에는 다수의 물품을 거치할 수 있는 선반(36)이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챔버(30)의 대칭되는 양 측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은 송풍팬(40)에 의해 발생하는 송풍력으로 공기가 진입되는 진입부(32)가 구성되고 대칭되는 반대편에는 챔버(30)내로 진입된 공기가 상기 송풍팬(40)으로 재 진입되도록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부(34)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진입부(32)와 배기부(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30)와 단열재(2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진입부(32) 또는 진입부(32) 및 배기부(34) 각각에는 송풍팬(40)에서 근거리에 위치되는 지점(W1)과 원거리에 위치된 지점(W2)의 단면적을 달리하여, 상기 단면적의 차이로 상기 송풍팬(40)의해 발생하는 공기가 압력차로 인해 챔버(30)의 내부로 진입되는 공기량을 항상 일정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징으로 챔버(30)의 선반(36)에 수납된 물품에 균일하게 열풍이 제공됨에 따라 항상 일정한 데이터를 구할 수 있게 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한다.
물론, 상기 챔버(30)의 어느 일측에는 내부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가 구성되어 작업자가 원하는 온도의 설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챔버(30)와 본체(10) 사이에는 상기 챔버(30)의 열풍을 일정량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연통구(12)가 구성되어, 상기 연통구(12)를 통해 챔버(30)에서 발생한 일정량의 열풍을 배출함으로써 송풍팬(40)에 의한 공기순환이 원활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연통구(12)에는 챔버(30)의 열풍이 직접 외부로 배기되지아니하고 일정온도 냉각시켜 배출되도록 냉각부(60)가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부(60)는 상기 연통구(12)를 통해 배기되는 열풍을 일정온도 냉각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한 것으로, 가령 내부에 유선형의 배기공을 형성하여 상기 배기공이 외부온도에 의해 열전도됨에 따라 자연 냉각방식 또는 냉각소자에 의한 강제 냉각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0)은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팬에 의해 공기를 강제순환하는 방식으로 작동되며, 상기 모터에는 방진구가 설치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은 어느 한 방향으로만 송풍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부(50)는 전력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전기히팅방식을 채용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열을 발생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풍순환식 건조기의 작용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히팅부(50)로 전기가 인입되면 열을 발생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송풍팬(40)의 작용으로 발생하는 공기가 상기 히팅부(50)에 의해 가열되면서 챔버(30)의 일측에 구성된 진입부(32)로 진입하여 다수의 통공을 통해 챔버(30) 내부로 진입된다.
이 경우 진입부(32)는 송풍팬(40)을 기준으로 근거리에 위치된 지점(W1)과 원거리에 위치된 지점(W2)에는 단면적의 차이 즉, W1>W2 차이로 송풍팬(40)에서 강제로 진입되는 공기는 압력 차이로 인해 결국 상기 챔버(30) 내부로 진입되는 공기량을 일정하게 되어, 상기 챔버(30)에 수납된 물품에 균일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배기부(34)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됨에 따라 챔버(30) 내부에 공기 흐름은 일정하게 유지됨에 따라 상기 챔버(30)의 온도의 상승 또는 유지가 빠르게 진행된다.
아울러, 상기 챔버(30)로 제공되는 열풍으로 일정온도를 가지는 챔버(30)는 외주연에 구성된 단열재(20)에 의해 본체(10)로의 열전도가 지연시키고, 특히, 상기 본체(10)와 단열재(20) 사이에 구성된 지지부재(16)에 의해 공기층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단열재(20)가 장시간 사용으로 내화력을 상실하여도 본체(10)에서 느껴지는 온도는 실온과 별 차이를 못 느끼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순환식 건조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순환식 건조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순환식 건조기의 평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열풍순환식 건조기 10: 본체
12: 연통구 14: 콘트롤부
20: 단열재 30: 챔버
32: 진입부 34: 배기부
36: 선반 40: 송풍팬
50: 히팅부 60: 냉각부

Claims (3)

  1. 일측에 힌지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가 구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벽에 구성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내부에 구성되고 물품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선반이 구성되며 대칭되는 양 측면에 공기의 진입과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챔버와 상기 챔버의 어느 일측에 구성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의 어느 일측에 구성되는 히팅부로 구성되어 상기 송풍팬의 작동으로 챔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상기 공기가 히팅부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상기 챔버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건조시키는 열풍순환식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 측면 각각에는 단열재를 고정하기 의한 일정간격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를 구성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된 단열재와 본체 사이에 일정간격이 유지됨에 따라 공기층;
    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순환식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대칭되는 양측에는 송풍팬에서 발생하는 공기가 진입 및 배기되도록 진입부와 배기부가 구성되고;
    상기 진입부 또는 배기부 및 상기 진입부와 배기부 각각에는 단면적을 달리 하여 상기 숭풍팬과 근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되는 부분에 공기량이 항상 일정하도록 하여 상기 챔버 내에 수납된 물품에 미치는 열풍이 일정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순환식 건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어느 일측에는 챔버와 연통되는 연통구가 구성되고;
    상기 연통구에는 챔버를 통해 배기되는 열풍이 직접적으로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하고 일정온도 이하로 냉각된 상태로 배기되도록 냉각부;
    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순환식 건조기.
KR1020080011514A 2008-02-05 2008-02-05 열풍순환식 건조기 KR20090085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514A KR20090085750A (ko) 2008-02-05 2008-02-05 열풍순환식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514A KR20090085750A (ko) 2008-02-05 2008-02-05 열풍순환식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750A true KR20090085750A (ko) 2009-08-10

Family

ID=4120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514A KR20090085750A (ko) 2008-02-05 2008-02-05 열풍순환식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575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6069A (zh) * 2017-04-18 2017-09-01 志圣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刮胶预热装置
KR20190139462A (ko) * 2018-06-08 2019-12-18 선종팔 전자제품 경화용 열풍형 오븐
KR102089968B1 (ko) * 2019-10-31 2020-03-17 정상교 고속발효 감량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6069A (zh) * 2017-04-18 2017-09-01 志圣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刮胶预热装置
KR20190139462A (ko) * 2018-06-08 2019-12-18 선종팔 전자제품 경화용 열풍형 오븐
KR102089968B1 (ko) * 2019-10-31 2020-03-17 정상교 고속발효 감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9188A (en) Incubator
JP2013066436A (ja) ヒータを備えた培養装置
JP2012501676A (ja) 低温エンクロージャーでの培養システム
KR20090085750A (ko) 열풍순환식 건조기
KR20170032087A (ko) 복사열 세탁물 건조기
KR200393540Y1 (ko) 식기 소독기
JP2008025920A (ja) 温冷蔵庫
JP3598037B2 (ja) 熱風式保管庫の運転方法
JP4987539B2 (ja) 加熱装置
CN216716820U (zh) 一种恒温式节能电热鼓风干燥箱
CN206755763U (zh) 一种制备钛白粉用的电热鼓风干燥箱
JP4334741B2 (ja) 熱風式保管庫
JP2017175945A (ja) 培養装置
JP2588101B2 (ja) 乾燥装置
CN218764300U (zh) 一种防爆型烘箱
CN212806299U (zh) 一种节能型电热鼓风干燥箱
CN215864387U (zh) 一种干燥箱
JP2003047460A (ja) インキュベータ
JP2022128919A (ja) 乾燥専用室
CN212515503U (zh) 一种实验室用恒温恒湿控制箱
JP4773587B1 (ja) 衣類乾燥器
CN209549509U (zh) 一种六风道高低温试验箱
CN214199462U (zh) 一种便于回收热量的电热鼓风干燥箱
CN211625903U (zh) 一种用于试验灭菌的电热鼓风恒温干燥箱
WO2020241488A1 (ja) 加熱装置および加熱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