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5319A -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 - Google Patents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5319A
KR20090075319A KR1020080001135A KR20080001135A KR20090075319A KR 20090075319 A KR20090075319 A KR 20090075319A KR 1020080001135 A KR1020080001135 A KR 1020080001135A KR 20080001135 A KR20080001135 A KR 20080001135A KR 20090075319 A KR20090075319 A KR 20090075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lamp
light
focus
directly u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형수
방우종
Original Assignee
류형수
방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형수, 방우종 filed Critical 류형수
Priority to KR1020080001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5319A/ko
Publication of KR20090075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2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e.g. for foc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25Combination of two or more reflectors for a single light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에 관련되며,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램프(L)가 구비되는 조명장치의 케이스(C) 전면을 마감하는 반사판외곽면(10)와, 반사판외곽면(10) 중앙부에 램프(L)가 수용설치되도록 사각형상으로 함몰되면서 일단에 설치홀(20a)이 형성되는 램프반사부(20)가 구비되고, 상기 램프반사부(20)는 아치형으로 드로잉성형된 측면반사판(22a) 양단이 유선형으로 서로 연결되어 사면을 구성하는 측면반사부(22);와, 상기 측면반사부(22)와 일체로 형성되고, 램프(L)의 후방에 대응하게 위치되어 다수의 엠보싱돌기(24a)가 형성되는 후면반사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아치형의 측면반사부가 후면반사부의 엠부싱돌기를 통하여 난반사된 램프의 빛을 확산조사하므로 빛 집중화 및 간섭으로 인한 조사영역의 얼룩발생이 방지되고, 또 램프에서 조사되어 주변으로 산란된 빛까지 반사판커버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되므로 조명장치의 조사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조명장치, 램프, 반사판, 초점, 난반사

Description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 {Reflector for directly under area focus exclusion}
본 발명은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등, 보안등에 사용되는 램프의 빛을 고르게 확산시켜주는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에 관한 것이다.
가로등, 보안등과 같은 조명장치는 어두운 구역을 밝게 하여 야간에 통행자의 시야를 넓혀주거나 주거지, 보호구역 주변의 침입자를 경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때 가로등, 보안등은 램프의 조사율을 높이기 위해 반사판을 함께 구비하는바, 반사판은 주로 램프를 수용하듯이 설치되어 후방, 측방으로 조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가로등, 보안등과 같은 조명장치는 외형을 구성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반사판과, 반사판과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램프 등을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용도에 따라 가로등과 같이 넓은 시야를 밝히는 용도로 사용시 반사판이 램프의 빛을 더욱 넓은 조사각도로 반사하도록 형성되고, 주변에 침입자를 감시하기 위한 보안등의 경우 램프의 빛이 일정 구역에 집중되도록 형성 된다. 이처럼 조명장치에 있어 반사판은 램프의 조사율, 조사범위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구성이지만, 대부분의 반사판이 램프의 후방으로 조사되는 빛을 단순히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구조이므로 조명장치의 성능향상을 위하여 반사판의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 등록실용신안 제20-335273호(명칭: 가로등용 반사판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에서 일측이 개구된 반구형으로 이루어지고 램프가 설치되는 몸체와, 몸체의 내부 측면을 따라 경사면을 형성하는 측면반사부와, 몸체의 내부 상측면에 폭방향으로 만곡된 다수의 경사면을 돌출 형성한 상측반사부를 구비하여 낮은 소비전력으로도 높은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규정된 투광 면적을 확보하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조도를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이 선공개된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에 반사판은 램프의 조사율을 높이기 위한 기술이지만, 제작 및 사용상에 있어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첫째, 반사판의 동체가 경사면이 형성되는 측면반사부와 경사면이 형성된 상측반사부와 같이 복잡한 형상으로 설계되므로 이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제작이 까다로워 제조원가가 상승을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둘째, 경사면이 측면반사부와 상측반사부상에 반복형성되어 경사면과 경사면이 인접하는 경계부에 각이 형성되어 램프의 빛이 국부적으로 서로 겹치도록 조사됨에 따라 직하 영역에 초점이 집중되거나 얼룩이 발생되어 가시(可視)율이 저하되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의 빛을 고르게 조사하여 국부적인 직하 영역에 초점 집중화로 인한 얼룩발생을 방지하면서 반사판 제작에 따른 제조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램프(L)가 구비되는 조명장치의 케이스(C) 전면을 마감하는 반사판외곽면(10)와, 반사판외곽면(10) 중앙부에 램프(L)가 수용설치되도록 사각형상으로 함몰되면서 일단에 설치홀(20a)이 형성되는 램프반사부(20)가 구비되고, 상기 램프반사부(20)는 아치형으로 드로잉성형된 측면반사판(22a) 양단이 유선형으로 서로 연결되어 사면을 구성하는 측면반사부(22);와, 상기 측면반사부(22)와 일체로 형성되고, 램프(L)의 후방에 대응하게 위치되어 다수의 엠보싱돌기(24a)가 형성되는 후면반사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설치홀(20a)은 램프반사부(20)에 수용되는 램프(L)와 후면반사부(24)사이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엠보싱돌기(24a)는 반구형으로 돌출되고, 지그재그형태로 정렬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아치형의 측면반사부가 후면반사 부의 엠부싱돌기를 통하여 난반사된 램프의 빛을 일정한 영역에 한하여 고르게 확산조사하므로 직하 영역의 초점 집중화 및 빛 겹침으로 인한 조사영역의 얼룩발생이 방지되고, 또 램프에서 조사되어 주변으로 산란된 빛까지 반사판커버에 의해 전방으로 조사되므로 조명장치의 조사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 반사판의 구조가 단순하게 설계변경되면서 반사판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이 단순화됨에 따라 금형제작에 따른 소요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고, 이는 곧 반사판 제조원가 절감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이 설치된 조명장치를 전체적으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의 램프 빛 반사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에 관련되며, 이때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은 지지대에 의해 지상과 소정의 높이에 이격되도록 설치된 가로등, 보안등과 같은 조명장치의 램프 빛을 조사영역에 한하여 고르게 반사하기 위해 반사판외곽면(10), 측면반사부(22)와 후면반사부(24)로 이루어진 램프반사부(20) 등을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판외곽면(10)는 램프반사부(20)와 일체로 형성되어 램 프(L)가 구비되는 조명장치의 케이스(C) 전면을 마감하도록 설치된다. 반사판외곽면(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장치의 케이스(C) 전(前)면에서 램프반사부(20)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마감하도록 케이스(C)의 전(前)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판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반사판외곽면(10)가 케이스(C)의 전(前)면을 평면으로 마감하여 미관상 깔끔한 디자인을 제공함은 물론 램프반사부(20)에서 반사된 램프(L)의 빛이 케이스(C) 전방에 설치된 보호유리 등에 의해 역반사되더라도, 이를 다시 전방으로 반사하므로 램프(L)의 빛 손실이 방지되어 조명장치의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램프반사부(20)는 반사판외곽면(10) 중앙부에 램프(L)가 수용설치되도록 사각형상으로 함몰되면서 일단에 설치홀(20a)이 형성된다. 여기서 설치홀(20a)은 램프(L)의 체결부가 전원소켓상으로 체결되도록 관통된 통공으로써, 장공형태로 절개되어 램프(L)가 전후방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램프(L)의 사이즈 혹은 조명장치의 조사범위를 조절시 램프(L)와 후면반사부(24) 사이의 간격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램프반사부(20)는 아치형으로 드로잉성형된 측면반사판(22a) 양단이 유선형으로 서로 연결되어 사면을 구성하는 측면반사부(22)와, 램프(L)의 후방에 대응하게 위치되어 다수의 엠보싱돌기(24a)가 형성되는 후면반사부(24)로 구성된다.
여기서, 램프반사부(20)의 내측 사면을 구성하는 측면반사판(22a)은 도 3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거울처럼 아치형으로 드로잉성형되면서 서로 대응하는 양단이 유선형으로 연결되어 램프(L)의 빛 및 후면반사부(24)를 통하여 난반사된 빛이 불필요한 영역으로 조사되지 않고 설정된 영역에 한하여 고르게 조사되도록 한다. 즉, 후면반사부(24)에 난반사된 빛이 도 2처럼 사면에 위치된 각각의 측면반사판(22a)에 반사되어 서로 상이한 영역으로 조사됨에 따라 조사영역의 겹침으로 인한 직하 영역 초점 집중 및 얼룩발생이 방지된다.
또, 후면반사부(24)는 전(全)면에 형성된 엠보싱돌기(24a)에 의해 램프(L)의 빛이 난반사되어 확산되는바, 이때 엠보싱돌기(24a)는 볼록거울처럼 반구형으로 돌출되면서 빈틈없이 촘촘하게 위치되도록 지그재그형태로 정렬배치된다. 이에 각각의 엠보싱돌기(24a)가 램프(L)의 후방으로 조사되는 빛을 확산하여 사방으로 난반사시키면, 측면반사판(22a)이 난반사된 빛을 일정한 구역에 한하여 전방으로 고르게 조사하게 된다.
도 3을 통하여 반사판에 의한 램프(L)의 빛 반사 상태를 살펴보면, 램프(L)가 램프반사부(20) 내부로 수용되도록 설치되어 점등되면, 램프(L)의 전방영역에서 발생되는 빛은 외부로 그대로 조사되고, 측면 및 후방영역에서 발생되는 빛은 후면반사부(24)의 엠보싱돌기(24a)에 의해 난반사되되, 왼쪽에 위치된 측면반사판(22a)은 빛을 전방 오른쪽으로 확산 반사하고, 이와 반대로 오른쪽에 위치된 측면반사판(22a)은 빛을 전방 왼쪽으로 확산 반사하는 방식으로 사면에 위치된 측면반사판(22a)가 빛을 설정된 구역으로 고르게 조사된다.
이때, 측면반사판(22a)이 오목거울형태로 구비되어 후면반사부(24)를 통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난반사되어 전달된 빛이 불필요한 영역으로 조사되지 않도록 한정된 구역으로 모으면서 고르게 확산 조사하므로 조사거리 확장 및 램프의 조사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이 설치된 조명장치를 전체적으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의 램프 빛 반사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Claims (3)

  1. 램프(L)가 구비되는 조명장치의 케이스(C) 전면을 마감하는 반사판외곽면(10)와, 반사판외곽면(10) 중앙부에 램프(L)가 수용설치되도록 사각형상으로 함몰되면서 일단에 설치홀(20a)이 형성되는 램프반사부(20)가 구비되고,
    상기 램프반사부(20)는 아치형으로 드로잉성형된 측면반사판(22a) 양단이 유선형으로 서로 연결되어 사면을 구성하는 측면반사부(22);와,
    상기 측면반사부(22)와 일체로 형성되고, 램프(L)의 후방에 대응하게 위치되어 다수의 엠보싱돌기(24a)가 형성되는 후면반사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홀(20a)은 램프반사부(20)에 수용되는 램프(L)와 후면반사부(24)사이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돌기(24a)는 반구형으로 돌출되고, 지그재그형태로 정렬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
KR1020080001135A 2008-01-04 2008-01-04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 KR20090075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135A KR20090075319A (ko) 2008-01-04 2008-01-04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135A KR20090075319A (ko) 2008-01-04 2008-01-04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319A true KR20090075319A (ko) 2009-07-08

Family

ID=41332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135A KR20090075319A (ko) 2008-01-04 2008-01-04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53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6751A (zh) * 2015-03-09 2015-06-10 苏州昆仑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多层次新型灯
KR20160073040A (ko) 2014-12-16 2016-06-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간암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마이크로 rna-31의 용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040A (ko) 2014-12-16 2016-06-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간암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마이크로 rna-31의 용도
CN104696751A (zh) * 2015-03-09 2015-06-10 苏州昆仑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多层次新型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950B1 (ko) 후사광 차단부를 갖는 엘이디 조명 모듈
JP5568203B2 (ja) 屋外用照明器具
KR102040861B1 (ko) 휘도향상 구조를 갖는 엘이디 모듈
KR101000014B1 (ko) 엘이디 가로등 장치
JPH1069809A (ja) 照明器具
KR20090075319A (ko)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
KR100930228B1 (ko) 엘이디 가로등
KR20110065836A (ko) 조사각 제한을 위한 가로등의 램프 헤드용 차광기구
KR100740713B1 (ko) 가로등
JP5277939B2 (ja) 照明器具
KR100699565B1 (ko) 가로등
JP4038649B2 (ja) 照明装置
KR200421543Y1 (ko) 조명장치
JP4140526B2 (ja) トンネル照明装置
KR102388733B1 (ko) 휘도와 조도가 개선된 구조의 일체형 렌즈와 반사부재를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KR200237094Y1 (ko) 조명 장치
KR200332573Y1 (ko) 가로등용 반사판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KR101325991B1 (ko) 가로등용 전등갓
KR102389794B1 (ko) 휘도와 조도가 개선된 구조의 렌즈와 반사부재를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KR200433685Y1 (ko) 조명등의 고조도 반사판 구조
KR102389797B1 (ko) 휘도와 조도가 개선된 구조의 렌즈와 반사구조를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KR20210007752A (ko) 후사광 방지용 엘이디 렌즈 및 조명모듈용 커버 플레이트
KR200401209Y1 (ko) 가로등
CN216976639U (zh) 一种嵌入式控光装置及灯具
KR102114055B1 (ko) 빛 공해방지를 위한 led기판의 후사광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