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527A -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 Google Patents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527A
KR20090079527A KR1020080005574A KR20080005574A KR20090079527A KR 20090079527 A KR20090079527 A KR 20090079527A KR 1020080005574 A KR1020080005574 A KR 1020080005574A KR 20080005574 A KR20080005574 A KR 20080005574A KR 20090079527 A KR20090079527 A KR 20090079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conduction
vibration
conduction speaker
housing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9868B1 (ko
Inventor
박의봉
Original Assignee
지디텍 주식회사
박의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디텍 주식회사, 박의봉 filed Critical 지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5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868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3/00Transducers having an acoustic diaphragm of magnetisable material directly co-acting with electromag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방지 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골전도 스피커의 외부 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자석 및 보이스코일이 설치되어 요크와 결합되고 이 요크의 외측으로 진동판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외주연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리브를 형성하고 이 리브의 단부에 체결부가 마련되어 상기 케이싱에 조립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기 위한 방진 구조와 방음 구조를 제공하여 진동판으로부터 발생되는 음향 진동이 제품 본체 케이싱 등으로 분산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전방으로 출력되는 골전도의 음향 진동의 출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고출력의 사양의 골전도 스피커를 채용하지 않고서도 소형과 얇은 두께의 디자인을 갖는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스피커로서 모바일 제품에 적용될 수 있는 소형의 사이즈로 제작이 가능한 것이며, 그로 인해 산업 현장등과 같은 주변 소음 발생이 높은 곳에서도 골전도를 통하여 폭넓은 음역대의 선명한 음질을 오랜 시간 동안 청취할 수 있게 되는 탁월한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골전도 스피커의 후면에 마련된 완충 구조에 의하여 음향 진동이 에 의한 잡음 발생이 생기지 않아 결국 불필요하게 진동 음향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휴대폰과 같은 경우에는 통신 보안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고출력의 음악 청취시 음향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이 방지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골전도 스피커, 리브, 탄성부재, 방진부재, 스프링, 주름부, 방진, 진동음향

Description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Bone conduction speaker apparatus having preventing structure a vibration }
본 발명은 골전도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골전도 스피커를 제품의 본체 케이싱 내부에 조립 장착함에 있어서 그 체결 부위에 골전도의 진동음향의 확산을 제한할 구조를 적용하여 골전도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진동 음향이 전방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진동 음향 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함으로써 사람의 피부 접촉을 통해 골 전도되는 음향 진동을 확실히 전달 및 인식되도록 하여 폭넓은 음역대의 선명한 음질을 청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진동 방지 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로 공기전도(Air Conduction)방식과 골 전도(Bone Conduction)방식이 그것이다.
공기전도방식은 소리가 고막을 통해 내이(Inner ear)로 전달되는 방식으로서, 통상 공기로 전해지는 소리의 진동은 귀속에 고막으로 전달되어 고막 속에 자리 잡고 있는 3개의 뼈를 통하여 진동이 "와우"라는 것에 전달된다.
따라서, 와우(달팽이관)에는 린바액이라는 액체가 차 있고 이 액체의 진동이 전기신호로 바뀌면서 청각 신경에 전달됨으로써 사람의 뇌는 소리를 인식하게 된다.
한편, 골 전도방식은 두개골(Cranial Bone)을 통한 소리가 달팽이관에 전달, 청각신경을 거쳐 뇌로 전달되는 것으로서, 소리 인식 메커니즘에서 진동이 고막과 고막 속에 자리 잡고 있는 3개의 뼈를 경유하는 과정을 생략한 것이다.
즉, 귀 주변의 피부 표면에 가해지는 음향 진동이 두개골을 통하여 직접 와우에 전달됨으로써 고막이나 이소골(耳小骨)에 이상이 있는 난청자라도, 와우나 청각 신경이 정상이라면 피부를 통한 골 전도로 확실하게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골 전도 원리에 의한 일반적인 골전도 스피커의 기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전극 단자판(1)으로 전류가 인가되어서 전극단자판(1)으로부터 코일을 따라 보이스 코일(2)로 전류가 공급되면, 보이스코일(2)은 음성신호 전기에너지로부터 자계의 변화를 유도한다. 즉, 보이스코일(2)로 전류가 인가되면, 상부판(3), 자석(4) 및 요크(5)로 구성된 자기회로의 간격(G) 내에 위치한 보이스 코일(2)과의 사이에서 자기장이 발생되면서 플레밍의 왼손법칙이 성립하게 된다.
그러면 보이스코일(2)이 고정된 상태에서 보이스코일(2),상부판(3),자석(4),요크(5) 상호간에 형성되는 자기장이 서로 인력 및 척력을 작용하여 일체로 결합된 자기회로인 상부판(3), 자석(4), 요크(5)가 상하로 진동하게 된다.
이때, 요크(5) 상단에 설치된 댐퍼(6)에 의해 자기회로의 자유진동을 억제하여 일정한 상하 진동을 유지시켜 주게 된다. 이러한 진동은 고정리벳(7)의 최상부인 매스토이드(8)를 통해서 매스토이드(8)가 접촉하고 있던 사람 머리의 피부 표면에 전달되고, 그 결과 골도 음향진동의 청취를 위한 진동력이 얻어진다.
즉, 보이스 코일(2)을 베이스판(9)에 고정시키고 요크(5), 자석(4) 및 상부판(3)으로 상하진동이 가능한 자기회로를 구성하며 이들을 함께 고정시키는 고정리벳(7)의 최상부에 외부로 음향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매스토이드(8)를 마련함으로써, 사람의 두개골을 형성하고 있는 머리뼈를 피부 표면을 통하여 직접 진동시켜서 골 전도를 통해 청각 신경을 자극하여 정상인을 물론 각종 난청인이 음향을 청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골 전도 원리에 의한 종래의 대부분의 골전도 스피커는 난청이 있는 일반인이나, 청각 장애인용으로 개발되어 주로 음성 청취를 위한 구성으로서 저출력의 음향 진동을 청취하는데 적용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청각장애인 외에도 정상인들도 핸드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나 MP3기기 등을 통해 음악을 듣는 이어폰 및 헤드폰에도 골전도 스피커의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음성 청취 외에 음악도 함께 청취할 수 있는 음향 진동을 발휘하는 골전도 스피커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선행 기술로서, 특허등록 제10-390003호 "떨판을 이용한 골도스피커 및 이를 구비한 이동전화기"와 특허공개 제10-2006-58078호 "휴대용단말기용 기능성 스피커"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에 있어서, "떨판을 이용한 골도스피커 및 이를 구비한 이동전화기"는 진동 청취 기능 및 음향 청취 기능을 겸비한 골전도 스피커로서 음향청취 및 진동청취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휴대용단말기용 기능성 스피커"는 다수개의 자석와 별도의 진동 및 보이스코일을 이용하여 음악 청취를 위한 출력이 높은 진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자기회로를 구성하고, 진동용 자기회로 위에는 바로 스피커용 자기회로를 추가로 구성하여 하나의 자기회로 뭉치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와 같은 선행 기술의 골전도 스피커들은 음향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자석와 진동판 및 매스토이드가 대부분 일체로 조립되어 있고, 특히 매스토이드는 판형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따라서, 음향 신호가 자기회로에 의해 진동판이 진동하게 되면 판형의 매스토이드 전면에 진동이 전달되어 음향 진동이 출력된다.
하지만, 음향 진동은 매스토이드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과 동시에 골전도 스피커를 감싸고 있는 제품 본체의 케이스 전체에 함께 전달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 이유는 골전도 스피커를 제품 본체 케이싱 내부에 조립하는 구조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즉, 종래의 대부분의 골전도 스피커는 예를 들면, 휴대폰의 스피커로 장착되어 청각장애인은 물론 일반인들도 주변 소음이 심한 산업현장 등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적용된다.
그러나, 골전도 스피커의 장착 구조 대부분이 상,하 케이싱 내부에 감싸지는 구조로서 골전도 스피커 외면 전체가 케이싱과 직접 접촉되는 형태로 조립되는 것이 장착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즉, 골전도 스피커를 조립하여 고정하는 방식에 있어서 케이싱 내부에 구비된 수납부 내부에 삽입하여 수납부 전방으로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매스토이드가 케이싱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사람의 골전도 부분에 접촉하여 음향 진동을 청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서 골전도 스피커를 케이싱 내부에 골전도 스피커를 브라켓 및 체결나사로서 단순 고정하는 방식으로 조립하도록 이루어져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대부분의 골전도 스피커가 장착된 제품은 골전도 스피커의 기능으로서 진동 음향 청취시에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을 발생하였다.
먼저, 골전도 스피커의 외면 전체가 케이싱 내부와 밀착되는 상태로 조립됨으로써 골전도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진동 음향이 매스토이드에도 진동 음향이 전달되었지만 이와 동시에 제품 본체 케이싱 전체로 확산되는 현상이 발생 되었다.
이러한 진동 음향은 매스토이드에만 최대의 효율로 진동 음향이 전달되어야 하지만 골전도 스피커가 케이스와 접촉되는 구조로 조립되어 있었으므로 진동 음향이 제품 본체 케이싱 전체로 분산됨으로써 결국 진동 음향의 전체 출력 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는 큰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진동 음향의 분산 작용으로 인하여 실제 진동 음향 청취시 진동 음향이 잘 들리 않고 소음과 함께 들리게 들리게 되는 문제를 발생하였다.
결국, 진동 확산으로 상쇄된 만큼의 진동 음향의 출력을 높이기 위하여 골전 도 스피커의 구성 부품의 사양을 전반적으로 높이게 됨으로써 골전도 스피커를 구성하는 부품 크기가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골전도 스피커 전체 크기도 비대해지게 됨으로써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제품 크기가 상대적으로 함께 커지게 되는 비효율적인 문제를 야기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은 최근 들어 크기가 갈수록 소형화되고 그 두께가 얇아지고 있는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제품 디자인에 골전도 스피커의 적용 가능성을 떨어뜨리게 하는 주요 요인이 되었으며, 이로 인해 골전도 스피커를 활용한 관련 제품 업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한편, 종래의 골전도 스피커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나사를 이용한 조립 구조 있어서도 골전도 스피커에서 발생된 진동 음향이 체결나사 및 체결 보스를 통하여 케이싱 전방으로 그대로 전달됨으로써 골전도 스피커의 매스토이드 부위로만 전달되어야 할 진동 음향이 골전도 스피커 주변의 케이싱으로 분산되어 소리가 주변으로 확산된다.
이때, 음향 진동에 의해 공기중으로 확산되는 소리는 청각장애인은 들을 수는 없으나 정상인의 경우 일반적인 음향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작은 음악 소리가 아닌 이상한 괴음 형태의 소리가 발생되는 등 노이즈 현상을 유발하게 되므로서 사용자 및 주변인들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매스토이드 주변의 케이싱 표면을 통하여 확산 출력되는 일부 진동 음향은 주변 공기를 통하여 확산되므로써 특히, 휴대폰 통화시 통화 내용이 정상인 기준에서 음향 진동의 청취가 가능하므로서, 통신 보안 유지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골전도 스피커를 제품의 본체 케이싱 내부에 조립 장착함에 있어서 골전도 스피커가 케이싱 내부에서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매달리는 방식으로 조립되도록 하고, 그 체결 부위에는 골전도의 진동음향의 확산을 제한할 수 있는 방진 구조를 적용하여 골전도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진동 음향이 전방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진동 음향 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함으로써 사람의 피부 접촉을 통해 골 전도되는 음향 진동을 확실히 전달 및 인식되도록 하여 폭 넓은 음역대의 선명한 음질을 청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진동 방지 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전도 스피커의 매스토이드 부위를 피부에 밀착하여진동 음향을 청취할 때 골전도 스피커가 뒤로 밀리는 경우에도 골전도 스피커 하우징의 후면이 케이싱과 접촉되지 않으면서 진동이 확산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진동 방지되도록 하고, 매스토이드 부위가 피부와 접촉되지 않을 때는 다시 원상태로 복원 되도록 하여 음향 진동이 케이싱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진동 음향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음향 진동에 의한 음향이 케이싱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되어 통신 보안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음향 진동에 의한 잡음 등과 같은 불쾌한 소음 확산이 방지하도록 된 진동 방지 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방지 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는 외부 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자석 및 보이스코일이 설치되어 요크와 결합되고 이 요크의 외측으로 진동판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외주연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리브를 형성하고 이 리브의 단부에 체결부가 마련되어 상기 케이싱에 조립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진동 방지 구조에 의하면 골전도 스피커의 외부 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자석 및 보이스코일이 설치되어 요크와 결합되고 이 요크의 외측으로 진동판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에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리브가 구비되고 이 리브의 단부에 체결부가 마련되어 상기 케이싱에 조립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골전도 스피커의 진동 방지를 위한 상기 리브는 나사 또는 리벳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싱에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구멍을 갖는 체결부가 단부에 형성되고, 이 체결부와 진동판 및 하우징의 외주연과의 사이는 좁은 폭의 네크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리브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리브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의 주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리브는 'Z'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브의 체결부를 케이싱에 조립함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상·하면에 방진부재를 함께 조립하여 충격 및 진동방지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에 의하면 골전도 스피커의 외부 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자석 및 보이스코일이 설치되어 요크와 결합되고 이 요크의 외측으로 진동판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외주연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리브를 형성하고 이 리브의 단부에 체결부가 마련되어 상기 케이싱에 조립 고정되도록 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근접하여 하우징의 수직 진동방향에 대하여 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진동 방지 구조에 추가되는 탄성 제공 수단에 의하면 골전도 스피커의 외부 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자석 및 보이스코일이 설치되어 요크와 결합되고 이 요크의 외측으로 진동판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외주연에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리브가 구비되어 이 리브의 단부에 체결부가 마련되어 상기 케이싱에 조립 고정되도록 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근접하여 하우징의 수직 진동방향에 대하여 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상기 탄성부재는 스폰지 또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근접 설치되는 것과 상기 하우징의 주연부에서 직접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이중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서 직접 접촉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전원이 보조스프링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 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골전도 스피커는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기 위한 방진 구조와 방음 구조를 제공하여 진동판으로부터 발생되는 음향 진동이 제품 본체 케이싱 등으로 분산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전방으로 출력되는 골전도의 음향 진동의 출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고출력의 사양의 골전도 스피커를 채용하지 않고서도 소형과 얇은 두께의 디자인을 갖는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스피커로서 모바일 제품에 적용될 수 있는 소형의 사이즈로 제작이 가능한 것이며, 그로 인해 산업 현장등과 같은 주변 소음 발생이 높은 곳에서도 골전도를 통하여 폭넓은 음역대의 선명한 음질을 오랜 시간 동안 청취할 수 있게 되는 탁월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골전도 스피커의 후면에 마련된 완충 구조에 의하여 음향 진동이 에 의한 잡음 발생이 생기지 않아 결국 불필요하게 진동 음향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휴대폰과 같은 경우에는 통신 보안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고출력의 음악 청취시 음향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이 방지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스피커의 진동 방지 구성을 나타 낸 조립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스피커의 진동 방지 구성을 나타낸 조립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스피커의 진동판에 적용된 진동 방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판에 적용된 다른 형태의 진동 방지 구조를 나타낸 조립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골전도 스피커(100)는 그 내부 구성이 종래의 골전도 스피커와 대부분 동일한 기본 구성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골전도 스피커의 내부 구성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에 따라 골전도 스피커의 내부 구성 설명에 필요한 내부 명칭들은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설명에 필요한 부호 외에는 기재하지 않기로 한다.
즉, 골전도 스피커(100)는 하우징(10)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코일플레이트에 의해 보이스코일이 설치되고, 이 보이스코일의 내·외측 영역에 자석이 배치되어 요크와 결합되며, 상기 요크의 외측면에 접촉되면서 그 가장자리가 상기 하우징(10)에 지지되고 전면에 매스토이드(11)가 일체로 구비된 진동판(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하우징(10)의 하부 일단에는 전원공급선(12)이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기본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진동 방지 구조를 골전도 스피커(100)는 휴대폰에 적용되는 것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면 휴대폰의 본체 케이싱(30)은 두께가 얇은 형태로 디자인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특히 골전도 스피커(100)가 장착되는 부위는 그 두께가 매우 슬림한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이러한 슬림한 형태의 본체 케이싱(30)에 적용되는 골전도 스피커는 원형으로 구성하지 않고 두께가 얇고 폭이 좁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공간 효율상 바람직함으로써 본 발명의 골전도 스피커를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한 것이며, 그 내부의 보이스코일, 요크, 자석 및 진동판(20), 매스토이드(11) 등도 모두 직사각형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골전도 스피커에 적용되는 진동 방지 구조는 골전도 스피커(100)가 케이싱(30) 내부에 수납되면서 그 외면이 케이싱(30) 내면과 접촉되지 않고 그 내부에서 행거 방식으로 매달리도록 조립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 일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20)을 이용하여 행거 방식으로 조립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진동판(20)은 주로 탄성을 가지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직사각형상으로 구성되어, 진동판(20)의 외주연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리브(21)를 형성한다.
상기 리브(21)는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연장되어 그 단부에 체결 구멍을 가진 원형의 체결부(22)가 마련되어서 케이싱(30) 내부에 돌출 형성된 보스(31)에 체결 나사(32)로서 조립된다.
따라서, 골전도 스피커(100)는 진동판(20)과 보스(31)의 조립구조에 의하여 케이싱(30) 내부에서 매달리는 구조로 조립되고, 매스토이부(11)는 케이싱(30)의 전면에 형성된 슬롯(33)을 통하여 외부로 약간 돌출된 상태로 위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 브(21)를 진동판(20)으로부터 연장하여 형성하지 않고 하우징(10)의 외면으로 한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리브(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브(20)는 하우징(10)의 외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하여 구성할 수 있고, 도면에는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별도의 부품 형태로 제작된 리브(20)를 하우징(10)의 외면에 접착하거나 슬라이드식으로 끼워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브(21)의 단부에는 체결 구멍(23)을 가진 원형의 체결부(22)가 마련되어서 케이싱(30) 내부에 돌출 형성된 보스(31)에 체결 나사(32)로서 조립된다.
이와 같이 행거 방식으로 본체 케이싱(30) 내부에 조립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골전도 스피커(100)는 내부에서 발생된 진동 음향이 진동판(20)을 통해서 매스토이드(11)에 전달됨과 동시에 진동판(20) 또는 하우징(10)의 외면에 구비된 리브(21)를 통해 체결부(22) 측으로 제한된 경로를 따라 진동이 전달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하우징과 케이싱과 접촉된 상태로 장착된 구성에 비하여 진동 음향이 케이싱(30) 전체로 전달되어 분산되지 않고 리브(21)를 통해 그 체결부(22)로만 진동이 확산됨으로써 매스토이드(11)에 전달되는 진동 음향의 출력 효율이 매우 높아지게 되어 작은 출력의 골전도 스피커(100)를 적용하여도 휴대폰 통화를 하기 충분한 진동 음성이나 진동 음향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리브(21)는 진동판(20)으로 부터 연장 형성될 때 진동판(20)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하게 연장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또 다 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20)의 폭에 대해서 상기 체결부(22)와 진동판(20)의 외주연 단부와의 사이 구간에서는 좁은 폭의 네크부(neck;24 )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브(21) 구성에 의하면 진동판(20)에서 발생된 진동 음향이 진동판(20) 전체 폭만큼의 용량으로서 리브(21) 측으로 진동이 전달될 때 급격히 좁아지는 폭의 상기 네크부(24)의 구간에서 의하여 진동 음향 출력의 전달이 지연되고 상쇄됨에 따라 대부분의 진동음향은 매스토이드(11) 측으로 집중되어 높은 출력으로 진동음향이 발생된다.
결국, 상기 리브(21)의 좁은 폭을 갖는 네크부(24)의 작용에 의하여 골전도 스피커(100)에서 발생된 진동 음향은 매스토이드(11)를 통해 선명한 음질의 진동 음향을 출력하게 되고, 상기 리브(21)를 통해 체결부(22) 측으로 전달되는 진동 음향은 상쇄되는 작용에 의하여 케이싱(30)을 통해 발산되는 진동이 거의 없게 되므로 종래의 조립 구성에 비하여 잡음이 최소한으로 발생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리브(21)의 좁은 폭의 네크부(24)가 진동판(20)에 적용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하우징(10)에 적용된 리브(21)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경우 상기와 같은 동일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의 주름부(25)로 이루어지며,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리브(40)는 "Z"형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주름부(25)는 진동판(20) 또는 하우징(10)의 외주연 기부로부터 상,하 방향의 수직 또는 좌,우 방향의 수평으로 연속 형성되며, 원호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을 이루는 절곡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주름 형상을 이룰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의 주름부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Z"형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리브(40)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단부(41)와 경사부(42) 그리고 체결부(43)로 이루어진다.
상단부(41)는 일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름부(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리브(40)의 상단부에 원호형이 수직 방향으로 상,하 연속 절곡되는 형태로 주름부(25)로 이루어지고, 이어서 경사부(42)와 체결부(43)가 형성되어 "Z"형 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리브(40)의 구성에 의하면 진동판(20)으로부터 발생된 진동 음향이 매스토이드(11)에 전달됨과 동시에 리브(40)에 전달되는 경로에서 주름부(25)에 의하여 진동 전달 경로의 전체 길이가 직선 형상에 비해 그 진동 전달 경로가 늘어나게 된다.
이어서 경사부(42)를 지나 체결부(43) 측으로 전달되는 진동 음향은 전달력이 점차 감소되면서 상쇄되는 작용에 의하여 진동판(20)에서 발생된 진동 음향 대부분은 매스토이드(10) 측으로 집중되어 높은 출력의 진동음향이 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리브(40)의 주름부(25) 및 "Z" 형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 구성 및 작용에 의하여 골전도 스피커(100)에서 발생된 진동 음향은 매스토이드(11)를 통해 더욱 선명한 음질의 진동 음향을 출력하게 되고, 리브(40)를 통해 체결부(43) 측으로 전달되는 진동 음향은 상쇄되는 작용에 의하여 케이싱(30)을 통해 발산되는 진동에 의하여 잡음 등이 종래의 조립 구성에 비하여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리브(40)의 주름브(25) 및 "Z" 형상의 절곡 구조에 의한 구성은 진동판(20)에 적용될 뿐 아니라, 상기 하우징(10)에 적용된 리브(21)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리브(40)의 주름부(25) 및 "Z" 형상에 의한 절곡 구조는 매스토이드부(11)가 밀착될 때 골전도 스피커(100) 전체가 뒤로 밀리게 된다.
이때, 리브(40)의 주름부(25)와 "Z"형상의 절곡 구성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완충됨으로써 매스토이부(11)가 피부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진동판(20)에서 발생된 진동 음향이 골전도 경로를 통하여 전달됨으로써 사용자는 무리 없이 진동 음향을 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브(21)의 체결부(22)를 케이싱(30)의 보스(31)에 체결 나사(32)로서 조립함에 있어서, 부가적인 방진 구조가 적용된다.
즉, 상기 리브(21)의 체결부(22)에는 방진부재(50)를 와셔 형태로 구성하여 보스(31)와 체결부(22) 사이 그리고, 체결부(22)와 체결나사(32) 사이에 개재시켜 는 이중의 방진 구조를 적용한 것이다.
상기 방진부재(50)는 부직포 또는 고무 등을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방진 기능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판(20)에서 발생된 진동 음향은 리브(21)를 지나면서 일차 상쇄되어 약해지게 되며, 잔여 진동은 체결부(22)에 구비된 방진부재(50)에 흡수됨으로써 케이싱(30)의 보스(31) 측으로는 진동이 거의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이중의 방진 구조는 골전도 스피커(100)를 휴대폰과 같은 고가의 모바일 제품에 적용함으로써 골전도 음향 청취의 고급화를 제공하게 되어 청각장애인들 뿐 아니라 일반인들이 골전도 음향 청취를 하는데 선명하고 양호한 진동 음향을 느낄 수 있게 하는 탁월한 효과를 발휘항다.
아울러 진동 음향이 케이싱(30)의 보스(31)를 통해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통화 내용이나 그 밖의 음향이 케이싱(30)을 거쳐 주위로 확산되지 않으므로 통화 내용 등을 주변 사람들이 듣지 못하여 통신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함께 제공하게 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통신기기에 적용된 경우에는 골전도 스피커(100)의 매스토이드(11) 부위를 피부에 밀착하여 진동 음향을 청취할 때 골전도 스피커(100) 전체가 뒤로 밀리게 되면서 하우징(10) 후면이 후방 케이스(34)와 접촉될 경우가 발생된다.
본 실시예에는 골전도 스피커(100)가 뒤로 밀리면서 상기 하우징(10)의 후면이 후방 케이스(34)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진동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하 고, 매스토이드(11) 부위가 피부와 접촉되지 않을 때는 다시 원상태로 복원 되도록 하는 완충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음향 진동에 의한 음향이 케이싱(30)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되어 통신 보안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음향 진동에 의한 잡음 등과 같은 불쾌한 소음 확산이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방진 방지 기능과 및 소음 차단을 위한 완충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골전도 스피커는 상기한 바와 같은 진동 방지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구성 및 작용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에 사용되는 명칭과 부호는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20) 또는 하우징(10)의 외주연에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리브(21)가 구비되고, 이 리브(21)의 단부에는 체결부(22)가 마련되어 체결 나사(32)에 의해 케이싱(30)의 보스(31)에 조립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후방에 근접된 상기 후방 케이스(34)의 내측에는 진동음향에 의한 상기 하우징(10)의 수직 진동 방향에 대하여 탄성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부재(60)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60)의 역할은 상기 하우징(10)이 매스토이드(11)가 피부에 접촉될 때 뒤로 밀리는 경우 하우징(10)의 후면과 후방 케이스(34)와 접촉을 방지하도록 하고, 진동판(20)에서 발생된 진동 음향의 진동을 흡수하여 매스토이드(11) 측으로의 진동 음향 출력을 극대화시키도록 한 점이 큰 특징이다.
상기 탄성부재(60)는 여러 가지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폰지로 구성될 수 있다.
스폰지의 경도는 하우징(10) 밀리거나 진동 음향이 전달되는 것에 대해 적절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질 정도의 탄성을 갖도록 구성한다.
또한, 다른 소재로는 스프링(61)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스프링(61)은 판스링과 코일 스프링으로 대별되는 바,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코일 스프링을 적용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스프링(61)은 하단부가 후방 케이스(34)의 내측에 지지되고, 그 상단부에는 상기 하우징(10)의 후면과 안정적으로 접촉되기 위한 지지판(62)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판(62)의 상면에는 하우징(10)의 후면이 직접 접촉되는 쿠션부재(63)가 부착되어 하우징(10)이 뒤로 밀려 접촉될 때 충격을 또 한번 완화시킬 수 있도록 스폰지나 부직포 또는 고무 재질 등의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재(60)를 이루는 상기 스프링(61)은 상기 하우징(10)의 후방으로 근접하여 설치되는 것과 상기 하우징(10)의 주연부에서 직접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이중의 완충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스프링(61)의 외측으로는 상기 하우징(10)의 가장자리 주연부에 탄성이 보다 작은 보조스프링(64)이 추가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보조스프링(64)은 하우징(10)에 항상 직접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하우징이 뒤로 밀렸을 때만 접촉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스프링(64)을 상기 하우징(10)과 항상 직접 접촉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골전도 스피커(100)의 보이스코일(도시하지 않음)에 전원 및 음향 신 호를 인가하기 위한 단자 역할을 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0)에는 보조스프링(64)이 접촉되는 부위에 접속 단자(13)를 형성하고 보조스프링(64)이 접촉되도록 후방 케이스(34)에 구비되는 지지부재(35)의 상면에는 전원단자(36)를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진동 음향 청취시 매스토이드(11)가 피부와 접촉하면서 뒤로 밀리더라도 하우징(10) 후면 중앙 및 그 주연부에 구비된 스프링(61)과 보조 스프링(64)에 의하여 완충되는 역할을 하게 되면서, 하우징(10)과 케이싱(30)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은 물론 진동 음향을 청취하지 않을 때 매스토이드(11)가 피부와 떨어지는 것에 의하여 스프링(61) 및 보조스프링(6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골전도 스피커(100) 전체가 다시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다.
그리고, 하우징(10)이 뒤로 밀린 상태로 진동 음향을 청취하게 되는 과정에서는 하우징(10) 후면에 접촉된 스프링(61)과 보조스프링(64)에 전달되는 진동 음향은 흡수되어 상쇄됨으로써 후방 케이스(34)를 통해 진동 음향이 확산되어 잡음을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진동 방지 구조가 적용된 골전도 스피커(100)에 연결되는 회로를 유선상으로 연결하지 않고 보조스프링(64)에 의한 접속 회로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진동 방지 기능 추가에 따른 전원 공급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유용한 구성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진동 방지 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의 작용 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골전도 스피커의 진동 방지 구조는 상기한 실시예에서 방진 기능과 소음 방지를 위한 완충 구조 그리고 전원 공급 구성을 모두 적용하여 구성한 조립 단면도이며, ㅎ휴대폰에 적용된 경우를 예를 들어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휴대폰에 적용된 골전도의 스피커(100)의 경우에는 음성 및 음향의 진동이 발생되며, 통화를 하지 않을 때는 음악을 감상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통화를 하기 위해 골전도 스피커(100) 부위를 귀 주변에 밀착하면 매스토이드(11)가 피부에 접촉되면서 이와 동시에 골전도 스퍼커(100) 전체가 케이싱(30) 내부에서 뒤로 밀리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후방에 마련된 탄성부재(60) 즉, 스프링(61)에 의해 완충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진동 음향을 청취하게 되며, 하우징(10)의 후면 주연부에는 보조스프링(64)에 의한 접속 회로 구성에 의하여 전원 및 신호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휴대폰에서 출력되는 음성 및 음향이 골전도 스피커(100)의 내부의 진동 음향 발생 원리에 의하여 진동 음향이 진동판(20) 및 매스토이드(11)를 통해 진동 음향 통화가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통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 음향은 진동판(20)을 통해 매스토이드(11)에 대부분 전달되어 사용자(청각장애인이나 일반인)는 잘 듣지 못하거나 주변의 소음이 시끄럽다 하더라도 관계없이 골전도 경로를 통하여 진동 음향을 청취 하게 된다.
이때, 진동 음향은 리브(21) 자체 탄성 작용이나 또는 리브(40)의 주름부(25)와 경사부(42) 및 체결부(43)를 거치면서 상쇄되고, 체결부(22),(43)에 마련된 방진 부재(50)에 의해 케이싱(30)의 보스(31)에는 진동 음향이 거의 전달되지 않게 됨으로써 매스토이드(11) 측으로 대부분의 진동 음향이 출력되어 사용자는 양질의 진동 음향을 청취하게 된다.
그리고, 케이싱(30)의 보스(31) 주변으로는 진동 음향이 확산되어 유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주변 사람들이 통화 내용을 듣지 못하게 되어 통신 보안을 유지하며 진동 음향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매스토이드(11)가 피부와 비 접촉된 상태가 되면 골전도 스피커(100)는 리브(40)와 상기 하우징(10)의 후면에서 탄지하고 있던 스프링(61) 및 보조 스프링(6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며, 케이싱(30)과 는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매달려 있는 상태이다.
비접촉 상태에서 만약 진동 음향이 출력되는 경우에는 매스토이드(11)를 피부에 밀착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진동 음향이 매스토이드(11)에 집중되어 고출력으로는 확산 않지만 음향 진동이 그대로 매스토이드(11)를 통해 소리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어 소음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매스토이드(11)가 피부와 비접촉시에 하우징(11)이 리브(21),(40)에 의해 매달려 자유스런 상태가 됨으로써 케이싱(30) 내부에서 좌,우로 틀어지지 않고 상,하 왕복 운동을 유지하면 진동 음향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진동판(20)에서 출력되는 진동 음향이 미약하게 매스토이드(11)를 통해 공기중으로 확산되는 정도의 미약한 상태이므로 결국 미세한 진동이 느껴질 뿐 음향 진동에 의해 공기 중으로 확산되어 소리 형태로 출력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휴대폰을 통화를 하다가 매스토이드와 비접촉된 상태로 하면 사실상 청각장애인이나 난청인 및 정상인의 기준에서 볼 때에는 진동음향이 차단된 것으로 간주되는 상태가 되는 것과 같은 상태로서 음향 진동이 소음 형태로 출력되지 않아 주변으로 확산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전도 스피커에 대한 실시예의 설명은 단순한 예시의 네크적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골전도 스피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스피커의 진동 방지 구성을 나타낸 조립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 스피커의 진동 방지 구성을 나타낸 조립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스피커의 진동판에 적용된 진동 방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판에 적용된 다른 형태의 진동 방지 구조를 나타낸 조립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방지 구조와 함께 적용되는 소음 방지 완충 구조와 골전도 스피커의 전원 공급 상태를 나타낸 조립단면도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골전도 스피커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을 하기 위한 조립 단면도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하우징 11 : 매스토이드
12 : 전원 공급선 13 : 접속단자
20 : 진동판 21,40 : 리브
22,43 : 체결부 23 : 체결구멍
24 : 네크부 25 : 주름부
30 : 케이싱 31 : 보스
32 : 체결나사 33 : 슬롯
34 : 후방케이스 35 : 지지부재
36 : 전원단자 41 : 상단부
42 : 경사부 50 : 방진부재
60 : 탄성부재 61 : 스프링
62 : 지지판 63 : 쿠션부재
64 : 보조스프링

Claims (12)

  1. 골전도 스피커의 외부 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자석 및 보이스코일이 설치되어 요크와 결합되고 이 요크의 외측으로 진동판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20)의 외주연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리브(21)를 형성하고 이 리브(21)의 단부에 체결부(22)가 마련되어 상기 케이싱(30)에 조립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2. 골전도 스피커의 외부 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자석 및 보이스코일이 설치되어 요크와 결합되고 이 요크의 외측으로 진동판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외주연에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리브(21)가 구비되고, 이 리브(21)의 단부에 체결부(22)가 마련되어 상기 케이싱(30)에 조립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21)는 나사 또는 리벳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싱(30)에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구멍(23)을 갖는 체결부(22)가 단부에 형성되고, 이 체결부(22)와 진동판(20) 및 하우징(10)의 외주연과의 사이는 좁은 폭의 네크(24)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21)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의 주름(25)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40)는 'Z'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21)의 체결부(22)를 케이싱에 조립함에 있어서, 상기 리브(21)의 상·하면에 방진부재(50)를 함께 조립하여 충격 및 진동방지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7. 골전도 스피커의 외부 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자석 및 보이스코일이 설치되어 요크와 결합되고 이 요크의 외측으로 진동판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20)의 외주연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리브(21)를 형성하고 이 리브(21)의 단부에 체결부(22)가 마련되어 상기 케이싱(30)에 조립 고정되도록 되고, 상기 하우징(10)의 후방에 근접하여 하우징(10)의 수직 진동방향에 대하여 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6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8. 골전도 스피커의 외부 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자석 및 보이스코일이 설치되어 요크와 결합되고 이 요크의 외측으로 진동판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 외주연에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리브(21)가 구비되어 이 리브(21)의 단부에 체결부(22)가 마련되어 상기 케이싱(30)에 조립 고정되도록 되고, 상기 하우징(10)의 후방에 근접하여 하우징(10)의 수직 진동방향에 대하여 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6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60)는 스폰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60)는 스프링(6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61)은 상기 하우징(10)의 후방으로 근접 설치되는 것과 상기 하우징(10)의 주연부에서 직접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이중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12.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61)은 상기 하우징(10)의 후방에서 직접 접촉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10)으로 전달되는 전원이 보조 스프링(64)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KR1020080005574A 2008-01-18 2008-01-18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KR100989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574A KR100989868B1 (ko) 2008-01-18 2008-01-18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574A KR100989868B1 (ko) 2008-01-18 2008-01-18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527A true KR20090079527A (ko) 2009-07-22
KR100989868B1 KR100989868B1 (ko) 2010-10-29

Family

ID=4129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574A KR100989868B1 (ko) 2008-01-18 2008-01-18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868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555B1 (ko) * 2013-05-20 2014-12-05 시노스 주식회사 진동스피커
WO2016185263A1 (en) * 2015-05-20 2016-11-24 Cochlear Limited Suspended components in auditory prostheses
CN106598175A (zh) * 2017-01-16 2017-04-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6937200A (zh) * 2017-04-25 2017-07-07 杭州双弯月电子科技有限公司 挂耳骨传导蓝牙耳机
WO2018080130A1 (ko) * 2016-10-24 2018-05-03 주식회사 정글 스피커 모듈 및 안경형 웨어러블 장치
WO2018078510A3 (en) * 2016-10-28 2018-07-26 Cochlear Limited Passive integrity management of an implantable device
US10708678B1 (en) 2016-03-17 2020-07-07 Guangzhou Shirui Electronics Co., Ltd. Loudspeaker and loudspeaker shock absorption structure
KR102216591B1 (ko) * 2019-11-05 2021-02-17 주식회사 세라젬 내장형 스피커 모듈
CN113660591A (zh) * 2021-09-26 2021-11-16 苏州登堡电子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器保护结构、骨传导装置和骨传导耳机
US11223912B2 (en) 2017-07-21 2022-01-11 Cochlear Limited Impact and resonance management
CN114157943A (zh) * 2021-12-08 2022-03-08 深圳市拙野创意有限公司 一种多方位音响安装结构以及基于该结构的音响
CN114615602A (zh) * 2019-01-05 2022-06-10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扬声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855B1 (ko) * 2018-07-26 2019-05-1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전도 안경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9443A (ja) * 2003-03-20 2004-10-14 Tdk Corp 振動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用電話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555B1 (ko) * 2013-05-20 2014-12-05 시노스 주식회사 진동스피커
WO2016185263A1 (en) * 2015-05-20 2016-11-24 Cochlear Limited Suspended components in auditory prostheses
US9955271B2 (en) 2015-05-20 2018-04-24 Cochlear Limited Suspended components in auditory prostheses
US11089394B2 (en) 2016-03-17 2021-08-10 Guangzhou Shirui Electronics Co. Ltd. Loudspeaker and loudspeaker shock absorption structure
US10708678B1 (en) 2016-03-17 2020-07-07 Guangzhou Shirui Electronics Co., Ltd. Loudspeaker and loudspeaker shock absorption structure
US10750264B2 (en) 2016-03-17 2020-08-18 Guangzhou Shirui Electronics Co., Ltd. Loudspeaker and loudspeaker shock absorption structure
WO2018080130A1 (ko) * 2016-10-24 2018-05-03 주식회사 정글 스피커 모듈 및 안경형 웨어러블 장치
WO2018078510A3 (en) * 2016-10-28 2018-07-26 Cochlear Limited Passive integrity management of an implantable device
US11432084B2 (en) 2016-10-28 2022-08-30 Cochlear Limited Passive integrity management of an implantable device
CN106598175A (zh) * 2017-01-16 2017-04-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6598175B (zh) * 2017-01-16 2024-05-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6937200A (zh) * 2017-04-25 2017-07-07 杭州双弯月电子科技有限公司 挂耳骨传导蓝牙耳机
US11223912B2 (en) 2017-07-21 2022-01-11 Cochlear Limited Impact and resonance management
CN114615602A (zh) * 2019-01-05 2022-06-10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扬声器
US11218799B2 (en) 2019-11-05 2022-01-04 Ceragem Co., Ltd. Built-in speaker module
WO2021091233A1 (ko) * 2019-11-05 2021-05-14 주식회사 세라젬 내장형 스피커 모듈
CN112788506A (zh) * 2019-11-05 2021-05-11 喜来健株式会社 内置型扬声器模块
CN112788506B (zh) * 2019-11-05 2022-10-18 喜来健株式会社 内置型扬声器模块
KR102216591B1 (ko) * 2019-11-05 2021-02-17 주식회사 세라젬 내장형 스피커 모듈
CN113660591A (zh) * 2021-09-26 2021-11-16 苏州登堡电子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器保护结构、骨传导装置和骨传导耳机
CN114157943A (zh) * 2021-12-08 2022-03-08 深圳市拙野创意有限公司 一种多方位音响安装结构以及基于该结构的音响
CN114157943B (zh) * 2021-12-08 2024-03-19 深圳市拙野创意有限公司 一种多方位音响安装结构以及基于该结构的音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9868B1 (ko) 201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868B1 (ko)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US20100316235A1 (en) Bone conduction speaker with vibration prevention function
EP2991376B1 (en) Acoustic reproduction apparatus and sound-collecting acoustic reproduction apparatus
JP4631070B2 (ja) 骨伝導スピーカ
KR101039813B1 (ko) 골전도와 공기전도 기능을 갖는 듀얼 이어폰
KR101039090B1 (ko) 스피커장치
JP4946976B2 (ja) 骨伝導スピーカの取付構造及び該取付構造を備えた骨伝導スピーカ付き機器
JP2004507951A (ja) 骨導振動子
CA2938137C (en) Universal speaker
JP6515392B2 (ja) 音声振動発生素子
KR100850487B1 (ko) 피부 전도 스피커
JP2015126339A (ja) 骨伝導スピーカー
KR20110006838A (ko) 골전도 진동장치
WO2017212884A1 (ja) 骨伝導スピーカユニット
KR101389691B1 (ko) 자성 유체로 노이즈를 감소시킨 골전도 스피커 유니트
KR200295460Y1 (ko) 골도 스피커
JP4309799B2 (ja) ヘッドフォン
EP3734988A1 (en) Bone conduction speaker unit
KR102625408B1 (ko) 스피커유닛 및 스피커 만곡진동판
KR100243660B1 (ko) 골도 및 기도 청각 겸용의 골도 진동자
JP3115815U (ja) 椅子用スピーカ装置
KR101123864B1 (ko) 보빈에 의해 지지되는 압전소자 타입의 골전도 이어폰
JP2010062888A (ja) ヘッドホン及び振動板の変形防止方法
KR20090035881A (ko) 디스플레이 기기
WO2022153860A1 (ja) 骨伝導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