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6438A - 유효성분 보호기능을 갖는 삼중정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효성분 보호기능을 갖는 삼중정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6438A
KR20090076438A KR1020080002393A KR20080002393A KR20090076438A KR 20090076438 A KR20090076438 A KR 20090076438A KR 1020080002393 A KR1020080002393 A KR 1020080002393A KR 20080002393 A KR20080002393 A KR 20080002393A KR 20090076438 A KR20090076438 A KR 20090076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active ingredient
lac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진혁
정이진
안재식
이상철
박성배
박진우
최덕영
김혜영
Original Assignee
(주) 뉴트리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뉴트리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 뉴트리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80002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6438A/ko
Publication of KR20090076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43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61K9/2086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 A61K9/209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containing drug in at least two layers or in the core and in at least one outer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13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8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material from plants or 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 보호기능을 갖는 삼중정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코팅층에 함유된 유효성분 보호성분이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층을 보호하여, 기능성 성분인 유효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보관성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코팅, 제정, 유산균, 제산

Description

유효성분 보호기능을 갖는 삼중정 및 이의 제조방법{THREE LAYER TABLET HAVING FUNCTION FOR PROTECTING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효성분 보호기능을 갖는 삼중정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글루코오스 등 당류를 분해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을 유산균이라고도 한다. 상기 유산균은 젖산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젖산에 의해서 병원균과 유해세균의 생육을 저지하고, 포유류의 장내에 서식하여 잡균에 의한 이상발효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으며, 유제품, 김치류 또는 양조식품 등의 전통 발효식품에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 상기 유산균은 그람양성균이며, 통성혐기성 또는 혐기성 세균이다.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과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us sp.)에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으며, 락트산균이라고도 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속에 포함된 대표적인 유산균으로는 불가리아 젖산균(Lactobacillus bulgarcus)이 있으며, 가장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고, 요구르트 의 제조시에 또는 치즈나 발효 버터 제조시의 스타터(starter)로 사용되며, 생육 최적온도는 40?이다. 최근에는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김치아이(Lactobacillus bulgarcus)가 사스(SARS;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조류독감 등에 치료효과가 있다고 보고 되었다.
유산균은 발효산물을 이용한 산업에 이용되기 때문에 유통기간 중 생존율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경구 섭취 시, 장내에서 활성을 나타내고 장내 정착 후 유산균의 발육과 번식이 일어나야 그의 기능이 제대로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인체의 구조상 섭취된 유산균은 장까지 도달하기까지에는 위를 거치게 되어있어 있으므로, 위에서 분비되는 위산으로 인한 pH 4 이하의 강산성의 위장환경에 견디어야 하고, 담즙산의 환경에서도 견디어야 한다. 따라서, 유산균을 섭취한 후 대장 내에 도달율이 낮은 문제점이 지적되었고(Roy et al., J. Dairy Sci(1990)), 비피더스 발효 음료 중 유산균은 장내정착성이 낮고 산소와 산에 의해 쉽게 사멸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Berrada et al., J. Dairy Sci(1990)).
특히, 종래의 비코팅 유산균 원말은 수분 및 온도조건이나 공기와의 접촉 여부에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저장 및 유통안정성과 2차 제품 제조시의 가공안정성을 확보하기에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람 및 동물의 섭취시에는 위산 및 담즙산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급격히 사멸하므로 장내정착성 및 유산균 고유의 효능, 효과를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산균에 코팅을 하여 사용하게 되었는데, 유산균체의 회수공정 이후에 코팅제를 투입하는 별도의 코팅공정이 요구되고, 유산 균체의 회수 및 건조분말화 공정 이후에 코팅제의 혼합교반 또는 마이크로캡슐화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고가의 코팅제 및 공정추가에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코팅제와 대등한 생존률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공정이 간단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한 코팅정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개발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수한 유효성분 보호기능을 유지하면서도, 공정이 간단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한 코팅정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 보호기능을 갖는 삼중정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유효성분이 유산균 조성물이고, 유효성분 보호기능을 갖는 유효성분 코팅 조성물이 제산제 조성물이며, 상층과 하층이 상기 코팅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중간층이 유효성분 조성물로 이루어진 삼중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이란 글루코오스 등 당류를 분해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을 의미하며, 락트산균이라고도 한다. 상기 유산균은 젖산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젖산에 의해서 병원균과 유해세균의 생육을 저지하는 특성이 있으며, 포유류의 장내에 서식하여 잡균에 의한 이상발효를 방지하여 정장제로도 이용된다. 주로, 유제품, 김치류 또는 양조식품 등의 전통발효식품에 풍부하게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공정이 간단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하면서도 코팅액을 이용한 코팅정이나 캡슐과 대등한 유효성분 보호기능이 유지되는 정제에 관한 연구를 계속하던 중, 놀랍게도 삼중정의 상층과 하층에 해당하는 코팅 조성물의 종류 및 함량을 선택함으로써, 삼중정의 제산효과, 제습효과 또는 항산화효과가 코팅정이나 캡슐과 대등한 삼중정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 보호기능을 갖는 삼중정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삼중정은 상층, 중간층 및 하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층 및 하층을 코팅층이라 정의한다. 상기 중간층은 삼중정의 용도에 부합하는 유효성분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 즉, 상층 및 하층은 유효성분 보호기능을 갖는 코팅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유효성분 조성물은 정제로 사용되는 통상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으며, 상기 유효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유산균 조성물, 비타민 조성물 및 효모추출물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산균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유산균 조성물은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일 예로 유산균 생균 분말일 수 있다. 상기 유산균 생균 분말은 통상의 방법으로 배양한 유산균 생균을 건조하고 분말화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바람직하게는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sp.),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sp.) 및 류코노스톡(Leuconostoc sp.)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불가리아 젖산균(Lactobacillus bulgarcus), 락토바실러스 김치아이(Lactobacillus bulgarcus) 및 비피더스 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산균 조성물에는 상기 유산균이 1x105 내지 1x1011 생균수(cfu)/g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산균 조성물은 상기 유산균에 추가로 부가물질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물질은 올리고당, 당알코올, 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글루콘산, 글루콘산칼슘 및 젖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올리고당은 바람직하게는 갈락토올리고당 및 프락토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일 수 있고, 셀롤로오스는 바람직하게는 결정셀룰로오스 및 HPMC(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스테아린산(stearic acid)은 지방에서 얻어지는 고형지방산이다. 상기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은 상기 스테아린산 및 팔미틴산의 마그네슘염의 혼합물로서, 식품의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키고 유화안정성을 증진하며 식품의 물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식품첨가물이다.
본 발명의 유산균 조성물의 함량은 전체 유산균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산균 25 내지 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중량부, 갈락토올리고당 10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2 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10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6 중량부, HPMC 1 내지 2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2 중량부, 결정셀룰로오스 35 내지 4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9.8 중량부,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5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유산균 조성물은 유산균에 의한 정장효과를 최대한 확보기 위하여 유산균의 수를 유산균 함유 제품 기준에 적합하게 유지하면서, 유산균이 장에서 작용할 수 있도록 캡슐 유산균 제재와 대등한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보유하고, 상기 조성물을 타정할 경우 각 층의 두께를 동일하게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의 함량으로 각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타민 조성물은 비타민을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비타민이란 지용성 비타민(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F 및 비타민 K)과 수용성 비타민(비타민 B복합체, 비타민 C, 비오틴, 폴산, 콜린, 이노시톨)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 복합체, 비타민 C 및 비타민 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효모추출물 조성물은 효모추출물(yeast extract)을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효모추출물은 효모 세포의 성분인 아미노산, 펩타이드, 탄수화물(carbohydrates) 및 염류인 수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식용 효모 내에 원래 존재하는 효소 또는 식품용 효소류의 첨가에 의해 폴리펩타이드 결합이 가수분해되어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보호하기 위한 정제인 제피정의 코팅제로 사용되는 통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으며, 상기 코팅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제산효능을 가진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제산효능을 가진 성분은 제산제(antacid)라고도 하며, 상기 제산효능을 가진 성분은 위산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제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산제는 바람직하게는 위액분비를 억제하고 위산을 중화시키는 중화제, 위산을 흡 착하여 그 작용을 줄이는 흡착제 및 분비억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중화제는 탄산수소칼륨, 구연산칼슘(calcium citrate), 소다(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슘, 산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및 수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pH 조절능이 우수한 탄산수소칼륨 및 구연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흡착제는 규산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겔 또는 비스무트제일 수 있다.
상기 제산효능을 가진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추가로 감초추출물(licorice extract) 및 글리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산효능을 가진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함량은 전체 코팅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연산 칼슘 25 내지 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중량부, 탄산수소칼륨 25 내지 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9 중량부, 감초추출물 분말 35 내지 4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0 중량부, 글리신 0.5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제산효능을 가진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제산효능을 가진 성분들이 유산균 조성물과 함께 동일한 두께로 타정이 가능하도록 상기의 함량으로 각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삼중정은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상층 및 하층과 유효성분 조성물을 포함하는 중간층으로 이루어진 유효성분 보호기능을 갖는 코팅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효성분 보호기능을 갖는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구체적으로는 상기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상층 및 하층과 유효성분 조성물을 포함하는 중간층으로 이루어진 유효성분 보호기능을 갖는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유효성분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코팅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5 내지 55 중량부를 하층에 위치하고, 상기 유효성분 조성물을 중간층에 위치한 후, 상기 코팅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5 내지 55 중량부를 위치하여 삼중정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삼중정 조성물을 타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효성분 보호기능을 갖는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삼중정은 상층, 중간층 및 하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층 및 하층을 코팅층이라 정의한다. 상기 중간층은 삼중정의 용도에 부합하는 유효성분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 즉, 상층 및 하층은 유효성분 보호기능을 갖는 코팅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유효성분 조성물 또는 코팅 조성물은 통상의 부형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박하유 등 향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유산균 조성물일 수 있고, 상기 유효성분 조성물을 제조하 는 단계는 전체 유효성분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산균 30 중량부, 갈락토올리고당 12 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16 중량부, HPMC 1.2 중량부, 결정셀룰로오스 39.8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 1 중량부의 함량으로 상기 성분을 혼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제산효능을 가진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으며, 상기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전체 코팅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연산 칼슘 30 중량부, 탄산수소칼륨 29 중량부, 감초추출물 분말 40 중량부 및 글리신 1 중량부의 함량으로 상기 성분을 혼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삼중정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상층 및 하층에 위치하는 코팅 조성물의 양은 2:1 내지 1:2(상층:하층), 바람직하게는 45:55 내지 55:45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같은 양일 수 있다.
상기 삼중정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코팅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5 내지 55 중량부를 하층에 위치하고, 상기 유효성분 조성물 전체를 중간층에 위치한 후, 상기 코팅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5 내지 55 중량부를 위치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과 상기 유효성분 조성분의 양은 4:1 내지 1:1(코팅 조성물 : 유효성분 조성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1일 수 있다.
상기 삼중정 조성물을 타정하는 단계는 통상의 삼중정 타정기 일 예로, 로타리타정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세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응용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산균 조성물 및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삼중정은 종래의 비코팅 유산균 원말에 비하여, 저장안정성 및 유통안정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코팅 유산균이나 마이크로캡슐활 공정에 의해 제조된 캡슐 유산균 제재와 대등한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보유할 뿐만 아니라, 코팅공정에 비교적 간단한 타정공정만을 수행하면 되므로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고가의 코팅제가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제조원가가 낮아 저렴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산업적으로 그 효과가 매우 크다 할 것이다.
유산균 150 mg(유산균 수 7.5x109), 갈락토올리고당 60 mg, 프락토올리고당 80 mg, HPMC 6 mg, 결정셀룰로오스 199 mg 및 스테아린산 5 mg을 혼합하여 유산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구연산 칼슘 300 mg, 탄산수소칼륨 290 mg, 감초추출물 분말 400 mg 및 글리신 10 mg을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코팅 조성물 500 mg을 타정기 제일 하면에 넣고, 상기 유효성분 조성물 500 mg을 코팅 조성물 위에 올려 넣은 후, 상기 유효성분 조성물 위에 상기 코팅 조성물 500 mg을 올려 넣고 타정을 하여 유효성분 보호기능을 갖는 삼중정을 제조하였다.

Claims (1)

  1.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산균 30 중량부, 갈락토올리고당 12 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16 중량부, HPMC 1.2 중량부, 결정셀룰로오스 39.8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 1 중량부의 함량으로 상기 성분을 혼합하여 유산균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연산 칼슘 30 중량부, 탄산수소칼륨 29 중량부, 감초추출물 분말 40 중량부 및 글리신 1 중량부의 함량으로 상기 성분을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코팅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5 내지 55 중량부를 하층에 위치하고, 상기 유효성분 조성물을 중간층에 위치한 후, 상기 코팅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5 내지 55 중량부를 위치하여 삼중정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삼중정 조성물을 타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효성분 보호기능을 갖는 삼중정 제조방법.
KR1020080002393A 2008-01-09 2008-01-09 유효성분 보호기능을 갖는 삼중정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764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393A KR20090076438A (ko) 2008-01-09 2008-01-09 유효성분 보호기능을 갖는 삼중정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393A KR20090076438A (ko) 2008-01-09 2008-01-09 유효성분 보호기능을 갖는 삼중정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438A true KR20090076438A (ko) 2009-07-13

Family

ID=4133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393A KR20090076438A (ko) 2008-01-09 2008-01-09 유효성분 보호기능을 갖는 삼중정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643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939A1 (ko) * 2017-06-13 2018-12-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성 환경에서 프로바이오틱스를 보호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전달용 하이드로겔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전달용 조성물
KR20180135797A (ko) * 2017-06-13 2018-12-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성 환경에서 프로바이오틱스를 보호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전달용 하이드로겔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전달용 조성물
KR20190108798A (ko) * 2018-03-15 2019-09-2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바이오틱스 전달용 벤토나이트-하이드로겔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전달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939A1 (ko) * 2017-06-13 2018-12-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성 환경에서 프로바이오틱스를 보호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전달용 하이드로겔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전달용 조성물
KR20180135797A (ko) * 2017-06-13 2018-12-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성 환경에서 프로바이오틱스를 보호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전달용 하이드로겔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전달용 조성물
US11554096B2 (en) * 2017-06-13 2023-01-17 Pusan National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Probiotics-delivering hydrogel formulation for protecting probiotics in acidic environment and composition for delivering probiotics comprising same
KR20190108798A (ko) * 2018-03-15 2019-09-2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바이오틱스 전달용 벤토나이트-하이드로겔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전달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2931B2 (ja) プレバイオティック製剤および使用方法
JP5001847B2 (ja) セロオリゴ糖含有組成物
JP7094330B2 (ja) プロバイオティクス強化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141585A (zh) 一种用于调节肠道菌群的复合益生菌发酵菌剂及其制备方法
US11166992B2 (en) Composition for use in the therapy of lactose intolerance or conditions arising from lactase deficiency
US20150119360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bifidobacteria growth
JP2019516775A (ja) プロバイオティクス及び消化酵素の組成物並びにその調製方法及び使用
EP2710901A1 (en) Dietary supplement compositions
TWI807545B (zh) 製造囊化益生菌的方法、囊化益生菌、包含其之食品或功能性健康食品、醫藥組合物或藥劑及化妝品組合物
KR20090076438A (ko) 유효성분 보호기능을 갖는 삼중정 및 이의 제조방법
JP7383120B2 (ja) 皮膚状態改善用組成物
WO2019202604A1 (en) Moisture resistant probiotic granule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KR101274604B1 (ko) N―아세틸뉴라민산을 포함하는 글리코마크로펩티드 뉴라미니다아제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천연 항균제 조성물
JPH09154535A (ja) 納豆菌含有組成物
KR20140118348A (ko) 식물성 뮤신 및 수용성 식이 섬유소를 이용한 마이크로 코팅 생균제의 제조 방법
JP4579783B2 (ja) 乳酸菌含有打錠チューインガ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108822A (ko) 과민성대장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US20200254033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gastrointestinal disorder containing lactobacillus plantarum
US20230302066A1 (en) Probiotic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oral candida infections
JP2014210718A (ja) 腸管バリア機能改善剤
KR102515677B1 (ko) 리토탐니온으로 코팅되어 장 건강 및 유해균 억제 능력이 향상된 유산균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17109973A (ja) 機能性胃腸症改善剤
JP2002234847A (ja) 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菌抑制剤
KR20230153832A (ko) 리모실락토바실러스 퍼멘툼 mg4295 균주를 포함하는 혈당 저하용 조성물
KR20190134260A (ko) 질염 예방 및 치료용 알룸 함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