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168B1 - 한 손 키보드 - Google Patents

한 손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168B1
KR101118168B1 KR1020100089499A KR20100089499A KR101118168B1 KR 101118168 B1 KR101118168 B1 KR 101118168B1 KR 1020100089499 A KR1020100089499 A KR 1020100089499A KR 20100089499 A KR20100089499 A KR 20100089499A KR 101118168 B1 KR101118168 B1 KR 101118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s
consonant
vowel
symb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구
Original Assignee
강인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인구 filed Critical 강인구
Priority to KR1020100089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06F3/0213Arrangements provid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in a keyboard, e.g. trackball, mini-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의 전면에 검지, 중지, 약지, 소지가 각각 놓이는 제 1 내지 제 4 위치(112, 113, 114, 115) 각각의 둘레에 자음키, 모음키, 및 기호키가 다수로 배열되고, 상기 자음키, 상기 모음키 및 상기 기호키의 부근에 다수의 전환키, 다수의 기능키, ESC키, 다수의 숫자키, 다수의 특수문자키, 삽입키, 삭제키, 다수의 이동키, 방향키가 각각 배열되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서 엄지가 위치하는 제 5 위치(116)에 문서편집과 프로그램 제어를 위한 키가 다수로 배열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위치에 다수의 마우스 버튼과 포인팅 스틱이 각각 배열되도록 한 손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에 대한 기능을 한 손으로 효율적이면서도 정상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시각 장애인과 지체 장애인의 컴퓨터 사용을 쉽도록 하며, 전차, 전투기, 중장비와 같은 특수 장비에서의 데이터 입력 및 제어를 용이하도록 하고, 다른 손의 활용 및 사용의 편리함을 도모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한 손 키보드{SINGLE HAND KEYBOARD}
본 발명은 컴퓨터 등에 대한 기능을 한 손으로 효율적이면서도 정상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다른 손의 활용 및 사용의 편리함을 도모하도록 하기 위한 한 손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보드는 자판이라고도 하며, 타자기처럼 생긴 입력장치로서 한글, 영문자, 숫자, 특수문자(비문자)와 12개의 기능키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단독으로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와 함께 사용됨으로써 입력된 내용을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여 확인하고, 입력된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키보드는 작동 방식에 있어서 전류를 흐르게 하는 방식에 따라 전자식과 기계식으로 나뉘어지며, 전자식의 경우 키의 누름에 따라 키 밑에 연결된 회로가 전하의 양을 측정하여 키의 눌림 상태를 파악하는 방식이며, 기계식은 키를 누름에 따라 키 밑에 있는 두 개의 금속이 붙었다 떨어졌다 하면서 전류의 흐름 여부로 키의 눌림 상태를 파악하는 방식이며, 그 밖에도 다양한 작동 방식을 가진 제품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키보드는 두 손으로 조작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한 손으로 다른 일을 하고자 하는 경우 키보드의 사용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한 손으로 편리하게 키보드를 사용하여 컴퓨터 등을 조작하거나 내용을 입력하도록 하면서도 다른 한 손으로는 다른 일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손 키보드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한 손 사용이 효율적으면서도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품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 등에 대한 기능을 한 손으로 효율적이면서도 정상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시각 장애인과 지체 장애인의 컴퓨터 사용을 쉽도록 하며, 전차, 전투기, 중장비와 같은 특수 장비에서의 데이터 입력 및 제어를 용이하도록 하고, 다른 손의 활용 및 사용의 편리함을 도모하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한 손 키보드에 있어서, 본체의 전면에 검지, 중지, 약지, 소지가 각각 놓이는 제 1 내지 제 4 위치 각각의 둘레에 자음키, 모음키, 및 기호키가 다수로 배열되고, 상기 자음키, 상기 모음키 및 상기 기호키의 부근에 다수의 전환키, 다수의 기능키, ESC키, 다수의 숫자키, 다수의 특수문자키, 삽입키, 삭제키, 다수의 이동키, 방향키가 각각 배열되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서 엄지가 위치하는 제 5 위치에 문서편집과 프로그램 제어를 위한 키가 다수로 배열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위치에 다수의 마우스 버튼과 포인팅 스틱이 각각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음키, 상기 모음키 및 상기 기호키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배열되고, 상기 전환키는 기능전환키, 캡스락키, 백스페이스키, 한영/한자키를 포함하되, 상기 자음키와 상기 모음키의 주변에서 검지와 중지로 누룰 수 있는 거리에 배열되며, 상기 기능키 및 상기 ESC키는 상기 본체의 전면 우측에 위에서 아래로 다수의 열로 배열되고, 상기 숫자키 및 상기 특수문자키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위치의 아래에 좌우로 다수로 배열되며, 상기 삽입키, 상기 삭제키 및 상기 이동키는 상기 제 4 위치의 위에 다수의 열로 배열되고, 상기 방향키는 상기 제 4 위치의 아래에 다수의 열로 배열되며, 상기 문서편집과 프로그램 제어를 위한 키는 알트키, 콘트롤키, 스페이스/탭키, 시프트키, 엔터키를 포함하되, "∧"자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한 손 키보드에 있어서, 본체의 전면에 검지, 중지, 약지, 소지가 각각 놓이는 제 1 내지 제 4 위치 각각의 둘레에 자음키, 모음키, 및 기호키가 다수로 배열되되, 상기 제 4 위치가 상기 제 3 위치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3 위치와의 사이에 스페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자음키, 상기 모음키 및 상기 기호키의 부근에 다수의 전환키, 다수의 기능키, 다수의 숫자키, 다수의 특수문자키, 삽입키, 삭제키, 다수의 이동키, 방향키가 각각 배열되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서 엄지가 위치하는 제 5 위치에 문서편집과 프로그램 제어를 위한 키가 다수로 배열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위치에 다수의 마우스 버튼과 포인팅 스틱이 각각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음키, 상기 모음키 및 상기 기호키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배열되고, 상기 전환키는 기능전환키, 캡스락키, 백스페이스키, 한영/한자키를 포함하되, 상기 자음키와 상기 모음키의 주변에서 검지와 중지로 누룰 수 있는 거리에 배열되며, 상기 기능키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서 위에서 아래로 다수의 열로 배열되고, 상기 숫자키 및 상기 특수문자키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위치의 아래에 좌우로 다수로 배열되며, 상기 삽입키, 상기 삭제키 및 상기 이동키는 상기 제 4 위치의 위에 배열되되, 상기 제 3 위치에서 등거리로 배열되는 열이 다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향키는 상기 제 4 위치의 아래에 다수의 열로 배열되며, 상기 문서편집과 프로그램 제어를 위한 키는 알트키, 콘트롤키, 스페이스/탭키, 시프트키, 엔터키를 포함하되, "∧"자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우스 버튼은 마우스 좌측버튼, 마우스 우측버튼, 스크롤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은 상기 제 1 위치, 상기 제 3 위치, 상기 제 4 위치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포인팅 스틱은 상기 제 2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우스 버튼은, 육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고, 인접하는 상기 자음키, 상기 모음키, 및 상기 기호키가 상기 육각형의 각 변에 마주보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전면에서 위쪽이 아래쪽에 비하여 설치면으로부터 높도록 경사를 이루되, 상기 제 1 내지 제 3 위치를 포함하는 좌우측 영역이 오목하도록 곡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키보드에 의하면, 컴퓨터 등에 대한 기능을 한 손으로 효율적이면서도 정상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시각 장애인과 지체 장애인의 컴퓨터 사용을 쉽도록 하며, 전차, 전투기, 중장비와 같은 특수 장비에서의 데이터 입력 및 제어를 용이하도록 하고, 다른 손의 활용 및 사용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한 손 키보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한 손 키보드의 손 위치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한 손 키보드의 본체의 곡률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한 손 키보드의 본체 후면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한 손 키보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한 손 키보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키보드(100)는 본체(110)의 전면(111)에 검지, 중지, 약지, 소지가 각각 놓이는 제 1 내지 제 4 위치(112,113,114,115) 각각의 둘레에 자음키(121), 모음키(122), 그리고 기호키(123)가 다수로 배열된다. 여기서, 자음키(121)와 모음키(122)는 일반적인 키보드의 쿼티/2벌식 자판에서 각각 자음과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로 사용된다. 또한, 기호키(123)는 일반 2벌식 키보드에서 자음키와 모음키와 동일한 열에 배열된 기호키로서, 「;/:」,「//?」,「,/<」,「./>」 가 있으며, {, }, [, ]의 입력은 자음키(121)와 모음키(122) 중에서 ㅌ, ㅊ, ㅜ, ㅣ 키가 기능전환키(131)와 함께 눌려졌을 때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10)의 전면(111)에 손을 자연스럽게 올려 놓았을 때(a)와, 손가락을 멀리까지 뻗었을 때(b) 손의 모습이며, 이와 같이 본체(110)의 전면(111)에서 손가락 동작 범위 내에 키들이 배열되어 있다.
또한, 자음키(121), 모음키(122), 및 기호키(123)의 부근에는 다수의 전환키(131,132,133,134), 다수의 기능키(141), ESC키(142), 다수의 숫자키(151), 다수의 특수문자키(152), 삽입키(161), 삭제키(162), 다수의 이동키(163), 방향키(171)가 배열된다.
자음키(121)와 모음키(122) 및 기호키(123)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배열됨으로써 자음키(121)의 경우 검지와 중지가 타이핑하도록 하고, 모음키(122)의 경우 중지와 약지가 타이핑하도록 하며, 기호키의 경우 소지가 타이핑하도록 한다.
전환키(131,132,133,134)는 키보드 상에 기본적으로 배치되지 않는 키들을 사용한기 위한 특수키로서 함께 눌려지는 키의 다른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기능전환키(131), 대소문자의 전환을 위한 캡스락키(132), 이전칸으로 커서를 이전칸으로 위치전환시키는 백스페이스키(133), 한글 또는 영문을 한자로 전환시키는 한영/한자키(134)를 포함하되, 자음키(121)와 모음키(122)의 주변에서 검지와 중지로 누룰 수 있는 거리에 배열된다.
기능키(141) 및 ESC키(142)는 본체(110)의 전면(111) 우측, 예컨대 제 1 위치(112)의 좌측에 위에서 아래로 다수의 열, 예컨대 2열로 배열된다. 여기서, 기능전환키(131)는 ESC키(142)와 기능키(141)들과 함께 위에서 아래로 2열로 배열된다.
숫자키(151) 및 특수문자키(152)는 제 1 내지 제 3 위치(112,113,114)의 아래에 좌우로 다수로 배열된다. 여기서, 숫자키(151)는 특수문자와 혼용되도록 마련되는데, 숫자의 경우 일반적인 문자 입력부에 통합시킬 경우 너무 복잡해지고, 별도로 분리하게 되면 본체(110)의 크기가 커지고, 일반 키보드에 달려 있는 오른쪽 숫자키 부분에 비하여 차이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체(110)가 후술하게 될 곡률을 가질 경우 손이 건드리지 않는 부분인 손바닥 바로 아래 부분에 숫자키(151)들이 배열된다.
삽입키(INSERT; 161), 삭제키(DELETE; 162) 및 이동키(PAGE UP, PAGE DOWN, HOME, END; 163)는 제 4 위치(115)의 위에 다수의 열, 예컨대 2열로 배열된다.
방향키(171)는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키로서 화살표로 나타나며, 앞키(172)와 뒤키(173)와 함께 제 4 위치(114)의 아래에 다수의 열, 예컨대 2열로 배열된다.
본체(110)의 전면에서 엄지가 위치하는 제 5 위치(116)에 문서편집과 프로그램 제어를 위한 키(181,182,183,184,185)가 다수로 배열된다. 여기서, 문서편집과 프로그램 제어를 위한 키(181,182,183,184,185)는 엄지에 의해 타이핑되는 키로서, 알트키(ALT; 181), 콘트롤키(CTRL; 182), 스페이스/탭키(SPACE/TAB; 183), 시프트키(SHIFT; 184), 엔터키(ENTER; 185)를 포함하되, "∧"자 형태로 배열된다.
제 1 내지 제 4 위치(112,113,114,115)에는 다수의 마우스 버튼(191,192,193)과 포인팅 스틱(194)이 배열된다.
마우스 버튼(191,192,193)은 마우스 좌측버튼(191), 마우스 우측버튼(192), 스크롤 버튼(193)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은 제 1 위치(112), 제 3 위치(114), 제 4 위치(115)에 각각 마련되고, 포인팅 스틱(194)은 화면상의 커서를 움직이고자 하는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도록 하는 스틱으로서, 제 2 위치(113)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롤 버튼(193)은 눌려진 상태에서 포인팅 스틱(194)을 조작시 스크롤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마우스 버튼(191,192,193)과 포인팅 스틱(194)으로 인해 마우스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거나 마우스에 손을 옮겨야 하는 일이 없어져서 작업시의 효율성이 키보드 기능만 있는 것보다 향상된다.
마우스 버튼(191,192,193), 즉 마우스 좌측버튼(191), 마우스 우측버튼(192), 그리고, 스크롤 버튼(193)은 육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고, 이들에 인접하는 자음키(121), 모음키(122) 및 기호키(123)가 육각형의 각 변에 마주보도록 배열되며, 마우스 버튼(191,192,193) 사이에 자음키(121), 모음키(122) 및 기호키(123)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문서편집과 프로그램 제어를 위한 키(181,182,183,184,185)는 육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자음키(121), 모음키(122) 및 기호키(123)는 오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진다.
한편, 본체(110)는 전면(111)에서 위쪽이 아래쪽에 비하여 설치면으로부터 높도록 경사를 이루되, 제 1 내지 제 3 위치(112,113,114)를 포함하는 좌우측 영역(117)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하도록 곡률이 형성되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111)의 후측에 곡률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보강용 와이어(118)가 다수로 고정될 수 있다. 본체(110)는 위쪽에서 아래쪽까지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설계한 이유는 손의 동선 때문인데, 손 끝으로부터 두 번째 관절(A)을 축으로 하여 부채꼴 형태의 범위에서 주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평면형으로 키보드를 설계하게 되면 멀리 있는 키로 손을 뻗을 때 다른 키에 걸리거나 힘을 많이 주어야만 하게 되는데, 이를 고려하여 손이 놓이는 곳으로부터 위쪽으로 멀리 있는 부분은 올라가는 경사를, 손가락 안쪽으로는 내려가는 경사를 주어 본체(110)가 손의 동선에 맞추어짐으로써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있다. 또한, 키에 힘을 가하기 쉬운 방향인 손가락 관절을 축으로 하는 회전 방향으로 최대한 모든 키를 배열하여 타이핑의 편리성을 높이도록 한다.
본체(110)는 전면(111)에 고정되는 키들의 스위치들과 전선으로 연결됨으로써 키들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인쇄회로기판이 내측에 설치되거나, 키들의 스위치가 직접 설치됨으로써 키들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인쇄회로기판이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체(110)는 컴퓨터나 그 밖에 키보드의 연결이 필요한 기기에 USB 또는 PS/2 방식에 의해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이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블루투스나 그 밖의 다양한 무선 통신에 의해 컴퓨터 등에 접속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한 손 키보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한 손 키보드(200)는 본체(210)의 전면(211)에 검지, 중지, 약지, 소지가 각각 놓이는 제 1 내지 제 4 위치(212,213,214,215) 각각의 둘레에 영문을 혼용할 수 있는 자음키(221), 모음키(222), 그리고 기호키(223)가 다수로 배열되되, 제 4 위치(215)가 제 3 위치(214)로부터 이격되어 제 3 위치(214)와의 사이에 스페이스(219)가 형성되고, 자음키(221), 모음키(222), 및 기호키(223)의 부근에 다수의 전환키(231,232,233,234), 다수의 기능키(241), 다수의 숫자키(251), 다수의 특수문자키(252), 삽입키(261), 삭제키(262), 다수의 이동키(263), 방향키(271)가 배열되고, 본체(210)의 전면(211)에서 엄지가 위치하는 제 5 위치(216)에 문서편집과 프로그램 제어를 위한 키(281,282,283,284,285)가 다수로 배열되며, 제 1 내지 제 4 위치(212,213,214,215)에 다수의 마우스 버튼(291,292,293)과 포인팅 스틱이 배열된다.
또한, 자음키(221), 모음키(222) 및 기호키(223)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배열되고, 전환키(231,232,233,234)는 기능전환키(231), 캡스락키(232), 백스페이스키(233), 한영/한자키(234)를 포함하되, 자음키(221)와 모음키(222)의 주변에서 검지와 중지로 누룰 수 있는 거리에 배열되며, 기능키(241)는 본체(210)의 전면(211)에서 위에서 아래로 다수의 열, 예컨대 2열로 배열되고, 숫자키(251) 및 특수문자키(252)는 제 1 내지 제 3 위치(212,213,214)의 아래에 좌우로 다수로 배열되며, 삽입키(261), 삭제키(262) 및 이동키(263)는 제 4 위치(215)의 위에 배열되되, 제 3 위치(214)에서 등거리로 배열되는 열이 다수로 이루어지고, 방향키(271)는 제 4 위치(215)의 아래에 앞(272)와 뒤키(273)와 함께 다수의 열, 예컨대 2열로 배열되며, 문서편집과 프로그램 제어를 위한 키(281,282,283,284,285)는 알트키(281), 콘트롤키(282), 스페이스/탭키(283), 시프트키(284), 엔터키(285)를 포함하되, "∧"자 형태로 배열된다.
마우스 버튼(291,292,293)은 마우스 좌측버튼(291), 마우스 우측버튼(292), 스크롤 버튼(293)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은 제 1 위치(212), 제 3 위치(214), 제 4 위치(215)에 각각 마련되고, 포인팅 스틱은 화면상의 커서를 움직이고자 하는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도록 하는 스틱으로서, 제 2 위치(213)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 5에서 도면 부호 "294"로 도시된 버튼을 대신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는(210)는 전면(211)에서 위쪽이 아래쪽에 비하여 설치면으로부터 높도록 경사를 이루되, 제 1 내지 제 3 위치(212,213,214)를 포함하는 좌우측 영역(217)이 오목하도록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한 손 키보드(200)는 위에서 언급한 이외의 사항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한 손 키보드(100)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겠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키보드에 의하면,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에 사용하는 입력 장치로서, 한 손으로 키보드 입력뿐만 아니라 포인팅 장치로서의 기능 또한 겸하고 있다. 또한, 한 손으로 사용할 때 손의 동선에 맞추어 설계됨으로써 편리하고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고, 한 손 사용에 맞춘 곡률을 가지고 있으며,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키보드와 마우스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기능이 모두 대응될 수 있도록 하여 입력 내지 타이핑 작업에 대한 불편함을 없앴다.
이와 같이, 신체적으로 불편하여 한 손만을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의 경우에 입력이나 타이핑을 가능하도록 하고, 시각적으로 장애가 있는 사람의 경우에 손이 거의 고정된 자리에서 타이핑하는 방식이기에 계속 더듬지 않고도 빠르게 입력 내지 타이핑할 수 있다. 또한, 비행기나 전차, 우주선 등에서 고정되어 있는 운전석이나 안전석 등에 장착되어 입력 장치로 적용하는 경우 조작의 편리성으로 인해 유용하다.
그리고, 다른 한 손으로는 서류 등을 넘기면서 한 손으로 연속해서 타이핑해야하는 일에 활용도가 높으며, 노트북 등에 적용되는 경우 한 손으로 들고 편리하게 타이핑하는 등의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연구직이나 고급시설 관리직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디자인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오각형과 육각형이 사용되어 기존의 키보드와 달리 기하학적 조화로움을 가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키보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210 : 본체 111,211 : 전면
112,212 : 제 1 위치 113,213 : 제 2 위치
114,214 : 제 3 위치 115,215 : 제 4 위치
116,216 : 제 5 위치 117,217 : 좌우측영역
118 : 보강용 와이어 121,221 : 자음키
122,222 : 모음키 123,223 : 기호키
131,231 : 기능전환키 132,232 : 캡스락키
133,233 : 백스페이스키 134,234 : 한영/한자키
141,241 : 기능키 142 : ESC키
151,251 : 숫자키 152,252 : 특수문자키
161,261 : 삽입키 162,262 : 삭제키
163,263 : 이동키 171,271 : 방향키
172,272 : 앞키 173,273 : 뒤키
181,281 : 알트키 182,282 : 콘트롤키
183,283 : 스페이스/탭키 184,284 : 시프트키
185,285 : 엔터키 191,291 : 마우스 좌측버튼
192,292 : 마우스 우측버튼 193,293 : 스크롤 버튼
194 : 포인팅 스틱 219 : 스페이스
294 : 버튼

Claims (7)

  1. 한 손 키보드에 있어서,
    본체의 전면에 검지, 중지, 약지, 소지가 각각 놓이는 제 1 내지 제 4 위치 각각의 둘레에 자음키, 모음키, 및 기호키가 다수로 배열되고,
    상기 자음키, 상기 모음키 및 상기 기호키의 부근에 다수의 전환키, 다수의 기능키, ESC키, 다수의 숫자키, 다수의 특수문자키, 삽입키, 삭제키, 다수의 이동키, 방향키가 각각 배열되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서 엄지가 위치하는 제 5 위치에 문서편집과 프로그램 제어를 위한 키가 다수로 배열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위치에 다수의 마우스 버튼과 포인팅 스틱이 각각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키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키, 상기 모음키 및 상기 기호키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배열되고,
    상기 전환키는 기능전환키, 캡스락키, 백스페이스키, 한영/한자키를 포함하되, 상기 자음키와 상기 모음키의 주변에서 검지와 중지로 누룰 수 있는 거리에 배열되며,
    상기 기능키 및 상기 ESC키는 상기 본체의 전면 우측에 위에서 아래로 다수의 열로 배열되고,
    상기 숫자키 및 상기 특수문자키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위치의 아래에 좌우로 다수로 배열되며,
    상기 삽입키, 상기 삭제키 및 상기 이동키는 상기 제 4 위치의 위에 다수의 열로 배열되고,
    상기 방향키는 상기 제 4 위치의 아래에 다수의 열로 배열되며,
    상기 문서편집과 프로그램 제어를 위한 키는 알트키, 콘트롤키, 스페이스/탭키, 시프트키, 엔터키를 포함하되, "∧"자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키보드.
  3. 한 손 키보드에 있어서,
    본체의 전면에 검지, 중지, 약지, 소지가 각각 놓이는 제 1 내지 제 4 위치 각각의 둘레에 자음키, 모음키, 및 기호키가 다수로 배열되되, 상기 제 4 위치가 상기 제 3 위치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 3 위치와의 사이에 스페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자음키, 상기 모음키 및 상기 기호키의 부근에 다수의 전환키, 다수의 기능키, 다수의 숫자키, 다수의 특수문자키, 삽입키, 삭제키, 다수의 이동키, 방향키가 각각 배열되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서 엄지가 위치하는 제 5 위치에 문서편집과 프로그램 제어를 위한 키가 다수로 배열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위치에 다수의 마우스 버튼과 포인팅 스틱이 각각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키보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키, 상기 모음키 및 상기 기호키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배열되고,
    상기 전환키는 기능전환키, 캡스락키, 백스페이스키, 한영/한자키를 포함하되, 상기 자음키와 상기 모음키의 주변에서 검지와 중지로 누룰 수 있는 거리에 배열되며,
    상기 기능키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서 위에서 아래로 다수의 열로 배열되고,
    상기 숫자키 및 상기 특수문자키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위치의 아래에 좌우로 다수로 배열되며,
    상기 삽입키, 상기 삭제키 및 상기 이동키는 상기 제 4 위치의 위에 배열되되, 상기 제 3 위치에서 등거리로 배열되는 열이 다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향키는 상기 제 4 위치의 아래에 다수의 열로 배열되며,
    상기 문서편집과 프로그램 제어를 위한 키는 알트키, 콘트롤키, 스페이스/탭키, 시프트키, 엔터키를 포함하되, "∧"자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키보드.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버튼은 마우스 좌측버튼, 마우스 우측버튼, 스크롤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은 상기 제 1 위치, 상기 제 3 위치, 상기 제 4 위치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포인팅 스틱은 상기 제 2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키보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버튼은,
    육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고, 인접하는 상기 자음키, 상기 모음키, 및 상기 기호키가 상기 육각형의 각 변에 마주보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키보드.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전면에서 위쪽이 아래쪽에 비하여 설치면으로부터 높도록 경사를 이루되, 상기 제 1 내지 제 3 위치를 포함하는 좌우측 영역이 오목하도록 곡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키보드.
KR1020100089499A 2010-09-13 2010-09-13 한 손 키보드 KR101118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499A KR101118168B1 (ko) 2010-09-13 2010-09-13 한 손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499A KR101118168B1 (ko) 2010-09-13 2010-09-13 한 손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8168B1 true KR101118168B1 (ko) 2012-06-12

Family

ID=46607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499A KR101118168B1 (ko) 2010-09-13 2010-09-13 한 손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1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1002272A1 (en) 1980-02-05 1981-08-20 I Litterick Keyboards and methods of operating keyboards
US4579470A (en) 1984-04-11 1986-04-01 Cullen Casey Keyboard with keys concentrated in clusters
WO2000073886A1 (fr) 1999-05-26 2000-12-07 Zhuoqin Chen Clavier ergonomique conçu pour un fonctionnement avec une seule mai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1002272A1 (en) 1980-02-05 1981-08-20 I Litterick Keyboards and methods of operating keyboards
US4579470A (en) 1984-04-11 1986-04-01 Cullen Casey Keyboard with keys concentrated in clusters
WO2000073886A1 (fr) 1999-05-26 2000-12-07 Zhuoqin Chen Clavier ergonomique conçu pour un fonctionnement avec une seule ma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020B1 (ko) 화면표시식키이입력장치
US20060279532A1 (en) Data input device controlled by motions of hands and fingers
US7859830B2 (en) Mobile quick-keying device
US20130194190A1 (en) Device for typing and inputting symbols into portable communication means
WO2017112714A1 (en) Combination computer keyboard and computer pointing device
US20090091535A1 (en) Keyboard with touch-sensor space bar
CN102736829A (zh) 具有虚拟键盘的触控装置及其形成虚拟键盘的方法
CN201369020Y (zh) 一种键盘、笔记本电脑
US10025391B2 (en) Ergonomic keyboard
CN101382839A (zh) 一种可方便地进行模式转换的键盘
KR101118168B1 (ko) 한 손 키보드
KR101325653B1 (ko) 분리형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KR20100069089A (ko)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TW201516852A (zh) 周邊裝置及其操作方法及應用其之電子系統
US20100207887A1 (en) One-handed computer interface device
CN103513789A (zh) 触控鼠标
CN201876809U (zh) 柔性键盘
KR101339685B1 (ko) 이동형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KR102568363B1 (ko) 전환키 인터페이스를 갖는 컴퓨터 입력장치
KR101152293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창 출력방법 및 문자입력창 출력장치
JP2567194B2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
JP3766695B6 (ja)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JP3766695B2 (ja)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KR20100099867A (ko) 한손으로 파지 및 입력이 가능한 통합형 입력장치
JP2021185474A (ja) ナビゲーション制御機能を備えたキーボ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