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377A -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377A
KR20090079377A KR1020080005294A KR20080005294A KR20090079377A KR 20090079377 A KR20090079377 A KR 20090079377A KR 1020080005294 A KR1020080005294 A KR 1020080005294A KR 20080005294 A KR20080005294 A KR 20080005294A KR 20090079377 A KR20090079377 A KR 20090079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ice making
control box
tra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5959B1 (ko
Inventor
이동훈
안시연
정일욱
김성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5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959B1/ko
Priority to CN2008801250539A priority patent/CN101952673B/zh
Priority to EP08871147.8A priority patent/EP2250450B1/en
Priority to BRPI0822014-0A priority patent/BRPI0822014B1/pt
Priority to US12/863,022 priority patent/US8528351B2/en
Priority to PCT/KR2008/006132 priority patent/WO2009091112A2/en
Publication of KR20090079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Arrangements allowing camera rotation to change view, e.g. pivoting camera, pan-tilt and zoom [PTZ]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4Rotating 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 및 냉장고에 의하면, 제빙량을 늘리고, 이빙 시 얼음이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냉장고, 제빙장치, 제어박스

Description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빙량을 늘리고, 이빙 시 얼음이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빙장치는 냉동 장치에 장착되어 냉기에 의해 얼음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특히, 냉장고를 비롯하여 정수기나 자동판매기, 얼음 제조장치 등(이하 "냉장고 등"이라 함)에서 일정한 용기에 물을 담아 이를 빙점 이하로 냉각시켜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과거에는 물의 빙점 이하에서 냉각이 이루어지는 냉각실에 물이 담긴 제빙트레이를 넣어 두고 얼음이 생성되면 이를 사용자가 직접 꺼내어 얼음을 획득하도록 하는 단순한 방식의 제빙이 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생활 수준의 향상과 기술의 발전으로 말미암아 사람의 손을 빌리지 않고 자동적으로 제빙과 이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냉장고 등에 구비되는 제빙트레이에 자동으로 급수가 이루어지고, 급수된 물이 제빙트레이에서 얼음이 되며, 그 얼음이 이빙되도록 하기 위해 가열장치를 제빙트레이와 인접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가열장치로 제빙트레이를 가열하도록 하는 방식의 제빙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빙장치에서는 상기 제빙트레이에 구비되는 셀(cell) 즉,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구획된 공간의 개수에 따라 단위 시간당 생산할 수 있는 얼음의 양이 결정된다.
그런데, 상기 제빙장치가 냉장고 등의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제빙트레이의 크기는 한정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구비될 수 있는 상기 셀의 개수도 제한이 있다.
그러므로, 한정된 공간에 장착되는 제빙장치에 있어서, 상기 셀의 개수를 늘릴 수 있는 구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제빙량을 늘리고, 이빙 시 얼음이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물을 수용하여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트레이와, 상기 제빙트레이 일측에 설치되며, 제빙장치 구동을 위한 전장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1 제어박스 및, 상기 제1 제어박스에 수용되는 전장부의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전장부의 나머지를 수용하는 제2 제어박스를 포함하는 제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2 제어박스는 제빙장치를 수용하는 제빙실 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빙트레이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박스는 상기 제1 제어박스 상부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장부는, 상기 제빙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배출하기 위한 이젝터 및, 만빙 감지를 위한 만빙감지레버의 구동과 관련된 구동 어셈블리와, 상기 구동 어셈블리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전자부품이 설치되는 제1 배선기판과, 상기 구동 어셈블리의 동작 제어를 제외한 제빙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전자부품이 설치되는 제2 배선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와 상기 제1 배선기판은 상기 제1 제어박스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배선기판과 상기 제2 배선기판은 상기 제2 제어박스에 수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전장부간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제어박스와 상기 제2 제어박스에 각각 구비되는 배선 연통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빙트레이로부터 얼음이 배출될 때, 상기 제2 제어박스에 걸리지 않도록 얼음을 안내하는 이빙가이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트레이는, 상기 제빙트레이로부터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연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이빙가이드는 상기 수직연장부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빙가이드 일측에 상기 제빙트레이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급수부로부터 상기 제빙트레이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이빙가이드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상기 제빙트레이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국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내부에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 그리고,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 중 적어도 한 곳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빙실 및, 상기 제빙실 내부에 구비되는 제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빙장치는 물을 수용하여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트레이와, 상기 제빙트레이 일측에 설치되며, 제빙장치 구동을 위한 전장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1 제어박스와, 상기 제1 제어박스에 수용되는 전장부의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전장부의 나머지를 수용하 는 제2 제어박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는 제빙장치 구동과 관련된 전장부가 두 개의 제어박스에 나누어져 수용되므로, 하나의 제어박스에 전장부가 모두 수용되는 경우보다 공간활용 측면에서 유리하다.
둘째, 제빙트레이의 길이를 키울 수 있으므로, 제빙트레이에 구비되는 셀 개수가 많아져서, 따라서, 단위 시간당 제빙량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이빙가이드를 구비하여 제어박스가 상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이빙 시 얼음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가 냉장고 도어에 장착되는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는 정수기, 자동판매기 등에 설치될 수 있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냉장고(10)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냉장고(10)는 본체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냉동실(20), 냉장실(30)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냉동실(20)과 냉장실(30)의 전면에는 상기 냉동실(20)과 냉장실(30)을 개폐하기 위한 냉동실 도어(22)와 냉장실 도어(32)가 각각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냉동실(20)이 냉장고(10) 하부에 위치하는 바텀 프리징(bottom freezing) 방식의 냉장고가 소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냉장실(30)은 두 개의 냉장실 도어(32)가 냉장고 본체의 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좌우로 개폐되며, 상기 냉동실 도어(5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냉장고 본체의 전후로 개폐된다.
물론, 상기 냉동실 도어(22)와 냉장실 도어(32)는 상기 냉동실(20)과 냉장실(30)의 위치에 따라서 다르게 위치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냉장고(10)는 탑 마운트형이나 양문형 냉장고 등, 어느 방식이든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냉장실 도어(32) 중 어느 하나에는 제빙실(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32) 후면 측에 프레임에 둘러 싸인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공간이 제빙실(4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40)은 냉장실(30)에 인접하게 되므로, 상기 냉장실(30)과 열교환이 일어나지 않도록 단열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빙실(40)은 상기 냉동실(20) 내부 또는 냉장실(3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사용자의 접근 편의성, 냉장고(10) 내부 공간의 활용 효율성 등을 고려할 때, 상기 냉장실 도어(32)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빙실(40) 내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가 구비되며, 그 하부에는 제빙된 얼음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아이스뱅크(42)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얼음을 배출시키기 위한 디스펜서(44)가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2 제어박스가 제1 제어박스로부터 분리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는 크게, 물을 수용하여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트레이(110)와, 상기 제빙트레이(110) 일측에 설치되며, 제빙장치(100) 구동을 위한 전장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1 제어박스(200) 및, 상기 제1 제어박스(200)에 수용되는 전장부의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전장부의 나머지를 수용하는 제2 제어박스(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빙트레이(110)에는 물을 급수받아 얼음을 만드는 공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빙트레이(110)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물을 수용하며, 그 상부에 물이 공급되고 상기 얼음이 분리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셀(cell)(111)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빙트레이(110)는 상기 셀(111)이 복수 개 형성된, 셀(111)의 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셀(111)은 여러 가지 임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실시 예에 서는 이빙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셀(111)이 반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제빙트레이(110) 후면측에는 상기 제빙장치(100)를 제빙실(40) 내부에 고정시키도록 제빙장치 지지대(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장치 지지대(112) 상부에는 볼트 등 스크류 체결을 위한 제빙장치 체결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트레이(110)에는 제빙이 완료되면 얼음을 제빙트레이(110)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이젝터(120)가 구비된다. 상기 이젝터(120)는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길이 방향(길이 방향이라 함은 상기 셀(111)이 일렬로 늘어선 방향을 의미한다.)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이젝터(120)가 회전함에 따라 얼음이 밀어 올려져 제빙트레이(110)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빙트레이(110) 하부에는 제빙된 얼음을 일부 녹여 상기 제빙트레이(110)로 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히터(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150)는 제빙트레이(110) 하부에 마련되는 소정 공간에 설치되며, 히터 커버(152)에 의해 외부와 격리된다.
상기 제빙트레이(110) 전방측에는 제빙트레이(110)에서 배출되는 얼음이 상기 아이스뱅크(42, 도 1 참조)로 안내될 수 있도록 배출가이드(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드(160)는 상기 제빙트레이(110) 전방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소정의 경사가 형성되며, 배출되는 얼음이 상기 아이스뱅크(42)로 낙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배출가이드(160)는 상기 배출가이드(160)와 결합되는 배출가이드 지지 대(162)에 고정되며, 상기 배출가이드 지지대(162)가 상기 제빙트레이(110) 전방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배출가이드(160)가 상기 제빙트레이(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빙트레이(110) 전면 하부에는 상기 아이스뱅크(42)에 수용된 얼음의 만빙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만빙감지레버(1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뱅크(42)에 수용된 얼음의 양에 따라 상기 만빙감지레버(170)가 놓여지는 위치가 달라지며, 이를 후술할 제어박스에 구비되는 홀 센서(미도시)가 그 위치 변화를 센싱하여 상기 아이스뱅크(42)의 만빙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빙트레이(110) 일측에는 제빙장치 구동을 위한 전장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1 제어박스(20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제어박스(200)는 제1 케이스(200a)와 제2 케이스(200b)가 결합하여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박스(200)는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박스(200)에는 상기 제빙장치(100)를 on/off 시키는 스위치(20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전장부는 상기 제빙트레이(110)로부터 얼음을 배출하기 위한 상기 이젝터(120) 및, 만빙 감지를 위한 상기 만빙감지레버(170)의 구동과 관련된 구동 어셈블리(230)와, 상기 구동 어셈블리(23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전자부품이 설치되는 제1 배선기판(210)과, 상기 구동 어셈블리(230)의 동작 제어를 제외한 제빙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전자부품이 설치되는 제2 배선기판(3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230)의 경우, 상기 이젝터(120)와 상기 만빙감지레버(170)의 동작과 관련된 회전축이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제어박스(20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230)가 제1 제어박스(20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중간패널(220)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 어셈블리(23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이젝터(120)와 만빙감지레버(170)가 구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3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모터(232)에서 발생되는 동력으로 상기 이젝터(120)를 회전시키는 이젝터 구동축(234)이 구비되며, 상기 이젝터 구동축(23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젝터(120)가 회전하여 제빙트레이(110)로부터 얼음을 배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젝터 구동축(234)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만빙감지레버(170)가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아암 레버(238)가 구비되는데, 상기 아암 레버(238)는 상기 이젝터 구동축(234)이 1회전 할 때마다 상기 아암 레버(238)를 구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캠(236)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는다.
여기서, 상기 만빙감지레버(170)를 구동시키는 만빙감지레버 구동축(244)이 구비되며, 상기 아암 레버(238)의 회전력을 상기 만빙감지레버 구동축(244)에 전달시키는 종동기어(242)에 의해 상기 만빙감지레버 구동축(244)이 운동한다. 이때, 상기 만빙감지레버(170)는 상기 만빙감지레버 구동축(244)을 회전축으로 하여 원호를 그리도록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동 어셈블리(230)에 의해, 상기 이젝터(120)는 1회전하여 얼음을 제빙트레이(110)로부터 배출시키며, 이때, 만빙감지레버(170)는 원호를 그리며 왕복운동한다. 즉, 상기 만빙감지레버(170)는 상측으로 회전했다가 다시 하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아이스뱅크(42) 상부에 위치하면서 만빙여부를 감지한다.
물론, 상기 구동 어셈블리(230)의 구성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빙장치(100)의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배선기판(210)과 제2 배선기판(310)은 인쇄배선기판(PWB, printed wiring board)에 해당하며,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으로 불리기도 한다. 상기 인쇄배선기판은 전자부품을 탑재하여 부품간 또는 신호선간을 전기적으로 접속을 해 주는 배선판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배선기판(210)에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23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전자부품이 설치되며, 상기 제2 배선기판(310)에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230)의 동작 제어를 제외한 제빙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전자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는 상기 제1 제어박스에 수용되는 전장부의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전장부의 나머지를 수용하는 제2 제어박스(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박스(300)는 제3 케이스(300a)와 제4 케이스(300b)가 결합하여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장부 중, 상기 구동 어셈블리(230)와 상기 제1 배선기판(210)은 상기 제1 제어박스(200)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 우, 상기 제2 배선기판(310)은 상기 제2 제어박스(300)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장부 중, 상기 제1 배선기판(210)과 상기 제2 배선기판(310)은 상기 제2 제어박스(300)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 어셈블리(230)는 상기 제1 제어박스(200)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어느 경우에도, 상기 제1 제어박스(200)에 수용되는 전장부와 상기 제2 제어박스(300)에 수용되는 전장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빙장치(100)의 구동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제어박스(300)에 수용되는 전장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패널(3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제어박스(200)와 제2 제어박스(300)에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선 연통구(208)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배선기판(210, 310)과 구동 어셈블리(230)가 상기 제1 제어박스(200)와 제2 제어박스(300)에 나누어져 구비되더라도, 상기 배선 연통구(208)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제어박스(300)는 제빙장치(100)를 수용하는 제빙실(40) 외부에 따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빙트레이(110)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제어박스(300)는 상기 제1 제어박스(200) 상부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제어박스(200) 상부에 상기 제2 제어박스(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가이드(20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제어박스(300)에 구비된 돌출부(미도시)가 상기 결합 가이드(204) 사이에서 상기 제빙장치(100)의 전방과 후방으로 안내됨으로써 상기 제2 제어박스(300)가 제1 제어박스(200)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박스(200)에는 제1 제어박스 체결구(206)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제어박스(300)에는 제2 제어박스 체결구(306)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제어박스(200)와 제2 제어박스(300)가 결합된 후, 상기 두 제어박스(200, 300)가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빙장치(100) 구동과 관련된 전장부가 제1 제어박스(200)와 제2 제어박스(300)에 나누어져 수용되면, 하나의 제어박스에 전장부가 모두 수용되는 경우보다 공간활용 측면에서 유리하다.
만일, 하나의 제어박스에 전장부가 모두 수용되어 제빙트레이(110) 측부에 구비되면, 제빙트레이(110)의 길이방향 공간이 부족하게 되며, 한정된 제빙실(40) 공간 내부에 제빙장치(100)가 설치되는 것을 고려할 때, 결국, 제빙트레이(110)의 길이가 짧아질 수밖에 없다. 그러면, 제빙트레이(110)의 셀(111) 개수가 줄어들 수밖에 없으며, 이는 단위시간당 제빙량 감소를 초래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제1 제어박스(200)에 구동 어셈블리(230) 등 구동 특성상 제빙트레이(110) 길이방향 측부에 구비되어야만 하는 전장부만 수용되고, 나머지 전장부는 제2 제어박스(300)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제어박스(300)가 상대적 으로 여유가 있는 공간에 설치되면, 제빙트레이(110)의 길이가 커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제빙트레이(110)에 구비되는 셀(111) 개수가 많아질 수 있고, 단위 시간당 제빙량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실제로, 동일한 부피를 갖는 제빙장치(100)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적용된 제빙장치(100)가 기존 제빙장치(100)보다 일일 제빙량이 25%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제2 제어박스(300)가 상기 제1 제어박스(200) 상부 일측에 결합되어 제빙트레이(110)이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얼음이 배출될 때, 상기 제2 제어박스(300)에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0)는 상기 제빙트레이(110)로부터 얼음이 배출될 때, 상기 제2 제어박스에 걸리지 않도록 얼음을 안내하는 이빙가이드(1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빙가이드(130)는 상기 제2 제어박스(300)에 얼음이 걸려 배출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얼음이 배출되는 궤적에 맞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얼음이 반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에 맞도록 상기 셀(111)로부터 부드럽게 원호를 그리도록 이빙가이드(1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빙트레이(110)로부터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연장부(116)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이빙가이드(130)는 상기 수직연장 부(116)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연장부(116)는 약 10mm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빙가이드(130) 일측에는 상기 제빙트레이(11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140) 상부에는 급수부 커버(142)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급수부(140)로부터 상기 제빙트레이(110)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이빙가이드(130)에 형성된 유로(미도시)를 통해 상기 제빙트레이(110)의 각 셀(111)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빙트레이에서 얼음이 배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히터(150)가 가동되어 상기 제빙트레이(110)와 맞닿은 얼음의 표면이 일부 녹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232)가 가동되어 상기 이젝터(120)가 회전하면서 얼음을 이동시킨다.
상기 이젝터(120)가 회전함에 따라 얼음이 상기 제빙트레이(110) 후방으로 원주를 그리며 상승하는데, 상기 이빙가이드(130)의 반력에 의해 얼음은 다시 상기 제빙트레이(110) 전방으로 향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이젝터(120)가 얼음을 지지한 상태에서 얼음은 전방을 향해 전진하고 상기 배출가이드(160) 상측에 맞닿게 된다. 그리고, 얼음은 상기 배출가이드(160)의 경사를 타고 하강하게 되며, 상기 얼음은 제빙트레이(110)로부터 배출되어 이빙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얼음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빙가이드(130)는 얼음이 상승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제어박스(300)에 부딪히거나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배출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본 발명은 제빙량을 늘리고, 이빙 시 얼음이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제빙장치와 냉장고 생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가 냉장고 도어에 장착되는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2 제어박스가 제1 제어박스로부터 분리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제빙트레이에서 얼음이 배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냉장고 20 : 냉동실
30 : 냉장실 40 : 제빙실
100 : 제빙장치 110 : 제빙트레이
120 : 이젝터 130 : 이빙가이드
140 : 급수부 150 : 히터
160 : 배출가이드 170 : 만빙감지레버
200 : 제1 제어박스 210 : 제1 배선기판
220 : 중간패널 230 : 구동 어셈블리
300 : 제2 제어박스 310 : 제2 배선기판
320 : 보호패널

Claims (14)

  1. 물을 수용하여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트레이;
    상기 제빙트레이 일측에 설치되며, 제빙장치 구동을 위한 전장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1 제어박스; 및
    상기 제1 제어박스에 수용되는 전장부의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전장부의 나머지를 수용하는 제2 제어박스;를 포함하는 제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박스는 제빙장치를 수용하는 제빙실 외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박스는 상기 제빙트레이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박스는 상기 제1 제어박스 상부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는,
    상기 제빙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배출하기 위한 이젝터 및, 만빙 감지를 위한 만빙감지레버의 구동과 관련된 구동 어셈블리와,
    상기 구동 어셈블리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전자부품이 설치되는 제1 배선기판과,
    상기 구동 어셈블리의 동작 제어를 제외한 제빙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전자부품이 설치되는 제2 배선기판을 포함하는 제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와 상기 제1 배선기판은 상기 제1 제어박스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기판과 상기 제2 배선기판은 상기 제2 제어박스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제어박스와 상기 제2 제어박스에 각각 구비되는 배선 연통구를 더 포함하는 제빙장치.
  9.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트레이로부터 얼음이 배출될 때, 상기 제2 제어박스에 걸리지 않도록 얼음을 안내하는 이빙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제빙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트레이는,
    상기 제빙트레이로부터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연장부를 포함하는 제빙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빙가이드는 상기 수직연장부 상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빙가이드 일측에 상기 제빙트레이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더 포함하는 제빙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로부터 상기 제빙트레이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이빙가이드에 형 성된 유로를 통해 상기 제빙트레이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14. 내부에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 그리고,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 중 적어도 한 곳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빙실; 및
    상기 제빙실 내부에 구비되는 제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빙장치는 물을 수용하여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트레이와, 상기 제빙트레이 일측에 설치되며, 제빙장치 구동을 위한 전장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1 제어박스와, 상기 제1 제어박스에 수용되는 전장부의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전장부의 나머지를 수용하는 제2 제어박스;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080005294A 2008-01-17 2008-01-17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405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294A KR101405959B1 (ko) 2008-01-17 2008-01-17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2008801250539A CN101952673B (zh) 2008-01-17 2008-10-17 制冰器和具有该制冰器的冰箱
EP08871147.8A EP2250450B1 (en) 2008-01-17 2008-10-17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BRPI0822014-0A BRPI0822014B1 (pt) 2008-01-17 2008-10-17 máquina de gelo e geladeira possuindo a mesma
US12/863,022 US8528351B2 (en) 2008-01-17 2008-10-17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PCT/KR2008/006132 WO2009091112A2 (en) 2008-01-17 2008-10-17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294A KR101405959B1 (ko) 2008-01-17 2008-01-17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377A true KR20090079377A (ko) 2009-07-22
KR101405959B1 KR101405959B1 (ko) 2014-06-12

Family

ID=4088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294A KR101405959B1 (ko) 2008-01-17 2008-01-17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28351B2 (ko)
EP (1) EP2250450B1 (ko)
KR (1) KR101405959B1 (ko)
CN (1) CN101952673B (ko)
BR (1) BRPI0822014B1 (ko)
WO (1) WO2009091112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0799B2 (en) 2011-12-30 2015-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1642099B1 (ko) * 2015-12-18 2016-07-22 주식회사 디알텍 독립 제어 방식의 전기식 제빙기 및 구동 방법
WO2017105023A1 (ko) * 2015-12-18 2017-06-22 주식회사 디알텍 제빙기
US11971204B2 (en) 2018-10-02 2024-04-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994330B2 (en) 2018-10-02 2024-05-2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994331B2 (en) 2018-10-02 2024-05-2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53323A4 (en) * 2006-09-01 2009-05-27 Hoshizaki Electric Co Ltd MACHINE FOR MANUFACTURING ICE FLOW DOWN
KR101665545B1 (ko) * 2009-06-23 2016-10-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제빙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EP3537076B1 (en) 2009-12-22 2021-08-1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8989894B2 (en) 2011-08-19 2015-03-24 David W. Tenberg, JR.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ice
KR20150146357A (ko) * 2014-06-20 2015-12-31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10274240B2 (en) * 2014-04-07 2019-04-30 Daechang Co., Ltd.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US11131492B2 (en) 2019-12-11 2021-09-28 Midea Group Co., Ltd. Dual direction refrigerator ice maker
US20220113075A1 (en) * 2020-10-13 2022-04-1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ce dispensing motor assembly with separate enclosures with minimized internal volum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5558A (en) * 1947-06-26 1951-03-20 Robert D Russell Ice making machine
US3217510A (en) * 1963-05-27 1965-11-16 Gen Motors Corp Apparatus for making and ejecting ice blocks
US4142378A (en) * 1977-12-02 1979-03-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Cam controlled switching means for ice maker
US4635444A (en) * 1985-04-11 1987-01-13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Ice maker
US4706465A (en) * 1986-10-06 1987-11-17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piece ejection mechanism for icemaker
US4916921A (en) * 1987-09-10 1990-04-17 Fletcher Charles J Ice maker with vertical cooling member
US4852359A (en) * 1988-07-27 1989-08-01 Manzotti Ermanno J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clear ice cubes
US5187948A (en) * 1991-12-31 1993-02-23 Whirlpool Corporation Clear cube ice maker
JP3483735B2 (ja) 1997-07-11 2004-01-06 株式会社東芝 自動製氷装置
KR100276739B1 (ko) 1998-10-31 2001-02-01 전주범 자동제빙기용 급수장치
US6286324B1 (en) * 1998-12-28 2001-09-11 Whirlpool Corporation Ice level sensing system for an ice maker
US6513337B1 (en) * 2001-08-20 2003-02-04 Gaiane Astvatsatrian System for making and dispensing colored water and colored ice cubes of varying shapes
JP3914791B2 (ja) * 2002-03-06 2007-05-16 松下冷機株式会社 自動製氷機の製氷皿駆動装置
KR100642362B1 (ko) 2004-11-02 200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기의 급수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US7487645B2 (en) 2004-12-28 2009-02-10 Japan Servo Co., Ltd. Automatic icemaker
ITTO20050665A1 (it) * 2005-09-23 2007-03-24 Elbi Int Spa Dispositivo per la produzione di blocchetti di ghiaccio in un frigorifero
US7501594B2 (en) * 2005-11-10 2009-03-10 Whirlpool Corporation Self contained actuator for refrigerator dispenser functions
KR100756990B1 (ko) * 2006-01-13 2007-09-07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용 가이드 브레이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0799B2 (en) 2011-12-30 2015-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1642099B1 (ko) * 2015-12-18 2016-07-22 주식회사 디알텍 독립 제어 방식의 전기식 제빙기 및 구동 방법
WO2017105023A1 (ko) * 2015-12-18 2017-06-22 주식회사 디알텍 제빙기
US11971204B2 (en) 2018-10-02 2024-04-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994330B2 (en) 2018-10-02 2024-05-2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994331B2 (en) 2018-10-02 2024-05-2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48045A1 (en) 2011-03-03
CN101952673B (zh) 2012-07-11
BRPI0822014A2 (pt) 2015-07-21
EP2250450B1 (en) 2018-02-21
KR101405959B1 (ko) 2014-06-12
US8528351B2 (en) 2013-09-10
WO2009091112A2 (en) 2009-07-23
EP2250450A2 (en) 2010-11-17
CN101952673A (zh) 2011-01-19
BRPI0822014B1 (pt) 2020-07-21
WO2009091112A3 (en) 2010-07-15
EP2250450A4 (en)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9377A (ko)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9625200B2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and icemaker protection
EP2419684B1 (en) Refrigerator
US9239181B2 (en) Refrigerator with ice maker in freezing compartment and transfer device to ice bank in refrigerating compartment
US20110146335A1 (en) Refrigerator
EP2407737B1 (en) Refrigerator
KR101189452B1 (ko)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US9423166B2 (en) Refrigerator
US8800316B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KR101776297B1 (ko) 냉장고
US9541327B2 (en) Ice dispenser for a refrigeration device
EP2096385B1 (en) Ice 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709402B1 (ko) 냉장실도어에 구비된 제빙실의 제빙시스템
CN101074836A (zh) 带有辅助印刷电路板的电冰箱冷藏室门
KR20110028966A (ko) 제빙기를 갖는 이동식 냉장고
KR100691886B1 (ko) 냉장고 디스펜서
KR20110072435A (ko) 냉장고
KR20050110211A (ko) 제빙기
KR20090132401A (ko) 제빙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060096534A (ko) 서브피시비가 구비된 냉장실도어
KR20080090100A (ko) 냉장고의 도어 장착 제빙기
KR20130140384A (ko) 제빙 장치
KR20050110209A (ko) 제빙기
KR20050110212A (ko) 제빙기
KR20240051634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