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2506A - 이당류 화합물의 나트륨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사용 - Google Patents

이당류 화합물의 나트륨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사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2506A
KR20090082506A KR1020097012851A KR20097012851A KR20090082506A KR 20090082506 A KR20090082506 A KR 20090082506A KR 1020097012851 A KR1020097012851 A KR 1020097012851A KR 20097012851 A KR20097012851 A KR 20097012851A KR 20090082506 A KR20090082506 A KR 20090082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dium salt
sodium
formula
acid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2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1551B1 (ko
Inventor
신 사쿠라이
켄 후루카와
키미히로 마츠오
케니치 타가미
Original Assignee
에자이 알앤드디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자이 알앤드디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자이 알앤드디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2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02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 C07H15/12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attached to a nitroge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균 화학식 (I)(식 중, m1, n1, m2 및 n2는 독립적으로 0 또는 2 이하의 양수를 나타내고, 단, m1+n1=2, m2+n2=2, 또한, 0<m1+m2<4, 0<n1+n2<4임)로 표시되는 나트륨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평균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나트륨염과,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을 공존시키는 분해 억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염의 경시적인 안정성을 개선한다.
Figure 112009037292455-PCT00033
Figure 112009037292455-PCT00034
나트륨염, 나트륨 함유 염기, 염의 경시적인 안정성, 나트륨염 분해 억제 방법, 나트륨염 중의 불순물의 발생 억제 방법

Description

이당류 화합물의 나트륨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사용{SODIUM SALT OF DISACCHARIDE COMPOU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OF THE SAME}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이당류 화합물의 나트륨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9037292455-PCT00001
본원은 2006년 11월 22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6-315020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상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의 4나트륨염은 그램 음성균 외막에 존재하는 리포다당류(LPS: Lipopolysaccharide) 성분 또는 엔도톡신이 야기하는 치사율이 높은 그램 음성균 혈증, 특히 엔도톡신 쇼크의 예방·치료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인간에 있어서도 우수한 항엔도톡신 작용을 갖는 것이 확인되어 있고(비특허 문헌 1), 또한 세균의 균체 성분을 인식하는 수용 체의 하나인 TLR4(톨-유사 수용체(toll-like receptor) 4)에 대하여 길항 작용을 갖는 것도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이들의 작용에 기초하여, 상기 화합물 및 그의 4나트륨염은 패혈증, 내독소증, 관동맥 바이패스 형성술의 예후 개선 등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특히 유용한 것이 보고되어 있다(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3).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제2004/071465호 공보
특허 문헌 2: 국제 공개 제96/39411호 공보
특허 문헌 3: 국제 공개 제2004/074303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Lynn et al., J.Pharmacol. Exp. Ther. 308(1): 175-181, 2004]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 화합물의 4나트륨염은 보관 조건에 따라서는 그 보존 중에 약간 분해되어 경시적으로 미량의 불순물을 발생시키는 것이 이번에 발견되었다. 의약으로서의 안전성 측면에서는, 상기 화합물의 나트륨염의 보존 중의 경시적인 분해는 최대한 회피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나트륨염의 경시적인 분해를 억제하고, 불순물의 발생을 감소시켜서 안전성이 우수한 의약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목적은 평균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에 의해 달성된다.
Figure 112009037292455-PCT00002
(식 중, m1, n1, m2 및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2 이하의 양수를 나타내고, 단, m1+n1=2, m2+n2=2, 또한, 0<m1+m2<4, 0<n1+n2<4임)
상기 평균 화학식 (I)에 있어서, 3≤n1+n2<4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3.5≤n1+n2≤3.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균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의 나트륨 함량은 5.0 중량% 이상 6.5 중량% 미만이 바람직하고, 5.7 중량% 이상 6.3 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평균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은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나트륨 함유 염기로 불완전 중화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9037292455-PCT00003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7292455-PCT00004
(식 중, m'1, n'1, m'2 및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2 이하의 정수를 나타내고, 단, m'1+n'1=2, m'2+n'2=2, 또한, 0<m'1+m'2<4, 0<n'1+n'2<4임)
구체적으로는,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을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나트륨염과 공존시킴으로써,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의 분해를 억제하고, 상기 염 중의 불순물 발생을 억제한다.
Figure 112009037292455-PCT0000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을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나트륨염과 함께 보존함으로써 달성된다.
[발명의 효과]
평균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나트륨염은 경시적인 분해가 최대한 억제되어 있고,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의약으로서의 안전성이 우수한 것이다. 평균 화학식 (I)에 있어서 3≤n1+n2<4, 특히 3.5≤n1+n2≤3.8의 경우, 또는 나트륨 함량이 5.0 중량% 이상 6.5 중량% 미만, 특히 5.7 중량% 이상 6.3 중량% 이하인 경우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평균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의 제조 방법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또한 복잡한 공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의약의 제조 방법으로서 뛰어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은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의 경시적인 분해를 억제하고, 불순물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의 장기간에 걸친 보존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의 불순물 발생률을 도시하는 제1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의 불순물 발생률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관련된,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의 4나트륨염인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WO96/39411(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하의 단계를 거쳐서 합성할 수 있다.
Figure 112009037292455-PCT00006
또한, 화학식 (II) 및 (IV)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예를 들면, WO2004/074303(특허 문헌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당류에 2개의 아실형 측쇄를 미리 도입한 후, 이들을 결합하는 이하의 반응식 1, 및 반응식 1에서 얻어진 화합물을 인산화하는 반응식 2를 거쳐서 합성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9037292455-PCT00007
Figure 112009037292455-PCT00008
다만, WO96/39411(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방법은 합성 단계가 많아 제조 효율 면에서 과제를 갖는다. 또한, WO2004/074303(특허 문헌 3)의 방법은 합성 단계가 대폭 줄어들지만, 인체에 독성을 갖는 시약, 및 폭발성을 갖는 시약을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성·조작성의 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화학식 (II) 및 (IV)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합성 단계가 적고, 또한, 인체에 독성을 갖는 시약, 및 폭발성을 갖는 시약을 사용하지 않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9037292455-PCT00009
DDP: 디알릴 N,N-디이소프로필포스포라미데이트
Py: 피리딘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Figure 112009037292455-PCT00010
Figure 112009037292455-PCT00011
상기한 제조 방법의 제1 공정은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아인산기를 도입한 후, 산화 반응을 거쳐서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생성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서 이용되는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원료 물질과 용이하게 반응하지 않는 불활성 용매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류, 예를 들면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예를 들면 헥산, 헵탄 등의 탄화수소류,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예를 들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메틸 등의 아세트산에스테르류, 예를 들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2-피페리돈, 헥사메틸포스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술폭시드류 및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가 바람직하고, 특히 예를 들면 톨루엔이 바람직하다.
본 공정은 피리딘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의 존재 하에서 행함으로써 완화된 조건에서 반응이 진행된다. 본 공정에서 사용하는 피리딘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은 화학식 (1)의 화합물에 대하여 등량 내지 과잉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데, 반응을 원활하게 진행시키고, 정제 처리 등을 고려하면 각각 1.0 내지 3.0 당량 및 1.0 내지 3.0 당량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각각 1.0 내지 2.0 당량 및 1.0 내지 2.0 당량이 바람직하다.
본 공정은 아인산기를 도입하는 공정과 산화 공정의 전체 2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아인산기를 도입하는 공정에서 사용되는 디알릴 N,N-디이소프로필포스포라미데이트는 화학식 (1)의 화합물에 대하여 당량 내지 과잉량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당량이다. 아인산기 도입 공정의 반응 시간은 0.5 내지 4시간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시간이다. 반응 온도는 -78℃ 내지 실온이고, 바 람직하게는 -40 내지 0℃이다. 산화 공정에서 사용되는 산화제는 과산화수소, m-클로로과벤조산, 옥손 등을 들 수 있는데, 과산화수소가 가장 바람직하다. 과산화수소는 화학식 (1)의 화합물에 대하여 등량 내지 과잉량 사용할 수 있는데, 1.0 내지 3.0 당량이 바람직하다. 산화 공정의 반응 시간은 0.5 내지 6시간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시간이다. 반응 온도는 -50 내지 0℃가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조 방법의 제2 공정은 화학식 (2)의 화합물로부터 산 가수 분해에 의해 1-프로페닐기를 선택적으로 탈보호하여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서 이용되는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원료 물질과 용이하게 반응하지 않는 불활성 용매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tert-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디글라임 등의 에테르류, 예를 들면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예를 들면 헥산, 헵탄 등의 탄화수소류,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예를 들면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예를 들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토아미드, N-메틸-2-피페리돈, 헥사메틸포스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술폭시드류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가 바람직하다.
본 공정에서 사용되는 산은 일반적인 유기산 및 무기산을 들 수 있고, 유기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벤조산 등의 일카르복실산; 옥살산 등의 이카르복실산; 메탄술폰산, 토실산, 트리플루오로메탄 술폰산 등의 유기 술폰산, 무기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인산, 염산, 황산, 질산을 사용할 수가 있고, 염산, 황산 등의 무기산이 바람직하다.
본 공정에서 사용하는 산은 화학식 (2)의 화합물에 대하여 촉매량 내지 과잉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데, 반응을 원활히 진행시키고, 정제 처리 등을 고려하면 0.01 내지 1.5 당량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1 내지 1.0 당량이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0.5 내지 12시간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시간이다. 반응 온도는 0℃ 내지 가열 환류이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이다.
또한, 얻어진 화학식 (3)의 화합물은 최적 조건 하에서 결정을 얻음으로써 순도의 향상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한 제조 방법의 제3 공정은 화학식 (3)의 화합물에 염기의 존재 하에서 이탈기로서 트리클로로아세토이미데이트기를 도입하여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서 사용되는 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릴은 화학식 (3)의 화합물에 대하여 등량 내지 과잉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데, 반응을 원활히 진행시키고, 정제 처리 등을 고려하면 1.0 내지 10.0 당량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2.0 내지 5.0 당량이 바람직하다.
본 공정에서 이용되는 용매는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류, 예를 들면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예를 들면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등의 아세트산에스테르류, 물,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등의 아세트산에스테르류와 물의 혼합 용매가 바람직하고, 반응을 재현성 좋게 행할 수 있다.
용매로서 사용되는 아세트산에스테르류와 물의 혼합비는 물의 비율로서 1 내지 10%(용량/용량비)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2 내지 5%가 바람직하다.
본 공정에서 사용되는 염기는, 예를 들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등의 탄산염, 예를 들면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탄산수소염, 예를 들면 나트륨 메톡시드, 칼륨 tert-부톡시드 등의 알칼리 금속 알콕시드류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탄산칼륨 등의 탄산염이 바람직하다.
본 공정에서 사용하는 염기는 화학식 (3)의 화합물에 대하여 등량 내지 과잉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데, 반응을 원활히 진행시키고, 정제 처리 등을 고려하면 0.5 내지 3.0 당량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0 내지 1.3 당량이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0.5 내지 24시간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시간이다. 반응 온도는 -20℃ 내지 실온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5 내지 10℃가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조 방법의 제4 공정은 화학식 (4)의 화합물과 화학식 (5)의 화합물을 글리코실 결합하여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글리코실화 반응은 산 촉매의 존재 하에서 진행할 수 있다. 본 공정에서 사용되는 산 촉매로서는 유기산, 루이스산을 들 수 있는데, 유기산으로서의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캄포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의 유기 술폰산이 바람직하고,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공정에서 이용되는 용매는 원료 물질과 용이하게 반응하지 않는 불활성 용매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류, 예를 들면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헥산, 헵탄 등의 탄화수소류,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의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헥산, 헵탄 등의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의 용매 또는 그의 혼합 용매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헵탄과 톨루엔의 혼합 용매가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0℃ 내지 가열 환류에서 행할 수 있고, 10 내지 30℃가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1시간 내지 7일간 행할 수 있고, 8시간 내지 3일간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조 방법의 제5 공정은 화학식 (6)의 화합물로부터 산 가수 분해에 의해 1-프로페닐기를 선택적으로 탈보호하여 화학식 (7)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서 이용되는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원료 물질과 용이하게 반응하지 않는 불활성 용매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tert-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디글라임 등의 에테르류, 예를 들면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예를 들면 헥산, 헵탄 등의 탄화수소류,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예를 들면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예를 들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토아미드, N-메틸-2-피페리돈, 헥사메틸포스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술폭시드류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아세토니트릴 등 의 니트릴류가 바람직하다.
본 공정에서 사용되는 산은 일반적인 유기산 및 무기산을 들 수 있고, 유기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벤조산 등의 일카르복실산; 옥살산 등의 이카르복실산; 메탄술폰산, 토실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등의 유기 술폰산, 무기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인산, 염산, 황산, 질산을 사용할 수가 있고, 염산, 황산 등의 무기산이 바람직하다.
본 공정에서 사용하는 산은 화학식 (6)의 화합물에 대하여 촉매량 내지 과잉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데, 반응을 원활히 진행시키고, 정제 처리 등을 고려하면 0.01 내지 1.5 당량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1 내지 0.5 당량이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0.5 내지 12시간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시간이다. 반응 온도는 0℃ 내지 가열 환류이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이다.
또한, 본 공정은 감압 하에서 반응, 처리를 행함으로써 수득량의 향상, 조작성의 개선, 부생성물의 감소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한 제조 방법의 제6 공정은 화학식 (7)의 화합물에 아인산을 도입한 후, 산화 반응을 거쳐서 화학식 (8)의 화합물을 생성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서 이용되는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원료 물질과 용이하게 반응하지 않는 불활성 용매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류, 예를 들면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예를 들면 헥산, 헵탄 등의 탄화수소류,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예를 들면 아세트산에틸, 아 세트산메틸 등의 아세트산에스테르류, 예를 들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2-피페리돈, 헥사메틸포스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술폭시드류 및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가 바람직하고, 특히 예를 들면 톨루엔이 바람직하다.
본 공정은 피리딘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의 존재 하에서 행함으로써 완화된 조건에서 반응이 진행된다. 본 공정에서 사용하는 피리딘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은 화학식 (7)의 화합물에 대하여 등량 내지 과잉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데, 반응을 원활히 진행시키고, 정제 처리 등을 고려하면 각각 1.0 내지 3.0 당량 및 1.0 내지 3.0 당량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각각 1.0 내지 2.0 당량 및 1.0 내지 2.0 당량이 바람직하다.
본 공정은 아인산기를 도입하는 공정과 산화 공정의 전체 2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아인산기를 도입하는 공정에서 사용되는 디알릴 N,N-디이소프로필포스포라미데이트는 화학식 (7)의 화합물에 대하여 당량 내지 과잉량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당량이다. 아인산기 도입 공정의 반응 시간은 0.5 내지 24시간이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시간이다. 반응 온도는 -78℃ 내지 실온이고,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0℃이다. 산화 공정에서 사용되는 산화제는 과산화수소, m-클로로과벤조산, 옥손 등을 들 수 있는데, 과산화수소가 가장 바람직하다. 산화 공정의 반응 시간은 0.5 내지 6시간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시간이다. 반응 온도는 -50 내지 0℃가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조 방법의 제7 공정은 화학식 (8)의 화합물의 2-프로페닐기를 탈보 호함으로써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2-프로페닐기의 제거는 문헌 기재된 방법, 예를 들면 산 또는 염기를 이용하는 가수분해, 팔라듐 촉매 등의 금속 촉매를 이용하는 탈알릴화 반응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예를 들면 팔라듐 촉매 등의 금속 촉매를 이용하는 탈알릴화 반응이 바람직하고,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등의 0가의 팔라듐 촉매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등의 0가의 팔라듐 촉매는 시판되고 있는 시약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시약의 안정성을 위해, 반응계 내에서 생성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2가의 팔라듐 시약과 트리페닐포스핀 등의 배위자와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본 공정에서 사용되는 2가의 팔라듐 시약으로서는 아세트산팔라듐, 염화팔라듐, 염화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세트산팔라듐을 2가의 팔라듐 시약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아세트산팔라듐은 화학식 (8)의 화합물에 대하여 촉매량을 사용할 수가 있는데, 반응을 원활히 진행시키고, 정제 처리 등을 고려하면 0.01 내지 0.50 당량이 바람직하고, 0.05 내지 0.25 당량이 바람직하다. 트리페닐포스핀은 화학식 (8)의 화합물에 대하여 1.5 내지 10 당량 사용할 수 있고, 3.0 내지 5.0 당량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반응에 사용되는 구핵제(求核劑)로서는 분자 내에 활성 메틸렌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시아노아세트산에틸 등의 쇄상 유기산에스테르류, 멜드럼산(이소프로필리덴 말로네이트) 등의 환상 유기산에스테르류, 디메돈(5,5-디메틸-1,3-시클로헥산디온) 등의 환상 케톤류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멜드럼산 등의 환상 유기산에스테르류, 디메돈 등의 환상 케톤류가 부생성물 감소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공정에서 이용되는 구핵제는 아세트산팔라듐에 대하여 등량 내지 과잉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당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당량 정도 이용된다. 반응 시간은 1 내지 12시간이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시간이다. 반응 온도는 10 내지 50℃의 온도이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이다.
본 공정에서 이용되는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원료 물질과 용이하게 반응하지 않는 불활성 용매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류, 예를 들면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헥산, 헵탄 등의 탄화수소류,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의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고, 특히 테트라히드로푸란이 바람직하다.
본 공정에서 사용되는 팔라듐 촉매에 기인하는 잔류 팔라듐의 제거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트리머캅토트리아진, 디메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나트륨 등의 황 함유 화합물, 다이어이온(등록상표) CR20 등의 수지 고정형 흡착제, 실리카겔 컬럼 등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의 사용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트리머캅토트리아진, 디메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나트륨 등의 황 함유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조 방법의 제8 공정은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나트륨 이온 공급원을 필요량 첨가함으로써,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서 이용되는 나트륨 이온 공급원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등의 나트륨 함유 염기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수산화나트륨이 바람직하다.
본 공정에서 이용되는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원료 물질과 용이하게 반응하지 않는 불활성 용매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tert-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류, 예를 들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이소프로필 등의 아세트산에스테르류, 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예를 들면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tert-부탄올 등의 알코올류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4나트륨염 형태의 화합물은 그램 음성균 외막에 존재하는 리포다당류 성분 또는 엔도톡신이 야기하는 치사율이 높은 그램 음성균 혈증, 특히 엔도톡신 쇼크에 있어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리피드 A에 길항하여 우수한 항 엔도톡신 작용을 나타내고, 또한 세균의 균체 성분을 인식하는 수용체의 하나인 TLR4에 대하여 길항 작용을 나타내는 점에서 패혈증, 내독소증, 관동맥 바이패스 형성술의 예후 개선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특히 유용하고, 의약품의 유효 성분으로서 적합한 것이다.
그러나,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4나트륨염은 그 보존 중에 약간이지만 분해되어, 경시적으로 미량의 불순물이 발생한다.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나트륨염을 의약품의 제조원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경시적인 분해를 최대한 억제하여, 불순물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나트륨염으로서,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4나트륨염이 아니고, 평균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을 채용한다.
Figure 112009037292455-PCT00012
(식 중, m1, n1, m2 및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2 이하의 양수를 나타내고, 단, m1+n1=2, m2+n2=2, 또한, 0<m1+m2<4, 0<n1+n2<4임)
평균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은 그의 인산 부위에 수소 원자가 일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나트륨 산성염이라고 할 수 있다. 평균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은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4나트륨염에 비하여 경시적인 분해 및 불순물의 발생이 억제된다.
상기 평균 화학식 (I) 중, 3≤n1+n2<4인 것이 불순물의 발생이 보다 적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3.5≤n1+n2≤3.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균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의 나트륨 함량이 5.0 중량% 이상 6.5 중량% 미만의 범위에서 불순물의 발생이 보다 적기 때문에 바람직하 고, 5.7 중량% 이상 6.3 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은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나트륨 함유 염기로 불완전 중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불완전 중화」란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인산 부위의 수소 원자가 전부 소비되는 것(완전 중화)은 아니고, 그 화합물의 적어도 일부의 인산 부위가 수소 원자를 갖는 상태에서 중화가 완료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평균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나트륨염 중에는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이 존재한다.
Figure 112009037292455-PCT00013
(식 중, m'1, n'1, m'2 및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2 이하의 정수를 나타내고, 단, m'1+n'1=2, m'2+n'2=2, 또한, 0<m'1+m'2<4, 0<n'1+n'2<4임)
나트륨 함유 염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으며, 수산화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처리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10 내지 80℃의 온도에서 실시할 수가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에서 실시한다.
상기 불완전 중화는 적당한 용매 중에서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되는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tert-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이소프로필 등의 아세트산에스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가 있고, 특히,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tert-부탄올 등의 알코올류가 바람직하다.
상기 불완전 중화의 구체적인 수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이의 4당량 미만의 수산화나트륨 등의 1가 나트륨 함유 염기로 처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평균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은 다양한 나트륨염 혼합물이다. 구체적으로는, 평균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은,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나트륨염과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나트륨염과의 혼합물이고, 바꾸어 말하면, 평균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은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나트륨염만으로 이루어지는 집합체의 일부를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으로 치환한 것에 대응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별도의 양태는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을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나트륨염과 공존시켜,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의 분해를 억제하는 방법, 및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나트륨염 중의 불순물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별도의 양태는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나트륨염 을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나트륨염과 보존함으로써 장기간 보존을 가능하게 하는 보존 방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1개월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월, 보다 바람직하게는 반년 이상에 걸친 양호한 보존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분해 억제 방법, 불순물 발생 억제 방법 및 보존 방법의 실시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분해·불순물 발생의 추가적인 억제를 위해서는 비교적 저온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1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에서 실시된다.
상기 평균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은 표적으로 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효한 양만큼 투여할 수 있다. 투여량은 예를 들면, 환자 1인당 0.01 내지 50 mg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5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 mg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평균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을 포함하는 의약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중의 어느 양태로도 투여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경로로 투여된다. 비경구 경로에는 피하, 정맥내, 근육내 및 동맥내로의 주입이 포함된다. 여기서의 「주입」이란 주사에 한정되지 않고, 카테터를 통한 투여를 포함한다. 비경구 투여의 양태로서는 정맥 주사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의약은 경구 투여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과립제, 세립제, 산제, 정제, 피복 정제, 캡슐제, 시럽제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주사제(정맥내 주사제, 피하 주사제, 근육내 주사제 등), 좌제, 외용제(경피제제, 연고제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한 각종 제제에는 통상 이용되는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착색제, 교미 교취제 및 필요에 따라 안정화제, 유화제, 흡수 촉진제, 계면 활성제, pH 조정제, 방부제, 항산화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예증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7에 따른 화합물의 확인은 WO2004/074303(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제조법에 따라서 합성된 화합물을 대조로 하여, HPLC법에 의해 유지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행하였다. 화합물의 정량은 WO2004/074303(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제조법에 따라서 합성된 화합물을 대조로 하여 제조한 검량선으로부터, HPLC법에 의해 UV 검출기로부터 얻은 강도로부터 산출하였다.
HPLC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C18(ODS), C4, C8, C22, C30 등의 역상 컬럼이 바람직하다. 이동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물 등의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가 바람직하고, 소망에 따라 과염소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아세트산, 인산 등의 산류 및 이들의 염류, 트리에틸아민, 디에틸아민 등의 아민류를 첨가함으로써 양호한 피크 분리가 얻어진다. 또한, 컬럼 오븐 등으로 컬럼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피크 분리, 유지 시간의 재현성이 향상된다.
[참고예 1]
α-D-글루코피라노오스, (1Z)-1-프로페닐 2-디옥시-3-O-[(3R)-3-메톡시데 실]-6-O-메틸-2-[[(11Z)-1-옥소-11-옥타데세닐]아미노]-, 4-(디-2-프로페닐 포스페이트)의 합성
Figure 112009037292455-PCT00014
2L의 4구 플라스크에 α-D-글루코오스, (1Z)-1-프로페닐 2-디옥시-3-O-[(3R)-3-메톡시데실]-6-O-메틸-2-[[(11Z)-1-옥소-11-옥타데세닐]아미노]- [CAS 등록 번호: 748165-17-5] 235 g을 톨루엔 933 mL에 용해한 후, 디알릴 N,N-디이소프로필포스포라미데이트 129 mL, 피리딘 39.4 mL,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6.3 mL를 순차 실온에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1.5시간 후, 반응액을 -20℃로 냉각하고, 과산화수소 47.5 mL를 포함하는 아세토니트릴 희석 용액(933 mL)을 37분에 걸쳐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40분에 걸쳐서 10℃까지 승온시켰다. 3시간 후, 5% 아황산수소나트륨 수용액 94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켄치하고, 실온까지 승온하였다.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냉장 보존한 용액을 표제 화합물의 용액으로 하여 그대로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참고예2]
α-D-글루코오스, 2-디옥시-3-O-[(3R)-3-메톡시데실]-6-O-메틸-2-[[(11Z)-1-옥소-11-옥타데세닐]아미노]-, 4-(디-2-프로페닐 포스페이트)의 합성
Figure 112009037292455-PCT00015
참고예 1에서 얻어진 α-D-글루코피라노오스, (1Z)-1-프로페닐 2-디옥시-3-O-[(3R)-3-메톡시데실]-6-O-메틸-2-[[(11Z)-1-옥소-11-옥타데세닐]아미노]-, 4-(디-2-프로페닐 포스페이트) 용액을 1 N 염산수 699 mL로 세정하고, 5 N 염산수 27.9 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5% 중조수 699 mL로 중화한 후, 아세트산에틸로 분액하고, 유기층을 5% 식염수 699 mL로 세정하였다. 무수 황산마그네슘 69.9 g을 첨가하여 건조한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사에 아세톤 466 mL를 첨가하고, 다시 감압 농축하였다. 이 아세톤 처리를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의 조체(crude substance) 289.1 g(함유율 92.1%, 함량 266.3 g)을 얻었다. 수율 97%.
얻어진 조체 289.1 g에 아세토니트릴 1065 mL를 첨가하고, 20℃에서 5분간 교반한 후, 4시간 동안 0℃까지 냉각하고, 다시 4시간 교반하였다. 석출한 결정을 여과 취득하고, 감압 하 실온에서 철야 건조하여 228.6 g 상당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참고예3]
α-D-글루코피라노오스, 2-디옥시-3-O-[(3R)-3-메톡시데실]-6-O-메틸-2-[[(11Z)-1-옥소-11-옥타데세닐]아미노]-, 4-(디-2-프로페닐 포스페이트) 1-(2,2,2-트리클로로에탄이미데이트)의 합성
Figure 112009037292455-PCT00016
2L의 4구 플라스크에 α-D-글루코오스, 2-디옥시-3-O-[(3R)-3-메톡시데실]-6-O-메틸-2-[[(11Z)-1-옥소-11-옥타데세닐]아미노]-, 4-(디-2-프로페닐 포스페이트) 280 g, 탄산칼륨 46.8 g, 아세트산메틸 560 mL, 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릴 170 mL, 물 8.4 mL를 첨가하고, 0℃ 질소 분위기 하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4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계속해서 헵탄 560 mL로 3회 공비를 행하여 표제 화합물 432 g(함량 63.9%, 헵탄 171.4 mL 함유)을 얻었다. 수율 87.5%
[참고예 4]
α-D-글루코피라노시드, (1Z)-1-프로페닐 6-O-〔4-O-〔비스(2-프로페닐옥시)포스피닐〕-2-디옥시-3-O-〔(3R)-3-메톡시데실〕-6-O-메틸-2-〔〔(11Z)-1-옥소-11-옥타데세닐〕아미노〕-β-D-글루코피라노실〕-3-O-데실-2-디옥시-2-〔(1,3-디옥소테트라데실)아미노〕-, 4-(2-프로페닐 카르보네이트)의 합성
Figure 112009037292455-PCT00017
2L의 4구 플라스크에 α-D-글루코피라노오스, 2-디옥시-3-O-〔(3R)-3-메톡시데실〕-6-O-메틸-2-〔〔(11Z)-1-옥소-11-옥타데세닐〕아미노〕-, 4-(디-2-프로페닐포스페이트) 1-(2,2,2-트리클로로에탄이미데이트) 410.8 g의 헵탄 용액(함량 50.4%), 헵탄 249.7 mL, α-D-글루코피라노시드, (1Z)-1-프로페닐3-O-데실-2-디옥시-2-〔(1,3-디옥소테트라데실)아미노〕-, 4-(2-프로페닐 카르보네이트) [CAS 등록번호: 185955-29-7] 105.9 g, 톨루엔 140 mL, 메탄술폰산 2.89 mL를 순차 투입하고, 25℃ 질소 분위기 하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아세트산에틸 2000 mL, 물 1000 mL를 첨가하여 추출, 분액한 후, 유기층을 5%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1000 mL, 10% 식염수 1000 mL로 순차 세정하였다. 감압 하(온욕 45 내지 50℃) 농축한 후, 잔사에 메탄올 800 mL를 첨가하여 농축하고, 추가로 동일한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의 조체를 얻었다.
얻어진 조체에 메탄올 1920 mL를 첨가하고, 불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였다. 불용물과 셀라이트를 메탄올로 세정하였다. 또한, 메탄올 1400 mL를 용액에 첨가한 후, 17℃로 냉각하고 물 375 mL를 적하하였다. 그 후 -20℃로 냉각하고 45분간 교반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사전에 0℃로 냉각한 90% 함수 메탄올 400 mL로 세정하고, 그대로 누체 상에서 감압 건조하여 427.2 g의 습체(moist substance)를 얻었다.
10 L의 4구 플라스크에 습체 427.2 g을 넣고, 메탄올 2400 mL를 첨가하여 용해하였다. 10℃로 냉각 후, 물 180 mL를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O ℃로 냉각하고, 50분간 교반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사전에 0℃로 냉각한 90% 함수 메탄올 400 mL로 세정한 후, 35℃에서 감압 건조함으로써 표제 화합물 199.5 g(함량: 92.2%)을 얻었다. 수율 92.6%
[참고예5]
α-D-글루코피라노오스, 6-O-〔4-O-〔비스(2-프로페닐옥시)포스피닐〕-2-디옥시-3-O-〔(3R)-3-메톡시데실〕-6-O-메틸-2-〔〔(11Z)-1-옥소-11-옥타데세닐]아미노〕-β-D-글루코피라노실〕-3-O-데실-2-디옥시-2-〔(1,3-디옥소테트라데실)아미노〕-, 4-(2-프로페닐 카르보네이트)의 합성
Figure 112009037292455-PCT00018
10 L의 4구 플라스크에 α-D-글루코피라노시드, (1Z)-1-프로페닐6-O-〔4-O-〔비스(2-프로페닐옥시)포스피닐〕-2-디옥시-3-O-〔(3R)-3-메톡시데실〕-6-O-메틸-2-〔〔(11Z)-1-옥소-11-옥타데세닐〕아미노〕-β-D-글루코피라노실〕-3-O-데실-2-디옥시-2-〔(1,3-디옥소데트라데실)아미노〕-, 4-(2-프로페닐 카르보네이트) 199.0 g(함량: 92.2%), 아세토니트릴 1990 mL, 1 N 염산수 34.6 mL를 첨가하고, 진공도 130 hPa, 30℃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추가로 감압도와 자켓 온도를 서서히 높이고, 최종적으로 진공도 106 hPa에서 아세토니트릴을 용량 약 3/4 정도까지 농축하였다. 농축액에 10% 식염수 995 mL, 아세트산에틸 1493 mL를 첨가하여 추출하였다. 이 후 유기층을 5% 탄산수소나트륨수 95 mL, 10% 식염수 995 mL의 순으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 60 g으로 건조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고, 잔사에 톨루엔 640 mL를 첨가하여 용해하여, 표제 화합물의 톨루엔 용액 778.1 g(함량 155.6 g 상당)을 얻었다. 수율 87.2%.
[참고예 6]
α-D-글루코피라노오스, 6-O-〔4-O-〔비스(2-프로페닐옥시)포스피닐〕-2-디옥시-3-O-[(3R)-3-메톡시데실]-6-O-메틸-2-〔〔(11Z)-1-옥소-11-옥타데세닐]아미노〕-β-D-글루코피라노실〕-3-O-데실-2-디옥시-2-〔(1,3-디옥소테트라데실)아미노〕-, 1-(디-2-프로페닐 포스페이트) 4-(2-프로페닐 카보네이트)의 합성
Figure 112009037292455-PCT00019
α-글루코피라노오스,6-O-〔4-O-[비스(2-프로페닐옥시)포스피닐]-2-디옥시-3-O-〔(3R)-3-메톡시데실〕-6-O-메틸-2-〔〔(11Z)-1-옥소-11-옥타데세닐〕아미노〕-β-D-글루코피라노실〕-3-O-데실-2-디옥시-2-〔(1,3-디옥소테트라데실)아미노〕-, 4-(2-프로페닐 카보네이트)의 톨루엔 용액 550.6 g(함량 110 g 상당)을 5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잔사에 톨루엔 440 mL를 첨가하여 용해한 용액을 욕온 45 내지 5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추가로 톨루엔 440 mL를 투입한 후 질소 치환하여 537.6 g(함량 109.13 g)의 톨루엔 용액을 생성하였다. 이 용액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 톨루엔 665 mL를 첨가하고, 질소 치환하였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1.91 mL를 첨가하고 15시간 교반후, 피리딘 12.50 mL를 첨가하였다. -20℃로 냉각한 후, 디알릴 N,N-디이소프로필포스포라미데이트 37.15 mL를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30분 후에 -30℃로 냉각하고, 30% 과산화수소 15.17 mL를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6분후 항온조를 -20℃로 설정하였다. 1시간 10분후 5% 티오황산나트륨 수용액 655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켄치하였다. 아세트산에틸 655 mL를 첨가하여 추출하고, 유기층을 0.5 N 염산수 655 mL, 10% 식염수 655 mL, 5% 중조수 655 mL, 10% 식염수 655 mL로 순차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 43.7 g을 첨가하여 건조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159.0 g의 표제 화합물(함량 101.6 g)을 얻었다. 수율 83.5%.
[참고예7]
α-D-글루코피라노오스, 3-O-데실-2-디옥시-6-O-(2-디옥시-3-O-〔(3R)-3-메톡시데실]-6-O-메틸-2-〔〔(11Z)-1-옥소-11-옥타데세닐〕아미노〕-4-O-포스포노-β-D-글루코피라노실)-2-〔(1,3-디옥소테트라데실)아미노〕-, 1-(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의 합성
Figure 112009037292455-PCT00020
3L의 4구 플라스크에 멜드럼산 70.49 g, 아세트산팔라듐 2.93 g, 트리페닐포스핀 51.3 g을 투입하였다. 질소 치환 후, 테트라히드로푸란 1321 mL를 첨가하고, α-D-글루코피라노오스, 6-O-[4-O-[비스(2-프로페닐옥시)포스피닐]-2-디옥시-3-O-[(3R)-3-메톡시데실]-6-O-메틸-2-[[(11Z)-1-옥소-11-옥타데세닐]아미노]-β-D-글루코피라노실]-3-O-데실-2-디옥시-2-[(1,3-디옥소테트라데실)아미노]-, 1-(디-2-프로페닐 포스페이트) 4-(2-프로페닐 카보네이트) 101.6 g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203 mL)을 첨가하고 32℃에서 2시간 교반한 후, 30℃에서 추가로 4시간 교반하고, 반응액에 250 mL의 메탄올을 첨가하고 감압 농축하여 잔사 466.7 g을 얻었다. 이것에 메탄올 4570 mL를 첨가하고 40℃로 가온하여 용해시킨 후, 트리머캅토트리아진 5.55 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철야 교반하였다. 석출된 트리머캅토트리아진-팔라듐 착체를 여과 분리하고, 추가로 메탄올로 세정하여 여과액 4330 g을 얻었다.
이 메탄올 용액 3908.2 mL를 감압 하 농축하여 잔사 440.9 g을 얻었다. 잔사에 아세톤 450 mL를 첨가하고, 감압 하 농축 후, 다시 아세톤 450 mL를 첨가하여 농축하였다. 잔사를 철야 냉장 보존 후, 아세톤 1800 mL를 첨가하여 40℃로 가온하고, 1.5시간 교반하였다. 이것을 공냉하고 30℃ 이하에서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 취득하였다. 여과물을 아세톤 750 mL로 세정한 후, 취출된 고체를 35 내지 40℃에서 감압 건조하여, 조체로서 표제 화합물의 유리산체 104.48 g(함량 74.2%)을 정량적으로 얻었다.
[컬럼 정제]
1) 소수성 흡착 수지 컬럼 정제
상기 유리산체 93.5 g(유리산체 함량 64.5%)을 메탄올 10 L에 용해한 후, 정제수 1110 mL를 첨가하고, 일부 불필요물을 청징 여과하였다. 여과물(filtrate)을 90% 메탄올/물 50 mL로 세정하고, 세정액과 여과액을 합쳤다. 이 용액을 소수성 흡착 수지 컬럼(부하율: 1% w/컬럼 용적, 세파비즈(SEPABEADS)(등록상표) SP20SS, 미쯔비시 가가꾸(주))에 로드하였다. 90% 메탄올/물로 용출하고 유리산체를 정제하였다. 수득량은 유리산체 54.3 g(HPLC 정량에 의함)이었다(컬럼 수율 90%).
2) 음이온 교환 수지 컬럼 정제
소수성 흡착 수지 컬럼(세파비즈(등록상표) SP20SS)의 주분획물의 절반량을 음이온 교환 수지 컬럼(부하율: 0.5% W/컬럼 용적, 토요펄(TOYOPEARL)(등록상표) DEAE650M, 도소(주))에 로드하였다. 로드 종료 후, 95% 메탄올/물(이동상 A)과 95% 메탄올/물(0.25 mol/L 아세트산나트륨 함유)(이동상 B)을 그래디언트 조건으로 음이온 교환 수지 컬럼(토요펄(등록상표) DEAE650M)에 통액하여 유리산체를 정제하였다. 나머지 절반량에 대해서도 동일한 조작을 행하고 합계로 유리산체 48.3 g(HPLC 정량에 의함)을 얻었다(컬럼 수율 89%).
[정제물 침전화]
상기 음이온 교환 수지 컬럼 정제에 있어서의 주분획물 11 L(유리산체 48.3 g)에 25 ℃에서 아세토니트릴 17.6 L를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2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고, 석출된 침전물을 감압 여과하였다. 여과 취득한 침전물을 감압 건조한(욕온 25℃) 바 침전물의 수득량은 46.9 g이었다. 얻어진 침전물에 대해서 HPLC 정량 분석과 후술하는 나트륨 함량 측정을 행한 바, 유리산체 함량 89.5%(w/w), 42.0 g(수율 87%), Na 함량 4.80%(w/w)(무수물 환산)였다.
[실시예 1]
DEAE 컬럼 주분획물 침전물 39.0 g(유리산체 함량 34.5 g)과 메탄올 942.8 L를 3 L의 4구 플라스크에 넣고, 25℃에서 교반하였다. 0.2 N 수산화나트륨-메탄올 용액 127.3 mL를 3L 4구 플라스크에 첨가한 후, 철야 교반하였다. 용액을 청징 여과하고, 여과액은 10 L의 4구 플라스크에 옮겼다. 여과액을 옮긴 10 L의 4구 플라스크에 25 ℃에서 아세톤 3413 mL를 적하하였다. 석출한 침전물을 여과 취득하고, 25℃에서 감압 건조하여 상기 나트륨염의 염을 얻었다. 수득량은 37.0 g이고, 유리산체의 염의 함량은 89.46%(w/w), 33.1 g(수율 95.9%)이었다.
[나트륨 함량 측정]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염의 나트륨 함량을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침전물) 25±2.5 mg을 정밀하게 칭량하고, 50 ml의 원뿔형 튜브에 넣고, 메탄올5 ml를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에 2.5 mmol/L의 옥살산 수용액20 ml를 첨가하고, 교반으로 균일화하여 시료 용액을 제조하였다(n=2). 한편,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시료 용액에 대한 블랭크 용액(BLsmp .)을 제조하였다(n=1).
나트륨 이온 표준액(1000 mg/L) 3 mL에 2.5 mmol/L의 옥살산 수용액/메탄올 혼합액(80:20, v/v)을 첨가하여 50 mL로 만들고, 이를 나트륨 표준 용액으로 하였다(n=1). 한편,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나트륨 표준 용액에 대한 블랭크 용액(BLstd .) 을 제조하였다(n=1).
전기 전도도 검출기, 분석 컬럼(내경 4.6 mm, 길이 10 cm의 관에 양이온 교환기로서 카르복실기를 결합시킨 직경 약 7 μm의 실리카겔을 충전한 것: 예를 들면, (주)시마즈 세이사꾸쇼 제조 심-팩(SHIM-PACK) IC-C3), 가드 컬럼 1(내경 6.0 mm, 길이 5 cm의 관에 직경 약 20 μm의 트리아콘틸 실릴화 실리카겔을 충전한 것: 예를 들면, 디벨로실(Develosil)사 제조 ERP20) 및 가드 컬럼 2(내경 4.6 mm, 길이 7.5 mm의 관에 분석 컬럼과 동일한 입자를 충전한 것: 예를 들면, (주)시마즈 세이사꾸쇼 제조 심-팩 IC-GC3II)를 구비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IC) 시스템을 이용하여, 컬럼 온도를 40℃로 설정하고, 1.0 mL/분의 유량(이동상: 2.5 mmol/L 옥살산 수용액)으로, 시료 용액, 나트륨 표준 용액 및 블랭크 용액을 각 10 μL씩 주입하여 나트륨 이온 피크 면적을 구하고, 이하의 식에 의해서 나트륨 함량을 결정하였다.
Figure 112009037292455-PCT00021
Asmp .: 시료 용액 내의 나트륨 이온 피크 면적(n=2의 평균치)
ABLsmp .: 시료 용액에 대한 블랭크 용액(BLsmp .) 중의 나트륨 이온 피크 면적(n=2의 평균치)
Astd .: 나트륨 표준 용액 중의 나트륨 이온 피크 면적(n=2의 평균치)
ABLstd .: 나트륨 표준 용액에 대한 블랭크 용액(BLstd .) 중의 나트륨 이온 피크 면적(n=2의 평균치)
f: 나트륨 이온 표준액에 나타난 기준치의 표시 결과(mg/L 표시)
Wsmp .: 시료의 칭량량(mg)
KFsmp .: 시료의 수분치(%)
이 결과,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염의 나트륨 함량(무수물 환산)은 6.09 중량%이고, 유리산체의 분자량이 1313.68, 나트륨의 원자량이 23.00, 수소의 원자량이 1.01이기 때문에, 1313.68×6.09/(2300-21.99×6.09)=3.70으로부터, 3.70 Na염(평균 화학식 (I)에 있어서 n1+n2=3.70)인 것이 결정되었다.
[실시예 2]
상기 정제물 침전화까지의 조작에 의해 4.75 중량%의 나트륨 함량(무수물 환산)을 갖는 염(2.84 Na염)을 얻었다.
[실시예 3]
DEAE 주분획물 침전물 6.0 g, 용해용 메탄올 74.5 mL, 0.2 N 수산화나트륨-메탄올 용액 15.2 mL 및 아세톤 270 mL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 6.05 중량%의 나트륨 함량(무수물 환산)을 갖는 염(3.67 Na염)을 얻었다.
[실시예 4]
DEAE 주분획물 침전물 1.84 g, 용해용 메탄올 21.4 mL, 0.2 N 수산화나트륨-메탄올 용액 6.3 mL 및 아세톤 83 mL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 6.45 중량%의 나트륨 함량(무수물 환산)을 갖는 염(3.93 Na염)을 얻었다.
[비교예 1]
DEAE 주분획물 침전물 2.47 g, 용해용 메탄올 35.4 mL, 0.2 N 수산화나트륨-메탄올 용액 8.7 mL 및 아세톤 111 mL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 6.65%의 나트륨 함량(무수물 환산)을 갖는 염(4.06 Na염)을 얻었다.
[보존 안정성 시험]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의 염을 스크류캡이 있는 유리병에 넣고, 25℃에서 30일간 보존하고, 이하와 같이하여 불순물 A, B 및 C의 생성율이 결정되었다.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의 각 염을 메탄올에 용해시켜 5 mg/mL 농도의 용액을 제조하였다. 각 용액 및 블랭크 용액(메탄올만)에 대해서, 이하의 표 1에 나타낸 조건으로 HPLC 분석을 행한 바 3종의 분해물을 확인했기 때문에, 면적 백분율로 3종의 분해물(불순물 A, B 및 C)의 각각에 대하여 생성률(월 별로 환산)을 산출하였다.
Figure 112009037292455-PCT00022
A액: 메탄올 980 mL와 인산 20 mL를 혼합하고, 탈기하여 얻었다.
B액: 메탄올 500 mL와 디클로로메탄 500 mL를 혼합하고, 그의 980 mL를 취하여, 인산 20 mL와 충분히 혼합한 후에 탈기하여 얻었다.
결과를 표 2 내지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37292455-PCT00023
Figure 112009037292455-PCT00024
Figure 112009037292455-PCT00025
Figure 112009037292455-PCT00026
표 5의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횡축은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의 염의 n1+n2 값이고, 도 2에서 횡축은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의 염의 나트륨 함량에 대응된다. 도 1로부터, n1+n2=4인 비교예 1에 비하여, n1+n2<4인 실시예 2 내지 4의 불순물 발생률이 감소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3≤n1+n2<4의 범위, 특히, 3.5≤n1+n2≤3.8의 범위에서 불순물 발생률이 보다 작다. 도 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나트륨 함량이 6.65 중량%인 비교예 1에 비하여, 6.65 중량% 미만인 실시예 2 내지 4의 불순물 발생률이 감소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5.0 중량% 이상 6.5 중량% 미만의 범위, 특히, 5.7 중량% 이상 6.3 중량% 이하의 범위에서 불순물 발생률이 보다 작다.
본 발명의 평균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염은 패혈증, 내독소증, 관동맥 바이패스 형성술의 예후 개선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고, 특히, 경시적인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장기 보관이 가능한 제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염은 동일하게 패혈증, 내독소증, 관동맥 바이패스 형성술의 예후 개선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한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염의 경시적인 안정성을 개선할 수가 있기 때문에,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염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장기 보관이 가능한 의약품의 제조원체로서 이용 가능하다.

Claims (10)

  1. 평균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나트륨염.
    (식 중, m1, n1, m2 및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2 이하의 양수를 나타내고, 단, m1+n1=2, m2+n2=2, 또한, 0<m1+m2<4, 0<n1+n2<4임)
  2. 제1항에 있어서, 3≤n1+n2<4인 나트륨염.
  3. 제1항에 있어서, 3.5≤n1+n2≤3.8인 나트륨염.
  4. 제1항에 있어서, 나트륨 함량이 5.0 중량% 이상 6.5 중량% 미만인 나트륨염.
  5. 제1항에 있어서, 나트륨 함량이 5.7 중량% 이상 6.3 중량% 이하인 나트륨염.
  6.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나트륨 함유 염기로 불완전 중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나트륨염의 제조 방법.
    Figure 112009037292455-PCT00028
  7.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나트륨염.
    Figure 112009037292455-PCT00029
    (식 중, m'1, n'1, m'2 및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2 이하의 정수를 나 타내고, 단, m'1+n'1=2, m'2+n'2=2, 또한, 0<m'1+m'2<4, 0<n'1+n'2<4임)
  8. 화학식 (IV)의 나트륨염을 제7항에 기재된 나트륨염과 공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의 분해 억제 방법.
    Figure 112009037292455-PCT00030
  9. 화학식 (IV)의 나트륨염을 제7항에 기재된 나트륨염과 공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나트륨염 중의 불순물 발생 억제 방법.
    Figure 112009037292455-PCT00031
  10. 화학식 (IV)의 나트륨염을 제7항에 기재된 나트륨염과 함께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나트륨염의 보존 방법.
    Figure 112009037292455-PCT00032
KR1020097012851A 2006-11-22 2007-11-21 이당류 화합물의 나트륨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사용 KR101541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048306P 2006-11-22 2006-11-22
JP2006315020 2006-11-22
JPJP-P-2006-315020 2006-11-22
US60/860,483 2006-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506A true KR20090082506A (ko) 2009-07-30
KR101541551B1 KR101541551B1 (ko) 2015-08-03

Family

ID=3942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851A KR101541551B1 (ko) 2006-11-22 2007-11-21 이당류 화합물의 나트륨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사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207144B2 (ko)
EP (1) EP2096116B1 (ko)
KR (1) KR101541551B1 (ko)
CN (1) CN101541820B (ko)
CA (1) CA2669674C (ko)
IL (1) IL198848A (ko)
WO (1) WO20080628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162B1 (ko) * 2005-08-31 2014-04-07 에자이 알앤드디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리피드 a 유사체의 제조 방법
JP6081574B2 (ja) 2012-03-28 2017-02-15 ユニヴァーシティー オブ メリーランド バルチモア オルトミクソウイルス感染を処置するためのエリトラン又は薬学的に許容されるその塩の投与
JP7069120B2 (ja) 2016-09-16 2022-05-17 エーザイ・アール・アンド・ディー・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エボラ(ebola)及びマールブルク(marburg)病を治療するためのtlr4拮抗薬としてのエリトランの使用方法
WO2021207218A1 (en) 2020-04-06 2021-10-14 Eisai R&D Management Co., Ltd. Treatment of nidovirales infection with eritora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1824A (en) 1995-06-05 1997-10-28 Eisai Co., Ltd. Substituted liposaccharides useful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endotoxemia
US6861512B2 (en) * 2000-03-01 2005-03-01 Eisai Co., Ltd. Separation of olefinic isomers
US20060051821A1 (en) 2003-02-12 2006-03-09 Rossignol Daniel P Methods and kits for use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endotoxemia
WO2004074303A2 (en) 2003-02-20 2004-09-02 Eisai Co, Ltd. Reagents and methods for preparing lps antagonist b1287 and stereoisomers thereof
JP2006315020A (ja) 2005-05-11 2006-11-24 Sumitomo Metal Ind Ltd 連続鋳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52429A1 (en) 2010-06-17
CN101541820B (zh) 2013-05-08
KR101541551B1 (ko) 2015-08-03
CA2669674C (en) 2016-05-17
IL198848A (en) 2013-09-30
IL198848A0 (en) 2010-02-17
US20080227991A1 (en) 2008-09-18
WO2008062842A1 (en) 2008-05-29
EP2096116B1 (en) 2012-08-15
EP2096116A1 (en) 2009-09-02
CA2669674A1 (en) 2008-05-29
AU2007322712A1 (en) 2008-05-29
CN101541820A (zh) 2009-09-23
US8207144B2 (en) 2012-06-26
EP2096116A4 (en) 201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2281C2 (ru) Сульфатированные производные олигосахаридов
Baker et al. Puromycin. Synthetic Studies. XV. 3'-Amino-3'-deoxyadenosine
EA004861B1 (ru) Производные пурина
US20120276108A1 (en) Monosaccharide-based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proliferative and inflammatory dermatological diseases
AU2012236476A1 (en) Systhesis of 5-azacytidine
EP3868773A1 (en) Cyclic dinucleotide compound and uses thereof
AU2018379456A1 (en) Novel spirobicyclic analogues
US20150011740A1 (en) Fluorine-containing water soluble platinum complexes for tumor treatment and process of preparing same
EP4043461A1 (en) Compound as small molecule inhibitor pd-1/pd-l1 and application thereof
EP3450450A1 (en) Vancomycin derivative, preparation method,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20090082506A (ko) 이당류 화합물의 나트륨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사용
WO1984000759A1 (en) Desoxyuridine derivative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pharmaceuticals
US20140155334A1 (en) Polyphosphate and pyrophosphate derivative of saccharides
EP3190115B1 (en) Salt of cephalosporin derivative, crystalline solid form of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382162B1 (ko) 리피드 a 유사체의 제조 방법
Pertel et al. Synthesis of some 2-alkoxy glyco-[2, 1-d]-2-oxazolines and evaluation of their glycosylation reactivity
EP4306546A1 (en) Glycan, and method for producing medicine containing glycan
JP5244608B2 (ja) 二糖類化合物のナトリウム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使用
JP2018030801A (ja) シアル酸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利用したシアリダーゼ阻害剤、抗菌剤、抗ウイルス剤
SK18922001A3 (sk) Difosfátová soľ 4&#39;&#39;substituovaného 9-deoxo-9-aza- 9a-homoerytromycínového derivátu a farmaceutické kompozície s jej obsahom
Lee et al. Synthesis of iodoaminoimidazole arabinoside (IAIA): a potential reductive metabolite of the SPECT imaging agent, iodoazomycin arabinoside (IAZA)
Sobkowski A convenient protection for 4-oxopyrimidine moieties in nucleosides by the pivaloyl group
EP1409500B1 (en) Alkylated inositolglycans and their uses
KR20210137485A (ko) 시알리다제-내성 당류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SK16612002A3 (sk) Deriváty hygromycínu A na použitie na liečenie bakteriálnych a protozoálnych infekci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