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7303A - 넙치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예방방법 및 예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넙치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예방방법 및 예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7303A
KR20090077303A KR1020080003155A KR20080003155A KR20090077303A KR 20090077303 A KR20090077303 A KR 20090077303A KR 1020080003155 A KR1020080003155 A KR 1020080003155A KR 20080003155 A KR20080003155 A KR 20080003155A KR 20090077303 A KR20090077303 A KR 20090077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under
virus
hemorrhagic sepsis
water temperatur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순희
정희택
정성주
김진웅
오명주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03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7303A/ko
Publication of KR20090077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3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3Prevention or treatment of fish dise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수온 조절을 통한 넙치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의 예방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넙치의 양식을 위한 수온이 18~22℃로 유지되도록 조절함으로써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에의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물처리나 DNA 백신 처리 등을 하지 않고도 양식 온도의 조절을 통해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VHSV)에 대한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어 넙치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 조건의 모니터링을 통해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에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고,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 감염에 관여하는 면역 유전자를 스크리닝하여 넙치의 면역력을 강화하는 물질을 스크리닝할 수 있다.
넙치, 수온 조절,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VHSV, 면역

Description

넙치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예방방법 및 예방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of Olive Flounder}
본 발명은 넙치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예방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넙치의 양식을 위한 수온이 18~22℃로 유지되도록 조절함으로써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에 감염되는 것을 예방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정 바이러스의 복제 가능 온도범위보다 수온을 올리거나 내리는 방법으로 어류의 바이러스성 질병의 치료가 가능한 경우가 있으며 그 예로 넙치의 히라메 랍도바이러스(Hirame rhabdovirus)는 15℃ 이상에서 넙치를 사육하면 질병을 이겨낼 수 있다. 다만 대부분의 어류질병 원인 바이러스의 복제 적온이 변온동물인 숙주어류의 성장적온과 동일한 범위이므로 수온 조절에 의하여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각각의 병원체와 숙주생물과의 관계에 의하여 정해지므로 각각의 인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HS)은 아이트베 드(Egtved)병이라고 불려오던 질병으로, 원인 병원체인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는 담수산 연어과 어류에 가장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최근에 와서는 감염 대상의 범위가 확대되어 담수 및 해수 어류 모두에 질병을 유발하며, 일본과 우리나라 자연산 해수어종에서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이 검출되었을 뿐만 아니라 저수온기 동안 양식 넙치에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Takano et al., Bulletin of the European Association of Fish Pathologists, 186-192, 2000; Issiki et., al. Diseases of Aquatic Organisms, 87-99, 2001).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VHSV)는 negative strand RNA 바이러스로 랍도바이러스(rhabdovirus)과에 속한다.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는 유럽의 송어와 우리나라와 일본의 넙치의 중요한 병원체이다.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는 작은 어체뿐 아니라 출하시기의 큰 어체에도 폐사를 일으켜 경제적인 손실이 큰 바이러스이다. 최근 완도지역을 중심으로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이 발생하여 피해를 입혔다.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의 구조와 항원단백질에 대한 연구, 이들 기초 연구를 바탕으로 불활화백신, 단백질재조합백신, 약독화백신, DNA백신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약독화(attenuated) 바이러스 백신은 실험조건에서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바이러스의 병원성 회복의 위험성과 자연계로의 확산 위험성 때문에 허가가 되지 않고 있다. 또한,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 G 혹은 N 유전자를 삽입한 플라스미드를 근육 주사한 DNA백신 실험에서는 강력한 면역반응이 유도되고 폐사율도 경감되었다는 보고가 무지개송어와 넙치에서 보고되고 있다 (Byon et al., Vaccine, 921-930, 2005). 그러나 DNA 백신 유전자조작에 대한 안전성의 문제 때문에 허가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아직은 실용화단계의 백신은 없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양식장과 유사한 상황에서의 수온과 용존산소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의 감염에의 감수성의 변화를 고찰하여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에의 감염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온도조건이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 조건을 조절하여 넙치의 출혈성 패혈증 바이러스에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온도 조건을 벗어나면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을 알리는 경보발령을 통한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 감염 예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스크리닝하고, 스크리닝된 유전자를 통하여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면역력을 강화하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넙치의 양식 수온이 18~22℃로 유지되도록 조절함으로써 넙치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바이러스(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에의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넙치의 양식을 위한 수온은 2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넙치의 양식 조건 조절 시스템에서, 양식 조건 중 수온이 18~22℃의 범위를 벗어나면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에 노출될 위험이 있음을 알리는 주의 경보를 발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온이 15℃이하로 떨어지면, 온도 저하에 따라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에 노출될 위험이 높아지는 주의경보를 발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a) 18~22℃ 온도 범위 밖의 수온에서 양식된 넙치에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VHSV)를 접종하여 배양한 실험체 A 및 18~20℃ 온도 범위 내 수온에서 양식된 넙치에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VHSV)를 접종하여 배양한 실험체 B로부터 각각 신장을 채취하는 단계; (b) 면역유전자 cDNA 마이크로어레이 분석법에 의해 상기 (a) 단계에서 채취된 신장 조직의 면역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하는 단계; 및 (c) 상기 유전자 발현 양상 분석에서 실험체 B에서 양식된 바이러스 감염 넙치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면역 유전자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 감염에 관여하는 면역 유전자를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험체 A는 수온 15℃에서 양식된 넙치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험체 B는 수온 20℃에서 양식된 넙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스크리닝된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 감염에 관여하는 면역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단백질을 발현시켜 스크리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서 감염에 대한 면역력을 강화하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물처리나 DNA 백신 처리 등을 하지 않고도 양식 온도의 조절을 통해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VHSV)에 대한 감염을 예방 및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어 넙치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조건의 모니터링을 통해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고,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 감염에 관여하는 면역 유전자를 스크리닝하여 넙치의 면역력을 강화하는 물질을 스크리닝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넙치의 양식 수온이 18~22℃로 유지되도록 조절함으로써 넙치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바이러스(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에의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급격한 수온 변화와 용존산소의 변화는 어류에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질병에 대한 저항성이 떨어지며 항상성조절을 위하여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게 되므로 어체가 약해지게 된다.
또한, 해수는 수온이 올라갈수록 해수 속에 녹아들어갈 수 있는 산소의 양이 적어진다. 그러므로 고수온기에는 적은 양의 산소가 해수에 녹아들게 되고, 생물이 소모하는 산소의 양은 증가하게 되어, 양식 환경에서 발생하기 쉬운 위기상황이 된다. 즉, 용존산소는 어류의 건강상태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며 저산소 상태에서 체내 각 부분으로 산소가 공급되지 못하면 심장에서 먼 부분부터 저산소에 의하여 세포가 죽기시작하고, 죽은 세포로 세균과 기생충 등의 감염이 일어나기 쉬워진다. 어류의 표면은 점액으로 덮여있으며, 점액안에는 항체와 보체를 비롯한 기타 면역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저산소에 의하여 체표의 점액조성이 변하면 병원체에의 저항력이 떨어진다.
그러나, 수온이 증가하면, 용존산소량이 감소한다는 이유만으로 수온을 낮추기만 한다면 용존 산소량 이외에 어류에 미치는 다른 조건, 예를 들어 수온의 변화에 의해 최적의 양식 조건에서 벗어나는 수온의 영향으로 어류가 최적의 생존 조건에서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어류의 생존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수온과 용존 산소량의 상관관계, 특히 특정 온도와의 상관관계를 찾아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에 따라 완성된 것이 본 발명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넙치의 양식을 위한 수온은 20℃일 수 있다. 이는 수온 조건이 용존 산소량에 비하여 넙치의 양식, 특히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에의 감염 예방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는 도 5 및 도 6를 참조로 하면, 같은 실험조건의 용존 산소 부족에 의한 스트레스는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의 감염성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넙치의 양식 조건 조절 시스템에서, 양식 조건 중 수온이 18~22℃의 범위를 벗어나면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에 노출될 위험이 있음을 알리는 주의 경보를 발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감염 예방 시스템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예방 시스템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다만, 예방 경보 발명 단계를 요청하는 조건으로서 수온의 조건을 입력하는 것으로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온이 15℃이하로 떨어지면, 온도 저하에 따라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에 노출될 위험이 높아지는 주의경보를 발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험결과에 따르면 15℃에서보다 10℃에서 더 많은 폐사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10℃가 넙치의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력이 낮은 온도 조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a) 18~22℃ 온도 범위 밖의 수온에서 양식된 넙치에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VHSV)를 접종하여 배양한 실험체 A 및 18~20℃ 온도 범위 내 수온에서 양식된 넙치에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VHSV)를 접종하여 배양한 실험체 B로부터 각각 신장을 채취하는 단계; (b) 면역유전자 cDNA 마이크로어레이 분석법에 의해 상기 (a) 단계에서 채취된 신장 조직의 면역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하는 단계; 및 (c) 상기 유전자 발현 양상 분석에서 실험체 B에서 양식된 바이러스 감염 넙치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면역 유전자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 감염에 관여하는 면역 유전자를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면역 유전자를 스크링하는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재조합 기술과 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험체 A는 수온 15℃에서 양식된 넙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험체 B는 수온 20℃에서 양식된 넙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스크리닝된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 감염에 관여하는 면역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단백질을 발현시켜 스크리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서 감염에 대한 면역력을 강화하는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면역력을 강화시키는 물질은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조합 기술을 사용하여 스크리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링된 유전자 절편을 벡터를 사용하여 형질 전환시킨 후 이를 발현, 파쇄 및 검출등의 방법으로 스크리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예방을 위한 조건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류의 선정: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넙치의 출혈성 패혈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예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완도의 양식장에서 구입한 평균길이 11cm (평균무게 9g)의 넙치를 사용하였다. 실험에 앞서 FHM세포에서의 바이러스분리와 VHSV유전자 검출을 통하여 VHSV에 감염되지 않은 건강한 어류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용존산소 및 온도의 변화에 따른 넙치 어체의 변화
가. 해수를 순환시키지 않은 사육조의 용존산소변화
총 180마리의 넙치를 순환여과수조에 2그룹을 순치한 후 한 그룹은 사육수를 순환시키고, 나머지 그룹은 사육수를 순환시키지 않았다. 밀도는 양식현장과 유사한 정도의 넙치의 표면적이 수조바닥 전체를 덮을 정도로 조절하였으며 용존산소(DO: Dissolved Oxygen) 측정기로 온도와 용존산소를 1시간에 한 번씩 총 6시간동안 측정하였다.
용존산소 변화 결과는 도 1과 같다. 온도는 16.0에서 17.2도 사이를 유지하였으며 사육수를 순환시킨 사육조는 6.6에서 7.09의 용존산소농도가 유지되었으나 비순환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용존산소가 감소하여 넙치는 4시간 이후부터 아가미뚜껑의 움직임이 증가되고 6시간 이후에는 용존산소가 1.5까지 떨어져 입올림 현상을 보였다. 용존산소가 2이하로 떨어지면 혈액이 산성이 되고, 코티솔 등의 스트레스호르몬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치는 현장에서 펌퍼가 멈춘 후 여섯 시간이 지나면 어체에 이상이 생겨 폐사에 이르는 수치이다.
나. 온도상승에 따른 용존산소의 변화
온도에 따른 용존산소 변화를 보기 위하여 10℃에 사육하던 넙치 20마리를 에어레이션이 없는 수조에 옮겨 가온하면서, 용존산소 측정기로 온도와 용존산소를 측정을 하였다. 온도와 용존산소는 1시간에 한번씩 총 11시간동안 측정하였다.
온도에 따른 용존산소 변화 결과는 도 2와 같다. 이때, 산소의 공급은 없었고, 넙치의 표면적/탱크 바닥의 표면적은 1에 가깝다. 산소 공급이 없는 조건에서 용존산소는 온도의 증가와 넙치의 산소 소비로 인해 감소하였고, 실험 6시간 후부터 넙치들의 입올림 증상이 나타났으며, 9시간 후에는 뒤집어지기 시작하였고, 11시간 후에는 모두 폐사하였다. 에어레이션으로 산소를 공급한 그룹에서는 수온의 증가에 따른 폐사는 전혀 없었다.
즉, 온도의 증가와 산소의 공급이 부족 현상이 발생하면 넙치의 생존조건이 악화되어 폐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온도와 용존산소농도는 모두 넙치의 생존에 중요한 요건이다.
실시예 2: 온도에 따른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 VHSV ) 성장곡선 시험
25㎤ Flask에 모노레이어 배양된 FHM 세포(fathead minnow, ATCC number CCL-42)에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를 MOI가 0.01되도록 접종하고, 10, 15, 20, 25℃에서 배양하면서, 접종 후 7일간 매일 배양 상층액을 무균적으로 취하여 바이러스 역가를 측정하였다.
10℃, 15℃, 20℃에서 바이러스접종 4일 후부터는 세 그룹모두 107.5에서 108.0 TCID50(50% Tissue culture infection Dose)/㎖-1를 유지하여 바이러스증식이 양호하였다. 그러나 25℃에서는 바이러스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도 3)
실시예 3: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 VHSV )의 반수치사농도 ( LD50 ) 측정
TCID50은 FSP가 배양된 96웰 플레이트로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의 단계별 희석 배양액을 100㎕씩 넣고 20℃ 조건에서 7∼10일동안 양식하면서 바이러스에 의한 세포변성효과(Cytopathic effect CPE)를 관찰하고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의 감염가는 Reed-Muench법으로 산출하였고, LD50을 산출하기 위해 15℃ 조건에서 모두 6개의 시험구에 시험구별 시험어는 각각 10마리씩 사용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 접종액은 107.625, 106.625, 105.625, 104.625, 103.625 TCID50/㎖-1로 조정한 출혈성 패혈바이러스 배양액을 시험어에 각각 0.1㎖씩 근육 주사하였다. LD50은 17일동안의 누적 폐사율을 기준으로 Behrens-Karber법에 의하여 산출한 결과 LD50는 105.5 TCID50/㎖-1였다 (도 4).
실시예 4: 저산소상태 노출에 의한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 VHSV )에 대한 감수성 변화 확인
총 90마리씩 순치된 정상 용존산소(Normal DO) 그룹과 낮은 용존산소(Low DO) 그룹으로 준비하는데, 10℃에는 Normal DO 그룹 수조 및 Low DO 그룹 수조를 각각 4개씩, 15℃에는 Normal DO 및 Low DO 수조를 각각 5개씩 놓고, 각 수조에 넙치를 10마리씩 순치하였다.
10℃의 수조에는 107.5TCID50, 106.5TCID50, 105.5TCID50-1 로 조정한 VHSV를, 15℃의 수조에는 106.5TCID50, 105.5TCID50-1 로 조정한 VHSV를 25㎕씩 근육 주사하고, 각 온도에 대한 대조군(control: 바이러스에 감염시키지 않은 수조) 하나씩을 배정하여 20일 동안 폐사율을 관찰하였다.
도 5는 6시간동안 산소공급용 펌프가 멈춘 상태를 가정한 [도1]의 저산소 조건에 노출시킨 후, 10℃에서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것과 정상 산소농도 조건 10℃에서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것을 대조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6시간동안 산소공급용 펌프가 멈춘 상태를 가정한 [도1]의 저산소 조건에 노출시킨 후, 저산소 조건 15℃에서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것과 정상 산소농도 조건 15℃에서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것을 대조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와 도 6으로부터 정상용존산소(Normal DO)와 저산소노출(Low DO)의 폐사율이 대체로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상기와 같은 실험조건의 용존산소 부족에 의한 스트레스는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의 감염성에 특별 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온도에 따른 폐사율을 비교하면 10℃에서 15℃ 보다 더 많은 폐사를 보여 10℃에 가까운 저수온일수록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의 감염에 주의해야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 5: 수온에 따른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 VHSV )에 대한 감수성 변화 확인
수온별 병원성 시험구는 수온을 10, 18, 20, 25℃의 조건으로 조절한 후 수조에 시험어 각각 30마리씩 넣고 105.5 TCID50/㎖-1의 접종액을 0.1㎖씩 근육 주사하여 21일 동안 누적폐사율을 확인하였다.
10℃에서 90%, 18℃에서 20%가 폐사하였으며, 20℃와 25℃에서는 전혀 죽는 개체가 없었다(도 7). 죽는 개체들은 비장의 비대와 간출혈, 복수의 전형적인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증상을 나타내었다(도 8).
상기와 같은 결과에서 주목할 수 있는 점은 플라스크에서 배양하면 20℃는 바이러스의 증식이 잘 이루어지는 온도임에도 불구하고 넙치에 폐사를 전혀 일으키지 않는 점이었다. 따라서 20℃의 온도로 넙치 양식장의 수온을 조절하면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를 통하여 넙치의 생존성 및 바이러스의 증식성을 고려하면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 감염 및 치료를 위하여 양식 수온 환경이 적어도 18℃ ~ 22℃의 범위에 있도록 조절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양식 수온이 온도가 22도 보다 높게 되면 급격한 수온상승조건에서 모두 죽은 경우가 발 생하였다. 상기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는 저수온기에 발생하므로 상기의 양식 수온에서 질병의 치료를 위하여 가온하는 조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는 넙치가 저온에 적응하도록 되어있는 상태이므로 여름철에는 죽지 않는 온도인 22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폐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양식 수온은 22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도 6과 도 7에서 확인되는 결과를 토대로 20℃에서 넙치의 면역반응이 강화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어,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면역 유전자를 스크리닝할 수 있다. 즉, 15℃와 20℃ 감염조건에서의 넙치체내의 면역반응의 차이를 관찰하고 마이크로어레이 등의 방법으로 면역유전자를 스크리닝할 수 있다.
즉, 도 9와 같은 실험구를 15℃와 20℃에서 각각에 대해 설정하여 DNA chip에 의한 면역관련유전자와 Heat shock protein등 스트레스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함으로써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스크리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스크리닝된 유전자로부터 코딩되는 단백질을 촉진하는 물질을 스크리닝함으로써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을 강화하는 물질도 찾아낼 수 있다.
도 1은 사육조 탱크로 공기를 주입하지 않을 때의 용존산소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사육조에서 물의 온도를 증가시켰을 때 용존산소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3은 각기 다른 온도의 FHM 셀 라인에서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VHSV)의 성장곡선을 나타낸다.
4는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VHSV)에 감염된 넙치의 누적폐사율, 바이러스 접종농도에 따른 반수치사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5는 산소공급을 위한 펌프가 멈춘 상태를 가정한 [도 1]의 저산소 조건노출후의 10℃에서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VHSV)를 감염시킨 것과 정상 산소농도 조건 10℃에서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VHSV)를 감염시킨 것을 대조하여 나타낸 그래프이이다.
6은 산소공급을 위한 펌프가 멈춘 상태를 가정한 [도 1]의 저산소 조건노출후의 [도 1]의 저산소 조건노출 후의 15℃에서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VHSV)를 감염시킨 것과 정상 산소농도 조건 15℃에서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VHSV)를 감염시킨 것을 대조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각기 다른 온도에서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VHSV)를 주입한 넙치의 누적 폐사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넙치에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VHSV) 주입한 결과사진을 나타낸 것으 로, (a)는 간에서 출혈을 보이는 넙치; (b)는 지느러미에서의 출혈; (c)는 비장의 비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15℃와 20℃에서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VHSV) 감염된 넙치에 대한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의 세팅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5)

  1. 넙치의 양식을 위한 수온이 18~22℃로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Viral Hemorrhagic Septicemia)의 예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넙치의 양식을 위한 수온임 20℃임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의 예방 방법.
  3. 넙치의 양식조건 조절을 위한 시스템에서, 양식조건 중 수온이 18~22℃의 범위를 벗어나면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에 노출될 위험이 있음을 알리는 주의 경보를 발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의 예방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온이 15℃이하로 저하되면 온도 저하에 따라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에 노출될 위험이 높아지는 것을 알리는 주의경보를 발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의 예방 시스템.
  5.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넙치의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 감염에 관여하는 면역 유전자를 스크리닝하는 방법:
    (a) 18~22℃ 온도 범위 밖의 수온에서 양식된 넙치에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VHSV)를 접종하여 배양한 실험체 A 및 18~22℃ 온도 범위 안의 수온에서 배양된 넙치에 출혈성 패혈 바이러스(VHSV)를 접종하여 배양한 실험체 B로부터 신장을 채취하는 단계;
    (b) 면역유전자 cDNA 마이크로어레이 분석법에 의해 상기 (a) 단계에서 채취된 신장 조직의 면역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하는 단계; 및
    (c) 상기 유전자 발현 양상 분석에서 실험체 A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면역 유전자를 검출하는 단계.
KR1020080003155A 2008-01-10 2008-01-10 넙치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예방방법 및 예방 시스템 KR200900773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155A KR20090077303A (ko) 2008-01-10 2008-01-10 넙치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예방방법 및 예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155A KR20090077303A (ko) 2008-01-10 2008-01-10 넙치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예방방법 및 예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303A true KR20090077303A (ko) 2009-07-15

Family

ID=41335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155A KR20090077303A (ko) 2008-01-10 2008-01-10 넙치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예방방법 및 예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730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228B1 (ko) * 2012-05-04 2013-10-28 대한민국 넙치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예방용 백신
KR101429112B1 (ko) * 2011-11-25 2014-08-1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조성물
KR20160070955A (ko) 2014-12-11 2016-06-2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색을 이용한 넙치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질병 예방방법
KR20160077636A (ko)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준원지비아이 해조류 추출물의 바이러스성 출혈 패혈증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및 이의 용도
KR20160118506A (ko) 2015-04-02 2016-10-12 구을리주식회사 맨드라미추출물을 포함하는 어류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112B1 (ko) * 2011-11-25 2014-08-1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1322228B1 (ko) * 2012-05-04 2013-10-28 대한민국 넙치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예방용 백신
WO2013165190A1 (ko) * 2012-05-04 2013-11-07 대한민국 (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넙치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예방용 백신
CN104619337A (zh) * 2012-05-04 2015-05-13 韩国国立水产科学院 比目鱼的病毒性出血性败血症预防用疫苗
KR20160070955A (ko) 2014-12-11 2016-06-2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색을 이용한 넙치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질병 예방방법
KR20160077636A (ko)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준원지비아이 해조류 추출물의 바이러스성 출혈 패혈증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및 이의 용도
KR20160118506A (ko) 2015-04-02 2016-10-12 구을리주식회사 맨드라미추출물을 포함하는 어류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nson et al. Herpesviruses that infect fish
Wang et al. Mass mortality caused by Cyprinid Herpesvirus 2 (CyHV-2) in Prussian carp (Carassius gibelio) in China
Li et al. Presence of Tube isoforms in Litopenaeus vannamei suggests various regulatory patterns of signal transduction in invertebrate NF-κB pathway
Fabian et al. Do wild fish species contribute to the transmission of koi herpesvirus to carp in hatchery ponds?
Hick et al. Recurrent outbreaks of viral nervous necrosis in intensively cultured barramundi (Lates calcarifer) due to horizontal transmission of betanodavirus and recommendations for disease control
Zrnčić et al. Koi herpesvirus and carp edema virus threaten common carp aquaculture in Croatia
KR20090077303A (ko) 넙치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예방방법 및 예방 시스템
Jie et al. Breeding for disease resistance in poultry: opportunities with challenges
Seo et al. Outbreak of hirame rhabdovirus infection in cultured spotted sea bass Lateolabrax maculatus on the western coast of Korea
CN111035631B (zh) 乳酸钙在制备防治鲤春病毒血症病毒感染的药物中的应用
Rahmati‐Holasoo et al. First detection of koi herpesvirus from koi, Cyprinus carpio L. experiencing mass mortalities in Iran: clinical, histopathological and molecular study
Sudhakaran et al. Experimental transmission of Macrobrachium rosenbergii nodavirus (MrNV) and extra small virus (XSV) in three species of marine shrimp (Penaeus indicus, Penaeus japonicus and Penaeus monodon)
Montgomery-Brock et al. Reduced replication of infectious hypodermal and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IHHNV) in Litopenaeus vannamei held in warm water
Ito et al. Carp larvae are not susceptible to koi herpesvirus
Chen et al. The Macrobrachium rosenbergii nodavirus: A detailed review of structure, infectivity, host immunity, diagnosis and prevention
Corbeil et al. Innate resistance of New Zealand paua to abalone viral ganglioneuritis
da Silva et al. Experimental infection of infectious myonecrosis virus (IMNV) in the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Boone, 1931)
Chen et al. Construction of a genetic linkage map, QTLs mapping for low salinity and growth-related traits and identification of the candidate genes in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Raj et al.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infectivity pattern of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in giant tiger shrimp Penaeus monodon (Fabricius, 1837)
Hossain et al. Lymphocystis disease virus persists in the epidermal tissue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emminch & Schlegel), at low temperatures
TWI238041B (en) Reducing the level of bacteria and viruses in aquaculture
CN104521828A (zh) 一种三代虫纯种人工感染系统的建立方法
CN104304096A (zh) 一种牙鲆抗迟钝爱德华氏菌病优良品系的选育方法
Liang et al. Pathogenicity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yHV-2
CN103160620B (zh) 用于检测传染性造血器官坏死病病毒的特异性引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