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783B1 - 다목적 해양청소용 선박 - Google Patents

다목적 해양청소용 선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783B1
KR0146783B1 KR1019950015131A KR19950015131A KR0146783B1 KR 0146783 B1 KR0146783 B1 KR 0146783B1 KR 1019950015131 A KR1019950015131 A KR 1019950015131A KR 19950015131 A KR19950015131 A KR 19950015131A KR 0146783 B1 KR0146783 B1 KR 0146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arine
sewage
crane
collec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5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139A (ko
Inventor
이성진
박경종
임채윤
Original Assignee
이성진
주식회사고려선박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진, 주식회사고려선박기술 filed Critical 이성진
Priority to KR1019950015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6783B1/ko
Publication of KR970001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Abstract

이 발명은 수중에 퇴적된 오물과 해상 부유물을 수거하여 처리함과 동시에 해상에 부유하는 기름을 제거하고 해상 화재의 소방에도 이용할 수 있는 다목적 해양 청소선에 관한 것임. 해양 청소선은 해상 부유물 수거시스템(4) 수중퇴적오물수거 및 이송용 크레인(23) 오물이송용 컨베이어(24,27,28), 파쇄기(25), 소각노(26), 오물하치장(30), 유화제 분사기(31) 및 소방용 해수 분사기(34)를 구비하고 있음.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 선박으로 각종 오염물을 수거 및 처리함과 동시에 해상화재의 소방에도 이용할 수 있어서 용도별 선박을 별도로 유지하는 경우보다 유지비가 절감됨.

Description

다목적 해양청소용 선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할 선박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 선박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오물 수거 시스템의 한예를 보인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부유 오물수거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름 수거용 컨베이어 벨트를 보인 측면개략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부유 오물 수거 시스템을 구성하는 해상 부유고형물 수거 컨베이서 벨트를 보인 측면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체 2 : 선수도어
3 : 경사부 4 : 부유물 수거시스템
5,5' : 연결구 6 : 기틀
7 : 로울러 7' : 유압모우터
8 : 로울러 8' : 유압모우터
9,9' : 연결구 10 : 연결간
11,11' : 컨베이어 벨트 13 : 압착 로울러
13' : 유압모우터 15 : 브러시
16 : 스테인레스망체 컨베이어 벨트 17 : 기름 회수통
18 : 펌프 19 : 호오스
20 : 기름 저장소 21 : 수중오물수거기
22 : 로우프 23 : 크레인
24 : 수평컨베이어벨트 25 : 파쇄기
26 : 소각노 27,28 : 경사 컨베이어 벨트
29 : 조타실 30 : 오물 하치장
31 : 유화제 분사기 32 : 공급관
33 : 유화제 저장소 34 : 소방용 해수 분사기
35 : 펌프 36 : 조종실
본 발명은 다목적 해양 청소용 선박에 관계되는 것으로서, 특히 해상에 떠있는 기름이나 스티로폴등의 부유물과 해저오물을 수거하여 처리함과 동시에 해상 화재시 해상 화재 진화작업을 할 수 있는 여러가지 기능을 가진 해양 청소용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 특히 유조선이 인근 해역에서 해난 사고를 당하면 유출되는 기름이 해양을 오염시키므로 유출된 기름을 신속하게 제거할 필요가 있을뿐 아니라, 최근에는 연안 양식 어장이 증가되면서 수중 오물이 해저에 퇴적되어 해양을 오염시키고 있어서 수중 오물을 제거할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해상에 떠 있는 기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기름 유출 지역에 오일 펜스를 치고 오일을 한 곳에 모은 다음 펌프등으로 기름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방법과 기름을 연소시켜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해난 사고는 빈번히 나타나는 사고가 아니므로 기름 제거용 전용 선박이 없어서 해난 사고가 난후 일반 선박에 오일 펜스나 이동식 유회수장치를 설치하여 기름 제거에 이용되고 있다. 반면 해저 오물이나 해상 고형 부유물은 수시로 수거하는 것이 해양 오염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므로 이러한 목적에 사용하기 위한 선박을 개발하는 연구가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전술한 용도의 선박을 특정 용도에만 이용될 수 있도록 개발하였으므로 오물 처리에 비하여 선박 유지 비용이 많이 소모되어 실제적으로는 거의 이용 되지 않고 있다. 특히 종래의 해상 부유물이나 해저오물 처리 방법은 일단 해상 부유물이나 해저 오물을 수거하고 수거한 선박으로 육지까지 양육한 다음 이들을 분리하여 소각하거나 매립하는 방법으로 처리하였으므로 수거 오물들의 부피가 큰 경우에는 동시에 다량의 오물을 실을수 없으므로 수거된 오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수차례 육지로 왕복하여야 하고 그 결과 불필요한 시간의 소모가 많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오물수거 선박이나 해상 청소선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하나의 선박에서 해상 오염의 주원인이 되는 유출된 기름을 유화 제거하거나 수거하고 해저 오물과 해상에 부유하는 고형물을 직접 수거하여 분쇄하거나 소각처리하며 해상 화제가 발생하였을 때는 소방선의 역할도 할 수 있도록 된 다목적 해양 청소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타실전방의 선수 갑판중앙에 설치된 수중 오물 수거 및 하역용 크레인, 폐유나 해상 부유 고형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선수에 착설되는 유회수 또는 고형 부유물 수거 시스템과 수거된 기름을 저장할 수 있도록 유회수 시스템에 호오스로 연결된 회수 유류 저장실, 오물을 파쇄하거나 절단하는 오물 파쇄기, 가연성 오물을 소각 처리하는 소각노, 선수 갑판을 중앙을 가로 질러 오물 파쇄기와 소각노를 연결하는 컨베이어, 컨베이어의 전후방 선수 갑판에 형성된 오물하치장, 조타실과 크레인 사이의 선수갑판 후방에 설치된 오물 처리장, 선수 갑판의 좌우 양현에 설치된 유화제 분사기와 유화제 분사기와 유화제 공급관에 의하여 유화제 분사기에 연결된 유화제 저장소 및 조타실 상부에 좌우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소화기와 전기한 소화기로 해수를 공급하는 펌프가 구비된 본 발명의 다목적 청소 선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크레인은 하물 하역용으로서 이미 선박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 크레인에 갈쿠리나 그래브를 설치하여 해저오물을 수거하는데 사용된 경우는 없었다. 그리고 유회수 및 해상 부유물 수거 시스템은 선수 도어가 양 옆으로 열리게 된 선수에 경사부를 설치하고 이 경사부에 기름수거용 브러시가 부착된 컨베이어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컨베이어의 상단부에 기름 분리용 로울러을 설치하고 로울러 하방에 기름 회수 탱크를 설치하여 이 기름회수탱크를 호오스로 기름 저장소로 연결하여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해상에 부유하는 기름이 컨베이어의 브러시에 의하여 수거된 다음 로울러로 브러시가 눌릴때 기름 회수탱크로 회수되어 저장조로 이송되게 된다. 이 컨베이어는 선수에 분리할 수 있게 설치되어 부유 기름 회수시에만 사용하게 되었고 이 컨베이어는 유압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었다.
전술한 기름 수거용 컨베이너는 고형 부유물 수거용 컨베이너로 교체할 수 있는바, 고형 부유물 수거용 컨베이어는 벨트가 브로시로 이루어진 대신 스테인레스 망으로 이루어져있다. 컨베이이도 유압으로 회동되게 되었으나 압착 로울러는 갖고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레인에 연결된 갈쿠리나 그래브에 의하여 수거된 수중 오물은 오물 하치장이나 오물 처리장으로 이송되어 가연성 물질과 불연성 물질로 분류된다음 크레인을 이용하여 가연성 물질은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하여 파쇄기로 보내어 파쇄하거나 또는 소각노로 보내고 패각류등 불연성 물질은 오물 처리장에 최적시키도록 되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오물 파쇄기와 소각노는 통상적인 소각노와 파쇄기를 사용한다.
유화제 분사기는 종래의 해상 유출유 처리 선박에도 이용되어 온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선수 갑판의 좌우양현에 유화제 저장조와 연결된 공급관을 입설하고 이 공급관의 상단에 유화제 분산기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이 유화제 분사기는 기름이 어느정도 제거된뒤 잔류 기름을 유화시켜 제거하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물 이송 컨베이어는 필요에 따라 좌회전 또는 우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어서 파쇄할 오물을 이송할 때는 파쇄기 쪽으로 회전시키므로서 수평 컨베이어 위에 놓인 오물을 파쇄기 쪽으로 이송하고 파쇄기에서 파쇄된 오물을 소각노로 이송할 때는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었다. 그리고 소화기는 펌프로 해수를 공급받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선박(1)은 선수에 좌우로 개폐하게 된 선수도어(2)(2')를 갖고 있으며 도어(2)(2')내측에는 전방으로 경사진 경사부(3)가 형성되었고 경사부(3)에는 부유물 수거 시스템(4)이 설치되는 연결구(5)(5')가 부착되었다. 전기한 부유물 수거 시스템(4)은 해상에 유출된 기름을 수거하는 브러시 벨트를 갖는 기름 수거용 컨베이어 일수도 있고 해상에 부유하는 고형물을 수거하는 스테인레스 망으로된 컨베이어 일 수도 있다. 제3도는 부유물 수거 시스템(4)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부유물 수거 시스템(4)은 기틀(6)의 양단에 유압 모우터(7')(8')에 의하여 회전하는 벨트 가동용 로울러(7)(8)가 설치되었고 중앙에는 연결구(9)(9')가 형성된 연결간(10)이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었으며 연결간(10) 양측에는 2개의 컨베이어 벨트(11)(11')가 로울어(7)(8)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었다. 전술한 중앙 연결간(10)의 연결구(9)(9')는 선수의 경사부(3)에 형성된 연결구(5)(5')에 핀으로 연결되게 되었다. 제3도 및 제4도의 부유물 수거 시스템(4)은 기름 수거용 컨베이어를 나타낸 것으로서 기틀(6)의 상단에는 유압 모우터(13')를 갖고 있는 기름 수거용 압착 로울러(13)가 착설되었으며, 컨베이어 벨트(11)(11')는 외주면에 브러시(15)를 갖고 있어서 브러시(15)에 기름이 묻어서 올라오도록 되었고 기름 수거용 압착로울러(13)는 기름이 묻어있는 전술한 브러시(15)를 압착하여 브러시(15)로 부터 기름을 제거하게 되었다.
제5도는 해상에 부유하는 고형물 수거용 컨베이어벨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기름 수거용 컨베이어와 유사한 구조로 되었으나 이 컨베이어에는 기름 수거용 압착 로울러가 부착되지 않고 컨베이너 벨트(16)는 스테인레스 망체로 구성되었다.
전술한 컨베이어 벨트(11)(11')하방에는 기름 회수통(17)이 설치되었고, 이 기름 회수통(17)은 모우터(18)와 송유 호오스(19)를 통하여 중앙 갑판에 설치된 기름 저장소(20)에 연결 되어 있어서 회수한 기름이 모우터(18)에 의하여 기름 저장조(20)로 이송되게 되었다.
갑판 중앙에는 갈쿠리나 그래브 같은 수중 오물 수거기(21)가 부착된 로우프(22)를 갖고 있는 크레인(23)이 설치되어 있는바, 이 크레인(23)은 오물 수거기(21)로 수중의 오물을 인양하거나 또는 타선박에서 인양한 오물을 이송하는데 이용된다. 크레인 전방의 선수 갑판에는 수평 컨베이어(24)가 모우터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좌우 회전할 수 있게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었고 컨베이어 벨트(24)의 양단부에는 파쇄기(25)와 오물 소각노(26)가 설치되었으며 이 소각노(26)와 파쇄기(25)는 경사 컨베이어벨트(27)(28)에 의하여 수평 컨베이어 벨트(24)에 연결되었다. 그리고 선미에 형성된 조타실(29)과 중앙부 크레인(23)사이에는 기름 저장조(20) 측방에 오물 하치장(30)이 설치되어있어서 크레인(23)속으로 수거한 수중오물을 하치하여 가연성 물질과 불연성 물질을 분리하고 불연성 물질은 적치하도록 되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크레인(23)으로 수거한 수중 오물을 하치장(30)에는 분류하여 가연성 물질은 크레인(23)을 이용하여 컨베이어 벨트(24)(27)(28)로 이송하여 소각노(26)와 파쇄기(25)로 선택적으로 이송하게 되었다.
크레인 양측의 좌우현에는 각각 유화제 분사기(31)(31')가 설치되었는데, 이 유화제 분사기(31)(31')는 입설된 유화제 공급관(32)(32')과 도시되지 아니한 호오스를 통하여 유화제 저장조(33)(33')에 연결되었다. 유화제 분사기(31)(31')는 공급관(32)(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제2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시는 선체 밖으로 돌출되게 벌려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때는 제1도 실선 및 제2도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선체 내측으로 오도록 회전시킬 수 있게 되었다.
선미에 형성된 조타실(29) 상부에는 소방용 해수 분사기(34)가 설치되어 있는바, 이 해수 분사기(34)는 도시되지 아니한 해수공급관을 통하여 펌프(35)에 연결되어 있고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조종탑(36)에서 분사 방향을 조종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선체에 수중오물수거 및 이송용 크레인(23), 해상 부유물 수거 시스템(4), 파쇄기(25), 소각노(26), 유화제 분사기(31)(31'), 소방용 해수 분사기등이 결합되어 있어서 수중 및 수상 오물을 모두 수거할 수 있고 수거된 오물을 직접 처리 할 수 있으며, 해상화재의 진화 작업에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뿐 아니라, 수거된 오물의 이송이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선상 인력의 소모가 적으면서 수중 및 수상 오물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선박은 다목적으로 이용되므로 이용회수가 많아서 종래의 단일 목적만을 위한 선박과는 달리 수시로 이용되므로 유지 경비가 적게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양측으로 개폐되는 선수도어(2),(2')를 갖는 선체(1)의 선수에 형성된 경사부(3)에 해상 부유 물 수거 시스템(4)이 분리할 수 있게 설치되고 갑판 중앙에 수중 오물 수거 인양 및 이송용 크레인(23)이 설치되었으며, 선미 갑판에 파쇄기(25)와 소각노(26)가 설치되어 수평 및 경사 컨베이어 벨트(24)(27)(28)와 연결되었고, 크레인 양측의 선체 좌우 현에는 각각 윤활제 분사기(31)(32)가 설치되었으며, 크레인(23)후방에는 부유물수거시스템(4)에 연결된 기름저장조(20)와 오물 하치장(30)이 설치되고 선미부분에 형성된 조타실(29) 상방에는 소화용 해수 분사기(34)가 설치되어 있는 다목적 해상청소선박.
  2. 청구범위 1항에서, 부유물 수거시스템(4)이 압착로울러(13)와 브러시(15)를 갖는 2개 1조의 기름수거용 컨베이어벨트(11),(11')와 스테인레스 망체로된 컨베이어벨트(16)중의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청소선박.
KR1019950015131A 1995-06-09 1995-06-09 다목적 해양청소용 선박 KR0146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131A KR0146783B1 (ko) 1995-06-09 1995-06-09 다목적 해양청소용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131A KR0146783B1 (ko) 1995-06-09 1995-06-09 다목적 해양청소용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139A KR970001139A (ko) 1997-01-21
KR0146783B1 true KR0146783B1 (ko) 1998-08-17

Family

ID=19416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5131A KR0146783B1 (ko) 1995-06-09 1995-06-09 다목적 해양청소용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67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676B1 (ko) * 2009-12-17 2010-05-26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선박형 승강식 오탁방지장치
WO2019107587A1 (ko) * 2017-11-28 2019-06-06 수상에스티주식회사 자동화 유회수 유/무인 선박
KR20190093072A (ko) 2018-01-31 2019-08-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청소 선박을 포함하는 해양 청소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209B1 (ko) * 2007-12-24 2009-12-29 한국해양연구원 Frp선박 해체 및 분쇄를 위한 해상 바지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676B1 (ko) * 2009-12-17 2010-05-26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선박형 승강식 오탁방지장치
WO2019107587A1 (ko) * 2017-11-28 2019-06-06 수상에스티주식회사 자동화 유회수 유/무인 선박
KR20190093072A (ko) 2018-01-31 2019-08-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청소 선박을 포함하는 해양 청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139A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457B1 (ko) 해양폐기물의 해상 수거, 전처리 및 도서지역 전력공급이 가능한 해양폐기물 자원화 처리 선박
US3613891A (en) Oil removal apparatus
US3744257A (en) Water-surface cleansing ship
US5753108A (en) Integrated oil response and recovery system and method and skimmer for use therein
US7785035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material from water system and uses of apparatus
US8273250B2 (en) Skimmer, barge and methods for recovering and transferring heavy oil or bitumen
CN105121273A (zh) 船只拆解装置及其方法
US4477348A (en) Open sea skimmer barge
US6363873B2 (en) Ship for recovering floating petroleum products and mobile installation using such recovery ships
Fingas Physical spill countermeasures
US3142281A (en) Vessel for clearing floating liquids and garbage from stretches of water or ships
EP22121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material from water systems
KR0146783B1 (ko) 다목적 해양청소용 선박
RU2653661C1 (ru) Самоходное судно-нефтемусоросборщик
WO2004090238A2 (en) Oil skimmer
KR100494027B1 (ko) 다목적 청소선
US4399040A (en) Open sea skimmer barge
Kader et al. Design of rubbish collecting system for inland waterways
KR20050006094A (ko) 해상 폐기물 이동 소각선
US4379054A (en) Open sea skimmer barge
KR200299815Y1 (ko) 다목적 청소선
WO1994024374A1 (en) Oil removing apparatus
KR200214679Y1 (ko) 방제 정화선
US20210046341A1 (en) Process for recycling components of a confined space metal container
KR100234473B1 (ko) 카타마란형 해상 쓰레기 소각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