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099B1 - 독립 제어 방식의 전기식 제빙기 및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독립 제어 방식의 전기식 제빙기 및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099B1
KR101642099B1 KR1020150181479A KR20150181479A KR101642099B1 KR 101642099 B1 KR101642099 B1 KR 101642099B1 KR 1020150181479 A KR1020150181479 A KR 1020150181479A KR 20150181479 A KR20150181479 A KR 20150181479A KR 101642099 B1 KR101642099 B1 KR 101642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gnet
light emitting
detected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윤
정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알텍
Priority to KR1020150181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099B1/ko
Priority to PCT/KR2016/014275 priority patent/WO201710502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5Ice bins therefor with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6Multiple ice moulds or tray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2Means for sani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8Power to drive the auger motor of an auger type ice making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제빙기에 제어부를 설치하여 설치 대상이 되는 저온 저장소가 달라지는 경우라도 별도의 수정 작업이 필요 없어 신규 제빙기의 적용 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독립 제어 방식의 전기식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구동 방법이다.

Description

독립 제어 방식의 전기식 제빙기 및 구동 방법{ELECTRIC TYPE ICEMAKER OF INDEPENDENT CONTROL TYPE AND DRIVING METHOD BY THE ICEMAKER}
본 발명은 제빙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제빙기에 제어부를 설치하여 설치 대상이 되는 저온 저장소가 달라지는 경우라도 별도의 수정 작업이 필요 없어 신규 제빙기의 적용 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독립 제어 방식의 전기식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구동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제빙기라고 하는 것은 냉장고와 같은 저온 저장부에서 얼음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빙기는 도 1 및 도 5에 일부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스 트레이(IT)에 담겨져 있는 얼음을 퍼내는 블레이드(B)와 상기 블레이드(B)를 회전하는 샤프트(S)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S)는 구동 유닛(D)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블레이드(B)를 회전하게 한다.
상기 블레이드(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얼음을 퍼내게 되며, 상기 블레이드(B)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IT) 일 측에 형성되는 가이드(G)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G) 역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그 사이에 블레이드(B)가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 유닛(D)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캠(D1)을 구비하고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H)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아이스 트레이(IT) 일 측에는 만빙 감지 레버(L)가 설치되어 만빙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기식 제빙기의 경우 저온 저장부의 제작사와 제빙기 제작사가 상호 상이한 규격을 가지고 있어 기존 저온 저장부에 새로운 제빙기를 설치하는 경우 저온 저장부의 제어 알고리즘 및 회로의 수정이 불가피해지는 관계로 신규 제빙기의 적용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제빙기 자체는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중복되는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일본 공개 특허 제1997-178309호 일본 공개 특허 제1998-078279호 일본 공개 특허 제1999-037621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0531290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0826019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7-009655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빙기에 제어부를 설치하여 설치 대상이 되는 저온 저장소가 달라지는 경우라도 별도의 수정 작업이 필요 없어 신규 제빙기의 적용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독립 제어 방식의 전기식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구동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레이드(B)가 장착된 샤프트(S)를 회전하는 구동 유닛(D)을 포함하는 제빙기(10)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10)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유닛(D)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저온 저장부 또는 별도의 전력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어부(100)와, 상기 샤프트(S)에 설치되는 살균 유닛(2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살균 유닛(200)은 상기 샤프트(S)에 설치되는 판체 형상의 기판(210)과, 상기 기판(2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아이스 트레이(IT)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 유닛(220)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S)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S2)과, 일 측은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기판(210)에 연결되어 상기 발광 유닛(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부(W)를 더 포함하는 독립 제어 방식의 전기식 제빙기에 일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구동 유닛(D)이 설치되는 하우징(H) 내부 일 측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샤프트(S) 일부에 상기 기판(210)이 장착되기 위한 평탄면(S1)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삭제
또한, 상기 살균 유닛(200)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위치 감지 유닛(3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위치 감지 유닛(300)은 구동 유닛(D)의 구동 캠(D1) 중 아이스 트레이(IT)방향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어부(100)에 연결되는 홀 센서(320)와, 구동 캠(D1)과 마주보는 아이스 트레이(IT) 일 측면에 형성되는 마그네트 유닛(310)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삭제
또한, 상기 마그네트 유닛(310)은 상기 살균 유닛(200)의 발광 유닛(220)이 빛을 조사하기 시작하는 위치와 빛의 조사를 종료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발광 유닛(220)은 엘이디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전기식 제빙기를 이용하여 제빙기를 구동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빙기(10)를 구동하는 독립 제어 방식의 전기식 제빙기 구동 방법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때, 구동 유닛(D)의 구동 캠(D1) 중 아이스 트레이(IT)방향 측면에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되는 홀 센서(320)를 설치하고, 구동 캠(D1)과 마주보는 아이스 트레이(IT) 일 측면에는 마그네트 유닛(310)을 설치하되, 상기 마그네트 유닛(310)은 살균 유닛(200)의 발광 유닛(220)이 빛을 조사하기 시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311) 및 제2마그네트(312)와, 빛의 조사를 종료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마그네트(313) 및 제4마그네트(314)을 포함하여, 살균 유닛(200)의 작동을 제어하되, 홀 센서가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감지될 때 까지 발광 유닛(220)을 off한 상태에서 대기하는 제1단계(S100)와, 홀 센서에 의해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된 경우 발광 유닛(220)을 on하는 제2단계(S200)와, 특정 시간 경과하는 동안에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는지 확인하는 제3단계(S300)와, 상기 제3단계(S300)에 의해 특정 시간 경과하는 동안에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발광 유닛(220)을 off하고 상기 제1단계(S100)를 다시 수행하는 제4단계(S400)와, 상기 제3단계(S300)에서 특정 시간 경과하는 동안에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면 발광 유닛(220)의 on상태를 유지하는 제5단계(S500)와, 또 다른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는지 확인하는 제6단계(S600)와, 상기 제6단계(S600)에 의해 다른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5단계(S500)를 다시 수행하는 제7단계(S700)와, 상기 제6단계(S600)에 의해 다른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특정 시간 이내에 또 다른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는지 확인하는 제8단계(S800)와, 상기 제8단계(S800)에 의해 또 다른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5단계(S500)를 다시 수행하고, 상기 제8단계(S800)에 의해 또 다른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발광 유닛(220)을 off한 후 상기 제1단계(S100)를 다시 수행하는 제9단계(S90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설치 대상이 되는 저온 저장소가 달라지는 경우라도 별도의 수정 작업이 필요 없어 신규 제빙기의 적용 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식 제빙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제빙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제빙기로서 살균 유닛과 샤프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제빙기로서 아이스 트레이에 설치된 샤프트와 살균 유닛을 나타내되, 상기 샤프트와 살균 유닛의 일부를 절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제빙기로서, 가이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제빙기로서 구동 캠과 아이스 트레이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제빙기로서 홀 센서와 마그네트 유닛의 관계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제빙기의 구동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제빙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제빙기로서 살균 유닛과 샤프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제빙기로서 아이스 트레이에 설치된 샤프트와 살균 유닛을 나타내되, 상기 샤프트와 살균 유닛의 일부를 절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제빙기로서, 가이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제빙기로서 구동 캠과 아이스 트레이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제빙기로서 홀 센서와 마그네트 유닛의 관계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제빙기의 구동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제빙기(10)는 블레이드(B)가 장착된 샤프트(S)를 회전하는 구동 유닛(D)을 포함하는 점은 종래와 동일하나 상기 제빙기(10)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유닛(D)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저온 저장부 또는 별도의 전력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어부(100)를 더 포함하는 점이 상이하다.
즉, 본 발명의 제빙기(10) 자체에 제어부(100)가 설치되는 것이다.
종래의 제빙기의 경우에는 냉장고 등과 같은 저온 저장부에 설치되는 있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구동됨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경우 새로운 제빙기를 저온 저방부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저온 저장부의 제어 알고리듬 및 회로의 수정이 불가피해지는 관계로 신규 제빙기의 적용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제빙기(10) 자체에 제어부(100)를 설치하여 제빙기(10) 자체만으로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신규 제빙기를 저온 저장부에 설치하는 경우라도 종래와 같이 저온 저장부의 제어 알고리듬 등을 수정할 필요가 없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어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되는 저온 저장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저온 저장부에 문제가 발생하여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도 제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전력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구동 유닛(D)이 설치되는 하우징(H) 내부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유닛(D)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H)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유닛(D)이 수용되는 하우징 본체(H1)와 상기 하우징 본체(H1)를 덮는 커버(H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하우징 본체(H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00)는 도 2에서 개략적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널리 알려진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판과 제어 회로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S)에 설치되는 살균 유닛(200)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아이스 트레이(IT)에 얼음이 저장되어 있는데, 상기 얼음이 장시간 저장되어 있는 경우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기 위해 살균 유닛(200)을 설치하는 것이며, 이를 위한 살균 유닛(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S)에 설치되는 판체 형상의 기판(210)과, 상기 기판(2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아이스 트레이(IT)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 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 유닛(220)에 의해 자외선 등을 아이스 트레이(IT) 방향으로 조사하여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살균 유닛(200)은 샤프트(S)에 설치되며, 이를 위해 상기 샤프트(S) 일부에 상기 기판(210)이 장착되기 위한 평탄면(S1)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평탄면(S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210)이 안착되도록 형성된는 것이며 이를 위해 상기 샤프트(S)의 일부를 길이 방향으로 절개하여 평탄면(S1)을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살균 유닛(200)에 전원을 공급해야 하므로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S)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S2)과, 일 측은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기판(210)에 연결되어 상기 발광 유닛(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부(W)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배선부(W)가 상기 관통공(S2)을 통해 샤프트(S) 내부로 진입한 후 상기 기판(210)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발광 유닛(220)이 기판(210)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발광 유닛(220)에 전원이 공급된다.
한편, 상기 배선부(W)는 제어부(100)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발광 유닛(220)이 특정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대해서는 따로이 설명한다.
또한, 상기 발광 유닛(220)은 널리 알려진 엘이디 유닛을 이용할 수 있으며,상기 엘이디 유닛 자체는 널리 알려진 구성인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균 유닛(200)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위치 감지 유닛(300)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상기 살균 유닛(200)이 샤프트(S)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얼음을 퍼내기 위해 샤프트(S)를 구동할 때, 상기 살균 유닛(200)도 연동되어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살균 유닛(200)이 아이스 트레이(IT)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얼음을 향하는 위치에서만 발광하도록 해야하므로 상기 살균 유닛(2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유닛(300)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 감지 유닛(300)은 구동 유닛(D)의 구동 캠(D1) 중 아이스 트레이(IT)방향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어부(100)에 연결되는 홀 센서(320)와, 구동 캠(D1)과 마주보는 아이스 트레이(IT) 일 측면에 형성되는 마그네트 유닛(3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홀 센서(320)는 마그네트(310)과 대향되었을 때,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이를 제어부(100)가 인식하여 살균 유닛(2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홀 센서(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캠(D1)에서 아이스 트레이(IT) 방향 측면 즉, 도면상 우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 유닛(310)은 아이스 트레이(IT)에서 구동 캠(D1) 방향 측면, 도면상 좌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 유닛(310)은 상기 살균 유닛(200)의 발광 유닛(220)이 빛을 조사하기 시작하는 위치와 빛의 조사를 종료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이를 상기 홀센서(320)가 인식하여 발광 유닛(220)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기식 제빙기(10)에 의해 제빙기(10) 자체만으로도 상기 제부(100)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신규 제빙기를 저온 저장부에 설치하는 경우라도 종래와 같이 저온 저장부의 제어 알고리듬 등을 수정할 필요가 없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 유닛(200)에 의해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술된 바와같이 구동 유닛(D)의 구동 캠(D1) 중 아이스 트레이(IT)방향 측면에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되는 홀 센서(320)를 설치하고, 구동 캠(D1)과 마주보는 아이스 트레이(IT) 일 측면에는 마그네트 유닛(31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 유닛(310)은 살균 유닛(200)의 발광 유닛(220)이 빛을 조사하기 시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311) 및 제2마그네트(312)와, 빛의 조사를 종료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마그네트(313) 및 제4마그네트(314)을 포함하여, 살균 유닛(2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캠(도 7에서는 도시되지 않음)은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면서 샤프트를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홀 센서(320)는 구동 캠에 따라 회전하고 마그네트 유닛(310)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발광 유닛이 아이스 트레이를 바라보고 있는 시작 지점(지점I)과 종료 지점(지점II)에 상기 마그네트 유닛(310)을 배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구동 캠 회전에 따라 상기 홀 센서(320)가 지점I 및 지점II사이에 있는 마그네트 유닛(310)을 감지한 경우 발광 유닛(220)을 on하고 그 외의 지점에서는 off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홀 센서가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감지될 때 까지 발광 유닛(220)을 off한 상태에서 대기하는 제1단계(S100)를 수행한다.
즉, 도 7에서 지점I 및 지점II사이의 위치가 아닌 경우 발광 유닛이 아이스 트레이를 향하고 있지 않으므로 발광 유닛(220)을 off하는 것이다.
이후, 홀 센서에 의해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된 경우 발광 유닛(220)을 on하는 제2단계(S200)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홀 센서(320)가 지점I에 있는 마그네트(311)을 감지한 경우 발광 유닛(220)이 아이스 트레이를 향하고 있으므로 발광 유닛(220)을 on하는 것이다.
이후, 특정 시간 경과하는 동안에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는지 확인하는 제3단계(S300)를 수행하여, 상기 제2단계(S200)에서 인식된 마그네트 신호가 지점I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확인한다.
이는 저온 저장부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다가 재개된 경우 상기 발광 유닛의 위치가 지점 III에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지점III에서 출발하면 제4마그네트(314)을 인식하여 발광 유닛(220)이 잘못 on되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마그네트(311) 일측에 제2마그네트(312)을 배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첫번째 마그네트 신호 인식 후 특정 시간 내에 또 다른 마그네트 신호 즉, 제2마그네트(312)에 의한 신호가 수신되면 지점I에 발광 유닛(220)이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제3단계(S300)에 의해 특정 시간 경과하는 동안에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발광 유닛(220)을 off하고 상기 제1단계(S100)를 다시 수행하는 제4단계(S40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 유닛이 도 7에서 지점III에 있는 경우 특정 시간 경과하는 동안에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므로 시작 지점인 지점I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발광 유닛을 off 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제3단계(S300)에서 특정 시간 경과하는 동안에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면 상술된 바와 같이 시작지점(지점I)에 발광 유닛이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발광 유닛의 on상태를 유지하는 제5단계(S500)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5단계(S500)수행 후, 또 다른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는지 확인하는 제6단계(S600)를 수행한다.
즉, 도 7에서 종료 지점(지점II)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6단계(S600)에 의해 다른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종료 지점 즉, 지점 III에 도달하지 않았으므로 상기 제5단계(S500)를 다시 수행하는 제7단계(S700)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제6단계(S600)에 의해 다른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특정 시간 이내에 또 다른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는지 확인하는 제8단계(S800)를 수행한다.
즉, 상기 종료 지점(지점II)의 경우도 시작 지점(지점I)의 경우와 동일하게 종료 지점(지점II)이 맞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제3마그네트(313)과 제4마그네트(314)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발광 유닛이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종료 지점(지점II)이 시작 지점이 되므로 상기 시작 지점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한 쌍의 마그네트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8단계(S800)에 의해 또 다른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종료 지점(지점II)을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5단계(S500)를 다시 수행한다.
만일 상기 제8단계(S800)에 의해 또 다른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발광 유닛(220)을 off한다.
그리고 상기 제1단계(S100)를 다시 수행하는 제9단계(S900)를 수행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제어부 200 : 살균 유닛
210 : 기판 220 : 발광 유닛
300 : 위치 감지 유닛 310 : 마그네트 유닛
320 : 홀 센서

Claims (10)

  1. 블레이드(B)가 장착된 샤프트(S)를 회전하는 구동 유닛(D)을 포함하는 제빙기(10)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10)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유닛(D)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저온 저장부 또는 별도의 전력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어부(100)와, 상기 샤프트(S)에 설치되는 살균 유닛(2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살균 유닛(200)은 상기 샤프트(S)에 설치되는 판체 형상의 기판(210)과, 상기 기판(2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아이스 트레이(IT)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 유닛(220)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S)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S2)과, 일 측은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기판(210)에 연결되어 상기 발광 유닛(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부(W)를 더 포함하는 독립 제어 방식의 전기식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구동 유닛(D)이 설치되는 하우징(H) 내부 일 측에 설치되는 독립 제어 방식의 전기식 제빙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S) 일부에 상기 기판(210)이 장착되기 위한 평탄면(S1)이 형성되는 독립 제어 방식의 전기식 제빙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유닛(200)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위치 감지 유닛(3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위치 감지 유닛(300)은 구동 유닛(D)의 구동 캠(D1) 중 아이스 트레이(IT)방향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어부(100)에 연결되는 홀 센서(320)와, 구동 캠(D1)과 마주보는 아이스 트레이(IT) 일 측면에 형성되는 마그네트 유닛(310)을 포함하는 독립 제어 방식의 전기식 제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유닛(310)은 상기 살균 유닛(200)의 발광 유닛(220)이 빛을 조사하기 시작하는 위치와 빛의 조사를 종료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독립 제어 방식의 전기식 제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220)은 엘이디를 이용하는 독립 제어 방식의 전기식 제빙기.
  9.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 또는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식 제빙기를 이용하여 제빙기를 구동하는 방법으로서,
    제어부(100)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빙기(10)를 구동하되, 구동 유닛(D)의 구동 캠(D1) 중 아이스 트레이(IT)방향 측면에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되는 홀 센서(320)를 설치하고, 구동 캠(D1)과 마주보는 아이스 트레이(IT) 일 측면에는 마그네트 유닛(310)을 설치하며,
    상기 마그네트 유닛(310)은 살균 유닛(200)의 발광 유닛(220)이 빛을 조사하기 시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311) 및 제2마그네트(312)와, 빛의 조사를 종료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마그네트(313) 및 제4마그네트(314)을 포함하여, 살균 유닛(200)의 작동을 제어하되,
    홀 센서가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감지될 때 까지 발광 유닛(220)을 off한 상태에서 대기하는 제1단계(S100)와,
    홀 센서에 의해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된 경우 발광 유닛(220)을 on하는 제2단계(S200)와,
    특정 시간 경과하는 동안에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는지 확인하는 제3단계(S300)와,
    상기 제3단계(S300)에 의해 특정 시간 경과하는 동안에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발광 유닛(220)을 off하고 상기 제1단계(S100)를 다시 수행하는 제4단계(S400)와,
    상기 제3단계(S300)에서 특정 시간 경과하는 동안에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면 발광 유닛(220)의 on상태를 유지하는 제5단계(S500)와,
    또 다른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는지 확인하는 제6단계(S600)와,
    상기 제6단계(S600)에 의해 다른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5단계(S500)를 다시 수행하는 제7단계(S700)와,
    상기 제6단계(S600)에 의해 다른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특정 시간 이내에 또 다른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는지 확인하는 제8단계(S800)와,
    상기 제8단계(S800)에 의해 또 다른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5단계(S500)를 다시 수행하고,
    상기 제8단계(S800)에 의해 또 다른 마그네트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발광 유닛(220)을 off한 후 상기 제1단계(S100)를 다시 수행하는 제9단계(S900)를 포함하는 독립 제어 방식의 전기식 제빙기 구동 방법.
  10. 삭제
KR1020150181479A 2015-12-18 2015-12-18 독립 제어 방식의 전기식 제빙기 및 구동 방법 KR101642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479A KR101642099B1 (ko) 2015-12-18 2015-12-18 독립 제어 방식의 전기식 제빙기 및 구동 방법
PCT/KR2016/014275 WO2017105023A1 (ko) 2015-12-18 2016-12-07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479A KR101642099B1 (ko) 2015-12-18 2015-12-18 독립 제어 방식의 전기식 제빙기 및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099B1 true KR101642099B1 (ko) 2016-07-22

Family

ID=56681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479A KR101642099B1 (ko) 2015-12-18 2015-12-18 독립 제어 방식의 전기식 제빙기 및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09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8309A (ja) 1995-11-30 1997-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自動製氷機及び自動製氷機の氷皿位置制御方法
JPH1078279A (ja) 1996-09-03 1998-03-24 Matsushita Refrig Co Ltd 自動製氷装置
JPH1137621A (ja) 1997-07-11 1999-02-12 Toshiba Corp 自動製氷装置
KR20030015054A (ko) * 2001-08-14 2003-02-2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용 제빙기의 히터단속방법 및 장치
KR100531290B1 (ko) 2003-05-28 2005-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및 자동제빙기 제어방법
JP2006078021A (ja) * 2004-09-07 2006-03-23 Toshiba Corp 冷蔵庫
KR20070096552A (ko) 2006-03-27 2007-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0826019B1 (ko) 2006-10-20 2008-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KR20090079377A (ko) * 2008-01-17 2009-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8309A (ja) 1995-11-30 1997-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自動製氷機及び自動製氷機の氷皿位置制御方法
JPH1078279A (ja) 1996-09-03 1998-03-24 Matsushita Refrig Co Ltd 自動製氷装置
JPH1137621A (ja) 1997-07-11 1999-02-12 Toshiba Corp 自動製氷装置
KR20030015054A (ko) * 2001-08-14 2003-02-2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용 제빙기의 히터단속방법 및 장치
KR100531290B1 (ko) 2003-05-28 2005-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및 자동제빙기 제어방법
JP2006078021A (ja) * 2004-09-07 2006-03-23 Toshiba Corp 冷蔵庫
KR20070096552A (ko) 2006-03-27 2007-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0826019B1 (ko) 2006-10-20 2008-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KR20090079377A (ko) * 2008-01-17 2009-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22543A1 (en) Refrigerator
US20100319385A1 (en) Cam mechanism and ice making device
KR101489079B1 (ko) 전동 액추에이터
KR101642099B1 (ko) 독립 제어 방식의 전기식 제빙기 및 구동 방법
GB2489778A (en) Motor control in a power tool with a transmission
WO2010066726A3 (en) Refrigerator
ATA6482002A (de) Antrieb für schnittgutwagen auf einer aufschnittschneidemaschine
JP4261412B2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US20170226720A1 (en) Apparatus and handheld shower unit thereof for water supply and sanitary purposes, e.g. for allowing purification and either recycling of water or discarding of water
US6634618B2 (en) Water saving automatic valve
KR100756994B1 (ko) 냉장고용 제빙기
KR20100127590A (ko) 헤어 아이론 및 그 제어방법
JP7039832B2 (ja) 電動工具
KR101628876B1 (ko) 탈부착 방식의 제빙기 및 이를 이용한 탈부착 방법
KR101836580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 펌프 시스템
JP2008248723A (ja) 燃料ポンプ制御装置
JP2008298048A (ja) グロープラグの制御装置
KR20030051546A (ko) 복합 제어기능이 구비된 아이스메이커
KR20180013726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0437387B1 (ko) 냉장고용 제빙기의 히터단속방법 및 장치
KR20040034271A (ko) 팬 어셈블리를 구비한 제빙기에서 팬 제어방법
JP4972910B2 (ja) 冷凍冷蔵庫の給水量判別方法。
JP5061950B2 (ja) オイルフィルタ
WO2007001590A3 (en) Automatic bobbin rewinder system
US20190232450A1 (en) Drive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