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094Y1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094Y1
KR200237094Y1 KR2020010001572U KR20010001572U KR200237094Y1 KR 200237094 Y1 KR200237094 Y1 KR 200237094Y1 KR 2020010001572 U KR2020010001572 U KR 2020010001572U KR 20010001572 U KR20010001572 U KR 20010001572U KR 200237094 Y1 KR200237094 Y1 KR 2002370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case
reflective cover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양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양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양전자
Priority to KR2020010001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0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0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094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로등, 보안등 또는 실내의 조명등의 광원에서 발생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를 개량하여 광반사효율을 더욱 향상시킨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에 의하면, 조명 장치 중 특히 광원에서 발생한 빛을 반사시켜 일정한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반사커버의 내측을 앰보싱 가공하여 광원에서 발생한 방사상의 빛이 반사커버의 광확산부에 도달하여 반사될 때, 상기 빛이 산란되어 출사되도록 하여 출사되는 광의 균일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광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 장치{APPARATUS LIGHTING}
본 고안은 실내의 조명 또는 실외에 시설되는 보안등 및 가로등과 같은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등의 광원에서 발생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를 개량하여 광반사 효율을 더욱 향상시킨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명 장치는 일반적으로 야간에 필요한 조도를 얻기 위한 장치로, 광범위한 영역에 빛을 조사(助射)하거나, 광원에서 방사상으로 방출된 빛을 일방향으로 모 아서 국부적으로 한정된 면적에 빛을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국부적으로 한정된 면적에 빛을 공급하는 조명 장치의 광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 자체의 효율이 높아야 함은 물론 빛이 특정 방향으로 모이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반사 커버(reflector cover)'의 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갖아야만 한다.
그러나, 종래 조명 장치는 광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광원의 개발은 끊임없이이루어지고 있지만 반사 커버의 개발은 특별히 이루어지지 않아 조명 장치의 전체 효율이 높아지지 않는 문제점을 갖는다.
예를 들면, 어두운 거리를 밝게하여 야간에 교통안전 도모와 통행의 편의성을 보장하는 보안등 및 가로등의 경우, 지면으로부터 매우 높은 곳에 위치하는 이유로 지면에서 일정 조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조명장치의 높은 광효율이 요구되지만, 광원을 감싸 지면으로 빛이 모아져 도달되도록 하는 반사커버의 표면이 매끈하게 처리된 후, 표면에 광반사율을 높이는 도료를 처리하여 제작함으로써 반사커버에서 반사된 반사광의 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조명 장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광원에서 발생된 방사상의 빛을 일방향으로 모아 피조사영역에 보다 효율적으로 반사시켜서 광반사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조명 장치는 광원과 대향하는 반사커버의 표면에 상기 광원 방향에 대하여 엠보싱 또는 사각뿔 형상으로 돌출 또는 반구형으로 함몰되게가공한 광확산수단을 형성하여 광반사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들은 상세하게 후술될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1은 상기 조명 장치의 사시도로서, 프론트케이스가 열려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조명 장치에서 반사커버와 광원만을 추출하여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본 단면도로서, 상기 반사커버에 형성된 광확산부를 확대하여 보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반사커버에 형성된 광확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반사커버에 형성된 광확산부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반사커버에 형성된 광확산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장치를 가로등의 폴대에 설치하여 사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리어케이스 120 : 프론트케이스
125 : 투명플레이트 130 : 케이스
140 : 광원소켓 150 : 광원
160 : 반사커버 170 : 광확산부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빛을 발생하는 광원; 상기 케이스 내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광원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그 광원과 결합되는 광원소켓; 상기 케이스에 수납·결합되어 상기 광원의 일부를 감싸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빛이 도달하여 반사될 때, 상기 빛이 산란되어 확산되도록 상기 광원과 대향하는 표면에 광확산수단이 가공 처리되어 형성된 반사커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광확산수단은 상기 광원과 대향하는 상기 반사커버의 표면에 그 광원에 대하여 엠보싱 형상으로 돌출·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광확산수단은 상기 광원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사각(四角)뿔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광확산수단은 상기 광원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오목하게 함몰하여 형성한 반구형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하면,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시켜 일정한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반사커버의 내측 표면을 광원에 대하여 엠보싱 처리, 또는 사각뿔형상으로 돌 출, 또는 반구형상으로 함몰시켜 가공하여 줌으로써,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방사상의 빛이 반사커버의 광확산수단에서 반사되면서 산란된 후 일정한 방향으로 균일하게 확산되어 출사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반사커버의 광확산수단에 의해서 반사되는 광의 균일성이 더욱 향상되고 또한 광의 반사 효율이 보다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이하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조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은 조명장치의 크기에 무관하고 여러 종류, 예컨대 가로등용 조명, 스탠드용 조명, 실내 및 공장 등의 조명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각 도면에 있어서, 같은 구성성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조명 장치의 보다 상세한 구성 및 구성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로서, 프론트 케이스가 열려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조명장치에서 반사커버와 광원만을 추출하여 보인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본 단면도로서, 상기 반사커버에 형성된 광확산부를 확대하여 보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는 조명 장치의 일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조명장치(100)는 전체적으로 보아 리얼케이스(110)와 프론트케이스(120)로 이루어진 케이스(130)와 , 리얼케이스(110) 내에 수납되어 빛을 발생하는 광원(150)과, 리얼케이스(110) 내의일측벽에 고정되어 광원(15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그 광원(150)과 결합되는 광원소켓(140)과, 리얼케이스(110) 내에 수납·결합되어 광원(150)의 일부를 감싸며 광원(150)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피조사영역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커버(160)와, 반사커버(160)의 표면에 형성되며 광원(150)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도달하여 반사될 때, 상기 빛이 산란되어 확산되도록 하는 광확산부(170)로 구성된다.
이때, 조명 장치(100)중 광원 소켓(140)과 광원(150), 광확산부(170)는 필수적으로 필요하지만 케이스(130) 및 반사커버(160) 중 어느 하나는 상세하게 후술될 광확산부(170)의 형성 여부에 따라서 필수적이지 아니하다.
예를 들면, 광확산부(170)가 반사커버(160)에 형성될 경우, 이때 케이스(130)는 단지 광원(150)을 보호, 먼지 유입 방지, 외관 등 조명 장치(100)의 보조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은 이유로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이와 같이 광확산부(170)가 반사커버(160)에 형성되어 케이스(130)가 필요 없는 경우는 반사커버(160) 역할을 하는 통상적인 '갓(shade)'과 그 '갓'에 끼워진 '광원 소켓', '광원 소켓'에 끼워진 '광원'으로 구성된 대부분의 조명 장치가 이에 해당된다.
다른 예로, 케이스(130)가 반사 커버(16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한 상태에서 광확산수단(170)이 케이스(130)에 직접 형성될 경우로, 이때 케이스(130)는 반사 커버(160)의 역할을 함께 수행함으로 반드시 반사커버(160)가 필요 하지는 않는다.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로 조명 장치(100)의 반사커버(160)에 광확산부(170)을 형성하고, 필수 구성 요소는 아니지만 광원(150), 광원 소켓(140), 반사커버(160)를 감싸 보호,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케이스(130)까지 포함된 실시 예에 대하여 이하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30)는 다시 리어케이스(110)와 프론트케이스(120)로 나뉘어진다.
이때, 프론트케이스(120)의 일부는 빛이 방출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고, 개구에는 일 실시 예로 투명한 플레이트(125)가 설치되며, 리어케이스(110)에는 반사커버(160) 및 광원 소켓(140), 광원(150)이 탑재될 충분한 공간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리어케이스(110)의 내부에는 반사커버(160)가 먼저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반사커버(160)는 리어케이스(110)의 내부에 수납됨과 동시에 다시 광원(150) 및 광원 소켓(140)이 내부에 수납되기에 적합하도록 움푹한 보울(bowl) 형상을 갖는다.
이때, 반사커버(160)는 광 반사율이 높은 재질로 제작되거나, 광 반사율이 높은 도료가 표면에 코팅된다.
이와 같은 반사커버(160) 중에서 광원(150)과 직접 대향하는 부분, 즉, 반사 커버(160)의 내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부(170)가 형성된다.
이 광확산부(170)은 광원(150)에서 발생한 빛이 반사커버(160)의 표면에 도달하여 반사될 때, 산란이 발생하도록 하여 빛이 균일한 분포를 갖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광확산부(170)는 반사커버(160)의 내측 표면을 앰보싱 가공하여 구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부(170)는 반사커버(160)의 내측 전표면에 광원(150)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반구(172) 형상을 갖도록 돌출 하여 균일·가공되어짐으로써 구현되는 바, 가공 방법으로는 성형 가공 또는 프레스 가공 등이 유효하다.
이때, 광원(150)에서 발생한 방사상의 빛은 반구(172) 형상을 갖는 다수의 광확산부(170)의 원주면에 부디쳐 산란된 후 확산되면서 반사되고 그 반사 빛은 프론트케이스(120)의 투명한 플레이트(125)를 통해 출사된다.
이와 달리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부(170)는 반사커버(160)의 내측 전표면에 광원(150)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사각뿔(174)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가공되어짐으로써 구현되는 바, 가공 방법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성형 가공 또는 프레스 가공 등이 유효하다.
이때, 광원(150)에서 발생한 방사상의 빛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각뿔(174) 형상을 갖는 다수의 광확산부(170)의 사각면에 부디쳐 산란되고 확산되면서 반사되고 그 반사 빛은 프론트케이스(120)의 투명한 플레이트(125)를 통해 출사된다.첨부된 도 5는 사각뿔(174) 형상으로 돌출 가공된 광확산부(170)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여기서, 도 4의 광확산부(170)는 반사커버(160)에 대하여 도 5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에 대해서는 사각뿔(174) 형상이 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되고, 가로방향에 대해서는 등간격으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한편,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반사커버(160)에 형성된 광확산부(17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의 광확산부(170)는 광원(150)을 향하는 방향에 대해 반사커버(160)의 내측 면을 반원형상으로 오목하게 함몰하여 가공한 반구홈(176)으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이처럼 반사커버(160)의 내부를 오목한 반구홈(176)으로 형성할 경우 앞서 도 3,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와 유사한 결과를 발생시킨다.즉 다시 말해서, 광원(150)에서 발생한 방사상의 빛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구홈(174) 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광확산부(170)의 원주 내면에 부디쳐 산란되고 확산이되면서 반사되고 그 반사된 빛이 프론트케이스(120)의 투명한 플레이트(125)를 통해 출사되는 것이다.
이외에도 본 고안에 의한 광확산부(170)는 요철형으로 형성하되, 그 형상 및 단면이 매우 다양할 수 있는 바, 광원(150)에서 발생한 빛이 반사되면서 산란을 일으키도록 어떠한 형태의 앰보싱 가공 또한 무방하다.
이후,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반사커버(160)의 내부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케이스(110)를 매개로 광원 소켓(140)이 장착되고, 광원 소켓(140)에는 광원(150)이 끼워진 후, 리어케이스(110)와 프론트케이스(120)는 체결 수단을 매개로 체결된다. 그리고 체결된 조명장치(10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등의 폴대에 결합되어 인도 또는 도로를 밝혀 교통안전 도모와 통행의 편리성을 보장하게 된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시켜 주도록 하는 반사커버의 표면이 매끈하게 처리되어 광 반사 효율이 저하되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일정한 방향으로 반사시켜 주는 반사커버의 내측을 엠보싱 가공하여 줌으로써,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반사커버에 반사되면서 산란되어 일정한 방향으로 균일하게 출사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메카니즘의 추가 및 구조의 복잡성 없이 반사커버의 엠보싱 처리에 의해 반사커버에서 반사되는 광의 균일성이 더욱 향상되고 또한 광의 반사 효율이 보다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조명 장치 중 특히 광원에서 발생한 빛을 반사시켜 일정한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반사커버의 내측을 앰보싱 가공하여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반사커버에서 반사되면서 산란되도록 하여 출사되는 광의 균일성을 더욱 향상 및 광의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1) 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빛을 발생하는 광원(150);
    (2) 상기 케이스 내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광원(15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그 광원(150)과 결합되는 광원소켓(140); 및
    (3) 상기 케이스에 수납·결합되어 상기 광원(150)의 일부를 감싸며, 상기 광원(150)으로부터 발생한 빛이 부디쳐 반사될 때, 상기 빛이 산란되어 확산되도록 상기 광원(150)과 대향하는 전 표면에 광확산수단이 가공 처리되어 형성된 반사커버(16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수단은 상기 광원(150)과 대향하는 상기 반사커버(160)에 앰보싱 형태로 가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수단은 상기 광원(150)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반구(172)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수단은 상기 광원(150)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사각뿔(174)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수단은 상기 광원(150)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반구형상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가공된 반구홈(17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KR2020010001572U 2001-01-19 2001-01-19 조명 장치 KR2002370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572U KR200237094Y1 (ko) 2001-01-19 2001-01-19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572U KR200237094Y1 (ko) 2001-01-19 2001-01-19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094Y1 true KR200237094Y1 (ko) 2001-10-27

Family

ID=7306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572U KR200237094Y1 (ko) 2001-01-19 2001-01-19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09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216B1 (ko) * 2008-07-02 2009-04-07 이길수 고기잡이용 조명장치
KR100895436B1 (ko) * 2008-12-30 2009-05-07 류형수 도로조명등
KR101022412B1 (ko) * 2009-05-21 2011-03-15 (주)신한전광 가로등용 반사갓 및 이를 구비하는 가로등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216B1 (ko) * 2008-07-02 2009-04-07 이길수 고기잡이용 조명장치
KR100895436B1 (ko) * 2008-12-30 2009-05-07 류형수 도로조명등
KR101022412B1 (ko) * 2009-05-21 2011-03-15 (주)신한전광 가로등용 반사갓 및 이를 구비하는 가로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9142C1 (ru) Уличный фонарь на светодиодах
AU2009271703B2 (en) Light-directing apparatus with protected reflector-shield and lighting fixture utilizing same
US797619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thway or similar lighting
JP3787146B1 (ja) 照明装置
JP2009266780A (ja) 発光体および照明器具
KR200454321Y1 (ko) 조사범위의 조절기능을 가지는 천정용 매입등
KR101827255B1 (ko) 그림자 광고 시스템
JP2000511688A (ja) 照明器具
MXPA04005408A (es) Luminarias mejoradas para la iluminacion de paneles exteriores.
US7883236B2 (en) Light fixture and reflector assembly for same
KR200237094Y1 (ko) 조명 장치
US20040100793A1 (en) Outdoor strobe light
KR100930228B1 (ko) 엘이디 가로등
CN209026723U (zh) 一种用于车辆的大角度led工作灯
KR102036515B1 (ko) 빛 공해 방지 가능한 옥외 조명장치
KR101941850B1 (ko) 조형물로 사용이 가능한 경관 조명등
KR20170001178U (ko) 천장형 led 조명 장치
JPH10275507A (ja) 道路灯
CN215112446U (zh) 一种蜂窝型灯罩
KR20090075319A (ko) 직하 영역 초점 제거용 반사판
CN211780864U (zh) 一种透镜组件及照明灯具
KR101218551B1 (ko) 엘이디 보안등의 배광구조
CN214468391U (zh) 一种照明装置
JP2002251903A (ja) Led照明器具
JP4661836B2 (ja) 照明器具用の反射材及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