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748A -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금형유닛 및 그공법 - Google Patents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금형유닛 및 그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748A
KR20090079748A KR1020080005952A KR20080005952A KR20090079748A KR 20090079748 A KR20090079748 A KR 20090079748A KR 1020080005952 A KR1020080005952 A KR 1020080005952A KR 20080005952 A KR20080005952 A KR 20080005952A KR 20090079748 A KR20090079748 A KR 20090079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lds
support plate
cavity
pla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일광
Original Assignee
오일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일광 filed Critical 오일광
Priority to KR1020080005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9748A/ko
Publication of KR20090079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7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8/00Pressure casting; Vacuum casting
    • B22D18/02Pressure casting making use of mechanical pressure devices, e.g. cast-fo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heavy work, e.g. ingots, slabs, blooms, or billets, in which the cross-sectional form is unimportant ; Rolling combined with forging or pressing
    • B21B1/024Forging or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02Hot chamber machines, i.e. with heated press chamber in which metal is melted
    • B22D17/04Plunge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6Mechanisms or devices for locking or opening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금형유닛 및 그 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하부 금형의 개폐작동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금형작동부와, 상기 금형작동부의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부 금형을 상,하 직선운동시키게 되는 상부 플래튼과, 상기 금형작동부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어 하부 금형을 지지하게 되는 하부 플래튼을 구비하고 있는 프레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래튼과 하부 플래튼 각각에는 성형하고자 하는 제품에 따라 상,하부 금형을 교체할 수 있도록 상,하부 금형유닛을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금형유닛은, 상기 상부 플래튼의 저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받침판과, 상기 상부 받침판의 저부 양측에 고정 부착되는 상부 지지블럭과, 상기 양측 상부 지지블럭의 하단에 고정 부착되는 상부 금형받침판과, 상기 금형받침판의 저부에 형성되는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 플래튼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에서부터 상기 상부금형의 내부까지 진입할 수 있도록 상,하로의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상부 플런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하부 금형유닛은, 상기 하부 플래튼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받침판과, 상기 하부 받침판의 상부 양측에 고정 부착되는 하부 지지블럭과, 상기 양측 하부 지지블럭의 상단에 고정 부착되는 하부 금형받침판과, 상기 하부 금형받침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금형과, 상기한 하부 플랜튼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에서부터 상기 하부금형의 내부까지 진입할 수 있도록 상,하로의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하부 플런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프레스, 플래튼, 금형유닛, 캐비티, 플런저, 형체력유지장치

Description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금형유닛 및 그 공법{Multistage press type casting and forging mold unit using press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프레스장치에 적용된 실시예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카트리지타입의 상,하부 금형유닛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상,하부 성형금형에 형성된 제품성형용 캐비티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및 평면도.
도 8a 내지 도 8e 는 본 발명의 상,하부 성형금형의 작동상태도.
도 9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상,하부 금형유닛의 작동상태도.
도 12 및 도 13은 종래 기술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금형작동부 12,13 : 상,하부 플래튼
2,200 : 상부 금형유닛 3,300 : 하부 금형유닛
21,31,210,310 : 상,하부받침판 22,32,220,320 : 상,하부 지지블럭
23,33,230,330 : 상,하부금형받침판 24,34 : 상,하부 금형케이싱
25,35,250,350 : 상,하부 금형 26,36 : 상,하부 슬리브
27,37,270,370 : 상,하부 플런저 28,38,280,380 : 상,하부 플런저팁
29,39 : 상,하부 이젝터핀 301 : 이동용 유압실린더
4a,4b : 상,하부 가압실린더 5a,5b : 이젝트핀
6a,6b : 상,하부 이젝터실린더 7 : 형체력유지장치
71 : 지지대 72 : 형체력유지용 유압실린더
73 : 형체력유지용 쐐기 A : 게이트
B : 캐비티 C : 런너
본 발명은 크랭크식 프레스, 토글링크식 프레스, 유압식 프레스 등과 같이 상,하로 직선운동을 하는 각종 프레스장치를 이용하여 액상상태 또는 반용융상태의 소재를 가압하여 제품을 성형함에 있어 가압플런저의 가압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의 성형압력이 작용되게 하는 새로운 성형방법으로 제품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금형유닛과 공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기존의 각종 프레스장치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프레스장치에 카트리지타입(cartridge type)으로 프레스장치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여 제품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며, 금형의 캐비티는 가압플런저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게이트를 중심으로 하여 사방을 향해 수평적으로 다수 형성하고 또 상기한 게이트와 그 사방에 형성된 각 캐비티들을 잇는 런너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는 구조로서, 프레스장치의 형합작동에 의한 가압작동과 가압플런저의 가압작동으로 금형에 주입된 소재를 단계적이고 연속적으로 가압하여 소재 내부 또는 성형제품의 내부에 수축공이나 기공이 없어지고 밀도가 높고 조직이 치밀하여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제품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주·단조 금형유닛 및 공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캐스팅 제품은 액상의 일루미늄금속 소재를 액상선 온도 이상에서 주조가 이루어직 때문에 응고시간이 길어지고, 또 그에 따른 주조결합이 발생되므로 기계적 성질이 낮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응고시 발생되는 수축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주조공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액상의 금속 소재를 이용하여 제품을 성형하는 기존의 장비 즉, 다이캐스팅 장비 및 스퀴즈캐스팅 장비로서는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제품을 성형하기 곤란하였다.
종래 기술의 다이캐스팅공법은 도 12 및 도 13의 도시와 같은 장비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2의 도시는 기존의 수평식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제품을 성형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수평상으로 형성된 슬리브(100)에 액상의 소재(용탕)를 주입하고 가압플런저팁으로 가압하게 되면 소재는 고정금형(110)과 가동금형(120)에 마련된 런너(130)을 따라 캐비티(140)로 충전되어 제품으로 성형되는데, 상기한 슬리브(100)와 고정 및 가동금형(110)(120)에 마련된 복수의 캐비티(140)을 연결시키는 각 런너(130)들의 길이가 길고 짧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플런저팁(150)의 가압작동으로 각 런너(130)를 통해 캐비티(140)로 충전되는 소재의 이동시간과 가압 력이 각기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도 13의 도시는 기존의 수직식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제품을 성형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 역시 고정금형(110)과 가동금형(120)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캐비티(140)에 소재를 안내하는 각 런너(130)들의 길이가 길고 짧아 소재의 이동시간과 가압력이 각기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때문에 상기한 도 12 및 도 13의 도시와 같은 기존의 다이캐스팅 장치는 슬리브(100)에 주입된 소재가 슬리브(100)에 주입되는 순간부터 각 런너(130)로 이동되는 동안 응고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각 런너(130)들의 길이가 길고 짧기 때문에 각 캐비티(140) 내부로 충전되는 소재의 액상상태가 다르고 또 그로 인해 가압력도 달라지게 되어 각 캐비티(140) 내부에서의 성형압력이 균일하지 못하여 불량품 발생률도 높아질 뿐 아니라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제품을 성형하기 곤란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다이캐스팅 장치 또는 스퀴즈캐스팅 장치는 상기한 도 12 및 도 13의 도시와 같이 수평식이나 수직식 방식으로 금형의 캐비티에 소재를 주입 충진 시키는 가압력이 낮가 때문에 캐비티 내부에서 성형되는 제품의 국부적인 후육부 내부에 수축공이나 기공 등의 결함을 제거하는 것이 어렵다. 그리고 고압의 스퀴즈 캐스팅에서의 가압력은 대략 150MPa까지가 한계였기 때문에 수축공 등의 결함을 제거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곤란하였다.
특히, 상기와 같은 기존의 수평식 및 수직식 다이캐스팅 장치 또는 스퀴즈캐스팅 장치는 상,하 직선운동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크랭크식, 토글링크식, 유압식 프레스장치에는 적용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 나아가 일반 주조용 합금은 물론이고 구조용 합금을 용해한 액상소재 또는 반용융상태의 소재를 금형에 투입하고 성형속도와 성형압력 및 성형시간을 제어하면서 소재를 캐비티에 충전시킨 이후에도 계속 가압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성형제품의 내부에 수축공이나 기포공 등의 주조 결함이 완전 제거되고 조직이 치밀하고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주·단조 금형유닛 및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크랭크식 프레스, 토글링크식 프레스, 유압식 프레스 등 각종 프레스장치의 구조를 변경 내지 개선하지 않고도 상기한 각 프레스장치를 그대로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주·단조 금형유닛을 카트리지타입으로 제작하여 각종 프레스장치에 범용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을 성형하는 캐비티는 액상소재 또는 반용융상태의 소재가 주입되는 게이트를 기준하여 사방에 수평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한 게이트와 다수의 캐비티 각각을 연결하는 각 런너들을 모두 같은 짧은 길이로 형성되게 하므로서 게이트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였을시 각 캐비티 내부로의 소재충전시간이 단축되고 제품의 성형속도와 성형압력이 향상되어 제품의 생산성 향상과 함께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하부 금형의 개폐작동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금형작동부와, 상기 금형작동부의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부 금형을 상,하 직선운동시키게 되는 상부 플래튼과, 상기 금형작동부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어 하부 금형을 지지하게 되는 하부 플래튼을 구비하고 있는 프레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래튼과 하부 플래튼 각각에는 성형하고자 하는 제품에 따라 상,하부 금형을 교체할 수 있도록 상,하부 금형유닛을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금형유닛은, 상기 상부 플래튼의 저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받침판과, 상기 상부 받침판의 저부 양측에 고정 부착되는 상부 지지블럭과, 상기 양측 상부 지지블럭의 하단에 고정 부착되는 상부 금형받침판과, 상기 금형받침판의 저부에 형성되는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 플래튼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에서부터 상기 상부금형의 내부까지 진입할 수 있도록 상,하로의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상부 플런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하부 금형유닛은, 상기 하부 플래튼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받침판과, 상기 하부 받침판의 상부 양측에 고정 부착되는 하부 지지블럭과, 상기 양측 하부 지지블럭의 상단에 고정 부착되는 하부 금형받침판과, 상기 하부 금형받침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금형과, 상기한 하부 플래튼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에서부터 상기 하부금형의 내부까지 진입할 수 있도록 상,하로의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하부 플런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 금형유닛 각각에는 상,하부 플런저를 상,하 직선운동시키기 위한 상,하부 가압실린더가 상,하부 받침판의 저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 금형유닛 각각은 상,하부 받침판과 상,하부 금형받침판 사이에 상,하부 이젝터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부 이젝터판 각각에는 상,하부 금형에서 성형된 제품을 취출하기 위한 복수개씩의 이젝트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 이젝터판 각각은 상기 상,하부 받침판의 저면과 상면 각각에 장착된 상,하부 이젝트실린더에 의하여 상,하부 금형에서 성형된 제품을 취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금형유닛의 하부 금형받침판 상면 양측에는 상,하부 금형유닛의 형합작동시 상,하부 금형케이싱의 양측에서 상,하부 금형의 형체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형체력유지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체력유지장치는, 형체력유지용 유압실린더와 이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형성되어 상,하부 금형케이싱 각각의 개구단 외주 양측에 형성된 상,하측 요홈에 대하여 동시에 삽탈작동하게 되는 상,하측 돌기가 돌출 형성된 형체력유지용 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 금형은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를 액상소재나 반용 융소재가 주입되는 게이트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 금형의 게이트 주위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 각 캐비티는 상기한 게이트 주위에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다수의 런너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 플런저에는 상,하부 금형의 게이트에 주입된 소재를 실질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상,하부 플런저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 금형유닛에 장착되는 상,하부 금형 각각은 좌,우측으로 분할된 상,하부 분할금형으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한 상부금형은 상부분할금형이 좌,우측으로 일정간격으로 이완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기한 하부금형은 좌,우측으로 분할된 하부분할금형이 좌,우 양측의 이완된 상태에서 이동용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서로 형합 및 형개되는 개폐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금형은 좌,우측으로 분할된 상부분할금형들이 서로 마주하는 내면 각각에 하향을 향해 서로 벌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형체력유지용 내측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금형은 좌,우측으로 분할된 하부분할금형들이 서로 마주하는 내면 각각에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외면 각각에는 상기한 형체력유지용 내측경사면과 같은 경사각도로 형성된 형체력유지용 외측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하부 금형의 캐비티에 소재를 충진하여 제품을 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상기 상,하부 금형의 캐비티는 평면상으로 형성된 게이트를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수평방향을 향해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액상상태 또는 반용융상태의 소재가 상기한 게이트를 통해 주입되어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캐비티를 향해 수평상으로 이동하여 충전되어 성형되도록 하되,
상기 상부금형이 하부금형과의 형합작동시 수반되는 가압력으로 소재를 가압토록 하여 각 캐비티에 소재를 충전시키게 되는 일차적인 가압단계와;
이어서 상,하부 금형에 장착되어 있는 상,하부 플런저가 각 캐비티의 중심에 형성된 게이트에 존재하는 소재를 재차 가압하여 각 캐비티 내부로 충전시키게 되는 이차적인 가압단계;로 이루어져 상기의 일차적인 가압단계에서 각 캐비티에 충전된 소재 내부에 형성되는 수축공이나 기포공이 이차적인 가압단계에 의하여 제거되도록 함과 동시에 치밀한 조직을 갖는 제품을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 금형에 장착되는 상,하부 플런저는 그 하단 및 상단에 장착된 플런저팁의 위치제어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금형의 형합작동에 의한 일차적인 가압작동시 각 캐비티에 충전되는 소재의 성형압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 플런저는 상,하부 금형의 형폐작동에 의한 일차적인 가압작동으로 캐비티에 충전된 소재를 이차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프레스장치에 적용된 실시예들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카트리지타입의 상,하부 금형유닛 작동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상,하부 성형금형에 형성된 제품성형용 캐비티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8a 내지 도 8e 는 본 발명의 상,하부 성형금형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9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상,하부 금형유닛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2 및 3은 상,하부 금형유닛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상,하부 금형유닛(2)(3)은 상기의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식 프레스(1a), 토글링크식 프레스(1b), 유압식 프레스(1c) 등과 같이 상,하 직선운동으로 가압작동을 하는 각종 프레스장치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각 프레스(1a,1b,1c) 각각은 금형작동부(11)의 상측에는 동력원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하여 설정된 스트로크의 범위내에서 상,하로 직선운동을 반복하도록 설치된 상부 플래튼(12)과 상기한 금형작동부(11)의 하측에는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 하부 플래튼(13)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 플래튼(12)은 각 프레스의 동력전달구조에 따라 각기 다른 구조로 승강작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크랭크식 프레스(1a)의 경우는 동력원(전동모터)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크랭크와 이에 편심상으로 연결된 크랭크로드가 상부 플래튼(12)을 승강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토글링크식 프레스(1b)의 경우는 동력원(유압실린더)으로부터 승강작동을 하는 작동링크가 상부 플래튼(12)을 승강작동 시 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유압식 프레스(1c)의 경우는 동력원(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출몰작동에 의하여 상부 플래튼(12)이 승강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하부 금형에서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를 평면적으로 형성된 게이트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캐비티의 중심에 형성된 게이트에 주입된 액상상태 또는 반용융상태의 소재를 상,하부 금형의 수직적인 형합작동에 의한 일차적인 가압작동으로 게이트 주위에 형성된 다수의 각 캐비티 내부로 균일한 성형압력, 성형속도로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어서 플런저팁의 이차적인 가압작동으로 각 캐비티 내부로 충전된 소재 내부의 수축공이나 기포공을 제거시킴과 동시에 치밀한 조직을 갖는 제품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 프레스장치의 상,하부 플래튼(12)(13) 각각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상,하부 금형유닛을 제공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하부 금형유닛(2)(3)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상부 금형유닛(2)은, 프레스장치의 상부 플래튼(12)의 저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받침판(21), 이 상부 받침판의 저부 양측에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부착된 상부 지지블럭(22), 이 양측 상부 지지블럭의 하단에 고정 부착된 상부 금형받침판(23), 이 상부 금형받침판의 저면에 지그(jig) 등과 같은 치구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상부금형케이싱(24), 이 상부금형케이싱에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가 하향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상부금형(25), 상기 상부 플래튼(12)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14)에서부터 상부 받침판(21)과 상부 금형받침판(23) 및 상부금형케이싱(24)을 관통하여 상부금형(25)의 중심을 형성되어 있는 상부 슬리브(26) 내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하부 금형(25)(35)의 캐비티에 주입된 소재를 하향으로 가압작동을 하게 되는 상부 플런저(27)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플런저의 하단에는 소재를 실질적으로 가압하는 플런저팁(28)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플런저(27)를 승강작동시키기 위한 상부 가압실린더(4a)는 상부 받침판(21)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받침판(21)과 상부 금형받침판(23) 사이에는 상부금형(25)의 캐비티에서 성형된 제품을 취출하기 위한 복수의 이젝트핀(5a)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상부 이젝터판(29)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한 상부 이젝터판(29)은 상부 받침판(21) 저부 양측에 장착되어 있는 상부 이젝터실린더(6a)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되어 그 피스톤로드의 출몰작동에 따라 승강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금형유닛(3)은, 앞에서 설명한 상부 금형유닛(2)과 같은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즉, 프레스장치의 하부 플래튼(13)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받침판(31), 이의 상면 양측에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부착된 하부 지지블럭(32), 이의 양측 상단에 고정 부착된 하부 금형받침판(33), 이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하부금형케이싱(34), 이의 내부에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가 상향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하부금형(35), 상기 하부 플래튼(13)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15)에서부터 하부 받침판(31)과 하부 금형받침판(33) 및 하부금 형케이싱(34)을 관통하여 하부금형(25)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 슬리브(36) 내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하부 금형의 캐비티에 충전되어 있는 소재를 상향으로 가압작동을 하게 되는 하부 플런저(37)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플런저의 하단에도 소재를 가압하기 위한 플런저팁(38)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플런저(37)를 승강작동시키기 위한 하부 가압실린더(4b)는 하부 받침판(3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받침판(31)과 하부 금형받침판(33) 사이에는 하부금형(35)의 캐비티에서 성형된 제품을 취출하기 위한 복수의 이젝트핀(5b)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하부 이젝터판(39)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한 하부 이젝터판(39)은 하부 받침판(31) 상면 양측에 장착되어 있는 하부 이젝터실린더(6b)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되어 의하여 승강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 금형유닛(3)에는 상,하부 금형(25)(35)의 형폐작동시 형체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형체력유지장치(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형체력유지장치(7)는 하부 금형유닛(3)의 하부 금형받침판(33) 상면 양측에 고정 부착된 지지대(71)와, 양측 지지대에 각각 설치된 형체력유지용 유압실린더(72)와, 이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부착된 형체력유지용 쐐기(7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형체력유지용 쐐기(73)에 형성된 상,하측 돌기(73a)(73b)가 상,하부 금형케이싱(24)(34) 각각의 개구단 외주 양측에 형성된 상,하측 요홈(24a)(34a) 각각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상,하측 돌기(73a)(73b)가 상,하측 요홈(24a)(34a)으로의 삽입작동시 서로 접촉하게 되는 접촉 면은 경사면(부호 생략 : 도면 참조)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하부 금형(25)(35)에 형체력을 작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의 상,하부 지지블럭(22)(32)은 상,하부 가압실린더(4a)(4b), 상,하부 이젝터실린더(6a)(6b)들의 설치공간 및 상,하부 이젝터판(29)(39)의 작동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상,하부 금형(25)(35)은 도 7의 도시와 같이 액상상태 또는 반용융상태의 소재가 주입되는 게이트(A)가 중심에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A)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캐비티(B)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각 캐비티(B)들 역시 수평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A)와 각 캐비티(B)를 연결하는 각 런너(C)들은 모두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되, 게이트(A)에 주입된 소재를 캐비티(B) 각각에 짧은 시간에 균일한 압력으로 충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최대한 짧은 길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액상상태의 소재로 제품을 성형하는데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프레스(1a,1b,1c)의 상부 플래튼(12)이 상승이동되어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부 금형유닛(2)이 하부 금형유닛(3)에서 일정 높이로 상승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하부금형(35)의 캐비티(B)는 노출된 상태가 되므로서 액상상태의 소재를 각 캐비티의 중심에 형성된 게이트(A)에 주입시키게 되는데, 이때 주입되는 소재는 하부금형(35)의 캐비티에서 넘치지 않도록 하면서 각 캐비티(B)에 충분한 량으로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부 플런저(37)를 하강작동시켜 하부 플런저팁(38)이 하부 슬리브(36)에서 하향 위치로 조정하므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재를 가압성형시 각 캐비티(B)에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금형(35)의 캐비티에 소재를 충분한 량으로의 주입이 완료되면 프레스의 상부 플래튼(12)을 하강작동시키게 되면 상부 금형유닛(2)이 하강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부 플래튼(12)은 상부 금형유닛(2)의 상부금형(25)을 하부 금형유닛(3)의 하부금형(35)에 형합시킬 수 있는 거리까지만 하강작동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하부금형(35)를 향해 하강작동하여 형합작동하게 되는 상부금형(25)은 하부금형(35)의 캐비티에 주입되어 있는 소재를 일차적으로 가압성형하게 되는데, 이때 상부금형(25)은 하부금형(35)의 각 캐비티(B) 중심에 형성된 게이트(A)의 상방을 가압하게 되므로서 게이트(A)에 존재하는 소재는 상부금형(25)의 일차적인 가압작동에 의해 각 런너(C)를 통해 각 캐비티(B)로 충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부금형(25)이 하강작동하여 하부금형(35)과의 형합작동이 완료되면, 이어서 형체력유지용 유압실린더(72)가 작동하여 형체력유지용 쐐기(73)를 상,하부 금형(25)(35) 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한 형체력유지용 쐐기(73)에 형성된 상,하측 돌기(73a)(73b)가 상,하부 금형의 개구단측에 형성된 상,하측 요홈(24a)(34a)에 삽입되면서 상,하부 금형(25)(35)의 형체력을 유지시키게 되며, 외와 같은 형체력유지용 유압실린더(72)의 작동이 완료되면, 그다음으로 상,하부 플런저(27)(37)들의 선택적인 가압작동으로 형체력이 유지된 상,하부 금형의 게이트(A)에 충전되어 있는 소재를 재차 가압하여 각 캐비티(B)에 이차적으로 충전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이차적인 작동에 의하여 각 캐비티(B)에 충전된 소재의 내부에 존재하게 되는 수축공이나 기포공이 제거됨과 동시에 치밀한 조직으로 성형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도 6 참조)
그리고 도 8a의 도시와 같이 하부금형(35)의 캐비티(B)에 액상소재를 주입시킨 다음 도 8b의 도시와 같이 상부금형(25)을 하강시켜 하부금형(35)과의 합형작동에 의한 일차적인 가압작동을 완료한 후, 이어서 도 8c 내지 도 8e의 도시와 같이 상부 플런저(27)만을 하강작동시켜서 이차적으로 가압작동을 하거나, 하부 플런저(37)만을 상승작동시켜서 이차적인 가압작동을 하거나 또는 상,하부 플런저(27)(37)를 동시에 하강 및 상승작동시켜서 이차적으로 가압하는 작동으로 제품을 성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하부 금형(25)(35)의 캐비티(B)에 충전된 소재를 일차 및 이차적인 다단가압으로 제품의 성형을 완료한 후에는 하부 금형유닛(3)의 하부 플런저(37) 및 하부 이젝트판(39)를 동시에 상승작동시키는 한편, 이와 함께 상부 금형유닛(2)을 상승작동시키게 되면 성형이 완료된 제품은 하부 플런저팁(38)과 하부 이젝트핀(5b)의 상승작동에 의해 하부금형(35)의 캐비티(B)에서 이완되면서 상부금형(25)과 함께 상승이동되며, 이어서 상부금형(25)의 상승작동이 완료되면 상부 플런저(27) 및 상부 이젝터판(29)이 동시에 작동하여 상부 플런저팁(29)과 상부 이젝트핀(5a)가 하강하면서 제품을 상부금형(25)에 이완시키게 되므로서 제품을 제품받이로 취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에서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도 4 내지 도 6 참조)와 같은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같은 명칭을 사용한다.
이 실시예의 상부 금형유닛(200) 역시 기존의 각 프레스(1a,1b,1c)의 상부 플래튼(12)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플래튼(12) 저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받침판(210), 이 상부받침판 저부 양측에 부착되는 상부블럭(220), 양측 상부블럭(220)의 하단에 부착되는 상부 금형받침판(230), 이 상부 금형받침판의 저부 양측으로 분할되어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상부금형(250), 그리고 상부 플래튼(12)의 관통공(14)에서 상부 금형받침판(230)의 중심에 형성된 상부 슬리브(260)를 관통하여 금형의 캐비티에 주입 내지 충전되어 있는 소재를 하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상부 플런저(27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금형유닛(200)의 상부받침판(210) 저부에는 상부 플런저(270)를 승강작동시키기 위한 상부 가압실린더(4a)가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상부 플런저(270) 하단에는 금형의 캐비티 내부에 주입 내지 충전되어 있는 소재를 실질적으로 가압하는 상부 플런저팁(28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하부 금형유닛(300) 역시 각 프레스(1a,1b,1c)의 하부 플래튼(13)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 플래튼(13)의 상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받침판(310), 이 하부받침판(310) 상면 양측에 장착되는 하부블럭(320), 이 양측 하부블럭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금형받침판(330), 이 하부 금형받침판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금형(350), 그리고 상기 하부 플래튼(13)의 관통공(15)에서부터 하부 금형받침판(330) 중심에 형성된 하부 슬리브(360)를 관통하여 금형의 캐비티 내부에 주입 내지 충전되어 있는 소재를 가압하기 위한 하부 플런저(37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하부 플런저(370)는 하부받침판(310) 상면에 형성된 하부 가압실린더(4b)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250)은 좌,우로 분할된 한쌍의 분할금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한쌍의 분할금형들은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완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상부 금형받침판(230) 저부에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금형(350) 역시 좌,우로 분할된 한쌍의 분할금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한쌍의 분할금형들은 하부 금형받침판(330) 상면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하부 금형받침판(330) 양측에 대칭상으로 고정 설치된 이동용 유압실린더(301)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부착되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되는 형폐작동 및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완되는 형개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금형(250)의 양측 분할금형들의 내측면에는 하향을 향해 서로 멀어지는 경사각도로 형성된 형체력유지용 내측경사면(2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금형(350)의 양측 분할금형들의 외측면에는 상향을 향해 서로 만나게 되는 경사각도로 형성된 형체력유지용 외측경사면(3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하부금형(350)의 양측 분할금형들은 서로 마주하는 면에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가 양분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상부 금형유닛(200)의 상부 플런저(270)의 하단 및 하부 금형유닛(300)의 하부 플런저(370)의 상단 각각에는 분할된 하부금형(350)의 합형시 그 내부의 캐비티 상,하에서 하강 및 상승작동으로 캐비티에 충전된 소재를 실질적으 로 가압하여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상,하부 플런저팁(280)(380)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상,하부 금형(250)(350) 각각은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좌,우 양측으로 분할된 한쌍의 금형으로 이루어져 있을 뿐 그 외의 각 구성요소는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제품을 성형하는 상,하부 금형(250)(350)의 작용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9의 도시는 하부 금형유닛(300)의 양측 이동용 유압실린더(301)의 피스톤로드를 출현(전진)작동시켜서 양측으로 분할 형성된 하부금형(350)을 형합시키고 또 하부 플런저팁(380)이 형합된 하부금형(350)의 캐비티에 진입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바,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금형(350)의 상방에서 액상상태 또는 반용융상태의 소재를 주입 충전한다.
이어서 도 10의 도시와 같이 상부 금형유닛(200)이 하강하여 양측 분할금형 각각의 내측면에 형성된 형체력유지용 내측경사면(251)이 하부금형(350)의 양측 분할금형 각각의 외측면에 형성된 형체력유지용 외측경사면(351)을 가압하게 되어 하부금형(350)은 형폐작동이 긴밀하게 이루어짐과 동시 상부금형(250)에 의해 형체력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금형(250)의 하강작동으로 상부 플런저팁(280)이 하부금형(350)의 캐비티에 주입된 소재를 가압하는 일차적인 가압작동 및 상부 플런저(270)의 하강작동으로 상부 플런저팁(280)이 소재를 가압하게 되는 이차적인 가압작동시에도 하부금형(350)은 형폐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제품을 성형하게 되는 것이며, 또 하부금형(350)의 캐비티에 주입된 소재는 상부금형(250)의 하 강작동에 의한 일차적인 가압작동으로 캐비티에 충전된 후 재차 상부 플런저팁(280)의 이차적인 가압작동에 의해 수축공이나 기포공이 제거되고 치밀한 조직으로 성형되므로서 양질의 제품을 성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1의 도시는 하부금형(350)의 캐비티에서 성형이 완료된 제품을 취출시키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이때에는 먼저 상부금형(250)을 상승시킨 다음 양측 이동용 유압실린더(301)의 피스톤로드를 몰입(후진)작동시켜서 하부금형(350)을 분리 이완시키게 되면 성형된 제품은 하부금형(350)에서 탈형된 상태에서 하부 플런저팁(380)에 구속된 상태가 되며, 이어서 하부 플런저(370)를 하강작동시켜서 제품을 하부금형(350)의 바닥측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하부 플런저팁(380)을 제품에서 이완시켜서 취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기계식 프레스장치의 구조를 변경 또는 개선하지 않고 상,하부 플래튼에 탈부착이 가능한 상,하부 금형유닛을 제공하여 일반 주조용 합금을 비롯하여 구조용 합금을 용해한 액상상태 또는 반용융상태의 소재를 사용하여 주조 및 단조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제품을 성형함에 있어서도 상부금형의 수직적인 하강작동으로 소재를 가압하는 일차적인 가압작동으로 금형의 캐비티에 소재를 충전시킨 이후 재차 가압하는 이차적인 가압작동으로 캐비티에 일차적으로 충전된 소재 내부에 수축공이나 기포공이 형성되는 결함을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직이 치밀하고 강도가 우수한 양질의 제품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금형의 캐비티를 소재가 주입되는 게이 트의 사방 주위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하되 상기한 게이트와 각 캐비티를 잇는 런너들을 모두 동일한 짧은 길이로 형성하므로서 소재가 캐비티에 충전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품의 성형속도와 성형압력을 향상시켜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커다란 장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4)

  1. 상,하부 금형의 개폐작동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금형작동부와, 상기 금형작동부의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부 금형을 상,하 직선운동시키게 되는 상부 플래튼과, 상기 금형작동부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어 하부 금형을 지지하게 되는 하부 플래튼을 구비하고 있는 프레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래튼과 하부 플래튼 각각에는 성형하고자 하는 제품에 따라 상,하부 금형을 교체할 수 있도록 상,하부 금형유닛을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금형유닛은, 상기 상부 플래튼의 저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받침판과, 상기 상부 받침판의 저부 양측에 고정 부착되는 상부 지지블럭과, 상기 양측 상부 지지블럭의 하단에 고정 부착되는 상부 금형받침판과, 상기 금형받침판의 저부에 형성되는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 플래튼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에서부터 상기 상부금형의 내부까지 진입할 수 있도록 상,하로의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상부 플런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하부 금형유닛은, 상기 하부 플래튼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받침판과, 상기 하부 받침판의 상부 양측에 고정 부착되는 하부 지지블럭과, 상기 양측 하부 지지블럭의 상단에 고정 부착되는 하부 금형받침판과, 상기 하부 금형받침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금형과, 상기한 하부 플래튼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에서부터 상기 하부금형의 내부까지 진입할 수 있도록 상,하로의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하부 플런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금형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금형유닛 각각에는 상,하부 플런저를 상,하 직선운동시키기 위한 상,하부 가압실린더가 상,하부 받침판의 저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금형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금형유닛 각각은 상,하부 받침판과 상,하부 금형받침판 사이에 상,하부 이젝터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부 이젝터판 각각에는 상,하부 금형에서 성형된 제품을 취출하기 위한 복수개씩의 이젝트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금형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이젝터판 각각은 상기 상,하부 받침판의 저면과 상면 각각에 장착된 상,하부 이젝트실린더에 의하여 상,하부 금형에서 성형된 제품을 취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금형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유닛의 하부 금형받침판 상면 양측에는 상,하부 금형유닛의 형합작동시 상,하부 금형케이싱의 양측에서 상,하부 금형의 형체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형체력유지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금형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형체력유지장치는, 형체력유지용 유압실린더와 이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형성되어 상,하부 금형케이싱 각각의 개구단 외주 양측에 형성된 상,하측 요홈에 대하여 동시에 삽탈작동하게 되는 상,하측 돌기가 돌출 형성된 형체력유지용 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금형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금형은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를 액상소재나 반용융소재가 주입되는 게이트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금형유닛.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금형의 게이트 주위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 각 캐비티는 상 기한 게이트 주위에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다수의 런너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금형유닛.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런저와 하부 플런저 각각에는 하부 금형의 게이트에 주입된 소재를 실질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상부 플런저팁과 하부 플런저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금형유닛.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금형유닛에 장착되는 상,하부 금형 각각은 좌,우측으로 분할된 상,하부 분할금형으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한 상부금형은 상부분할금형이 좌,우측으로 일정간격으로 이완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기한 하부금형은 좌,우측으로 분할된 하부분할금형이 좌,우 양측의 이완된 상태에서 이동용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서로 형합 및 형개되는 개폐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금형유닛.
  11.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은 좌,우측으로 분할된 상부분할금형들이 서로 마주하는 내면 각각에 하향을 향해 서로 벌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형체력유지용 내측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금형은 좌,우측으로 분할된 하부분할금형들이 서로 마 주하는 내면 각각에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외면 각각에는 상기한 형체력유지용 내측경사면과 같은 경사각도로 형성된 형체력유지용 외측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금형유닛.
  12.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상기 상,하부 금형의 캐비티는 평면상으로 형성된 게이트를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수평방향을 향해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액상상태 또는 반용융상태의 소재가 상기한 게이트를 통해 주입되어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캐비티를 향해 수평상으로 이동하여 충전되어 성형되도록 하되,
    상기 상부금형이 하부금형과의 형합작동시 수반되는 가압력으로 소재를 가압토록 하여 각 캐비티에 소재를 충전시키게 되는 일차적인 가압단계와;
    이어서 상,하부 금형에 장착되어 있는 상,하부 플런저가 각 캐비티의 중심에 형성된 게이트에 존재하는 소재를 재차 가압하여 각 캐비티 내부로 충전시키게 되는 이차적인 가압단계;로 이루어져 상기의 일차적인 가압단계에서 각 캐비티에 충전된 소재 내부에 형성되는 수축공이나 기포공이 이차적인 가압단계에 의하여 제거되도록 함과 동시에 치밀한 조직을 갖는 제품을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공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금형에 장착되는 상,하부 플런저는 그 하단 및 상단에 장착된 플런저팁의 위치제어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금형의 형합작동에 의한 일차적인 가압작동시 각 캐비티에 충전되는 소재의 성형압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공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플런저는 상,하부 금형의 형폐작동에 의한 일차적인 가압작동으로 캐비티에 충전된 소재를 이차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공법.
KR1020080005952A 2008-01-17 2008-01-17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금형유닛 및 그공법 KR200900797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952A KR20090079748A (ko) 2008-01-17 2008-01-17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금형유닛 및 그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952A KR20090079748A (ko) 2008-01-17 2008-01-17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금형유닛 및 그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748A true KR20090079748A (ko) 2009-07-22

Family

ID=41290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952A KR20090079748A (ko) 2008-01-17 2008-01-17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금형유닛 및 그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974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2196A (ko) * 2013-09-16 2015-03-25 무베아 카르보 테크 게엠베하 주조 및 성형 공구를 사용하여 금속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CN112517883A (zh) * 2020-12-01 2021-03-19 厦门市鑫五豪工贸有限公司 一种机械加工用压铸机
CN113680991A (zh) * 2021-08-26 2021-11-23 燕山大学 用于真空压铸机的多工位连续压射机构及其压射方法
KR20230059382A (ko)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한밭중공업 수직가압식 용탕단조 금형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2196A (ko) * 2013-09-16 2015-03-25 무베아 카르보 테크 게엠베하 주조 및 성형 공구를 사용하여 금속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CN112517883A (zh) * 2020-12-01 2021-03-19 厦门市鑫五豪工贸有限公司 一种机械加工用压铸机
CN113680991A (zh) * 2021-08-26 2021-11-23 燕山大学 用于真空压铸机的多工位连续压射机构及其压射方法
KR20230059382A (ko)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한밭중공업 수직가압식 용탕단조 금형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489B1 (ko) 다이캐스팅 금형
JPS6012267A (ja) スキ−ズキヤステイングによつて製品を成形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10328348B (zh) 一种新能源汽车电机铝壳体的生产方法
US5429175A (en) Vertical die casting press and method of operation
KR100841549B1 (ko)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금형유닛 및 그공법
KR100841546B1 (ko) 치형제품을 성형하는 주·단조 공법 및 그 금형장치
CN105290331A (zh) 一种先抽芯后顶出的浇注模具结构
KR20090079748A (ko)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주·단조 금형유닛 및 그공법
CN205165746U (zh) 一种先抽芯后顶出的浇注模具结构
EP40917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material
CN218168670U (zh) 一种汽车圆盘类零件的铝压铸成型模
KR100670187B1 (ko) 프레스를 이용한 다단가압식 다이캐스팅 공법 및 금형
CN114367647B (zh) 一种薄壁屏蔽盖压铸模具结构及压铸方法
CN101716669B (zh) 一种通用油压机用多分模面液态模锻装置
CN210587041U (zh) 一种新型高效易维护的造型机
CN104858391B (zh) 一种斜滑块锁住的汽车仪表盘支架压铸模具
JPH03155444A (ja) 竪型鋳造方法および装置
KR100820707B1 (ko) 다이케스팅용 더블 이젝팅 장치
KR20070114617A (ko) 알루미늄 휠 주조장치
CN102989967A (zh) 一种高速铁路绝缘子用双夹箍一次锻造成形模具
KR20070103857A (ko) 국부가압부재를 갖는 스퀴즈 캐스팅장치
CN209697986U (zh) 一种发动机排气歧管铸造模具
KR100254941B1 (ko) 반응고소재(半凝固素材) 성형장치
CN113680992B (zh) 一种高成品率轮毂液态模锻设备
CN216705853U (zh) 一种合金铸造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