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831A -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 - Google Patents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6831A
KR20110096831A KR1020100016313A KR20100016313A KR20110096831A KR 20110096831 A KR20110096831 A KR 20110096831A KR 1020100016313 A KR1020100016313 A KR 1020100016313A KR 20100016313 A KR20100016313 A KR 20100016313A KR 20110096831 A KR20110096831 A KR 20110096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personal mobile
media content
wireless network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6715B1 (ko
Inventor
노경식
김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디비인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디비인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디비인포
Priority to KR1020100016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71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6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45Control of the passage of the selected programme
    • H04N7/17363Control of the passage of the selected programme at or near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사업자나 콘텐츠 공급자의 서버 또는 댁내 개인 휴대기기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수신받아 TV화면에 직접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아이피셋톱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일정반경내의 개인휴대기기와의 WIFI 무선네트워크를 생성하여 휴대기기와 연동하여 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TV 화면에 직접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아이피셋톱(IP STB)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사업자나 콘텐츠 공급자에 의해 제공되는 미디어 콘텐츠를 수신받아 TV 화면에 재생하는 IP 셋톱에 있어서, WiFi가 지원되는 개인휴대기기가 접속하도록 무선네트워크망을 생성하여 상기 개인휴대기기에 보유된 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TV 화면에 직접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iFi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을 제공한다.
첫 번째로, 본 발명을 통해 아이피셋톱은 사용자 소유의 미디어 콘텐츠 대부분이 저장되어 있는 개인 휴대기기와의 무선 연동을 통해 개인 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TV화면에서 직접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댁내 종합적인 개인 미디어 콘텐츠 활용의 중심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The IP-Settop with function for playing media contents of individual portable device via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 사업자나 콘텐츠 공급자의 서버 또는 댁내 개인 휴대기기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수신받아 TV화면에 직접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아이피셋톱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일정반경내의 개인휴대기기와의 WIFI 무선네트워크를 생성하여 휴대기기와 연동하여 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TV 화면에 직접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아이피셋톱(IP STB)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셋톱(STB)과 관련된 기술동향을 보면, 2002년 스카이라이프가 위성 셋톱(STB)을 통해 단순 위성 수신기로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방송콘텐츠를 방송방식과 채널 정보만을 일치시켜 방송을 수신하는 FTA(Free To Air) 기술을 시작으로 셋톱(STB)의 CAM(Conditional Access Module) Interface를 통해 Smart Card를 이용하여 방송을 수신하는 CI(Common Interface) 기술, 수신 제한 시스템 내장형 셋톱(STB)으로 수신된 방송 데이터의 Scramble을 제거해야 방송 수신이 가능한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기술, HDD를 내장해 디지털 방송을 녹화, 재생함으로써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방송을 볼 수 있는 PVR(Personal Video Recoder) 기술 등이 단계적으로 셋톱에 접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HD급 방송이 일반화 되었으며 3D 방송을 목표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미디어 콘텐츠 압축 기술인 코덱(Codec) 기술의 눈부신 발전은 IP 기반의 아이피셋톱(IP STB) 시장 등장을 촉진하였으며, 전통적인 방송 기술의 일대 혁신을 이끌어 통신 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일정 수준의 양방향 서비스 환경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데이터 통신의 경우 N/R-VoD 서비스, 전자상거래, 은행 업무, 오락서비스, TV 포털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통신서비스로는 SMS, 메신저, 영상전화 서비스 등의 부가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상기 아이피셋톱(IP STB)은 인터넷상의 응용 애플리케이션 및 미디어 콘텐츠 활용을 위해 별도의 프로토콜 변환이 필요 없는 편이성으로 인해 위성, 케이블, 지상파 셋톱(STB)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방송, 인터넷, VoIP 등의 Triple Play 서비스를 위한 최적의 제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현재 아이피셋톱(IP STB)은 VoD 서비스의 진정한 계승자로서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의 중추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댁내 사용자 참여의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IPTV 환경을 제공하는 수준에까지 도달하였으며 이는 질적으로 우수하며 양적으로도 풍부한 콘텐츠를 생산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고 댁내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콘텐츠 활용의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IP 셋톱(STB)을 이용한 방송,통신이 융합된 댁내 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는 최근의 IPTV를 통하여 진일보한 양방향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으며 과거 PC에서나 가능하던 인터넷상의 미디어 콘텐츠를 검색하고 시청하는 것이 TV를 통해 가능한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아이피셋톱(IP STB)을 통해 서비스되는 미디어 콘텐츠는 네트워크 사업자나 콘텐츠 공급자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명실상부한 댁내 사용자 중심의 종합적인 미디어 콘텐츠 활용 장치로서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댁내 사용자가 보유한 미디어 콘텐츠까지 활용 가능한 환경이 필요하다.
즉, 댁내 고정 환경의 미디어 콘텐츠 서비스와 이동 중에 즐기는 휴대형 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환경은 시스템 설비를 포함하여 서비스 방법이 확연히 구별되어 있어 자유로운 휴대용 미디어 콘텐츠 활용이 불가능하며, 때론 개인 휴대기기의 개인용 미디어 콘텐츠의 활용이 필요할 경우 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PC를 이용하거나 PC에서 USB 메모리 등을 사용하여 셋톱에서 재생하는 방법 등을 통해 불편하고 쉽게 접근하기 힘든 어려운 방법을 통해 가능하였다.
최근의 개인휴대기기의 동향을 보면, 개인 휴대기기의 대표기기인 스마트폰은 전체 모바일폰(Mobile Phone) 시장 점유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2012년에는 전체 시장의 30%인 5억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기존의 피처폰(Feature Phone)과 비교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은 특히 WiFi 기능을 기본적으로 지원하며 WiFi 통신 기능은 필수사항이 되었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기술 흐름에 따라 Feature Phone들도 WiFi 기능 내장이 확실시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광역 네트워크 사업자에 의해 FeaturePhone의 WiFi 지원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상기 PMP 또한 초기 모델들은 WiFi 기능이 없거나 외장 형태의 WiFi Module을 이용하여 WiFi를 지원하였으나, 최근에 출시되는 PMP 제품은 WiFi Module을 자체 내장하여 WiFi 통신을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셋톱에서 WiFi와 관련하여 엑세스포인트(AP) 기능을 셋톱에 내장하여 제품화하는 노력이 있었으나 단순히 종단장치를 위한 무선 접속 기능만 제공하는 수준으로 외장 형태의 WiFi AP를 적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차별화된 기능 제공이 없어 현재 관련 제품은 찾아보기가 어렵다.
또한, 개인용 미디어 콘텐츠 활용 관련하여 일부 셋톱의 경우 USB 접속을 통해 개인이 보유한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만 USB Stick을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다시 말해, 아이피셋톱의 경우 과거 WiFi 기능을 내장하여 제품화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단순히 종단장치를 위한 인터넷 접속 기능만 제공하는 수준으로 외장 AP와 비교하여 차별화 요인이 없어 현재 관련 제품을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 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특히, 휴대의 편리성으로 사용자 소유의 미디어 콘텐츠 대부분이 저장되어 있는 스마트폰(SmartPhone), PMP, MP3등의 개인 휴대기기와의 WiFi 무선 연동을 통해 개인 휴대기기가 보유한 미디어 콘텐츠를 직접 TV로 재생하는 기능이 구비된 와이파이 다이렉트 아이피셋톱(WiFi Direct IP 셋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PC 없이 UCC, 게임 등의 개인 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가 TV에서 직접 재생됨과 동시에 편집되도록 하며, 편집된 UCC등의 미디어 콘텐츠를 별도로 저장,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아이피셋톱(IP STB)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네트워크 사업자나 콘텐츠 공급자에 의해 제공되는 미디어 콘텐츠를 수신받아 TV 화면에 재생하는 IP 셋톱에 있어서, WiFi가 지원되는 개인휴대기기가 접속하도록 무선네트워크망을 생성하여 상기 개인휴대기기에 보유된 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TV 화면에 직접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iFi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을 제공한다.
상기 재생장치에는 상기 WiFi가 지원되는 개인휴대기기가 접속하도록 WiFi무선네트워크망을 생성하는 WiFi Direct 통신부; 상기 WiFi Direct 통신부에서 생성된 WiFi무선네트워크망에 접속된 개인휴대기기에 보유된 미디어 콘텐츠를 입력받아 상기 TV 화면에 직접 재생하도록 지원하는 VOD 스트리밍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WiFi Direct 통신부에는, 고유 무선 식별자를 송출하여 WiFi 무선네트워크 망을 생성하며, WiFi 무선 네트워크망 반경 내에 위치한 동일한 고유 무선 식별자를 갖는 무선랜을 내장한 개인휴대기기로부터 접속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개인휴대기기에 사설 IP를 할당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거나 할당된 사설IP를 회수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종료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생성모듈; 및 인증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 접속을 요청한 상기 개인휴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 개인휴대기기의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는 인증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재생장치에는 상기 인증모듈에서 상기 개인휴대기기의 고유한 단말정보인 ESN, MIN, MAC 어드레서, IMEI, IMSI, MSISDN, IP 정보등의 고유한 일련번호를 전송받아 비교하여 등록된 개인휴대기기인지를 판단하여 인증하도록 개인휴대기기별 인증사항과 단말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인증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WiFi Direct 통신부에는 상기 WiFi 무선네트워크망에 접속된 개인휴대기기의 개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관리모듈;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재생장치에는 상기 관리모듈에서 모니터링된 개인휴대기기의 개수를 표시하기 위한 네트워크 모니터링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VOD 스트리밍부에는, 상기 네트워크생성모듈에서 생성된 무선네트워크망에 접속한 개인휴대기기가 보유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WiFi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아 TV화면에 출력하여 재생하기 위한 이동경로인 입출력모듈; 및 상기 네트워크 생성모듈을 통해 생성된 WiFi 무선네트워크망에 상기 개인휴대기기가 접속되면 상기 네트워크생성모듈로부터 네트워크망에 개인휴대기기가 접속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입출력모듈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에 보유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가 스트림 데이터 형태로 수신되어 TV화면으로 직접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인증모듈과 연동되면서 상기 인증모듈의 활성화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TV화면으로 출력되는 미디어 콘텐츠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재생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재생장치에는, 상기 개인휴대기기에서 전송되는 미디어 콘텐츠 또는 상기 TV 화면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콘텐츠가 편집되어 저장, 등록되는 네트워크 콘텐츠 서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TV 화면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콘텐츠는 상기 제어모듈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리모콘으로 직접 편집되거나 상기 개인휴대기기 자체에서 편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 번째로, 본 발명을 통해 아이피셋톱은 사용자 소유의 미디어 콘텐츠 대부분이 저장되어 있는 개인 휴대기기와의 무선 연동을 통해 개인 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TV화면에서 직접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댁내 종합적인 개인 미디어 콘텐츠 활용의 중심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을 통해 네트워크 사업자나 콘텐츠 공급자의 서버 또는 댁내 개인 휴대기기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수신받아 TV화면에 직접 재생하도록 하는 본연의 셋톱기능에 덧붙여, SmartPhone 및 PMP의 개인이동용 미디어 콘텐츠를 아이피셋톱을 통해 TV화면에서 직접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 뿐 아니라 개인용 미디어 콘텐츠의 재활용 면에서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으며, 또한 고정환경 및 이동 환경에서의 통합된 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또 다른 효과를 창출하게 된다.
세 번째로, 본 발명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에서 동작되는 게임을 WiFi 연동을 통해 별도의 장비 없이 STB를 통해 TV에서 Play 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하게는 1:1 방식 및 1:N 대전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네 번째로, 본 발명을 통해 미디어 콘텐츠를 TV화면을 통해 편집할 수 있어, PC 없이 UCC등의 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아이피셋톱을 통해 TV에서 직접 편집할 수 있으며, 편집한 UCC등의 미디어 콘텐츠를 직접 네트워크 콘텐츠 서버에 등록하여 개인휴대기기로의 다운로드 및 VOD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인 휴대기기의 콘텐츠를 TV 화면에 재생하는 WiFi 다이렉트 무선랜 기능을 갖는 아이피셋톱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인 휴대기기의 콘텐츠를 TV 화면에 재생하는 WiFi 다이렉트 무선랜 기능을 갖는 아이피셋톱의 재생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아이피셋톱에 의해 생성된 무선네트워크망에 개인휴대기기의 접속상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며,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의 무선네트워크망은 WiFi 무선네트워크망을 예시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UWB, NFC, 블루투스 등등의 무선네트워크망을 이용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의한 개인 휴대기기의 콘텐츠를 TV 화면에 재생하는 WiFi 다이렉트 무선랜 기능을 갖는 아이피셋톱(IP STP)의 동작상태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아이피셋톱은 네트워크 사업자나 콘텐츠 공급자의 IP서비스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미디어 콘텐츠를 유선 인터넷라인을 통해 수신받아 TV화면으로 재생하는 본연의 아이피스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아이피셋톱은 WiFi 무선네트워크망을 생성하여 무선네트워크망에 네트워크되어 접속된 개인휴대기기(100)에 보유된 미디어 콘텐츠를 수신받아 TV화면에 재생하는 또 다른 추가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인휴대기기(100)에서 수신되는 미디어 콘텐츠는 문자 데이터, 기호 데이터, 음악 데이터, 음향 데이터, 음성 데이터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 그림 데이터, 사진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인휴대기기(100)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 PMP, MP3, 디지털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PDA, 노트북, UMPC, 내비게이션장치, 휴대용 게임기 등의 휴대용 개인용 정보통신기기 등으로 WiFi 무선 네트워크가 지원되는 무선랜이 내장된 휴대용 정보통신기기를 의미하며, 보다 자세하게는 API 확대를 통해 MAC, SYmbian, Android, RIM 등의 이종 Operation System을 사용하는 SmartPhone이나, Linux 기반의 PMP, WiFi가 지원되는 MP3, 카메라, 캠코더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아이피셋톱은 댁내의 일정반경내에서 개인휴대기기(100)와 WiFi 무선네트워크망을 생성하여 개인휴대기기(100)에 저장된 미디어 콘텐츠를 직접 TV화면으로 출력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개인휴대기기(100)는 아이피셋톱에 의해 생성되는 WiFi 무선 네트워크망에 접속을 요청하여 아이피셋톱에서 사설 IP를 할당받아 WiFi무선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아이피셋톱과 연결된 TV 화면에 개인휴대기기(100)가 보유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를 직접 재생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인 휴대기기의 콘텐츠를 TV 화면에 재생하는 WiFi 다이렉트 무선랜 기능을 갖는 아이피셋톱의 재생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아이피셋톱에 의해 생성된 무선네트워크망에 개인휴대기기의 접속상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아이피셋톱은 WiFi 무선네트워크를 생성하여, 상기 WiFi 무선네트워크에 접속한 상기 개인휴대기기(100)에 보유된 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TV 화면에 직접 재생하도록 하는 재생장치(300)가 포함된다.
상기 재생장치(300)는 개인휴대기기(100)가 접속하도록 WiFi 무선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WiFi Direct 통신부(310)가 구성되어, 상기 개인휴대기기(100)와 무선네트워크를 생성/소멸하면서 개인휴대기기(100)와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 관리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WiFi Direct 통신부(310)는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IEEE 802.11n, IEEE 802.11z 등의 각종 범용 무선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무선통신영역 내에서 동일한 무선통신 프로토콜 표준을 사용하여 접속을 요청하는 개인휴대기기(100)를 인증하면서 DHCP(동적 호스트 설정 통신규약,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기능을 통해 사설IP를 부여하여 무선네트워크를 생성/소멸하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WiFi Direct 통신부(310)는 네트워크 생성모듈(310a)과 인증모듈(310b), 관리모듈(310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네트워크 생성모듈(310a)은 WiFi 무선네트워크망을 생성하여 상기 개인휴대기기(100)와 무선네트워크를 생성/소멸하는 장치로서, 접속 요청한 개인휴대기기(100)와 무선 네트워크를 생성하면서 무선 데이터통신경로로 이용된다.
상기 네트워크 생성모듈(310a)에 의해 생성되는 무선 네트워크망에는 ISM(Industrial Science and Medical) 무선 주파수 대역 또는 비인가 5GHz 무선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의 대역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ISM 무선 주파수 대역이란 산업, 과학, 의료 분야용으로 국제기구(FCC)에서 할당한 주파수 대역으로서 세계적으로 902~928MHz, 2.4G~2.4835GHz, 5.725G~5.835GHz 주파수 밴드를 ISM 밴드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 할당을 위한 허가가 필요 없으며, 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장비의 출력은 17dBm/50mW까지 가능하다.
한편, 비인가 5GHz 무선 주파수 대역은 IEEE 802.11a 및 HIPERLAN/2가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주파수 할당을 위한 인가가 필요없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생성모듈(310a)에 의해 생성되는 무선네트워크망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하여 802.11a, 802.11b, 802.11g 중 필요에 따라 적절한 무선통신 규약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802.11a, 802.11b, 802.11g란 IEEE 작업그룹이 개발한 무선랜을 위한 규격 모음으로서, 이 세가지 형식의 규약은 경로 공유를 위해 모두 이더넷 프로토콜인 CSMA/CA를 사용한다.
상기 802.11b 표준이 초당 약 11 Mbps의 속도를 제공하는데 비해, 가장 최근에 승인된 표준인 802.11g는 비교적 짧은 거리에서지만 최고 54 Mbps까지의 빠른 전송속도를 제공한다.
상기 802.11g도 802.11b와 같이 2.4 GHz 대역에서 동작하므로, 둘 간에는 서로 호환성이 있다. 802.11b 표준은 802.11에 대해 후위 호환성을 제공한다. 전통적으로 802.11에서 사용되는 변조방식은 PSK이었지만, 802.11b에서 채택한 변조 방식은 더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를 제공하면서도, 다중 경로 전달에 의한 간섭을 받을 소지가 적은 CCK를 사용한다.
상기 802.11a 규격은 무선 ATM 시스템에 적용되며, 액세스 허브에서 주로 사용된다. 802.11a는 5 GHz~6 GHz의 무선 주파수 대역폭에서 동작한다. 802.11a는 최고 54 Mbps까지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낼 수 있도록 OFDM이라고 불리는 변조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5GHz 대역의 경우 비교적 높은 주파수인 관계로 다른 소형 무선 장치들이 주파수 경쟁을 하기에는 부적절하므로 IEEE 802.11a는 IEEE 802.11b보다 다른 장치에 의한 간섭이 현격하게 줄어들며, 54MBps의 빠른 전송률을 지원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망은 네트워크 생성모듈(310a)의 DHCP 기능을 통한 사설IP를 이용하여 개인휴대기기(100)를 위한 독립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설 IP는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 또는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에 따른 사설 IP로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며, IPv4에 따르는 사설IP의 경우 A Class 1개(10.0.0.0-10.255.255.255), B Class 16개(172.16.0.0 - 172.31.255.255), C Class 256개(192.168.0.0-192.168.255.255)의 무선네트워크의 구성이 가능하며, A Class의 경우 16,777,216개, B Class의 경우 65,536개, C Class의 경우 256개의 사설 IP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네트워크 생성모듈(310a)에서 생성된 WiFi 무선통신망의 반경내에서 개인휴대기기(100)에서 접속을 요청하게 되면 접속을 요청한 개인휴대기기(100)에 DHCP(동적 호스트 설정 통신규약,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기능을 통해 사설 IP를 할당하여 연결설정하거나, 할당된 사설 IP를 회수하여 연결해제하게 되며, 이를 위해서 네트워크 생성모듈(310a)에는 개인휴대기기(100)에 할당가능한 사설 IP정보와 각 개인휴대기기(100)에 할당된 사설IP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게 되며, 가능하면 최대한 다른 망과의 IP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대역의 사설 IP 대역을 개인휴대기기(100)에 할당 가능한 대역으로 판단하게 하여 보다 원활한 무선통신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네트워크 생성모듈(310a)은 DHCP 서버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개인휴대기기(100)를 위한 독립된 무선 네트워크망 내에서 접속을 요청하는 개인휴대기기(100)에 저장된 사설IP 정보를 이용하여 사설 IP를 설정해 줌으로써 독립 무선 네트워크망의 구성하게 되며, 개인휴대기기(100)에 할당가능한 사설IP정보와 현재 개인휴대기기(100)에 할당된 사설IP 정보를 저장, 관리하게 되면서 생성/저장되는 사설IP정보를 참조하면서 개인휴대기기(300)에 할당되는 사설IP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인증모듈(310b)은 인증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 접속을 요청한 개인휴대기기(100)로부터 전송되는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 개인휴대기기(100)의 접속을 허용한다.
만약, 인증에 실패한 경우 네트워크 생성모듈(310a)는 해당 개인휴대기기(100)에 할당된 사설IP를 회수하여 연결을 종료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인증모듈(310b)은 상기 개인휴대기기(100)의 고유한 단말정보인 ESN, MIN, MAC 어드레서, IMEI, IMSI, MSISDN, IP 정보등의 고유한 일련번호를 전송받아, 개인휴대기기(100)에 부여된 고유정보를 통해 개인휴대기기별 인증사항과 단말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도시된 인증서버(340)에서 비교하여 등록된 개인휴대기기(100)인지를 확인, 인증하게 된다.
상기 관리모듈(310c)은 WiFi 네트워크망에 접속된 개인휴대기기(100)의 개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도시된 네트워크 모니터링부(330)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또한, 아이피셋톱의 재생장치(300)에는 상기 WiFi Direct 통신부(310)를 통해 네트워크 연동된 개인휴대기기(100)에 보유된 미디어 콘텐츠를 입력받아 상기 TV 화면에 직접 출력되어 재생되도록 지원하는 VOD 스트리밍부(34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VOD 스트리밍부(340)는 상기 WiFi Direct 통신부(310)에서 생성된 무선네트워크망에 접속한 개인휴대기기(100)가 보유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WiFi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아 TV화면에 출력하여 재생하기 위한 이동경로로서 입출력모듈(320a)이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입출력모듈(320a)은 일종의 입출력수단의 장치 드라이버로서 미디어 콘텐츠의 데이터 입력, 출력을 위한 이동경로로서 역할하게 된다.
또한, 상기 VOD 스트리밍부(340)는 상기 WiFi Direct 통신부(310)의 인증모듈(310b)와 연동되면서 상기 인증모듈(310b)의 활성화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320b)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320b)은 입출력모듈(320a)을 제어하여 상기 개인휴대기기(100)의 미디어 콘텐츠를 TV화면에 출력할 수 있도록 중계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기 TV화면으로 출력되는 미디어 콘텐츠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재생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네트워크 생성모듈(310a)을 통해 생성된 WiFi 무선네트워크망에 인증모듈(310b)을 통해 개인휴대기기(100)가 접속되면, 상기 제어모듈(320b)은 상기 네트워크생성모듈(310a)로부터 네트워크망에 개인휴대기기가 접속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입출력모듈(320a)을 통해 개인휴대기기(100)에 보유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가 스트림 데이터 형태로 수신되어 TV화면으로 직접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입출력모듈(320a)에 입력된 개인휴대기기(100)의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데이터는 입출력 모듈(320a)에 의해 해석되어 제어모듈(320b)의 제어에 따라 실시간으로 TV화면에 출력되어 재생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입출력모듈(320a)은 문자/기호 입력기능, 음악/음향 인코딩 기능, 사진/동영상 인코딩 기능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인코딩 코덱은 mp3, wma, jpg, asp, mpeg, xvid 등 각종 데이터 포맷에 따른 상용화된 인코딩 코덱 중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전용 코덱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채택된 인코딩 코덱에 따라 인코딩된 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입출력모듈(320a)을 통해 출력되는 미디어 콘텐츠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시간으로 TV화면에 직접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모듈(320b)은 입출력모듈(320a)을 통해 개인휴대기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림 데이터 형태로 받아 TV화면에 출력하면서 TV화면에 개인휴대기기(100)에서 수신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 재생할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
만약, 여러 개인휴대기기(100)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다수의 미디어 콘텐츠가 재생가능한 상태라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하며, 나머지 미디어 콘텐츠는 대기상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아이피셋톱 기기 자체 또는 아이피셋톱과 함께 별도로 제공되는 리모콘(미도시)등을 통하여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인 휴대기기(100)에서 TV화면에 직접 재생되는 미디어 콘텐츠는 제어모듈(320b)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리모콘으로 직접 편집되도록 하며, 재생장치(300)에는 개인휴대기기(100)에서 전송되는 미디어 콘텐츠 또는 TV 화면에서 재생되면서 편집된 미디어 콘텐츠가 저장, 등록되는 네트워크 콘텐츠 서버(350)가 구성된다.
물론, 상기 TV화면에 재생되는 미디어 콘텐츠는 개인휴대기기(100) 자체에서도 편집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WiFi Direct 통신부(310)의 네트워크 생성모듈(310a)은 고유 무선네트워크 식별자인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송출하게 되고(S100), WiFi 무선 네트워크망 반경 내에 위치한 개인휴대기기(100)로부터 접속이 요청되고 있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S200)
이 때, WiFi 무선통신망 반경내에서 개인휴대기기(100)로부터 접속이 요청되는 경우, 네트워크 생성모듈(310a)은 접속을 요청한 개인휴대기기(100)에 DHCP(동적 호스트 설정 통신규약,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기능을 통해 사설 IP를 할당하여 연결을 설정하게 된다.(S300)
다시 말해, 아이피셋톱에는 고유 네트워크 식별자인 SSID 값이 설정된 무선랜이 내장되며, 커버리지 내의 반경에 동일한 SSID 값을 갖는 무선랜을 내장한 개인휴대기기(100)가 접속을 요청하면, 네트워크 생성모듈(310a)는 사설IP를 할당하여 개인휴대기기(100)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네트워크 생성모듈(310a)을 통해 개인휴대기기(100)와 연결설정이 이루어진 후에, 인증모듈(310b)의 인증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S400) 인증모듈(310b)은 연동된 개인휴대기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인증서버(340)에 저장된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개인휴대기기(100)의 인증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500)
상기 인증여부를 판단한 결과 인증된 개인휴대기기(100)가 아닐 경우, 네트워크 생성모듈(310a)는 할당된 사설 IP를 회수하여 연결을 해제하게 되며(S600), 인증된 개인휴대기기(100)일 경우는 무선네트워크 접속되어(S700), 보유한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TV화면에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S800)
즉, 상기 네트워크 생성모듈(310a)는 사설IP를 결정하여 개인휴대기기(100)에 할당시키거나 회수되어 접속해제되는 경우 실시간으로 사설IP정보를 반영하여 갱신하게 된다.
만약 개인휴대기기(100)가 네트워크 생성모듈(310a)에서 생성된 댁내의 무선네트워크망의 반경을 벗어나게 되면 자동으로 TV화면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콘텐츠는 재생을 멈추게 되면서 기존의 네트워크 사업자나 콘텐츠 공급자에 의해 유선인터넷망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가 다시 재생되도록 구성된다.(S900)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며, 본 발명은 특히 아이피셋톱을 통해 실시예가 기재되었으나, 아이피셋톱 뿐 아니라 위성, 지상파, 케이블 셋톱등의 셋톱박스 전체에 구현이 가능할 것임은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할 것이다.
100: 개인휴대기기 200: IP서비스서버
300: 재생장치 310: WiFi Direct 통신부
310a: 네트워크 생성모듈 310b: 인증모듈
310c: 관리모듈 320: VOD 스트리밍부
320a: 입출력모듈 320b: 제어모듈
330: 네트워크 모니터링부 340: 인증서버
350: 네트워크 콘텐츠 서버

Claims (11)

  1. 네트워크 사업자나 콘텐츠 공급자에 의해 제공되는 미디어 콘텐츠를 수신받아 TV 화면에 재생하는 IP 셋톱에 있어서,
    WiFi가 지원되는 개인휴대기기가 접속하도록 무선네트워크망을 생성하여 상기 개인휴대기기에 보유된 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TV 화면에 직접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iFi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에는,
    상기 WiFi가 지원되는 개인휴대기기가 접속하도록 WiFi무선네트워크망을 생성하는 WiFi Direct 통신부;
    상기 WiFi Direct 통신부에서 생성된 WiFi무선네트워크망에 접속된 개인휴대기기에 보유된 미디어 콘텐츠를 입력받아 상기 TV 화면에 직접 재생하도록 지원하는 VOD 스트리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WiFi Direct 통신부에는,
    고유 무선 식별자를 송출하여 WiFi 무선네트워크 망을 생성하며, WiFi 무선 네트워크망 반경 내에 위치한 동일한 고유 무선 식별자를 갖는 무선랜을 내장한 개인휴대기기로부터 접속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개인휴대기기에 사설 IP를 할당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거나 할당된 사설IP를 회수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종료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생성모듈; 및
    인증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 접속을 요청한 상기 개인휴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 개인휴대기기의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는 인증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에는 상기 인증모듈에서 상기 개인휴대기기의 고유한 단말정보인 ESN, MIN, MAC 어드레서, IMEI, IMSI, MSISDN, IP 정보등의 고유한 일련번호를 전송받아 비교하여 등록된 개인휴대기기인지를 판단하여 인증하도록 개인휴대기기별 인증사항과 단말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인증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WiFi Direct 통신부에는 상기 WiFi 무선네트워크망에 접속된 개인휴대기기의 개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관리모듈;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에는 상기 관리모듈에서 모니터링된 개인휴대기기의 개수를 표시하기 위한 네트워크 모니터링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VOD 스트리밍부에는,
    상기 네트워크생성모듈에서 생성된 무선네트워크망에 접속한 개인휴대기기가 보유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WiFi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아 TV화면에 출력하여 재생하기 위한 이동경로인 입출력모듈; 및
    상기 네트워크 생성모듈을 통해 생성된 WiFi 무선네트워크망에 상기 개인휴대기기가 접속되면 상기 네트워크생성모듈로부터 네트워크망에 개인휴대기기가 접속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입출력모듈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에 보유하고 있는 미디어 콘텐츠가 스트림 데이터 형태로 수신되어 TV화면으로 직접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인증모듈과 연동되면서 상기 인증모듈의 활성화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TV화면으로 출력되는 미디어 콘텐츠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재생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에는,
    상기 개인휴대기기에서 전송되는 미디어 콘텐츠 또는 상기 TV 화면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콘텐츠가 편집되어 저장, 등록되는 네트워크 콘텐츠 서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TV 화면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콘텐츠는 상기 제어모듈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리모콘으로 직접 편집되거나 상기 개인휴대기기 자체에서 편집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



KR1020100016313A 2010-02-23 2010-02-23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 KR101106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313A KR101106715B1 (ko) 2010-02-23 2010-02-23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313A KR101106715B1 (ko) 2010-02-23 2010-02-23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831A true KR20110096831A (ko) 2011-08-31
KR101106715B1 KR101106715B1 (ko) 2012-02-21

Family

ID=44931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313A KR101106715B1 (ko) 2010-02-23 2010-02-23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71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835B1 (ko) * 2011-12-13 2013-12-11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실시간 화면 재생기, 그 시스템 및 화면 재생 방법
US8848228B2 (en) 2011-12-12 2014-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peer to peer connection and method of performing image forming operation thereof
US20150135239A1 (en) * 2013-11-08 2015-05-14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giga bit data rate and low power consumption
US9256386B2 (en) 2011-12-12 2016-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function of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method of setting NFC operation mode thereof
KR20170019919A (ko) * 2015-08-13 2017-02-22 주식회사 새누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한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US10284909B2 (en) 2016-02-04 2019-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6939A (ko) * 2004-01-26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Pc환경에서 재생가능한 멀티미디어의 수신 및 재생이가능한 셋탑박스
KR101081532B1 (ko) * 2004-12-27 2011-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티브이에서의 동영상 재생 장치
KR20070008051A (ko) * 2005-07-12 2007-01-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텔레비전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8228B2 (en) 2011-12-12 2014-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peer to peer connection and method of performing image forming operation thereof
US9036169B2 (en) 2011-12-12 2015-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Wi-Fi direct and method of activating Wi-Fi direct
US9256386B2 (en) 2011-12-12 2016-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function of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method of setting NFC operation mode thereof
US9357094B2 (en) 2011-12-12 2016-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peer-to-peer connection and method of managing channel thereof
US9483223B2 (en) 2011-12-12 2016-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Wi-Fi direct and method of activating Wi-Fi direct
US9826116B2 (en) 2011-12-12 2017-11-21 S-Printing Solution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peer to peer connection and method of performing image forming operation thereof
US9826117B2 (en) 2011-12-12 2017-11-21 S-Printing Solution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Wi-Fi direct and method of activating Wi-Fi direct
KR101339835B1 (ko) * 2011-12-13 2013-12-11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실시간 화면 재생기, 그 시스템 및 화면 재생 방법
US20150135239A1 (en) * 2013-11-08 2015-05-14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giga bit data rate and low power consumption
US9237376B2 (en) * 2013-11-08 2016-01-12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giga bit data rate and low power consumption
KR20170019919A (ko) * 2015-08-13 2017-02-22 주식회사 새누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한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US10284909B2 (en) 2016-02-04 2019-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6715B1 (ko) 201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8756B2 (en) Output of content from the internet on a media rendering device
KR101106715B1 (ko)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
KR10221095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이동단말장치 및 이동단말장치의 구동방법
US8655343B2 (en) Server connection method, server, and remote control system
US11223929B2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ng P2P operating channel and method thereof
KR20100095609A (ko) 멀티미디어 처리 장치들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트 정보에 대한 액세스 및 멀티미디어 컨텐트 정보의 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6020514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audio/video strea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164935B2 (en) Private multimedia contents broadcasting equipment which uses ISM radio frequency band or U-NII 5GHZ radio frequency band, private multimedia contents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664699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2124737A (zh) 用于控制来自局域网中装置间的多路复用信号的多媒体数据的呈现的方法和设备
KR102184488B1 (ko) 이동단말장치, 영상표시장치, 이동단말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CN103414783A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CN102124736B (zh) 用于在局域网上以无线方式分布包含多媒体数据的多路复用信号的方法和设备
US20170010853A1 (en) System for remote control and use of a radio receiver
CN114531671A (zh) 一种基于蓝牙和dlna技术融合的汽车音频播放控制方法
KR102273196B1 (ko) 텔레비전의 이동통신망 기반 콘텐츠 이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TW201427463A (zh) 多媒體串流的播放系統與方法
KR20130043336A (ko) 디스플레이기기 및 디스플레이기기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WO2012064317A1 (en) Application client for a gateway system
EP2247035B1 (en) System for interfacing a mobile device with a content source network and a home network
US20140355583A1 (en) Wireless communicating method and electronic system utilizing the wireless communicating method
KR102092731B1 (ko) 페어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2029140A (ja) 映像配信装置
WO2015037129A1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接続方法
KR101545485B1 (ko) 망접속 상태에 따라 무선 통신망에의 접속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