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689A - 홍주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퇴비 - Google Patents

홍주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퇴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689A
KR20090079689A KR20080005844A KR20080005844A KR20090079689A KR 20090079689 A KR20090079689 A KR 20090079689A KR 20080005844 A KR20080005844 A KR 20080005844A KR 20080005844 A KR20080005844 A KR 20080005844A KR 20090079689 A KR20090079689 A KR 20090079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t
fermentation
hongju
red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0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천
박장연
Original Assignee
진도대교영농조합법인
박종천
박장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도대교영농조합법인, 박종천, 박장연 filed Critical 진도대교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20080005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9689A/ko
Publication of KR20090079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68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주박을 퇴비 제조시 발효액으로서 사용되는 홍주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유기부산물에 일정 량의 액상의 홍주박을 뿌린 후, 교반기로 상기 유기부산물과 액상의 홍주박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교반기로 퇴직시키면서 수분함량을 80% 이상으로 조절하는 예비발효 단계; 상기 예비 발효된 퇴비를 교반기로 반복하여 뒤집어 상기 혼합물에 공기를 공급하고, 수분 함량을 75% 이상으로 유지하여 자연 발효시키는 본 발효 단계; 및 상기 본 발효된 퇴비를 교반기로 반복하여 뒤지어 상기 본 발효된 퇴비에 공기를 공급하여 완전 발효시키는 최종 발효 단계: 를 포함함으로써 홍주박을 발효액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홍주박, 퇴비, 발효액, 유기부산물

Description

홍주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퇴비{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mpost by using the feedstuff utilization of Hongju}
본 발명은 진도에서 생산되는 홍주를 제조하고 난 뒤의 술찌개의 일종인 홍주박을 이용한 홍주박 퇴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공정은 다음과 같다. 일차적으로 음식물에 들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선별작업이 실시되며, 이후 원료의 표면적을 크게 하여 발효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전처리로써 음식물파쇄작업이 실시된다. 음식물은 함수율이 75-80%로서 그대로 발효하기에는 과수분이므로 여기에 톱밥을 첨가하여 수분조절을 한 후 발효를 실시하게 된다. 발효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음식물쓰레기 전용의 발효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발효가 진행되면서 미생물대사열의 축적으로 발효물내부의 온도가 높아지므로 발효기간동안에 주기적으로 환적(뒤집기)하여, 과잉열을 제거하고 발효물내부로 신선한 공기(산소)가 들어가게 해야 한다. 이러한 환적작업을 수차례하고 나면 음식물내 가용성유기물이 거의 다 분해되어 발효 물 내 온도가 더 이상 오르지 않게 된다. 이때부터는 섬유소 등의 난분해성 유기물을 분해하는 방선균, 곰팡이 등의 활동으로 퇴비화가 서서히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게 된다. 이렇게 장기간의 발효(퇴비화)과정동안, 고분자의 유기물은 저분자의 퇴비성분으로 분해될 뿐 아니라 수분이 증발되므로써, 발효물은 취급하기에 용이한 전형적인 퇴비가 되는 것이다.
음식물쓰레기의 퇴비화는 유기성폐기물을 적절하게 발효처리하여 농업용 유기비료로 재활용하는 유용한 기술임에 틀림없으나, 지금까지의 기술은 퇴비화하는데 발효 효율이 떨어지고, 기간이 매우 길어 경제성이 떨어지며, 음식물성분의 분해효율이 낮아 미분해된 음식물성분으로 인하여 퇴비로서의 품질이 불량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진도 홍주를 제조하고 남는 술찌개인 홍주박은 균체단백질과 각종 비티민, 미지성장인자 등의 에너지원이 함유되어 있으며 각종 효소 및 유용한 미생물이 번식하고 있어, 퇴비의 발효액으로 안성마춤이다.
참고로, 진도 홍주는 일명 지초주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400년 동안 진도에서만 제조되고 있는 한국유일의 홍색을 띤 알콜도수가 40∼47도로 강한 증류수이다. 재료로는 밀, 보리, 누룩가루, 지치뿌리를 사용하여 약간의 감미와 상쾌한 맛, 방향을 갖고 있으며 신경통, 위장병, 설사, 복통등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지치의 뿌리는 한약재 또는 색소용으로 이용하는데 그 성분은 acetylshikonin, shikonin, alkannan, isobutyryl-shikonin, β-dimethyl acryloyl shikonin, β- hydroxy isoaloryl shikonin, teracryl shikonin이 함유되어 있다.
지치의 약리작용으로는 피임작용을 하는데 뇌하수체 성선자극호르몬 형성의 억제 특히 황체 형성 호르몬을 억제한다. 그리고 항균, 항염증 작용, 항종양효과가 있다. 특히 심장을 강화하고 간기를 완화시키며 어혈을 제거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 또한 변비, 혈뇨를 치료한다. 민간에서는 화상, 동상, 수포 등에 외용하며 해열, 이뇨, 피임약으로 쓰여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주를 생산하고 난 홍주박은 조단백질(6.04%)과 높은 열량 그리고 미량 광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사료가치가 높으나 수분함량(88.06%)이 높고 상온에서 쉽사리 부패하는 등 원인으로 기존에는 산업폐기물로 폐기되고 있으며, 일부가 가축 사료로 이용되기도 한다. 특히 진도에서 1일 발생되는 홍주박은 약 10t 정도이며 이를 산업폐기물로 처리시 그 비용은 톤당 67,850원으로 계산할 때 연간 247,652,500원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점을 착안하여, 홍주박의 발효액으로서의 가치를 평가하며, 이를 퇴비 제조에 사용하는 방법을 생각해 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홍주박을 퇴비 제조시 발효액으로서 사용되는 홍주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홍주박의 퇴비 발효액으로서의 가치를 파악하여 홍 주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홍주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은, 유기부산물에 일정 량의 액상의 홍주박을 뿌린 후, 교반기로 상기 유기부산물과 액상의 홍주박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교반기로 퇴직시키면서 수분함량을 80% 이상으로 조절하는 예비발효 단계; 상기 예비 발효된 퇴비를 교반기로 반복하여 뒤집어 상기 혼합물에 공기를 공급하고, 수분 함량을 75% 이상으로 유지하여 자연 발효시키는 본 발효 단계; 및 상기 본 발효된 퇴비를 교반기로 반복하여 뒤지어 상기 본 발효된 퇴비에 공기를 공급하여 완전 발효시키는 최종 발효 단계: 를 포함함으로써 홍주박을 발효액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 부산물은 짚, 왕겨 또는 톱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 부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홍주박을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퇴비가 개시된다.
이상,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기되는 홍주박에 대한 퇴비 발효액으로서의 가치를 파악하여 우수하고도 신규한 퇴비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퇴비를 시비한 작물은 일반 퇴비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생육이 빠를 뿐만 아니라 병충해에 강하고 채소의 맛과 영양분이 풍부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진도 홍주박의 생산
홍주박은 보리쌀 1말을 잘 씻어 하루밤 물에 침지한 후 물기를 30-40분 정도 뺀 후 시루에 50-60분 쪄서 술밥을 만든 후 식힌 다음 밀 1말과 보리 1말로 썩어 만든 누룩가루 1말과 잘 썩은 후 물 3.5말과 함께 술독에 넣고 10∼15일 정도 발효시킨 후 술을 거르고 난 부산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홍주박의 일반성분 및 화학적인 성분은 AOAC(1996) 방법에 준하여 분석하였으며, 중성세제섬유소(Neutral detergent fiber; NDF), 산성세제섬유소(Acid detergent fiber; ADF) 등은 Goering과 Van Soest(1988) 방법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광물질 및 중금속 성분은 유도결합플라즈마 분광광도계(ICP-AE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실시한 진도 홍주박의 화학적 성분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홍주박은 일반성분 및 광물질이 풍부하며, 특히 중금속인 납, 카드뮴, 비소, 수은, 크롬의 함량이 각각 2.4ppm, 0.1ppm, 0.6ppm, 0.0003 ppm으로 사료관리법시행령(1999) 유해사료의 범위와 기준(제12조 관련)의 허용기준치(납 : 20ppm이하, 카드듐 : 2.5ppm 이하, 비소 : 10ppm 이하, 수은 : 0.5ppm 이하, 크롬 : 300ppm 이하) 이하로써 퇴비의 발효액으로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표 1]
Figure 112008004525075-PAT00001
실시예 2 : 홍주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먼저, 짚, 왕겨 또는 톱밥 등의 유기부산물에 일정 량의 액상의 홍주박을 뿌린 후, 교반기로 상기 유기부산물과 액상의 홍주박을 혼합한다.
다음,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교반기로 퇴직시키면서 수분함량을 80% 이상으로 조절하는 예비발효 단계를 진행하며,
상기 예비 발효된 퇴비를 교반기로 반복하여 뒤집어 상기 혼합물에 공기를 공급하고, 수분 함량을 75% 이상으로 유지하여 자연 발효시키는 본 발효 단계를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본 발효된 퇴비를 교반기로 반복하여 뒤지어 상기 본 발효된 퇴비에 공기를 공급하여 완전 발효시키는 최종 발효 단계를 거침으로써, 홍주박을 발효액으로 이용하는 퇴비가 제조된다.

Claims (3)

  1. 유기부산물에 일정 량의 액상의 홍주박을 뿌린 후, 교반기로 상기 유기부산물과 액상의 홍주박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교반기로 퇴직시키면서 수분함량을 80% 이상으로 조절하는 예비발효 단계;
    상기 예비 발효된 퇴비를 교반기로 반복하여 뒤집어 상기 혼합물에 공기를 공급하고, 수분 함량을 75% 이상으로 유지하여 자연 발효시키는 본 발효 단계; 및
    상기 본 발효된 퇴비를 교반기로 반복하여 뒤지어 상기 본 발효된 퇴비에 공기를 공급하여 완전 발효시키는 최종 발효 단계:
    를 포함함으로써 홍주박을 발효액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주박을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부산물은 짚, 왕겨 또는 톱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 부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주박을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홍주박을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퇴비.
KR20080005844A 2008-01-18 2008-01-18 홍주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퇴비 KR200900796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5844A KR20090079689A (ko) 2008-01-18 2008-01-18 홍주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퇴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5844A KR20090079689A (ko) 2008-01-18 2008-01-18 홍주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퇴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689A true KR20090079689A (ko) 2009-07-22

Family

ID=41290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05844A KR20090079689A (ko) 2008-01-18 2008-01-18 홍주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퇴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96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70421A (zh) * 2013-11-07 2014-02-12 玉林市施得富化肥有限公司 利用啤酒渣作为菌种原料生产复合微生物肥料及其生产方法
CN104387183A (zh) * 2014-11-14 2015-03-04 砀山县沃福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含稻壳鸭粪的生物有机肥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70421A (zh) * 2013-11-07 2014-02-12 玉林市施得富化肥有限公司 利用啤酒渣作为菌种原料生产复合微生物肥料及其生产方法
CN104387183A (zh) * 2014-11-14 2015-03-04 砀山县沃福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含稻壳鸭粪的生物有机肥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34958B (zh) 有机果品专用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054363C (zh) 一种高养分复合肥及其生产方法
CN105152767A (zh) 一种生物有机无机复合肥及其生产方法
CN105152705A (zh) 基于农林废弃物的生物有机肥及其生产方法
CN111875422A (zh) 一种利用蔬菜尾菜、秸秆和菌渣制备有机肥的方法
CN106616005A (zh) 一种利用糖厂滤泥生产鱼饲料的方法
CN103771924A (zh) 一种花卉种植专用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05254414A (zh) 一种兼型多营养无土栽培专用有机肥粉末的制备方法
CN113004077A (zh) 一种新型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05948958B (zh) 一种秀珍菇栽培基质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3149725A (zh) 一种再发酵的富硒生物有机肥及其生产方法
CN112457134A (zh) 一种用于改善土质的树根发酵肥料及其制备方法
KR20210000690A (ko) 커피박 및 담배가루를 포함하는 퇴비 조성물
CN111607404A (zh) 一种益生菌土壤改良剂的制备方法及其制品
KR20090079689A (ko) 홍주박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퇴비
CN1318532A (zh) 一种氨基酸生物肥及其制备方法
CN108707039A (zh) 一种利用农村生活垃圾发酵生物有机液态肥及其方法
CN1059557A (zh) 曲酒丢糟的综合利用技术
CN106747782A (zh) 一种甘蔗用的豆秆酵素肥
CN103570421A (zh) 利用啤酒渣作为菌种原料生产复合微生物肥料及其生产方法
CN109287862A (zh) 一种新的畜禽饲料和生产方法
CN113321540A (zh) 一种双孢菇渣与牛粪共堆肥的方法及肥料
CN110885269A (zh) 一种小麦秸秆有机肥的制备方法
CN112335785A (zh) 一种酸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900691A (zh) 一种利用玉米芯栽培蛹虫草的工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