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066B1 -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066B1
KR100784066B1 KR1020050100910A KR20050100910A KR100784066B1 KR 100784066 B1 KR100784066 B1 KR 100784066B1 KR 1020050100910 A KR1020050100910 A KR 1020050100910A KR 20050100910 A KR20050100910 A KR 20050100910A KR 100784066 B1 KR100784066 B1 KR 100784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content
channel
serv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4701A (ko
Inventor
김현진
김기문
김수진
김진홍
박태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0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066B1/ko
Publication of KR20070044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은 제작자 단말에서 방송 콘텐츠 제작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자 단말에서 상기 방송 시스템에 방송 채널 및 시간 할당을 요청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방송 콘텐츠의 방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방송 가능한 경우 방송할 채널 및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제작자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방송 콘텐츠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시청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인, 방송, 콘텐츠

Description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MINOR BROADCAST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방송 시스템(130)의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의 채널 편성의 예시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방송 서비스를 시청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방송 서비스를 시청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이동 통신과 인터넷이 삶의 기본도구가 된 현재에도 방송은 가장 활성화된 콘텐츠이며, 가장 유망한 콘텐츠이기도 하다.
영상 콘텐츠 시장은 최근까지 전문 제작자, 즉 전문 스튜디오(studio) 또는 프로덕션(production)이 제작한 콘텐츠를 주류 방송 시스템, 예를 들면 KBS, MBC 등을 통해 제공하는 닫힌 시장이었다. 그러나 인터넷의 등장과 함께 나타난 블로그(blog)나 포탈(portal)은 영상 콘텐츠시장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는데, 전문가가 아닌 개인이 직접 제작한 콘텐츠를 쉽게 일반인에게 공개할 수 있는 열린 시장으로 변화한 것이다.
인간의 자기표현 욕구는 이러한 시장변화와 융합하여 다양한 개인 제작 콘텐츠가 인터넷에 공개되게 하였으며, 개인 콘텐츠를 소비하는 소비자층이 생겨났다.
하지만, 블로그나 포탈은 콘텐츠의 공급이 개인의 자기표현 의지에만 의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수많은 블로그와 포탈의 출현은 개개의 콘텐츠에 대한 시청률 저하로 이어졌고, 시청자는 많은 웹 사이트들 속에서 콘텐츠를 찾아 돌아다녀야만 하고, 시청률 저하는 제작자의 창작의지를 꺾었으며, 이는 콘텐츠 공급 부족을 초래했고 다시 시청률 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었다. 결국, 인터넷 영상 시장은 대부분이 지상파 방송을 저장하여 불법으로 제공하는 시장으로 전락하였다.
동영상 Blog는 시청 측면에서 완전히 open된 환경이므로 개개 콘텐츠에 대한 집중도가 매우 낮으며, 낮은 시청률은 제작의지를 하락시켜 콘텐츠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블로그는 시청자의 검색을 요구하므로 핸드셋(handset)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측면에서도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개인 방송 시스템을 개인 제작자에게 제공하여, 동영상 블로그의 단점을 해결하고 개인 방송 시장을 활성화하여 이동통신 사업자의 패킷망(packet network)의 사용률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 사업자가 소수의 채널로 구성된 방송 시스템을 관리하여 개개 콘텐츠에 대한 시청자 집중도를 높이고, 시청률 상승에 따른 개인제작자의 제작의지 향상, 이를 통한 다양한 양질의 콘텐츠 공급 선순환을 이끌어 개인 방송 시장을 창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은 제작자 단말에서 방송 콘텐츠 제작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자 단말에서 상기 방송 시스템에 방송 채널 및 시간 할당을 요청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방송 콘텐츠의 방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방송 가능한 경우 방송할 채널 및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제작자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방송 콘텐츠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시청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은 제작자 단말에서 방송 콘텐츠 제작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자 단말에서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에 방송 채널 및 시간 할당을 요청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를 상기 방송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방송 콘텐츠의 방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방송 가능한 경우 방송할 채널 및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제작자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채널 및 시간을 기초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청자 단말에서 상기 방송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방송 서버에서 상기 방송 콘텐츠를 상기 시청자 단말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은 시청자 단말에서 특수번호를 통해 방송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에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를 상기 시청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시청자 단말에서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검색한 후, 원하는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시청자 단말에서 상기 방송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방송 서버에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시청자 단말로 방송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은 시청자 단말에서 채널URL을 포함한 특수번호를 통해 방송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URL에 상응하는 채널 페이지를 상기 시청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시청자 단말에서 방송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서버에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시청자 단말로 방송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방송 서비스 시스템은 방송 콘텐츠 제작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는 제작자 단말; 상기 방송 콘텐츠의 방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방송 가능한 경우 방송할 채널 및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제작자 단말 에 통보하고, 시청자 단말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방송 콘텐츠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시청자 단말에 전송하는 방송 시스템; 및 특수번호를 통해 상기 방송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를 전송받는 시청자 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송 시스템은 상기 제작자 단말로부터 방송 채널 및 시간 할당을 요청받고, 상기 방송 콘텐츠의 방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방송 가능한 경우 방송할 채널 및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제작자 단말에 통보하고, 상기 채널 및 시간을 기초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를 생성하는 방송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제작자 단말로부터 방송 콘텐츠를 업로드 받고, 상기 시청자 단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방송 콘텐츠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시청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송 서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부 및 개선사항은 종속항에 개시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상기 개인 방송 서비스 시스템은 시청자 유무선 단말(100,110), 유무선 통신망(120), 방송 시스템(130) 및 제작자 단말(140)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 단말(100)은 셀룰러폰, PCS, PDA 및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휴대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며, 게이트웨이(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무선인터넷 서버(도 시되지 않음)에 접속할 수 있는 왑 브라우저를 탑재하고 있으며,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유선 단말(110)은 PC 등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유무선 단말(100,110)은 개인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신호 프로토콜인 H.324M,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클라이언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비디오, 오디오 코덱을 구비하는데, 예를 들면 H.263 비디오 코덱 디코더, G.723.1 오디오 코덱 디코더를 구비한다. 또한, 방송 채널 정보 검색 기능과, 방송 채널 선택 및 미디어 세션 설정/해제 기능을 가진다.
상기 유무선 통신망(120)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망인 기지국 전송기(BST), 기지국 제어기(BSC), 교환기(MSC), 홈 위치 등록기(HLR) 등(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며, CDMA 계열과 WCDMA 계열의 무선 통신망들을 포함한다. 또한, 유선망은 ADSL, HDSL, RADSL 등의 DSL 계열을 총칭하는 xDSL 망을 포함한다.
상기 방송 시스템(13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방송 콘텐츠의 방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방송 가능한 경우 방송할 채널 및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제작자 단말에 통보하고, 시청자 단말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방송 콘텐츠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시청자 단말에 전송하는 기능을 하며, 상세한 기능은 도 2 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제작자 단말(140)은 개인 제작 영상 콘텐츠를 방송하려는 주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개인, 인터넷 동호회, 학교 동아리, 인디 밴드 등이 주체가 되며, 또한 주류 방송에 참여하지 못하는 소규모 사업자 등도 포함한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방송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방송 시스템(200)은 방송 서버(210), 방송 서비스 서버(220) 및 제작 도구(Authoring Tool)를 포함한다.
상기 방송 서버(210)는 제작자 단말이 제공하는 방송 콘텐츠를 저장하고 플레이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면 RTP, RTCP, RTSP 등의 방송 콘텐츠를 플레이하는 기능을 한다. RTP, RTCP, RTSP등의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방송한다. 안정적인 방송을 위해 서버 부하 관리 및 미디어 스트림 관리, 복수 미디어 세션(media session) 관리 기능을 한다. 또한, 신호 프로토콜, H.324M, SIP 등을 이용하여 단말과 세션 설정/해제 기능을 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방송 서버는 코덱 트랜스코딩(CODEC transcoding), 효율적인 패킷 전송을 위한 멀티 캐스팅 기능을 가지며, BCMCS(Broadcast/Multicast Service), MBSC(Multimedia Broadcast Service Center)와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원활한 방송 콘텐츠 공급을 위해서 다양한 외부 전문 방송 사이트와 연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송 서버(210)는 제작자 단말로부터 방송 콘텐츠를 업로드 받고, 상기 시청자 단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방송 콘텐츠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시청자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220)는 WEP 서버, WAP 서버를 포함하며, 방송 채널 정보 출력 및 검색 기능, 인기 채널 편집, 프로그램 광고, EPG 편집, 출력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제작 도구를 저장하고 제작자 단말로 다운로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220)는 제작자 단말로부터 방 송 채널 및 시간 할당을 요청받고, 상기 방송 콘텐츠의 방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방송 가능한 경우 방송할 채널 및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제작자 단말에 통보하고, 상기 채널 및 시간을 기초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를 생성한다.
제작 도구(230)는 동영상 제작도구와 정지 영상 제작도구를 포함한다.
동영상 제작도구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캠코더를 통해 1차 제작한 동영상 데이터를 편집하여 방송 가능한 최종 동영상 데이터를 제작하는 기술을 지원한다. 특히, 동영상 편집, 배경음악 편집, 다양한 형태의 자막 편집, 특수 효과 편집 등의 제작 기능과 모니터링 기능, 최종 방송 미디어 포맷으로 미디어 변환(media conversion) 기능을 한다. 또한, 정지영상 제작도구는 뮤직비디오와 같이 음악이 위주가 되는 콘텐츠의 경우 다수의 사진(이미지)을 편집하여 배경 이미지를 제작하는 기술. 사진(이미지) 편집, 특수 효과(이미지 왜곡, 전환, color 변환 등) 편집, 자막 편집 및 모니터링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작 도구(230)는 방송 서비스 서버(220)에서 상기 제작자 단말로 다운로드 되어 제작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동영상 제작도구의 경우 광대역 통합망(BcN)을 통해 개발된 제작도구가 이용될 수 있고, 정지영상 제작도구의 경우 이미지 콜을 통해 확보된 제작 도구가 이용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먼저 방송 서비스 서버(320)에서 제작 도구를 제작자 단말(330)로 다운로드 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작자 단말 자체의 제작 도구 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를 제작, 편집할 수도 있다. 이어 상기 제작자 단말에서 방송할 채널 및 시간 할당을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320)에 요청하고,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320)에서 이에 응답하고, 이를 기초로 EPG를 생성하여 상기 시청자 단말로 전송한다. 이어, 상기 제작자 단말(330)에서 상기 방송 콘텐츠를 방송 서버(310)에 업로드 하면, 상기 방송 허용 여부를 판단하고, 방송 가능하면 시청자 단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방송 콘텐츠를 시청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제작자 단말에 대가를 치른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방송 콘텐츠의 업로드는 상기 채널 및 시간 요청과 함께 상기 방송 서버에 업로드 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의 채널 편성의 예시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방송사는 소수의 방송 채널을 성격에 따라 분류하여 제공한다. 도 4 와 같이 콘텐츠의 특성(음악, 영화 등)에 따라 제공할 수도 있으며, 방송사의 전략에 따라 다양한 분류가 가능하다. 방송 제작자(개인, 동호회 등)는 방송 콘텐츠를 제작한 후, 방송사로부터 특정 채널, 특정 시간대를 방송용으로 할당받아 방송 콘텐츠를 제공한다. 방송 시간 할당은 서비스의 활성화 정도에 따라 무료, 유료로 전환할 수 있다. 도 4 는 채널 9의 6:00~6:30분까지 '김태희'가 'Night Jazz' 음악 방송용으로 할당한 예시이다.
도 5 와 6 은 개인 방송 서비스를 시청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시청자 단말은 도 5 와 같이 예를 들면, NATE에 접속하여 방송관련 WAP 페이지(**0001 [NATE]를 통해 직접 접속)를 통해 방송 schedule 을 검색한 후 해당 채널을 시청할 수 있거나, 또한 도 6 과 같이 채널URL(channel 7의 경우 **0007[NATE])을 직접 입력하여 해당 채널을 시청할 수도 있다.
이는 시청자 단말의 핸드셋 특성을 고려하여 복잡한 채널 접근 방식을 피하 기 위한 것으로, 윙크(WINC)와 같은 숫자 URL을 사용하는 것이다.
윙크는 숫자 입력으로 무선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모바일주소 서비스이며, 모바일주소(WINC) 서비스는 영문(도메인)에 일치하는 휴대폰 키패드 숫자를 누르고 나서, 예를 들면 #(구분자)+고유번호"와 인터넷 접속키를 누르면 해당 인터넷 페이지에 접속하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방송 서비스를 시청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방송 서비스 서버의 인터넷 주소를 포함한 특수번호, 예를 들면 **0001 [NATE] 키 버튼을 이용하여 WAP페이지에 접속하면(S500),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에서 EPG 페이지를 시청자 단말로 다운로드 하고(S502), 이어 시청자 단말에서 방송 채널을 선택하면(S504),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방송 서비스를 시청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채널 7의 URL을 의미하는 특수번호, 예를 들면 **0007[NATE] 키 버튼을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 서버의 해당 WAP 페이지에 접속하면(S600), 채널 7의 왑 페이지가 다운로드 되고(S602), 시청자 단말에서는 방송 서버에 접속하여(S604),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사업자가 소수의 채널로 구성된 방송 시스템을 관리하여 개개 콘텐츠에 대한 시청자 집중도를 높이고, 시청률 상승에 따른 개인 제작자의 제작의지 향상, 이를 통한 다양한 양질의 콘텐츠공급 선순환을 이끌 수 있다.
또한, 기존의 EV-DO망, HSDPA 망과 같은 고속 패킷망(packet network)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으며, 모바일 상에서 영상 콘텐츠 이용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치를 높여서 향후 영상 전화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 기반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적응도도 높일 수 있다.

Claims (23)

  1. (a) 제작자 단말에서 방송 콘텐츠 제작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제작자 단말에서 방송 시스템에 방송 채널 및 시간 할당을 요청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
    (c) 상기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방송 콘텐츠의 방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방송 가능한 경우 방송할 채널 및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제작자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 및
    (d) 상기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방송 콘텐츠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시청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다음에,
    (c1) 상기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방송할 채널 및 시간에 따라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를 생성하여 상기 시청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a0) 제작자 단말에서 상기 방송 시스템에 접속하여 방송 콘텐츠 제작 도구를 다운로드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전에,
    (c0) 상기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방송 콘텐츠를 내용별로 분류하여 채널 편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콘텐츠 제작 도구는,
    동영상 제작 도구, 또는 정지 영상 제작 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시스템은 웹(WEP) 서버 또는 왑(WAP)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7. (a) 제작자 단말에서 방송 콘텐츠 제작 도구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제작자 단말에서 방송 서비스 서버에 방송 채널 및 시간 할당을 요청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를 방송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c)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방송 콘텐츠의 방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방송 가능한 경우 방송할 채널 및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제작자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
    (d)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채널 및 시간을 기초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시청자 단말에서 상기 방송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방송 서버에서 상기 방송 콘텐츠를 상기 시청자 단말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다음에,
    (d1) 시청자 단말에서 특수번호를 통해 방송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d2)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에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를 상기 시청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d3) 상기 시청자 단말에서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검색한 후, 원하는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번호는,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의 UR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다음에,
    (d1) 시청자 단말에서 채널URL을 포함한 특수번호를 통해 방송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d2)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URL에 상응하는 채널 페이지를 상기 시청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11. 제 7 항, 제 8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버는,
    방송 콘텐츠의 패킷 전송을 위한 멀티 캐스팅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12. 제 7 항, 제 8 항 및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다음에,
    (b1) 상기 방송 서버에서 상기 방송 콘텐츠를 내용별로 분류하여 채널 편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13. 제 7 항, 제 8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a0) 제작자 단말에서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방송 콘텐츠 제작 도구를 다운로드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14. 제 7 항, 제 8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콘텐츠 제작 도구는,
    동영상 제작 도구, 또는 정지 영상 제작 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15. 제 7 항, 제 8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는 웹(WEP) 서버 또는 왑(WAP)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방송 콘텐츠 제작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는 제작자 단말;
    상기 제작자 단말로부터 방송 채널 및 시간 할당을 요청받고, 방송채널 및 상기 방송 콘텐츠의 방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방송 가능한 경우 방송할 채널 및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제작자 단말에 통보하고, 시청자 단말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방송 콘텐츠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시청자 단말에 전송하는 방송 시스템; 및
    특수번호를 통해 상기 방송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를 전송받는 시청자 단말을 포함하는 개인 방송 서비스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시스템은,
    상기 제작자 단말로부터 방송 채널 및 시간 할당을 요청받고, 상기 방송 콘텐츠의 방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방송 가능한 경우 방송할 채널 및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제작자 단말에 통보하고, 상기 채널 및 시간을 기초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를 생성하는 방송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제작자 단말로부터 방송 콘텐츠를 업로드 받고, 상기 시청자 단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방송 콘텐츠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시청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송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방송 서비스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작자 단말에 상기 방송 콘텐츠 제작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방송 서비스 시스템.
  22.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콘텐츠 제작 도구는,
    동영상 제작 도구 또는 정지 영상 제작 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방송 서비스 시스템.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버는,
    방송 콘텐츠의 패킷 전송을 위한 멀티 캐스팅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방송 서비스 시스템.
KR1020050100910A 2005-10-25 2005-10-25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784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910A KR100784066B1 (ko) 2005-10-25 2005-10-25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910A KR100784066B1 (ko) 2005-10-25 2005-10-25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701A KR20070044701A (ko) 2007-04-30
KR100784066B1 true KR100784066B1 (ko) 2007-12-10

Family

ID=3817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910A KR100784066B1 (ko) 2005-10-25 2005-10-25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0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2455A1 (en) * 2012-12-14 2014-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information in a broadcasting system
KR102316072B1 (ko) 2020-07-16 2021-10-21 정규용 인터넷방송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8151A1 (en) * 2008-01-05 2009-07-16 Persbro Corporation Private multimedia contents broadcasting equipment which uses ism radio frequency band or u-nii 5 radio frequency band, private multimedia contents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899332B1 (ko) 2008-01-05 2009-05-27 주식회사 퍼스브로 아이에스엠 무선 주파수 대역 또는 비인가 5기가헤르쯔 무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개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방송 장치, 이를 이용한 개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방송시스템 및 그 방송방법
KR101631436B1 (ko) * 2009-12-02 2016-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036A (ko) * 2002-12-02 2002-12-28 (주) 라소프트 휴대용 기기를 이용해서 개인이 촬영한 영상의 배포 및 판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036A (ko) * 2002-12-02 2002-12-28 (주) 라소프트 휴대용 기기를 이용해서 개인이 촬영한 영상의 배포 및 판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2455A1 (en) * 2012-12-14 2014-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information in a broadcasting system
KR102316072B1 (ko) 2020-07-16 2021-10-21 정규용 인터넷방송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701A (ko) 200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25327B (zh) 一种移动终端现场直播的方法及系统
US805113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reating, combining, distributing and reproducing program content for groups of participating users
US8601506B2 (en) Content creation and distribution system
US942653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reating, combining, distributing and reproducing program content for groups of participating users
CN102427463B (zh) 一种富媒体直播业务系统和方法
CN101262583B (zh) 媒体流的录制方法、实体及系统
CN101588469B (zh) 频道访问控制、交付方法、iptv系统及装置
US20120304230A1 (en) Administration of Content Creation and Distribution System
CN102790921B (zh) 为多屏业务选择和录制部分屏幕区域的方法和设备
TWI285502B (en) Intelligent adaptive programming based on collected dynamic market data and user feedback
CN102845056A (zh) 移动电视的画中画
KR100784066B1 (ko) 개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Marshall Screens: Television’s dispersed ‘broadcast’
JP5990363B2 (ja) 視聴者パーソナル化放送及びデータチャネル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0699100B1 (ko) 인터넷 방송 시청 중 사용자간 의견 교환이 가능한 인터넷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78320A (ko) 인터넷을 이용한 사용자간 방송 컨텐츠 제공 장치 및 그방법
KR20020073346A (ko) 카메라와 화면 캡쳐를 이용한 인터넷 분산 방송 시스템 및방법
KR101168698B1 (ko) Iptv의 개인 채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48273B1 (ko)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채널 편성표에 따른 방송 서비스제공 방법 및 장치
Zhang et al. Quality-assured and sociality-enriched multimedia mobile mashup
CN110502649B (zh) 一种多媒体业务的分类方法及装置
US20060156378A1 (en) Intelligent interactive multimedia system
US8542702B1 (en) Marking and sending portions of data transmissions
KR20060126058A (ko)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방법및 시스템
Rauschenbach Interactive tv meets mobile compu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