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1434A - Agent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toxication by alcohol-containing liquids and alcohol substitutes - Google Patents

Agent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toxication by alcohol-containing liquids and alcohol substitut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1434A
KR20090081434A KR1020097012698A KR20097012698A KR20090081434A KR 20090081434 A KR20090081434 A KR 20090081434A KR 1020097012698 A KR1020097012698 A KR 1020097012698A KR 20097012698 A KR20097012698 A KR 20097012698A KR 20090081434 A KR20090081434 A KR 20090081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toxic
intoxication
bisinal
dithiogly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26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 제노비치
Original Assignee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 제노비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 제노비치 filed Critical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 제노비치
Publication of KR20090081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434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95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e.g. thi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61P25/32Alcohol-ab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2Antido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Addic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Toxic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The invention relates to medicine and can be used for developing agents and methods to be used in toxicological practice and by population at home for preventing and reducing risks of dangerous diseases such as intoxication by alcohol substitutes and toxic components of alcoholic beverages. The invention is based on the use of known chemical compounds in the form of vicinal dithioglycoles. They are used for new purposes, namely for developing medicinal agents, the properties of which make it possible to prevent, treat or reduce speed of pathological processes generated by alcohol substitute intoxication. The inventive agents reduce or block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alcohols and the derivatives thereof, i.e. produce a direct effect on pathogenetic mechanisms of intoxication development. Said agents are most efficient when perorally administered. Experimental data items proving that the inventive agents and the preventing method, which consists in taking the agents before and after drinking low-quality alcohol-containing beverages and alcohol substitutes, can be widely used in future are also disclosed. The use of the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intoxication cases produced by substitutes, to decrease the severity of intoxication and the toxic effect of alcoholic beverages consumed at home.

Description

알코올-함유 액체 및 알코올 대용제에 의한 중독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작용제 및 방법{Agent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toxication by alcohol-containing liquids and alcohol substitutes} Agents and method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toxication by alcohol-containing liquids and alcohol substitutes

본 발명은 의약 분야에 관한 것이고 독성학 분야에서 이용되는 약제 및 또한 중독 위험이 있는 알코올 음료의 일반적(household) 이용을 포함한 경우에서 예방제(prophylatic)로서의 적용에 관한 것이다.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medicine and to applications as prophylatic agents in the case of the use of pharmacology used in the field of toxicology and also in the household use of alcoholic beverages at risk of poisoning.

의도적으로 또는 우연히 섭취된, 알코올 음료 및 알코올-함유 음료의 자발적 이용 및 알코올 대용제(alcohol surrogate)의 오용과 연관된 중독의 증가가 심각한 의료-및-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공식적인 데이터에 따르면, 러시아 연방 내에서만도 매년 수만건의 사망이 이와 같은 중독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의학적으로 등록된 중독 사례는 에탄올과 함께 일부 독성물(toxicant)을 이용하는 것에 유발되고, 이 독성물들은 종종 부적절한 정제 품질 때문에 음료에 첨가되거나 또는 식용 물질로 의도되지 않았으나, 음료에 첨가된다. 비-에탄올 알코올 첨가제(non-ethanol alcohol additive)가 일반적으로 섭취를 위해 허용되는 음료의 조성 내에 이용되는 경우, 에탄올 독성(ethanol toxicity)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ncreased intoxication associated with voluntary use of alcoholic beverages and alcohol-containing beverages and misuse of alcohol surrogate, intentionally or accidentally, has become a serious medical-and-social problem. According to official data, tens of thousands of deaths are caused by this poisoning every year in the Russian Federation alone. Typically, medically registered addiction cases are caused by using some toxicants with ethanol, which are often added to beverages or are not intended as edible substances because of inadequate tablet quality, but are added to beverages. Non-ethanol alcohol additives are known to enhance ethanol toxicity when used in the composition of beverages that are generally acceptable for ingestion.

본 발명은 이 분야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및 수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develop a method and means for solving a problem in this field.

하기 본문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본 발명의 분야에서 이용되는 용어들이 본본 명세서에서 특정된다. For clarity of understanding the following text, terms used in the field of the invention are specified herein.

알코올(또는 주정(spirit))은 수소원자를 히드록시(OH) 기로 치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탄화수소 유도체이다. 용어 "알코올(alcohol)"은 본 명세서에서 모든 종류의 알코올로 이해된다: 임의의 탄소 사슬 길이를 갖는, 단일원자(monoatomic) 또는 다중원자(polyatomic)의, 지방족(alipathic) 또는 비고리형(alicyclic) 알코올 또는 그의 실제적인 이성질체. 용어 "알코올"은 상이한 관능기(functional group)를 갖는 알코올, 즉, 아미노 알코올, 할로겐화 알코올, 티오알코올, 및 기타를 의미할 수 있다. Alcohols (or spirits) are hydrocarbon derivatives formed by replacing hydrogen atoms with hydroxy (OH) groups. The term "alcohol" is understood herein as all kinds of alcohols: monoatomic or polyatomic, alipathic or alicyclic, with any carbon chain length. Alcohols or their actual isomers. The term "alcohol" may refer to alcohols having different functional groups, that is, amino alcohols, halogenated alcohols, thioalcohols, and the like.

또한, 다수의 알코올의 에테르, 예를 들면, 셀로솔브(cellosovle)가 본 명세서에서 검토될 것이다. In addition, ethers of many alcohols, such as cellosovle, will be reviewed herein.

전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중독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의 허용된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s for Diseases, ICD), 10차 개정(ICD-10)에 따라 클래스 XIX, 그룹 T-51, T-52에 속한다. Overall, addiction contemplated herein is defined as Class XIX, Group T in accordance with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Permitte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s for Diseases (ICD), 10th Amendment (ICD-10). -51, T-52.

본 발명에서 검토될 전형적인 독성물 및 그로부터 유발되는 중독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다:Typical toxicants to be consider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isoning resulting therefrom are specifically as follows:

1. 1가 알코올(monohydric alcohol)(알칸올):Monohydric alcohol (alkanol):

- 메틸 알코올(메탄올, 카르비놀, 목정(wood alcohol) CH3OH;Methyl alcohol (methanol, carbinol, wood alcohol CH 3 OH;

ICD-10에 따라, 그의 독성 효과는 T-51.1 그룹으로 분류된다;According to ICD-10, its toxic effects are classified into the T-51.1 group;

- 에틸 알코올(에탄올, 와인 알코올) C2H5OH; 본 발명에서 에탄올은 독립적인(self-dependent) 독성물로 고려되지 않으나, 다른 독성물과 조합되면, 그의 독성 효과가 증가되고, 특이적으로 변형되며, 다른 독성물과 조합된 경우 에탄올에 의해 유발된 중독이 본 발명의 분야에 속하는 것으로 판명된다; ICD-10에 따라, 그의 독성 효과는 T-51.0 그룹에 속한다;Ethyl alcohol (ethanol, wine alcohol) C 2 H 5 OH; Ethanol is not considered a self-dependent toxicant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when combined with other toxicants, its toxic effect is increased, specifically modified and caused by ethanol when combined with other toxicants. Poisoning is found to be with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ICD-10, its toxic effects belong to the T-51.0 group;

- 프로필 알코올(구체적으로, 노말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프로판올-2 또는 이차 프로판올; 페트로홀(petrohol), 퍼스피릿(perspirit)) C3H7OH;Propyl alcohol (specifically, normal propanol, isopropanol, or propanol-2 or secondary propanol; petrohol, perspirit) C 3 H 7 OH;

ICD-10에 따라, 그의 독성 효과는 T-51.2 그룹에 속한다;According to ICD-10, its toxic effects belong to the T-51.2 group;

-부틸 알코올(일차 n-부탄올, 또는 부탄올-1, 또는 n-프로필카르비놀; 이차 n-부탄올, 또는 부탄올-2, 일차 이소부탄올, 3차 부탄올) C4H9OH;-Butyl alcohol (primary n-butanol, or butanol-1, or n-propylcarbinol; secondary n-butanol, or butanol-2, primary isobutanol, tertiary butanol) C 4 H 9 OH;

ICD-10에 따라, 그의 독성 효과는 T-51.3 그룹에 속한다;According to ICD-10, its toxic effects belong to the T-51.3 group;

-아밀 알코올(8개의 이성질체가 존재하며, 그 중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노말 아밀 알코올(normal amyl alcohol), 또는 펜탄올-1, 또는 n-부틸카르비놀임) C5H11OH;Amyl alcohol (eight isomers are present, most suitable for application are normal amyl alcohol, or pentanol-1, or n-butylcarbinol) C 5 H 11 OH;

ICD-10에 따라, 그의 독성 효과는 T-51.3 그룹에 속한다.According to ICD-10, its toxic effects belong to the T-51.3 group.

2. 2가 알코올(dihydric alcohol)(글리콜, 알칸 디올):2. Dihydric alcohols (glycol, alkanediol):

-에틸렌 글리콜(에탄디올-1,2) CH2OHCH2OH;Ethylene glycol (ethanediol-1,2) CH 2 OHCH 2 OH;

-프로필렌 글리콜(프로판디올-1,2) CH3CHOHCH2OH;Propylene glycol (propanediol-1,2) CH 3 CHOHCH 2 OH;

ICD-10에 따라, 그의 독성 효과는 T-52.3 그룹에 속한다.According to ICD-10, its toxic effects belong to the T-52.3 group.

3. 다가 알코올(polyhydric alcohol):3. polyhydric alcohol: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알코올

Figure 112009036980212-PCT00001
Tetrahydrofurfuryl alcohol
Figure 112009036980212-PCT00001

-(테트라히드로푸란 주정(spirit), 테트라히드로푸릴 알코올) (Tetrahydrofuran spirit, tetrahydrofuryl alcohol)

CHCHCHC(OH)CH2OCHCHCHC (OH) CH 2 O

-푸르푸랄(푸란 알데히드)

Figure 112009036980212-PCT00002
Furfural (furan aldehyde)
Figure 112009036980212-PCT00002

ICD-10에 따라, 그의 독성 효과는 T-51.8 그룹에 속한다.According to ICD-10, its toxic effects belong to the T-51.8 group.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독성물의 독성 효과는 그룹 T-51.8 및 T-51.9와 그룹 T-52에 속한다(모두 ICD-10에 따름). Toxic effects of other toxi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to groups T-51.8 and T-51.9 and to groups T-52 (all in accordance with ICD-10).

전술된 독성물에 대해, 가장 광범위한 산업적 응용 분야가 하기에 열거된다: For the above toxic substances, the widest range of industrial applications are listed below:

메탄올은 페인트 및 니스(varnish) 산업에서 이용용되고 또는 에틸 알코올의 변성(denaturation)을 위해 이용된다. Methanol is used in the paint and varnish industry or for the denaturation of ethyl alcohol.

에탄올은 다양한 분야에서 알코올 음료의 생산을 위해 이용된다(본 발명의 주요 대상임). Ethanol is used for the production of alcoholic beverages in a variety of fields (the main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소프로필 알코올은 동결방지제(antifreeze)의 생산을 위해 이용된다. 프로필 알코올은 합성 수지,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 등을 위한 용매로서 이용된다. Isopropyl alcohol is used for the production of antifreeze. Propyl alcohol is used as a solvent for synthetic resins, essential oils and the like.

부틸 알코올은 유압 유체(hydraulic fluid)의 제조를 위해 이용되고, 또한 다수의 산업 분야 및 다양한 유기 합성 등에서 용매로 이용된다. Butyl alcohol is used for the production of hydraulic fluids, and is also used as a solvent in many industrial fields and various organic synthesis.

일차 n-아밀 알코올은 일종의 유질 액체(unctuous liquid), 알코올 함유 효모 발효 산물의 증류 최종 산물의 혼합물로 보이는 소위 퓨젤유(fusel oil)의 기초 성분이다. Primary n-amyl alcohol is a basic component of the so-called fusel oil, which appears to be a kind of oily liquid, a mixture of distillation end products of alcohol-containing yeast fermentation products.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알코올은 결정방지제(anticrystallizer)로 이용되고, 또한 다양한 유기 합성에서 이용된다. Tetrahydrofurfuryl alcohol is used as an anticrystallizer and also in various organic synthesis.

화학의 관점에서, 당을 자이마제(zymase)에 의해 발효하는, 효모의 당 발효에 의한 에틸 알코올의 생산은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를 형성하기 위한 촉매에 의한 다단계 당 분해 과정이다. 효모의 생명 주기(life cycle)를 보장하기 위해, 생물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질소 및 인의 원천이 발효되는 양조수(liquor solution)(또는 양조주)에 첨가되고, 이는 그 내부에 에틸 알코올 외에, 다른 일차 알코올인 메틸 알코올, 프로필 알코올, 이소부틸 알코올, 및 이소아밀 알코올, 선택적으로 활성 아밀 알코올(2-메틸 부탄올-1)의 형성을 초래한다. 첫번째를 제외하고, 이들 모두는 함께 퓨젤유로 불린다. 알코올 외에, 에틸 알코올을 동반하는, 소위 휘발성 혼합물(volatile admixture)의 조성은 양조주 내에 알데히드, 산, 및 에테르를 포함한다. 실제로, 결과물인 알코올 수용액의 증류 및 분획 과정에서, 다른 주정 및 일 부 다른 휘발성 혼합물로부터 에틸 알코올 수용액을 완전히 정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믿을 만하다. 동시에, 수득된 물 중의 최종 에탄올 용액은 다른 잔류 알코올(그 양이 적을수록 최종 산물의 품질이 높음)의 품질 및 그 조성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최종 산물은 발효 과정에서 동시에 형성되는 일정량의 알데히드를 불가피하게 포함한다. 다수의 알코올 음료(예를 들면, 맥주)는 발효 후 증류 단계를 전혀 거치는 않는다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From a chemical point of view, the production of ethyl alcohol by sugar fermentation of yeast, in which sugar is fermented by zymase, is a multistage sugar decomposition process by a catalyst to form alcohol and carbon dioxide. To ensure the life cycle of the yeast, sources of biologically available nitrogen and phosphorus are added to the fermenting liquor solution (or brew), which in addition to ethyl alcohol, It results in the formation of methyl alcohol, propyl alcohol, isobutyl alcohol, and isoamyl alcohol, optionally active amyl alcohol (2-methyl butanol-1). Except for the first, all of these together are called fusel oils. In addition to alcohols, the composition of the so-called volatile admixtures with ethyl alcohol includes aldehydes, acids, and ethers in the brew. Indeed, it is practically reliable that during the distillation and fractionation of the resulting aqueous alcohol solution, it is impossible to completely purify the aqueous ethyl alcohol solution from other spirits and some other volatile mixtures. At the same time, the final ethanol solution in water obtained is determined by the quality and composition of the other residual alcohols (the lower the quantity, the higher the quality of the final product). In addition, the final product inevitably contains an amount of aldehyde which is formed simultaneously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at many alcoholic beverages (eg beer) do not undergo any distillation step after fermentation.

따라서, 다수의 경우에, 알코올 음료를 마시는 것은 다른 알코올, 그들의 알데히드, 및 에테르 및 다른 독성 혼합물 및 그의 대사물질의 독성 혼합물의 형태의 독성 혼합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것에 의해 에탄올 자체 및 그의 대사 산물에 의한 중독이 수반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Thus, in many cases, drinking alcoholic beverages is directed to ethanol itself and its metabolites by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a toxic mixture in the form of other alcohols, their aldehydes, and toxic mixtures of ethers and other toxic mixtures and their metabolites. It will be understood that intoxication may be accompanied.

용어 "알코올 대용제(alcohol surrogate)"(AS)는 섭취가 허용되는 알코올 음료의 부적합한 대체물로 이해된다. 조건적으로, 이 용어는 두 그룹의 음료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그룹은 기준에 따른 품질을 수득하기에 충분한 정제 절차를 수행하지 않은, 음용(potable) 에틸 알코올에 기반한 음료, 또는 공업용 에틸 알코올에 기반한 액체(소위, "진정한(true)" 대용제)를 포함하고; 제2 그룹은 에틸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특별히 준비된, 알코올 및/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한, 다른 탄화수소와 에틸 알코올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액체를 포함한다. The term "alcohol surrogate" (AS) is understood as an inadequate substitute for alcoholic beverages that are acceptable for ingestion. Conditionally, this term may refer to two groups of beverages: beverages based on potable ethyl alcohol, or industrial ethyl, where the first group has not performed sufficient purification procedures to obtain quality according to the criteria. Alcohol-based liquids (so-called “true” substitutes); The second group includes liquids which do not contain ethyl alcohol or which contain a mixture of ethyl alcohol with other hydrocarbons, including alcohols and / or derivatives thereof, which are specially prepared.

제1 그룹은 구체적으로 하기를 포함한다:The first group specifically includes:

- 가수분해성 및 아황산 주정(목재의 가수분해에 의해 생산된 에탄올)Hydrolyzable and sulfurous alcohols (ethanol produced by hydrolysis of wood)

- 변성된(denatured) 알코올(메탄올 및 알데히드와 혼합된 공업용 알코올)Denatured alcohols (technical alcohols mixed with methanol and aldehydes)

- 조(crude) 알코올(에탄올 및 퓨젤유를 포함하는 발효된 바이오매스(biomass)의 증류 산물)Crude alcohol (distillate of fermented biomass including ethanol and fusel oil)

- 콜롱 수(cologne water), 로션, 기타 향수류 및 화장수(cosmetic liquid)(에센셜 오일 및/또는 기타 성분이 첨가된 에탄올 용액)Cologne water, lotions, other perfumes and cosmetic liquids (ethanol solutions with added essential oils and / or other ingredients)

- 불량 품질의 에틸 알코올에 기반하여 제조된 불순한 알코올 음료-Impure alcoholic beverages made on the basis of poor quality ethyl alcohol

- 광택용 액체(polishing liquid)(공업용 에틸 알코올과 부틸 및 아밀 주정, 클로로포름, 아세톤 등의 혼합물)-Polishing liquids (a mixture of industrial ethyl alcohol and butyl and amyl spirits, chloroform, acetone, etc.)

- 기타 액체(접착제, 래커, 등)-Other liquids (adhesives, lacquers, etc.)

제2 그룹은 구체적으로 하기를 포함한다:The second group specifically includes:

- 주정(에틸 알코올 이외의 주정)Alcohol (alcohol other than ethyl alcohol)

- 알데히드, 케톤-Aldehydes, ketones

- 알코올 에테르Alcohol ethers

- 전술된 화합물의 유도체Derivatives of the aforementioned compounds

- 전술된 화합물에 기반하여 제조된 공업용 액체.Industrial liquids prepared on the basis of compounds mentioned above.

AS에 의한 중독의 특징은 일반적으로 개체에서 최초의 독극물(poison)의 생물학적 변환의 산물이 모 화합물(parent compound)보다 더 독성이 높은 것으로 판명된다는 사실에 있다. 구체적으로, 메탄올, 에틸렌 글리콜 및 그의 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알코올 등은 그와 같은 최초에 더 낮은 독성의 물질(initially less poisonous substance)로 지칭된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물질은 종종 독성 화될 수 있는 것(toxifiable)으로 지칭되며, 그 과정 자체는 대사 과정 동안 원형의(native) 독극물보다 더 독성이 강한 물질을, 중독 속성 및 중증도(seveity)에 영향을 미치는 양으로 형성할 가능성을 의미하는 "독극물 독성유도(poison toxification)"로 지칭된다. 대안적인 용어에 따라, 그와 같은 원형 독극물의 생물학적 전환 과정은 "치사적 합성(lethal synthesis)"으로 불린다. The hallmark of poisoning by AS is in general the fact that the product of the biological transformation of the first poison in the individual is found to be more toxic than the parent compound. Specifically, methanol, ethylene glycol and ethers thereof, tetrahydrofurfuryl alcohol and the like are initially referred to as initially less poisonous substances. Substances having such characteristics are often referred to as toxifiable, and the process itself is a substance that is more toxic than native poisons during metabolism, affecting addiction properties and severity. It is referred to as "poison toxification", which means the possibility of forming in an amount that affects. According to alternative terminology, the process of biological conversion of such circular poisons is called "lethal synthesis".

본 발명에서, 용어 "독성물(toxicant)"은 하기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toxicant" means one or more substances selected from the group comprising:

- (에틸 알코올, 또는 에탄올을 제외한) 알코올Alcohols (except ethyl alcohol, or ethanol)

- 알코올 유도체Alcohol derivatives

- 알코올 대용제Alcohol substitutes

중독(또는 중독증(toxicosis))은 개체의 다양한 생화학적 구조물(structure)과 외래 또는 내재성 기원의 독성 물질 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화학적 항상성(homeostasis)의 이상에 의해 유발되는 병리적 상태이다. 용어 "중독(intoxication)"은 최초의 증상 이후 질병의 완전한 임상적 패턴까지 일어나는 완전한 중독 과정을 의미하며, 그 내용은 주요 수용체, 즉, 이 독성물질(독극물)이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특정한 생화학적 구조물의 독성의 생리학적 기능에 의존적이다. 외인성 중독(exogeneous intoxication)은 일반적으로 개체 내에서 그 자신의 대사와 관련된 독성 물질의 축적과 연관된 내인성 중독(자가중독(autointoxication))과 구별하여, 중독증(poisoning)으로 지칭된다. Intoxication (or toxicosis) is a pathological condition caused by abnormalities in chemical homeostasis due to interactions between the individual's various biochemical structures and toxic substances of foreign or intrinsic origin. The term "intoxication" refers to a complete process of intoxication that occurs after the first symptoms and up to a complete clinical pattern of the disease, the content of which is the specific biochemical interaction of the primary receptor, that is, the toxic substance (toxic), with selective interactions. It depend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the toxicity of the construct. Exogenous intoxication is commonly referred to as poisoning, distinguished from endogenous intoxication (autointoxication) associated with the accumulation of toxic substances associated with its own metabolism in an individual.

중독을 화학적 병인(etiology)의 질병으로 분류하는 것은 3가지 기본 원칙에 근거한다: 원인병리적(etiopathogenetic), 임상적(clinical), 및 질병분류적(nosological) 원칙. The classification of addiction as a disease of etiology is based on three basic principles: etiopathogenetic, clinical and nosological principles.

원인병리학적 원칙의 측면에서, 본 발명에서 검토되는 중독은:In terms of causative pathology principles, the addictions exam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발병(development)의 이유에 의해, 우발적(incidental) 및/또는 유도성(deliberate)으로 지칭되고, For reasons of development, referred to as incidental and / or deliberate,

-기원(origination)의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가정적(domestic), 보다 드물게는 산업적(industrial)으로 지칭되며,In terms of origin, it is generally referred to as domestic, more rarely industrial,

-독극물이 개체 내로 들어가는 경로에 의해, 경구(peroral) 투여, 드물게, 흡입, 훨씬 더 드물게, 경피 전달로 지칭되고,The path by which the poison enters the individual, referred to as oral administration, rarely, inhalation, even more rarely, transdermal delivery,

-독극물의 기원(poison originating)에 의해, 외인성 중독으로 지칭된다. -By poison originating, referred to as exogenous poisoning.

본 발명에서 검토되는, 독극성 중독은 중독증(poisoning)의 발병, 진행 및 종료의 일반적인 패턴에 의해 하기와 같이 분류될 수 있다:Toxic poisoning, as consider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by the general pattern of onset, progression and termination of poisoning:

-급성(acute), 즉, 독성물의 개체로의 단일 투여 후에, 임상적 중독증 패턴이 빠르게 중점적으로 진행되어, 회복 또는 사망으로 종료되는 중독,Acute, that is, after a single administration of a toxic substance to an individual, the pattern of clinical addiction rapidly progresses rapidly, ending with recovery or death,

-아급성(subacute), 즉, 개체로의 독성물의 단일(또는 단기간 동안 수회) 투여 후, 중독증의 임상적 발병이 감속된(decelerate) 방식으로 진행되어, 건강에 다소 지속적인(durable) 손상을 유발하는 중독,Subacute, ie, after a single (or several short-term) administration of a toxic substance to an individual, the clinical development of intoxication proceeds in a decelerated manner, causing some durable damage to health. Addiction,

-만성(chronic) 중독증, 이와 같은 중독은 반복적이고, 전신성(systematic nature)을 가지며, 간헐적으로, 소량의 독성유발 수준 미만의 투여량(subtoxic dosage)을 특징으로 하고, 자연적으로 지속적인 효과 및 계속적인 건강에 대한 손 상 증상(injury-to-health symptomatology)를 동반하고, 상기 증상이 강화되고 주기적으로 악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독. Chronic addiction, which addiction is repetitive, has a systemic nature, intermittently, is characterized by subtoxic dosages of less than a small level of toxic effects, naturally sustained effects and continuous Addiction, accompanied by injury-to-health symptomatology, characterized in that the symptoms are intensified and worsen periodically.

중증도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검토되는 중독은 하기와 같이 분류될 수 있다: 경증(slight), 중등증(moderately severe), 중증(severe) 또는 치명적(lethal)Depending on the severity, the addictions reviewed herein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light, moderately severe, severe or lethal.

본 발명에서, 용어 "중독(intoxication)"은 전술된 독성물에 의해 유발되는, 앞서 특정된 실제적인 중독으로 이해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intoxication" is understood to be the actual poisoning specified above, which is caused by the toxic substances described above.

해당하는 중독증의 병인적 인자(etiological factor)는 화학적 항상성의 이상을 유발할 수 있는, 즉, 다양한 기원의 독성 물질로부터 개체를 정화시키도록 의도된, 천연 해독 시스템(natural system of disintoxication)을 교란시킬 수 있는, 개체 내에 독성 농도로 축적되는 알코올 및/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기타 독성물이다. The etiological factor of the corresponding intoxication can cause abnormalities in chemical homeostasis, i.e. disturb the natural system of disintoxication, which is intended to purify the individual from toxic substances of various origins. Alcohols and / or derivatives thereof, or other toxic substances that accumulate in toxic concentrations in a subject.

알코올 및 알코올 대용제(AS)에 의한 중독증의 발병기전(pathogenesis)이 두 가지 주요한 측면에서 분석된다:The pathogenesis of addiction by alcohol and alcohol substitutes (AS) is analyzed in two main aspects:

- 독성 동태(toxicokinetic) 측면(개체 내에서 독극물에 의해 무엇이 발생하는지에 대한 답을 연구함)Toxicokinetic aspects (studying what is caused by toxins in an individual)

- 독성 역학(toxicodynamic) 측면(독극물의 작용 하에 개체에게 무엇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연구)Toxicodynamic aspects (study of what happens to the individual under the action of poison)

독성 동태 연구의 범위 내에서, 하기의 특성들이 규명된다:Within the scope of toxicological studie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re identified:

- 개체 내에서 그들의 거동(behavior)을 결정하는 독극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자량, 수용해도 및 지용해도(solubility in fats), 이온화 능력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oisons that determine their behavior in the individual: molecular weight, water solubility and solubility in fats, ionization capacity

- 개체로 들어가서 분배되는 경로의 분자, 세포 및 기관 수준에서의 설명A description at the molecular, cellular and organ level of the pathways entering and distributing the individual

- 개체로부터의 배출 방식. The manner of discharge from the individual.

독성 역학 연구의 범위 내에서, 하기의 특성들이 연구된다:Within the scope of toxic epidemiological studie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re studied:

- 해당 독극물에 특이적인 증상에 의해 발현되는, 독성물의 수용체(toxicity receptor) 역할을 수행하는 다양한 생화학적 구조물의 생리적 기능의 이상과 관련된, 중독증의 독소 발생(toxigenic) 효과Toxinogenic effects of toxicosis associated with abnormalities in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various biochemical structures that act as toxicity receptors, expressed by symptoms specific to the poison.

- 화학적 외상에 대한 개체의 일반적인 적응 반응의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신인성(somatogenic) 효과(뇌하수체-부신 시스템의 기능 자극, 혈액 순환 집중(blood circulation centralization)의 쇼크 반응).A somatogenic effect (systemic stimulation of the pituitary-adrenal system, shock response of blood circulation centralization) in the system of the general adaptive response of the individual to chemical trauma.

이 경우, 화학적 질환인 임의의 유형의 중독증은 항상 명확한 생리학적 시스템에 기초하여 일어나나, 그 활성의 결과에 따라 달라서, 부적당한 병리적 속성을 획득한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In this case, i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at any type of intoxication, which is a chemical disease, always occurs on the basis of a clear physiological system, but depending on the result of its activity, acquires inappropriate pathological properties.

중독증의 발병 기전에서, 선택된 여러 주요 인자들이 있다:In the pathogenesis of addiction, there are several major factors selected:

1. 농도 인자(concentration factor), 즉, 개체의 생물학적 매질에서 독성 물질의 분자 농도(일반적으로, ㎍/㎖)이고, 이는 혈액 내 독극물의 독성 농도에서 임상적 증상의 발현 및 치사 농도값(lethal concentration value: CL)에서 잠재적인 치사의 발생과 상관되기 때문에, 지배 인자(guiding factor)이다.1. Concentration factor, ie the molecular concentration of a toxic substance (generally, μg / ml) in an individual's biological medium, which is the expression of clinical symptoms and lethal concentrations at the toxic concentration of toxins in the blood. It is a guiding factor because it correlates with the occurrence of potential lethality in the concentration value (CL).

2. 시간 인자(time factor)는 개체에서 독극물의 독성 투여량의 체류 기간(dwell period), 흡수(entry) 및 방출(discharge) 속도를 결정한다. 이 인자는 독극물 작용의 기간과 그의 독성 효과 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농도 인자와 시간 인 자의 역학을 결정하는 것은 중독증의 독소발생기(toxigenic phase)와 신인성기(somatogenic phase), 독소발생기에서 독극물의 흡수 및 제거 기간을 구별할 수 있게 한다. 2. The time factor determines the dwell period, entry and rate of discharge of the toxic dose of the poison in the subject. This factor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uration of toxic action and its toxic effects. Determining the kinetics of the concentration factor and time factor makes it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toxigenic phase, the somatogenic phase, and the period of absorption and removal of toxins in the toxin phase.

3. 공간 인자(space factor)는 진입 경로, 배출 경로, 및 다수의 측면에서, 기관과 조직으로의 혈액 공급과 연관된 독성물의 분포 공간을 결정한다.3. The space factor determines the space of distribution of the toxins associated with blood supply to organs and tissues, in terms of entry, exit, and many aspects.

4, 연령 인자(age factor)는 인간 생애의 다양한 연령-특이적 기간에서 독극물에 대한 개체의 감수성(sensibility)의 정도를 반영하며, 상기 감수성은 유아기부터 독성 작용에 대한 저항이 10배 이상 감소하는 초노년기(extreme old age)까지 상당히 변한다. 4, age factor reflects the degree of individual's sensitivity to poisons in various age-specific periods of the human life, which susceptibility to a 10-fold decrease in resistance to toxic effects from infancy. Significantly changes until extreme old age.

5. 치료제 인자(therapeutic factor)는 주요한 중독 증상의 발생에 대한 농도 역치(threshold)의 수배 증가를 가능하게 하고 독소발생기의 기간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는, 수행된 해독 요법(detoxication therapy)에 대한 개체 반응을 결정한다. 5. Therapeutic factor is an individual for detoxication therapy performed that allows for a multiple increase in concentration thresholds for the development of major symptoms of intoxication and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duration of the toxin generator. Determine the reaction.

중독 발병기전을 연구하는 것은 독극물 체감(realization) 및 작용의 특정한 부위로서 독성 수용체와 관련된 개념에 기초한다. Studying the pathogenesis of poisoning is based on the concept associated with toxic receptors as specific sites of poison realization and action.

생물학적 작용을 실현하기 위해, 화학물질은 두가지 이상의 특이한 특성을 가져야 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수용체에 대한 친화도 및 고유의 물리화학적 활성.In order to realize a biological action, a chemical is considered to have two or more specific properties: affinity for the receptor and inherent physicochemical activity.

용어 "친화도(affinity)"는 해당 물질과 수용체의 상호작용의 정도로 이해되고, 그 정도는 "물질-수용체" 복합체의 분리 속도에 반비례하는, 양에 의해 측정된다. The term "affinity" is understood as the degree of interaction of the substance with the receptor, which is measured by the amount, which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rate of separation of the "material-receptor" complex.

물질 독성(substance toxicity)의 정도는 불가결한 표적 세포에 결합하고 제거(phase out)할 수 있는 분자의 최소량에 의해 정의된다. 중요한 것은 독성을 갖게된 수용체의 수 및 전체 개체의 필수적 활성에 대한 중요성의 정도이다. 또한 중요한 것은 "독극물-수용체" 복합체를 형성하는 속도, 그의 안정성 및 분리를 역전시키는 능력이고, 이는 독극물에 의한 수용체의 포화 정도보다 훨씬 더 중요한 인자가 될 수 있다.The degree of substance toxicity is defined by the minimum amount of molecules that can bind and phase out indispensable target cells. What is important is the number of receptors that become toxic and the degree of importance for the essential activity of the entire individual. Also important is the rate of formation of the "poison-receptor" complex, its stability and the ability to reverse separation, which may be a far more important factor than the degree of saturation of the receptor by the poison.

독성 효과(toxic effect)가 반드시 엄격한 선택성을 갖는 것은 아니고, 세포 전체에서 일어날 수 있다. 이 원칙은 공통된 특성이 전해질이 아니라는 것인, 다수의 독극물의 작용에서 확인된다. 용어 "비-전해질 작용(non-electrolytic action)"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독극물(알코올)의 특징인 흥분성(heady) 또는 마취성(narcotic) 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의해 직접적으로 정의된 모든 효과를 의미한다. Toxic effects do not necessarily have strict selectivity, but can occur throughout the cell. This principle is confirmed in the action of many poisons, in which the common property is not an electrolyte. The term "non-electrolytic action" means any effect defined directly b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heady or narcotic material that is characteristic of the poisons (alcohols) described herein. do.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그룹에 속하는 물질의 대부분은 막-독소에 의해 실현되는 특정한 막-독소-작용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해체(disorganization)의 결과 포스포리파아제 활성, 및 기초적인 액체-결정 막 구조의 붕괴를 보이고, 추가적인 세포 손실이 일어나는 것이 후자의 특징이다. Most of the substances belonging to the groups contemplated herein are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specific membrane-toxin-actions realized by membrane-toxins. The latter feature is characterized by disorganization resulting in phospholipase activity, and disruption of the underlying liquid-crystal membrane structure, with additional cell loss.

다수의 연구에서, 알칸올 및 알코올 대용제에 의한 중독 하에, 자체의 막-독성 작용의 직접적인 기작(immediate mechanism), 또는 그의 대사물의 직접적인 기작은 지질의 과산화(peroxidation of lipids, POL)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세포내 막의 지질 과산화 과정은 개체의 원형의 항산화 시스템(antioxidative system, AOS)의 소진 결과 다수의 세포 소실이 수반되는 연쇄 반응의 특성을 수득한다. Many studies have confirmed that under the intoxication with alkanol and alcohol substitutes, the direct mechanism of its membrane-toxic action, or the direct mechanism of its metabolites, is the peroxidation of lipids (POL). It became. The lipid peroxidation process of the intracellular membranes results in the exhaustion of the original antioxidative system (AOS) of the individual to obtain the properties of a chain reaction involving multiple cell loss.

화학적 내성(chemical resistance)의 가장 중요한 기작 중 하나인, 해독은 화학적 항상성 유지와 관련된 개체 내의 생화학적 반응 및 생물리학적 반응의 복합물이고, 하기를 포함하는, 여러 천연 해독 시스템(외래 및 내재성 기원의 독성 물질의 중화)의 협력적 작용에 의해 확보된다:Detoxifica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mechanisms of chemical resistance, is a complex of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actions in individuals involved in maintaining chemical homeostasis, and includes several natural detoxification systems (exogenous and intrinsic origin), including Neutralization of toxic substances) is ensured by the cooperative action of:

- 혈액 면역계(혈액 단백질 및 혈구),Blood immune system (blood proteins and blood cells),

- 간 해독 시스템(소수성 및 친수성 물질의 생물학적 전환을 위한 특이적 효소들의 조성 내의, P-450 효소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좀 및 비-마이크로좀(nonmicrosomal) 시스템). 본 발명의 독성물의 경우, 그와 같은 효소는 알코올 탈수소효소 및 간 아세트알데히드로게나아제,Liver detoxification system (microsomes and nonmicrosomal systems, comprising P-450 enzymes, in the composition of specific enzymes for the biological conversion of hydrophobic and hydrophilic substances). For the toxin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enzymes include alcohol dehydrogenase and hepatic acetaldehyde,

- 분비 기관(위장관, 신장, 폐, 및 피부)의 시스템.-System of secretory organs (gastrointestinal tract, kidney, lung, and skin).

천연 해독의 전반적인 시스템의 정상적 기능은 혈액 농도가 특정한 역치 수준(threshold level)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외래 및 내재성 독성 물질로부터 개체의 합리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정화를 제공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독성 수용체에서 독성 물질 분자의 축적이 일어나고, 중독 패턴이 나타난다. 독성의 발현 정도(degree of manifestation)는 다수의 경우에, 다양한 인자들의 조합에 의존적이고, 원형의 물질(메탄올, 에틸렌 글리콜, 등)보다 훨씬 더 독성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고, 그의 생물학적 전환이 독성유도(toxication)의 경로를 따라 진행되는 대사산물의 축적과 부분적으로 또는 전반적으로 연관될 수 있다. 반면에, 독성 물질의 개체에 대한 작용의 강도는 주요한 해독 시스템의 일부, 주로, 간, 신장 및 면역계 의 기능에 존재하는 병전 이상(premorbid abnormality) (상황적 독성(situational toxicity)) 하에서 및 장년층 및 노년층 환자에서 증가된다. 이 경우, 독성 효과는 역치보다 낮는 독극물의 혈중 농도에서 전개된다. The normal function of the overall system of natural detoxification provides a reasonably reliable purification of the individual from foreign and intrinsic toxicants if the blood concentration does not exceed a certain threshold level. Otherwise, accumulation of toxic substance molecules occurs in the toxic receptors, and poisoning patterns appear. The degree of manifestation, in many cases, depends on the combination of various factors and turns out to be much more toxic than the original material (methanol, ethylene glycol, etc.), and its biological conversion is toxic induction. It may be partially or wholly associated with the accumulation of metabolites that progress along the pathway of toxicity. On the other hand, the intensity of action of an toxic substance on an individual is determined by premorbid abnormality (situational toxicity) present in some of the major detoxification systems, primarily in the liver, kidney and immune system functions and in the elderly and Increased in older patients. In this case, the toxic effect develops at blood levels of toxins below the threshold.

독소 부하량(toxic load)의 역치 수준을 초과하는 모든 경우에, 가속화된 방식으로 정화를 위한 천연 해독 시스템의 기능을 자극하거나 또는 추가적으로 유지하는 필요성이 발생한다. In all cases where the threshold level of toxic load is exceeded, the need arises to stimulate or additionally maintain the function of the natural detoxification system for purification in an accelerated manner.

중독의 독성 역학 효과가 특정한 증상학에서 발현되고, 그 내용은 임상적 단계(clinical staging) 및 독극물의 선택적 독성에 의존적이다. Toxic epidemiological effects of intoxication are expressed in specific symptomatology, the content of which depends on the clinical staging and the selective toxicity of the poison.

혈액 중 독극물의 독성 농도의 존재 하에 진행되는, 급성 중독증의 독소생성 단계(기)에서 먼저, 해당 독성 물질과 상호작용하는 특정한 독성 수용체의 방식 및 기능적 역할에 의존하는 질병의 특정한 증상에 관심이 집중된다. In the toxin production phase of acute toxicosis, which proceeds in the presence of toxic concentrations of toxins in the blood, attention is first focused on the specific symptoms of the disease, depending on the mode and functional role of the particular toxic receptor that interacts with that toxicant. do.

급성 중독과 구별되는 만성 중독 하에서, 특정한 독소생성 증상은 일반적인 신체 장애(somatic disorder)의 긴 기간 후에, 상당히 늦게 나타난다. Under chronic intoxication, which is distinguished from acute intoxication, certain toxin symptoms appear quite late, after a long period of general somatic disorder.

중독증의 의학적 치료는 두개의 주요한 방향으로 수행되는 특별한 치료적 수단의 통합된 수행을 포함한다:Medical treatment of intoxication involves the combined performance of special therapeutic means performed in two main directions:

1) 독성 물질의 추가적인 진입을 종료시키고 개체로부터 독성 물질의 가속화된 배출을 수행하며(능동적 해독의 원심성 방법(efferential method of active detoxication)), 가능한 경우, 독극물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특정한(해독 작용의) 약물요법을 적용하여 독극물의 명확한 중화를 수행한다(독성동태적 교정(toxicokinetic correction)),1) specific (detoxification action) to terminate further entry of toxic substances, to carry out accelerated release of toxic substances from the subject (efferential method of active detoxication), and if possible, to reduce the toxicity of the toxin. (C) apply pharmacotherapy to perform clear neutralization of toxins (toxicokinetic correction),

2) 독성 물질에 의한 손상에 주로 영향을 받는, 개체의 기능의 약리적(pharmacological) 보호 및 유지, 즉, 대증 요법(symptomatic therapy) 및 소생 보조(resuscitation aid)(독성역학적 보정(toxicodynamic correction)). 2) pharmacological protection and maintenance of the function of the individual, mainly affected by damage by toxic substances, ie symptomatic therapy and resuscitation aid (toxicodynamic correction).

특정한 해독제(길항독성제(counterpoison agent))의 적용은 명확한 선택적 독성을 갖는 중독증의 특정한 방식 하에, 독성 물질 또는 그의 수용체에 즉시 영향을 미쳐, 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application of certain antidote (counterpoison agent) can immediately affect the toxic substance or its receptor, reducing toxicity, under certain modes of intoxication with clear selective toxicity.

신인성 단계(somatogenic state)에서 해독 방법은 또한 실질 기관 손상(parenchymatous organ lesion)의 경우(예를 들면, 급성 신부전 또는 간부전)에 발생하는 내독소 중독증(endotoxicosis)의 제거를 목적으로 한다.The detoxification method in the somatogenic state is also aimed at eliminating endotoxicosis that occurs in the case of parenchymatous organ lesions (eg acute renal failure or liver failure).

알칸올의 독성 작용에서, 두 성분들이 특이적이고 비특이적(nonspecific)인 것으로 강조된다.In the toxic effects of alkanols, it is emphasized that both components are specific and nonspecific.

비특이적 작용은 물리화학적 특성의 특색들과 연관되고 소위 비-전해질 작용(즉, 존재의 기작에 의한 전체 분자 물질의 작용)에 의해 조절된다. 비-전해질 작용은 막 유동화(fluidization)에 의해 및 그 결과로서, 비정상적 기능을 보이는 것에 의해 발현된다. 알칸올-내재 삼투 활성(alkanol-inherent osomotic activity)은 상이한 기관과 조직 간의 액체의 이동(displacement), 혈소판 응집의 억제, 부정맥의 발생에 따른 아드레날린에 대한 심근의 감각화(sensibilization)를 유발한다. Nonspecific action is associated with trait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is regulated by the so-called non-electrolyte action (ie the action of the entire molecular material by the mechanism of presence). Non-electrolyte action is expressed by membrane fluidization and as a result, by showing abnormal function. Alkanol-inherent osomotic activity results in sensibilization of myocardium to adrenaline due to the displacement of liquids between different organs and tissues,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and the development of arrhythmias.

알코올 및 그의 대사산물에 의한 비전해질 중독증(nonelectrolyte poisoning)의 임상적 제시는 일종의 중독된(또는 어지러운) 상태, 심근 수축 력(myocardium contractile capability)의 감소, 및 세포내 대사 장애를 특징으로 한다. Clinical presentation of nonelectrolyte poisoning by alcohol and its metabolites is characterized by a kind of addicted (or dizzy) condition, a decrease in myocardium contractile capability, and intracellular metabolic disorders.

연구실 및 임상적 조건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것은 에탄올 중독증의 패턴이다. 그의 대뇌독성, 간독성, 심장독성, 및 신장독성 작용, 및 시냅스 및 막에 대한 독성 효과(toxic effect of synaptotropic and membranotropic nature)가 정립되었다. 이후에서, 이 기작들이 간략하게 설명되고, 그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독성물의 독성 효과의 특징을 유추에 의해 규명할 것이다. The most studied in laboratory and clinical conditions is the pattern of ethanol poisoning. Its ceretotoxicity, hepatotoxicity, cardiotoxicity, and nephrotoxic action, and toxic effects of synaptotropic and membranotropic nature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following, these mechanisms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on the basis of which, by analogy, the characterization of the toxic effects of toxic substances contempl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에탄올은 옥시드 리덕타아제에 의해, 즉, 간 세포의 세포질에 있는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G)(후자는 특정한 NAD-의존성 효소임), 간의 마이크로좀 에탄올 산화 시스템(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MSES), 및 조직의 카탈라아제, 옥시다아제, 및 퍼옥시다아제에 의해 산화된다. 알코올의 산화는 알데히드, 즉, 아세트산 알데히드의 형성을 초래한다. 아세트산 알데히드는 FAD-함유 간 효소, 즉, 아세트산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cDH)에 의해 산화되어, 아세트산(에탄올산)을 형성하고, 이는 점진적으로 더 대사되어 CO2와 H2O를 형성한다. Ethanol is produced by oxide reductase, that is, alcohol dehydrogenase (ADG) in the cytoplasm of liver cells (the latter being a specific NAD-dependent enzyme), liver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MSES), and tissue catalase, oxidase, and peroxidase. Oxidation of the alcohol results in the formation of aldehydes, ie acetic acid aldehydes. Acetic acid aldehydes are oxidized by FAD-containing liver enzymes, ie acetic acid aldehyde dehydrogenase (AcDH), to form acetic acid (ethanol acid), which is further metabolized to form CO 2 and H 2 O.

중추신경계(CNS)에 대한 에탄올 독성 작용의 구현은 그 작용에 의해 유발되고, 막-작용 효과(membrane-acting event)로 발현된, 기능성 매개체 시스템(mediator system)의 이상에 의해 조절된다. 감마 아미노부티르산(GABA) 및 글루타민성 시스템(glutamatergic system)에 대한 특이적 영향이 막 이온 채널의 투과성 및 친화도를 변화시키고, 그에 의해 신경전달물질 시스템의 기능을 변화시킨다. The implementation of ethanol toxic effects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is triggered by the action and is regulated by the abnormalities of the functional mediator system, expressed as a membrane-acting event. Specific effects on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and glutamatergic system alter the permeability and affinity of membrane ion channels, thereby changing the function of the neurotransmitter system.

에탄올의 생물학적 전환에서, 다량의 아세트산 알데히드, 아세테이트 및 ADG-NADH 효소의 회수된 형태가 생성된다. 최종적으로, 그것이 에탄올의 도입에 의해 유발된 일련의 생화학적 이상에 대한 이유이다. 에탄올 중독증의 경우에, 시트르산 사이클이 아세트산 알데히드에 의해 차단되고 더 이상 아세틸 CoA를 이용할 수 없게되어, 케톤 종의 형성을 초래하고 지방산 합성의 과정을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 대사적 산증(metabolic acidosis)이 발생된다. 다량의 아세트산 알데히드가 호흡사슬에서 미토콘드리아 기능의 이상을 초래하고, 그에 의해 에너지 기능을 왜곡시킨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이에 근거하여, 심근 기능의 이상이 형성된다. In the biological conversion of ethanol, a large amount of recovered forms of acetic acid aldehyde, acetate and ADG-NADH enzymes are produced. Finally, that is the reason for the series of biochemical abnormalities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ethanol. In the case of ethanol poisoning, the citric acid cycle is blocked by aldehyde acetate and no longer makes use of acetyl CoA,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ketone species and altering the process of fatty acid synthesis. Thereby, metabolic acidosis develops. It is well known that large amounts of aldehyde acetate cause abnormalities in mitochondrial function in the respiratory chain, thereby distorting energy function. Based on this, abnormalities of myocardial function are formed.

본 발명자들의 의견으로는, ADG가 알코올을 알데히드로 전환시키는 산화환원반응을 촉매할 수 있고, 에틸 알코올뿐 아니라, 다수의 다른 주정에도 유용하다는 것이 반드시 지적되어야 하며, 적어도 그들에 대해서는 소위 독성유도(toxication) 현상이 전술된다. 이 이유에 기여하는 또 다른 주장은 다수의 알코올에 의한 중독증 하에서, 에탄올이 특정한 해독제로 이용되고, 그 효과는 에탄올이 알코올 탈수소효소를 경쟁적으로 억제하고, 결과적으로 이 독성물의 산화를 방지하는 능력에 의해 설명된다. 그와 같은 알코올에, 메탄올, 5개 이하의 원자로 구성된 탄소 사슬 길이를 갖는 지방족 알코올, 이가 알코올(dihydric spirit), 및 알코올 기(글리콜 모노에테르)를 갖는 그의 에테르, 즉, 알코올 및 그의 유도체가 있으며, 이들이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독성물이다. In the opinion of the present inventors, it must be pointed out that ADG can catalyze the redox reactions that convert alcohols to aldehydes, and is useful not only for ethyl alcohol, but also for many other alcohols, and at least for them so-called toxic induction ( The phenomenon of toxication is described above. Another argument contributing to this reason is that under the toxicities of many alcohols, ethanol is used as a specific antidote, the effect of which is on the ability of ethanol to competitively inhibit alcohol dehydrogenase and consequently to prevent oxidation of this toxin. Is explained by. Such alcohols include methanol, aliphatic alcohols having a carbon chain length of up to 5 atoms, dihydric spirits, and ethers thereof having alcohol groups (glycol monoethers), ie alcohols and derivatives thereof. These are typical toxin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적어도 ADG에 의해 그의 알데히드로 산화되는 주정의 알코올에 의한 알코올 중독증의 경우, 독성물에 대한 독성 영향의 비교적 유사한 패턴이 관찰된 다. Thus, at least in the case of alcoholism by alcohol of alcohol, which is aldehyde oxidized by ADG, a relatively similar pattern of toxic effects on toxicants is observed.

세포막 물리화학적 특성의 교란, 알코올의 생물학적 전환에 의한 산물에 의한 막의 손상, 증가하는 세포질 산증, 에너지 과정의 교란, 세포의 단백질 및 지질에 대한 자가용해 과정의 활성화, 지질 대사의 이상, 퍼옥시드 과정(peroxide process)의 활성화가 특정한 알코올 작용의 특징적인 특성이다. 이에 근거하여, 가장 중요한 기관의 세포에서 괴사성 및 비정상적(지방 변성) 변화가 발생한다. Perturbation of cell membrane physicochemical properties, membrane damage by products by biological conversion of alcohol, increased cytoplasmic acid, disturbance of energy processes, activation of autolytic processes for cellular proteins and lipids, abnormal lipid metabolism, peroxide process Activation of the peroxide process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certain alcoholic actions. Based on this, necrotic and abnormal (fatal degeneration) changes occur in the cells of the most important organs.

메탄올의 독성 효과는 일반적으로 그의 대사산물, 즉, 포름알데히드 및 포름산에 의해 조절된다. 포름알데히드 자체가 가장 강력한 독소이고, 또한 그의 대사산물은 산화 및 인산화의 사슬을 붕괴시켜서 대사적 산증을 유발하고, 다수의 주요한 생화학적 과정의 정상적인 진행을 변형시킨다. The toxic effect of methanol is generally regulated by its metabolites, namely formaldehyde and formic acid. Formaldehyde itself is the most potent toxin, and its metabolites also disrupt the chains of oxidation and phosphorylation, causing metabolic acidosis and modifying the normal progression of many major biochemical processes.

에틸렌 글리콜 중독증에서, 글리옥실산(ADG를 포함하는 최초의 효소적 전환 후)과 같은 그의 생물학적 전환의 산물들이 순차적으로 나타난다; 이는 모노알데히드, 글리콜 알데히드(ADG를 포함하는 두번째 효소적 전환 후)이며, 디알데히드이고, 그 후, 옥살산, 글리콜산이다. 그 계열의 모든 물질들이 시트르산 사이클 효소의 기능을 파괴시킨다. 생성되는 알데히드는 중독유발성(toxiferous)이고, 장기간 동안 개체 내에 축적되며, 전신에서(system-wise manner) 상기 알데히드가 필수적 개체 기능을 파괴시킬 수 있다.In ethylene glycol intoxication, the products of its biological conversion, such as glyoxylic acid (after the first enzymatic conversion with ADG) appear sequentially; It is monoaldehyde, glycol aldehyde (after the second enzymatic conversion involving ADG), dialdehyde, then oxalic acid, glycolic acid. All substances in the class disrupt the function of the citric acid cycle enzymes. The aldehydes produced are toxiferous, accumulate in the subject for long periods of time, and in a system-wise manner the aldehydes can destroy essential individual functions.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테르에 의해 거의 동일한 경로의 대사가 진행되며, ADG가 그의 알코올 기를 "공격"하기 때문이며, 이 때문에 상기 모노에테르가 관련된 알데히드로 전환된다. 이와 함께,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테르로부터, 옥시아세트산 이 형성되고, 그의 존재는 또한 세포 대사적 산증을 초래한다. 함께 작용하여, 이 화합물들은 저칼륨증 및 저칼슘증의 발병을 초래하고, 글루코오스, 락테이트의 정상적인 대사,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ATP) 합성을 교란시키고, 다수의 효소 시스템의 기능을 파괴한다. This is because the ethylene glycol monoether undergoes metabolism of about the same route, and because ADG "attacks" its alcohol group, which converts the monoether to the related aldehyde. In addition, from ethylene glycol monoether, oxyacetic acid is formed, the presence of which also leads to cellular metabolic acidosis. Working together, these compounds lead to the development of hypokalemia and hypocalcemia, disrupt the normal metabolism of glucose, lactate, adenosine triphosphate (ATP) synthesis, and destroy the function of many enzyme systems.

세포 수준에서, 전술된 과정들은 일련의 병리적 이상: 항상성 장애(homeostasis disorder)(대사적 산증, 수-전해질 불균형(water-electrolyte imbalance), 혈액응고 변화(hemocoagulation shift) 및 기타 장애)를 일으키기 위한 출발점으로 간주되고, 이차적 증후군: 의식 우울증(consciousness depression), 중앙 및 흡인-폐쇄 호흡 이상(central and aspiration-obturation breathing abnormalities), 급성 심혈관 부전, 실질 기관(parenchymatous organ)의 손상 등을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를 기초로, 치사의 위험을 갖는 다수의 과정들이 진행된다. 이 과정들은 하기를 포함한다:At the cellular level, the processes described above are intended to cause a series of pathological abnormalities: homeostasis disorder (metabolic acidosis, water-electrolyte imbalance, hemocoagulation shift, and other disorders). Considered as a starting point, secondary syndromes: forming consciousness depression, central and aspiration-obturation breathing abnormalities, acute cardiovascular insufficiency, damage to parenchymatous organs, etc. do. On this basis, a number of processes are carried out with the risk of lethality. These processes include:

- 급성 호흡 곤란(환기 부족 및 실질 부전),Acute respiratory distress (lack of ventilation and parenchymal failure),

- 순환 곤란(circulatory embarassment)(심근 수축 능력의 감소, 독성 심근증, 혈액량 감소 쇼크(hypovolemic shock), 및 기타 이유),Circulatory embarassment (decreased myocardial contractile capacity, toxic cardiomyopathy, hypopovolemic shock, and other reasons),

- 대뇌 질환(cerebral disorder),Cerebral disorder,

- 실질 기관(간, 신장, 심근)의 손상 및 기능장애Damage and dysfunction of the parenchymal organs (liver, kidney, myocardium)

AS-중독의 임상적 패턴에서, 하기의 특징적인 증후군이 선별된다:In the clinical pattern of AS-addiction, the following characteristic syndromes are selected:

- 중독성 뇌병증(toxic encephalopathy),Toxic encephalopathy,

- 호흡 이상,-Abnormal breathing,

- 혈액순환 이상,-Abnormal blood circulation,

- 중독성 간병증,-Addictive liver disease,

- 중독성 신장병증,-Addictive nephropathy,

- 항상성 장애(수-전해질 균형, 산-염기 균형),Homeostasis disorders (water-electrolyte balance, acid-base balance),

- 위장 장애.-Gastrointestinal disorders.

이 증후군들은 참조문헌에 상세하게 설명된다[출처 1: Luzhnikov E.A., Ostapenko Yu.N., et al. "Emergency status under acute poisonings" M., 2001). 현재까지, 메탄올, 에틸렌 글리콜, 및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독성물에 의해 유발된 중독증에서, 에탄올이 알코올 탈수소효소의 경쟁적 저해제로서 장관에 의해(enterally) 및/또는 정맥내로 투여되는 특정한 해독제로서 적용되었다[출처 1, pp. 155-156]. 이 치료 방법은 에탄올 자체가 효소 시스템 및 실질 기관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당한 단점을 가지며, 이 사실은 환자 상태, 환자의 자연적인 해독 시스템 능력, 병전 인자들(premorbid factor), 중독증의 중증도, 중독 단계 등의 철저한 모니터링을 유지할 것을 요구한다.These syndromes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literature [Source 1: Luzhnikov E.A., Ostapenko Yu.N., et al. "Emergency status under acute poisonings" M., 2001). To date, in addiction caused by methanol, ethylene glycol, and other toxic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thanol has been applied as a specific antidote administered enterally and / or intravenously as a competitive inhibitor of alcohol dehydrogenase. [Source 1, pp. 155-156]. This method of treatment has significant drawbacks, as ethanol itself can degrade the function of the enzyme system and the parenchymal organs, which may lead to patient conditions, the ability of the patient's natural detoxification system, premorbid factor, and addiction. Requires thorough monitoring of severity and addiction stages.

본 발명의 목적은 에탄올 자체 외에, 독성물을 포함하는 알코올-함유 음료의 단일 이용 및 반복적이고, 특히 연장된 전신 이용에 의해 유발된 병리적 과정의 발생을 예방 또는 차단하거나, 또는 그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작용제(efficacious agent)를 순환 내로 투여하는 것이다. 이 독성물들은 상기 음료에서 알코올 발효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연적인 혼합물로 존재한다. 음료 내에 독성 혼합물이 존재하는 일부 다른 이유들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코올 및 그 유도체 에 의해 유발되는 중독의 예방 및 약물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 및 작용제를 독성학 분야에 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or block the occurrence of or reduce the rate of pathological processes caused by single use and repetitive, in particular prolonged systemic use, of alcohol-containing beverages containing toxic substances, in addition to ethanol itself. An efficacious agent is administered into the circulation. These toxins are present as a natural mixture in the production of alcoholic fermentation in the beverage. There may also be some other reasons for the presence of toxic mixtures in the beverage.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troduce into the field of toxicology effective methods and agents for the prevention and drug treatment of addiction caused by alcohols and their derivatives.

주어진 과제는 하기 일반식 (I)의 하나 이상의 비시날 디티오글리콜(vicinal dithioglycol) 및, 필요한 경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또는 소화성(alimentary( 담체와 제제화된, 장관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해 설계된 약제에 의해 해결되었다.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은 R1과 R2가 독립적으로 라디칼 (-H), (-OM'), (-COOM'), (-SO3M'), (-O-CH2-SO3-M'), (-PO3M'2), (-PO2SM'2), (-PO3M"), (-PO2SM")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상기에서 기호 M'은 수소 또는 알칼리 금속 이온을 나타내고, 기호 M"은 알칼리 토금속 이온을 나타내며, m과 n은 독립적으로 0 내지 5의 정수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하기 일반식 (1)의 물질을 의미한다:A given task is one or more vicinal dithioglycols of the general formula (I) and, if necessary,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or alimentary agent, formulated with a carrier, designed for enteral or parenteral administration. Bisinal dithioglycols have R 1 and R 2 independently of radicals (-H), (-OM '), (-COOM'), (-SO 3 M '), and (-O-CH). 2 -SO 3 -M '), (-PO 3 M' 2 ), (-PO 2 SM ' 2 ), (-PO 3 M "), (-PO 2 SM") and the symbol above M 'represents hydrogen or an alkali metal ion, symbol M "represents an alkaline earth metal ion, and m and n are independently selected from an integer of 0 to 5, meaning a substance of formula (1):

R1(CH2)nCH(SH)CH(SH)(CH2)mR2 (1). R 1 (CH 2 ) n CH (SH) CH (SH) (CH 2 ) m R 2 (1).

일반식 (1)의 화합물은 입수가능한 선행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그의 설명 및 합성 경로가 예를 들면, 화학 백과사전(Chemical Encyclopedia)[출처 2: "Chemical Encyclopedia", M.: Soviet Encyclopedia Publishing House, 1990, v.2, p. 91-92]에 개시되어 있다. 비시날 디티오글리콜(vicinal dithioglycol: VD)에 대해, 구체적으로 하기의 화합물들이 언급된다:Compounds of formula (1) are known from the prior art available. His explanations and synthetic routes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Chemical Encyclopedia [Source 2: "Chemical Encyclopedia", M .: Soviet Encyclopedia Publishing House, 1990, v.2, p. 91-92. For vicinal dithioglycol (VD), the following compounds are specifically mentioned:

1. 하기 식을 갖는 디티오글리세롤(디캅톨, 디머캅톨, 디머캅토프로판올, BAL(British anti-Lewisite)[BAL]):1. Dithioglycerol (dicaptol, dimercaptol, dimercaptopropanol, BAL (British anti-Lewisite) [BAL]) having the following formula:

Figure 112009036980212-PCT00003
(1)
Figure 112009036980212-PCT00003
(One)

2. 하기 식을 갖는 2,3-디머캅토프로판술포네이트 Na("유니티올(Unithiol)", DMPS):2. 2,3-dimercaptopropanesulfonate Na ("Unithiol", DMPS) having the formula:

Figure 112009036980212-PCT00004
(2)
Figure 112009036980212-PCT00004
(2)

3. 하기 식을 갖는, 2,3-디머캅토숙신산("숙시머(Succimer)", DMSA):3. 2,3-dimercaptosuccinic acid ("Succimer", DMSA) having the formula:

Figure 112009036980212-PCT00005
(3)
Figure 112009036980212-PCT00005
(3)

4. 하기 식을 갖는, 2-(2,3-디머캅토프로폭시)에탄올술포네이트 Na("옥사티올(Oxathiol)"):4. 2- (2,3-dimercaptopropoxy) ethanolsulfonate Na ("Oxathiol") having the formula:

Figure 112009036980212-PCT00006
(4)
Figure 112009036980212-PCT00006
(4)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은 항방사성(antiradiation) 활성을 갖는 약제로서 적용되고, 또한 중금속 및 그의 화합물에 의한 중독증, 특히, 비소, 납, 수은에 의한 중독증 하에 해독제로서 적용된다[출처 3: Mashkovsky M.D. "Medications". M., 1993]. 이들은 두 개의 인접한 머캅토 기를 갖는 저-분자량 화합물이고, 이 때문에 그들은 방사성 핵종(radionuclide)을 포함한 중금속에 대한 우수한 트랩이다. Bisinal dithioglycol is applied as a medicament with antiradiation activity and also as an antidote under poisoning with heavy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in particular with poisoning with arsenic, lead, mercury [Source 3: Mashkovsky M.D. "Medications". M., 1993]. These are low-molecular weight compounds with two adjacent mercapto groups and because of this they are excellent traps for heavy metals, including radionuclides.

이 물질들의 이용이 독성학 분야에서 알려져 있다. 디머캅톨(BAL) 및 유니티올(DMPS)이 비소, 비스무트, 수은, 안티몬, 또는 아연에 의한 중독증 하에 해독제 로 적용된다[출처 4: Shiebak V.M., Panchenko L.F., et al., "The Fundamentals of Clinical and Analytical Toxicology"(참조 매뉴얼), edited by Prof. Tomilin V.V.// Moscow, 2002, p.46]. 유니티올(DMPS), 숙시머(DMSA), 및 기타 비시날 디티오글리콜(VD)이 중금속염, 비소 및 그의 화합물, 일부 인 및 염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소위 파괴적 독극물(destructive poison)에 대한 해독제로 이용된다. 섬망 알코올중독(derelium alcoholism), 급성 알코올 중독, 마약 중독의 경우에, 다른 해독제와 조합된 복합 요법에서 DMPS(유니티올)의 공지된 적용이 있다[출처 3]. 해독 요법의 금단 증후군의 신속한 경감을 수행하기 위해, 그의 단게들 중 하나로서 유니티올의 적용이 알려져 있다[출처 5: "Alcoholism", edited by G.V. Morozov, M., Medicina Publishing House, 1985, pp. 314-321]. 에탄올 또는 다른 정신활성 물질의 이용에 의해 유발되는 의존성 질환(dependence disease)의 진행에서 병리적 과정의 발달을 차단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VD 적용이 알려져 있다(러시아 특허 제2229291호). The use of these materials is known in the field of toxicology. Dimercaptol (BAL) and Unityol (DMPS) are applied as antidote under arsenic, bismuth, mercury, antimony, or zinc poisoning [Source 4: Shiebak VM, Panchenko LF, et al., "The Fundamentals of Clinical and Analytical Toxicology "(reference manual), edited by Prof. Tomilin V. V.// Moscow, 2002, p. 46]. Unityol (DMPS), succimer (DMSA), and other bisinal dithioglycols (VD) are antidote to so-called destructive poisons, including heavy metal salts, arsenic and compounds thereof, some phosphorus and chlorine compounds Is used. In the case of delirium alcoholism, acute alcoholism, and drug addiction, there is a known application of DMPS (unthiol) in combination therapy in combination with other antidote [Source 3]. In order to carry out a rapid alleviation of withdrawal syndrome of detoxification therapy, the application of unityol as one of his sweets is known [Source 5: "Alcoholism", edited by G.V. Morozov, M., Medicina Publishing House, 1985, pp. 314-321. VD applications are known to block or reduce the development of pathological processes in the progression of dependence diseases caused by the use of ethanol or other psychoactive substances (Russian Patent No. 2229221).

본 발명은 공지된 물질의 신규한 목적을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or the novel purpose of known materials.

본 출원인은 최초로 장관 투여(enteral administration) 후에, 비시날 디티오글리콜(VD)이 앞서 열거된 공지된 지표들 하에 예기치않게 보다 강한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발견하고, 또한 투여, 특히, 경구 투여 후,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이 무엇보다도 독성 혼합물을 갖는 에탄올-함유 음료 및/또는 주정으로서, 에탄올뿐 아니라, 알코올 대용제를 포함하는 알코올-함유 음료의 이용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는, 병리적 과정의 발생을 차단 및/또는 억제하는데 있어서 새로운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예기치 않게 발견했다. 이 효과는 제안된 비시날 디티오글리콜(VD) 물질이 체내에서(in vivo) 메탄올, 에틸렌 글리콜, 및 기타 1가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직접적인 대사산물(immediate metabolite)에 결합하는 예기치 않게 발견된 특성에 기인한다. 이 효과는 본 발명의 실질적인 특징인, 이 상호작용의 특이성의 발견 때문에, 특히 강하게 발현된다. Applicants have found that, after the initial enteral administration, bisinal dithioglycol (VD) unexpectedly shows a stronger effect under the known indicators listed above, and also after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after oral administration, Visinal dithioglycols block the development of pathological processes, which appear to be due, among other things, to the use of ethanol-containing beverages and / or spirits with toxic mixtures, as well as alcohol-containing beverages containing alcohol substitutes. And / or unexpectedly found a new effect on inhibition. This effect is an unexpectedly discovered property of the proposed bisinal dithioglycol (VD) substance binding to the immediate metabolite of methanol, ethylene glycol, and other monohydric and polyhydric alcohols in vivo. Caused by. This effect is particularly strongly expressed because of the discovery of the specificity of this interaction, which is a substanti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특징은 VD와 특정된 독성물과의 상호작용의 산물이 생리적 조건 하에 분리될 수 없다는 것에 있다. 즉, 그들은 화학적 내성(chemical resistance)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체내에서, 이 반응은 비가역적으로 진행된다.The first feature is that the product of the interaction of the VD with the specified toxin cannot be separated under physiological conditions. That is, they have chemical resistance. In other words, in the body, the reaction proceeds irreversibly.

제2 특징은 개체에 대한 상기 약리적 효과의 현저하고 실질적인 발현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물질(VD)의 간으로의 (가능한 한 신속하고, 완전한) 투여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에 있다. 이 작용을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방법은 장관 투여 경로이거나, 후자가 방해되는 경우, 및 그와 동등하게, 특정된 물질의 문맥 혈류(portal bloodstream)로의 투여를 제공하는, 주사 투여와 같은 방식이 적합할 것이다. 이 효과는 특히 VD의 문맥내 주입(intraportal infusion) 하에 또는 문맥내 또는 경제대 주입(transumbilical infusion) 하에 수득된다.A second feature is the need for providing (as fast as possible, complete) administration of the substance (VD) proposed by the invention to the liver for significant and substantial expression of said pharmacological effect on the subject. In order to carry out this action, a suitable method is the enteral route of administration, or if the latter is disturbed, and equivalently, such as injection administration, which provides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specified substance into the portal bloodstream. something to do. This effect is obtained in particular under intraportal infusion of VD or under intraportal or transumbilical infusion.

제3의 추가적인 특징은 알코올로부터 유래된 알데히드와 같은 독성물이 수용성 비시날 디티오글리콜과 반응하는 경우, 그 반응 생성물은 수용성이 되고, 신장으로부터 소변으로 배출될 수 있는 능력을 수득한다는 것에 있다. 이는 3개 이상의 원자를 갖는 탄소 사슬 길이에서 매우 중요하고, 프로판올로부터 시작하여, 이 알데히드의 수용해도는 낮고, 사슬 길이가 증가되면서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 거동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약제(medication agent) 및 방법은 이들이 해독 약물요법의 약제 및 방법이라는 사실과 별개로, 원심성 해독의 활성 약제 및 방법이 되었다; 그들은 독성물 제거를 가속화시킬 뿐 아니라, 신장을 통한 독극물 배출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동일한 과정이 케톤의 배출에도 적용된다. 신장을 독성물 배출 과정에 포함시키는 것은 발병의 농도 인자에 유리하게 영향을 미친다. A third additional feature is that when a toxic substance such as an aldehyde derived from alcohol reacts with the water-soluble bisinal dithioglycol, the reaction product becomes water soluble and obtains the ability to be excreted from the kidney into urine. This is very important for carbon chain lengths having three or more atoms, starting with propanol, so that the water solubility of this aldehyde is low and decreases with increasing chain length. Because of this behavior, the agents and methods proposed herein have become active agents and methods of centrifugal detoxification, apart from the fact that they are agents and methods of detoxification pharmacotherapy; They not only accelerate the removal of toxins, but also allow to carry out toxic emissions through the kidneys. The same process applies to the release of ketones. Inclusion of the kidneys in the process of toxic excretion advantageously affects the concentration factor of the onset.

제4의, 추가적인 특징은 하기에 있다. 적합한 물리화학적 특성 때문에, 알코올은 조직-혈액(histohematogenous) 장벽을 극복하고 기관 및 조직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다. 그 후, 알코올은 그 내부에서 생물전환(biotransformation)을 거쳐서, 제1 단계에서 알데히드로 전환된다. 알데히드는 알코올보다 더 독성유발성이 크고 더 큰 반응성을 갖는다. 알데히드는 혈장 단백질과 혈구, 효소 및 기타 요소의 말단기와 반응하여 그들의 기능을 변형시킨다(그에 의해, 면역성, 지혈, 호흡, CNS, 심근, 에너지 기능 및 다수의 기타가 영향을 받는다). 다시 말하면, 알데히드의 독성 수용체는 알코올의 독성 수용체보다 훨씬 더 다양하다. 알코올과 달리, 알데히드는 조직-혈액 장벽을 극복하는 데 있어서 훨씬 더 부진해서, 기관 및 조직에서 그들의 축적을 초래하고, 여기에서 알코올 대사가 개시된다(즉, 알코올 산화의 제1 단계). 동시에, 알데히드 산화는 간 효소-알데히드 탈수소효소의 작용 하에 일어난다. 전술된 바에 의해, 간 외부의 기관 및 조직에서 추가적인 알데히드 산화가 방해되고, 이는 알데히드에 대한 노출(시간 인자) 및 독성 효과를 강화한다. 이 문제는 몽골족(Mongoloid race)에 속하는 사람들에서 특히 급성 방식으로 발현되며, 이는 그들이 유전적으로 미리 결정된 저하된 알데히드 탈수소효소 활성을 갖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및 방법의 적용은 그 문제에 대해 새로운 해결안을 찾을 수 있게 한다. 주목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성 물질(VD)의 간으로의 투여 후에, 알데히드의 결합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는 가역적 반응 "알코올-알데히드"에서 평형의 이동을 가져온다. 이후, 르 카틀리에(Le Chatelier) 원칙에 따라, 시스템은 알코올 산화를 강화시키는 것에 의해 및 결과적으로, 간에서 그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그에 반응한다. 동일한 원칙에 따라, 이는 농도를 회복하기 위해 다른 기관 및 조직으로부터 알코올의 추가적인 유출(outflow) 및 간으로의 유입을 유발한다. 간에서 VD 존재가 유지되는 경우, 간으로 유입된 알코올의 산화에 의해 수득된 새로운 알데히드가 다시 결합되고, 사이클이 반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의 적용은 모든 기관 및 조직에 대한 독성물 부하(toxic load)를 낮추며, 이는 이 물질들이 필수적으로 중요한 기관 및 조직으로부터 신속한 독성물 배출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중독 발병의 관점에서, 이 종류의 약제 치료를 가능한 한 빨리 개시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물질(VD)의 간으로의 진입을 유지하는 조건 하에 실현되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사이클은 출원인에 의해 '개체의 알코올-알데히드 해독의 사이클'(cycle of alcohol-aldehyde detoxication)로 지칭된다. CAAD는 예방적 VD 투여 후에도 실현된다는 것이 주목된다. 따라서, CAAD는 중독 발병기전의 시간 인자 및 공간 인자 모두에 유리한 효과를 발휘한다. A fourth, additional feature is below. Because of suitabl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lcohol overcomes the histohematogenous barrier and is uniform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organs and tissues. The alcohol then undergoes biotransformation therein, whereby the aldehyde is converted in the first step. Aldehydes are more toxic and have greater reactivity than alcohols. Aldehydes react with plasma proteins and terminal groups of blood cells, enzymes and other elements to modify their function (by which immunity, hemostasis, respiration, CNS, myocardium, energy function and many others are affected). In other words, the toxic receptors of aldehyde are much more diverse than the toxic receptors of alcohol. Unlike alcohols, aldehydes are much slower in overcoming the tissue-blood barrier, resulting in their accumulation in organs and tissues, where alcohol metabolism is initiated (ie, the first stage of alcohol oxidation). At the same time, aldehyde oxidation takes place under the action of liver enzyme-aldehyde dehydrogenase. As mentioned above, further aldehyde oxidation is hindered in organs and tissues outside the liver, which enhances exposure to aldehydes (time factor) and toxic effects. This problem is particularly expressed in people in the Mongoloid race, in an acute manner, because they have genetically predetermined lowered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Application of the medicaments and methods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find new solutions to the problem. It is noted that after administration of the active substance (V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o the liver, binding of aldehyde occurs. This leads to an equilibrium shift in the reversible reaction "alcohol-aldehyde". Then, according to the Le Chatelier principle, the system reacts to it by enhancing alcohol oxidation and consequently by reducing its concentration in the liver.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this leads to additional outflow of alcohol and inflow into the liver from other organs and tissues to restore concentration. If the presence of VD is maintained in the liver, the new aldehyde obtained by oxidation of the alcohol introduced into the liver is bound again and the cycle is repeated. The application of the substanc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us lowers the toxic load on all organs and tissues, since these substances promote the rapid release of toxic substances from vital organs and tissues. In view of the development of intoxication, it is important to start this kind of pharmaceutical treatment as soon as possible. The cycles disclosed herein, which are realized under conditions that maintain the entry of the active substance (V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to the liver, are referred to by the applicant as the 'cycle of alcohol-aldehyde detoxication'. It is referred to. It is noted that CAAD is realized even after prophylactic VD administration. Thus, CAAD exerts a beneficial effect on both temporal and spatial factors in the pathogenesis of intoxication.

따라서, 출원인은 메탄올 및 알데히드, 프로필, 부틸 및 아밀 알코올 및 그의 알데히드, 이가 알코올 및 그의 알데히드 및 모노에테르, 및 디알데히드와 같은 심각한 독극물로 알려진, 알코올 및 그의 대사산물로부터 체내에서 개체를 해독시키는 능력을 가지며, 이에 근거하여, 그들을 이 중독증 하에 특정한 해독제로 이용할 수 있는 능력에 있는,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의 새로운 종류의 약리적 활성을 발견했다(제1 필수적 특징). 이 새로운 목적에 따른 용도의 제2의 필수적 특징은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의 투여 방법이며, 독극물 대사 및 그의 독성유도가 주로 일어나는 곳이 바로 간이기 때문에, 간으로의 완전하고 신속한 투여가 보장되어야 한다. 이때, 최적 해결안은 장관 투여이나, 환자 상태가 이와 함께, 또는 이에 대신하여 요구하는 경우, 문맥 혈류로의 약물 투여 또는 경제대 투여가 지시된다. 이에 근거하여, 본 출원인은 전술된 독성물에 의해 유발된 중독증의 예방 및 약물 치료 방법 및 약제를 제공한다. Accordingly, Applicants have the ability to detoxify an individual in the body from alcohol and its metabolites, known as serious poisons such as methanol and aldehydes, propyl, butyl and amyl alcohols and their aldehydes, dihydric alcohols and their aldehydes and monoethers, and dialdehydes. And based on this, a new class of pharmacological activity of bisinal dithioglycols has been discovered (first essential feature) in the ability to use them as specific antidote under this poisoning. A second essential feature of this new purpose of use is the method of administering bisinal dithioglycol, and the liver is the place where toxic metabolism and its toxicity are mainly induced, so full and rapid administration to the liver should be ensured. . The optimal solution is then directed to enteral administration, or where the patient condition requires with or instead of the drug administration into the portal bloodstream or economic versus administration. Based on this, the applicant provides a method and a medicament for the prevention and drug treatment of intoxication caused by the above-described toxic substances.

기술적 결과의 설명Explanation of Technical Results

하기에, 그룹별로 특정된, 가정에서의 사용을 위해 의도된 에탄올 용액에 함유된 전형적인 독성물의 용도 또는 독성 혼합물을 함유하는, 알코올 함유 음료의 오용(malusage) 및 또한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독성물의 용도와 연관된 것으로 확인된, 제안된 약제 및 방법에 의해 달성되는 효과(즉, 기술적 결과)가 열거된다. In the following, the use of typical poisons contained in ethanol solutions intended for home use, specified by group, or the malusage of alcohol-containing beverages, which also contain toxic mixtures, and also the use of poisons contemplated herein. Listed are the effects (i.e. technical results) achieved by the proposed medicaments and methods identified as being associated with.

그룹 1: 독성 동태 정정 이론(Toxicokinetic correction theory)Group 1: Toxicokinetic correction theory

-독성물의 화학적 결합한다;-Chemically binds toxins;

-독성물과 독성 수용체의 결합을 방지한다;Prevent the binding of toxic and toxic receptors;

-개체로부터 독성물 및/또는 그의 독성 대사산물의 분비를 가속화시킨다;Accelerate the secretion of toxicants and / or their toxic metabolites from the individual;

-독성물이 차지하고 있는 기관 및 조직(뇌, 폐, 등)으로부터 독성물의 배출을 가속화시킨다;Accelerate the release of toxins from organs and tissues (brain, lungs, etc.) occupied by them;

-원형의 독성물의 독성유도(toxication)를 방지한다;Prevent toxication of circular toxins;

-독성물 또는 그의 대사산물과 본 발명에 따른 작용제의 활성 물질의 반응 산물의 수 용해도를 증가시킨다;Increase the water solubility of the reaction products of the toxic or metabolites thereof and the active substances of the agents according to the invention;

-대용 알코올의 독성물의 존재에 의해 유발된, 에탄올 독성을 감소시킨다;Reduce ethanol toxicity, caused by the presence of toxins of alternative alcohols;

-독성물 배출을 제고한다;-Increase toxic emissions;

-호흡 사슬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에 대한 독성 영향을 예방 또는 경감시킨다.Prevent or reduce the toxic effects on the function of the respiratory chain mitochondria.

그룹 2: 독성 역학 정정 이론(Toxicodynamic correction theory)Group 2: Toxicodynamic correction theory

-기능성 실질 기관의 회복;Recovery of functional parenchymal organs;

-기능성 신경전달물질 시스템의 회복;Restoration of a functional neurotransmitter system;

-CNS 기능의 회복;Recovery of CNS function;

-세포의 에너지 생성(energetic) 기능의 회복.Restoration of the energy-energetic function of the cell.

그룹 3: 예방Group 3: Prevention

-개체로의 잠재적 진입 후 독성물에 의해 유발된 급성 중독 또는 아급성 중독의 발생 또는 진행을 방지한다;To prevent the development or progression of acute or subacute intoxication caused by toxic substances after potential entry into the subject;

-독성 투여량 미만의(subtoxic) 투여량으로 독성물, 또는 알코올 대용제를 갖는 알코올 함유 액체의 반복적인 또는 정기적 이용시 아만성(subchronic) 또는 만성 중독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또는 그 진행 속도를 감소시킨다;Subtoxic doses prevent or reduce the rate of progression of subchronic or chronic poisoning upon repeated or regular use of toxic or alcohol containing liquids with alcohol substitutes; ;

-독성물의 가능한 섭취 하에 중독 중증도를 감소시킨다;-Reduce the severity of intoxication under possible ingestion of poisons;

-농도 독성의 역치 수준을 증가시킨다;Increases the threshold level of concentration toxicity;

-독성 농도 값을 감소시키기 위해 농도 인자에 영향을 미친다;-Influence concentration factors to reduce toxic concentration values;

-뇌에서 독성물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농도 인자에 영향을 미친다;Affect concentration factors to reduce the amount of toxins in the brain;

-독성물 노출을 감소시킨다(시간 인자);Reduce toxic exposure (time factor);

-독성물에 대한 개체 감수성(susceptibility)을 감소시킨다;Reduce the individual susceptibility to toxicants;

-병전 손상(premorbid damages) 하에 간 및 신장 해독 기능을 강화시킨다(상황적 독성을 감소시킴);Enhance liver and kidney detoxification function (preventing situational toxicity) under premorbid damages;

-내독소 쇼크 발생의 출현 리스크 및 중증도를 감소시킨다.Reduces the risk and severity of the occurrence of endotoxin shock.

본 출원인은 일반식 (1)의 화합물의 신규한 특성을 발견하였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하나의 추가적인 양태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독성물의 섭취 후 중독의 발생 또는 진행을 예방하는 작용제로서 하나 이상의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의 적용이다. 이 목적은 이 물질들의 공지된 해독, 항산화 특성에 기초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신규하다. 또한, VD를 본 발명에 따른 독성물에 의해 유발되는 중독의 예방 또는 의학적 치료를 위해 적용되는, 투여 제형 또는 비-투여 제형(non-dosage form)으로 제제화된, 약제의 제조를 위한 활성제로서 이용하는 것에 관한 목적도 신규하다. 그와 같은 약제는 조성물을 의미하고 또한 다른 활성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제화된 형태에 의해, 그들은 복용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또는 고체 약제일 수 있다. Since Applicant has discovered novel properties of the compounds of formula (1), one further aspect of the invention is one or more visi as an agent which prevents the occurrence or progression of intoxication after ingestion of one or more toxic substanc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pplication of raw dithioglycol. This object is novel because it is not based on the known detoxification,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se substances. In addition, the use of VD as an active agent for the preparation of a medicament, formulated in a dosage form or in a non-dosage form, which is applied for the prevention or medical treatment of poisoning caused by the toxin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purpose of things is also new. Such medicament means a composition and may also include other active ingredients. By formulated form, they may be liquid or solid medicaments for dose or parenteral administration.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은 생체막(biomembrane)의 자유-라디칼에 의한 파괴 과정을 종료시킬 수 있고, 특히, 그들은 미엘린 옥손층(myeline oxone layer)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간 세포(hepatocyte), 혈관, 및 뇌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다.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의 전술된 거동에 근거하여, 그의 투여는 심근 조직, 췌장 샘(pancreatic gland), 혈관계, CNS, 및 개체의 기타 기관 및 시스템에 대한 손상 효과를 차단하거나 또는 그 수준을 저하시킬 수 있다. Bisinal dithioglycol can terminate the free-radical destruction process of the biomembrane, in particular, they protect the myeline oxone layer from damage, hepatocytes, blood vessels, and Protect brain structure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behavior of bisinal dithioglycol, its administration would block or reduce the damaging effects on myocardial tissue, pancreatic gland, vasculature, CNS, and other organs and systems of the individual. Can be.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의 독성물 투여의 약리적 효과와 연관된 과정에 대한 전술된 효과 및 기타 효과는 앞서 열거되고, 청구된 해결책의 기술적 결과를 대표하는 효과들의 존재를 가능하게 한다. The foregoing and other effects on the process associated with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toxic administration of bisinal dithioglycol enable the presence of effects listed above and representative of the technical results of the claimed solutions.

본 발명에 따라, 독성물 투여의 독성 효과는 개체의 다수의 기관 및 시스템에 대한 영향에 의해 발현되고, 즉, 이 독성 효과들은 일련의 병리적 과정의 동시 개시 또는 활성화를 초래한다.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의 전술된 특성 또는 거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후자가 그와 같은 병리적 과정 모두에 대해 유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이 영향은 동시에, 그러나 상이한 정도의 발현에 의해 발휘되거나 또는 구현될 수 있다. 특정한 병리적 과정에 대한 그의 영향력의 발현 정도는 무엇보다도 수행 단계에 의존한다. 특정한 과정의 발생은 본 발명에 따른 약제의 예방적 투여에 의해 차단될 수 있고, 이미 개시된 다른 병리적 과정들은 이 약제들을 투여하는 것에 의해 저해될 수 있다. 독성물 투여의 독성 효과에 의해 조절되는, 특정한 병리적 과정에 대한 발현 영향력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의 투여량, 개별적인 신체적 특성 및 기타 특성, 약물 투여 방식(tactic), 독소 부하량(toxic load), 및 기타 인자에 의존적이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toxic effect of toxic administration is expressed by the effect on the individual's multiple organs and systems, ie these toxic effects result in the simultaneous initiation or activation of a series of pathological processes. Since the aforementioned properties or behavior of bisinal dithioglycol are possible, the latter may have a beneficial effect on all such pathological processes, but this effect may be exerted or implemented simultaneously but by different degrees of expression. Can be. The degree of manifestation of his influence on a particular pathological process depends first of all on the stage of performance. The occurrence of certain processes can be blocked by prophylactic administration of a medica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other pathological processes already disclosed can be inhibited by administering these medicaments. The influence of expression on a particular pathological process, controlled by the toxic effects of toxic administration, is also dependent on the dosage, individual physical and other properties of the drug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tactic of the drug, the toxic load. , And other factors.

출원인은 전술된 생리학적으로 유리한 효과가 약제의 경구 투여시 특히 강한 정도로 발현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현상은 활성물질의 간으로의 높은 진입 속도 및 상기 물질과 간 효소 간의 상호작용의 일부 특징와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보다 덜 중요한 효과가 또한, 구강 점막, 비강 및 흡입 투여를 통한 국소 투여에서 관찰될 수 있다. Applicants have found that the physiologically beneficial effects described above are expressed to a particularly strong extent upon oral administration of the medicament. This phenomenon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a high rate of entry of the active substance into the liver and some feature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ubstance and the liver enzymes. Less important effects can also be observed in topical administration via oral mucosa, nasal and inhalation administration.

전술된 효과들은 본 발명의 전까지 알려진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의 특성을 크게 확장시킨다. 그들의 공지된 해독 활성이 급성 금단 상태(acute abstinen condition)의 경감, 즉, 알코올 중독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치료를 위해 이용된다. 섬망 알코올 중독의 유니티올 치료가 심각한 심인성 질환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는 초기(제3(the third)) 병기(clinical staging)의 알코올 중독증을 앓는 환자에 대해 수행되고 있다. 공지된 항산화제 활성도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의 신규한 능력을 잘 보충한다. 이전에, 본 출원인은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이 에탄올 투여 다음날 발생하는, 에탄올 사용의 유해한 결과를 의미하는, 가정 수준의(domestic level) 숙취(또는 알코올 금단 증후군) 상태의 중증도를 경감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 효과는 생체 내에서 알데히드에 대한 VD의 활성에 의해 유발된다(러시아 특허 2157647 C1, 2000). 현재, 실험에서 새로 발견된 효과에 근거하여, 활성 성분으로서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의 효과가 그들의 투여 후 발현되며, 이는 예를 들면, AS를 섭취하기 전 수주(투약 과정(medication course)), 또는 수일, 또는 수 시간 동안 예방적 투여로 AS를 사용한다는 사실로부터 분리되어 일어난다. 동일한 것이 다른 독성물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본 출원인이 알코올 및 다양한 기원의 그의 대사산물에 의한 중독의 발병의 공통 링크에 대한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의 작용을 정립했다는 것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effects described above greatly expand the properties of bisinal dithioglycol known until the present invention. Their known detoxification activity is used for the relief of acute abstinen conditions, ie for the treatment of people suffering from alcoholism. Unityol treatment of delirium alcoholism is being performed on patients suffering from alcoholism of the third stage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severe psychogenic diseases. Known antioxidant activity also well complements the novel ability of bisinal dithioglycol. Previously, Applicants have shown that bisinal dithioglycol may alleviate the severity of a dometic level hangover (or alcohol withdrawal syndrome) condition, which indicates a detrimental effect of ethanol use, which occurs the day after ethanol administration. Confirmed. This effect is caused by the activity of VD on aldehydes in vivo (Russian patent 2157647 C1, 2000). Currently, based on the newly discovered effects in experiments, the effect of bisinal dithioglycol as the active ingredient is expressed after their administration, for example, several weeks before taking AS (medication course), or This occurs separately from the fact that the AS is used for prophylactic administration for days or hours. The same applies to other toxic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applicant has established the action of bisinal dithioglycol on the common link of the development of intoxication by alcohol and its metabolites of various origins.

따라서, 공지된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의 특성과 전술된 특성들의 상승작용에 대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이유가 충분히 있고, 이는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의 신규한 목적을 위한 적용을 권장할 수 있게 한다. Thus, there is ample reason to draw conclusions about the properties of known bisinal dithioglycols and the synergies of the above-mentioned properties, which makes it possible to recommend applications for novel purposes of bisinal dithioglycols. .

제안된 약제의 약학적 제형은 장관 투여, 구체적으로 경구 투여, 프로브를 통한 투여, 비강 투여, 구강 점막을 통한 국소(볼 점막을 통한(transbuccal) 투여 및 설하(subligual) 투여를 포함함) 투여, 또는 흡입에 의한 또는 주사에 의한 투여를 위해 적합한 제형을 포함할 수 있다. 제안된 약제는 주사에 의한 투여를 위한 용액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주입 용액(infusion solution)은 본 발명에 따른 제안된 활성 물질을 적합한 액체 성분들과 조합하는 단계, 및 적합한 제조 설비에 의해 그들을 혼합(dose)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약제학적 제제는 조성물일 수 있고 간편한 별개 투여 단위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모든 이와 같은 약제학적 방법은 활성 물질을 액체 담체 또는 미세하게 분쇄된 고체 담체와 조합하거나 또는 필요한 경우 양자 모두와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 후, 필요한 경우, 그 산물을 원하는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가 이어진다. Pharmaceutical formulations of the proposed medicaments include enteral administration, specifically oral administration, administration via probes, nasal administration, topical (including transbuccal administration and subligual administration) through the oral mucosa, Or formulations suitable for administration by inhalation or by injection. The proposed medicament may have a formulation of a solution for administration by injection. In this case, an infusion solution is prepared by combining the proposed active substan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suitable liquid components and by mixing them by a suitable manufacturing facility. Pharmaceutical formulations may be in composition, may be presented in the form of convenient separate dosage units, and may be prepared by methods well known in the art of pharmacy. All such pharmaceutical methods include the step of combining the active substance with a liquid carrier or a finely divided solid carrier or both if necessary, and then, if necessary, shaping the product into the desired form. Is followed.

경구 투여를 위해 적합한 약제학적 제제는 각각 사전에 처방된 양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정제, 캡슐, 카세제(cachet)와 같은 별개의 단위 제형 또는 분말 또는 과립의 제형, 또는 용액, 현탁액 또는 유제(emulsion)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은 또한 볼루스(bolus) 또는 페이스트(paste)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고, 또는 그의 순수한 형태, 즉, 담체-불포함 형태일 수 있다. 추가적인 생리학적 활성 성분을 제외하고, 경구 투여용 정제 및 캡슐은 또한 결합제, 충전제, 윤활 물질, 플러퍼(fluffer), 보습성 물질(moistening substance)과 같은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제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성분과 함께 압착 또는 주조(casting)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압착된 정제는 적합한 기계에서 활성 성분을 선택적으로 결합제, 윤활 물질, 비활성 희석제, 계면활성제, 분산제 등과 혼합된, 분말 또는 과립과 같은 자유-유동 제형(free-flowing form)으로 압착하는 단계에 의해 적합한 기계에서 제조될 수 있다. 성형된(molded) 정제는 분말 화합물의 혼합물을 비활성 액체 희석제에 의해 습윤된 상태로 몰드-주조(mold-casting)하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정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껍질(shell)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액체 경구 제제는 예를 들면, 수성 현탁액, 오일 현탁액, 용액, 유제, 시럽 또는 엘릭시스(elixir)의 제형일 수 있거나, 또는 사용 전에 물 또는 다른 적합한 용매와 혼합하기 위한 건조된 제품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입된 생리적 활성 성분과 별도로, 이 액체 제제는 또한 현탁제(suspending agent), 비수성 용매(식용 오일을 포함할 수 있음), 풍미 첨가제(flavor additive), 향료(fragrance), 착색제, 또는 보존제와 같은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제형은 선택적으로 그 내부에 함유된 활성 물질의 서방(slow excretion) 또는 제어 방출(controlled excretion)을 제공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Pharmaceutical formulations suitable for oral administration may be in the form of discrete unit dosage forms, such as tablets, capsules, cachets, or formulations of powders or granules, or solutions, suspensions or emulsions, each contain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ulation of an emulsion. The active ingredient may also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olus or paste, or in its pure form, ie, in a carrier-free form. Except for the additional physi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tablets and capsules for oral administration may also include generally acceptable additives such as binders, fillers, lubricants, fluffs, moistening substances. Tablets may be made by compression or casting, optionally with one or more additional ingredients. Compressed tablets are suitable by pressing the active ingredient into a free-flowing form, such as a powder or granules, optionally mixed with a binder, lubricant, inert diluent, surfactant, dispersant, etc. in a suitable machine. Can be manufactured in a machine. Molded tablets may be prepared by mold-casting a mixture of powdered compounds in a wet state with an inert liquid diluent. Tablets may be coated by a shell according to methods well known in the art. Liquid oral formulations can be, for example, in the form of aqueous suspensions, oil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syrups or elixirs, or in the form of dried products for mixing with water or other suitable solvent prior to use. Can be. Apart from the additionally introduced physi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this liquid preparation also contains suspending agents, non-aqueous solvents (which may include edible oils), flavor additives, fragrances, colorants, or preservatives. It may include generally acceptable additives such as. The formulations described above may optionally be prepared to provide slow excretion or controlled excretion of the active substance contained therein.

구강 점막을 통한 국소 투여, 예를 들면, 볼 점막을 통한 투여 경로 또는 설하 투여 경로에 의한 투여를 위해 의도된 제형은 탄수화물, 예를 들면, 사카로오스, 아카시아, 또는 트라가칸스와 같은 교정제(corrigent) 기반에 활성 성분을 함유한 로젠지(lozenge), 및 젤라틴, 글리세롤, 탄수화물, 아카시아 등과 같은 기반에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향정(pastille)을 포함한다. 전술된 활성 성분의 비강내 투여를 위해, 에어로졸, 또는 분쇄가능한(pulverizable) 분말, 또는 점적약제(drop)와 같은 제형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점적약제는 하나 이상의 분산제, 용매화제 또는 현탁제를 포함하는 수성 또는 비수성 기반 상에서 제조될 수 있다. 액체 에어로졸은 가압 포장(pressurized package)으로부터 수득되는 것이 편리하다. 흡입에 의한 투여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취입기(insufflator), 흡입가능한 가압 포장물, 또는 기타 에어로졸 스프레이를 수득하기 위한 편리한 장치(facilities)로부터 수득될수 있다. 압력 하의 포장은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와 같은 적합한 추진제(propellant)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하의 에어로졸의 경우, 투여량 단위(dosage unit)는 스프레이에 정량된 양(metered quantity)을 공급하기 위한 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ormulations intended for topical administration via the oral mucosa, eg, via the buccal mucosa or by sublingual route, may be carbohydrates such as saccharose, acacia, or tragacanth. Lozenge containing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base) and pastille containing the active material in the base such as gelatin, glycerol, carbohydrates, acacia and the like. For intranasal administr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s described above, they may be used in formulations such as aerosols, pulverizable powders, or drops. This drop may be prepared on an aqueous or non-aqueous base comprising one or more dispersing agents, solvating agents or suspending agents. Liquid aerosols are conveniently obtained from pressurized packages. For administration by inhalation, the compound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obtained from convenient facilities for obtaining insufflators, inhalable pressurized packages, or other aerosol sprays. The package under pressure may contain a suitable propellant such as dichlorodifluoromethane, trichlorofluoromethane, carbon dioxide or other suitable gas. In the case of aerosols under pressure, the dosage unit can be determined by providing a valve for supplying a metered quantity to the spray.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의 흡입 또는 취입에 의한 투여를 위해, 건조 분말 혼합물, 예를 들면, 활성 물질과 적합한 분말-유사 기제(powder-like base), 예를 들면, 락토오스, 전분, 활석(talcum)의 분말 혼합물의 제형이 적용될 수 있다. 분말 조성물은 단일 투여 제형, 예를 들면, 흡입기(inhaler) 또는 취입기에 의해 그로부터 분말이 도입될 수 있는, 캡슐, 카트리지, 젤라틴 또는 점착성 반창고 포장(adhesive plaster package)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Alternatively, for administration by inhalation or blowing of the substan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dry powder mixture, for example an active substance and a suitable powder-like base such as lactose, starch, Formulations of powder mixtures of talc may be applied. The powder composition may be provided in a single dosage form,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capsule, cartridge, gelatin or adhesive plaster package, into which the powder may be introduced therefrom by an inhaler or blower.

필요한 경우, 활성 성분의 지속 방출을 제공하도록 개조된 전술된 제형이 이용될 수 있다. If desired, the above-described formulations adapted to provide sustained release of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used.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약제는 또한 하나 이상의 다른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이들의 첨가는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물질의 작용을 강화할 수 있고, 또한, 첨가된 성분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상승적 작용을 도출하기 위해 기여할 수 있다. 첨가되는 활성 성분들은 비타민, 비타민 전구체, 비타민 유도체, 유기산, 유기산 유도체, 지질, 생리학적 활성 펩티드, 아미노산, 아미노산 유도체, 효소, 효소 유도체, 효소 전구체, 조효소(coenzyme), 조효소 유도체, 조효소 전구체, 탄수화물, 미네랄 물질, 금속 이온의 원천(source), 단백질,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터 선택된 성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리신, γ-아미노부티르산(GABA)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인, 아미노산을 첨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메탄올, 에틸렌 글리콜 및 다수의 다른 독성물에 의한 중독증이 수-전해질 균형을 교란시키고, 근육에서 파상풍을 유도하는, 저칼슘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금속 이온의 원천을 첨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 경우, 마그네슘, 칼슘, 망간과 같은 일부 2가 금속 이온이 효소에 의한 촉매 반응에서 조효소 조성의 일부를 구성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2가 금속이온의 원천을 첨가하는 것이 유리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과정에서 조절제(modulator)인 칼슘의 부족 및 그의 대사 독성 감소(metabolism toxic depression)는 다수의 질병 과정의 발생을 가속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의 조성 내에서 유리한 첨가제는, 지질, 특히, 인지질, 예를 들면, 레시틴, 당지질(glycolipid), 기타 간보호제(hepatoprotector), 구체적으로 비타민, 예를 들면, α-토코페롤, 그의 전구체, 그의 유도체, 생리학적 활성 펩티드, 예를 들면, 뉴로펩티드(neuropeptide),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다수의 다른 생리학적 활성 물질의 원천들일 수 있다. The pharmaceutical agents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also comprise one or more other active ingredients, and in general, their addition may enhance the action of the substances proposed by the invention, and in addition to the added ingredients and the invention Can contribute to elicit synergistic action of the compound. Active ingredients added include vitamins, vitamin precursors, vitamin derivatives, organic acids, organic acid derivatives, lipids, physiologically active peptides, amino acids, amino acid derivatives, enzymes, enzyme derivatives, enzyme precursors, coenzymes, coenzyme derivatives, coenzyme precursors, carbohydrates , Mineral substances, sources of metal ions, proteins, and mixtures thereof. For example, it may be advantageous to add amino acids, which are neurotransmitters such as glycine, γ-aminobutyric acid (GABA). It may be advantageous to add a source of metal ions because addiction by methanol, ethylene glycol and many other toxicants can cause hypocalcemia, disrupting the water-electrolyte balance and inducing tetanus in muscles. In this case, it is advantageous to add a source of divalent metal ions because some divalent metal ions such as magnesium, calcium and manganese play an important role by forming part of the coenzyme composition in the catalytic reaction by the enzyme. As mentioned above, the lack of modulator calcium and its metabolism toxic depression in many processes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many disease processes. Advantageous additives in the composition of the medica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lipids, in particular phospholipids such as lecithin, glycolipids, other hepatoprotectors, in particular vitamins such as α-tocopherol, Precursors, derivatives thereof, physiologically active peptides such as neuropeptides, and many other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known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pertains.

앞에서 부분적으로 열거된 성분들과 별개로, 본 발명에 따른 약제는 이 적용 분야에서 통상적인 것으로 간주되고,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검토된 약제의 제형을 위해 이용되는 다른 성분, 작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투여용 약제는 향미제 또는 구조-형성제(structure-formative agent)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독 예방에 중점을 둔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약제학적 제형 또는 비-약제학적 제형, 예를 들면, 영양제품(alimentary product), 구체적으로 음료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Apart from the components partially listed above, a medica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include other ingredients, agents, which are considered to be conventional in this application and which are used for the formulation of a medicament specifically examined herein. . For example, a medicament for oral administration may include a flavourant or a structure-formative agent. In particular, prepara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an emphasis on the prevention of intoxication can be prepared in pharmaceutical or non-pharmaceutical formulations, for example in alimentary products, in particular in the form of beverages.

소량의 투여량(fractional dosage)을 갖는 바람직한 제형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성분의 유효량, 또는 특정된 투여량의 적합한 부분(portion)을 함유한 제형이다. Preferred formulations with small dosages are formulations containing an effective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or a suitable portion of the specified dosage, as described below.

본 발명에 따라, 권장된 대상의 수득을 위해, 활성 성분을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전술된 약제가 0.1 내지 250 mg/kg(환자 체중의 단위 kg 당)의 일일 투여량으로 경구로 또는 다른 편리한 경로에 의해 도입될 수 있다. 평균 성인을 위한 일일 투여량의 수준은 통상적으로 약 5 mg 내지 약 10 g의 범위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약 50 mg 내지 약 2 g의 훨씬 근접한 한계값들 내에 속하며,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1일 100 내지 1000 mg이다. 편리한 이용을 위해, 개별 단위로 제공되는, 약제의 정제 또는 다른 제형은 그와 같은 투여량 또는 복수의 양으로 효과적인 양을 함유하고, 예를 들면, 단위는 50 mg 내지 1000 mg, 일반적으로 약 200-500 g을 함유한다.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obtain a recommended subject, the above-mentioned medicament comprising an active ingredient in an effective amount is administered orally or in another convenient route at a daily dosage of 0.1 to 250 mg / kg (per kg of patient's body weight). Can be introduced. The level of daily dosage for the average adult is typically in the range of about 5 mg to about 10 g, and generally within the much closer limits of about 50 mg to about 2 g, with the most preferred range of 100 to 1 day. 1000 mg. For convenience of use, tablets or other formulations of medicaments, provided in separate units, contain such effective amounts or amounts in multiple amounts, for example, a unit from 50 mg to 1000 mg, generally about 200 It contains -500 g.

본 발명에 따른 약제는 바람직하게는 정확한 투여량으로 경구로 도입되고, 각각 물질 투여량은 적용 설명서 또는 전문가의 권고에 따라 투여된다. 그러나, 실제로 적용되는 양은, 개인의 성별, 연령, 체중, 위험 인자, 독성물 섭취에 대한 수반된 조건, 신체 및 정신신경학적 특징 등을 포함한 다수의 인자들에 의존적일 것이다. 동일한 종류의 인자들이 약제의 투여 횟수 및 기간(속도)을 결정할 때 고려된다. 약제는 중독의 위험을 포함하는, 알코올 함유 음료의 가능한 이용 및/또는 개체로의 독성물의 투여를 위한 또 다른 잠재적 경로(흡인, 흡입) 전에, 또는 그와 같은 음료의 이용(또는 다른 방식에 의해 개체로 독성물이 유입된) 후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또는 독성물을 함유한, 음료를 이용하기 전 및 후, 또는 상이한 조합으로 처방될 수 있는 경우, 코스(course)의 형태로 투여하는 것이 권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약제의 투여 순간(moment)과 알코올 함유 음료 또는 AS 또는 독성물의 다른 투여를 이용하는 순간 간의 시간 관계를 조절하는 전술된 대안들 및 다른 가능한 대안들이 부분적으로 상호 간에 조합될 수 있다. The medica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preferably introduced orally in the correct dosages, and the respective substance dosages are administer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instructions or expert recommendations. However, the amount actually applied will depend on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the individual's sex, age, weight, risk factors, concomitant conditions for ingesting toxican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like. Factors of the same kind ar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the frequency and duration (rate) of administration of a medicament. The medicament may be used before or by another potential route (inhalation, inhalation) for the possible use of alcohol-containing beverages and / or for the administration of toxins to the individual, including the risk of poisoning, or by the use (or otherwise) of such beverages. Administration at regular intervals after the influx of toxic substances into the subject, or before and after the use of the beverage containing the toxic substances, or in different combinations, may be given in the form of courses. Can be. In this case, the aforementioned alternatives and other possible alternatives for adjusting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the moment of administration of the medicament and the moment of using other administration of the alcohol-containing beverage or AS or toxicant may be partially combined with each other.

비경구 투여를 위해, 특별하게 제조된 주입 용액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그 제조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활성 물질이 적합한 용매와 조합된다. 그와 같은 용매로서, 특별하게 조건화된 물(specially conditioned water)이 이용될 수 있다.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specially prepared infusion solutions are generally used. For their preparation, the active substanc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combined with a suitable solvent. As such a solvent, specially conditioned water can be used.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을 예시하나,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The following examples illustrate the nature of the invention but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claimed.

실시예 1. 유니티올 정제(Unithiol tablet). Example 1. Unithiol tablet.

유니티올(분말 물질) 25 g, 락토오스 5 g, 에어로실 10 g, 전분 30 g,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sodium starch glycolate) 5 g,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5 g, 칼슘 판토테네이드(calcium pantothenate) 1 g, 폴산 7 g을 혼합하고, 결과물인 혼합물에 수분을 가하여 적시고, 완전하게 섞어서 균질화시키고 타정하여 0.5g 정제를 수득하였다. 25 g of unityol (powder material), 5 g of lactose, 10 g of aerosil, 30 g of starch, 5 g of sodium starch glycolate, 5 g of magnesium stearate, 1 g of calcium pantothenate , 7 g of folic acid were mixed, the resulting mixture was wetted with water, thoroughly mixed, homogenized and compressed to give 0.5 g tablets.

정제 제제Tablet formulation

성분ingredient 중량%weight% mgmg 유니티올Unityol 2828 140140 락토오스Lactose 5.55.5 2525 에어로실(Aerosil)Aerosil 1111 5050 옥수수 전분Corn starch 3434 150150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Starch sodium glycolate 5.55.5 2525 스테아르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5.55.5 2525 칼슘 판토테네이트Calcium pantothenate 1.21.2 55 폴산(Folic acid)Folic acid 88 3535 습윤제(Wetting agent)Wetting agent 잔량(balance)Balance

실시예 2: 하기를 포함하는, 과립으로 충진된 속붕해성(quick-dissolving) 캡슐 Example 2: Quick-dissolving capsules filled with granules, comprising

성분ingredient mgmg 디캅톨Dicaptol 5050 숙시머Succimer 5050 유니티올Unityol 100100 숙신산Succinic acid 100100 칼슘 시트레이트Calcium citrate 100100 레시틴lecithin 5050 마그네슘 옥시드Magnesium oxide 5050 피리독신 히드로클로라이드Pyridoxine Hydrochloride 5050

과립은 약리학 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에 의해 제조된다.Granules are prepared by techniques known in the art of pharmacology.

앞서 특정된 목적을 위한 적용성은 실험용 동물을 대상으로 테스트하였다. 본 출원인의 주도로 비시날 디티오글리콜 해독 거동(antidotal behavior)의 연구(유니티올을 예로 이용함)가 수행되었다. Applicability for the specified purpose was tested in laboratory animals. At the initiative of the applicant, a study of bisinal dithioglycol antidotal behavior (using unityol as an example) was performed.

실시예 3. 실험은 150-250 g의 최초 체중을 갖는 Wister-100 계통의 수컷 랫트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동물들을 인공 조명(1일 12시간)의 조건 하에 유지시키고 표준 조합 사료 및 물에 대해 자유롭게 접근하게 하였다. Example 3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male rats of Wister-100 lineage having an initial body weight of 150-250 g. Animals were kept under conditions of artificial illumination (12 hours per day) and allowed free access to standard combination feed and water.

동물들을 4개의 군(3개의 실험군 및 1개의 대조군)으로 분리하였다. 각 군에서, 실험의 개시 전에, 하기의 생화학적 지표를 측정하였다: 생화학적 혈액 지표:트리글리세리드, 간 효소: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AlAT), 또는 혈청 글루타믹 피루브산 트랜스아미나아제(serum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SGPT), 및 퍼옥시다아제 과정(peroxidase process) 강도의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AsAT) 지표- (티오바르비투르산에 의한 테스트에 의한) TBA(thiobarbituric acid)-양성 산물, 개체의 항산화 시스템의 지표: 요산염(urate), 비타민 E, A;SH-기.Animals were separated into four groups (three experimental groups and one control group). In each group, the following biochemical indicators were measured before the start of the experiment: biochemical blood indicators: triglycerides, liver enzymes: alanine aminotransferase (AlAT), or serum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serum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SGPT),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AT) indices of peroxidase process strength-thiobarbituric acid (TBA) -positive products (by test with thiobarbituric acid), individual's antioxidant system Indices of: urate, vitamin E, A; SH-group.

제1 실험군(EG1)에서, 동물들에게 예방이나 치료 없이 독성을 유도하였다(toxicate); 1시간 내에 젤라틴 캡슐 제형의 위약(placebo)을 이 동물들에게 투여하였다. 제2 실험군(EG2)에서, 독성 유도 1시간 전에, 동물들에게 젤라틴 캡슐에 담긴 체중 1 kg당 150 mg의 유니티올을 투여하였다. 제3 실험군(EG3)에서, 동물들에게 독성 유도후 30분 이내에 캡슐에 담긴 동일 양의 유니티올을 투여하였다. In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EG1), animals were intoxicated without prevention or treatment (toxicate); Placebo in gelatin capsule formulations were administered to these animals within 1 hour. In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EG2), 1 hour prior to induction of toxicity, animals received 150 mg of unityol per kg of body weight contained in gelatin capsules. In the third experimental group (EG3), animals received the same amount of unityol in capsules within 30 minutes after toxicity induction.

메탄올에 의한 급성 중독증을 유발하기 위해, 랫트에 수용액 1 ml 투여량으로 메탄올을 경구로 단일 투여하였다. To induce acute poisoning with methanol,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methanol in a 1 ml dose of aqueous solution.

상기 동물들에 대한 실험 결과는 독성유도된 랫트(EG1)의 혈장 중 지질 과산화(lipid peroxidation) 최종 산물, TBA-양성 화합물의 농도는 증가되는 방향으로, 유니티올 적용을 받은 동시실험군(concurrent group)(EG2, EG3)과 유의성있게(reliably) 상이한 값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주요한 내재성 항산화제- 비타민 E, A, SH-기의 함량은 EG1 랫트에서 유의성있게 감소되었다. 3군의 동물 모두에 대한 범위 그래프의 비교는 메탄올과 위약만을 투여받은 동물에서 비타민 E 수준의 급격한 감소가 일어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메탄올과 함께 유니티올을 투여받은 동물들은 대조군에서의 값 수준에서 비타민 E의 평균 값을 유지했다. 다른 내재성 항산화제의 변화에 대해 동일한 패턴이 관찰되었다:비타민 A 및 SH-기.Experimental results for these animal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lipid peroxidation end products, TBA-positive compounds in plasma of toxic rats (EG1) was increased, and the concomitant group receiving unityol was applied. It has been shown to have a value that is reliably different from (EG2, EG3). The contents of major endogenous antioxidants-vitamin E, A, SH- group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EG1 rats. Comparison of the range graphs for all three groups of animals showed that a sharp reduction in vitamin E levels occurred in animals receiving only methanol and placebo. Animals receiving unityol with methanol maintained the average value of vitamin E at the value level in the control group. The same pattern was observed for changes in other endogenous antioxidants: vitamin A and SH-groups.

손상된 간 세포에 대한 효소-마커(AlAT, AsAT)의 활성은 유니티올을 투여받은 군에서보다 EG1에서 유의성있게 더 높은 것으로 입증되었다. EG2와 EG3의 생화학적 지표의 비교는 예방책으로서 유니티올을 투여받은 EG2 동물들이 훨씬 더 우수하게 독성유도에서 생존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또한 동물, 그의 거동 및 반 응의 관찰에서도 확인되었다. The activity of enzyme-markers (AlAT, AsAT) on injured liver cells prov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EG1 than in the group receiving unityol. Comparison of the biochemical markers of EG2 and EG3 showed that EG2 animals that received Unitiol as a prophylaxis survived far better in toxicity. This was also confirmed in the observation of the animal, its behavior and reaction.

독성 유도 12일 후에 생물학 윤리 지침에 따라 참수된(decapitate) 동물의 조직을 조사한 결과는 EG1 동물의 조직에서 가장 큰 손상이 일어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폐 조직에서, 국소 침윤(focal infiltration), 폐포벽 비후화(alveolar partition thickening) 및 폐기종 부위가 명확하게 관찰되었다. 심근에서, 심장내막 혈관의 심각한 충혈, 개별 섬유의 분절화(fragmentation)가 관찰되었다. 간에서, 간 세포의 과립 및 비말 이영양증(granular and drop dystrophy), 중심 정맥의 심각한 충혈(drastic hyperemia of central vein)이 관찰되었고, 이환 세포들(bicyclic cell), 확산된 빔 구조(diffused beam structure)가 있었다. 신장이 가장 적게 변화에 의해 영향받았고, 일부 혈관의 충혈 및 뇌 층(brain layer)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Twelve days after toxicity induction, the tissues of decapitate animals following the biological ethical guidelines showed that the greatest damage occurred in the tissues of EG1 animals. In lung tissue, focal infiltration, alveolar partition thickening and emphysema sites were clearly observed. In the myocardium, severe hyperemia of endocardial vessels, fragmentation of individual fibers was observed. In the liver, granular and drop dystrophy of liver cells, drastic hyperemia of central vein were observed, bicyclic cells, diffuse beam structure There was. The kidneys were least affected by the change, with some changes in the blood vessels and brain layers of some blood vessels.

EG3 동물에서, 조직에서 유사한 변화가 관찰되었으나, 이 변화들은 덜 현저했다: 간은 보다 온전했고, 심근 세포의 이영양성 변화는 덜 두드러졌다; 또한, 폐에서 폐기종 부위는 없었다. 조직에서 가장 큰 변화는 예방책으로 유니티올을 투여받은 EG2 동물에서 확인되었다. 중심 정맥 충혈 하의 간에서, 과립 이영양증은 관찰되었으나, 간 세포는 보다 온전했다. 폐에서 국소 침습이 있었다. 심근 조직에서 근육세포 쇠약(wearing)이 주목되었다. In EG3 animals, similar changes were observed in tissues, but these changes were less pronounced: the liver was more intact and the ditrophic changes in cardiomyocytes were less pronounced; In addition, there was no site of emphysema in the lung. The largest change in tissue was identified in EG2 animals receiving Unityol as a preventive measure. In the liver under central venous hyperemia, granulotrophy was observed, but liver cells were more intact. There was local invasion in the lungs. Muscle cell wearing has been noted in myocardial tissue.

본 실험에서, 조직학적 연구의 결과는 비시날 디티올이 메탄올에 의한 급성 중독증에 대해 치료 및 예방 특성을 보인다는 효과에 대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게 했다. In this experiment, the results of histological studies enabled us to derive the effect that bisinal dithiol has therapeutic and prophylactic properties for acute intoxication with methanol.

실시예 4. 실험은 150-250 g의 최초 체중을 갖는 Wister-100 계통의 수컷 랫트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동물들을 인공 조명(1일 12시간)의 조건 하에 유지시키고 표준 조합 사료 및 물에 대해 자유롭게 접근하게 하였다. Example 4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male rats of the Wister-100 lineage having an initial weight of 150-250 g. Animals were kept under conditions of artificial illumination (12 hours per day) and allowed free access to standard combination feed and water.

동물들을 4개의 군(3개의 실험군 및 1개의 대조군)으로 분리하였다. 각 군에서, 실험의 개시 전에, 하기의 생화학적 지표를 측정하였다: 생화학적 혈액 지표:트리글리세리드, 간 효소: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AlAT), 또는 혈청 글루타믹 피루브산 트랜스아미나아제(SGPT), 및 퍼옥시다아제 과정 강도의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AsAT) 지표- (티오바르비투르산에 의한 테스트에 의해) TBA-양성 산물,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개체의 항산화 시스템의 지표: 요산염, 비타민 E, A;SH-기. Animals were separated into four groups (three experimental groups and one control group). In each group, the following biochemical indicators were measured before the start of the experiment: biochemical blood indicators: triglycerides, liver enzymes: alanine aminotransferase (AlAT), or serum 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 (SGPT),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AT) indicators of peroxidase process strength—by test by thiobarbituric acid—TBA-positive products, alkaline phosphatase, indicators of the antioxidant system of the individual: urate, vitamin E , A; SH-group.

제1 실험군(EG1)에서, 동물들에게 예방이나 치료 없이 독성을 유도하였다; 1시간 내에 젤라틴 캡슐 제형의 위약을 이 동물들에게 투여하였다. 제2 실험군(EG2)에서, 독성 유도 1시간 전에, 동물들에게 젤라틴 캡슐에 담긴 체중 1 kg당 150 mg의 유니티올을 투여하였다. 제3 실험군(EG3)에서, 동물들에게 독성 유도후 30분 이내에 캡슐에 담긴 동일 양의 유니티올을 투여하였다. In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EG1), animals were induced to toxicity without prevention or treatment; Placebo in gelatin capsule formulations were administered to these animals within 1 hour. In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EG2), 1 hour prior to induction of toxicity, animals received 150 mg of unityol per kg of body weight contained in gelatin capsules. In the third experimental group (EG3), animals received the same amount of unityol in capsules within 30 minutes after toxicity induction.

에틸렌 글리콜에 의한 급성 중독증을 유발하기 위해, 랫트에 수용액 1 ml 투여량으로 에틸렌 글리콜을 경구로 단일 투여하였다. To induce acute intoxication with ethylene glycol,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single doses of ethylene glycol in 1 ml doses of aqueous solution.

상기 동물들에 대한 실험 결과는 독성유도된 랫트(EG1)의 혈장 중 지질 과산화 최종 산물, TBA-양성 화합물의 농도는 증가되는 방향으로, 유니티올 적용을 받은 실험군(EG2, EG3)에 대해 수득된 동일실험의 결과와 신뢰성있게 상이한 값을 갖 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주요한 내재성 항산화제- 비타민 E, A, SH-기의 함량은 EG1 랫트에서 유의성있게 감소되었다. 3군의 동물 모두에 대한 범위 그래프의 비교는 에틸렌 글리콜과 위약만을 투여받은 동물에서 비타민 E 수준의 급격한 감소가 일어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에틸렌 글리콜과 함께 유니티올을 투여받은 동물들은 대조군에서의 값 수준에서 비타민 E의 평균 값을 유지했다. 다른 내재성 항산화제의 변화에 대해 동일한 패턴이 관찰되었다:비타민 A 및 SH-기. EG1 동물에서 알카리 포스파타아제 수준이 증가되었다.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animals were obtain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EG2, EG3) subjected to unityol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lipid peroxidation end product, TBA-positive compound in plasma of toxic rats (EG1). It was shown that the result was reliably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the same experiment. The contents of major endogenous antioxidants-vitamin E, A, SH- group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EG1 rats. Comparison of range graphs for all three groups of animals showed a sharp decrease in vitamin E levels in animals receiving only ethylene glycol and placebo. Animals receiving unityol with ethylene glycol maintained the average value of vitamin E at the value level in the control group. The same pattern was observed for changes in other endogenous antioxidants: vitamin A and SH-groups. Alkali phosphatase levels were increased in EG1 animals.

손상된 간 세포에 대한 효소-마커(AlAT, AsAT)의 활성은 유니티올을 투여받은 군에서보다 EG1에서 유의성있게 더 높은 것으로 입증되었다. EG2와 EG3의 생화학적 지표의 비교는 예방책으로서 유니티올을 투여받은 EG2 동물들이 훨씬 더 우수하게 독성유도에서 생존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대조군 동물에서, 상기 지표들은 안정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The activity of enzyme-markers (AlAT, AsAT) on injured liver cells prov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EG1 than in the group receiving unityol. Comparison of the biochemical markers of EG2 and EG3 showed that EG2 animals that received Unitiol as a prophylaxis survived far better in toxicity. In control animals, the indicators proved stable.

독성 유도 12일 후에 생물학 윤리 지침에 따라 참수된 동물의 조직을 조사한 결과는 EG1 동물의 조직에서 가장 큰 손상이 일어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폐 조직에서, 국소 침윤, 폐포벽 비후화 및 별개의 폐기종 부위들이 명확하게 관찰되었다. 심근에서, 심장내막 혈관의 심각한 충혈, 및 이영양성 변화(dystrophic change)가 관찰되었다. 간에서, 간 세포의 과립 및 비말 이영양증(granualr and drop dystrophy), 중심 정맥 충혈이 관찰되었으나, 크게 확산된 빔 구조물(largely diffused beam structure)은 관찰되지 않았다. 신장, 소장 및 췌장 샘에서는 가시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Twelve days after toxicity induction, the examination of the tissues of beheaded animals according to the biological ethical guidelines showed that the largest damage occurred in the tissues of EG1 animals. In lung tissue, local infiltration, alveolar wall thickening and distinct emphysema sites were clearly observed. In myocardium, severe hyperemia of endocardial vessels, and dystrophic changes have been observed. In the liver, granular and drop dystrophy of liver cells, central venous hyperemia were observed, but no largely diffused beam structure was observed. No visible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kidney, small intestine and pancreatic glands.

EG3 동물에서, 조직에서 유사한 변화가 관찰되었으나, 이 변화들은 EG1 군에 비해 덜 명확했다: 간은 보다 온전한 상태로 유지되었고, 빔 구조가 보존되었다; 심근세포에서 이영양성 변화는 덜 두드러졌다;개별적인 근육세포 비대가 관찰되었으나, 폐에서 폐기종 부위는 없었고, 폐포벽은 비후화되었다. 조직에서 가장 작은 변화들은 예방책으로 유니티올을 투여받은 EG2 동물에서 기록되었다. 중심 정맥 충혈 하의 간에서, 과립 이영양증도 관찰되었으나, 간 세포는 보다 온전했다. 폐에서 국소 침습이 있었다. 심근 조직에서 근육세포 쇠약이 주목되었다. In EG3 animals, similar changes were observed in tissues, but these changes were less pronounced than in the EG1 group: the liver remained more intact and the beam structure was preserved; Dystrophic changes were less pronounced in cardiomyocytes; individual myocyte hypertrophy was observed, but there was no site of emphysema in the lungs, and the alveolar wall was thickened. The smallest changes in tissues were recorded in EG2 animals receiving Unityol as a prophylactic. In the liver under central venous hyperemia, granulotrophy was also observed, but liver cells were more intact. There was local invasion in the lungs. Muscle cell breakdown has been noted in myocardial tissue.

이 동물 조직의 실험에서 조직학적 연구의 결과는 비시날 디티올이 에틸렌 글리콜에 의한 급성 중독에 대해 명백한 치료 및 예방적 특성을 보인다는 효과에 대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게 하였다. The results of histological studies in experiments with animal tissues have led to conclusions about the effect that bisnal dithiol has obvious therapeutic and prophylactic properties for acute intoxication with ethylene glycol.

Claims (25)

알코올-함유 액체 및/또는 알코올 대용제(alcohol surrogate)의 하나 이상의 독성 성분에 의해 유발되는 중독(intoxication)의 치료를 위한, 하기 일반식 (1)을 가지며, Has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1) for the treatment of intoxication caused by one or more toxic components of the alcohol-containing liquid and / or alcohol surrogate, R1(CH2)nCH(SH)CH(SH)(CH2)mR2 (1)R 1 (CH 2 ) n CH (SH) CH (SH) (CH 2 ) m R 2 (1) 상기에서, R1과 R2가 독립적으로 라디칼 (-H), (-OM'), (-COOM'), (-SO3M'), (-O-CH2-SO3M'), (-PO3M'2), (-PO2SM'2), (-PO3M"), (-PO2SM")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상기에서 기호 M'은 수소 또는 알칼리 금속 이온을 나타내고, 기호 M"은 알칼리 토금속 이온을 나타내며, m과 n은 독립적으로 0 내지 5의 정수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하나 이상의 비시날 디티오글리콜(vicinal dithioglycol)의 용도. In the above, R 1 and R 2 are independently a radical (-H), (-OM '), (-COOM'), (-SO 3 M '), (-O-CH 2 -SO 3 M'), (-PO 3 M ' 2 ), (-PO 2 SM' 2 ), (-PO 3 M "), (-PO 2 SM"), wherein the symbol M 'is hydrogen or an alkali metal ion And the symbol M " represents an alkaline earth metal ion, and m and n are independently selected from integers from 0 to 5. The use of at least one vicinal dithioglyc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일반식 (1)의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은 장관으로(enterally) 및/또는 문맥내 주입 또는 경제대 주입(transumblical infusion)에 의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Us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one bisinal dithioglycol of formula (1) is administered enterally and / or by intra-portal or transumblical inf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일반식 (1)의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은 알코올 함유 액체 및/또는 알코올 대용제의 하나 이상의 독성 성분에 의해 유발되는 중독의 치료시, 특정한 해독제(antidote)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bisinal dithioglycol of formula (1) is treated with a specific antidote in the treatment of intoxication caused by one or more toxic components of the alcohol containing liquid and / or alcohol substitute. Use, characterized in that us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일반식 (1)의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은 장관으로 및/또는 문맥내 주입 또는 경제대 주입에 의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4. Use according to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one bisinal dithioglycol of formula (1) is administered by intestinal and / or by intra-portal infusion or by inflation.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독 독성 역학 정정(toxicodynamic correction)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효과의 달성을 보장하고: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ich ensures the achievement of one or more effects associated with toxicodynamic correc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mprising: -실질 기관의 기능 회복;Recovery of function of parenchymal organs; -신경전달물질 시스템의 기능 회복;Restore function of the neurotransmitter system;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 기능의 회복;Restoration of central nervous system (CNS) function; -세포의 에너지 생성(energetic) 기능의 회복;Restoration of the energy energetic function of the cell; 및/또는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독 독성 동태 정정(toxicokinetic correcction)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효과의 달성을 보장하는 것인 용도:And / or to ensure the achievement of one or more effects associated with toxicokinetic correcc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독성물(toxicant)의 화학적 결합;Chemical bonding of toxicants; -독성물과 독성 수용체의 결합 방지;Prevention of binding of toxins and toxic receptors; -개체로부터 독성물 및/또는 그의 독성 대사산물의 분비 가속화;-Accelerating the secretion of toxic and / or toxic metabolites thereof from the individual; -독성물이 차지하고 있는 기관 및 조직(뇌, 폐, 등)으로부터 독성물의 배출 가속화;Accelerating the release of toxins from organs and tissues (brain, lungs, etc.) occupied by the toxin; -원형의 독성물(native toxicant)의 독성유도(toxication) 방지;Prevention of toxicity of native toxicants; -독성물 또는 그의 대사산물과 본 발명에 따른 작용제의 활성 물질의 반응 산물의 수 용해도(water solubility) 증가;Increased water solubility of the reaction product of the toxic or metabolite thereof and the active substance of the ag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대용 알코올의 독성물의 존재에 의해 유발된, 에탄올 독성의 감소;Reduction in ethanol toxicity, caused by the presence of toxins of substitute alcohols; -독성물 배출의 제고;-Increase the emission of toxic substances; -미토콘드리아의 호흡 사슬 기능에 대한 독성 영향의 예방 또는 경감.Prevention or reduction of toxic effects on mitochondrial respiratory chain function. 알코올 함유 액체 및/또는 알코올 대용제의 하나 이상의 독성 성분에 의해 유발되는 중독의 예방을 위한, 제1항의 하나 이상의 일반식 (1)의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의 용도. Use of one or more bisinal dithioglycols of the general formula (1) of claim 1 for the prevention of poisoning caused by one or more toxic components of an alcohol containing liquid and / or alcohol substitu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항의 하나 이상의 일반식 (1)의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이 장관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Use according to claim 6,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bisinal dithioglycol of formula (1) of claim 1 is administered to the intestin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항의 하나 이상의 일반식 (1)의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이 상기 알코올 함유 액체 및/또는 알코올 대용제의 하나 이상의 독성 성분에 의해 유발되는 중독의 예방을 위한 특정한 해독제로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7. A specific antidote for the prevention of poisoning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bisinal dithioglycol of formula (1) of claim 1 is caused by one or more toxic components of the alcohol containing liquid and / or alcohol substitute. Use, characterized in that applied a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항의 하나 이상의 일반식 (1)의 비시날 디티오글리 콜이 장관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Use according to claim 8,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bisinal dithioglycol of formula (1) of claim 1 is administered to the intestine.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독 발현의 위험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효과의 달성을 보장하는 것인 용도:Us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to ensure attainment of at least one effect associated with the risk of intoxication express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mprising: -개체로의 잠재적 진입 후 독성물에 의해 유발된 급성 중독 또는 아급성 중독의 발생 또는 진행의 방지;Prevention of the occurrence or progression of acute or subacute intoxication caused by toxic substances after potential entry into the subject; -독성 투여량 미만의 투여량의 독성물, 또는 알코올 대용제를 갖는 알코올 함유 액체의 반복적인 또는 정기적 이용시 아만성(subchronic) 또는 만성 중독의 발생 방지 또는 그 진행 속도의 감소;Preventing the occurrence of or decreasing the rate of progression of subchronic or chronic poisoning upon repeated or regular use of toxic substances at doses below the toxic dose, or alcohol containing liquids with alcohol substitutes; -독성물의 가능한 이용 하에 중독 중증도의 감소;-Reduction of the severity of intoxication under possible use of toxicants; -농도 독성의 역치 수준(threshold level)의 증가;An increase in the threshold level of concentration toxicity; -농도 인자에 대한 영향에 의한 농도 독성의 감소;Reduction in concentration toxicity due to effects on concentration factors; -농도 인자에 대한 영향에 의한 뇌에서의 독성물 양의 감소;Reduction in the amount of toxins in the brain due to effects on concentration factors; -독성물 노출의 감소(시간 인자);Reduction in toxic exposure (time factor); -독성물에 대한 개체 감수성(susceptibility)의 감소;Reduction in susceptibility to toxicants; -병전 손상(premorbid damages) 하에 간 및 신장 해독 기능의 강화(상황적 독성(situational toxicity)의 감소); 및-Enhancement of liver and kidney detoxification function (pre-reduction of situational toxicity) under premorbid damages; And -내독소 쇼크 발병의 발생 위험 및 중증도의 감소.Reduction in the risk and severity of the development of endotoxin shock. 제1항의 하나 이상의 일반식 (1)의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의 장관 투여를 포함 하는, 알코올 함유 액체 및/또는 알코올 대용제의 하나 이상의 독성 성분에 의해 유발되는 중독을 예방하는 방법.A method of preventing intoxication caused by one or more toxic components of an alcohol-containing liquid and / or an alcohol substitute, comprising enteral administration of bisinal dithioglycol of formula (1) of claim 1. 제1항의 하나 이상의 일반식 (1)의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의 장관 투여를 포함하는, 알코올 함유 액체 및/또는 알코올 대용제의 하나 이상의 독성 성분에 의해 유발되는 중독의 약물 치료(medication treatment) 방법.A method of drug treatment of intoxication caused by one or more toxic components of an alcohol-containing liquid and / or an alcohol substitute, comprising enteral administration of bisinal dithioglycol of formula (1) of claim 1 . 제1항의 하나 이상의 일반식 (1)의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의 장관 및 비경구 투여를 포함하는, 알코올 함유 액체 및/또는 알코올 대용제의 하나 이상의 독성 성분에 의해 유발되는 중독의 약물 치료 방법.A method of drug treatment of intoxication caused by one or more toxic components of an alcohol-containing liquid and / or alcohol substitute, comprising enteral and parenteral administration of bisinal dithioglycol of formula (1) of claim 1. 제1항의 하나 이상의 일반식 (1)의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의 비경구 투여를 포함하는, 알코올 함유 액체 및/또는 알코올 대용제의 하나 이상의 독성 성분에 의해 유발되는 중독의 약물 치료 방법.A method of drug treatment of intoxication caused by one or more toxic components of an alcohol containing liquid and / or alcohol substitute, comprising parenteral administration of bisinal dithioglycol of formula (1) of claim 1. 제13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의 하나 이상의 일반식 (1)의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의 문맥 정맥 및/또는 제대 정맥으로의 투여를 포함하는, 즉, 문맥내(intraportal) 주입 또는 경제대(transumbilical) 주입을 포함하는, 중독의 약물 치료 방법.15.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3 and 14, comprising administering one or more of the bisinal dithioglycols of formula (1) to the portal vein and / or the umbilical vein, i. E. A method of drug treatment of intoxication comprising intraportal injection or transumbilical injection. 제11항,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관 투여는 경구 투여 제형의 적용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방법. 14.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1, 12 and 13, wherein enteral administration is performed by application of an oral dosage form.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관 투여는 프로브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intestinal administration is performed by a probe.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해독(disintoxication) 수단의 복합, 즉, 독성 동태 정정(toxicokinetic correction) 및/또는 독성 역학 정정(toxicodynamic correction)에 의해 더 수행되는 것인 약물 치료 방법. 1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7, wherein a combination of disintoxication means known in the art, ie toxicokinetic correction and / or toxicodynamic correction, The method of drug treatment further performed by.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알코올 함유 액체 및/또는 알코올 대용제의 하나 이상의 독성 성분에 의해 유발되는 중독의 예방용 약제(medication agent)로서, 상기 약제은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으로 제1항의 일반식 (1)의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A pharmaceutical agent for the prevention of poisoning caused by one or more toxic components of an alcohol-containing liquid and / or an alcoholic substitute, comprising one or more active ingredients, wherein the medicament comprises one or more active ingredients A medicament comprising bisinal dithioglycol of 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20. A medicament according to claim 19, wherein said medicament is prepared in a dosage form suitable for oral administration.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투여 제형 또는 비-투여 제형(non-dosage form)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21. A medicament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said medicament is prepared in a dosage form or a non-dosage form.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알코올 함유 액체 및/또는 알코올 대용제의 하나 이상의 독성 성분에 의해 유발되는 중독의 약물 치료용 약제로서, 상기 약제은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으로 제1항의 일반식 (1)의 비시날 디티오글리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A pharmaceutical agent for the treatment of intoxication caused by one or more toxic components of an alcohol-containing liquid and / or an alcoholic substitute, comprising one or more active ingredients, wherein the medicament comprises one or more active ingredients of formula (1) A medicament comprising bisinal dithioglycol.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23. A medicament according to claim 22, wherein said medicament is prepared in a dosage form suitable for oral administration. 제22항 및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고체 약물의 제형 또는 액체 약물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24. A medicame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2 and 23, wherein said medicament is prepared in the form of a solid drug or in the form of a liquid drug. 제19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타민, 비타민 전구체, 비타민 유도체, 유기산, 유기산 유도체, 지질, 생리학적 활성 펩티드, 아미노산, 아미노산 유도체, 효소, 효소 유도체, 효소 전구체, 조효소(coenzyme), 조효소 유도체, 조효소 전구체, 탄수화물, 미네랄 물질, 금속 이온의 원천(source), 단백질,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인 약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9 to 24, wherein the vitamin, vitamin precursor, vitamin derivative, organic acid, organic acid derivative, lipid, physiologically active peptide, amino acid, amino acid derivative, enzyme, enzyme derivative, enzyme precursor, coenzyme ), A coenzyme derivative, coenzyme precursor, carbohydrates, minerals, sources of metal ions, proteins, and mixtures thereof.
KR1020097012698A 2006-11-21 2007-11-19 Agent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toxication by alcohol-containing liquids and alcohol substitutes KR2009008143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06140889 2006-11-21
RU2006140889/14A RU2006140889A (en) 2006-11-21 2006-11-21 MEANS AND METHO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OISONING BY ALCOHOL-CONTAINING LIQUIDS AND ALCOHOL SURROGAT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434A true KR20090081434A (en) 2009-07-28

Family

ID=39429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698A KR20090081434A (en) 2006-11-21 2007-11-19 Agent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toxication by alcohol-containing liquids and alcohol substitutes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10510307A (en)
KR (1) KR20090081434A (en)
CN (1) CN101594856B (en)
EA (1) EA018359B1 (en)
RU (1) RU2006140889A (en)
WO (1) WO200806309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27610C2 (en) * 2015-10-15 2017-08-0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РОСБИО" Amino acids composition for methanol poisoning prevention and treat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54997C1 (en) * 1999-03-12 2000-08-27 Чернов Виктор Николаевич Method of treating generalized peritonitis
RU2157647C1 (en) * 1999-12-29 2000-10-20 Зенович Сергей Михайлович Food additive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biologically-active food additive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foodstuff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RU2423117C2 (en) * 2003-07-02 2011-07-10 Сергей Михайлович Зенович Medication for reducing rate of progressing, prevention of development, prevention of onset of pathological processes induced by intake of ethanol and/or substances possessing addictive potent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0900702A1 (en) 2009-12-30
JP2010510307A (en) 2010-04-02
CN101594856A (en) 2009-12-02
WO2008063099A1 (en) 2008-05-29
RU2006140889A (en) 2008-05-27
EA018359B1 (en) 2013-07-30
CN101594856B (en)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rnandes et al. Influence of rutin treatment on biochemical alterations in experimental diabetes
Mansour et al. Silymarin modulates cisplatin-induced oxidative stress and hepatotoxicity in rats
AU663542B2 (en) Active oxygen scavenger
Cankayali et al. The effects of N-acetylcysteine on oxidative stress in organophosphate poisoning model
TWI359667B (en)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having a healt
KR20090081434A (en) Agent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toxication by alcohol-containing liquids and alcohol substitutes
Rakshit et al. The pharmacological activity of garlic (Allium sativum) in Parkinson’s disease: from molecular mechanisms to the therapeutic potential
ITRM20000387A1 (en) FOOD SUPPLEMENT USEFUL TO PREVENT HEPATIC AND BILIARY DYSFUNCTIONS INCLUDING AN ALCANOIL L-CARNITINE.
JPWO2006104153A1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antioxidant activity in blood
RU2343911C2 (en) Intensifying of alcohol metabolism
EP2517701B1 (en) Vicinal dithioglycol for use in preventing pathological processes induced by alcohol consumption
RU2329056C1 (en) Hepatoprotector
US20220202766A1 (en) Central nervous system health supplement
Majid et al. Effect of Isosorbide Dinitrate in Lipid Profile and Oxidant-Antioxidant Markers of Hypercholesterolemia Female Rats
KR20220123272A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cognitive impairment
Hasan Unraveling the Anti-Inflammatory and Cardioprotective Mechanism of Prenylated Stilbenoids from Peanut Hairy Root Cultures in vitro and in vivo
US2021010663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annabinoid
KR20040099936A (en) Antioxidant composition comprising quercetin and vitamin C and functional food containing the same
Dorovskikh et al. Effectiveness of remaxol in the correction of lipid peroxidation processes induced by the introduction of carbon tetrachloride
EP4114425A1 (en) Compositions derived from salvia hispanica seeds
RU2177330C1 (en) Agent eliciting hepatoprotective effect
EA015508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stimulating biosynthesis of s-adenosylmethionine and peroral drug
KR20060094875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oenzyme q10 for alleviating alcohol intoxication after drinking, method for administering the same
EA019268B1 (en) Combined preparation manifesting hepatoprotective 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