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4078A - 캡슐형 의료 장치 - Google Patents

캡슐형 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4078A
KR20090074078A KR1020097009989A KR20097009989A KR20090074078A KR 20090074078 A KR20090074078 A KR 20090074078A KR 1020097009989 A KR1020097009989 A KR 1020097009989A KR 20097009989 A KR20097009989 A KR 20097009989A KR 20090074078 A KR20090074078 A KR 20090074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medical device
capsul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4932B1 (ko
Inventor
데쯔오 미나이
가즈아끼 다무라
진 오하라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4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2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 A61B1/00036Means for power saving, e.g. sleeping m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1Capsule endoscopes for imag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09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adapted for power sav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doscop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캡슐형 의료 장치는, 피검체의 내부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를 구비한 캡슐형 의료 장치로서,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정보를 상기 피검체의 외부에 대하여 출력하기 위한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통신용 전극과, 상기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정보에 따라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상기 통신용 전극간에 전위차를 생기게 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전극 구동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전극 구동 신호의 출력 상태를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신호 출력 절환부와, 상기 전기 신호의 출력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신호가 출력되고 있지 않은 기간에 상기 전극 구동 신호의 출력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를 상기 신호 출력 절환부에 대하여 행하는 신호 절환 제어부를 갖는다.
캡슐형 내시경, 발광 소자, 촬상 소자, 통신용 전극, 버퍼, 보호 회로

Description

캡슐형 의료 장치{CAPSULE-TYPE MEDICAL DEVICE}
본 발명은, 캡슐형 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검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그 피검체의 내부의 정보를 취득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은, 의료 분야 등에서 종래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의료 분야에서의 내시경은, 생체 내의 관찰 등의 용도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내시경의 종류의 하나로서, 피검자가 연하함으로써 체강 내에 배치되고, 연동 운동에 수반하여 그 체강 내를 이동하면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고, 촬상한 그 피사체의 상을 촬상 신호로서 외부에 송신 가능한 캡슐형 내시경이 최근 제안되어 있다.
전술한 캡슐형 내시경과 대략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표 2006-513670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일본 특표 2006-513670호 공보에는, 피검체의 내부에 배치된 캡슐형 내시경에서 발하여진 전기 신호가, 도체로서의 그 피검체를 통하여, 그 피검체의 외부에 설치된 수신기에 대하여 출력된다고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표 2006-513670호 공보의 캡슐형 내시경은, 상대적으로 높은 전위가 인가되는 제1 송신 전극과, 상대적으로 낮은 전위가 인가되는 제2 송신 전극을 케 이스 표면에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피검체 내부에 배치된 캡슐형 내시경의 제1 송신 전극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는, 피검체 표면을 흐른 후, 제2 송신 전극에 싱크(sink)된다. 그리고, 상기 피검체 표면에 설치된 수신기는, 수신 전극간에 유기된 전압에 기초하여, 캡슐형 내시경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에 따른 전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 특표 2006-513670호 공보의 캡슐형 내시경은, 제1 송신 전극과 제2 송신 전극 사이에 항상 전위차가 계속해서 생기도록 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촬상 신호 등의 각종 전기 신호를 송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도, 피검체를 통하여 그 제1 송신 전극과 그 제2 송신 전극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결과적으로 내장 전원의 잔류 용량이 불필요하게 감소하게 된다고 하는 과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내장 전원의 잔류 용량을 불필요하게 감소시키지 않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캡슐형 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개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서의 캡슐형 의료 장치는, 피검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피검체의 내부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를 구비한 캡슐형 의료 장치로서,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정보를 상기 피검체의 외부에 대하여 출력하기 위한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통신용 전극과, 상기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정보에 따라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상기 통신용 전극간에 전위차를 생기게 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전극 구동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전극 구동 신호의 출력 상태를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신호 출력 절환부와, 상기 전기 신호의 출력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신호가 출력되고 있지 않은 기간에 상기 전극 구동 신호의 출력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를 상기 신호 출력 절환부에 대하여 행하는 신호 절환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캡슐형 의료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절환 제어부는, 상기 전기 신호의 출력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 출력 절환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기 신호가 출력되고 있지 않은 기간에, 상기 통신용 전극 각각의 전위를 소정의 전위로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를 더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캡슐형 의료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의 전위는, 접지 전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캡슐형 의료 장치가 이용되는 피검체 정보 취득 시스템의 주요부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캡슐형 의료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캡슐형 의료 장치가 갖는 드라이브 회로의 상세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의 드라이브 회로를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의 동작 상태의 일례 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
도 5는 도 2의 캡슐형 의료 장치가 갖는 드라이브 회로의 상세한 구성의, 도 3과는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의 드라이브 회로를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의 동작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캡슐형 의료 장치가 이용되는 피검체 정보 취득 시스템의 주요부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캡슐형 의료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캡슐형 의료 장치가 갖는 드라이브 회로의 상세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드라이브 회로를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의 동작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5는 도 2의 캡슐형 의료 장치가 갖는 드라이브 회로의 상세한 구성의, 도 3과른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드라이브 회로를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의 동작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피검체 정보 취득 시스템(10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검체(1)가 연하함으로써 체강 내에 배치됨과 함께, 그 체강 내에 존재하는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2)와, 피검체(1)의 외부에 배치되며, 캡슐형 의료 장치(2)와의 사이에서의 통신이 가능한 통신 장치(3)와, 통신 장치(3)가 수신한 신호 등에 기초하는 처리를 행함과 함께, 그 피사체의 상을 화상 표시하는 단말 장치(4)와, 통신 장치(3) 및 단말 장치(4)에 축적된 데이터 등의 입출력 및 기록이 가능한 휴대형 기억 매체(5)를 갖고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캡슐형 의료 장치(2)의 케이스(2A)는, 생체에 대하여 무해함과 함께, 외부로부터의 전기를 통과시키지 않는 절연 물질인, 예를 들면,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캡슐형 의료 장치로서의 캡슐형 의료 장치(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LED 등에 의해 구성되며, 피사체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광을 발하는 발광 소자(21)와, 발광 소자(21)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22)와, 예를 들면 CCD(전하 결합 소자) 등에 의해 구성되며, 발광 소자(21)에 의해 조명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함과 함께, 그 피사체의 상을 촬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정보 취득부로서의 촬상 소자(23)를 갖고 있다. 또한, 캡슐형 의료 장치(2)는, 촬상 소자(23)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촬상 소자 구동 회로(24)와, 촬상 소자(23)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에 대하여 신호 처리를 실시하는 촬상 신호 처리 회로(25)와, 촬상 신호 처리 회로(25)에 의한 신호 처리가 실시된 촬상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 회로(26)와, 캡슐형 의료 장치(2)의 케이스(2A)의 표면에 배치된 통신용 전극(27a 및 27b)을 갖고 있다.
또한, 캡슐형 의료 장치(2)는, 변조 회로(26)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통신용 전극(27a 및 27b)을 구동하는 드라이브 회로(28)와, 배터리(30)와, 배터리(30)에 축적된 전력에 기초하여 캡슐형 의료 장치(2)의 각 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 전압 Vcc를 생성하는 전원 회로(31)와, 발광 소자 구동 회로(22), 촬상 소자 구동 회로(24), 촬상 신호 처리 회로(25), 변조 회로(26) 및 드라이브 회로(28)의 동작 제어를 주로 행하는 제어 회로(32)를 갖고 있다.
통신용 전극(27a 및 27b)은, 소화액 등에 대한 내부식성을 가짐과 함께, 생체에 대하여 무해한 도전 물질인, 예를 들면, SUS316L 또는 금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드라이브 회로(28)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조 회로(26)에 의해 변조된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통신용 전극(27a 및 27b)을 구동하기 위한 전극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신호 변환부로서의 버퍼(40a 및 40b)와, 버퍼(40a 및 40b)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회로(41a 및 41b)와, 신호 출력 절환부로서의 스위칭 회로(43)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버퍼(40a)에 입력된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전극 구동 신호는, 그 촬상 신호에 대하여 위상이 변화되지 않고 보호 회로(41a)에 대하여 출력된다. 또한, 버퍼(40b)에 입력된 촬상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전극 구동 신호는, 그 촬상 신호에 대하여 위상이 180도 어긋난 상태로서 보호 회로(41b)에 대하여 출력된다.
보호 회로(41a 및 41b)는, 통신용 전극(27a와 27b) 사이가 단락한 경우에도 버퍼(40a 및 40b)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예를 들면, 수백Ω 정도의 저항값을 갖는 저항기, 및(또는) 컨덴서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위칭 회로(43)는, 제어 회로(32)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보호 회로(41a 및 41b)에 대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버퍼(40a 및 40b)로부터 의 신호 또는 접지 전위점(GND)으로부터의 신호 중 어느 하나로 절환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드라이브 회로(28)는, 제어 회로(32)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변조 회로(26)에 의해 변조된 촬상 신호에 따라서 생성되는 전극 구동 신호, 또는, 접지 전위점의 전위를 갖는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통신용 전극(27a 및 27b)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캡슐형 의료 장치(2)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또한, 도 4는, 도 3의 드라이브 회로(28)를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2)의 동작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신호 절환 제어부로서의 제어 회로(32)는, 변조 회로(26)에 의해 변조된 촬상 신호를 감시하여, 변조 회로(26)에 촬상 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기간인, 신호 비송신 기간에서, Low 레벨의 스위치 제어 신호를 스위칭 회로(43)에 대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스위칭 회로(43)는, Low 레벨의 스위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접지 전위점의 전위를 갖는 신호가 보호 회로(41a 및 41b)를 통하여 통신용 전극(27a 및 27b)에 출력되도록 스위치의 절환 동작을 행함으로써, 드라이브 회로(28)의 동작 상태를 신호 비송신 기간에서의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신호 비송신 기간에서는, 통신용 전극(27a 및 27b)의 전위차가 없어지기 때문에, 통신용 전극(27a와 27b)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로 된다.
그 후, 제어 회로(32)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22)를 제어하여 발광 소자(21)를 점등시킴과 함께, 촬상 소자 구동 회로(24)를 제어하여 촬상 소자(23)에서의 노광 동작을 행하게 한다. 이에 의해, 발광 소자(21)가 점등하는 타이밍에 맞추어 촬상 소자(23)가 노광 동작을 행함과 함께, 노광 동작 종료의 타이밍에서, 피사체의 상에 따라서 축적된 전하에 기초하는 촬상 신호가 촬상 소자(23)로부터 출력된다.
촬상 신호 처리 회로(25)는, 제어 회로(32)의 지시에 기초하여, 촬상 소자(23)의 노광 동작 종료의 타이밍에서, 촬상 소자(23)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개시함과 함께, 그 신호 처리를 실시한 후의 촬상 신호를 변조 회로(26)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또한, 변조 회로(26)는, 촬상 신호 처리 회로(25)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촬상 신호를 변조하면서, 그 변조를 실시한 촬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드라이브 회로(28)에 대하여 출력한다.
한편, 제어 회로(32)는, 촬상 신호 처리 회로(25)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촬상 신호가 변조 회로(26)에 입력된 타이밍에서, High 레벨의 스위치 제어 신호를 스위칭 회로(43)에 대하여 출력함으로써, 드라이브 회로(28)의 동작 상태를, 전술한 신호 비송신 기간에서의 상태로부터, 신호 송신 기간에서의 상태로 이행시킨다.
스위칭 회로(43)는, High 레벨의 스위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변조 회로(26)로부터 출력된 촬상 신호에 따라서 생성되는 전극 구동 신호가 보호 회로(41a 및 41b)를 통하여 통신용 전극(27a 및 27b)에 출력되도록 스위치의 절환 동작을 행함으로써, 드라이브 회로(28)의 동작 상태를 신호 송신 기간에서의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신호 송신 기간에서는, 통신용 전극(27a와 27b) 사이에 전위차가 생겨, 피검체(1)의 표면을 통하여 통신용 전극(27a와 27b) 사이에 전류가 흐름 으로써, 피검체(1)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통신 장치(3)에 대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 회로(32)는, 촬상 소자(23)에서의 1프레임분의 촬상 신호가 변조 회로(26)로부터 출력될 때까지의 기간, High 레벨의 스위치 제어 신호를 스위칭 회로(43)에 대하여 계속해서 출력함으로써, 드라이브 회로(28)의 동작 상태를 신호송신 기간에서의 상태로 유지한다.
그리고, 제어 회로(32)는, 촬상 소자(23)에서의 1프레임분의 촬상 신호가 변조 회로(26)로부터 출력된 것을 검출하면, Low 레벨의 스위치 제어 신호를 스위칭 회로(43)에 대하여 출력한다. 이에 의해, 스위칭 회로(43)는, Low 레벨의 스위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접지 전위점의 전위를 갖는 신호가 보호 회로(41a 및 41b)를 통하여 통신용 전극(27a 및 27b)에 출력되도록 스위치의 절환 동작을 행하여, 드라이브 회로(28)의 동작 상태를 신호 비송신 기간에서의 상태로 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슐형 의료 장치(2)는, 신호 송신 기간에만 통신용 전극(27a와 27b) 사이에 전류가 흐름과 함께, 신호 비송신 기간에서는 통신용 전극(27a와 27b)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구성을 갖고 있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의 캡슐형 의료 장치(2)는, 내장 전원의 잔류 용량을 불필요하게 감소시키지 않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캡슐형 의료 장치(2)는, 전술한 효과와 대략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 도 3의 드라이브 회로(28) 대신에, 도 5의 드라이브 회로(28A)를 갖고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드라이브 회로(28A)는, 드라이브 회로(28)가 갖는 각 부 외에, 타이머 회로(50)와, 스위치 제어 회로(51)를 더 갖고 구성되어 있다.
타이머 회로(50)는, 스위칭 회로(4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에 따라서, 그 신호의 상태가 소정 기간 이상 변동하지 않은 것을 검출한 경우에, 타임 업 신호를 생성함과 함께, 그 타임 업 신호를 스위치 제어 회로(51)에 대하여 출력한다.
스위치 제어 회로(51)는, 타이머 회로(50)로부터 출력되는 타임 업 신호에 기초하여, 스위칭 회로(43)에 대하여 스위치 제어 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그 스위치 제어 신호를 출력한 타이밍을 나타내기 위한 타이밍 신호를 제어 회로(32)에 대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스위칭 회로(43)는, 스위치 제어 회로(51)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드라이브 회로(28A)의 동작 상태를, 신호 송신 기간에서의 상태 또는 신호 비송신 기간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한다.
여기서, 드라이브 회로(28A)를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2)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또한, 도 6은 도 5의 드라이브 회로(28A)를 갖는 캡슐형 의료 장치(2)의 동작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타이머 회로(50)는, 스위칭 회로(4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스위칭 회로(4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변동이 단속적으로 생기고 있는 기간을 신호 송신 기간으로 간주하고, 타임 업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 상태(타임 업 신호의 리세트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스위치 제어 회로(51)는, 타이머 회로(50)로부터 타임 업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한에 있어서, High 레벨의 스위치 제어 신호를 스위칭 회로(43)에 대하여 계속해서 출력한다. 그리고, 스위칭 회 로(43)는, High 레벨의 스위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변조 회로(26)로부터 출력된 촬상 신호에 따라서 생성되는 전극 구동 신호가 보호 회로(41a 및 41b)를 통하여 통신용 전극(27a 및 27b)에 출력되도록 스위치의 절환 동작을 행함으로써, 드라이브 회로(28A)의 동작 상태를 신호 송신 기간에서의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신호송신 기간에서는, 통신용 전극(27a와 27b) 사이에 전위차가 생겨, 피검체(1)의 표면을 통하여 통신용 전극(27a와 27b) 사이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피검체(1)의 외부표면에 배치된 통신 장치(3)에 대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그 후, 타이머 회로(50)는, 스위칭 회로(4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에 기초하여, 스위칭 회로(4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소정 기간 이상 변동하지 않은 것을 검출하면, 신호 비송신 기간 중인 것으로 간주하고, 타임 업 신호를 생성함과 함께, 그 타임 업 신호를 스위치 제어 회로(51)에 대하여 출력한다.
스위치 제어 회로(51)는, 타이머 회로(50)로부터의 타임 업 신호가 입력된 타이밍에서, Low 레벨의 스위치 제어 신호를 스위칭 회로(43)에 대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스위칭 회로(43)는, Low 레벨의 스위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접지 전위점의 전위를 갖는 신호가 보호 회로(41a 및 41b)를 통하여 통신용 전극(27a 및 27b)에 출력되도록 스위치의 절환 동작을 행함으로써, 드라이브 회로(28A)의 동작 상태를 신호 비송신 기간에서의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신호 비송신 기간에서는, 통신용 전극(27a 및 27b)의 전위차가 없어지기 때문에, 통신용 전극(27a와 27b)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로 된다.
한편, 제어 회로(32)는, 신호 비송신 기간에서 변조 회로(26)의 상태를 계속 해서 감시함으로써, 촬상 신호가 변조 회로(26)로부터 재차 출력되기 시작한 것을 검출하면, 타임 업 신호의 생성을 정지시키기(타임 업 신호를 리세트 상태로 하기) 위한 제어를 타이머 회로(50)에 대하여 행한다. 이에 의해,High 레벨의 스위치 제어 신호가 스위치 제어 회로(51)로부터 출력되어, 드라이브 회로(28A)의 동작 상태가 신호 송신 기간에서의 상태로 되어, 피검체(1)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통신 장치(3)에 대한 통신이 재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캡슐형 의료 장치(2)는, 피검체(1)의 표면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피검체(1)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통신 장치(3)와의 통신을 행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피검체(1)의 표면 방향에 대하여 전계 또는 자계를 발생 시킴으로써, 그 통신 장치(3)와의 통신을 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출원은, 2006년 11월 17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원 2006-312054호를 우선권 주장의 기초로서 출원하는 것이며, 상기의 개시 내용은, 본원 명세서, 청구의 범위, 도면에 인용된 것으로 한다.

Claims (3)

  1. 피검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피검체의 내부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를 구비한 캡슐형 의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의료 장치의 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정보를 상기 피검체의 외부에 대하여 출력하기 위한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통신용 전극과,
    상기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정보에 따라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상기 통신용 전극간에 전위차를 생기게 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전극 구동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전극 구동 신호의 출력 상태를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신호 출력 절환부와,
    상기 전기 신호의 출력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신호가 출력되고 있지 않은 기간에 상기 전극 구동 신호의 출력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를 상기 신호 출력 절환부에 대하여 행하는 신호 절환 제어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절환 제어부는, 상기 전기 신호의 출력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 출력 절환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기 신호가 출력되고 있지 않은 기간에, 상 기 통신용 전극 각각의 전위를 소정의 전위로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를 더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위는 접지 전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의료 장치.
KR1020097009989A 2006-11-17 2007-09-04 캡슐형 의료 장치 KR101074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12054 2006-11-17
JP2006312054A JP5137385B2 (ja) 2006-11-17 2006-11-17 カプセル型医療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078A true KR20090074078A (ko) 2009-07-03
KR101074932B1 KR101074932B1 (ko) 2011-10-18

Family

ID=39401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989A KR101074932B1 (ko) 2006-11-17 2007-09-04 캡슐형 의료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119692A1 (ko)
EP (1) EP2081480B1 (ko)
JP (1) JP5137385B2 (ko)
KR (1) KR101074932B1 (ko)
WO (1) WO20080596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562B1 (ko) * 2007-12-17 2010-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JP5284846B2 (ja) * 2009-03-30 2013-09-1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生体内観察システム、該生体内観察システムの作動方法
JP2010240104A (ja) * 2009-04-03 2010-10-28 Olympus Corp 体内観察システム、該体内観察システムの駆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6648B2 (en) * 1999-03-01 2014-01-28 West View Research, Llc Endoscopic smart probe
US6564105B2 (en) * 2000-01-21 2003-05-13 Medtronic Minime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between an ambulatory medical device and a control device via telemetry using randomized data
WO2001054753A2 (en) * 2000-01-21 2001-08-02 Medical Research Group, Inc. Microprocessor controlled ambulatory medical apparatus with hand held communication device
US6939292B2 (en) * 2001-06-20 2005-09-06 Olympus Corporation Capsule type endoscope
US20060184039A1 (en) * 2001-07-26 2006-08-17 Dov Avni Apparatus and method for light control in an in-vivo imaging device
US7877134B2 (en) * 2001-08-02 2011-01-25 Given Imaging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in vivo imaging
US7473218B2 (en) * 2002-08-06 2009-01-06 Olympus Corporation Assembling method of capsule medical apparatus
US7195588B2 (en) * 2004-03-01 2007-03-27 Olympus Corporation Endoscope image pick-up apparatus
US20040204630A1 (en) * 2002-12-30 2004-10-14 Zvika Gila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n vivo motion detection
KR100873683B1 (ko) * 2003-01-25 2008-12-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체통신방법, 인체통신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캡슐형 내시경
KR100522132B1 (ko) * 2003-01-25 2005-10-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체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신방법 및 수신장치
US7214182B2 (en) * 2003-04-25 2007-05-08 Olympus Corporation Wireless in-vivo information acquiring system, body-insertable device, and external device
JP4328125B2 (ja) * 2003-04-25 2009-09-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プセル型内視鏡装置およびカプセル型内視鏡システム
JP4451217B2 (ja) * 2004-06-01 2010-04-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プセル型通信システム、カプセル型医療装置及び生体情報受信装置
US20050036059A1 (en) * 2003-08-13 2005-02-17 Benad Goldwasser Ingestible imaging system
JP3993546B2 (ja) * 2003-09-08 2007-10-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被検体内導入装置および無線型被検体内情報取得システム
US20050124875A1 (en) * 2003-10-01 2005-06-09 Olympus Corporation Vivo observation device
US7918786B2 (en) * 2003-11-11 2011-04-05 Olympus Corporation Capsule type medical device system, and capsule type medical device
US8306592B2 (en) * 2003-12-19 2012-11-06 Olympus Corporation Capsule medical device
US8082024B2 (en) * 2004-01-16 2011-12-20 Alfano Robert R Micro-scale compact device for in vivo medical diagnosis combining optical imaging and point fluorescence spectroscopy
US7962098B2 (en) * 2004-09-07 2011-06-14 Olympus Corporation Antenna unit and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4150711B2 (ja) * 2004-11-10 2008-09-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US7541922B2 (en) * 2004-12-03 2009-06-02 Hoya Corporation Operation control method of two dimensional diffusive signal-transmission devices, signa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lothing provided with antenna function
CN101107038A (zh) * 2005-01-18 2008-01-1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电控胶囊
JP4767631B2 (ja) * 2005-09-02 2011-09-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受信装置
JP2007082664A (ja) * 2005-09-21 2007-04-05 Fujifilm Corp カプセル内視鏡
JP4855759B2 (ja) * 2005-10-19 2012-01-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被検体内情報取得システム
US20070100388A1 (en) * 2005-10-31 2007-05-03 Medtronic,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providing adaptive neurostimulation therapy for incontinence
US8187174B2 (en) * 2007-01-22 2012-05-29 Capso Vision, Inc. Detection of when a capsule camera enters into or goes out of a human body and associated oper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37385B2 (ja) 2013-02-06
KR101074932B1 (ko) 2011-10-18
EP2081480A4 (en) 2010-01-20
JP2008125646A (ja) 2008-06-05
EP2081480A1 (en) 2009-07-29
WO2008059651A1 (fr) 2008-05-22
US20080119692A1 (en) 2008-05-22
EP2081480B1 (en) 201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8914B1 (en) Capsule type endoscope
US8221314B2 (en) Capsule type endoscope for sending data in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US8128555B2 (en) In-vivo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KR101003631B1 (ko) 캡슐형 의료 장치
US20060241578A1 (en) Body-insertable apparatus
US8764637B2 (en) Living-body observation system and driving method of the living-body observation system
KR101074932B1 (ko) 캡슐형 의료 장치
JP2010081975A (ja) 撮像システム
JP4150711B2 (ja) 撮像装置
WO2012029491A1 (ja) 体内情報取得装置および体内情報取得方法
WO2006006680A1 (ja) 被検体内導入装置
KR20100060964A (ko) 무선 전원 공급 기능이 구비된 캡슐 내시경 장치
JP4383490B2 (ja) 撮像装置
WO20230036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veraging residue energy of capsule endoscope
KR20070116635A (ko) 간이 화상 표시 장치 및 수신 시스템
KR20150098505A (ko) 캡슐 내시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