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5042A -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의 사출용 금형 - Google Patents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의 사출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5042A
KR20090075042A KR1020080000800A KR20080000800A KR20090075042A KR 20090075042 A KR20090075042 A KR 20090075042A KR 1020080000800 A KR1020080000800 A KR 1020080000800A KR 20080000800 A KR20080000800 A KR 20080000800A KR 20090075042 A KR20090075042 A KR 20090075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injection
core
aspherical plastic
plastic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0655B1 (ko
Inventor
김풍전
전원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투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투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투에이
Priority to KR1020080000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655B1/ko
Publication of KR20090075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69Moulds with means for removing excess material, e.g. with overflow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25Preventing defects on the moulded article, e.g. weld lines, shrinkage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1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e.g. toric 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에 관한 것으로, 상부면과 하부면의 곡률이 상이한 구면부와 상기 구면부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뻗은 원판형의 플랜지부(flange) 및 상기 플랜지부의 한쪽 일부와 이와 마주보는 반대쪽 일부에 절단부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의 사출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 금형으로부터 제작된 사출성형품, 예컨대 비구면 플라스틱 렌지를 용이하게 취출하도록 밀핀을 수단으로 하여 런너와 오버플로우를 상하이동시키도록 한다.

Description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와 비구면 렌즈 사출용 금형 {ASPHERICAL LENS AND INJECTION MOLD OF ASPHERICAL LENS}
본 발명은 렌즈의 플랜지부에 하나 이상의 절단부를 형성하고 있는 렌즈에 관한 것으로, 사출용 금형 내에서 취출될 사출성형품과 주입구로 유입된 수지를 떼어내면서 발생하는 버(burr)가 렌즈 플랜지부의 임의의 원주면(원호)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사출성형품, 예컨대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를 몰딩하고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사출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는 멀티미디어 주변기기의 기술발전으로 인하여 휴대용 단말기 등에 부착될 소형 카메라용 렌즈로도 사용될 수 있게 개발되어, 메가(mega)급 이상의 고화소용으로 이용될 수 있게 편심을 최소화시켜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를 제작하는 사출용 금형의 단면도이다.
사출용 금형(200)은 상부금형(210)과 하부금형(22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한, 상부금형(210)과 하부금형(220)은 그 중심에 상측코어(211)와 하측코어(221)를 구비한다. 특히, 하측코어(221)는 하부금형(220) 내에서 상하로 활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주입구(230)는 용융되어 유동할 수 있는 수지(resin) 원료를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밀착된 상부금형(210)과 하부금형(220)의 상측코어(211)와 하측코어(221) 사이로 안내한다. 그런 다음에, 수지 원료는 냉각뿐만 아니라 압착되어 사출성형품(100), 예컨대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를 생산하게 된다. 사출성형품이 충분하게 냉각된 후에, 상측금형(210)이 하부금형(220)에서 분리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측금형(210)이 분리되면 사출성형품인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100)는 하측코어(221) 상에 안착 되어 있는데, 이를 하측코어로부터 취출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 종래기술에 따른 사출용 금형(200)은 상하이동가능한 하측코어(221)를 구비한다. 하측코어(221)가 윗방향으로 상승하여 사출성형품(100)을 하부금형(220) 위로 밀어내는 효과를 갖게 한다. 하측코어(221)의 상하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하측코어(221)와 하부금형(220) 사이에 상당한 틈새(clearance;도시하지 않음)가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틈새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에 노출될 수 있다. 즉,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는 상부면의 중심과 하부면의 중심이 일치되어야 하는데, 하측코어(221)가 하부금형(220) 사이의 틈새에서 유동하게 되면 렌즈의 상부면 중심과 하부면 중심이 일치되지 않는 상태로 성형되어 편심을 갖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사출용 금형으로 제작된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의 도면으로, 상부는 렌즈의 평면도이고 하부는 렌즈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110a)과 하부면(110b)으로 이루어진 구면부(110)와 이 구면부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뻗은 원판형의 플랜지부(140)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종래기술의 사출금형(200)으로 제작된 렌즈(100)는 전술되었듯이 하측코어가 하부금형 내의 틈새에서 불필요하게 이동되어 상부면(110a)의 중심과 하부면(110b)의 중심이 어긋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어 소형화되는 고화소용 렌즈에 적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덧붙여서, 하부금형과 하측코어 사이의 틈새로 수지 원료의 일부가 유입되어 버를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버는 렌즈가 사용될 모듈 상으로 안착될 때에, 안착지점에서 버로 인하여 렌즈가 안착지점에 확실하게 착지되지 못하고 약간 기울어지는 현상을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출성형품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면서 하측코어와 하부금형 사이 틈새로 야기될 편심을 방지하도록 오버플로우를 구비한 사출용 금형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용 금형으로 제작된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는 편심이 거의 없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코어와 하부코어 사이에서 사출된 사출성형품인 렌즈를 하부코어로부터 용이하게 취출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취출방식은 일반적인 하부금형 내에서 하부코어를 상하왕복이동을 통해 이루어졌던 것에 반해서, 본 발명은 하부코어를 하부금형에 고정위치시켜 하부코어와 하부금형 사이에 틈새를 최대한 발생시키지 않아 렌즈의 편심을 없애도록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용 금형으로 제작된 렌즈는 원호의 일부에 절단부를 두어 후처리공정 중 발생하는 버가 렌즈의 원주 밖으로 뻗어나가지 못하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상세한 내용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를 제작하는 사출용 금형을 도해한 것으로, 상부는 금형의 평면도이고 하부는 금형의 단면도이다. 도 3a의 상부에 도해된 금형의 평면도는 상부금형(10)을 제외한 채로, 하부금형과 이에 결합된 구성부재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를 사출성형할 수 있는 금형(1)을 도해한다. 본 발명의 금형(1)은 상측코어(11)를 구비한 상부금형(10)과, 하측코어(21)를 구비한 하부금형(20), 수지 원료를 주입하고 사출성형품(5)을 들어올리는 런너(31), 이 런너(31)를 밀어부치는 제1밀핀(32), 런너(31)와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어 사출성형품(5)을 들어올리는 오버플로우(41), 이 오버플로우(41)를 밀어부치는 제2밀핀(42)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종래기술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사출용 금형은 하부금형(20) 내에서 상하이동하지 않고 고정식으로 된 하측코어(21)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서, 하부금형(20)과 상부금형(10)가 정위치로 밀착되어 렌즈의 편심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우선적으로, 주입구(30)는 런너(31)의 한쪽 단부에 형성되어 용융상태의 수지 원료를 밀착된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의 상측코어(11)와 하측코어(21) 사이로 안내한다. 안내된 수지 원료는 충분히 냉각되고 압착되어 필요한 사출성형품(5)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에, 상부금형(10)이 하부금형(20)으로부터 분리된다. 제1 및 제2밀핀(32,42)를 구동하여 런너(31)와 오버플로우(41)를 윗방향으로 밀어 부쳐서 하측코어(21) 상에 안착되어 있던 사출성형품(5)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사출용 금형(1)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코어(11)와 하측코어(21)는 통상적으로 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금형 형태를 기초로 하여, 그 내부에서 사출성형된 렌즈는 구면부 둘레를 에워싸는 플랜지부(140; 도 2에 도시됨)도 양 코어(11,21)의 형상에 상응하게 원판형상으로 되도록 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를 제작하는 사출용 금형의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3b의 제2실시예는 도 3a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어 제1실시예에 유사한 구성부재들로 이루어져 있다.
기술된 바와 같이 도 3a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금형(1')은 상측코어(11')를 구비한 상부금형(10')과, 하측코어(21')를 구비한 하부금형(20'), 수지 원료를 주입하는 주입구를 구비하는, 한편 사출성형품(5')을 들어올리는 런너(31'), 이 런너를 밀어부치는 제1밀핀(32'), 런너(31')와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어 사출성형품(5')을 들어올리는 오버플로우(41'), 이 오버플로우(41')를 밀어부치는 제2밀핀(42')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측코어(11')과 하측코어(21')는 상측코어(11; 도 3a 참조)와 하측코어(21; 도 3a 참조)와는 달리 원판형상으로 되어 있지 않고, 양쪽으로 선형부(51,52)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제작된 렌즈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선택가능하기로, 선형부(51)는 런너(31') 측으로 배열되고, 나머지 선형 부(52)는 오버플로우(41') 측으로 배열된다.
도 4는 도 3b에 따른 사출용 금형으로 제작된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의 도면으로, 상부는 렌즈의 평면도이고 하부는 렌즈의 단면도이다.
도시되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5)는 상부면(11a)과 하부면(11b)의 곡률이 상이한 구면부(11)와 이 구면부(11)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뻗은 원판형의 플랜지부(40) 및 이 플랜지부의 한쪽 일부에 절단부(50)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절단부(50)는 플랜지부의 원호 일부를 편평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절단부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2개의 절단부(50)를 형성한다.
이러한 절단부는 도 3b로 사출성형된 렌즈(5)로 제작되는데, 절단부(50)는 런너와 오버플로우에 접촉하는 부분으로 형성되는 것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와 이를 제작하는 사출용 금형은 아래의 첨부도면과 이를 참조로 하여 기술된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고, 아래의 청구범위의 범주와 범위 내에서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를 제작하는 사출용 금형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사출용 금형으로 제작된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의 도면으로, 상부는 렌즈의 평면도이고 하부는 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를 제작하는 사출용 금형의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를 제작하는 사출용 금형의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b에 따른 사출용 금형으로 제작된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의 도면으로, 상부는 렌즈의 평면도이고 하부는 렌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
1, 200 ----- 금형, 5, 100 ----- 렌즈,
10, 210 ----- 상부금형, 20, 220 ----- 하부금형,
31 ----- 런너, 41 ----- 오버플로우,
50 ----- 절단부, 51, 52 ----- 선형부.

Claims (7)

  1.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의 상부면과 하부면의 곡률이 상이한 구면부와 상기 구면부의 외주면에서 원판형의 플랜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원형의 상측코어 및 원형의 하측코어 사이로 수지를 유입시켜 렌즈를 사출할 수 있는 사출용 금형에 있어서,
    상부금형 내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상측코어와;
    상기 상부코어와 마주보도록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금형 내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하부코어;
    상기 하부코어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수지를 주입하는 주입구를 갖추며 제1밀핀으로 구동되는 런너(runner);
    상기 하부코어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런너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위치되며 제2밀핀으로 구동되는 오버플로우(overflow);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코어와 하부코어 사이에서 완성된 사출성형품을 취출하기 위해 동시에 상기 제1밀핀과 제2밀핀의 구동으로 런너와 오버플로우가 하부코어 위로 상승하면서 사출성형품을 들어올려 하부코어로부터 사출성형품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의 사출용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코어와 하부코어는 원호의 일부를 편평하게 처리 한 선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의 사출용 금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부는 런너의 주입구에 인접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의 사출용 금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부는 런너의 주입구와 오버플로우에 형성시켜 대칭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의 사출용 금형.
  5. 상부면과 하부면의 곡률이 상이한 구면부와; 상기 구면부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뻗은 원판형의 플랜지부로 이루어진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원호에 하나 이상의 절단부를 두어 렌즈의 외주면에 소정의 편평한 부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바람직하기로 2개의 절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의 사출용 금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
KR1020080000800A 2008-01-03 2008-01-03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의 사출용 금형 KR100930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800A KR100930655B1 (ko) 2008-01-03 2008-01-03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의 사출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800A KR100930655B1 (ko) 2008-01-03 2008-01-03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의 사출용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042A true KR20090075042A (ko) 2009-07-08
KR100930655B1 KR100930655B1 (ko) 2009-12-09

Family

ID=4133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800A KR100930655B1 (ko) 2008-01-03 2008-01-03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의 사출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6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701B1 (ko) * 2009-08-19 2012-06-14 주식회사 엔투에이 플라스틱 렌즈 제작용 사출 금형
US8228610B2 (en) 2010-02-23 2012-07-2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injection mold
KR101655335B1 (ko) 2015-04-06 2016-09-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렌즈용 사출 성형품
KR20180047184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0885B2 (ja) * 1997-01-14 2005-08-10 Jsr株式会社 射出成形方法
KR100324218B1 (ko) * 1999-07-08 2002-02-16 이종석 사출성형용 금형
JP2007301861A (ja) 2006-05-12 2007-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射出成形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701B1 (ko) * 2009-08-19 2012-06-14 주식회사 엔투에이 플라스틱 렌즈 제작용 사출 금형
US8228610B2 (en) 2010-02-23 2012-07-2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injection mold
KR101655335B1 (ko) 2015-04-06 2016-09-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렌즈용 사출 성형품
KR20180047184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0655B1 (ko)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75947A1 (en) Cut structure for mold
KR100880970B1 (ko) 수지 밀봉 금형
KR100930655B1 (ko)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의 사출용 금형
KR101519949B1 (ko) 언더컷을 갖는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US20140009840A1 (en) Plastic optical lens and an injection-molding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85439Y1 (ko) 광 렌즈 및 광 렌즈 몰드
KR101156701B1 (ko) 플라스틱 렌즈 제작용 사출 금형
KR101673207B1 (ko) 사출물의 게이트 컷팅 블록 및 게이트 컷팅 장치
KR101481454B1 (ko) 전자기기 케이스의 커버 내부재 사출 성형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커버 내부재 형성 방법
CN104105583A (zh) 成型品的成型模具结构以及成型品的制造方法
CN101003160B (zh) 模具和模制方法
US20100124581A1 (en) Injection mold with workpiece trimming edge
KR101537011B1 (ko) 탄성 재질의 언더컷성형링을 활용한 언더컷 성형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JP2001328143A (ja) インサート成形方法及び金型
CN101003161A (zh) 模具
KR101553322B1 (ko) 이중 사출 성형 금형
KR102265306B1 (ko) 디스플레이용 확산 렌즈 제조 금형 장치
KR101152309B1 (ko) Led렌즈의 성형금형
TW200914246A (en) Injection mold
KR20200001229U (ko) 일체형 광학렌즈 몰드 및 그를 이용하여 제작된 광학 렌즈
KR101354831B1 (ko) 렌즈 사출 장치
KR101966018B1 (ko) 게이트편과 커팅밀핀을 가지는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제조 방법
CN112305644B (zh) 光学镜头、光学镜片及其制造方法和顶出方法
KR101152303B1 (ko) Led렌즈의 성형금형
KR101354777B1 (ko) 렌즈 사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