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766A - 유모차덮개 - Google Patents

유모차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3766A
KR20090073766A KR1020070141811A KR20070141811A KR20090073766A KR 20090073766 A KR20090073766 A KR 20090073766A KR 1020070141811 A KR1020070141811 A KR 1020070141811A KR 20070141811 A KR20070141811 A KR 20070141811A KR 20090073766 A KR20090073766 A KR 20090073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carriage
stroller
cover
present
sh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식
Original Assignee
김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식 filed Critical 김성식
Priority to KR1020070141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3766A/ko
Publication of KR20090073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7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2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by flexible canopies, covers or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2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length or wid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덮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모차의 상부에 형성된 차양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창걸이부를 형성하여 유모차덮개의 상면부가 유모차의 차양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양한 조절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유모차에도 사용가능한 유모차덮개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덮개, 창걸이부, 날개부, 상부조절부재, 길이조절부재

Description

유모차덮개{Cover for a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유모차덮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모차의 상부에 형성된 차양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창걸이부를 형성하여 유모차덮개의 상면부가 유모차의 차양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양한 조절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유모차에도 사용가능한 유모차덮개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유아를 태우고 유아와 함께 외출하기 위한 유모차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산업화에 따른 자동차의 매연, 황사 또는 각종 오염물질에 유모차를 탄 유아가 노출되어 호흡기 질환 및 폐기능 약화로 여러 가지 질병이 발병하기 쉽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아를 외부의 오염물질을 차단할 수 있고, 꽃가루 등의 알레르기 물질, 도로먼지, 벌레뿐만 아니라 외부의 찬 공기도 차단할 수 있도록 유모차덮개를 유모차에 설치하여 유아를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유모차의 크기는 정형화되어 있어 유모차덮개를 유모차의 크기에 맞추어 제조하므로 하나의 유모차덮개로 크기가 다른 유모차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유모차덮개는 유아를 살피기 위하여 정면부를 유모차의 상단으 로 넘길 때 유모차덮개가 벗겨져 미관이 손상되고 덮개의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의 유모차는 핸들부가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어, 핸들부와 대응되게 유모차덮개의 후면을 형성하여 유모차의 후방을 외부의 오염물질 등으로부터 차단하도록 형성하므로 종래의 유모차덮개는 다양하게 형성된 유모차의 핸들부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모차덮개의 상면부의 전방 일단에서 하향 연장되어 유모차의 상부에 형성된 차양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창걸이부를 형성하여 정면부 또는 투시부를 유모차의 상부로 넘길 때 창걸이부가 차양부에 걸려서 유모차덮개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유모차덮개가 유모차의 상부로 벗겨지지 않으므로 이용자가 정면개폐수단 또는 투시개폐수단을 이용하여 정면부 또는 투시부를 유모차덮개에 용이하게 다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유모차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걸이부의 일단에 주름부를 형성한 폭조절부재를 형성하여 유모차의 차양부의 폭이 다양한 유모차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모차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면부와 측면부의 사이에 상부조절부재를 형성하여 차양부의 길이가 다양한 유모차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모차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면부의 후방으로만 연장된 후면부를 형성하여 핸들의 형상이 다양한 유모차에 적용할 수 있는 유모차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면부를 감쌀 수 있도록 측면부의 후방으로 연장된 날개부를 형성하여 유모차덮개를 견실하게 유모차에 고정할 수 있고 오염물질, 냉 기 등으로부터 유모차의 후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유모차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날개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 길이조절부재를 형성하여 유모차의 상부 크기가 다양한 유모차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모차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면부에서 투시부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투시개폐수단을 형성하여 유모차덮개의 정면부 전체 또는 유모차덮개 자체를 유모차로부터 이탈시키지 않아도 유아의 상태를 살필 수 있도록 하는 유모차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모차덮개의 하부에 보낭부를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유모차의 하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유모차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모차 덮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덮개는, 유모차의 상부를 덮기 위한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양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유모차의 양측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면부는, 상기 상면부의 전방 일단에서 하향 연장되어 유모차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창걸이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상면부가 유모차의 차양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창걸이부는, 차양부의 폭이 다양한 유모차에 적용할 수 있도록 폭조절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유모차덮개는, 차양부의 측면길이가 다양한 유모차에 적용할 수 있도록 차양부의 측면 길이에 맞추어 조절가능한 상부조절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측면부는, 유모차의 후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측면부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날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날개부는, 유모차의 상부 크기가 다양한 유모차에 적용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유모차덮개는, 상기 상면부의 후방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유모차의 후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후면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후면부는, 핸들의 형상이 다양한 유모차에 적용할 수 있도록 상기 상면부의 후방으로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유모차덮개는, 상기 상면부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유모차의 전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정면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정면부는, 상부에 투시할 수 있도록 형성된 투시부와, 상기 투시부를 상기 정면부에서 탈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투시부의 외주에 형성된 투시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유모차덮개는, 유모차의 하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부에 형성된 보낭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보낭부는, 상기 보낭부의 후면에서 연장되어 유모차의 좌석부에 안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좌석시트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보낭부가 견고하게 유모차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 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유모차덮개의 상면부의 전방 일단에서 하향 연장되어 유모차의 상부에 형성된 차양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창걸이부를 형성하여 정면부 또는 투시부를 유모차의 상부로 넘길 때 창걸이부가 차양부에 걸려서 유모차덮개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유모차덮개가 유모차의 상부로 벗겨지지 않으므로 이용자가 정면개폐수단 또는 투시개폐수단을 이용하여 정면부 또는 투시부를 유모차덮개에 용이하게 다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 한다.
본 발명은, 창걸이부의 일단에 주름부를 형성한 폭조절부재를 형성하여 유모차의 차양부의 폭이 다양한 유모차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면부와 측면부의 사이에 상부조절부재를 형성하여 차양부의 길이가 다양한 유모차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면부의 후방으로만 연장된 후면부를 형성하여 핸들의 형상이 다양한 유모차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후면부를 감쌀 수 있도록 측면부의 후방으로 연장된 날개부를 형성하여 유모차덮개를 견실하게 유모차에 고정할 수 있고 오염물질로부터 유모차의 후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날개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 길이조절부재를 형성하여 유모차의 상부 크기가 다양한 유모차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정면부에서 투시부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투시개폐수단을 형성하여 유모차덮개의 정면부 전체 또는 유모차덮개 자체를 유모차로부터 이탈시키지 않아도 유아의 상태를 살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모차덮개의 하부에 보낭부를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유모차의 하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덮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덮개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유모차덮개가 사용되는 종래의 유모차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유모차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모차(1)는 유아가 앉을 수 있는 좌석부(15), 좌석부의 일단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유아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14), 유모차(1)의 상부에 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차양부(13), 전체 유모차(1)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1), 유모차(1)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바퀴부(16), 유모차를 파지하여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핸들부(12)와 유아의 안전을 위한 안전벨트부(17)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벨트부(17)는 상기 등받이부(14)의 상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유아의 몸체 상부를 보호하도록 형성된 어깨벨트(171), 상기 등받이부(14)의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유아의 허리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허리벨트(172)와 상기 좌석부(15)의 일측의 중앙 부분에 유아의 가랑이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가랑이벨트(173)로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유모차(1)에 포함된 구성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사실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덮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덮개(100)는 상면부(2), 후면부(3), 측면부(4), 정면부(5)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덮개(100)에 포함된 구성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이상 주름을 형성할 수 있고 주름이 형성된 후에도 상기 유모차덮개(100)를 폭과 크기가 다양한 유모차(1)에 씌울 때 미관을 손상 시키거나 상기 유모차덮개(100)가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직물 또는 천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면부(2)는 유모차(1)의 상부를 덮기 위한 것으로 일정형상,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양부(13)를 덮을 수 있는 장방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상면부(2)는 창걸이부(21)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창걸이부(21)는 상기 상면부(2)의 전방 일단에서 하향으로 일정 폭, 바람직하게는 상기 창걸이부(21)가 상기 차양부(13)의 일단에 걸쳐 지지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창걸이부(21)가 상기 차양부(1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면부(2)의 후방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면부(2)의 전방 일단에서 장방향으로 일정길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양부(13)의 장방향 길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한편, 상기 창걸이부(21)의 일단은 상기 상면부(2)의 일단과 연결부재(도면 미도시), 바람직하게는 실 등과 같은 박음부재에 의한 박음질에 의하여 결합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창걸이부(21)가 차양부(13)에 걸려서 유모차덮개(100)의 상면부(2)가 유모차(1)의 차양부(1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유아의 상태를 살피기 위하여 하기에 설명할 정면부(5) 또는 투시부(51)를 유모차덮개(100)의 상부로 넘길 때 유모차덮개(100)가 벗겨져 미관을 헤치는 것을 방지하고 유모차덮개(100)가 유모차(1)의 상부로 벗겨지지 않으므로 이용자가 하기에 설명할 정면개폐수단(53) 또는 투시개폐수단(52)을 이용하여 하기에 설명할 정면부 또는 투시부(51)를 유모차덮개(100)에 용이하게 다시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채용된 창걸이부(21)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창걸이부(21)는 폭조절부재(2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폭조절부재(22)는 상기 창걸이부(21)의 하단에 장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폭조절부재(22)는 탄성력이 있는 부재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고무줄을 상기 창걸이부(21)의 하단에 넣고 박음질하여 주름이 형성되도록 하여 유모차(1)의 차양부(13)의 폭, 즉 차양부(13)의 전단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폭이 다양한 유모차(1)에 적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창걸이부(21)는 직물 또는 천 등으로 형성되므로 하단에 주름이 형성되도록 상기 폭조절부재(22)를 넣고 박음질을 하고, 주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양부(13)의 폭이 큰 경우에 상기 유모차덮개(100)를 적용시키더라도 미관을 손상시키거나 상기 창걸이부(2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폭조절부재(22)가 상기 창걸이부(21)의 상단에 형성되거나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후면부(3)는 상기 상면부(2)의 후방으로부터 일정길이, 바람직하게는 유모차(1)의 후방을 오염물질로부터 차단할 수 있는 길이의 장방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고, 나아가, 상기 후면부(3)는 하기에 설명할 측면부(4)와 연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되지 않고 상기 상면부(2)의 후단의 후방으로만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유모차(1)의 핸들부(12)가 지지프레임(11)의 일단에서 장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프레임(11)의 타단으로 연결되는 일체형의 바(bar)형태로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형성되더라도 후면부(3)를 바(bar)밑으로 삽입할 수 있으므로 핸들부(12)의 형상이 다양한 유모차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면부(3)로 유모차(1)의 후방을 감싸고 상기 후면부(3)를 하기에 설명할 날개부(41)에 의하여 감쌀 수 있게 되므로 유모차(1)의 후방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2의 B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덮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덮개의 배면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측면부(4)는 상기 상면부(2)의 양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유모차(1)의 양측을 차단할 수 있도록 일정형상, 바람직하게는 장방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부(4)는 상부조절부재(4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조절부재(42)는 상기 측면부(4)의 상단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면부(2)의 측단과 상기 측면부(4)의 상단이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한편, 상기 상부조절부재(42)는 탄성력이 있는 부재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고무줄을 상기 상면부(2)의 측단과 상기 측면부(4)의 상단이 결합되는 부분에 넣고 박음질하여 주름이 형성되도록 하여 차양부(13)의 길이, 즉 차양부(13)의 측단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길이가 다양한 유모차(1)에 적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상면부(2)와 상기 측면부(4) 직물 또는 천 등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상면부(2)의 측단과 상기 측면부(4)의 상단이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상부조절부재(42)를 넣고 박음질을 하여 주름을 형성시킬 수 있고, 주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양부(13)의 길이가 큰 경우에 상기 유모차덮개(100)를 적용시키더라도 미관을 손상시키거나 상기 유모차덮개(1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상부조절부재(42)가 상기 측면부(4)의 하단에 형성되거나 상기 측면부(4)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부(4)는 날개부(4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41)는 상기 측면부(4)의 후방으로 상기 유모차덮개(100)를 견실하게 유모차(1)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날개부(41)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날개부(41)의 후단의 형상이 상기 날개부(41)의 하단에서 상부의 일정 위치까지 내향 경사지고, 상기 날개부(41)의 상부의 일정 위치에서 상기 날개부(41)의 상단으로 직선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41)의 상부가 상기 후면부(3)를 감싸고 상기 측면부(4)로부터 연장된 양 날개부(41)가 하기에 설명할 부착수단(411)에 의하여 상호 적층되도록 결합되어 유모차덮개(100)를 견실하게 유모차에 고정할 수 있고 오염물질, 냉기 등으로부터 유모차(1)의 후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날개부(41)는 부착수단(411)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부착수단(411)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벨크로테이프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의 두개의 날개부(41) 중에 하나의 날개부(41)에 암벨크로테이프(411a, 411b)를 일정거리 이격되게 부착하고, 다른 하나의 날개부(41)의 일단에 수벨크로테이프(411c)를 형성하여 유모차(1)의 크기에 대응되는 암벨크로테이프(411a, 411b)에 수벨크로테이프(411c)를 부착하여 양 날개부(41)를 고정할 수 있게 되어 크기가 다양한 유모차(1)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41)는 길이조절부재(41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날개부(41)의 상단 또는 하단에 장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각각 길이조절부재(412a, 412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길이조절부재(412)는 탄성력이 있는 부재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고무줄을 상기 날개부(41)의 상단 또는 하단에 넣고 박음질하여 주름이 형성되도록 하여 유모차(1)의 상부 크기, 즉 차양부(13)의 전단부터 핸들부(12)의 후단까지의 길이와 유모차의 후면의 폭이 다양한 유모차(1)에 적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날개부(41)는 직물 또는 천 등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날개부(41)의 상단 또는 하단에 주름이 형성되도록 각각 상기 길이조절부재(412a, 412b)를 넣고 박음질을 하고, 주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모차의 상부 크기가 큰 유모차에 상기 유모차덮개(100)를 적용시키더라도 미관을 손상시키거나 상기 유모차덮개(1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길이조절부재(412)가 상기 날개부(41)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면부(5)는 상기 상면부(2)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유모차(1)의 전방을 외부의 오염물질 등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투시부(51)와 정면개폐수단(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시부(51)는 상기 정면부(5)의 상부의 일정위치, 바람직하게는 유아가 앉아서 밖을 볼 수 있는 높이에 투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재질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시부(51)의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사실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정면개폐수단(53)은 상기 정면부(5)를 상기 유모차덮개(100)에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정면부(5)의 외주에 다양한 부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지퍼를 이용하여 상기 정면부(5)의 상단의 일측에서 상기 정면부(5)의 하단을 거쳐 상기 정면부(5)의 상단의 타측까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정면부(5)를 상기 유모차덮개(100)의 상부로 올릴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정면개폐수단(53)이 상기 정면부(5)의 측단의 일측에서부터 상기 정면부(5)의 상단을 거쳐 상기 정면부(5)의 측단의 타측까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정면부(5)를 하부로 내릴 수 있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정면개폐수단(53)이 상기 정면부(5)의 외주를 둘러싸서 형성되어 상기 정면부(5)를 상기 유모차덮개(100)에서 이탈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모차덮개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정면개폐수단(53)은 도 10을 참조하면, 투시개폐수단(5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개폐수단(52)은 상기 투시부(51)의 외주에 상기 투시부(51)만을 상기 정면부(5)에서 개폐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부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지퍼를 이용하여 상기 투시부(51)의 상단의 일측에서부터 상기 투시부(51)의 하단을 거쳐 상기 투시부(51)의 상단의 타측까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투시개폐수단(52)에 의하여 상기 투시 부(51)를 상기 유모차덮개(100)의 상부로 올릴 수 있으므로 유모차덮개(100)의 정면부(5) 전체 또는 유모차덮개(100) 자체를 유모차(1)로부터 이탈시키지 않아도 유아의 상태를 살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투시개폐수단(52)이 상기 투시부(51)의 측단의 일측에서부터 상기 투시부(51)의 상단을 거쳐 상기 투시부(51)의 측단의 타측까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투시부(51)를 상기 정면부(5)의 하부로 내릴 수 있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투시개폐수단(52)이 상기 투시부(51)의 외주를 둘러싸서 형성되어 상기 투시부(51)를 상기 정면부(5)에서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투시개폐수단(52)이 상기 정면개폐수단(53)에서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투시부(51)의 외주에 추가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덮개의 배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유모차덮개(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낭부(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낭부(6)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모차덮개(100)의 하부에 주머니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며, 유모차(1)의 하방을 외부의 오염물질, 냉기 등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고, 상기 보낭부(6)는 좌석시트부(6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석시트부(61)는 상기 보낭부(6)의 후면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유모차(1)에 형성된 좌석부(15)에 안치될 수 있도록 상기 좌석부(15)의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보낭부(6)의 후면에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기 좌석시트부(61)에 의하여 유아가 상기 좌석시트 부(61)의 상면에 앉아 유아의 다리가 보낭부(6)에 놓이게 되므로 유모차(1)의 하방을 상기 좌석시트부(61)와 상기 보낭부(6)에 의하여 외부의 오염물질 또는 냉기 등으로 부터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좌석시트부(61)가 상기 보낭부(6)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므로 상기 보낭부(6)가 견고하게 유모차(1)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좌석시트부(61)는 도 8을 참조하면 지지공(611)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공(611)은 상기 좌석시트부(61)의 일정위치,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모차(1)에 형성된 상기 가랑이벨트(173)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좌석시트부(61)의 하부의 중앙에 천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지지공(611)에 유모차(1)의 가랑이벨트(173)가 관통되어 상기 좌석시트부(61)를 견실하게 잡아주고, 상기 좌석시트부(61)가 상기 보낭부(6)의 후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보낭부(61)도 견고하게 유모차(1)에 부착되며, 유모차(1)의 하방에서 유입되는 도로먼지, 황사, 비바람, 냉기, 풀벌레 등을 보다 지속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유모차덮개의 상면부(2), 후면부(3), 측면부(4) 등이 망사형태로 형성되어 여름철에 통풍이 되면서 모기 등의 벌레를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덮개의 사용상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덮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덮개(10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유모차덮개(100)의 창걸이부(21)와 상면부(2)의 사이에 유모차(1)의 차양부(13)를 끼우고 유모차덮개(100)의 상면부(2)와 후면부(3)를 유모차(1)에 씌운 후에 유모차덮개(100)의 양 날개부(41)를 유모차(1)의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유모차(1)의 차양부(13)의 폭과 길이에 대응하여 폭조절부재(22)와 상부조절부재(42)가 조절되어 유모차덮개(100)가 차양부(13)에 씌워지고, 나아가 날개부(41)에 형성된 길이조절부재(412)에 의하여 유모차의 크기와 높이에 대응하여 유모차덮개(100)가 유모차(1)에 씌워진 후에 날개부(41)에 형성된 수벨크로테이프(411c)를 유모차(1)의 크기에 대응되는 암벨크로테이프(411a, 411b)에 부착하여 양 날개부(41)를 고정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덮개(100)를 크기가 다양한 유모차(1)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아의 상태를 살펴보기 위하여 정면부(5) 또는 투시부(51)를 유모차(1)의 상부로 넘길 때 유모차(1)의 차양부(13)가 유모차덮개(100)의 창걸이부(21)와 상면부(2)의 사이에 끼워지게 되므로 유모차덮개(100)가 유모차(1)의 상부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모차덮개(100)가 유모차(1)의 상부로 벗겨지지 않으므로 이용자가 다시 정면개폐수단(53) 또는 투시개폐수단(52)을 이용하여 정면부(5) 또는 투시부(51)를 유모차덮개(100)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유모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덮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채용된 창걸이부의 확대도
도 5는 도 2의 B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덮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덮개의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덮개의 배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덮개의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투시부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모차 2: 상면부 3: 후면부 4: 측면부 5: 정면부 6: 보낭부
21: 창걸이부 22: 폭조절부재 41: 날개부 42: 상부조절부재
51: 투시부 52: 투시개폐수단 412: 길이조절부재

Claims (9)

  1. 유모차의 상부를 덮기 위한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양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유모차의 양측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면부는, 상기 상면부의 전방 일단에서 하향 연장되어 유모차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창걸이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상면부가 유모차의 차양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덮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걸이부는,
    차양부의 폭이 다양한 유모차에 적용할 수 있도록 폭조절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덮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덮개는,
    차양부의 측면길이가 다양한 유모차에 적용할 수 있도록 차양부의 측면 길이에 맞추어 조절가능한 상부조절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덮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유모차의 후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측면부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날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덮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유모차의 상부 크기가 다양한 유모차에 적용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덮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덮개는,
    상기 상면부의 후방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유모차의 후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후면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후면부는, 핸들부의 형상이 다양한 유모차에 적용할 수 있도록 상기 상면부의 후방으로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덮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덮개는,
    상기 상면부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유모차의 전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정면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정면부는, 상부에 투시할 수 있도록 형성된 투시부와, 상기 투시부를 상기 정면부에서 탈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투시부의 외주에 형성된 투시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덮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덮개는,
    유모차의 하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부에 형성된 보낭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덮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낭부는,
    상기 보낭부의 후면에서 연장되어 유모차의 좌석부에 안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좌석시트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보낭부가 견고하게 유모차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덮개.
KR1020070141811A 2007-12-31 2007-12-31 유모차덮개 KR20090073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811A KR20090073766A (ko) 2007-12-31 2007-12-31 유모차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811A KR20090073766A (ko) 2007-12-31 2007-12-31 유모차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766A true KR20090073766A (ko) 2009-07-03

Family

ID=41330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811A KR20090073766A (ko) 2007-12-31 2007-12-31 유모차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37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303B1 (ko) 2022-12-28 2023-06-23 주식회사 더가넷 항균 필름을 이용한 북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303B1 (ko) 2022-12-28 2023-06-23 주식회사 더가넷 항균 필름을 이용한 북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3228B1 (en) Infant seat cover
JP4673441B1 (ja) 自転車チャイルドシート用カバー
US6908148B2 (en) Sun shelter for child car seat
US20140021751A1 (en) Shade for child carrier
US20150183352A1 (en) Protective cover for child carrying device
EP0957730A1 (en) Protective cover for baby seats
US20180228301A1 (en) Multipurpose cover for shielding a child from environmental elements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50196126A1 (en) Attachable child blanket and nursing cover
US20140317844A1 (en) Multipurpose attachable protective blanket
JP2015009725A (ja) 座席シートカバー
US20100038939A1 (en) Infant carrier seat cover
US11891105B2 (en) Cover member for a child protection system
KR20090013053U (ko) 차양막부가 설치된 유모차 커버
KR20090073766A (ko) 유모차덮개
JP5767742B1 (ja) 自転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カバー
KR100953983B1 (ko) 유모차덮개
KR20090073768A (ko) 유모차덮개
KR20140032115A (ko) 유모차 커버
KR20090073769A (ko) 유모차덮개
JP3304058B2 (ja) 覆いとその製造方法
KR20090073767A (ko) 유모차덮개
JP3087800U (ja) 乳母車用カバー
JP2009262595A (ja) ベビーカー用補助カバー
JP2004291930A (ja) 乳母車用幌体
US20230278616A1 (en) Child prot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