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4314A - 세로형 키보드 - Google Patents

세로형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4314A
KR20090074314A KR1020080000058A KR20080000058A KR20090074314A KR 20090074314 A KR20090074314 A KR 20090074314A KR 1020080000058 A KR1020080000058 A KR 1020080000058A KR 20080000058 A KR20080000058 A KR 20080000058A KR 20090074314 A KR20090074314 A KR 20090074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key group
key
slide groove
vertical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웅
Original Assignee
윤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웅 filed Critical 윤재웅
Priority to KR1020080000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4314A/ko
Publication of KR20090074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0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of a keyboard, e.g. pivoting le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이용자가 입력 정보를 한 손으로도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설계된 세로형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세로형 키보드는 문자 및 숫자 그리고 기능을 입력 및/또는 선택할 수 있도록 입력 및/또는 선택기호가 상면에 형성된 키들을 갖는 키보드에 있어서, 몸체의 장축 방향을 따라 기호가 형성되며, 소정 행으로 배열된 문자입력 관련 제1키 그룹과, 몸체의 장축 방향을 따라 기호가 형성되며, 제1키 그룹에 대해 소정 행으로 배열된 숫자입력 관련 제2키 그룹 및 기능 선택 관련 제3키 그룹을 세로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세로형 키보드는 제1키 그룹과 제2키 그룹 및/또는 제1키 그룹과 제3키 그룹을 분리하며 몸체의 장축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손바닥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세로형 키보드는 모니터 전방 대부분의 작업공간이 아닌 일부 공간만을 차지하므로 키보드와 마우스 이용을 위한 작업 공간을 충분히 얻을 수 있어 마우스 이용에 따른 작업자의 피로를 덜 수 있도록 한다.
키보드, 몸체, 세로, 배치, 슬라이드, 한 손

Description

세로형 키보드{Vertical type Keyboard}
본 발명은 컴퓨터용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컴퓨터 이용자가 입력 정보를 한 손으로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설계된 세로형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키보드는 일반적으로 문자 및 숫자 등에 대응되는 키들이 가로 방향으로 길게 배열된다. 즉, 각 키 상면에 형성된 문자 및 숫자 등의 기호가 장축인 가로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키들이 배열된 몸체가 작업공간에서 가로로 길게 놓이게 되며, 이러한 키보드는 가로형 키보드라고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가로형 키보드를 보인 도면으로서, 일반적인 가로형 키보드는 'ctrl', 'alt', 'shift', 'tab', 'caps lock'을 포함하는 문자 입력에 관련된 문자키 그룹, 'insert', 'home', 'delete', 'end', 'page up', 'page down', 그리고 '←','→','↑','↓' 등의 방향키 등을 포함하는 화면 제어 키 그룹과, 연산부호 및 숫자키를 포함하는 숫자키 그룹, 기능 선택을 위한 기능키 그룹, 그리고 'esc'와 같은 특수키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종래 가로형 키보드는 컴퓨터 이용자가 문서 작업과 같은 입력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양손을 이용하여 빠르게 입력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우측으로 배치한 화면제어키 그룹 및 숫자키 그룹을 통해 우측 한 손만으로 화면 제어 및 숫자 입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로형 키보드는 마우스라는 포인팅 방식 입력장치가 등장하면서 컴퓨터 이용자들이 모니터 앞의 작업 공간을 협소하게 느끼도록 하는 문제점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넓은 공간에서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한다 해도 마우스를 이용하는 오른팔의 동선이 길고 거리가 멀어 컴퓨터 이용자에게 어깨 및 목의 뻐근함 그리고 손목의 시큰함 등 신체에 무리가 오도록 하는 문제점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렇지만 일반 컴퓨터 이용자들이 오랫동안 가로형 키보드를 이용해 옴에 따라 가로형 키보드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의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무심코 지나치는 경향이 있었다. 물론 위와 같이 신체에 무리가 되는 문제의 원인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우스를 이용할 때에는 키보드를 한 측으로 이동시켜 이용할 수도 있겠으나 일반적인 컴퓨터 이용 행태가 키보드와 마우스를 함께 이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므로 키보드 이동을 통한 마우스 이용은 또 다른 불편함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종래 가로형 키보드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로형 키보드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도록 우측의 숫자키 그룹을 제거하고 문자키 그룹에 속한 숫자키를 이용하도록 대체시킨 컴팩트형 키보드 등이 출시되기도 하였으나 숫자를 가로로 길게 늘어뜨린 형태의 컴팩트형 키보드의 경우에는 숫자 입력의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CAD(Computer Aided Design)와 같은 디자인 응용프로그램을 주로 이용 하는 컴퓨터 이용자의 경우에는 CAD 작업의 특성상 거의 한 손은 마우스에 그리고 다른 한 손은 키보드에 위치한 상태로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서 거의 한손으로 키보드를 컨트롤하게 된다. 즉, 디자인 응용프로그램 이용자는 마우스와 단축키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용하느냐에 따라 작업 생산성에 차이가 나기도 하므로 디자인 응용프로그램 이용자는 별도로 단축키를 적은 메모지를 들고다니면서 암기까지 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최근 컴퓨터 게임을 즐기는 게이머에게도 마찬가지로 한손은 마우스에 그리고 다른 한 손은 키보드에 위치한 상태로 게임을 즐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컴퓨터 게임 및 디자인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단축키에 해당하는 문자키 및 기능키가 대부분의 키에 해당하므로 종래 가로형 키보드의 경우 한 손으로 대부분의 키를 커버 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디자인 응용프로그램 이용자가 종래 가로형 키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손목의 지지 없이 공중에 띄운 채 단축키를 선택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손목의 피로감 및 고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마우스를 이용하는 손 역시 움직임의 동선이 길고 거리가 멀어 신체에 무리를 주는 원인이 된다.
또한, 한쪽 손만을 갖는 장애인의 경우에도 종래의 가로형 키보드 이용시는 손목의 지지 없이 공중에 띄운 채 키를 선택하게 되므로 손목의 피로감을 쉽게 느낄 수밖에 없어 이용에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종래 장애인을 위한 한 손 사용자용 키보드를 보인 도면으로서, 키보 드의 각 키 배열이 일반적인 배열이 아닌 장애인을 위해 특수하게 제작된 키보드이다. 즉, 한 손으로 타이핑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으며, 이들 키보드는 기존의 키보드와 키보드 배열과 디자인만 다를 뿐 용도와 사용법은 동일하다.
그러나 도 2에 보인 한 손 사용자용 키보드 역시 일반적인 가로형 키보드와 같이 각 키 그룹들이 서로 가로로 배치됨에 따라 이용자는 손을 좌우로 이동하며 키를 선택할 수밖에 없어 어깨 및 손목의 피로감을 손쉽게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일반 키보드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비싸 장애인이 이용하기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우스 이용에 따른 오른손의 동선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도록 모니터 전면에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피로감을 줄이면서 한 손으로 손쉽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설계된 세로형 키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로형 키보드는 문자 및 숫자 그리고 기능을 입력 및/또는 선택할 수 있도록 입력 및/또는 선택기호가 상면에 형성된 키들을 갖는 키보드에 있어서, 몸체의 장축 방향을 따라 기호가 형성되며, 소정 행으로 배열된 문자입력 관련 제1키 그룹과, 상기 몸체의 장축 방향을 따라 기호가 형성되며, 상기 제1키 그룹에 대해 소정 행으로 배열된 숫자입력 관련 제2키 그룹을 세로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보드는 상기 몸체의 장축 방향을 따라 기호가 형성되며 상기 제1키 그룹에 대해 소정 행으로 배열된 기능 선택 관련 제3키 그룹을 세로로 더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키 그룹에는 화면제어키 그룹 및/또는 숫자 키들 및/또는 특수문자 키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보드는 상기 제1키 그룹과 상기 제2키 그룹 및/또는 상기 제1키 그룹과 상기 제3키 그룹을 분리하며, 상기 몸체의 장축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 으로 손바닥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에 일체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키보드는 상기 지지부 상면에 상기 손바닥 하부 접촉 부위로 쿠션부재를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로형 키보드는 상기 몸체의 장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라이드 홈; 및 상기 슬라이드 홈과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장축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손바닥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상기 각 그룹의 키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홈은 측벽 상단으로부터 슬라이딩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과 결합 및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상기 각 그룹의 키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시키는 결합돌출부; 및 상기 결합돌출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바닥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홈 및 결합돌출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로형 키보드는 상기 슬라이드 홈 내부에 상기 슬라이딩부의 이동시 특정 위치에서의 걸림 및 강제적으로 걸림 해제되도록 걸림부;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부는 이용자의 강제에 의해 후퇴하도록 형성된 바닥면 또는 내측벽; 및 상기 바닥면 또는 내측벽에 형성된 소정 높이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돌출부는 상기 바닥면 또는 내측벽에 형성된 홈과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부의 또 다른 형태로는 상기 슬라이드 홈 바닥 또는 내측벽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 홈과, 상기 오목 홈 내측으로 삽입된 탄성부재; 및 상기 결합돌출부의 압박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오목홈 내외측으로 진퇴시키는 볼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로형 키보드는 상기 슬라이딩부 상면에 상기 손바닥 하부 접촉 부위로 쿠션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로형 키보드는 상기 슬라이딩부 상면에 특정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키로서는 스페이스키, 엔터키, 'Shift'키, 'Ctrl'키 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장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특정 용도를 위한 키가 장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세로형 키보드는 모니터 전방 대부분의 작업공간이 아닌 일부 공간만을 차지하므로 키보드와 마우스 이용을 위한 작업 공간을 충분히 얻을 수 있어 마우스 이용에 따른 작업자의 피로를 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컴퓨터 게임 또는 디자인 응용프로그램 이용자 역시 한 손만으로 단축키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세로형 키보드는 한쪽 손만을 이용할 수 있는 장애인일지라도 손목 부위를 지지한 상태로 손쉽게 이동하며 원하는 키를 선택할 수 있어 컴퓨터에 정보 입력시의 피로를 크게 경감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 예로써 나타낸 도면에 보인 각 부재 및 요소는 설명을 위하여 두께 및 폭을 보다 확장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음을 명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세로형 키보드의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세로형 키보드(300)는 기능 선택 관련 키 그룹(310), 문자입력 관련 키 그룹(320), 그리고 숫자입력 관련 키 그룹(330)이 키보드 몸체의 장축 방향을 따라 소정 행으로 각각 그룹화되어 서로 세로 형태로 배치되고 있음을 보인다. 즉, 각 키들 상면에 형성된 문자 또는 숫자 또는 선택 기호들이 키보드 몸체의 장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되며, 연관된 키들이 소정 행으로 그룹화되어 몸체 전체에서 서로 세로로 배치되어 있음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각 그룹에는 'Esc' 또는 'Ctrl' 또는 'Alt' 또는 'Shift'와 같은 특수 키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능 선택 관련 키 그룹(310) 또는 문자입력 관련 키 그룹(320)에는 이종 언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설계할 경우에는 언어를 필요에 따라 전환할 수 있는 언어전환 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기능 선택 관련 키 그룹(310)에는 특수문자 입력 관련 키들 및 화면 제어 관련 키들을 포함할 수 있고, 문자입력 관련 키 그룹(320)에는 화면 제어 관련 키들 중 방향 키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세로형 키보드에 있어서, 각 키들의 그룹은 관련 키들이 다수로 포함되어 그룹화한 것 을 말하며, 일부 미관련 키 또는 키들이 그룹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미관련 키 또는 키들이 특정 그룹에 일부 속하여 이용될 수 있음은 일반적인 가로형 키보드에서도 적용되고 있으며, 그러한 적용은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누구나 변경 설계할 수 있는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위와 같은 세로형 키보드(300)는 기능 선택 관련 키 그룹(310), 문자입력 관련 키 그룹(320) 및 숫자 입력 관련 키 그룹(330)이 서로 세로로 배치되고, 각 키들 상면에 장축방향으로 입력 또는 선택기호가 형성되어 소정 행으로 그룹화되어 배열됨에 따라 키보드가 세로 폭이 좁은 몸체(300)를 갖게 된다. 즉, 컴퓨터 이용자는 세로형 키보드(300)를 모니터 전면의 작업공간 한쪽 측면에 위치시키고, 한 손만으로 위아래로 이동하면서 키 입력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입력장치로 함께 이용되는 모니터 전방의 마우스 작업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어 마우스를 잡은 팔의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로형 키보드를 보인 도면으로서, 세로형 키보드(400)는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기능 선택 관련 키 그룹(310), 문자입력 관련 키 그룹(420) 및 숫자 입력 관련 키 그룹(430)이 장축을 따라 세로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도 4에 보인 세로형 키보드(400)가 도 3에 보인 세로형 키보드(300)와 다른 점은 각 그룹들 아래로 각 그룹을 구분하고, 컴퓨터 이용자가 손바닥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장축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지지부(415,425,435)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각 지지부(415,425,435)는 키 보드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이용자의 손목 부위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넓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세로형 키보드(400)에 있어서, 기능 선택 관련 키 그룹(410) 아래 지지부(415) 및/또는 숫자 입력 관련 키 그룹(430) 아래 지지부의 형성은 생략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각 그룹들 아래 또는 어느 특정그룹 아래 지지부(415,425,435)가 형성된 세로형 키보드(400)는 키보드 이용자가 한 손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 키 입력을 하는 손목부위를 지지부(415,425,435)에 지지한 상태에서 키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연속적인 정보를 입력할 때에 이용자의 손목 부위를 편안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로형 키보드를 보인 도면으로서, 세로형 키보드(500)는 도 4에서와 마찬가지로 기능 선택 관련 키 그룹(510), 문자입력 관련 키 그룹(520) 및 숫자 입력 관련 키 그룹(530)이 장축을 따라 세로로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보인 세로형 키보드(500)가 도 4에 보인 세로형 키보드(400)와 다른 점은 문자입력 관련 키 그룹(520)의 하단부에 근접된 지지부(525)가 곡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점과, 지지부(525) 상면으로 이용자의 손목부위에 대해 쿠션을 위하여 쿠션부재(540)를 결합한 점이다. 여기서 쿠션부재(540)의 일 예로는 실리콘 재질의 겔(gel) 타입 받침대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쿠션부재(540)의 또 다른 예로써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지지부를 몸체와 일체화시키지 않고, 지지부 저면부에서 하방으로 형성한 돌출부 내측으로 형성된 다수의 결합홈과 결합홈에 대응되도록 몸체 내부에 형성한 다수의 결합돌기 사이에 다수의 스프링을 결합하여 지지부의 쿠션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스프링에 의해 소정 유격을 갖도록 형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세로형 키보드를 보인 도면으로서, 세로형 키보드(600)는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기능 선택 관련 키 그룹(610), 문자입력 관련 키 그룹(620) 및 숫자 입력 관련 키 그룹(630)이 장축을 따라 세로로 배치된다. 도 6에 보인 세로형 키보드(600)가 도 3에 보인 세로형 키보드(300)와 다른 점은 장축방향을 따라 몸체 양단부에 몸체 내부로 슬라이드 홈(640a,640b)이 형성된 점이다. 슬라이드 홈(640a,640b)에는 몸체의 장축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손바닥 하부를 지지하며, 슬라이드 홈과 결합되어 슬라이드 홈을 따라 각 그룹의 키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딩부가 결합된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슬라이딩부의 일 예에 따른 평면도 및 정면도를 보인 도면이다. 슬라이딩부(740)는 문자입력 관련 키 그룹(620) 및 숫자 입력 관련 키 그룹(630)의 각 키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시키며 슬라이드 홈(640a,640b)을 따라 이동되는 결합돌출부(744a,744b), 및 결합돌출부(744a,744b)와 연결되어 몸체의 장축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손바닥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판(742)을 포함한다. 결합돌출부(744a,744b)는 슬라이드 홈(640a,640b) 바닥면으로부터 문자입력 관련 키 그룹(620) 및 숫자 입력 관련 키 그룹(630)에 배열된 각 키의 높이에 비해 지지판(742)이 조금 더 높이 위치하도록 길이가 형성되며, 결합돌출부(744a,744b)의 하단부로 슬라이드 홈(640a,640b)의 상단부에 도 10에 보인 바와 같이 형성된 이탈방지턱(1016)에 의해 결합돌출부(744a,744b)가 이탈되지 않도록 돌기(745a,745b)가 형성된다. 이때, 돌기(745a,745b)는 사용자가 슬라이딩부(740) 이동시 지지판(742)에 하방으로 약간 압력을 가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드 홈(640a,640b)의 이탈방지턱(1016) 하면에 돌기(745a,745b)의 상면이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슬라이딩 방식 세로형 키보드(600)는 사용자가 지지판(742) 위에 한쪽 손목 부위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방으로 소정 압력 이상의 힘을 가하면 이탈방지턱(1016)의 하면과 돌기(745a)의 상면이 분리되고, 이용자는 분리된 슬라이딩부(740)를 장축 방향을 따라 위아래로 손쉽게 이동시키며 원하는 키를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이용자가 소정 압력 이하로 슬라이딩부(740)를 이동하려 한단면 이탈방지턱(1016)의 하면과 돌기(745a)의 상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이므로 슬라이딩부(740)는 마찰력에 의해 이동에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이때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탈방지턱(1016)의 하면 및/또는 돌기(745a)의 상면에 고무판과 같은 마찰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 세로형 키보드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기능 선택 관련 키 그룹(810), 문자입력 관련 키 그룹(820) 및 숫자 입력 관련 키 그룹(830)이 장축을 따라 세로로 배치된다. 그리고 세로형 키보드(800)는 복수의 슬라이드 홈(840a,840b,840c,840d)을 갖도록 형성한 점이 도 6에 보인 세로형 키보드(600)와 구조를 달리한다. 여기서, 복 수의 슬라이드 홈들(840a,840b,840c,840d) 중 양단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840c, 840d)은 도 10에 보인 바와 같이 상단에 이탈방지턱(1016)이 형성되며, 중심부의 슬라이드 홈들(840c,840d)은 도 9에 보인 바와 같이 대응되는 결합돌출부(944c,944d)의 이동을 가이드만 할 수 있도록 상단에 이탈방지턱(1016) 없이 형성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에 보인 세로형 키보드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의 평면도 및 정면도를 보인 도면이다. 슬라이딩부(940)의 결합돌출부(944a,944b,944c,944d)는 양단의 슬라이드 홈(840a,840b)과는 결합돌출부(944a,944b)가 이탈되지 않도록 돌기(945a,945b)가 형성되며, 중심부의 결합돌출부(944c,944d)는 하단부에 돌기 없이 일자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도 6 및 도 8에 보인 세로형 키보드에 있어서, 슬라이드 홈(640,840) 내부에는 슬라이딩부(740,940)의 이동시 특정 위치에서의 걸림 및 강제적으로 걸림 해제되도록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의 한 예로는, 도 10에 보인 바와 같이 슬라이드 홈(1010)의 바닥면(1012)을 이용자의 강제에 의해 후퇴하도록 박판으로 형성하고, 슬라이드 홈(1010)의 바닥면(1012)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특정 위치에 돌출부(1014)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돌출부(1020)는 바닥면(1012)이 아닌 내측벽(1014)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걸림부의 또 다른 예로써는 도 11과 같이 슬라이드 홈(1110)의 바닥면(1112)으로 형성된 걸림턱(1115)과 연결되는 연통부(1122)를 형성하고, 연통부(1120) 내부로 바닥면(1112)에서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된 볼부재(1124) 및 결합돌출부(744,944)의 압박에 따라 볼부재(1124)가 연통부(1122) 내에서 바닥면(1112)으로 진퇴하하도록 운동하는 스프링(1126)을 삽입하여 슬라이딩부(740,940)의 강제 이동 및 정지에 이용할 수 있다. 연통부는 바닥면이 아닌 측벽부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걸림부의 또 다른 예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바닥면 또는 내측벽에 회전축을 결합하기 위한 홈을 형성하여 바닥면 또는 내측벽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회전축을 갖는 롤러를 결합하여 슬라이딩부의 강제 이동 및 정지에 이용할 수 있다. 걸림부의 또 다른 예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슬라이드 홈 바닥 또는 내측벽으로 오목한 홈을 형성하고, 오목 홈 내측으로 스프링을 삽입한 후, 결합돌출부의 압박에 따라 스프링을 통해 오목홈 내외측으로 진퇴하는 볼부재를 삽입하고, 오목 홈에 중심부가 개방된 덮개를 씌워 슬라이딩부의 강제 이동 및 정지에 이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걸림부(1020,1120))를 형성한 경우, 이용자가 슬라이딩부(740,940) 이동시 지지판(742,942)에 소정 압력 이하로 압력을 가하여 이동할 경우에는 바닥면(1012,1112) 또는 내측벽(1014,1114)에 돌출된 돌출부(1020) 또는 볼부재(1124)에 의해 특정 위치에서 정지하게 되며, 이용자가 지지판(742,942)에 소정 압력 이상으로 압력을 가하여 슬라이딩부(740,940)를 이동시키면 바닥면 또는 내측벽에 형성된 돌출부(1020) 또는 볼부재(1124)가 후퇴되면서 슬라이딩부(740,94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슬라이딩부(740,940)의 강제 이동 및 정지를 위한 슬라이드 홈(1010,1110) 내부에서 걸림부의 특정 위치는 기능 선택 관련 키 그룹(610,810)이 온전하게 나타나도록 문자 입력 관련 키 그룹(620,820) 상단부와, 문자 입력 관련 키 그룹(820)이 온전하게 나타나도록 숫자입력 관련 키 그룹(830) 상단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부를 통해 슬라이딩부(740,940) 이동시 특정 위치에서 슬라이딩부(740,940)가 정지하게 되며, 그에 따라 키보드 이용자는 원하는 키가 있는 그룹을 손가락이 위치한 방향으로 노출시켜 수월하게 키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도 7 및 도 9에 보인 슬라이딩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로서, 지지판(1242) 상면으로 쿠션부재(1245)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다.
또한, 도 13a 및 도 13b는 각각 도 7 및 도 9에 보인 슬라이딩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로서, 슬라이딩부(1340)는 지지판(1342) 상면 일측으로 특정 키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설치된 키(1345)를 더 포함하고 있다. 지지판 상면에 설치된 키(1345)에 연결된 기둥(1346)의 하단부에는 특정 키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스위칭 동작을 하는 금속판(1347)이 부착된다. 이와 같이 지지판(1342) 상면에 설치된 키(1345)의 활용을 위해서 슬라이드 홈 내부에는 키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된 제1신호선 및 특정키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신호선을 바닥면에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키(1345)를 통해 이용자가 지지판(1342) 상면에 설치된 키를 누르면, 키 하단에 부착된 금속판(1347)이 슬라이드 홈 내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신호선에 접촉되어 두 신호선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시켜 키 선택에 따른 키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신호선은 내벽을 따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금속판은 기둥의 하단부가 아닌 측부를 따라 부착된다. 또 한, 키(1345) 및 기둥(1346)은 통상적인 키보드에서처럼 스프링 또는 멤브레인 방식을 통해 복원되도록 설계된다. 한편, 지지판(1342) 상면에 설치되는 특정키(1345)는 키보드 상의 어느 그룹에 속한 특정키와 동일 키신호를 발생하는 키가 설치될 수 있으며, 또 다르게는 키보드 상에 배열되지 않은 키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키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키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 키에 대해 제1 및 제2 신호선을 각각 교대로 형성하며, 각 키의 기둥에 부착된 금속판이 해당 라인에 접촉되도록 위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판(1342) 상면에 배열되는 키로써는 키 입력시 빈번하게 이용되는 엔터키, 스페이스 키, 'Ctrl', 'Shift', 'tab', 'Esc' 키 등과 같은 특수목적 키등을 하나 이상 설치하여 입력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세로형 키보드에 대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룹에 속한 키의 배열 및 결합을 위한 구조, 슬라이드 홈의 위치 및 개수 등에 대해 당업자 수준에서 충분히 단순 설계 변경이 가능하며, 그러한 단순 설계 변경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가로형 키보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장애인용 한손형 키보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세로형 키보드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로형 키보드들을 나타낸 도면.
도 6 및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 세로형 키보드들을 나타낸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보인 키보드의 슬라이드 홈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9a 및 도 9b는 도 8에 보인 키보드의 슬라이드 홈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0 및 도 11은 도 6 또는 도 8에 보인 키보드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2a 및 도 12b는 도 7a 및 도 7b에 보인 슬라이딩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도 9a 및 도 9b에 보인 슬라이딩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

Claims (14)

  1. 문자 및 숫자 그리고 기능을 입력 및/또는 선택할 수 있도록 입력 및/또는 선택기호가 상면에 형성된 키들을 갖는 세로형 키보드에 있어서,
    몸체의 장축 방향을 따라 기호가 형성되며, 소정 행으로 배열된 문자입력 관련 제1키 그룹과, 상기 몸체의 장축 방향을 따라 기호가 형성되며, 상기 제1키 그룹에 대해 소정 행으로 배열된 숫자입력 관련 제2키 그룹을 세로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키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장축 방향을 따라 기호가 형성되며, 상기 제1키 그룹에 대해 소정 행으로 배열된 기능 선택 관련 제3키 그룹을 세로로 더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키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키 그룹에는 화면제어키 그룹 및/또는 숫자 키들 및/또는 특수문자 키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키보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키 그룹과 상기 제2키 그룹 및/또는 상기 제1키 그 룹과 상기 제3키 그룹을 분리하며, 상기 몸체의 장축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손바닥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키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키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상면에 상기 손바닥 하부 접촉 부위로 쿠션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키보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장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라이드 홈; 및
    상기 슬라이드 홈과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장축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손바닥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상기 각 그룹의 키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키보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과 결합 및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상기 각 그룹의 키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시키는 결합돌출부; 및
    상기 결합돌출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바닥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키보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홈 내부에 상기 슬라이딩부의 이동시 특정 위치에서의 걸림 및 강제적으로 걸림 해제되도록 형성된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키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의 바닥면 또는 내측벽을 이용자의 강제에 의해 후퇴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홈의 바닥면 또는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특정 위치에 소정 높이로 돌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키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의 바닥면 또는 내측벽에 회전축을 결합하기 위한 홈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면 또는 내측벽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회전축을 갖는 롤러를 결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키보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의 바닥면 또는 내측벽과 연통되는 연통부;
    상기 연통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바닥면 또는 내측벽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볼부재; 및
    상기 결합돌출부의 압박에 따라 상기 볼부재가 상기 연통부 내에서 상기 바닥면 또는 내측벽 측으로 진퇴하도록 운동하는 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키보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 상면에 상기 손바닥 하부 접촉 부위로 쿠션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키보드.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 상면에 특정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키보드.
KR1020080000058A 2008-01-02 2008-01-02 세로형 키보드 KR20090074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058A KR20090074314A (ko) 2008-01-02 2008-01-02 세로형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058A KR20090074314A (ko) 2008-01-02 2008-01-02 세로형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314A true KR20090074314A (ko) 2009-07-07

Family

ID=41331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058A KR20090074314A (ko) 2008-01-02 2008-01-02 세로형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43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3549B1 (ko) 통합 키보드 및 커서제어 장치와 팜레스트를 구비한 랩탑 컴퓨터
US4917516A (en) Combination computer keyboard and mouse data entry system
US20090051659A1 (en) Computer Input Device
CN101952791B (zh) 附多功能程控按钮的人体工学鼠标
WO2008112184A1 (en) Mobile quick-keying device
US20150220161A1 (en) Adapted back-side keyboard
US10025391B2 (en) Ergonomic keyboard
US8011842B2 (en) Apparatus for ergonomic typing
KR20090074314A (ko) 세로형 키보드
JP6419994B2 (ja) 電気的な形態のデータの入力を行う方法及びデータ入力装置
CN100547526C (zh) 带有输入装置的电子设备和信息输入方法
KR102478891B1 (ko) 엄지로 조작하는 광마우스를 구비한 컴퓨터 키보드
GB2421218A (en) Computer input device
US20040069600A1 (en) Keyboard and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136096B1 (ko) 가상 키보드의 키버튼 구분장치
JP3934920B2 (ja) 片手入力装置のキーの設定方法
CN111192779A (zh) 组合键键盘
KR101261128B1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JPH08234882A (ja) キーボード装置
CN216901578U (zh) 一种人体工学全盲打键盘
WO2010149225A1 (en) User interface for a device
KR20100111332A (ko) 인체공학 키보드
KR20110085522A (ko) 쌍자음 입력이 용이한 분할 키보드
KR101118168B1 (ko) 한 손 키보드
JP2868082B2 (ja) 鍵 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