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043B1 -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 Google Patents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043B1
KR102257043B1 KR1020200008035A KR20200008035A KR102257043B1 KR 102257043 B1 KR102257043 B1 KR 102257043B1 KR 1020200008035 A KR1020200008035 A KR 1020200008035A KR 20200008035 A KR20200008035 A KR 20200008035A KR 102257043 B1 KR102257043 B1 KR 102257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ine
recycling
ship
collection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범
홍기순
이기석
이효종
허영주
김정용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8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onveyers, e.g. of endless-belt or screw-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63B27/25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for fluidised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96Pyrolysing th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78Recycling of wood or furniture wast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은, 해상에 부유하거나 해저에 침적된 해양 쓰레기를 탐지하여 선체로 수거하는 부유물수거선박, 부유물수거선박에서 수거되어 수분이 제거된 해양 쓰레기를 넘겨받아 성상별로 선별하고 재활용 가능하게 가공 및 처리하는 가공및재활용선박 및 해양 쓰레기의 가공 및 처리 작업에 필요한 작업자들이 거주하는 작업자거주선박 을 포함하며, 부유물수거선박과 가공및재활용선박 및 작업자거주선박은, 해양 쓰레기가 있는 해수면 상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에는 결합하여 이동하고, 해양 쓰레기가 있는 해수면 상의 위치에 이르러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 작업을 개시할 때 분리되어 해양 쓰레기가 중심이 되는 삼각형으로 둘러싸며, 중심 방향으로 정상파 파동의 파도를 발생시켜 해양 쓰레기가 중심으로 모이도록 한 후, 부유물수거선박이 중심 근방에 모인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해상에 부유하는 오염물과 쓰레기를 모아서 수거 및 처리하여 재생유를 생산하거나 재활용 처리할 수 있는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MULTIFUNCTIONAL SHIP FOR COLLECTING AND RECYCLING THE MARINE LITTER EN BLOC}
본 발명은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에서 해양 쓰레기를 탐지, 수거 및 선별하고, 선별된 폐플라스틱을 열분해하여 재생유를 생산하고, 자원을 재활용하여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에 관한 것이다.
지구 표면의 약 70%를 차지하는 바다는 온갖 생물의 보고이자 광물자원의 공급처이기도 한다. 그러나, 산업발전과 더불어 자주 발생하고 있는 유류오염사고, 화학·방사성 물질의 방류 등이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여기에 더해 최근에는 육상에서 흘러 들어온 플라스틱 쓰레기,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어망, 어구 등에 의한 해양 생태계 오염이 새로운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플라스틱 제품들은 자연에서 분해되기 어렵고, 소각할 경우 다이옥신 등 인체에 매우 유해한 물질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 후 처리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스티렌(PS) 성분의 성상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폐비닐, 부표, 어구, 폐어망의 폐타이어 등을 포함한 해양 쓰레기가 바다에 버려지거나 유실될 경우 장시간 해상을 표류하면서 해양 생물에 많은 피해를 주며, 해변으로 흘러나와서 해안 환경 파괴 및 해안 경관을 해친다. 또한, 이들 해양 쓰레기 중에는 어망이나 어구 등과 해저에 침적된 쓰레기는 해양생물의 서식지와 어촌의 어장을 훼손시킴으로써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플라스틱 등 해양 쓰레기에 의한 해양환경 오염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자, 미국, 일본, 유럽 등은 자국 해안 및 연근해 수역에 분포하는 플라스틱의 밀도 및 피해 상태를 조사하고 있으며, 각국 환경단체는 해상 및 해저 쓰레기 수거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도 해양 쓰레기 정화사업의 일환으로 해양 쓰레기 수거사업, 어망 인양사업, 어장의 정화를 위한 해양 쓰레기의 수거 처리 사업에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효과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이러한 해양 쓰레기에 대한 종래의 수거 처리는 해양 쓰레기를 수집하여 운반하고, 육상의 저장시설에 저장한 후 최종적인 선별 과정을 거쳐 처리가 이루어 지기 때문에 수거 처리 과정에서 2차, 3차적인 환경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 특허문헌 1의 잔여 쓰레기 수거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해양쓰레기 수거선과 같이 연안이나 근해의 해저 정화를 목적으로 해양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는 선박이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기술은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여 이를 파쇄하거나 부피를 줄여 육상으로 운송하는 것으로, 운송된 해양 쓰레기가 해안에 적재되어 또 다른 환경오염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더군다나, 해양 쓰레기는 바닷물에 침적되면서 수분이 흡수되어 중량이 커지고, 염분이 스며들어 있기 때문에 해양 쓰레기 소각 시 배출되는 다이옥신 등에 의한 2차 환경오염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1168호(명칭: 잔여폐기물수거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해양폐기물 수거선, 등록일: 2005.03.2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해상에 부유하는 오염물과 쓰레기를 모아서 수거 및 처리하여 재생유를 생산할 수 있는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해상에 부유하는 오염물과 쓰레기를 모아서 수거 및 처리하여 재활용 처리할 수 있는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은,
해상에 부유하거나 해저에 침적된 해양 쓰레기를 탐지하여 선체로 수거하는 부유물수거선박, 부유물수거선박에서 수거되어 수분이 제거된 해양 쓰레기를 넘겨받아 성상별로 선별하고 재활용 가능하게 가공 및 처리하는 가공및재활용선박 및 해양 쓰레기의 가공 및 처리 작업에 필요한 작업자들이 거주하는 작업자거주선박 을 포함하며, 부유물수거선박과 가공및재활용선박 및 작업자거주선박은, 해양 쓰레기가 있는 해수면 상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에는 결합하여 이동하고, 해양 쓰레기가 있는 해수면 상의 위치에 이르러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 작업을 개시할 때 분리되어 해양 쓰레기가 중심이 되는 삼각형으로 둘러싸며, 중심 방향으로 정상파 파동의 파도를 발생시켜 해양 쓰레기가 중심으로 모이도록 한 후, 부유물수거선박이 중심 근방에 모인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은, 부유물수거선박에서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는 동안, 가공및재활용선박 및 작업자거주선박이 각각 다시 부유물수거선박과 결합하며, 작업자거주선박의 작업자들이 가공및재활용선박으로 이동하고, 부유물수거선박에서 수거된 해양 쓰레기는 가공및재활용선박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유물수거선박은, 해상에 부유하거나 해저에 침적된 해양 쓰레기를 탐지하도록 선체 또는 상부데크에 구비되는 탐지장치 및 탐지장치에 의해 탐지된 해양 쓰레기를 선체로 수거하도록 선체 또는 상부데크에 설치되는 수거장치 를 포함하며,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여 가공및재활용선박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공및재활용선박은, 선체 또는 상부데크에 설치되어 해양 쓰레기를 성상별로 선별하는 선별장치, 선별장치에서 선별된 해양 쓰레기를 압축하여 수분을 압착 제거하고 부피를 줄이도록 선체 또는 상부데크에 설치된 압축장치 및 압축장치에서 압축된 폐플라스틱을 열분해로에 투입시켜 열분해하여 재생유를 생산하도록 선체 또는 상부데크에 설치된 폐플라스틱재생장치를 포함하며, 폐플라스틱재생장치는, 열분해로로부터 배출되는 유증기와 슬러지를 배출하는 관로와 생산된 재생유를 저장하는 탱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은, 압축장치에서 압축된 폐목재를 건조 및 파쇄하여 우드칩을 생산하도록 선체에 설치된 폐목재 재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의 수거장치는, 해상 또는 수중에 부유된 해양 쓰레기를 건져 올리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는 수중으로 투입되고, 상부는 선체 또는 상부데크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수거 컨베이어 선체 또는 상부데크 상에 배치되어 클램프나 버킷을 아래로 뻗어서 해양 쓰레기를 집어 해수면 위로 건져 올리는 수집 크레인, 해상이나 수중에 부유되거나 해저에 침적된 해양 쓰레기를 흡입하여 선체 또는 상부데크 위로 배출하는 흡입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상에 부유하는 오염물과 쓰레기를 모아서 수거 및 처리하여 재생유를 생산할 수 있는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상에 부유하는 오염물과 쓰레기를 모아서 수거 및 처리하여 재활용 처리할 수 있는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이 해상부유물을 향해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이 해상부유물 주변으로 이동을 마치고 해상부유물을 모으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이 해상부유물을 수거한 후 처리하기 위하여 다시 합체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중 부유물수거선박(100)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중 가공및재활용선박(200)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중 작업자거주선박(300)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이 해상부유물을 향해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3 개의 육각형(100, 200, 300)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가 해상부유물(999)를 향해 이동하여 근접해 있는 상태를 상방에서 바라본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이 해상부유물을 향해 이동할 때에는 3대의 선박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해양 쓰레기 및 부유물에 근접하여 수거 작업을 개시할 때 서로 분리되어 도 2와 같은 작업 대형을 갖추게 된다.
여기에서, 3 개의 육각형(100, 200, 300)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수거선박(100), 가공및재활용선박(200) 및 작업자거주선박(300)을 나타낸 것이며, 각 선박에 대해서는 이후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이 해상부유물 주변으로 이동을 마치고 해상부유물을 모으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을 구성하는 3 대의 선박이 분리되어 3각형을 이루도록 위치하고, 해상부유물(999)은 3대의 선박이 이루는 3각형의 중앙 또는 그 부근에 모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이 해상의 쓰레기 및 부유물에 근접하게 되면, 해상부유물(999)를 수거하기 전에 먼저 해상부유물(999)을 한데 모으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3대의 선박(100, 200, 300)이 서로 분리되어 도 2와 같은 삼각형 대형을 이룬다.
이후 각 선박(100, 200, 300)에서 삼각대형의 중앙 방향으로 정상파 파동 및 파도를 발생시켜 해상부유물(999)이 삼각대형의 중앙에 모이도록 한다. 이후 해상부유물(999)이 삼각대형의 중앙에 밀집되었을 때, 부유물수거선박(100)이 해상부유물(999)이 모여 있는 삼각대형의 중앙으로 이동하여 해상부유물(999)을 수거한다.
부유물수거선박(100)이 해상부유물(999)를 수거하는 작업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부유물수거선박(100)의 상부 갑판인 수거선상부데크(130)의 저부에는 해수면까지 연장되는 부유물수거장치(1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부유물수거장치(110)를 이용하여 해상부유물(999)를 수거선상부데크(130) 내부로 수거하게 된다.
여기에서, 부유물수거장치(110)는, 여러 가지 형태의 장치들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복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로 이용되는 장치의 형태로 컨베이어, 집게, 흡입기와 같은 형태를 예로 들 수 있다. 도 4에는 가장 널리 쓰이는 형태인 컨베이어의 형태를 가정하여 도시한 것일 뿐이므로, 부유물수거장치(110)가 반드시 컨베이어의 형태를 갖추어야 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따르는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을 구성하는 부유물수거선박(100)에 설치되는 부유물수거장치(110)는 컨베이어, 집게, 흡입기, 기타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이 해상부유물을 수거한 후 처리하기 위하여 다시 합체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을 구성하는 3대의 선박(100, 200, 300)이 다시 결합되어 있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3대의 선박(100, 200, 300)이 결합된 상태로 해상부유물(999)을 향하여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 1과 부유물수거선박(100)이 해상부유물(999)를 수거하고 있는 도중 또는 그 직후를 나타낸 도 3 사이의 차이점은, 3대의 선박(100, 200, 300)이 결합된 면의 중간에 점선으로 도시된 사각형이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점선-사각형은 3대의 선박(100, 200, 300) 사이의 연결 통로와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면 된다. 연결 통로가 필요한 사유는 통상 아래 (1) 및 (2)와 같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3)의 사유도 발생할 수 있다.
(1) 부유물수거선박(100)에서 수거된 해상부유물(999)을 연결 통로를 통하여 가공및재활용선박(200)으로 넘겨주거나 그 반대의 해상부유물(999) 이동
(2) 작업자거주선박(300)의 작업자들이 부유물수거선박(100) 또는 가공및재활용선박(200) 상의 작업 현장으로 출동/귀환하기 위한 통로
(3) 가공및재활용선박(200)에서 해상부유물(999)이 연료로 재생되거나 기타 재활용 처리된 후 그 결과로 생성된 물질 또는 물품을 작업자거주선박(300)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통로
이상 도 1,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은 부유물수거선박(100), 가공및재활용선박(200) 및 작업자거주선박(300)과 같은 3 대의 선박을 포함하며, 상술한 3 대의 선박은 작업 상태 및 작업 환경에 따라서 도 1 및 도 3과 같이 결합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하거나 도 2와 같이 분리된 상태로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즉 해양 부유물 및 쓰레기를 수거하여 재생하거나 재활용 처리하는 동안 작업 상황에 따라 설정된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결합 또는 분리 상태에 구애받지 않고 각각의 기능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중 부유물수거선박(100)의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부유물수거선박(100)에 설치된 부유물수거장치(110)를 이용하여 해상부유물(999)을 수거선상부데크(130) 내부로 수거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부유물수거선박(100)에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조로서, 폰툰(120)이 사용됨을 알 수 있으며, 폰툰(120)과 수거선상부데크(130)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로서는 컬럼(125)이 이용됨을 알 수 있다.
가장 아래 부분에 있는 ‘폰툰(120)’은 부유물수거선박(100)의 ‘발’ 역할을 하는 구조물로, 부유물수거선박(100)이 바다에 떠 있을 수 있도록 부력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부유물수거선박(100)이 이동할 때에는 폰툰(120)의 상부가 약간 노출되지만, 수거 작업 중에는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완전히 바닷물에 잠기게 된다.
폰툰(120) 내부는 여러 가지 탱크로 구성되는데, 대부분이 밸러스트(Ballast, 바닷물을 넣어 선박의 균형을 잡는 것)를 위한 탱크로 사용된다. 외부에는 자동위치제어(Dynamic Positioning)을 위한 쓰러스터(Thruster)와 선체의 외판이 해수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를 흘려주는 장치(ICCP)가 설치된다.
폰툰과 상부 갑판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컬럼(125)’은 물에 닿는 면적을 줄여 파도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여러 개의 기둥 형태로 나눠 연결되어 있다. 컬럼(125)이 4개나 6개인 모델이 대표적이며, 그보다 많은 수의 컬럼(125)으로 설계된 모델도 있다.
컬럼(125) 내부 아래쪽은 폰툰(120)과 마찬가지로 밸러스트 탱크로 사용되며, 상부는 재생유 등이 저장되는 탱크로 사용된다. 폰툰(120)과 폰툰(125) 사이, 컬럼(125)과 컬럼(125) 사이, 폰툰(120)과 상부 갑판 등을 연결하여 선박을 좀 더 튼튼하게 만들어 주는 ‘브레이스(Brace)’도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중 가공및재활용선박(200)의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공및재활용선박(200)은 가공선상부데크(230)를 포함하고 그 위로 가공및재활용처리부(250)가 형성된다. 또한, 가공선상부데크(230)의 저부에는 컴럼과 폰툰이 부양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부유물수거장치(110)를 이용하여 수거된 해상부유물(999)이 가공및재활용선박(200)으로 넘어오면, 해상부유물(999)을 가공하여 재생 또는 재활용 처리한다.
먼저, 선별장치에 의해 해상부유물(999)를 성상에 따라 선별하며, 대표적으로 재생 처리 및 자원화가 이루어지는 가연성 폐기물인 폐목재와 폐플라스틱을 선별할 수 있다. 이러한 폐목재와 폐플라스틱의 선별은 무게나 비중차를 이용하여 선별할 수 있다.
일례로, 해상부유물(999)을 수조에 투입시켜 비중차를 이용하여 폐목재와 폐플라스틱을 선별 분리시킬 수 있고, 분리된 폐목재와 폐플라스틱에 가압공기를 분사시켜 무게차를 갖는 폐목재와 폐플라스틱을 서로 분리시키며,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금속물질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축장치를 선별장치의 후속 공정에 배치시켜, 선별된 이후의 해상부유물(999)의 수분을 압착 제거하고, 압축에 의하여 해상부유물(999)의 부피를 줄여 감량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압축된 폐목재나 폐플라스틱은 가공선상부데크(230) 내부에 보관된 후에, 압축된 폐목재는 폐목재 재생장치로 투입되고, 압축된 폐플라스틱은 폐플라스틱 재생장치로 투입된다.
또한, 폐플라스틱을 처리하여 얻은 재생유를 저장할 저장탱크는 가공선상부데크(230) 또는 그 아래 컬럼(도면부호 생략)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중 작업자거주선박(300)의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작업자거주선박(300)은 거주선상부데크(330)를 포함하고 그 위로 작업자거주선상부(350)가 형성된다. 또한, 거주선상부데크(330)의 저부에는 컴럼과 폰툰이 부양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거주선박(300)은 해상부유물(999)의 수거 및 재생/재활용 처리 과정에 필요한 인력들이 거주하는 곳으로서, 작업자들이 잠자는 공간만 있는 것이 아니라 해상에 오랜 기간 머물러야 하는 작업자를 위해 영화관, 체육관, 커피숍 등 각종 오락 공간들도 존재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크린골프장을 설치해 달라고 요구하는 선주들도 늘고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과 그를 구성하는 3대의 선박(100, 200, 300) 각각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3대의 선박(100, 200, 300) 각각에 포함되는 상부데크(130, 230, 330) 외부에는 비상시 위험상황에서 작업자들이 탈출할 수 있도록 ‘구명정(Life Boat)’, 해상부유물(999)의 수거 및 처리를 위하여 장비 등을 조작하거나 외부에서 조달되는 물자를 시추선으로 올리기 위한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는 ‘크레인(Crane)’도 여러 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부유물수거선박 110 : 부유물수거장치
120 : 폰툰 125 : 컬럼
130 : 수거선상부데크 150 : 건조처리부
200 : 가공및재활용선박 230 : 가공선상부데크
250 : 가공및재활용처리부
300 : 작업자거주선박 330 : 거주선상부데크
350 : 작업자거주구
999 : 해상부유물

Claims (6)

  1. 해상에 부유하거나 해저에 침적된 해양 쓰레기를 탐지하여 선체로 수거하는 부유물수거선박;
    상기 부유물수거선박에서 수거되어 수분이 제거된 해양 쓰레기를 넘겨받아 성상별로 선별하고 재활용 가능하게 가공 및 처리하는 가공및재활용선박; 및
    해양 쓰레기의 가공 및 처리 작업에 필요한 작업자들이 거주하는 작업자거주선박; 을 포함하며,
    상기 부유물수거선박과 상기 가공및재활용선박 및 상기 작업자거주선박은,
    해양 쓰레기가 있는 해수면 상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에는 결합하여 이동하고,
    해양 쓰레기가 있는 해수면 상의 위치에 이르러 상기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 작업을 개시할 때 분리되어 상기 해양 쓰레기가 중심이 되는 삼각형으로 둘러싸며,
    상기 중심 방향으로 정상파 파동의 파도를 발생시켜 해양 쓰레기가 상기 중심으로 모이도록 한 후,
    상기 부유물수거선박이 상기 중심 근방에 모인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고,
    상기 부유물수거선박에서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는 동안,
    상기 가공및재활용선박 및 상기 작업자거주선박이 각각 다시 상기 부유물수거선박과 결합하며,
    상기 작업자거주선박의 작업자들이 상기 가공및재활용선박으로 이동하고,
    상기 부유물수거선박에서 수거된 해양 쓰레기는 상기 가공및재활용선박으로 이송되며,
    상기 부유물수거선박은,
    해상에 부유하거나 해저에 침적된 해양 쓰레기를 탐지하도록 선체 또는 상부데크에 구비되는 탐지장치; 및
    상기 탐지장치에 의해 탐지된 해양 쓰레기를 선체로 수거하도록 선체 또는 상부데크에 설치되는 수거장치; 를 포함하며,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여 상기 가공및재활용선박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및재활용선박은,
    선체 또는 상부데크에 설치되어 해양 쓰레기를 성상별로 선별하는 선별장치;
    상기 선별장치에서 선별된 해양 쓰레기를 압축하여 수분을 압착 제거하고 부피를 줄이도록 선체 또는 상부데크에 설치된 압축장치; 및
    상기 압축장치에서 압축된 폐플라스틱을 열분해로에 투입시켜 열분해하여 재생유를 생산하도록 선체 또는 상부데크에 설치된 폐플라스틱재생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폐플라스틱재생장치는,
    상기 열분해로로부터 배출되는 유증기와 슬러지를 배출하는 관로와
    생산된 재생유를 저장하는 탱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장치에서 압축된 폐목재를 건조 및 파쇄하여 우드칩을 생산하도록 선체에 설치된 폐목재 재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장치는,
    해상 또는 수중에 부유된 해양 쓰레기를 건져 올리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는 수중으로 투입되고, 상부는 선체 또는 상부데크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수거 컨베이어;
    선체 또는 상부데크 상에 배치되어 클램프나 버킷을 아래로 뻗어서 해양 쓰레기를 집어 해수면 위로 건져 올리는 수집 크레인;
    해상이나 수중에 부유되거나 해저에 침적된 해양 쓰레기를 흡입하여 선체 또는 상부데크 위로 배출하는 흡입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KR1020200008035A 2020-01-21 2020-01-21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KR102257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035A KR102257043B1 (ko) 2020-01-21 2020-01-21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035A KR102257043B1 (ko) 2020-01-21 2020-01-21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043B1 true KR102257043B1 (ko) 2021-05-27

Family

ID=76135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035A KR102257043B1 (ko) 2020-01-21 2020-01-21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0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853B1 (ko) 2021-10-06 2022-06-28 주식회사 포어시스 세척장치
CN114737542A (zh) * 2022-04-20 2022-07-12 青岛海大生物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应急处理海上打捞浒苔的方法
KR20220145008A (ko) 2021-04-21 2022-10-28 강민석 침적쓰레기 수거장치
CN117262135A (zh) * 2023-11-14 2023-12-22 南京理工大学 一种带有围捕装置的海上垃圾打捞船
WO2024058711A1 (en) * 2022-09-12 2024-03-21 Evolutive Labs Co., Ltd. Waste collection apparatus and wave glider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3988A (ja) * 1995-11-01 1997-05-13 Ryowa Kaiyo Kaihatsu Kk 機能型油回収船
JPH10118602A (ja) * 1996-10-21 1998-05-12 Hitachi Zosen Corp 浮遊廃棄物の収集方法及び装置
KR19990030682A (ko) * 1997-10-02 1999-05-06 박술갑 오일팬스에 의한 해상오일의 제거방법
KR100481168B1 (ko) 2002-11-12 2005-04-07 한국해양연구원 잔여폐기물수거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해양폐기물 수거선
KR20140045702A (ko) * 2012-10-09 2014-04-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KR102031828B1 (ko) * 2019-06-27 2019-10-16 주식회사 웨이스트에너지솔루션 해양 쓰레기 일괄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및 그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3988A (ja) * 1995-11-01 1997-05-13 Ryowa Kaiyo Kaihatsu Kk 機能型油回収船
JPH10118602A (ja) * 1996-10-21 1998-05-12 Hitachi Zosen Corp 浮遊廃棄物の収集方法及び装置
KR19990030682A (ko) * 1997-10-02 1999-05-06 박술갑 오일팬스에 의한 해상오일의 제거방법
KR100481168B1 (ko) 2002-11-12 2005-04-07 한국해양연구원 잔여폐기물수거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해양폐기물 수거선
KR20140045702A (ko) * 2012-10-09 2014-04-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KR102031828B1 (ko) * 2019-06-27 2019-10-16 주식회사 웨이스트에너지솔루션 해양 쓰레기 일괄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및 그 관리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008A (ko) 2021-04-21 2022-10-28 강민석 침적쓰레기 수거장치
KR102413853B1 (ko) 2021-10-06 2022-06-28 주식회사 포어시스 세척장치
CN114737542A (zh) * 2022-04-20 2022-07-12 青岛海大生物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应急处理海上打捞浒苔的方法
WO2024058711A1 (en) * 2022-09-12 2024-03-21 Evolutive Labs Co., Ltd. Waste collection apparatus and wave glider including the same
CN117262135A (zh) * 2023-11-14 2023-12-22 南京理工大学 一种带有围捕装置的海上垃圾打捞船
CN117262135B (zh) * 2023-11-14 2024-01-26 南京理工大学 一种带有围捕装置的海上垃圾打捞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043B1 (ko) 해양 쓰레기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US11001352B1 (en) Vessel and system for removing refuse from a body of water
AU2020102191A4 (en) WCM-Smart City: WASTE COLLECTION AND MANAGEMENT UNDER SMART CITY USING IOT
Jung et al. Practical engineering approaches and infrastructure to address the problem of marine debris in Korea
CN1243450A (zh) 对含水碳氢化合物的泄漏物进行善后处理的装置
US20110116869A1 (en) Crouse Oil Spill Response System
CN212580100U (zh) 一种可用于海上垃圾收集和处理的箱型海洋环境保护船
DE102013009039B4 (de) Integratives System von Wasserfahrzeugen zum Sammeln und/oder Recycling von partikulären Verunreinigungen aus offenen Gewässern
US11203849B2 (en) Buoyant containment and/or filtration
Fingas Physical spill countermeasures
RU2653661C1 (ru) Самоходное судно-нефтемусоросборщик
KR20170102081A (ko) 해양 폐기물 수집 구조물
KR102521602B1 (ko) 수상 쓰레기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상 쓰레기 처리 방법
US3456824A (en) Deep sea refuse disposal
Mamaca et al. Review of chemical spills at sea and lessons learnt
KR20050006094A (ko) 해상 폐기물 이동 소각선
KR100422406B1 (ko) 해저 폐기물 수거장치
US20120111798A1 (en) Process and Means for Treatment of an Oil Spill
KR200142853Y1 (ko) 해상 폐유 수거선
CN111891303A (zh) 一种可用于海上垃圾收集和处理的箱型海洋环境保护船
JP6159301B2 (ja) 放射性物質の処理方法
KR0146783B1 (ko) 다목적 해양청소용 선박
KR101833172B1 (ko)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표식장치
Gulati et al. Methodology for designing and fabricating a novel SEABIN used in the marine industries
US9745024B2 (en) Recessed barge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