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943A -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 Google Patents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3943A
KR20090073943A KR20070142023A KR20070142023A KR20090073943A KR 20090073943 A KR20090073943 A KR 20090073943A KR 20070142023 A KR20070142023 A KR 20070142023A KR 20070142023 A KR20070142023 A KR 20070142023A KR 20090073943 A KR20090073943 A KR 20090073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ide semiconductor
electrode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42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0279B1 (ko
Inventor
김창태
나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피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피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피밸리
Priority to KR20070142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279B1/ko
Publication of KR20090073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27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면과 제2 면을 구비하는 기판; 기판의 제1 면 위에 형성되며, 재결합을 통해 빛을 생성하는 활성층과 기판의 제1 면과 활성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1 3족 질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3족 질화물 반도체층; 홈 위에서 복수개의 3족 질화물 반도체층을 따라 형성되는 개구부; 제1 3족 질화물 반도체층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전극; 개구부를 통해 제1 전극에 도금되는 제2 전극; 그리고, 기판의 제2 면으로부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3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전극, 개구부, 홀, 도금, 재결합, 도전성

Description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III-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자를 관통하는 홀이 구비된 수직형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도금을 이용하는, 이 수직형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전극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는 Al(x)Ga(y)In(1-x-y)N (0≤x≤1, 0≤y≤1, 0≤x+y≤1)로 된 화합물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발광소자를 의미하며, 추가적으로 SiC, SiN, SiCN, CN와 같은 다른 족(group)의 원소들로 물질이나 이들 물질로 된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는 기판(100), 기판(100) 위에 에피성장되는 버퍼층(200), 버퍼층(200) 위에 에피성장되는 n형 질화물 반도체층(300), n형 질화물 반도체층(300) 위에 에피성장되는 활성층(400), 활성층(400) 위에 에피성장되는 p형 질화물 반도체층(500), p형 질화물 반도체층(500) 위에 형성되는 p측 전 극(600), p측 전극(600) 위에 형성되는 p측 본딩 패드(700), p형 질화물 반도체층(500)과 활성층(400)이 메사 식각되어 노출된 n형 질화물 반도체층 위에 형성되는 n측 전극(800), 그리고 보호막(900)을 포함한다.
기판(100)은 동종기판으로 GaN계 기판이 이용되며, 이종기판으로 사피이어 기판, SiC 기판 또는 Si 기판 등이 이용되지만, 질화물 반도체층이 성장될 수 있는 기판이라면 어떠한 형태이어도 좋다. SiC 기판이 사용될 경우에 n측 전극(800)은 SiC 기판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0) 위에 에피성장되는 질화물 반도체층들은 주로 MOCVD(유기금속기상성장법)에 의해 성장된다.
버퍼층(200)은 이종기판(100)과 질화물 반도체 사이의 격자상수 및 열팽창계수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며, 미국특허 제5,122,845호에는 사파이어 기판 위에 380℃에서 800℃의 온도에서 100Å에서 500Å의 두께를 가지는 AlN 버퍼층을 성장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미국특허 제5,290,393호에는 사파이어 기판 위에 200℃에서 900℃의 온도에서 10Å에서 5000Å의 두께를 가지는 Al(x)Ga(1-x)N (0≤x<1) 버퍼층을 성장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국제공개공보 WO/05/053042호에는 600℃에서 990℃의 온도에서 SiC 버퍼층(씨앗층)을 성장시킨 다음 그 위에 In(x)Ga(1-x)N (0<x≤1) 층을 성장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n형 질화물 반도체층(300)은 적어도 n측 전극(800)이 형성된 영역(n형 컨택층)이 불순물로 도핑되며, n형 컨택층은 바람직하게는 GaN로 이루어지고, Si으로 도핑된다. 미국특허 제5,733,796호에는 Si과 다른 소스 물질의 혼합비를 조절함으 로써 원하는 도핑농도로 n형 컨택층을 도핑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활성층(400)은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을 통해 광자(빛)를 생성하는 층으로서, 주로 In(x)Ga(1-x)N (0<x≤1)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양자우물층(single quantum well)이나 복수개의 양자우물층들(multi quantum wells)로 구성된다. 국제공개공보 WO/02/021121호에는 복수개의 양자우물층들과 장벽층들의 일부에만 도핑을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p형 질화물 반도체층(500)은 Mg과 같은 적절한 불순물을 이용해 도핑되며, 활성화(activation) 공정을 거쳐 p형 전도성을 가진다. 미국특허 제5,247,533호에는 전자빔 조사에 의해 p형 질화물 반도체층을 활성화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미국특허 제5,306,662호에는 400℃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annealing)함으로써 p형 질화물 반도체층을 활성화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국제공개공보 WO/05/022655호에는 p형 질화물 반도체층 성장의 질소전구체로서 암모니아와 하이드라진계 소스 물질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활성화 공정없이 p형 질화물 반도체층이 p형 전도성을 가지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p측 전극(600)은 p형 질화물 반도체층(500) 전체로 전류가 잘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며, 미국특허 제5,563,422호에는 p형 질화물 반도체층의 거의 전면에 걸쳐서 형성되며 p형 질화물 반도체층(500)과 오믹접촉하고 Ni과 Au로 이루어진 투광성 전극(light-transmitting electrode)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미국특허 제6,515,306호에는 p형 질화물 반도체층 위에 n형 초격자층을 형성한 다음 그 위에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진 투광성 전극을 형성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p측 전극(600)이 빛을 투과시키지 못하도록, 즉 빛을 기판 측으로 반사하도록 두꺼운 두께를 가지게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술을 플립칩(flip chip) 기술이라 한다. 미국특허 제6,194,743호에는 20n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Ag 층, Ag 층을 덮는 확산 방지층, 그리고 확산 방지층을 덮는 Au와 Al으로 이루어진 본딩 층을 포함하는 전극 구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p측 본딩 패드(700)와 n측 전극(800)은 전류의 공급과 외부로의 와이어 본딩을 위한 것이며, 미국특허 제5,563,422호에는 n측 전극을 Ti과 Al으로 구성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보호막(900)은 이산화규소와 같은 물질로 형성되며, 생략되어도 좋다.
한편, n형 질화물 반도체층(300)이나 p형 질화물 반도체층(500)은 단일의 층이나 복수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레이저 또는 습식 식각을 통해 기판(100)을 질화물 반도체층들로부터 분리하여 수직형 발광소자를 제조하는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경우 기판(100)으로는 사파이어가 주로 사용되어 지는데, 사파이어는 전기가 통하지 않기 때문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극이 수평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활성층(400)에서 발생한 빛의 일부는 외부로 탈출하여 외부양자효율에 영향을 주지만, 많은 양의 빛은 사파이어 기판(100)과 질화물 반도체층 내부에 갇혀 빠져나오지 못하고 열로 소멸된다. 또한 수평방향으로 전류 인가되어 발광소자 내부에 전류밀도의 불균형이 발생하여 소자의 성능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그래서 사파이어 기판(100) 위에 복수개의 질화물 반도체층을 성장한 후 사파이어 기판(100)을 제거하고 수직 방향의 전극 구조를 가지는 고효율의 발광소자를 제작하기 위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파이어 기판(100)을 제거하기 방법으로 레이저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사파이어 기판(100)의 하부에 레이저를 조사하면 사파이어 기판(100)은 레이저 빛을 흡수하지 못하고 그대로 투과시키지만, 질화물 반도체층은 레이저 빛을 흡수하여 삼족 원소와 질소 원소가 분리된다. 주된 3족 원소인 갈륨은 상온에서도 액상을 유지하기 때문에 사파이어 기판(100)과 질화물 반도체층이 분리되는 것이다. 그러나 레이저를 이용한 방법은 레이저 조사시 높은 열이 발생하여 소자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고 또한 사파이어 기판(100)과 질화물 반도체층 사이의 스트레스로 인하여 질화물 반도체층이 깨지기도 한다.
도 2는 본원인이 권리자인 국제공개공보 WO/07/119919에 제시된 수직형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는 홈(110)이 형성된 사파이어 기판(100), 버퍼층(200), n형 질화물 반도체층(300),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빛을 생성하는 활성층(400), p형 질화물 반도체층(500), p측 전극(600), p측 본딩 패드(700)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질화물 반도체층(200,300,400,500)에는 홈(110)을 따라 개구부(9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n측 전극(800a)이 개구부(910)를 통해 n형 질화물 반도체층(30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고, 제2 n측 전극(800b)이 홈(110)을 통해 n형 질화물 반도체층(30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수직형 발광소자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제1 n측 전극(800a)은 생략될 수 있다.
홈(110)에 대응하는 개구부(910)의 형성은 복수개의 질화물 반도체층(200,300,400,500)을 수평방향 성장이 일어나지 않는 조건에서 성장시킴으로써 이루질 수 있다. 예를 들어, n형 질화물 반도체층(300)으로서, 트리메탈갈륨(TMGa), 암모니아(NH3) 및 SiH4을 각각 365sccm, 11slm. 8.5slm로 공급하여, 성장온도 1050℃, 도핑 농도 3x1018/cm3, 압력 300~500torr정도에서, 4㎛ 정도의 GaN층을 성장시킴으로써, 개구부(910)을 형성할 수 있다(이때, 직경 30㎛의 원형 홈(110)이 이용됨).
한편 이러한 발광소자는 홈(110) 및 개구부(910)에 의해 발광소자가 관통되어 있어, 패캐지를 만들 때 발광소자의 하부에 위치해야 하는 에폭시 등의 물질이 발광소자의 상부로 올라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수직형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금을 이용하는 전극 구조를 구비한 수직형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출원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파이어와 같이 절연성 기판을 사용하는 발광소자에 특히 적합하다. SiC와 같은 도전성 기판을 사용하는 발광소자의 경우에, 직접 수직형 발광소자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에 의하면, 두 전극이 일측에 함께 형성되는 발광소자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한편, 기판이 제거되어 형성되는 수직형 발광소자의 문제점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는 홈(91)이 형성된 기판(10), 기판(10) 위에 에피성장되는 버퍼층(20), 버퍼층(20) 위에 에피성장되는 n형 질화물 반도체층(30), n형 질화물 반도체층(30) 위에 성장되며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빛을 생성하는 활성층(40), 활성층(40) 위에 에피성장되는 p형 질화물 반도체층(50), p형 질화물 반도체층(50) 위에 형성되는 투광성 전극인 p측 전극(60), p측 전극(60) 위에 성장되는 p측 본딩 패드(70), 개구부(90)에 의하여 노출된 n형 질화물 반도체층(30) 위에 형성된 제1 n측 전극(81)과 홈(91)을 통하여 n형 질화물 반도체층(3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 n측 전극(82) 및 제1 n측 전극(81)과 제2 n측 전극(82)의 외벽에 형성되는 보조 금속전극(80)을 포함한다.
홈(91)이 형성된 기판(10)의 홈을 형성하는 방법은 355nm 파장 영역의 레이저를 이용하며, 레이저의 초점이 잡힌 상태에서 수 ㎛에서 수백 ㎛ 사이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 타원형 또는 여러 형태의 다각형 모양의 홈(9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홈(91)의 깊이는 레이저의 에너지 등에 의해서 수 ㎛에서 수백 ㎛까지 홈(91)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홈(91)은 기판(10)을 관통하여 형성하여도 된다.
홈(91)의 형성을 위해 사용한 레이저는 활성 매체가 네오드뮴이 포함된 이트리아계 산화물이며, 레이저의 파장은 532nm의 DPSS(Diod Pumped Solid State) 레이저를 사용하였다. 이때, 레이저의 출력은 10W(10~100KHz)이며, 드릴링 속도는 20~50 holes/sec이었다.
버퍼층(20) 위에 에피성장되는 n형 질화물 반도체층(30),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빛을 생성하는 활성층(40), p형 질화물 반도체층(50)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3족 질화물 반도체층은 성장조건 즉 성장 온도, 성장 속도 및 성장 압력 등을 조절하여 수평방향 성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성장한다. 상기와 같이 수평방향 성장이 일어나지 않는 성장 조건에서 성장된 복수개의 질화물 반도체층은 기판에 형성된 홈(91)으로부터 시작되는 개구부(90)가 형성된다. 한편, 홈(91)을 덮도록 복수개의 3족 질화물 반도체층을 성장시킨 다음, 식각을 통해 개구부(90)를 형성할 수도 있다.
p형 질화물 반도체층(50) 위에 p측 전극(60)을 형성한 후 n형 질화물 반도체층(30)을 노출시키는 공정을 수행한다. n형 질화물 반도체층(30)을 노출시키는 방법은 건식식각 및/또는 습식식각법을 이용한다. 이때 n형 질화물 반도체층(30)이 노출되는 표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서 하나의 스텝(step)을 가지는 형태로 식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측 전극(60)을 형성한 후 p형 질화물 반도체층(50)과 p측 전극(60) 위에 p측 본딩 패드(70)를 형성하며 이 과정에서 개구부(90)의 노출된 n형 질화물 반도체층(30)에 제1 n측 전극(81)을 동시에 형성한다. 제1 n측 전극(81)은 n형 질화물 반도체층(30)에 대한 전류 공급을 위한 전극 접촉 면적을 확대하는 역할을 한다.
p측 본딩 패드(60)와 제1 n측 전극(81)을 형성한 후 기판(10)의 후면을 연마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기판(10)의 연마는 적어도 홈(91)이 형성된 곳까지 연마하여 기판(10)의 제1 면으로부터 형성된 홈(91)이 노출되도록 한다. 기판(10)의 후면을 연마하는 공정을 수행한 후 제2 n측 전극(82)을 형성한다. 제2 n측 전극(82)은 형성된 홈(91)을 통하여 n형 질화물 반도체층(30)의 아래에 형성되며, 제1 n측 전극(81)과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n측 전극(82)은 기판(10)의 후면 전체에 형성되어 반사막으로 기능한다.
전기도금법(plating)은 도금할 물체를 (-)극에 연결하고, 도금재료를 (+)극에 연결한다. 이때 도금재료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등 전기 전도성이 좋은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을 이용한다. 전기 전도성이 좋은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에 전류를 흘려주면 (-)극에서는 환원 반응이 일어나고, (+)극에서는 산화 반응이 발생한다. 이때 (-)극에 연결된 도금할 물체에 환원 반응으로 인하여 용액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 이온이 보조 금속전극(80)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구리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을 이용하여 보조 금속전극(80)을 형성하였다. 전기도금 공정의 조건은 홈 내부에 도금이 잘되게 하기 위하여 웨이퍼(wafer)와 도금재료를 수평이 되도록 위치시켰다. 또한 용기 내부에 마그네틱 바를 이용하여 난류를 발생시켜 도금이 균일하게 되도록 하였다. 이를 도 4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보조 금속전극(80)을 형성함에 있어서 보조 금속전극(80)의 막질을 좋게 하기 위하여 도금 공정에서 인가되는 전류는 최대한 저전류를 인가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150mA의 전류를 인가하였으며 이때, 보조 금속전극(80)은 분당 약 1700Å의 보조 금속전극(80)이 형성되었다.
보조 금속전극(80)을 형성함으로써, 제1 n측 전극(81)의 얇은 두께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류의 몰림 현상에 따른 열적 문제 및 전기적 접촉 특성을 비교적 쉬운 전기도금법을 통하여 개선할 수 있으며 소자의 신뢰성을 높을 수 있다. 또한, 제2 n측 전극(82)을 형성한 후 전기도금법을 이용하여 보조 금속전극(80)을 형성함으로써, 제1 n측 전극(81)과 제2 n측 전극(82)이 원활히 접촉되어 전기적 특성이 개선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는 홈(91) 내에 패키지 시에 발광소자 하부에 놓이는 에폭시 등의 물질이 발광소자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금된 보호막(83)을 구비한다. 이러한 보호막(83)은 도 3의 보조 금속전극(80)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형성된다. 보호막(83)의 형성은 홈 위에 걸친 질화물 반도체층에서, 도금 시간이 지나면서 위보다는 옆으로의 전해질액 몰림으로 인해 옆으로 도 금되는 확률이 증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금(plating) 방법은 양극에 백금 혹은 함인동(P: 0.04~0.06%) 금속을 사용하고, 도금하고자 하는 웨이퍼를 음극으로 하여 진행한다. 이때 사용하는 전해질액은 황산 기반의 액을 사용하는데 시중에서 사용하는 도금액을 사용하거나 직접 제조도 가능하다. 도금시 온도는 25℃를 유지하였으며, 일반적으로 30℃를 넘는 경우 도금 표면이 거칠어지는 경향이 있다. 전류 밀도는 1~4A/dm2이 되도록 조절한다. 1A/dm2 보다 낮은 경우 도금 속도가 저하되고, 도금 균일도가 나빠질 문제점이 있으며, 4A/dm2 보다 높을 경우 도금 속도는 증가하나 표면이 거칠어지고, 부착성 등이 나빠진다. 도금 두께에 따라 증착되는 도금 금속의 양은 (부피x밀도)로 계산되어지며, 이를 위해 도금 횟수에 따라 전해질액을 보충하는 방법 등을 통해 도금의 균일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호막(83)은 기존 금속과 접착성 및 전기 전도성이 좋은 금, 은, 구리 등의 물질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선택된다. 보호막(83)의 두께는 바람직하기로는 1~15um가 좋다. (보호막(83) 즉, 보조 금속전극(80))의 두께가 너무 얇은 경우 전극 단위 면적당 전류의 값이 낮아서 컨택 특성 등의 효과가 개선되지 않으며, 너무 두꺼운 경우에는 칩의 절단과 같은 발광소자 격리에서 도금 금속의 박리와 같은 기계적 결함이 나타난다. 본 발명에서는 전해질의 온도가 24℃ 근처에서 2inch 웨이퍼에 2A/dm2의 전류를 공급하여 분당 약 0.2um의 속도로 두께 10~14um 정도가 되도록 시간을 조절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발광소자와 달리, 제2 n측 전극(82)의 형성에 앞서, 도금을 통해 형성되며, 홈(91)을 메우는 보조 금속전극(80)과, 도금 후에 형성되는 제2 n측 전극(82)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발광소자의 하면에 제2 n측 전극(82) 만이 위치하므로, 기판에 더해지는 전극 두께가 감소되어 단위 발광소자로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보조 금속전극(80)은 도 5에서의 보호막(83)의 기능을 가짐은 물론이며, 마찬가지의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보호막(83)이 개구부(90)를 통해 제1 n측 전극(81)을 씨앗으로 하여, 도금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보호막(83)이 홈(91)의 적어도 일부를 메울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스퍼트링법, E-빔 증착법 등에 의해 형성되는 제2 n측 전극(82)의 홈(91)의 모두를 메움으로써 두께가 지나치게 두껍게 되어 개별 소자로의 분리 공정에서 문제가 되는 점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막(83)이 도 3에서와 같이 제1 n측 전극(81)과 제2 n측 전극(82)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가짐은 물론이다.
보호막(83)은 p측 본딩 패드(70)와 제1 n측 전극(70)을 형성한 다음, SiO2 또는 포토지스터를 이용하여, 제1 n측 전극(70)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하고, 도금 방지막을 형성한 다음, 도금을 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사파이어 기 판(10)을 연마하여 홈(91)을 노출시키고, 제2 n측 전극(82)을 형성함으로써 소자가 완성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라 실제 구현된 보호막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보호막(83)이 홈(91)을 막고 있으며, 개구부(90)를 넘어 위쪽에까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n측 전극(70)을 제외한 영역에는 도금 방지막을 형성하고, 보호막(83)을 형성하였으므로, 보호막(83)은 제1 n측 전극(70) 이외의 소자 영역과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도 1은 종래의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원인이 권리자인 수직형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한국 특허출원 제2006-35149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금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라 실제 구현된 보호막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Claims (5)

  1.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면과 제2 면을 구비하는 기판;
    기판의 제1 면 위에 형성되며, 재결합을 통해 빛을 생성하는 활성층과 기판의 제1 면과 활성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1 3족 질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3족 질화물 반도체층;
    홈 위에서 복수개의 3족 질화물 반도체층을 따라 형성되는 개구부;
    제1 3족 질화물 반도체층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전극;
    개구부를 통해 제1 전극에 도금되는 제2 전극; 그리고,
    기판의 제2 면으로부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3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기판은 사파이어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제3 전극은 반사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전극이 홈의 적어도 일부를 메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족 질화물 반도 체 발광소자.
  5. 청구항 3에 있어서,
    제2 전극이 홈의 적어도 일부를 메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KR20070142023A 2007-12-31 2007-12-31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KR100960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42023A KR100960279B1 (ko) 2007-12-31 2007-12-31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42023A KR100960279B1 (ko) 2007-12-31 2007-12-31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943A true KR20090073943A (ko) 2009-07-03
KR100960279B1 KR100960279B1 (ko) 2010-06-04

Family

ID=41331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42023A KR100960279B1 (ko) 2007-12-31 2007-12-31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2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0703A2 (ko) * 2009-09-30 2011-04-07 주식회사 세미콘라이트 반도체 발광소자
KR101124470B1 (ko) * 2009-12-31 2012-03-16 주식회사 세미콘라이트 반도체 발광소자
KR101124474B1 (ko) * 2009-12-31 2012-03-16 주식회사 세미콘라이트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KR101147715B1 (ko) * 2009-09-30 2012-05-23 주식회사 세미콘라이트 반도체 발광소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0703A2 (ko) * 2009-09-30 2011-04-07 주식회사 세미콘라이트 반도체 발광소자
WO2011040703A3 (ko) * 2009-09-30 2011-05-26 주식회사 세미콘라이트 반도체 발광소자
KR101147715B1 (ko) * 2009-09-30 2012-05-23 주식회사 세미콘라이트 반도체 발광소자
US8431939B2 (en) 2009-09-30 2013-04-30 Semicon Light Co., Ltd.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KR101124470B1 (ko) * 2009-12-31 2012-03-16 주식회사 세미콘라이트 반도체 발광소자
KR101124474B1 (ko) * 2009-12-31 2012-03-16 주식회사 세미콘라이트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279B1 (ko) 201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275B1 (ko)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JP5286045B2 (ja) 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US8614449B1 (en) Protection for the epitaxial structure of metal devices
US20080315240A1 (en) III-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N101667615B (zh) 形成发光二极管装置的方法
US20050179045A1 (en)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 having improved ohmic contact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2009532895A (ja) Iii族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KR100960279B1 (ko)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CN101390225B (zh) Ⅲ族氮化物半导体发光器件
KR20110138839A (ko) 수직구조 발광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96447B1 (ko)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KR101032987B1 (ko) 반도체 발광소자
US20090020771A1 (en) III-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88037B1 (ko)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KR20090045156A (ko)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KR101124470B1 (ko) 반도체 발광소자
JP5207944B2 (ja) 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100743468B1 (ko)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CN101375416B (zh) Iii族氮化物半导体发光器件及其制造方法
KR101084641B1 (ko)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KR101004711B1 (ko)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47715B1 (ko) 반도체 발광소자
CN116093233A (zh) 高可靠性薄膜倒装Micro-LED显示芯片及其制备方法
KR101124474B1 (ko)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KR100983831B1 (ko) Ⅲ-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