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2727A -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비상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비상제어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2727A
KR20090082727A KR1020080008653A KR20080008653A KR20090082727A KR 20090082727 A KR20090082727 A KR 20090082727A KR 1020080008653 A KR1020080008653 A KR 1020080008653A KR 20080008653 A KR20080008653 A KR 20080008653A KR 20090082727 A KR20090082727 A KR 20090082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control
equipment
remote controller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0399B1 (ko
Inventor
김법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8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399B1/ko
Priority to EP20080252088 priority patent/EP2085842B1/en
Priority to ES08252088T priority patent/ES2464992T3/es
Priority to CN2008101291174A priority patent/CN101498928B/zh
Priority to US12/213,866 priority patent/US9104188B2/en
Publication of KR20090082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9/00Safety arrangements
    • G05B9/02Safety arrangements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8Monitoring; Safe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비상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제어기가 상호 연결되어, 다른 제어기의 오동작을 판단하고 오동작 되는 다른 제어기에 연결되는 설비기기를 비상제어 함으로서, 하나의 제어기 오동작으로 인한 실내기 및 실외기와 같은 설비기기의 제어 문제를 해결하여, 지속적인 설비기기의 제어를 통한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제어가 가능하여, 제어 효율이 향상되고, 설비기기가 지속적으로 동작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공기조화기, 실외기, 원격제어기, 오동작, 전력제어, 설비기기, 비상제어

Description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비상제어방법{Device controlling system and emergency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설비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비상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설비기기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오동작 되는 경우, 다른 설비기기 그룹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이용하여 설비기기를 제어하는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비상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 영역 또는 건물에 설비되는 기기 중 공기조화기는 냉방, 난방, 공기정화를 위해 구비되어, 실내로 냉, 온의 공기를 토출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여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서 동작된다.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실외기에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되는 실내기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실외기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어,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원격제어기가 오동작 되는 경우, 원격제어기에 연결된 설비기기가 지정된 스케줄에 따라 동작되지 못하게 되며, 나아가 설비기기가 동작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원격제어기를 통한 설비기기의 전력량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원격제어기 오동작으로 인하여 설비기기에 대한 제어가 불가능해지는 경우, 지정된 전력량을 넘어설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기 및 실외기를 포함한 복수의 설비기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복수의 설비기기를 복수의 제어기를 이용하여 그룹단위로 제어하고, 오동작 되는 제어기가 존재하는 경우, 다른 제어기를 이용하여 설비기기를 비상 제어하여 원활한 설비기기 제어 및 일관성 있는 설비기기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비상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은 제 1 그룹의 설비기기에 연결되어, 그 동작을 모니터링 하고, 제어하는 제 1 제어기 및 제 2 그룹의 설비기기에 연결되어 그 동작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제 2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기는 상기 제2 제어기 오동작 시, 상기 제 2 그룹의 설비기기를 비상제어하고, 상기 제 2 제어기는 상기 제 1 제어기 오동작 시 상기 제 1 그룹의 설비기기를 비상제어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의 비상제어방법은 제 1 그룹의 설비기기를 제어하는 제 1 제어기가 제 2 그룹의 설비기기를 제어하는 제 2 제어기의 오동작을 판단하는 단계, 기 저장된 비상제어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의 그룹의 설비기기를 비상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2 그룹의 설비기기에 대한 제어기록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비상제어방법은 복수의 제어기 중 어느 하나의 제어기 오동작 되는 경우 별도의 장치를 추가 연결하지 않아도, 다른 제어기를 통해 오동작 되는 제어기의 설비기기를 비상제어 하여, 비용이 절감되고 스케줄 또는 전력량 제어 시 제어 불능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며, 지속적인 설비기기의 제어를 통한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제어가 가능하여, 제어 효율이 향상되고, 설비기기가 지속적으로 동작되므로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실내기(I)와, 실내기(I)와 연결되며 압축기 및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실외기(O)를 포함한다. 또한,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은 실외 기(O) 또는 실내기(I)와 연결되어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기는 로컬 제어기(LRC), 원격제어기(RC), 리모컨(R)을 포함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실외기(O)와 실내기(I) 사이에 분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은 환기장치, 가습장치, 공기청정장치, 히터와 같은 설비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설비기기들은 제어기에 의해 통합 제어 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설비기기가 실내기(I) 및 실외기(O)인 것으로 하여, 실내기 및 실외기가 제어기에 연결되는 경우에 한정하여 설정하나, 상기와 같은 설비기기가 더 연결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실내기(I)는 하나의 실내에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실외기(O)는 다수의 실내기(I)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요구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되는 실내기(I)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됨에 따라 실외기(O)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O)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된다. 여기서, 실외기의 수는 공실내기 수에 따른 냉난방 용량 및 구비되는 압축기의 용량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실외기(O)와 실내기(I)는 냉매배관(P)을 통해 연결되어, 실외기(O)와 실내기(I) 간의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을 수행하고, 소정의 통신방식에 따라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실외기(O)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를 포함한 다. 또한,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는 고압 압력센서와 압축기로 공급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는 저압 압력센서를 포함한다. 그 외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하나, 그 외 구성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실내기(I)는 실내 열교환기와, 실내기팬, 실외기(O)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 다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원격제어기(RC)는 실내기(I1 내지 I3) 및 실외기(O)와 연결되어, 소정의 통신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서, 실내기(I) 및 실외기(O)의 동작을 모니터링 하고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실내기 및 실외기로 전송함으로서 실내기 및 실외기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원격제어기(RC)는 상이한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변환하는 변환기 또는 게이트웨이를 내장한다.
이때, 원격제어기(RC)는 실내기(I) 및 실외기(O)에 복수 개 연결될 수 있으며, 원격제어기(RC) 간에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내기 및 실외기 제어에 따른 데이터를 공유한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3 원격제어기(RC1 내지 RC3)는 각각 실내기 및 실외기 그룹에 연결되며, 소정의 공유수단(H13)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공유수단(H13)을 통해 제 4 원격제어기(RC10)와 연결된다.
제 1 원격제어기(RC1)는 제 1 내지 제 6 실내기(I11 내지 I13, I21 내지 I23))와, 제 1 및 제 2 실외기(O1, O2)에 연결되고, 제 2 원격제어기(RC2)는 제 7 내지 제 13 실내기(I31 내지 I33, I41 내지 I44)와, 제 3 및 제4 실외기(O3, O4)에 연결된다. 제 3 원격제어기(RC3)는 제 15 내지 17 실내기(I51 내지 I53)와 제 5 실외기(O5)에 연결된다.
제 1 내지 제 3 원격제어기(RC1 내지 RC3)는 상기와 같이 실내기 또는 실외기에 연결되어 각 설비기기에 대한 동작 상태 모니터링 및 동작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제 4 원격제어기(RC10)는 제 1 내지 제3 원격제어기(RC1 내지 RC3)로부터 각 원격제어기에 연결된 설비기기의 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제 1 내지 제3 원격제어기(RC1 내지 RC3)를 통해 설비기기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 4 원격제어기(RC10)는 모든 설비기기를 통합 제어한다. 여기서, 제 4 원격제어기(RC10)는 제 1 내지 제 3 원격제어기(RC1 내지 RC3)에 연결된 모든 설비기기를 통합 제어한다.
리모컨(R)은 실내기에 연결되어, 연결된 실내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리모컨(R)은 실내기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리모컨과, 소정의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실내기로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무선리모컨을 포함한다.
리모컨(R)은 하나의 실내기에 연결되거나,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실내기 중 어느 하나의 실내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동일한 제어명령을 연결된 복수의 실내기로 전송한다.
로컬제어기(LRC) 및 원격제어기는 복수의 실내기 및 실외기에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 및 실외기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고, 그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 이 때, 로컬제어기(LRC)는 제어 가능한 실내기의 수가 원격제어기에서 제어 가능한 실내기의 수와 동일하거나 적게 설정된다. 경우에 따라 로컬제어기는 연결된 실내기에 대한 단순제어만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의 비상제어 라인 구성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도 1과 같이 구성된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은 각 실내기 및 실외기가 연결된 원격제어기와는 다른 원격제어기와 비상제어라인(L11 내지 L13)으로 연결된다.
제 1 원격제어기(RC1)에 연결된 제 1 내지 6 실내기(I11 내지 I13, I21 내지 I23)와, 제 1 및 제 2 실외기(O1,O2)는 제2 비상제어라인(L12)을 통해 제 2 원격제어기(RC2)와 연결된다. 또한, 제 3 원격제어기(RC3)는 제 2 원격제어기의 제 7 내지 제 13 실내기(I31 내지 I33, I41 내지 I44) 및 제 3 및 제4 실외기(O3, O4)와 제 3 비상제어라인(L13)을 통해 연결된다. 제 1 원격제어기(RC1)는 제 3원격제어기(RC3)에 연결된 설비기기, 즉 제 14 내지 제16실내기(I51 내지 I53) 및 제 5 실외기(O5)와 제 1 비상제어라인(L11)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비상제어라인을 통한 각 원격제어기와 실내기 및 실외기의 연결 순서는 일 예 일 뿐 경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제 1원격제어기(RC1)가 제 2 원격제어기의 설비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 3 비상제어라인(L11 내지 L13)은 실외기와 원격제어기가 연경되는 통신선과 동일한 통신선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원격제어기는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에 연결된 모든 원격제어기 중 특정 원격제어기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원격제어기를 지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제1 원격제어기 오동작 시 제 1 원격제어기를 제외한 제 2 및 제 3 원격제어기 중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기를 통해 비상 제어되며, 경우에 따라 제 4 원격제어기도 포함 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 3 원격제어기(RC1 내지 RC3)는 기본 연결된 실내기 및 실외기와 통신하여 그 동작을 모니터링 하고 제어하며, 비상제어가 요구되는 경우, 비상제어라인을 통해 연결된 실내기 및 실외기를 비상제어 한다.
즉, 제 1 원격제어기(RC1)는 제 1 내지 6 실내기(I11 내지 I13, I21 내지 I23)와, 제 1 및 제 2 실외기(O1,O2)를 제어하면서, 제 3원격제어기(RC3)가 오동작 되어 설비기기 제어가 불가능한 상태가 되면, 제 1 비상제어라인(L11)을 통해 제 14 내지 제16실내기(I51 내지 I53) 및 제 5 실외기(O5)를 비상제어 한다. 또한 제 2 원격제어기(RC2)는 제 1 원격제어기(RC1)가 오동작 되는 경우, 제1 원격제어기(RC1)에 연결된 설비기기를 제 2 비상제어라인(L12)을 통해 비상제어 한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3 원격제어기(RC1 내지 RC3)는 상호 연결되어, 주기적으로 상호 통신을 수행하며, 소정 시간 이상 통신이 두절되는 경우, 해당 원격제어기가 오동작 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그 설비기기를 비상제어 한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원격제어기(RC1 내지 RC3)는 비상제어라인을 통해 실외기 또는 실내기로부터 비상제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원격제어기가 오동작 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비상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원격제어기(RC1 내지 RC3)는 상위에 연결되는 제4 원격제어기(RC4)가 존재하는 경우, 제 4 원격제어기(RC4)로부터 오동작 되는 원격제어기의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원격제어기의 설비기기를 비상제어 한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원격제어기(RC1 내지 RC3)는 비상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해당 설비기기에 대한 제어기록을 저장하고, 오동작 되는 원격제어기가 정상 동작되는 때에, 제어기록을 전송한다. 여기서, 비상제어에 따른 제어기록은 제 4 원격제어기(RC4)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의 비상제어 라인 구성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은 구비된 복수의 실외기 및 실내기와, 복수의 원격제어기가 비상제어라인(L21 내지 L23)으로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기 오동작 시, 다른 원격제어기를 통해 해당 원격제어기의 설비기기가 비상제어 된다. 제 1 내지 제 3 원격제어기(RC1 내지 RC3)는 소정의 공유수단(H13)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제 1 원격제어기(RC1)에 연결된 제 1 내지 6 실내기(I11 내지 I13, I21 내지 I23)와, 제 1 및 제 2 실외기(O1,O2)는 제 4 비상제어라인(L21)을 통해 공유수단(H13)에 연결된다. 또한, 제 2 원격제어기의 제 7 내지 제 13 실내기(I31 내지 I33, I41 내지 I44) 및 제 3 및 제4 실외기(O3, O4)와 제 5 비상제어라인(L22)을 통해 공유수단(H13)에 연결되고, 제 3원격제어기(RC3)에 연결된 제 14 내지 제16실내기(I51 내지 I53) 및 제 5 실외기(O5)는 제 6 비상제어라인(L23)을 통해 공유수 단(H13)에 연결된다.
이때, 각 실외기는 공유수단과 연결되는 경우, 각 비상제어라인에는 소정의 게이트웨이가 더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공유수단 내에 게이트웨이가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3 원격제어기(RC1 내지 RC3)는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격제어기간 데이터 통신, 실외기 또는 실내기의 비상제어 요청, 제 4 원격제어기(RC4)의 정보에 의해 오동작 되는 원격제어기를 판단하고, 오동작 되는 원격제어기의 설비기기에 대한 비상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제 4 원격제어기(RC4)가 실외기 또는 실내기의 요청을 수신하여 정상 동작되는 원격제어기로 오동작 되는 원격제어기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 3 원격제어기(RC1 내지 RC3)는 공유수단(H13)을 통해 각 비상 제어라인을 이용하여 실내기 및 실외기를 비상제어 한다. 경우에 따라 제 4 원격제어기(RC4)에 의해 오동작 되는 원격제어기의 설비기기가 비상제어 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3 원격제어기(RC1 내지 RC3)는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기가 오동작 되어 제어 불능의 상태가 되면, 정상 동작되는 원격제어기 중 어느 하나가 오동작 되는 원격제어기의 설비기기를 비상제어 한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원격제어기(RC1 내지 RC3)는 정상 동작되는 원격제어기 중 각각의 제어 부하량에 따라 부하가 낮은 원격제어기가 비상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임의의 순서에 따라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기가 비상제어를 수행하거나 또는 제 4 원격제어기(RC4)에 의해 지정된 원격제어기가 비상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비상제어를 위한 원격제어기의 선택 기준은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의 비상제어 라인 구성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제 1 내지 제 3 원격제어기(RC1 내지 RC3)는 상호 비상제어라인으로 연결되며, 각 비상제어라인을 통해 실내기 및 실외기 등의 설비기기를 제어한다.
제 1 원격제어기(RC1)는 제 3 원격제어기(RC3)와 제 7 비상제어라인(L31)으로 연결되고, 또한, 제 8 비상제어라인(L32)으로 제 2 원격제어기(RC2)와 연결된다. 제 2 원격제어기(RC2)는 제 3 원격제어기(RC3)와 제 3 비상제어라인(L33)으로 연결된다.
그에 따라, 제 1 원격제어기(RC1)가 오동작 되는 경우, 제 2 원격제어기(RC2) 또는 제 3 원격제어기(RC3)는 제 1 원격제어기(RC1)에 연결된 제 1 내지 6 실내기(I11 내지 I13, I21 내지 I23)와, 제 1 및 제 2 실외기(O1,O2)를 비상제어하게 된다. 이때, 비상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는 전술한 도 3의 설명에 기재한 바와 같이 소정의 선택 기준에 의해 선택된다. 한편, 제 1 비상제어라인(L31)은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 1원격제어기(RC1)의 오동작에 대한 비상제어는 제 2 원격제어기(RC2)에서 수행한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3 원격제어기(RC1 내지 RC3)는 내부에 비상제어라인과 실내기 및 실외기 통신선을 상호 연결하는 소정의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비상제어 가 요구되는 경우, 연결수단을 통해 실내기 및 실외기 통신선과 비상제어라인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통신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실내기 및 실외기 통신선과 비상제어라인의 통신규격이 상이한 경우 원격제어기 내에 구비되는 변환기 또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연결되며, 데이터는 통신규격에 맞게 변환되어 전송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원격제어기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제어기(RC)는 데이터부(60), 입력부(10), 출력부(20), 제어부(40), 통신부(30), 비상제어부(50), 오동작판단부(70), 비상데이터부(60), 인터페이스부(9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제 1 내지 제 3 원격제어기(RC1 내지 RC3)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제 4 원격제어기(RC4)에도 적용 가능하다.
데이터부(60)는 연결된 실내기 및 실외기, 그 외 설비기기에 대한 제어데이터, 스케줄 데이터, 전력제어데이터가 저장되며, 원격제어기(RC) 구동에 대한 설정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실내기 및 실외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주소데이터가 저장되며,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때, 데이터부(60) 출력부(2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구성 데이터, 효과음 데이터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한편, 비상데이터부(80)는 다른 원격제어기로부터 수신된 비상제어데이터가 저장되며, 이때, 비상제어데이터는 다른 원격제어기의 설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또한, 비상데이터부(80)는 비상제어 시, 제어할 제어동작에 대하여 우선 수행되어야 하는 제어동작에 대한 우선순위 데이터가 함께 저장된다. 이때, 비상데이터부(80)는 다른 원격제어기와의 통신을 통해 주기적으로 갱신된다. 비상데 이터부(80)는 각 원격제어기 별로 구분하여 비상제어데이터를 저장하며, 비상제어라인을 통한 실내기 및 실외기와의 통신을 위한 주소정보도 함께 저장된다.
입력부(10)는 누름 조작 또는 터치를 통한 데이터 입력 수단이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어부(40)로 인가한다.
출력부(20)는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실내기(I) 또는 실외기(O)의 운전 상태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출력부(20)는 스피커 또는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소정 동작상에서 경고음 또는 효과음을 출력하거나, 램프가 점등 또는 점멸되어 상태를 표시한다.
통신부(3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에 대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실내기 또는 실외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인터넷을 통해 외부 접속을 처리한다. 통신부(30)는 연결되는 실내기 및 실외기와 같은 설비기기, 다른 원격제어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제어부(10)의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각 기기의 동작상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통신부(30)는 실내기 또는 실외기, 환기장치 또는 공기청정장치, 외부접속을 통한 데이터 통신 시, 각각 상이한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이한 통신방식 간에 데이터를 변환하는 변환부 또는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0)는 디지털입출력 단자, 통신선 연결단자, 비상제어라인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통신선 연결단자와 비상제어라인연결단자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스위칭 하는 연결수단을 더 포함한 다. 이때, 통신선 연결단자에는 실내기 및 실외기와의 통신선이 연결되고, 비상제어라인연결단자에는 비상제어라인이 연결된다. 경우에 따라 실내기 및 실외기 통신과 비상제어라인을 통한 통신이 상이한 경우 변환기 또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통신선 연결단자와 비상제어라인 연결단자는 연결수단의 스위칭에 따라 상호 연결된다.
오동작판단부(70)는 실내기 또는 실외기, 다른 원격제어기, 제 4 원격제어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다른 원격제어기의 오동작을 판단한다. 이때, 오동작판단부(70)는 전술한 도2 내지 도4에서와 같이 연결되는 비상제어라인을 통해 실내기, 실외기, 다른 원격제어기로 부터 비상제어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해당 원격제어기가 오동작 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제어부(40)로 전달한다. 또한, 제 4 원격제어기(RC4)로부터 다른 원격제어기의 오동작에 대한 정보, 또는 비상제어 명령이 수신되는 해당 원격제어기가 오동작 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오동작판단부(70)는 통신부(3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따라 원격제어기의 오동작 자가진단을 수행한다. 즉, 통신부(30)에 구비되는 특정 통신포트를 통해 일정시간 이상 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는 경우 또는 원격제어기가 오동작 되는 것으로 자체 판단할 수 있다. 자가진단을 통한 오동작 판단의 경우 오동작판단부(70)는 비상제어부(50)로 오동작에 따른 신호를 전달한다.
여기서, 오동작판단부(70)에 의해 자체 오동작이 판단되거나 다른 원격제어기의 오동작에 대한 신호 수신되는 경우에 있어서, 원격제어기의 오동작은 원격제어기의 결함 또는 이상으로 인하여 원격제어기가 정상 동작되지 못하는 상태 뿐 아 니라, 원격제어기가 정상 동작되더라도 실내기 또는 실외기간의 통신선 문제로 인하여 통신이 단절되는 경우에도 오동작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원격제어기(RC1)와 제 1실외기(O1)간의 통신선에 문제가 발생되어 상호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제1 원격제어기(RC1)에 의한 제1 실외기(O1) 제어가 불가능해 지므로, 이 경우에도 다른 원격제어기를 이용한 비상제어가 수행된다.
제어부(40)는 통신부(3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입력부(10) 및 출력부(20)를 통한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여, 실내기 또는 실외기와 같은 설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각각의 동작상태가 출력부(2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10)는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각 설비기기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통신부(30)를 통해 전송하고,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한 기록이 데이터부(10)에 저장되도록 한다.
제어부(40)는 오동작판단부(70)의 판단결과에 대응하여, 오동작 되는 원격제어기의 설비기기에 대한 비상제어가 수행되도록 비상제어부(50)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40)는 비상제어 중 비상제어부(50)로부터 수신되는 동작상태 데이터가 출력부(20)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비상제어에 따른 동작상태 데이터를 제 4 원격제어기(RC4)로 전송하여, 비상제어 상태를 통보한다.
또한, 제어부(40)는 통신부(30)를 통해 다른 원격제어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비상제어데이터가 비상데이터부(80)에 저장되도록 하고, 오동작시 수행되어야할 제어동작에 대한 비상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다른 원격제어기로 전송한다.
비상제어부(50)는 제어부(4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비상제어라인을 통한 비상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비상제어부(50)는 비상데이터부(80)에 저장된 비상데이터 및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오동작 되는 원격제어기의 실내기 및 실외기를 비상제어하며, 복수의 제어동작 중 높은 우선순위를 제어동작을 선 수행하고, 낮은 우선순위의 제어동작은 나중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비상제어부(50)는 비상제어 시 수행하는 모든 제어동작에 대한 제어기록을 비상데이터부(80)에 저장한다. 또한, 비상제어 시 실내기 및 실외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며, 수신된 동작상태 데이터는 제어부(40)로 인가하여 비상 제어되는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상태가 출력부(2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비상제어부(50)는 오동작 되는 원격제어기가 복구되어 정상 동작되는 경우, 비상제어를 해제하고, 비상데이터부(80)에 저장된 제어기록이 해당 원격제어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비상제어부(50)는 오동작판단부(70)의 자가진단 결과에 따라, 원격제어기가 오동작 되는 것으로 자체 판단되는 경우, 자체 비상제어를 수행하거나 또는 다른 원격제어기로 비상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자가진단에 의한 오동작의 경우, 비상제어부(50)는 출력부(20)를 통해 소정의 메시지, 또는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외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외기(O)는 도1의 설명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압축기 및 실외열교환기 등을 포함하여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고, 실내기 및 원격제어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실외기통신부(230),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어동작 을 압축기 및 실외열교환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실외기제어부(220),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되고, 압축기 및 열교환기 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가 저장되는 실외기데이터부(240)를 포함한다.
이때, 실외기통신부(230)는 연결된 원격제어기와의 통신선이 연결되는 통신단자와, 비상제어라인이 연결되는 비상제어라인 통신단자를 포함한다. 비상제어라인 통신단자의 경우, 통상적인 일반 제어상태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비상제어 시 다른 원격제어기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실외기(O)는 실외기통신부(23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상태에 대응하여 원격제어기의 오동작을 판단하는 이상판단부(21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실내기(I)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판단부(210)는 실외기통신부(230)를 통해 원격제어기(RC)로 동작상태 데이터를 전송하고, 원격제어기(RC)로부터 제어명령을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소정 시간 이상 원격제어기(RC)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는 않는 경우, 원격제어기 이상 또는 통신선 이상에 따른 오동작을 판단한다.
여기서, 실외기제어부(220)는 이상판단부(210)에 의해 원격제어기가 오동작 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비상제어라인을 통해 다른 원격제어기로 비상제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전술한 도 3에서의 비상제어라인 연결상태의 경우에는 제4 원격제어기로 비상제어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외기 제어부(220)는 비상제어 요청 후, 비상제어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원격제어기의 응답에 대응하여, 실외기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제 1 내지 제 4 원격제어기 중 제 1 원격제어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에서 원격제어기의 오동작 자체진단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원격제어기(RC)는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제 1 내지 6 실내기(I11 내지 I13, I21 내지 I23)와, 제 1 및 제 2 실외기(O1,O2)로 스케줄 또는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실외기 및 실내기로부터 동작상태 데이터를 수신한다(S310).
또한, 제1 원격제어기(RC1)는 주기적으로 제 4 원격제어기(RC4)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제 4 원격제어기(RC4)의 제어데이터를 수신하고,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상태 데이터를 전송한다(S310). 또한, 제 1 원격제어기(RC1)는 제 2 원격제어기(RC2) 또는 제 3 원격제어기(RC3)와 주기적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제1 원격제어기(RC1)는 비상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제 2 내지 제 4 원격제어기(RC2 내지 RC4) 중 적어도 하나의 원격제어기로 전송한다.
제1 원격제어기(RC1)는 실외기 및 실내기로부터 소정 시간 이상 응답이 수신 되지 않는 경우(S320), 자체 동작분석(S340)을 통해 이상 발생에 따른 오동작 여부를 판단한다(S350). 통신상태가 정상이거나 일시적인 통신오류로 정상 동작되는 경우에는 정상 운전된다(S330).
이상발생에 따른 오동작이 판단되는 경우, 자체 비상제어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S360) 자체 비상제어모드로 전환하고(S370), 비상제어부(50)를 통한 비상제어 운전을 수행한다(S380). 경우에 따라, 제1 원격제어기(RC1)는 통신 시 응답 수신여부에 관계없이 자체 이상이 발생되어 오동작이 판단되는 경우에는 비상제어를 수행하거나 요청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비상제어모드에서 실외기 또는 실내기와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여야 한다.
한편, 자체 비상제어가 불가능한 경우, 제1 원격제어기(RC1)는 제 2 내지 4 원격제어기(RC2 내지 RC4) 중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기로 비상제어를 요청한다(S390).
예를 들어, 제 1 원격제어기(RC1)는 실내기 및 실외기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오동작판단부(70)에 의해 통신선 오류로 인한 제어 불가 여부를 판단하고, 제 2 내지 4 원격제어기(RC2 내지 RC4) 중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기로 비상제어를 요청한다.
이때, 전술한 도2와 같이 비상제어라인이 연결되는 경우, 제 1 원격제어기(RC1)는 제 2 원격제어기(RC2)로 비상제어를 요청하고, 전술한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비상제어라인이 연결되는 경우에는 제 2 내지 4 원격제어기(RC2 내지 RC4)로 비상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는 비상제어라인의 연결 상태에 따라, 또는 통신 가능한 원격제어기의 연결 상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도 4와 같이 비상제어라인이 연결되는 경우, 비상제어부(50)는 연결수단을 제어하여, 실외기 및 실내기의 통신선과 비상제어라인이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에서 원격제어기의 비상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원격제어기(RC1)는 전술한 도 7에서와 같이 제 2 내지 제 4 원격제어기(RC2 내지 RC4)와 통신을 하는 경우(S410), 그 응답여부에 따라 제 2 내지 제 4 원격제어기(RC2 내지 RC4)에 대한 오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내지 제 4 원격제어기(RC2 내지 RC4)로부터 비상제어 요청이 수신되거나 또는 비상제어라인을 통해 연결된 실외기 및 실내기로부터 비상제어 요청이 수신되면(S420), 다른 원격제어기가 오동작 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3 원격제어기(RC3)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 1 원격제어기(RC1)는 제 3 원격제어기(RC3)가 오동작 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또한, 제 2 원격제어기(RC2), 제 4 원격제어기(RC4), 또는 제 14 내지 제16실내기(I51 내지 I53) 및 제 5 실외기(O5)로 부터 비상제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제 3 원격제어기(RC3)가 오동작 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제1 원격제어기(RC1)는 제 3 원격제어기(RC3)의 설비기기, 즉 제 14 내지 제16실내기(I51 내지 I53) 및 제 5 실외기(O5)와 비상제어라인을 통해 연결을 시도하고(S430), 연결이 성공되면(S440), 비상제어라인(L11, L23, L31)을 통한 비상제어를 개시한다(S450).
제1 원격제어기(RC1)는 비상데이터부(80)에 저장된 제 3원격제어기의 비상제어데이터를 호출하여 그에 근거하여 제 14 내지 제16실내기(I51 내지 I53) 및 제 5 실외기(O5)를 비상제어 한다.
이때, 제1 원격제어기(RC1)는 복수의 제어동작 중 높은 우선순위의 제어동작 을 선 수행하고, 그에 대한 제어기록을 저장한다. 또한, 제 14 내지 제16실내기(I51 내지 I53) 및 제 5 실외기(O5)로부터 비상제어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동작상태 데이터를 저장한다. 동작상태 데이터는 경우에 따라 제 4 원격제어기(RC4)로 전송한다(S470).
한편, 제 3 원격제어기(RC3)가 정상 동작하다 경우, 제 1원격제어기(RC1)는 비상제어에 대한 제어기록과, 현재 제 14 내지 제16실내기(I51 내지 I53) 및 제 5 실외기(O5)의 동작상태 데이터를 제 3 원격제어기(RC3)로 전송하고, 비상제어를 해제한다.
정상 동작되는 제 3 원격제어기(RC3)는 제1 원격제어기(RC1)로부터 수신된 제어기록과, 동작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지연된 제어동작을 선 수행하고, 정상동작 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에서 원격제어기의 또 다른 비상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4 원격제어기(RC4)는 주기적으로 제 1 내지 제3 원격제어기(RC1 내지 RC3)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S510), 이때,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기, 예를 들어 제 3 원격제어기(RC3)로 부터 소정시간 이상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S420, S530), 또는 실내기 및 실외기, 다른 원격제어기로부터 비상제어가 요청된 경우, 제 3 원격제어기(RC3)의 이상을 판단한다(S540).
제 4 원격제어기(RC4)는 정상 동작하다 원격제어기, 제 1 또는 제 2 원격제어기(RC1, RC2)로 제 3 원격제어기(RC3)의 오동작에 따른 이상발생에 대한 안내를 전송한다(S550). 이때, 제 4 원격제어기(RC4)는 제 1 및 제 2 원격제어기(RC1, RC2)는 제어 부하량이 낮은 원격제어기로 오동작 안내를 전송한다. 또한, 비상제어라인의 연결 상태에 따라 오동작 안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도 2와 같이 비상제어라인이 연결되는 경우에는 제 1 원격제어기(RC1)로 오동작 안내를 전송한다.
제 1 원격제어기(RC1)에 의한 비상제어기 개시되면, 제 4 원격제어기(RC4)는 제 1 원격제어기(RC1)로부터 제 14 내지 제16실내기(I51 내지 I53) 및 제 5 실외기(O5)에 대한 동작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동작 상태를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비상제어방법은 복수의 원격제어기를 포함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원격제어기 오동작 시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도 다른 원격제어기를 통해 오동작 되는 원격제어기의 설비기기를 제어할 수 있어, 스케줄 제어 또는 전력량 제어 시 오동작 되는 원격제어기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는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비상제어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의 비상제어 라인 구성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의 비상제어 라인 구성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의 비상제어 라인 구성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원격제어기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외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7 은 본 발명의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에서 원격제어기의 오동작 자체진단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에서 원격제어기의 비상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에서 원격제어기의 또 다른 비상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I: 실내기 O: 실외기
LRC: 로컬제어기 R: 리모컨
RC: 원격제어기
10: 입력부 20: 출력부
30: 통신부 40: 제어부
50: 비상제어부 60: 데이터부
70: 오동작판단부 80: 비상데이터부

Claims (15)

  1. 제 1 그룹의 설비기기에 연결되어, 그 동작을 모니터링 하고, 제어하는 제 1 제어기; 및
    제 2 그룹의 설비기기에 연결되어 그 동작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제 2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기는 상기 제2 제어기 오동작 시, 상기 제 2 그룹의 설비기기를 비상제어하고, 상기 제 2 제어기는 상기 제 1 제어기 오동작 시 상기 제 1 그룹의 설비기기를 비상제어 하는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는 상기 제 2 그룹의 설비기기를 비상제어 하는 경우, 높은 우선순위의 제어동작을 우선 수행하고, 그 제어기록을 저장하는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는 디멘드 제어, 피크전력제어, 절전제어, 에너지 소비 제어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동작을 높은 우선순위의 제어로 우선 수행하는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는 상기 제 2 제어기가 정상 동작되는 경우, 상기 2 제어기로 상기 제어기록을 전송하고,
    상기 제 2 제어기는 수신되는 상기 제어기록에 근거하여, 처리되지 않고 지연된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하는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는 기 저장된 비상제어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그룹의 설비기기를 제어하는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는 상기 제 2 그룹의 설비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 방식에 따라 비상제어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제어기는 상기 제 1 그룹의 설비기기와 비상제어라인으로 연결되는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 및 상기 제 2 제어기는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는 상기 제 2 그룹의 설비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비상제어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제어기의 오동작을 판단하고 상기 제 2 그룹의 설비기기를 비상제어 하는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 2 제어기와 통신하고, 소정 시간 이상 상기 제 2 제어기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제어기가 오동작 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 2 그룹의 설비기기를 비상제어 하는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 및 상기 제 2 제어기의 상위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기의 오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제 1 제어기 오동작시, 상기 제 2 제어기를 통해 상기 제 1 그룹의 설비기기가 제어되도록 상기 제 1 제어기의 오동작 정보를 상기 제 2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3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11. 제 1 그룹의 설비기기를 제어하는 제 1 제어기가 제 2 그룹의 설비기기를 제어하는 제 2 제어기의 오동작을 판단하는 단계;
    기 저장된 비상제어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의 그룹의 설비기기를 비상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2 그룹의 설비기기에 대한 제어기록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의 비상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는 상기 제 2 제어기로부터 소정 시간 응답이 수신되는 않는 경우, 상기 제 2 그룹의 설비기기로부터 비상제어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위에 연결되는 제 3 제어기로부터, 상기 제 2 제어기의 오동작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 상기 제 2 제어기가 오동작 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의 비상제어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는 상기 제 2 그룹의 설비기기 비상제어 시, 우선순위에 따라, 높은 우선순위의 제어동작을 선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의 비상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기는 디멘드 제어, 피크전력제어, 절전제어, 에너지 소비 제어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동작을 우선 수행하는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의 비상제어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기 정상 동작 시, 상기 제 1 제어기는 상기 제어기록을 상기 제 2 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제어기의 설비기기에 대한 비상제어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설비기기 제어시스템의 비상제어방법.
KR1020080008653A 2008-01-28 2008-01-28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비상제어방법 KR101400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653A KR101400399B1 (ko) 2008-01-28 2008-01-28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비상제어방법
EP20080252088 EP2085842B1 (en) 2008-01-28 2008-06-18 Equipment controll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S08252088T ES2464992T3 (es) 2008-01-28 2008-06-18 Sistema de control de equipos y método de control del mismo
CN2008101291174A CN101498928B (zh) 2008-01-28 2008-06-23 设备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US12/213,866 US9104188B2 (en) 2008-01-28 2008-06-25 Equipment controll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653A KR101400399B1 (ko) 2008-01-28 2008-01-28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비상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727A true KR20090082727A (ko) 2009-07-31
KR101400399B1 KR101400399B1 (ko) 2014-06-27

Family

ID=40946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653A KR101400399B1 (ko) 2008-01-28 2008-01-28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비상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00399B1 (ko)
CN (1) CN10149892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89995A (zh) * 2010-03-01 2011-09-21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用于使在汽车中由控制器控制运行的功能单元停止运行的方法
WO2020050570A1 (ko) * 2018-09-04 2020-03-12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분산제어 스마트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7302B (zh) * 2012-06-25 2017-11-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微波传输设备及其重启动方法和装置
CN103206366A (zh) * 2013-04-24 2013-07-17 陈晓英 一种高压变频空压机的控制系统
CN103399564B (zh) * 2013-08-15 2016-02-24 莱芜钢铁集团电子有限公司 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CN104748285B (zh) * 2013-12-25 2017-10-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空调系统的数据同步处理方法及系统
CN107678891B (zh) * 2017-10-13 2021-06-29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存储系统的双控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1066A (en) * 1977-09-13 1979-02-20 Honeywell Inc. Process control system with backup process controller
JPH06250869A (ja) * 1993-03-01 1994-09-09 Hitachi Ltd 分散制御システム
JPH06274222A (ja) * 1993-03-18 1994-09-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故障点検優先順位表示装置
CN2419561Y (zh) * 2000-05-11 2001-02-14 李根长 工业炉窑消烟除尘智能控制器
JP2001357151A (ja) * 2000-06-14 2001-12-26 Daikin Ind Ltd 機器制御方法及び機器制御装置並びに機器修理システム
JP2004362133A (ja) * 2003-06-03 2004-12-24 Omron Corp Plcシステムおよびそのバックアップ方法
JP4799166B2 (ja) * 2005-12-19 2011-10-26 株式会社東芝 二重化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の更新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89995A (zh) * 2010-03-01 2011-09-21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用于使在汽车中由控制器控制运行的功能单元停止运行的方法
WO2020050570A1 (ko) * 2018-09-04 2020-03-12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분산제어 스마트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98928B (zh) 2011-12-28
CN101498928A (zh) 2009-08-05
KR101400399B1 (ko) 2014-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2608B2 (ja) エアコンの中央制御システム
KR10147201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37477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00399B1 (ko)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비상제어방법
KR100715999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US9104188B2 (en) Equipment controll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056032B1 (en) 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H0979654A (ja) Lan接続空気調和機システム
KR2010001266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3514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4300069B2 (ja) 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86092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0111128A (ja) 空気調和機
KR102205162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3374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WO2018179366A1 (ja) 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および通信トラフィック調整方法
KR2013003502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3984945B2 (ja) 空気調和装置システム
KR101418511B1 (ko) 설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5054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00048195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000055135A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00032201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0002634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데이터 갱신방법
CN110651156A (zh) 预测性自由冷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