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5778A -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 이를 이용한 유동무선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 이를 이용한 유동무선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5778A
KR20090075778A KR1020090000464A KR20090000464A KR20090075778A KR 20090075778 A KR20090075778 A KR 20090075778A KR 1020090000464 A KR1020090000464 A KR 1020090000464A KR 20090000464 A KR20090000464 A KR 20090000464A KR 20090075778 A KR20090075778 A KR 20090075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network
terminal
network
floating
priv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0510B1 (ko
Inventor
김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스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스브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스브로
Publication of KR20090075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510B1/ko
Priority to PCT/KR2009/00616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076963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23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using cryptography, e.g.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61Pools of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7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동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는,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에 있어서, 무선통신 반경 내에서 동일한 무선통신 프로토콜 표준을 사용하여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에 DHCP 기능을 통해 사설IP를 부여하여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생성하는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부;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네트워크 내의 단말기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한 게임 또는 채팅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모듈을 전송하고, 각 단말기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모듈과 상기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데이터통신을 수행하여 게임서버 또는 채팅서버 기능을 수행하는 엔터테인먼트 서버부;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 및 각 단말기에 설치되어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한 게임기능 또는 채팅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모듈과 각 단말기에 전송될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의 사용자 스스로 원하는 임의의 장소에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으며, 구축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방송/전송하거나 또는 접속 된 단말기 간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수신을 중계하거나 또는 접속된 여러 단말기에 네트워크 게임 또는 네트워크 채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igure P1020090000464
유동 네트워크, 무선네트워크, 사설IP, 네트워크 게임, 네트워크 채팅

Description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 이를 이용한 유동 무선네트워크 시스템{A Portable Dynamic wireless-network generating Equipment and Dynamic wireless-network system with the Portable Dynamic wireless-network generating Equipment}
본 발명은 개인휴대가 가능하여 임의의 장소에서 동일한 무선통신 프로토콜 표준을 준수하는 무선 단말기들을 수용하여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생성하는 개인휴대형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와 이러한 개인휴대형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를 이용하여 임의의 장소에서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문자 데이터, 기호 데이터, 음악 데이터, 음향 데이터,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그림 데이터, 사진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또는 다수 단말기간 네트워크 게임 또는 다수 단말기간 네트워크 채팅이 가능한 유동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RFC2131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1997.3.
[문헌 2] RFC3442 The Classless Static Route Option for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vesrion 4, 2002.12.
[문헌 3] RFC4280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ptions for Boradcast and Multicat Control Services, 2005.11.
[문헌 4] RFC1918 Address Allocation for Private Internets, 1996.2.
[문헌 5] RFC3580 IEEE802.1x Remote Authentication Dial In User Service (RADIUS) Usage Guidelines, 2003.9.
[문헌 6] IEEE Std 802.11™-2007 Part11: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MAC) and Physical Layer(PHY) Specifications, 2007.06.12.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개인휴대형 무선단말기는 사전에 구축된 고정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구축된 네트워크 시스템과의 접속 프로토콜을 통해 해당 네트워크의 종단 단말기로 수용된 후 네트워크 내의 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 하거나, 또는, 개인휴대형 무선단말기 각각이 무선통신 노드 역할을 수행하는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애드혹 네트워크 내의 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하였다.
일예로 셀룰러 네트워크에 있어 셀룰러 단말기의 경우 사전에 유무선 통신 변환장치인 기지국 혹은 중계 장치가 구비된 고정 셀룰러 네트워크가 구축된 후, 셀룰러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을 통해 기지국 또는 중계 장치에 접속하여 해당 셀룰러 네트워크에 수용되어 네트워크 내의 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하였다.
또한 무선랜 네트워크에 있어 무선랜 단말기의 경우 사전에 유무선 통신 변환장치인 액세스포인트가 구비된 고정 인터넷 네트워크가 구축된 후, 무선랜 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을 통해 액세스포인트에 접속하여 해당 인터넷 네트워크에 수용되어 네트워크 내의 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하였다. 한편, 무선랜 프로토콜 표준에 근거한 애드혹 통신방법에 의해 무선랜 단말기 각각이 애드혹 네트워크의 노드 역할을 수행하여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축한 후, 애드혹 네트워크 내의 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 고정 네트워크 내에서 개인휴대형 무선단말기 는 고정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영역 내에서만 무선통신이 가능하며 고정 네트워크 영역 내에서 개인휴대형 무선단말기의 이동은 가능하지만 네트워크 자체가 이동하면서 무선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한편, 애드혹 무선통신 방법에 의한 애드혹 네트워크의 경우 유동적인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구축은 가능 하나, 각각의 개인휴대형 무선단말기가 애드혹 노드 역할 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야 하고 애드혹 네트워크 내에서 인접한 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은 직접 통신이 가능하나 인접 범위를 벗어날 경우 간접적인 통신 경로로서 여러 노드를 경유하게 되므로 노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간접적으로 무선통신에 참여하는 개인휴대형 무선단말기의 성능은 물론 애드혹 네트워크 자체의 성능 저하를 발생 시키며, 노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간접적으로 참여하는 개인휴대형 단말기가 무선데이터가 전송되는 무선통신 경로에 위치하게 되므로 데이터의 보안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에 있어서, 무선통신 반경 내에서 동일한 무선통신 프로토콜 표준을 사용하여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에 DHCP 기능을 통해 사설IP를 부여하여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생성하는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부;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네트워크 내의 단말기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한 게임 또는 채팅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모듈을 전송하고, 각 단말기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모듈과 상기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데이터통신을 수행하여 게임서버 또는 채팅서버 기능을 수행하는 엔터테인먼트 서버부;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 및 각 단말기에 설치되어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한 게임기능 또는 채팅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모듈과 각 단말기에 전송될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전술한 엔터테인먼트 서버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게임기능을 제공하도록 선택된 경우, 상기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각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게임기능 실행에 필요한 처리를 한 후,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가 전송된 단말기 또는 모든 단말기로 처리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게임서버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전술한 엔터테인먼트 서버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채팅기능을 제공하도록 선택된 경우, 상기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채팅방을 개설하고 개설된 채팅방에 참여한 각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채팅데이터를 수신하여 채팅방에 참여한 타 단말기로 전송하는 채팅서버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에 있어서, 무선통신 반경 내에서 동일한 무선통신 프로토콜 표준을 사용하여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에 DHCP 기능을 통해 사설IP를 부여하여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생성하는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부;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네트워크 내의 단말기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수신/재생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모듈을 전송하고,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네트워크 내의 단말기로 저장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방송하거나 또는 특정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타 단말기로 전송 또는 방송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운용부;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 및 각 단말기에 설치되어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수신/재생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모듈과 각 단말기에 전송될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전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운용부는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네트워크 내의 단말기와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간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수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네트워크 내의 각 단말기간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수신을 중계하는 콘텐츠 송수신모듈;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네트워크 내의 각 단말기로 방송되거나 또는 전송될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방송/전송조건을 설정하는 콘텐츠 관리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유동 무선네트워크는 2.4Ghz ISM(Industrial, Science and Medical) 무선 주파수 대역 또는 비인가 5 Ghz 무선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한 대역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부에서 단말기에 할당하는 사설IP는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 또는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에 따른 사설IP가 되도록 구성됨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부는, 접속을 요청한 단말기에 DHCP(동적 호스트 설정 통신규약,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기능을 통해 사설IP를 할당하여 연결설정하거나 또는, 접속된 단말기에 할당된 사설IP를 회수하여 연결을 해제하는 DHCP 모듈; 단말기에 할당가능한 사설IP정보와 각 단말기에 할당된 사설IP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사설IP 모듈; 인증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접속을 요청한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 단말기의 접속을 허용하며, 인증에 실패하는 경우 할당된 사설IP를 회수하여 연결을 종료하는 인증모듈; 및 접속된 단말기의 수, 접속상태, 유동 무선네트워크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주기적으로 현재 접속정보를 표시하는 네트워크 관리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사설IP 모듈은 무선통신 반경 내의 다른 망의 사설IP 사용환경을 분석하여 다른 망에서 사용하고 있는 사설IP 사용범위를 회피할 수 있는 범위의 사설IP를 단말기에 할당가능한 사설IP로 판단하도록 구성됨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 상기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무선 데이터통신경로로 이용되는 유동 무선네트워크; 및 상기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로 접속을 요청하여 사설IP를 부여받아 상기 유동 무선네트워크에 참여하며, 상기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클라이언트 모듈을 수신받아 설치하고, 단말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치된 클라이언트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한 네트워크 게임 또는 네트워크 채팅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신/재생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방송을 수행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를 이용한 유동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동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에 따르면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의 사용자 스스로 원하는 임의의 장소에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장소에 구축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방송/전송하거나 또는 접속된 단말기 간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수신을 중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장소에 구축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여러 단말기에 네트워크 게임 또는 네트워크 채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구체적인 특징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동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은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 유동 무선네트워크(1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형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이하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라 함)(100)는 개인휴대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장소에서 무선통신 반경 내에 있는 동일한 무선통신 프로토콜 표준을 준수하는 무선 단말기(110)들을 수용하여 유동 무선네트워크(120)를 생성하고, 생 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단말기(110)에 네트워크 게임서비스 또는 네트워크 채팅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문자 데이터, 기호 데이터, 음악 데이터, 음향 데이터,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그림 데이터, 사진 데이터, 아바타, 아이템 포함, DJ용 아바타 등)의 수신/재생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를 이용한 유동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은 기존의 고정형 유무선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네트워크 게임, 네트워크 채팅,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수신, 멀티미디어 콘텐츠 방송 등)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를 통해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한 네트워크 서비스 자체는 본 발명의 주요한 기술적 특징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주요한 기술적 특징은 이러한 기존의 기술에 따른 위치적 제약을 벗어나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장소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동성을 가지는 무선네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는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와 이를 이용한 유동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에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는 조작기(미도시), 마이크(미도시), 카메라(미도시) 등의 입력부(미도시), 스피커(미도시), LCD(미도시) 등의 출력부 및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통신부(200)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DA, 노트북, UMPC, 내비게이션장치, 휴대용 게임기 등의 개인용 정보통신기기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는 무선통신 반경 내에 있는 동일한 무선통신 프 로토콜 표준을 준수하는 단말기(110)의 접속요청에 따라 접속을 요청한 각 단말기(110)에 사설IP를 할당하여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생성/유지하고,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의 사용자의 조작 또는 단말기(110)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게임서비스, 또는 네트워크 채팅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수신 서비스 등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의 상세한 기능과 구성에 대해서는 도 2a, 2b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유동 무선네트워크(120)는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에 의해 생성/유지/소멸되며,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와 접속한 단말기(110) 간의 무선 데이터통신 또는 접속한 각 단말기(110) 간의 무선 데이터통신경로로 이용된다.
이때,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에 의해 생성/유지되는 무선네트워크는 ISM(Industrial, Science and Medical) 무선 주파수 대역 또는 비인가 5㎓ 무선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한 대역을 사용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ISM(Industrial, Science and Medical) 무선 주파수 대역이란 산업, 과학, 의료 분야용으로 국제기구(FCC)에서 할당한 주파수 대역으로서 세계적으로 902~928MHz, 2.4G~2.4835GHz, 5.725G~5.835GHz 주파수 밴드를 ISM 밴드로 설정되어 있다. 이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 할당을 위한 허가가 필요 없으며, 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장비의 출력은 17dBm/50mW 까지 가능하다. 한편, 비인가 5㎓ 무선 주파수 대역은 IEEE 802.11a 및 HIPERLAN/2가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주파수 할당을 위한 인가가 필요 없다.
본 발명에서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하여 802.11a, 802.11b, 802.11g 중 필 요에 따라 적절한 무선통신 규약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802.11a, 802.11b, 802.11g란 IEEE 작업그룹이 개발한 무선 랜을 위한 규격 모음으로서, 이 세가지 형식의 규약은 경로 공유를 위해 모두 이더넷 프로토콜인 CSMA/CA를 사용한다. 802.11b 표준이 초당 약 11 Mbps의 속도를 제공하는데 비해, 가장 최근에 승인된 표준인 802.11g는 비교적 짧은 거리에서지만, 최고 54 Mbps까지의 빠른 전송속도를 제공한다. 802.11g도 802.11b와 같이 2.4 GHz 대역에서 동작하므로, 둘 간에는 서로 호환성이 있다. 802.11b 표준은 802.11에 대해 후위 호환성을 제공한다. 전통적으로 802.11에서 사용되는 변조방식은 PSK이었지만, 802.11b에서 채택한 변조 방식은 더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를 제공하면서도, 다중 경로 전달에 의한 간섭을 받을 소지가 적은 CCK를 사용한다. 802.11a 규격은 무선 ATM 시스템에 적용되며, 액세스 허브에서 주로 사용된다. 802.11a는 5 GHz~6 GHz의 무선 주파수 대역폭에서 동작한다. 802.11a는 최고 54 Mbps까지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낼 수 있도록 OFDM이라고 불리는 변조 방식을 사용한다.
5GHz 대역의 경우 비교적 높은 주파수인 관계로 다른 소형 무선 장치들이 주파수 경쟁을 하기에는 부적절하므로 IEEE 802.11a는 IEEE 802.11b보다 다른 장치에 의한 간섭이 현격하게 줄어들며, 54MBps의 빠른 전송률을 지원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동 무선네트워크는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의 DHCP 기능을 통한 사설IP를 이용하여 구성된 개인방송을 위한 독립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는 상대적으로 근거리 무 선통신만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동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은 무선 데이터 통신반경제한을 극복하기 위하여 중계용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계용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는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의 무선통신반경 내에서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로부터 사설IP를 할당받아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의 무선통신반경 밖에 있는 단말기(미도시)와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간의 데이터(네트워크 게임데이터, 네트워크 채팅데이터,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를 송수신을 중계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동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은 상술한 중계용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데이터 통신반경의 제한을 극복하여 더욱 먼 거리에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110)는 단말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일한 무선통신 프로토콜 표준을 준수하는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로 접속을 요청하여 사설IP를 할당받아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120)에 참여하게 되며,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클라이언트 모듈을 수신받아 설치하고, 단말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치된 클라이언트 모듈을 이용하여 유동 무선네트워크(120)를 통한 네트워크 게임 또는 네트워크 채팅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신/재생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방송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단말기(110)는 조작기(미도시) 등의 입력부, 스피커(미도시), LCD(미도시) 등의 출력부 및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통신부(미도 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DA, 노트북, UMPC, 내비게이션장치, 휴대용 게임기 등의 휴대용 개인용 정보통신기기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무선네트워크는 IEEE 802.11 규약을 기본으로 무선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바, IEEE 802.11 규약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부가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네트워크는 필요에 따라 IEEE 802.11 규약 이외의 각종 범용 무선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기(110)에 설치되는 클라언트 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유동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네트워크 게임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기(110)에 설치되는 클라이언트 모듈은 서비스되는 네트워크 게임의 클라이언트 모듈로 구성되며, 네트워크 채팅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기(110)에 설치되는 클라이언트 모듈은 서비스되는 네트워크 채팅서비스의 클라이언트 모듈로 구성되고, 네트워크를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송수신 또는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수신/재생/방송기능을 구비한 클라이언트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클라이언트 모듈(242)을 발명을 구성하기에 따라 하나 이상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클라이언트 모듈(242)의 기능과 구성은 기존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되고 있는 네트워크 게임 클라이언트 모듈, 네트워크 채팅 클라이언트 모듈,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수신/재생/방송 클라이언트 모듈에 대한 공지된 기술을 채택하고 있는 바 더 이상 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동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에 참여하는 단말기(110)는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에 의해 사설IP가 부여되어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120)에 참여하게 되므로,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와 단말기(110)와 직접통신,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를 통해 접속된 각 단말기(110) 사이의 간접통신, 접속된 각 단말기(110) 사이의 직접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통신방법은 P2P(Peer to Peer) 및 브로드캐스팅 통신을 포함한다. 즉, 기존 표준에 의할 때 부여된 사설IP의 마지막 번지가 UDP(user diagram protocol) 방송 IP가 되므로 모든 단말기(110)의 방송이 가능하게 된다.
도 2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의 물리적인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의 논리적인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는 무선통신부(200),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부(210), 엔터테인먼트 서버부(220), 멀티미디어 콘텐츠 운영부(230) 및 저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00)는 유동 무선네트워크(120)를 통해 접속된 단말기(11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무선통신부(200)는 하드웨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생성/유지/소멸시키게 되며,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 크(120)를 통해 접속된 단말기(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부(200)는 IEEE 802.11a, IEEE 802.11b, IEEE802.11g , IEEE802.11n 등의 각종 범용 무선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240)에는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로부터 각 단말기(110)로 전송될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택될 수 있는 네트워크 게임 클라이언트 모듈, 네트워크 채팅 클라이언트 모듈,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수신/재생/방송 클라이언트 모듈이 저장된다. 이러한 저장부(24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램디스크 드라이브 등 각종 범용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부(210)는 무선통신 반경 내에서 동일한 무선통신 프로토콜 표준을 사용하여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110)에 DHCP 기능을 통해 사설IP를 부여하여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생성/유지/소멸시키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부(210)는 접속을 요청한 단말기(110)에 DHCP(동적 호스트 설정 통신규약,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기능을 통해 사설IP를 할당하여 연결설정하거나 또는, 접속된 단말기에 할당된 사설IP를 회수하여 연결을 해제하는 DHCP 모듈(212)과, 단말기(110)에 할당가능한 사설IP정보와 각 단말기(110)에 할당된 사설IP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사설IP 모듈(214)과, 인증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접속을 요청한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 단 말기(110)의 접속을 허용하며, 인증에 실패하는 경우 해당 단말기(110)에 할당된 사설IP를 회수하여 연결을 종료하는 인증모듈(216) 및 접속된 단말기(110)의 수, 접속상태, 유동 무선네트워크(120)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주기적으로 현재 접속정보를 표시하는 네트워크 관리모듈(218)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HCP 모듈(212)은 접속을 요청한 단말기(110)에 DHCP(동적 호스트 설정 통신규약,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기능을 통해 사설IP를 할당하여 연결설정하거나 또는, 할당된 사설IP를 회수하여 연결해제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DHCP 모듈(212)은 DHCP 서버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무선통신 반경 내에서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110)에 사설IP 관리모듈에 저장된 사설IP 정보를 이용하여 사설IP를 설정해 줌으로써 유동 무선네트워크의 구성과 이를 통한 각종 네트워크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기능하게 된다.
사설IP 모듈(214)은 단말기(110)에 할당가능한 사설IP정보와, 현재 단말기(110)에 할당된 사설IP정보를 저장, 관리하게 된다. 사설IP 모듈(214)에 의해 생성/저장되는 사설IP정보는 DHCP 모듈(212)에 의해 참조되어 단말기(110)에 할당되는 사설IP를 결정하게 되며, 사설IP가 결정되어 단말기(110)에 할당되거나 회수되어 접속해제되는 경우 실시간으로 사설IP정보가 이를 반영하여 갱신된다.
인증모듈(216)은 사용자가 인증기능을 선택한 경우, 인증된 단말기(110)만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동 무선네트워크에 참여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증모 듈(216)은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신규 단말기(또는 사용자)로부터 등록정보를 전송받아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240)에 저장하여 신규등록을 하게 된다. 또한, 접속된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인증정보(단말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부(240)에 저장된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단말기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에 성공한 경우 해당 단말기(110)의 유동 무선네트워크 참여를 허용하며, 인증에 실패하는 경우 해당 단말기(110)에 할당된 사설IP를 회수하여 연결을 종료하게 된다.
네트워크 관리모듈(218)은 접속된 단말기의 수, 접속상태, 무선통신감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미리 설정된 정보에 따라 상시 또는 주기적으로 lcd 등의 표시부를 통해 현재의 접속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실시간 접속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모듈(218)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실시간 접속정보는 저장부(240)에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관리모듈(218)은 사용자가 특정 시간대의 접속정보 또는 특정 시간구간 등의 접속통계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접속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통계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사설IP 모듈(214)은 보다 바람직하게 무선통신 반경 내의 다른 망의 사설IP 사용환경을 분석하여 다른 망에서 사용하고 있는 사설IP 사용범위를 회피할 수 있는 범위의 사설IP를 단말기에 할당가능한 사설IP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사설IP 모듈(214)은 무선통신 반경 내의 다른 망의 사설IP 사용환경(다른 망의 사설IP 사용대역 등)을 분석하여, 최대한 다른 망과의 IP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대역의 사설IP 대역을 단말기(110)에 할당 가능한 대역으로 판단하게 하여, 보다 원할한 무선통신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부(210)에서 각 단말기(110)에 할당하는 사설IP는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 또는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에 따른 사설IP로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IPv4에 따르는 사설IP의 경우 A Class 1개(10.0.0.0-10.255.255.255), B Class 16개(172.16.0.0 - 172.31.255.255), C Class 256개(192.168.0.0-192.168.255.255)의 유동 네트워크 구성가능하며, A class의 경우 16,777,216개, B class의 경우 65,536개, C class의 경우 256개의 사설 IP 사용이 가능하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운용부()는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120)를 통해 접속한 네트워크 내의 단말기(110)로 유동 무선네트워크(120)를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수신/재생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모듈(242)을 전송하고,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120)를 통해 접속한 네트워크 내의 단말기(110)로 저장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방송하거나 또는 특정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유동 무선네트워크(120)를 통해 접속한 타 단말기로 전송 또는 방송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운용부는 콘텐츠 송수신모듈(232) 및 콘텐츠 관리모듈(234)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콘텐츠 송수신모듈(232)은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120)를 통해 접속한 네 트워크 내의 단말기(110)와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 간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수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120)를 통해 접속한 네트워크 내의 각 단말기(110) 간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수신을 중계하게 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단말기(110)가 상호간 직접통신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경우 콘텐츠 송수신모듈(232)은 작동되지 않는다.
콘텐츠 관리모듈(234)은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에 구비된 각종 입력장치(영상입력장치, 음향입력장치, 문자/숫자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여 저장부(240)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유동 무선네트워크(120)를 통해 접속한 네트워크 내의 각 단말기(110)로 방송되거나 또는 전송될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방송/전송조건을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저장/방송/수신에 관한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을 채택하고 있는 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엔터테인먼트 서버부(220)는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120)를 통해 접속한 네트워크 내의 단말기(110)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한 네트워크 게임 또는 네트워크 채팅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모듈(242)을 전송하고, 각 단말기(11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모듈과 무선 데이터통신을 수행하여 게임서버 또는 채팅서버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유동 무선네트워크(120)에 참여한 각 단말기(110)에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이러한 엔터테인먼트 서버부(220)는 보다 바람직하게 게임서버모듈(222) 및/또는 채팅서버모듈(224)을 포함할 수 있다.
게임서버모듈(222)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120)를 통해 게임기능을 제공하도록 선택된 경우, 유동 무선네트워크(120)를 통해 접속한 각 단말기(110)(각 단말기에 설치된 네트워크 게임 클라이언트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게임기능 실행에 필요한 처리를 한 후,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가 전송된 단말기 또는 모든 단말기로 처리결과 데이터를 전송하여 유동 무선네트워크(120)를 통해 네트워크 게임이 실행될 수 있도록 동작하게 된다.
채팅서버모듈(224)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120)를 통해 채팅기능을 제공하도록 선택된 경우,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단말기(110)의 요청에 따라 채팅방을 개설하고 개설된 채팅방에 참여한 각 단말기(각 단말기에 설치된 네트워크 채팅 클라이언트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채팅데이터를 수신하여 채팅방에 참여한 타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유동 무선네트워크(120)를 통해 네트워크 채팅이 실행될 수 있도록 동작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게임서버모듈(222) 및 채팅서버모듈(224)의 기능과 구성은 기존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되고 있는 네트워크 게임 서버모듈, 네트워크 채팅서버모듈에 대한 공지된 기술을 채택하고 있는 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용 무선통신 네트워크 생성장치의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 절차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무선랜 표준에 근거한 예시를 보이는 흐름도로서,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는 고유식별자인(본 발명에 따른 유동 무선네트워크의 고유 네트워크 식별자)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방송하고 단말기(110)는 특정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의 SSID를 선택하여 해당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의 종단 단말기로 수용되는 실시예의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는 자신의 무선통신 반경 내로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송출하고, 무선통신 반경 내에 위치한 단말기(110)로부터 접속이 요청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0, S302).
만일 단말기(110)로부터 접속이 요청되는 경우,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는 DHCP모듈()을 통해 사설IP 모듈(214)이 관리하는 현재 사설IP정보를 참조해 연결을 요청한 단말기(300)에 할당 가능한 사설IP를 선택해 단말기(300)로 사설IP를 자동 할당하여 연결설정을 한다(S304).
연결설정이 이루어진 후, 인증기능이 활성 되어 있을 경우 인증모듈(216)은 연결된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240)에 저장된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단말기(110)의 인증여부를 판단한다(S306, S308).
등록여부를 판단한 결과 인증된 단말기(110)가 아닐 경우,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는 할당된 사설IP를 회수하고 연결 설정을 자동 종료하여 유동 무선네 트워크 참여를 금지하며(S310), 인증된 단말기(110)의 경우 유동 무선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참여 단말기(110)로 등록한다(S312).
단말기(110)가 유동 무선네트워크(120)에 성공적으로 참여한 경우,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는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의 사용자 선택 또는 단말기 사용자 선택에 따라 네트워크 게임 또는 네트워크 채팅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수신/재생/방송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S314).
이후,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의 동작이 계속되는 경우 S300 단계에서 S314 단계까지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100)의 동작이 종료되는 경우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S316).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의 물리적인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의 논리적인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의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 절차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
110 : 단말기 120 : 유동 무선네트워크

Claims (10)

  1.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에 있어서,
    무선통신 반경 내에서 동일한 무선통신 프로토콜 표준을 사용하여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에 DHCP 기능을 통해 사설IP를 부여하여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생성하는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부;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네트워크 내의 단말기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한 게임 또는 채팅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모듈을 전송하고, 각 단말기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모듈과 상기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데이터통신을 수행하여 게임서버 또는 채팅서버 기능을 수행하는 엔터테인먼트 서버부;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 및
    각 단말기에 설치되어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한 게임기능 또는 채팅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모듈과 각 단말기에 전송될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터테인먼트 서버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게임기능을 제공하도록 선택된 경우, 상기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각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게임기능 실행에 필요한 처리를 한 후,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가 전송된 단말기 또는 모든 단말기로 처리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게임서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터테인먼트 서버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채팅기능을 제공하도록 선택된 경우, 상기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채팅방을 개설하고 개설된 채팅방에 참여한 각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채팅데이터를 수신하여 채팅방에 참여한 타 단말기로 전송하는 채팅서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
  4.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에 있어서,
    무선통신 반경 내에서 동일한 무선통신 프로토콜 표준을 사용하여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에 DHCP 기능을 통해 사설IP를 부여하여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생성하 는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부;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네트워크 내의 단말기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수신/재생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모듈을 전송하고,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네트워크 내의 단말기로 저장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방송하거나 또는 특정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타 단말기로 전송 또는 방송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운용부;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 및
    각 단말기에 설치되어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수신/재생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모듈과 각 단말기에 전송될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운용부는,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네트워크 내의 단말기와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간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수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생성된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네트워크 내의 각 단말기간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수신을 중계하는 콘텐츠 송수신모듈;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네트워크 내의 각 단말기로 방송되거나 또는 전송될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방송/전송조건을 설정하는 콘텐츠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무선네트워크는 2.4Ghz ISM(Industrial, Science and Medical) 무선 주파수 대역 또는 비인가 5 Ghz 무선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한 대역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부에서 단말기에 할당하는 사설IP는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 또는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에 따른 사설I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부는,
    접속을 요청한 단말기에 DHCP(동적 호스트 설정 통신규약,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기능을 통해 사설IP를 할당하여 연결설정하거나 또는, 접속된 단말기에 할당된 사설IP를 회수하여 연결을 해제하는 DHCP 모듈;
    단말기에 할당가능한 사설IP정보와 각 단말기에 할당된 사설IP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사설IP 모듈;
    인증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접속을 요청한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 단말기의 접속을 허용하며, 인증에 실패하는 경우 할당된 사설IP를 회수하여 연결을 종료하는 인증모듈; 및
    접속된 단말기의 수, 접속상태, 유동 무선네트워크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주기적으로 현재 접속정보를 표시하는 네트워크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설IP 모듈은 무선통신 반경 내의 다른 망의 사설IP 사용환경을 분석하여 다른 망에서 사용하고 있는 사설IP 사용범위를 회피할 수 있는 범위의 사설IP를 단말기에 할당가능한 사설IP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
    상기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무선 데이터통신경로로 이용되는 유동 무선네트워크; 및
    상기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로 접속을 요청하여 사설IP를 부여받아 상기 유동 무선네트워크에 참여하며, 상기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클라이언트 모듈을 수신받아 설치하고, 단말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치된 클라이언트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유동 무선네트워크를 통한 네트워크 게임 또는 네트워크 채팅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신/재생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방송을 수행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를 이용한 유동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KR1020090000464A 2008-01-05 2009-01-05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 이를 이용한 유동무선네트워크 시스템 KR100920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6166 WO2010076963A2 (ko) 2009-01-05 2009-10-23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 이를 이용한 유동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509 2008-01-05
KR20080001509 2008-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778A true KR20090075778A (ko) 2009-07-09
KR100920510B1 KR100920510B1 (ko) 2009-10-08

Family

ID=408624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660A KR100899332B1 (ko) 2008-01-05 2008-09-18 아이에스엠 무선 주파수 대역 또는 비인가 5기가헤르쯔 무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개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방송 장치, 이를 이용한 개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방송시스템 및 그 방송방법
KR1020090000464A KR100920510B1 (ko) 2008-01-05 2009-01-05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 이를 이용한 유동무선네트워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660A KR100899332B1 (ko) 2008-01-05 2008-09-18 아이에스엠 무선 주파수 대역 또는 비인가 5기가헤르쯔 무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개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방송 장치, 이를 이용한 개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방송시스템 및 그 방송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4) US8660116B2 (ko)
KR (2) KR100899332B1 (ko)
CN (2) CN1033544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566B1 (ko) * 2012-05-04 2013-09-13 (주)텔리언 5.8GHz 대역을 이용한 고화질 비디오 스트림 유무선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마스터/슬레이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332B1 (ko) * 2008-01-05 2009-05-27 주식회사 퍼스브로 아이에스엠 무선 주파수 대역 또는 비인가 5기가헤르쯔 무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개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방송 장치, 이를 이용한 개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방송시스템 및 그 방송방법
KR101190966B1 (ko) * 2008-10-22 2012-10-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cpns 서버와이동통신 단말기
KR101291654B1 (ko) * 2009-02-24 2013-08-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Cpns 환경에서 종단 단말기가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cpns 서버 및 종단 단말기
KR101648057B1 (ko) * 2010-03-23 2016-08-1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랜 엑세스 포인트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를 통한 인터넷 접속 제어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US20130315417A1 (en) * 2012-04-17 2013-11-28 Cary Christie Bluethooth-to-rf tranceiver
US20200192762A1 (en) * 2018-12-18 2020-06-18 Storage Engine, Inc.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configuring a network environment for a server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795A (ko) * 1995-10-30 1997-01-28 모리 하루오 네비게이션(navigation)장치
US5905872A (en) * 1996-11-05 1999-05-18 At&T Corp. Method of transferring connection management information in world wideweb requests and responses
US6421714B1 (en) * 1997-10-14 2002-07-16 Lucent Technologies Efficient mobility management scheme for a wireless internet access system
US6768743B1 (en) * 1999-10-26 2004-07-27 3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ddress server redirection for multiple address networks
US20020080854A1 (en) * 2000-12-12 2002-06-2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Base station, mobile unit and communication network
US6847649B2 (en) * 2001-08-24 2005-01-25 Ericsson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ccessing an embedded web server on a broadband access terminal
JP2003078830A (ja) * 2001-09-03 2003-03-14 Sony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通信情報伝送方法
US7054944B2 (en) * 2001-12-19 2006-05-30 Intel Corporation Access control management system utilizing network and application layer access control lists
KR100522393B1 (ko) * 2002-11-13 2005-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무선 통합망에서의 인터넷 핸드오버 서비스를 위한 패킷송수신 방법
KR100514685B1 (ko) * 2003-05-13 2005-09-1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타임 시프트 기능 구현 단말기 및 방법
US7529200B2 (en) * 2003-07-24 2009-05-05 3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fast setup of group voice over IP communications
CN1599344A (zh) * 2003-09-15 2005-03-23 电视电声研究所 一种家庭网络系统体系结构和实现方法
US7117013B2 (en) * 2003-10-07 2006-10-03 Lenovo (Singapore) Pte. Ltd. Cruable dual mode ISM and U-NII wireless radio with secure, integral antenna connection
CN100546286C (zh) * 2003-12-02 2009-09-3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即时通讯的电台的实现方法和系统
US7418053B2 (en) * 2004-07-30 2008-08-26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input-distributed output wireless communications
US8370888B2 (en) * 2004-06-22 2013-02-05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Hydra: high-performance data recording architecture for streaming media
KR100691788B1 (ko) * 2004-10-28 2007-03-12 주식회사 한국라임티비 개인 컨텐츠 방송이 가능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과 그를이용한 방송 수신기
US20080037507A1 (en) * 2004-11-25 2008-02-14 Yoshito Fukumoto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7443825B2 (en) * 2005-03-08 2008-10-28 Terence Edward Sumner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tand-alone wireless web service
CN2842562Y (zh) * 2005-07-27 2006-11-29 韩泽耀 网络附加存储系统芯片硬件结构及基于该系统的网络系统
JP4419195B2 (ja) * 2005-09-07 2010-02-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システム
KR100784066B1 (ko) 2005-10-25 2007-12-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789105B1 (ko) 2005-11-02 2007-12-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개인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53907A (ko) 2005-11-22 2007-05-28 주식회사 케이티 Ip-tv를 이용한 개인 방송 홈페이지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US20100281507A1 (en) * 2006-03-20 2010-11-04 Jung-In Choi Platform for Personal Media Broadcaster based on XML and Method for Setting up IP Automatically
KR100791214B1 (ko) * 2006-05-23 2008-01-03 주식회사 케이티 에듀테인먼트를 위한 유아 전용 온라인 단말 시스템 및유아 콘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CN100493038C (zh) * 2006-05-26 2009-05-27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通话过程中的媒体流替换方法及系统
EP1892883A1 (en) * 2006-08-23 2008-02-27 Thomson Telecom Belgium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and selecting an interface to access a network
JP5326205B2 (ja) * 2006-12-04 2013-10-30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JP4930315B2 (ja) * 2007-01-19 2012-05-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内情報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光照射装置
KR100907507B1 (ko) * 2007-03-05 2009-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 단말의 bwa 네트워크 연동시 사용자 인증 방법및 그 시스템
KR20070104301A (ko) * 2007-06-25 2007-10-25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과무선 통신망 간 서비스 품질 보장 방법
US9065673B2 (en) * 2007-12-17 2015-06-23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centralized vehicular electronics system utilizing ethernet with audio video bridging
KR100899332B1 (ko) * 2008-01-05 2009-05-27 주식회사 퍼스브로 아이에스엠 무선 주파수 대역 또는 비인가 5기가헤르쯔 무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개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방송 장치, 이를 이용한 개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방송시스템 및 그 방송방법
WO2009088151A1 (en) * 2008-01-05 2009-07-16 Persbro Corporation Private multimedia contents broadcasting equipment which uses ism radio frequency band or u-nii 5 radio frequency band, private multimedia contents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1588357B (zh) * 2008-05-23 2013-06-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路由器及利用该路由器识别用户身份的方法
FR2944940B1 (fr) * 2009-04-22 2011-04-22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Systeme,procede et application pour coodonner l'emission d'une consigne geo localisee provenant d'un equiipement nomade vers un equipement multimedia embarqu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566B1 (ko) * 2012-05-04 2013-09-13 (주)텔리언 5.8GHz 대역을 이용한 고화질 비디오 스트림 유무선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마스터/슬레이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332B1 (ko) 2009-05-27
US10164935B2 (en) 2018-12-25
KR100920510B1 (ko) 2009-10-08
US20120191863A1 (en) 2012-07-26
US20130265950A1 (en) 2013-10-10
US20160087935A1 (en) 2016-03-24
CN101606337B (zh) 2013-06-19
US20110002260A1 (en) 2011-01-06
US9210123B2 (en) 2015-12-08
CN101606337A (zh) 2009-12-16
CN103354476A (zh) 2013-10-16
US8660116B2 (en) 201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09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niversal plug and play service based on Wi-Fi direct connection in portable terminal
US103830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wireless home mesh network with network topology visualizer
KR100920510B1 (ko)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 이를 이용한 유동무선네트워크 시스템
US9444639B2 (en) Multi-tier wireless home mesh network with a secure network discovery protocol
TWI584624B (zh) 在無線通訊網路中配置ip位址的方法與設備
US8296453B1 (en) WiFi peripheral mode
US8001223B2 (en) Automatic switching network points based on configuration profiles
JP4168058B2 (ja) 無線lanによる一対多の情報伝送方法及びシステム
CN103168448A (zh) 基于网络接口的自动配置来共享因特网连接的方法和装置
WO2010088134A2 (en) Distributed ip address assignment protocol for a multi-hop wireless home mesh network with collision detection
KR20140105201A (ko) 휴대 단말기에서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10096831A (ko)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
JP2005136591A (ja) 通信環境設定方法および通信環境設定プログラム
WO2010076963A2 (ko) 개인휴대용 유동 무선네트워크 생성장치, 이를 이용한 유동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