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216B1 - 고기잡이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고기잡이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216B1
KR100892216B1 KR1020080063920A KR20080063920A KR100892216B1 KR 100892216 B1 KR100892216 B1 KR 100892216B1 KR 1020080063920 A KR1020080063920 A KR 1020080063920A KR 20080063920 A KR20080063920 A KR 20080063920A KR 100892216 B1 KR100892216 B1 KR 100892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ng plate
lamp
cover
fishing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수
김광자
Original Assignee
이길수
김광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수, 김광자 filed Critical 이길수
Priority to KR1020080063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16Strap fasteners, e.g. fasteners with a buck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잡이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기잡이용 조명장치는 선박의 설치틀에 설치되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판면에 램프고정부가 형성되는 오목한 반구형의 반사판; 상기 반사판의 개구부가 해수면을 향하도록 절곡되고, 상기 반사판을 상기 설치틀에 결합 고정시키는 지지프레임; 체결구를 이용하여 인접한 반사판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반사판에 고정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반사판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 길이가 조절되어 해수면을 향하는 상기 반사판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의 오목한 내측면과 상기 덮개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엠보싱 처리하며, 상기 반사판과 상기 덮개는 후크부에 의해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집어등으로부터 무지향으로 발산되는 빛을 해수면으로 집중시킬 수 있고, 대기 중에 포함된 염분에 의해 조명장치 내부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집어등에 사용되는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고, 갑판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며, 포획된 고기가 집어등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선박, 고기잡이, 집어등, 조명장치, 반사판, 덮개, 조절수단

Description

고기잡이용 조명장치{Illuminating Device For Using Fishing}
본 발명은 주광성을 가지는 어종을 집어할 때 사용되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집어등이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집어등에서 발산되는 빛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빛의 수중침투력을 높이고, 해수면에 조사되는 빛의 각도가 조절되어 집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징어나 고등어 등과 같은 주광성(走光性)을 갖는 어종, 즉 빛으로 향하는 성질을 가지는 여러 어종을 어획하고자 할 때에는 높은 조도를 갖는 집어등(集魚燈)을 이용하여 집어시킨 후 낚시바늘이나 그물 등을 사용하여 어획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주광성을 가지는 여러 어종을 집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집어등은 통상적으로 선박의 선상에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설치된다.
집어등은 효율(빛의 조도)이 높고 수중 침투력이 강하면서 집어 효율이 우수한 공지의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이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수직 또는 수평방향의 두 형태로 일렬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집어등은 실험을 통하여 수평보다는 수직방향으로 설치할 때 더욱 높은 조도를 갖는 것이 입증됨에 따라 현재 대부분의 선박에는 수평보다는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선박의 선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집어등은 선상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에 그 선박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같이 설치되는 집어등은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높은 조도로 발광되어 조사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집어등에서 조사되는 빛은 그 집어등으로부터 상,하는 물론 전,후,좌,우로 빛이 발산되어 조사되므로, 집어에 필요한 빛과 수중으로 침투되는 빛이 상당히 적을 뿐만 아니라 무지향으로 분포되어져 집어력이 상당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더욱더 높은 발광력을 갖는 집어등을 사용하였으나, 이 같은 경우 상당히 많은 전기에너지와 발전기의 연료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여전히 집어등에서 발산되는 빛이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는 물론 전,후,좌,우로 빛이 발산되어 효율적으로 빛이 조사되지 않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조도를 높이기 위한 종래의 또 다른 방법은 더욱더 많은 개수의 집어등을 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하였으나, 선박에 설치되는 집어등의 경우, 그 선박의 톤수에 비례하여 일정 개수 이상 설치할 수 없는 법적 규제를 받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집어등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갑판 위로 조사되어 갑판 위의 작업자는 눈부심과 집어등의 열기로 인해 뜨거움을 느끼게 되므로 작업에 방해가 되며, 또한 갑판 위로 잡아 올린 고기는 집어등의 열기로 인하여 쉽게 변질되어 신선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한 바람에 의하여 상기 집어등이 흔들리고, 상기 집어등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집어등의 파손에 따른 안전상의 문제점도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집어등을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집어등으로부터 무지향으로 발산되는 빛을 해수면으로 집중시키되, 반사판을 통해 반사된 빛을 산란시킬 수 있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집어등에 사용되는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발명은 갑판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포획된 고기가 집어등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선박에서 길이방향으로 상하 평행하게 설치틀이 설치 고정되고, 상기 설치틀에 설치되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판면에 형성되어 집어등을 고정시키는 램프고정부가 형성되는 오목한 반구형의 반사판; 상기 반사판의 개구부가 해수면을 향하도록 절곡되고, 상기 반사판을 상기 설치틀에 결합 고정시키는 지지프레임; 체결구를 이용하여 인접한 반사판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반사판에 고정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반사판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 길이가 조절되어 해수면을 향하는 상기 반사판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턴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의 오목한 내측면과 상기 덮개의 양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돌출 또는 함몰되도록 엠보싱 처리하며, 상기 반사판과 상기 덮개는 후크부에 의해 탈부착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반사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고리와, 상기 걸고리에 대응하여 상기 반사판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걸고리와 탈부착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반사판과 상기 덮개 사이에 개재되는 밀착부재;가 더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집어등에 밀착되어 상기 집어등과 상기 램프고정부 사이를 밀폐하는 링 형상의 밀폐링;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어등을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집어등으로부터 무지향으로 발산되는 빛을 해수면으로 집중시키되, 반사판을 통해 반사된 빛을 산란시킬 수 있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집어등에 사용되는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갑판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포획된 고기가 집어등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사판의 개구부를 폐쇄하여 대기 중에 포함된 염분에 의해 조명장치 내부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해수면을 향하는 반사판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집어등에서 발산되는 빛이 해수면에 용이하게 조사되도록 할 수 있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접한 반사판을 상호 고정시켜 집어등이 설치된 반사판을 더욱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집어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사판과 덮개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반사판의 개구부 폐쇄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집어등에서 발산되는 빛이 해수면에서 초점을 형성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사판의 개구부가 개폐되어 집어등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집어등이 설치된 반사갓을 설치틀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집어등의 빛이 용이하게 해수면으로 발산하도록 할 수 하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사판의 개구부를 개폐할 때 덮개의 파손 및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집어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열로 인해 반사판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기잡이용 조명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선박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하 평행하게 설치틀이 설치 고정되어 있고, 설치틀에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가 설치 배열된다.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반사판(1)과, 덮개(2)로 구분할 수 있다.
반사판(1)은 집어등(6)에서 발산되는 빛을 해수면에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오목한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판면에는 집어등(6)을 고정시킬 수 있는 램프고정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램프고정부(11)는 집어등(6)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소켓(14)과, 고정공(12)과, 절연부(16)로 구분할 수 있다.
소켓(14)은 집어등(6)의 전극 부분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고정공(12)은 반사판(1)의 판면에 관통 형성되어 소켓(14)이 관통 고정되도록 한다.절연부(16)는 소켓(1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여 반사판(1)의 판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염분에 의한 소켓(14)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공(12)과 소켓(14) 사이에 생길 수 있는 간격을 밀폐할 수 있다.
램프고정부(11)에 집어등(6)이 결합될 때, 램프고정부(11)의 고정공(12)을 밀폐하기 위해 결합되는 집어등(6)을 감싸도록 끼움 삽입되는 밀폐링(15)이 형성될 수 있다. 밀폐링(15)은 절연성과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 고, 링 형상으로 집어등(6)을 감싸고 있다.
집어등(6)이 램프고정부(11)에 결합됨에 따라 밀폐링(15)이 가압되어 고정공(12)을 밀폐할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조명장치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밀폐링(15)에 의한 완충 효과로 집어등(6)을 보호하고 집어등(6)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폐링(15)은 고정공(12)을 밀폐함과 더불어 집어등(6)의 전극 부분이 결합된 소켓(14)의 개구부를 밀폐하게 되어 염분에 의한 소켓(14)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에서 방수 절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사판(1)은 스테인리스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반사판(1)의 외측면을 도장(塗裝)하여 대기 중의 염분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반사판(1)은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집어등(6)의 열기에 의해 반사판(1)이 과열될 때, 재질적 특성상 열전도도가 높아 과열된 반사판(1)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반사판(1)의 오목한 내측면에는 집어등(6)에서 발산하는 빛을 용이하게 반사시키기 위해 반사막(13)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반사판(1)의 오목한 내측면은 함몰 또는 돌출되어 올록 볼록하게 엠보싱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엠보싱 처리된 반사판(1)의 내측면은 집어등(6)에서 발산되는 빛을 반사시킬 때, 난반사되도록 하여 반사판(1)에서 반사된 빛이 해수면에서 초점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고, 집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반사판(1)의 판면에는 복수 개의 방열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고, 램프고정부(11)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 라인이 형성될 수 있으며, 통풍 라인(도시되지 않음)은 반사판(1)의 내측면과 연통되도록 하는 호스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통풍 라인(도시되지 않음)은 소켓(14)과 절연부(16)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통풍라인(도시되지 않음)과 방열공(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집어등(6)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으므로, 반사판(1)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통풍라인(도시되지 않음)이나 방열공(도시되지 않음)의 관통 크기는 반사판(1)의 개구부를 덮개(2)가 밀폐한 상태에서 밀폐된 조명장치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조명장치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고, 바람에 의해 대기 중에 함유된 염분이 통풍라인(도시되지 않음)이나 방열공(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용이하게 조명장치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밀폐된 조명장치 내부의 열기는 방출되고, 대기 중에 함유된 염분에 의해 반사판(1)의 오목한 내측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사판(1)의 가장자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절곡되어 단턱부(17)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턱부(17)는 후술하는 밀착부재(5)와 덮개(2)의 가장자리가 용이하게 안착하여 반사판(1)의 개구된 부분(이하 개구부라 함)를 밀폐하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는 인접한 반사판(1)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프레임(19)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프레임(19)은 설치틀(T)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 다수의 반사판(1)을 상호 연결하여 강한 바람이나 선박(S, 도 5와 도 6 참조)의 흔들림에 대해 설치틀(T)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집어등(6)의 파손을 방지하여 준다.
연결프레임(19)은 도면에서 반사판(1)이 설치틀(T)에 설치될 때, 높이 방향에 따른 반사판(1)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한 반사판(1)의 연결프레임(19)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체결구가 사용된다.
체결구(도시되지 않음)는 연결프레임(19)에 형성된 연결부(19a)를 통해 용이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체결구(도시되지 않음)는 반사판(1)이 강한 바람이나 선박(S, 도 5와 도 6 참조)의 흔들림에 따라 설치틀(T)에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하고 집어등(6)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프레임(19)과 설치틀(T)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연결프레임(19)은 반사판(1)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하는 링 형태의 원형 틀일 수 있고, 다각형의 틀 형태로 구성된 연결프레임(19)에 반사판(1)의 가장자리가 안착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반사판(1)의 개구부는 덮개(2)에 의해 폐쇄된다.
덮개(2)는 반사판(1)의 개구부를 폐쇄하여 대기 중에 함유된 염분이 반사판(1)의 오목한 내측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사판(1)의 내측면이 염분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집어등(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14) 부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2)는 통상적으로 집어등(6)의 빛이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고, 덮개(2)의 양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 또는 함몰되어 올록 볼록한 단면 형상이 되도록 엠보싱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엠보싱 처리된 덮개(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집어등(6)에서 발산되는 빛을 굴 절시켜 해수면에 초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사판(1)의 오목한 내측면과 덮개(2)의 양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돌출 또는 함몰되도록 엠보싱 처리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덮개(2)의 가장자리는 상술한 단턱부(17)에 안착되도록 돌출부(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반사판(1)과 덮개(2) 사이에는 밀착부재(5)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착부재(5)는 링 형상으로 반사판(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단턱부(17)에 안착되도록 하고 있으며, 덮개(2)에 의한 반사판(1)의 개구부 밀폐력을 향상시켜 염분의 유입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다.
이렇게 형성된 조명장치는 설치틀(T)에 결합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프레임(3)이 형성된다.
지지프레임(3)은 일측이 설치틀(T)에 결합되고, 타측은 반사판(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반사판(1)의 개구부가 해수면을 향하도록 하고 있다.
지지프레임(3)은 설치틀(T)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31)와, 제1지지부(31)에서 연장 절곡되어 반사판(1)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32)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제1지지부(31)는 설치틀(T)에 탈부착되도록 나사와 같은 체결구를 사용하고 있으며, 제2지지부(32)는 반사판(1)의 외주면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용접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는 설치틀(T)과 반사판(1)에서 각각 탈부착되 어도 무방하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술한 연결프레임(19)이 틀 형태로 반사판(1)에 결합 고정될 경우, 반사판(1)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32)는 연결프레임(19)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가 절곡되는 정도에 따라 해수면에 대한 반사판(1)의 경사각을 결정할 수 있으며, 반사판(1)의 개구부가 용이하게 해수면을 향하도록 한다.
지지프레임(3)을 설치틀(T)에 안정되게 고정시키기 위해 제1지지부(31)에는 설치틀(T)에 대응되는 안착부(3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치틀(T)에 설치된 조명장치에서 해수면에 대한 반사판(1)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해 길이가 조절되는 조절수단(4)을 설치할 수 있다.
조절수단(4)은 턴버클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설치틀(T)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3)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연장부(41)와, 설치틀(T)에 설치된 반사판(1)에서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2연장부(42)와, 제1연장부(41)와 제2연장부(42)의 단부를 연결하여 제1연장부(41)와 제2연장부(42) 사이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43)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제2연장부(42)가 설치틀(T)에 설치된 반사판(1)의 상단부에 결합되었다함은 도면에서처럼 제2연장부(42)의 일측이 반사판(1)의 상단부에 직접 연결된 것 일 수 있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연결프레임(19)이 틀 형태로 반사판(1)의 가장자리에 결합 될 경우 제2연장부(42)의 일측이 반사판(1)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연결프레임(19)에 결합된 것 일 수 있다.
그러면, 조절부(4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조절수단(4)의 길이가 짧아지거나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해수면에 대한 반사판(1)의 경사각이 조절할 수 있다.
조절수단(4)을 사용함에 따라 해수면에 대한 반사판(1)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집어등(6)에서 발산하는 빛이 선박(S, 도 5와 도 6 참조)의 갑판에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크부(7)가 형성될 수 있다.
첨부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후크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 1의 "A" 부분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후크부(7)는 덮개(2)가 반사판(1)의 개구부에서 탈부착될 때 후크부(7)의 반사판(1)과 덮개(2)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거나 반사판(1)의 개구부에 덮개(2)가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후크부(7)는 덮개(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걸림부(71)와, 제1걸림부(71)에 대응하여 반사판(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걸림부(72)로 구분할 수 있다.
제1걸림부(71)는 반사판(1)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고, 제2걸림부(72)는 제1걸림부(71)에 대응하여 덮개(2)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제1걸림부(71)는 반사판(1)의 단턱부(17)와 여기에 안착된 덮개(2)의 돌출부(21)에 의해 형성된 걸고리(73)로 구성되고, 제2걸림부(72)는 회동축(83)을 중심으로 지렛대(81)가 시소 운동하고, 지렛대(81)에 형성된 중심축(85)을 중심으로 고리(87)가 시소 운동하도록 하는 클램프(74)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2걸림부(72)는 반사판(1)에 설치되어 있지만, 덮개(2)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면, 지렛대(81)의 회동에 따라 걸고리(73)에 고리(87)가 걸려 반사판(1)에서 덮개(2)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힌지부(9)가 형성될 수 있다.
첨부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힌지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 2의 "B" 부분이 변형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덮개(2)는 힌지부(9)에 형성된 힌지축(9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반사판(1)에 결합된다. 힌지부(9)는 여닫이 방식에 따라 설치 위치가 변경되어 좌우 여닫이 방식 또는 상하 여닫이 방식으로 덮개(2)가 반사판(1)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힌지부(9)는 상술한 후크부(7)와 함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반사판(1)과 덮개(2)가 분리되지 않고 여닫이 방식으로 반사판(1)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덮개(2)의 분리에 따른 덮개(2)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기잡이용 조명장치를 선박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선박에 조명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선박에 조명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선박(S)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하 평행하게 설치틀(T)이 설치 고정되어 있다.
조명장치에 설치된 지지프레임(3)의 안착부(33)에 설치틀(T)이 안착되고, 나사 결합에 의해 지지프레임(3)을 설치틀(T)에 고정시킨다. 지지프레임(3)은 한 쌍으로 겹쳐져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지지프레임(3) 사이에 설치틀(T)이 끼워지고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한 쌍의 지지프레임(3)을 나사 결합시킨다.
그리고, 조절수단(4)을 이용하여 지지프레임(3)의 단부와 반사판(1)의 상측부를 연결한다. 그러면 조절수단(4)의 조절부(43)를 회전시켜 조절수단(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수면에 대한 반사판(1)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기잡이용 조명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후크부를 도시한 도 면으로써, 도 1의 "A" 부분에 대한 변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후크부(7)에서 제1걸림부(71)는 반사판(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걸림홈(75)으로 구성되고, 제2걸림부(72)는 덮개(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걸림돌기(76)로 구성될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반사판(1)의 단턱부(17)에 걸림홈(75)이 관통 형성되고, 걸림홈(75)에 대응하여 덮개(2)의 돌출부(21)에 걸림돌기(76)가 돌출 형성되어 걸림돌기(76)가 걸림홈(75)에 끼움 삽입됨으로써, 반사판(1)의 개구부를 덮개(2)가 밀폐하게 된다.
반사판(1)에 걸림돌기(76)가 형성되고, 덮개(2)에 걸림홈(75)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기잡이용 조명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후크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 1의 "A" 부분에 대한 변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후크부(7)에서 제1걸림부(71)와 제2걸림부(72)는 각각 "ㄱ"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호 마주보는 걸림후크(77)로 구성될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반사판(1)에는 단턱부(17) 단부에서 걸림후크(77)가 형성되고, 덮개(2)에서는 돌출부(21)가 걸림후크(77) 역할을 하게 되어 걸림후크(77)가 상호 교차됨에 따라 반사판(1)의 개구부를 덮개(2)가 밀폐하게 된다.
걸림후크(77)의 단부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호 교차시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후크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힌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선박에 조명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선박에 조명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후크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후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반사판 2: 덮개 3: 지지프레임
4: 조절수단 5: 밀착부재 6: 집어등
7: 후크부 9: 힌지부 11: 램프고정부
12:고정공 13: 반사막 14: 소켓
16: 절연부 17: 단턱부 19: 연결프레임
19a: 연결부 21: 돌출부 31: 제1지지부
32: 제2지지부 33: 안착부 41: 제1연장부
42: 제2연장부 43: 조절부 71: 제1걸림부
72: 제2걸림부 73: 걸고리 74: 클램프
75: 걸림홈 76: 걸림돌기 77: 걸림후크
81: 지렛대 83: 회동축 85: 중심축
87: 고리 91: 힌지축
T: 설치틀 S: 선박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선박에서 길이방향으로 상하 평행하게 설치틀이 설치 고정되고, 상기 설치틀에 설치되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판면에 형성되어 집어등을 고정시키는 램프고정부가 형성되는 오목한 반구형의 반사판;
    상기 반사판의 개구부가 해수면을 향하도록 절곡되고, 상기 반사판을 상기 설치틀에 결합 고정시키는 지지프레임;
    체결구를 이용하여 인접한 반사판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반사판에 고정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반사판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
    길이가 조절되어 해수면을 향하는 상기 반사판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턴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의 오목한 내측면과 상기 덮개의 양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돌출 또는 함몰되도록 엠보싱 처리하며, 상기 반사판과 상기 덮개는 후크부에 의해 탈부착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반사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고리와,
    상기 걸고리에 대응하여 상기 반사판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걸고리와 탈부착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과 상기 덮개 사이에 개재되는 밀착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집어등에 밀착되어 상기 집어등과 상기 램프고정부 사이를 밀폐하는 링 형상의 밀폐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잡이용 조명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80063920A 2008-07-02 2008-07-02 고기잡이용 조명장치 KR100892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920A KR100892216B1 (ko) 2008-07-02 2008-07-02 고기잡이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920A KR100892216B1 (ko) 2008-07-02 2008-07-02 고기잡이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216B1 true KR100892216B1 (ko) 2009-04-07

Family

ID=40757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920A KR100892216B1 (ko) 2008-07-02 2008-07-02 고기잡이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2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63480A (zh) * 2012-03-26 2013-10-23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卡扣连接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094Y1 (ko) * 2001-01-19 2001-10-27 주식회사 태양전자 조명 장치
KR100801400B1 (ko) * 2007-10-10 2008-02-05 김황자 고기잡이용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094Y1 (ko) * 2001-01-19 2001-10-27 주식회사 태양전자 조명 장치
KR100801400B1 (ko) * 2007-10-10 2008-02-05 김황자 고기잡이용 조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63480A (zh) * 2012-03-26 2013-10-23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卡扣连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9142C1 (ru) Уличный фонарь на светодиодах
US7458330B2 (en) Two piece view port and light housing with integrated ballast and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US20080130304A1 (en) Underwater light with diffuser
WO2006123449A1 (ja) 集魚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漁法
US20130223085A1 (en) All-around LED light
KR100801400B1 (ko) 고기잡이용 조명장치
KR100892216B1 (ko) 고기잡이용 조명장치
KR100728232B1 (ko) 어선의 집어등을 위한 광반사장치
JP3218037U (ja) 無電極放電ランプを有する集魚灯を用いた集魚技術、この集魚灯を用いた照明装置
KR101123284B1 (ko) 광 확산 렌즈를 갖는 엘이디 고광도 전방향 섬광등
KR20100038672A (ko) 집어등 장치
KR100906320B1 (ko) 선박용 형광등 엘이디 조명등 기구
CN207421803U (zh) 一种高光效led锥栗形模组大功率工矿灯
KR100892215B1 (ko) 고기잡이용 조명장치
KR101031308B1 (ko) 엘이디 등기구 본체
CN207471256U (zh) 一种散热led路灯
JP2006034108A (ja) 集魚装置
KR20100101766A (ko) 집어등 장치
KR200452297Y1 (ko) 가로등
KR200450254Y1 (ko) 에너지 절감용 반사판이 구비된 고효율 가로등기구
CN103982820A (zh) 方形台阶灯
CN216047082U (zh) 一种面框底部可发光的墙灯
CN212252275U (zh) 一种防眩地埋灯
CN216431447U (zh) 一种高效散热的新型深海养殖灯
JP5530329B2 (ja) 固体発光素子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