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1624A - 오일수거를 겸한 오일휀스 - Google Patents

오일수거를 겸한 오일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1624A
KR20090081624A KR1020080007587A KR20080007587A KR20090081624A KR 20090081624 A KR20090081624 A KR 20090081624A KR 1020080007587 A KR1020080007587 A KR 1020080007587A KR 20080007587 A KR20080007587 A KR 20080007587A KR 20090081624 A KR20090081624 A KR 20090081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ence
filter
sea
cha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형
Original Assignee
윤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형 filed Critical 윤여형
Priority to KR1020080007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1624A/ko
Publication of KR20090081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6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1Means floating loosely on the water absorbing the oi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수거를 겸한 오일휀스에 관한 것으로, 해상이나 강에 유출된 오일의 확산을 방지함과 동시에 오일을 흡유 제거하는 오일수거를 겸한 오일휀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오일의 흡유력이 뛰어난 왕겨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고온으로 탄화시켜서 오일의 흡유력을 더욱더 향상시킨 것 등의 흡유제(10)를 일정한 수납실(25)을 구획하여 연속반복적으로 형성한 망상의 주머니(21)에 수납하여 필터(20)를 구성하고 이들 필터(20)를 체인(35)으로 연속 반복적으로 연결하여서 구성하는 스치로폼이나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드럼통 등으로 된 부구(30)의 외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감싸서 결합하여 오일휀스(40)를 구성하여 해상이나 강에 오일유출 사고시 본 발명으로 휀스를 치면 해상이나 강에 유출된 오일의 확산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파도에 의하여 휀스의 저면을 타고 흘러나가는 오일까지 완벽하게 흡유하여 유출된 오일의 확산을 방지함과 동시에 흡유하여 수거하는 이중의 효과로 오일의 확산으로 인한 해안생태계의 파괴를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오일을 흡유한 필터는 열병합발전소 등의 연료로 재활용하거나 고속 원심분리기에서 다시 오일을 분리하여 재가공함으로써 다시 오일을 사용할 수도 있는 등 폐기물 처리비용을 감소시키며, 자원의 재활용을 통하여 경제적 이익이 창출 하도록 한 매우 획기적인 발명이다
Figure P1020080007587
흡유제, 필터, 수납실, 부구, 체인, 오일휀스.

Description

오일수거를 겸한 오일휀스{Oilfence that combine oil removal}
본 발명은 오일수거를 겸한 오일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유나 벙커-C유 등과 같은 각종 오일의 흡유력이 뛰어난 왕겨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고온으로 탄화시켜서 오일의 흡유력을 더욱더 향상시킨 것 등의 흡유제를 일정한 수납실을 구획하여 연속반복적으로 형성한 망상의 주머니에 수납하여 필터를 구성하고 이들 필터를 체인으로 연속 반복적으로 연결하여서 구성하는 스치로폼이나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드럼통 등으로 된 부구의 외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감싸서 결합하여 오일휀스를 구성하여 오일휀스로 사용한 후 오일이 흡유된 필터만을 분리하여 화력을 요구하는 곳의 연소원료로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유를 가득 실은 유조선이나 기타 선박들의 해상이나 강에서 오일유출 사고시 해상이나 강으로 다량의 오일이 유출되는바, 이와 같이 해상이나 강으로 유출되는 오일은 바다나 강의 표면에서 바람과 해류를 따라 확산되어 해안 전역 강변으로 밀리면서 연안의 어장과 해안의 동식물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등 전체 생태계에 커다란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사고선박으로부터 유출되는 오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종래에는 사고선박주위나 해안선이나 강 연안을 따라 오일펜스를 부설하여 오일의 확산을 방지토록 하였으나, 종래의 오일펜스는 오일을 직접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단순히 오일의 확산을 방지하는 역할만 하는 것으로 반드시 별도의 방제선박이 해상이나 강이나 강에 부유한 기름을 수거하거나, 오일흡유재를 띄워 오일을 흡유한 다음 이를 수거하여 오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사용하였으나 기존의 오일흡유재는 오일의 흡유력이 떨어져 이와 같은 방법만으로는 부족하여 대부분 오일에 유화제를 살포하여 중화처리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오일제거방법은 해상이나 강에서 오일이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오일을 흡유하여 제거하는 과정이 별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속하게 오일을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오일흡유재가 오일과 함께 물을 흡수하기 때문에 물을 흡수한 만큼 오일의 흡유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오일흡유재나 유화제가 고가이므로 해안이나 해상이나 강이나 강에 유출된 오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손실이 매우 큰 등의 여려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발전한 것으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130513호로 출원된 미가공 왕겨를 흡착제로 사용하는 왕겨오일휀스로서 흡착제는 미가공 왕겨로 사용하고 이들 왕겨를 부양하기 위한 수단으로 플라스틱튜브나 스치로폼으로 포장하여 만든 것이 있었으나 이는 왕겨가 물기를 흡유하였을 때 가라앉을 염려로 부유물로 왕겨를 포장함으로서 왕겨와 오일이 직접 닿는 면적이 작아 오일흡유력이 떨어지지는 등 실사용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개량 발명된 본인의 선 등록특허 제0378447호인 왕겨를 탄화시켜서 비중을 줄임과 동시에 흡유력이 더욱 뛰어나도록 가공하여서 이를 부체인 스치로폼 등과 혼합하여서 완성된 해양오염을 방지한 오일휀스가 개발되었으나 이 또한 전체적으로 주머니에 넣어서 사용하도록 하는 구성이어서 사용 후 소각시 부구로 사용 되었던 스치로폼을 함께 연소시켜야 함으로써 이때 발생하는 유해 가스가 공기를 오염시키는 등 2차적인 오염의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지금까지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종래 오일휀스의 제반 문제점인 흡유제와 오염된 해수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어려워서 흡유 효과를 기대하지 못하였던 문제와 흡유제인 왕겨를 해수면에 띄우기 위해 사용되는 부구와 흡유제가 혼합되어서 이들을 소각시 유해가스가 발생하여 2차오염의 원인이 되었던 것과, 파도 등으로 인하여 오일휀스의 바닥면으로 흘러나가는 오일을 잡지 못하였던 것을 한꺼번에 해결하고자 하였다.
해상이나 강에 유출된 오일의 확산을 방지함과 동시에 오일을 흡유 제거하는 오일수거를 겸한 오일휀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오일의 흡유력이 뛰어난 왕겨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고온으로 탄화시켜서 오일의 흡유력을 더욱더 향상시킨 것 등으로 된 흡유제를 일정한 수납실을 구획하여 연속반복적으로 형성한 망상의 주머니에 수납하여 필터를 구성하고 이들 필터를 체인으로 연속 반복적으로 연결하여서 구성하는 스치로폼이나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드럼통 등으로 된 부구의 외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감싸서 결합하여 오일휀스를 구성하여 오일휀스로 사용한 후 오일이 흡유된 필터만 을 분리하여 화력을 요구하는 곳의 연소원료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해상이나 강에 유출된 오일의 확산을 방지함과 동시에 오일을 흡유 제거하는 오일수거를 겸한 오일휀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해상이나 강에서 항상 뜨 있도록 구성한 부구를 체인으로 연결하여 휀스를 구성하고 이들 휀스의 외부를 오일의 흡유력이 뛰어난 왕겨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고온으로 탄화시켜서 오일의 흡유력을 더욱더 향상시킨 것 등으로 얻어진 흡유제를 일정한 수납실을 구획하여 연속반복적으로 형성한 망상의 주머니에 수납하여 구성한 필터로 감싸서 구성함으로써, 해양유출 사고시 본 발명으로 휀스를 치면 해상이나 강에 유출된 오일의 확산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파도에 의하여 휀스의 저면을 타고 흘러나가는 오일까지 완벽하게 흡유하여 유출된 오일의 확산을 방지함과 동시에 흡유하여 수거하는 이중의 효과로 오일의 확산으로 인한 해안생태계의 파괴를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오일을 흡유한 필터는 열병합발전소 등의 연료로 재활용하거나 고속 원심분리기에서 오일을 분리하여 재가공함으로써 다시 사용할 수도 있는 등 폐기물 처리비용을 감소시키며, 자원의 재활용을 통하여 경제적 이익이 창출하도록 한 매우 획기적인 발명이다
해상이나 강에 유출된 오일의 확산을 방지함과 동시에 오일을 흡유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인 오일수거를 겸한 오일휀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일의 흡유력이 뛰어난 왕겨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고온으로 탄화시켜서 오일의 흡유력을 더욱더 향상시킨 것 등으로 된 흡유제(10)를 일정한 수납실(25)을 구획하여 연속반복적으로 형성한 망상의 주머니(21)에 수납하 여 필터(20)를 구성하고 이들 필터(20)를 체인(35)으로 연속 반복적으로 연결하여서 구성하는 스치로폼이나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드럼통 등으로 된 부구(30)의 외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감싸서 결합하여 오일휀스(40)를 구성하고 상기 오일휀스(40)를 사용한 후 오일이 흡유된 필터(20)만 을 분리하여 고속 원심탈수기에서 오일을 분리해 내거나 오일이 흡수된 상태 그대로 열병합발전소 등의 화력을 요구하는 곳의 연료로 사용한다.
여기서 사용했던 부구(30)는 외부에 묻은 오일을 세척하여 보관하였다가 다시 새로운 필터(20)를 외부에 감싸도록 결합하여 재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흡유제(10)는 왕겨를 자연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왕겨를 탄화하여 사용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왕겨나 탄화한 왕겨 등으로 된 흡유제(10)를 일정한 간격으로 구획하여 수납실(25)을 구성한 망상의 주머니(21)에 수납한 필터(20)를 체인(35)으로 연결한 부구(30)의 외부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오일휀스(40)를 구성하고, 도 2에서와 같이 오일이 유출되어 오일휀스(40)를 쳐야하는 해상이나 강에 길게 투입하면 부구(30)의 부력으로 오일휀스(40)가 해상이나 강에 뜨면서 유출된 오일이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상태에서 부구(30)의 외부를 감싸게 결합한 필터(20)가 유출된 오일을 최대한 흡수하게 되는데 파도로 인하여 오일휀스(40)의 저부나 상부로 흘러 넘치는 오일도 상기 부구(30)의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한 필터(20)에 의하여 수거된 다.
상기와 같이 유출된 오일을 수거하던 중 오일휀스(40)의 부구(30) 외부를 감싸도록 결합한 필터(20)가 오일을 충분히 흡수하면 도 3에서와 같이 부구(30)의 외부에 새로운 필터(20)를 결합한 새로운 오일휀스(40)를 기존 설치된 오일휀스(40)의 외부에 다시 설치하고, 이미 오일을 흡수한 오일휀스(40)를 수거하여 필터(20)를 분리하고 새로운 필터(20)를 부구(30)의 외부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연속반복적으로 사용한다.
이때 부구(30)로 부터 분리한 필터(20)는 수거하여 연료로 사용하거나, 수거 즉시 원심 분리기에서 흡수된 오일을 분리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반복 작업으로 해양이나 강에 누출된 오일의 수거 작업이 끝나면 필터(20)를 분리한 체인(35)으로 연결된 부구(30)는 세척하여 보관하였다가 다음 기회에 다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교체상태 예시도.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흡유제
20: 필터 21: 주머니 25: 수납실
30: 부구 35: 체인
40: 오일휀스

Claims (1)

  1. 해상이나 강에 유출된 오일의 확산을 방지함과 동시에 오일을 흡유 제거하는 오일수거를 겸한 오일휀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오일의 흡유력이 뛰어난 왕겨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고온으로 탄화시켜서 오일의 흡유력을 더욱더 향상시킨 것 등으로 된 흡유제(10)를 일정한 수납실(25)을 구획하여 연속반복적으로 형성한 망상의 주머니(21)에 수납하여 필터(20)를 구성하고 이들 필터(20)를 체인(35)으로 연속 반복적으로 연결하여서 구성하는 스치로폼이나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드럼통 등으로 된 부구(30)의 외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감싸서 결합하여 오일휀스(4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수거를 겸한 오일휀스
KR1020080007587A 2008-01-24 2008-01-24 오일수거를 겸한 오일휀스 KR200900816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587A KR20090081624A (ko) 2008-01-24 2008-01-24 오일수거를 겸한 오일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587A KR20090081624A (ko) 2008-01-24 2008-01-24 오일수거를 겸한 오일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624A true KR20090081624A (ko) 2009-07-29

Family

ID=4129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587A KR20090081624A (ko) 2008-01-24 2008-01-24 오일수거를 겸한 오일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162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6674A (zh) * 2018-09-18 2018-12-21 广东石油化工学院 一种海洋浮油收集装置
KR20190099741A (ko) * 2018-02-19 2019-08-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친수성 소재를 포함하는 펜스
CN111101493A (zh) * 2019-12-04 2020-05-05 广东工业大学 一种海上原油泄漏清理收集装置
CN111827230A (zh) * 2020-07-23 2020-10-27 张振娜 一种自感知分解式水面油污吸附浮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741A (ko) * 2018-02-19 2019-08-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친수성 소재를 포함하는 펜스
CN109056674A (zh) * 2018-09-18 2018-12-21 广东石油化工学院 一种海洋浮油收集装置
CN109056674B (zh) * 2018-09-18 2023-12-19 广东石油化工学院 一种海洋浮油收集装置
CN111101493A (zh) * 2019-12-04 2020-05-05 广东工业大学 一种海上原油泄漏清理收集装置
CN111827230A (zh) * 2020-07-23 2020-10-27 张振娜 一种自感知分解式水面油污吸附浮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ang et al. Sorbent-based devices for the removal of spilled oil from water: a review
KR100987379B1 (ko) 해양 오염 방지용 오일 방제선
Al-Majed et al. A sustainable approach to controlling oil spills
AU732308B2 (en) Systems for ameliorating aqueous hydrocarbon spills
KR20090081624A (ko) 오일수거를 겸한 오일휀스
KR102328587B1 (ko) 유동적 유출 오일 회수 장치
KR102257043B1 (ko)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US5324429A (en) Bilge oil absorber and solidifier
WO2012101304A1 (es) Buque anticontaminación
CN109736277B (zh) 一种海上快速吸污装置及其吸污围栏和吸污围栏系统
KR100811878B1 (ko) 기름 흡착제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기름 흡착장치
KR20180001295U (ko) 해양 유출 기름 회수기.
WO1992022501A1 (en) Method for removing oil spills using a natural, recyclable absorbent
JP2014151317A (ja) 油水分離式浄水装置、油水混合液の浄化システム、油水混合液の浄化システム用の油水混合液導入手段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油吸着要土嚢袋
KR20090081626A (ko) 오일수거를 겸한 오일휀스
JP2004050072A (ja) オイル吸着体
KR102510534B1 (ko) 해양 폐기물 처리 선박
US20220126955A1 (en) Device For Filtering Micropollutants From Liquid Environments
WO2010101478A1 (en) Process and means for treatment of an oil spill
KR100378447B1 (ko) 왕겨를 이용한 오일흡수재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오일흡수재
Yang et al. Offshore oil pollution and prevention measures
KR101989677B1 (ko) 사람의 머리카락과 동물의 털을 상호 혼합한 흡착제가 구비된 필터 및 기름방지막
JP2008289952A (ja) 油水吸着剤及びこれを用いた水質浄化剤並びに油分の処理方法
Entrino et al. Performance of SEAGOP (Sea Garbage Obtaining Pump Bin) in Magapo, Mati City, Davao Oriental, Philippines
KR20090081621A (ko) 왕겨를 이용한 하수오일 수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