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011A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3011A
KR20090073011A KR1020080133855A KR20080133855A KR20090073011A KR 20090073011 A KR20090073011 A KR 20090073011A KR 1020080133855 A KR1020080133855 A KR 1020080133855A KR 20080133855 A KR20080133855 A KR 20080133855A KR 20090073011 A KR20090073011 A KR 20090073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reception
group
transmission forma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쯔히사 오부찌
요시히로 가와사끼
요시하루 다지마
요시아끼 오따
요시노리 다나까
가쯔마사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3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Abstract

본 발명은, 효율 좋게 수신 처리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송신 형식 중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송신 형식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형식에 따라서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무선 통신 장치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무선 통신 장치는, 적용하는 송신 형식의 경향의 변화를 제2 무선 통신 장치에 통지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와, 생성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를 구비하고, 제2 무선 통신 장치는, 그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 처리를 시도하는 수신 형식의 후보를 절환하는 수신 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다.
Figure P1020080133855
무선 통신 장치, 송신 제어 장치, 무선 송신 장치, 무선 수신 장치, 데이터 생성 장치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어떤 송신 형식이 적용되었는지의 통지를 받지 않은 경우에, 상정되는 복수의 수신 처리 형식에 대해서 수신 처리를 시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를 송신할 때마다 송신 형식을 지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기술에서, 도입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기술을 들 수 있다.
HSDPA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의 일례로서의 기지국은, 패킷 데이터를 HS-PDSCH(High Speed-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서 송신할 때마다, 패킷 데이터의 송신에 선행하여, 무선 통신 장치의 일례로서의 이동국에 제어 채널(HS-SCCH : High Speed-Shared Control Channel)을 통하여 송신 형식을 반드시 통지한다.
송신 형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선부에서 적용되는 변조 방식, 송신 데이터에 적용되는 부호화 레이트, 송신에 이용하는 확산 코드가 포함된다.
이동국은 패킷 데이터의 송신에 선행하여 송신 형식이 통지되므로, 매회, 제어 채널을 수신하고, 적용되는 송신 형식을 단정하여, 패킷 데이터를 단정한 그 송신 형식에 대응하는 수신 형식으로 수신한다.
[비특허 문헌 1] 3GPP TS25. 212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측의 무선 통신 장치가, 데이터 송신에 앞서서 송신 형식을 매회 통지함으로써, 송신 형식이 변경된 경우에서도, 수신측의 무선 통신 장치는 통지된 송신 형식에 대응하는 수신 형식으로 수신할 수 있어, 원활하게 수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송신 형식을 매회 통지하는 것은, 무선 트래픽을 압박한다고 하는 별도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송신 형식(유한수의 송신 형식)의 각각에 대응하는 수신 형식에 대해서 수신 처리를 행해 보아, 정상적인 수신 결과가 얻어지는 수신 형식이 올바른 수신 형식이었다고 판단하고, 올바르다고 판단된 수신 형식으로 수신 처리한 데이터를 수신 데이터로서 취급하는 처리(이른바 블라인드 디텍션(Blind Detection) 처리)를 수신측의 무선 통신 장치가 실행함으로써, 송신 형식이 통지되지 않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에 따르면, 송신 형식의 통지를 위한 트래픽을 억제할 수 있지만, 수신 처리를 시도하는 후보가 많으면 수신 처리에 시간을 요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효율 좋게, 수신 처리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송신 형식 중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송신 형식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형식에 따라서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그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무선 통신 장치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는, 적용하는 송신 형식의 경향의 변화를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에 통지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와, 생성된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는, 그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 처리를 시도하는 수신 형식의 후보를 절환하는 수신 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송신 형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는 제1 모드로부터, 제2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송신 형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는 제2 모드로 절환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 절환할 때에, 통신 상대의 무선 통신 장치에 통지를 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제어 신 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2 그룹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어느 하나의 송신 형식을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어느 하나의 송신 형식을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지정되는 해당 송신 형식은, 상기 제1 그룹에도 속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지정된 송신 형식으로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또는 부정적인 수신 결과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어느 하나의 송신 형식을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더 생성하고, 상기 송신부는, 더 생성된 그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 상대의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해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송신 형식으로서, 상기 제1 그룹에 속하지 않는 송신 형식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모드로의 절환에 따라서 최초에 송신되는 데이터는,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송신 형식 중,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지정된 송신 형식에 따라서 송신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제2 모드에서는, 데이터의 송신 시에, 어느 송신 형식을 적용할지를 통지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로 더 절환할 때에는,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송신 형식으로서, 상기 제2 그룹에 속하지 않는 송신 형식을 상대 장치에 통지하는 제어 신호를 더 생성하고,
상기 송신부는, 생성한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모드는 유음 구간, 상기 제2 모드는 무음 구간에 각각 대응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는 각각 송신 간격이 서로 다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송신 형식은, 모두 송신 간격이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송신 형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는 제1 모드로부터, 제2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송신 형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는 제2 모드로 절환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 절환될 때에 송신되는 통지를 수신하고, 그 통지의 수신에 따라서, 수신 처리를 시도하는 복수의 수신 형식을,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송신 형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신 형식으로부터,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송신 형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신 형식으로 절환하는 수신 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지는,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어느 하나의 송신 형식이고, 상기 수신 처리부는 통지된 그 송신 형식에 따라서 수신 처리를 실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송신 형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신 형식에 대해 수신 처리를 시도하는 모드에서, 상기 통지를 받기 전에, 어느 그룹에도 속하지 않는 송신 형식을 통지받은 경우에,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송신 형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신 형식에 대해 수신 처리를 시도하는 모드인 채로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송신 형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신 형식에 대해 수신 처리를 시도하는 모드에서, 상기 통지를 받기 전에, 어떠한 송신 형식을 통지받지 않고, 데이터가 송신된 경우에,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송신 형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신 형식에 대해 수신 처리를 시도하는 모드인 채로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송신 형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신 형식에 대해 수신 처리를 시도하는 모드에서, 상기 통지를 받기 전에, 특정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복수의 수신 형식에 대해 수신 처리를 시도하고, 수신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 데이터를 얻는 처리를 소정 시간 동안 규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효율 좋게 수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적용되는 송신 형식에 치우침이 생길 수 있는 경우에, 수신측에 송신 형식의 치우침의 변화를 통지함으로써, 수신측에서 수신 처리를 시행 하는 수신 형식의 후보를 좁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송신 형식 중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송신 형식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형식에 따라서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그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무선 통신 장치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무선 통신 장치는, 적용하는 송신 형식의 경향의 변화를 제2 무선 통신 장치에 통지하는 제어 신호를 제2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고, 제2 무선 통신 장치는, 이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 처리를 시도하는 수신 형식의 후보를 절환하는 것으로 한다.
송신 형식의 경향의 변화는, 유음 구간으로부터 무음 구간으로의 절환이어도 된다. 또한, 유음 구간과 무음 구간에서는 음성 데이터의 송신 주기가 서로 다름과 함께, 송신에 이용하는 송신 형식의 후보가 서로 다른 것이어도 된다.
이하, 적용하는 송신 형식의 변화가 생기는 전형적인 예로서, 음성 데이터를 IP 패킷으로서 송신하는 VoIP(Voice of IP)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와 같은 데이터를 취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로서, LTE(Long Term Evolution)에 대해 설명한다. LTE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의 예로서 기지국, 이동국을 이용하게 된다.
이하의 실시예로부터 이해되는 원리에 기초하여, LTE를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치환할 수도 있는 것에 주의하기 바란다.
도 1은, 본 실시예에서의 모드 절환 제어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무선 통신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 대해 송신되는 데이터의 예로서, 예를 들면 음성 패킷 데이터(음성 패킷)가 생각된다. 이동국이 다른 통신 장치와 의 사이에서 음성 통신을 행할 때에, 음성 패킷 데이터가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 송신되고, 또한 반대로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에 대해 음성 패킷 데이터가 송신된다.
도 1에서는, 횡축은 시간이 진행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 대해 송신되는 패킷 데이터의 송신 타이밍을 □로 나타내고 있다.
송신되는 패킷에는,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음성 패킷), 배경 잡음을 포함하는 패킷(배경 잡음 패킷)이 있고, 주로 상대가 이야기하고 있는 동안에는 유음 구간으로서 음성 패킷이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고, 상대가 가만히 있는 동안에는 무음 구간으로서 배경 잡음 패킷이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다. 또한, 음성 패킷, 배경 잡음 패킷은, 음성 부호화를 행하는 부호화 장치(보코더)에 의해 적절하게 생성된다.
유음 구간에서는 상대의 음성 데이터를 전하기 위해, 비교적 짧은 20㎳의 주기에서 음성 패킷이 송신되고, 무음 구간에서는 배경 잡음 데이터를 전하면 되므로, 비교적 긴 160㎳의 주기에서 배경 잡음 패킷이 송신된다고 한 바와 같이, 각 구간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특성이 상이하다.
따라서, 유음 구간 동안에 적합한 송신 형식군(복수의 송신 형식)과, 무음 구간 동안에 적합한 송신 형식군(복수의 송신 형식)도 상이하다. 또한, 송신 형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패킷의 무선 송신을 행할 때에 적용하는 변조 방식(QPSK, 16QAM 등), 송신 데이터에 대해 실시하는 부호화 처리에서의 부호화 레이트(R=1/2, 1/3 등), 패킷의 무선 송신에 이용하는 무선 리소스(예를 들면, 주파수) 등을 들 수 있다.
각 구간에서의 송신 시에, 적합한 송신 형식을 적용하고자 하면, 유음 구간과 무음 구간에서는, 각각 서로 다른 송신 형식군으로부터 송신 형식을 선택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또한, 패킷이 유음 패킷인지, 배경 잡음 패킷인지는 그 내용으로부터 식별 가능하다. 필요하면, 음성 부호화 장치가, 식별 비트를 패킷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여 출력한다.
여기서는, 유음 구간 동안에 적합한 송신 형식군에 포함되는 송신 형식을 T1A∼T1C(제1 세트(그룹)), 무음 구간 동안에 적합한 송신 형식군에 포함되는 송신 형식을 T2A, T2B(제2 세트(제2 그룹))로 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1 세트(제1 그룹)와, 제2 세트(제2 그룹)에서는, 중복되는 송신 형식을 가질 수도 있지만, 중복되는 송신 형식을 갖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제1 세트, 제2 세트는, 중복되는 송신 형식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유음 구간, 무음 구간에서, 적용하는 송신 형식의 경향이 변화되게 되지만, 데이터의 송신 시에 송신 형식을 기지국이 이동국에 통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국은 제1 세트에 포함되는 송신 형식 T1A∼T1C에 대응하는 수신 형식(제1 세트 : R1A∼R1C), 제2 세트에 포함되는 송신 형식 T2A, T2B에 대응하는 수신 형식(제2 세트 : R2A, R2B)의 모두가, 적용될 수 있는 송신 형식의 전체 후보로 되어, 시행할 수신 처리가 방대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도 2와 같이, 모드의 절환에 따라서,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 대해 통지를 행하는(예를 들면 제어 신호의 송신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이동국은 랜덤 액세스 신호의 송신에 의해 기지국과의 통신을 개시하고, 상향 채널, 하향 채널이 적절하게 설정됨으로써, 패킷을 이용한 음성 통신을 개시한다.
그 때, 이동국은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주기(예를 들면, 주기 20㎳)에서 패킷의 송신이 행해지는 취지의 통지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유음 구간으로부터 개시되는 것이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 통지되고, 기지국은, 당초 제1 세트(제1 그룹)에 포함되는 송신 형식(T1A∼T1C) 중으로부터 송신에 적용하는 송신 형식을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기지국, 이동국에서 각각 적용하는 것을 제1 세트에 고정할 수도 있고, 이와 같이 통신마다 설정할 수도 있다. 초기값으로서, 어느 세트도 아닌 제0 세트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는, 이동국은 통신의 개시 후, 20ms마다 제1 세트에 포함되는 송신 형식에 대응하는 수신 형식 R1A∼R1C로 패킷의 수신 처리를 시도하고(제2 세트(R2A, R2B)는 이용하지 않음), 정상적인 수신 결과(수신 데이터에 대해 행한 CRC 체크에 의한 에러 없음의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 그 수신 형식이 올바른 것으로 추정하여, 올바른 것으로 판정한 수신 형식으로 수신 처리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수신 데이터로서 재생(음성 재생) 등의 처리를 행한다(블라인드 디텍션(Blind Detection)을 행한다).
도면의 예에서는, 참조 부호 1A, 1B가, 블라인드 디텍션에서 추정된 송신 형식(수신 형식)으로 되어 있고, 기지국은 적용한 송신 형식(1A, 1B)을 이동국에 직 접 통지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다음에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것은, 유음 구간으로부터 무음 구간으로 절환되고, 배경 잡음을 포함하는 패킷이다.
따라서, 기지국은, 제2 세트에 포함되는 송신 형식(T2A, T2B) 중으로부터 송신에 적용하는 송신 형식을 선택하도록 절환하지만, 그 때 이동국에 대해 통지를 행한다. 통지는 이동국이 검출 가능한 소정의 신호를 기지국으로부터 송신함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
소정의 신호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제2 세트의 식별 정보로 할 수 있다. 제1 세트, 제2 세트의 2종류의 식별을 위해서이면, 1비트에 의해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0」이면 제1 세트, 「1」이면 제2 세트를 지정하고, 이동국은 지정된 세트에 속하는 수신 형식으로 수신 처리를 시행하면 된다.
소정의 신호는, 또한 제2 세트에 속하는 소정의 송신 형식(수신 형식)을 지정하는 정보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적어도 제1 세트 또는 제2 세트에 포함되는 모든 송신 형식 중 어느 하나의 송신 형식을 지정하는 정보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001, 010, 011, 100, 101, 110에 의해, 각각 송신 형식 T1A∼T1C, T2A, T2B를 지정할 수도 있다.
소정의 신호가, 제2 세트의 식별은 가능하지만, 제2 세트에 속하는 송신 형식 중 어느 하나의 송신 형식이 적용되었는지 불분명한 경우에는, 이동국은 통지된 제2 세트를 지정하는 소정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세트에 기초하는 블라인드 디텍션으로부터, 제2 세트에 기초하는 블라인드 디텍션으로 모드를 절환한다. 즉, 제2 세트에 속하는 송신 형식에 대응하는 수신 형식 R2A, R2B에 의해 수신 처리를 시행하고, 올바른 수신 결과가 얻어진 수신 형식에 의한 수신 처리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음성의 재생에 이용하도록 한다.
도면의 예에서는, 소정의 신호(제어 신호)에 의해, 송신 형식이 T2A인 것이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국은 통지된 T2A에 대응하는 수신 형식 R2A에 의해 수신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올바른 수신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즉, 다른 후보 R2B에 대해 수신 처리를 시행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이 때, 기지국은 데이터를 송신 형식 T2A를 적용하여 송신하고 있다.
그리고, 이동국은 소정의 신호(제어 신호)를 수신하였기 때문에, 모드가 변경된 것으로 하여, 제1 세트로부터 제2 세트로 절환하여 블라인드 디텍션을 실행한다.
한편 기지국은, 그 후 당분간은, 특별히 송신 형식의 통지를 행하지 않고(산발적으로 통지하는 것을 허용하여도 됨), 제2 세트 중으로부터 선택한 송신 형식에 의해 배경 잡음을 포함하는 패킷을 송신한다.
제1 세트, 제2 세트에, 중복되는 송신 형식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이동국은 동작할 수도 있다.
이동국은, 제1 세트에 기초하여 블라인드 디텍션을 실행하고 있던 때에,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신호로서, 제1 세트, 제2 세트의 쌍방에 포함되는 송신 형식이 지정되었다고 한다.
여기서, 이동국은 기지국으로부터 일부러 소정의 신호가 송신된 것은, 모드 의 절환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세트에 의한 블라인드 디텍션에 의한 수신 처리로부터 제2 세트에 의한 블라인드 디텍션에 의한 수신 처리로 절환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모드의 절환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이동국에서 의도하지 않는 모드 절환 처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런데, 도 2에서, 6개째의 패킷은 음성 패킷이며, 무음 구간으로부터 유음 구간으로의 절환이 생기고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소정의 신호(제어 신호)에 의해, 제1 세트의 송신 형식 T1A를 이동국에 송신함과 함께, 송신 형식 T1A에 따라서 음성 패킷을 송신한다.
이동국은 통지된 송신 형식 T1A에 대응하는 수신 형식 R1A로 수신 처리를 행하여 음성 패킷을 취득하고, 재생한다. 다른 송신 형식 T1B, T1C에 대응하는 수신 형식 R1B, R1C에 의한 수신 처리의 시행을 하지 않아도 된다.
그 후는, 기지국은 무음 구간으로 모드 절환을 행하지 않는 한, 다시 제1 세트로부터 송신 형식을 선택하도록 하고, 이동국은 제1 세트에 포함되는 송신 형식에 대응하는 수신 형식 R1A∼R1C에 의해 블라인드 디텍션을 실행한다.
이상과 같이 소정의 신호를 기지국으로부터 송신함으로써, 이동국에서의 수신 처리 부담을 경감할 수 있어, 수신 처리를 효율 좋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처리를 실행하는 데에 적합한 무선 장치의 예로서의 기지국 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ㆍ「무선 통신 장치의 예로서의 기지국 1의 구성」
도 3은, 무선 통신 장치의 예로서의 기지국 1의 구성을 도시한다. 여기서는, LTE에 대응한 기지국으로 하지만, 다른 시스템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장치이어도 된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 10은 송신 제어 장치를 나타낸다. 송신 제어 장치(10)는, 각 부의 제어를 행함과 함께, 송신 처리를 실행한다. 송신 처리 시에, 추출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를 참조할 수도 있다. CQI는, 기지국 1로부터 송신된 신호(파일럿 신호 등)에 대해 이동국 2가 행한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 정보이다. 또한, 송신 제어 장치(10)는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패킷 데이터의 수신 결과 정보(ACK(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수신 결과), NACK(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었던 것을 나타내는 수신 결과))를 취득한다. 또한, 송신 제어 장치는, 추출 장치(18)로부터,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되는 그 밖의 제어 정보 등을 취득할 수 있다.
그런데, 송신 제어 장치(10)는 기지국 1과 접속된 노드(다른 기지국에도 접속된 노드)로부터의 송신 데이터가, 수신 장치(11)에서 수신되면, 그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케줄링을 행하여, 스케줄링에 따른 송신 제어를 행한다. 송신 데이터로서는 음성 패킷 등이 포함되고, 송신 제어 장치(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음 구간에서는 20㎳마다, 무음 구간에서는 160㎳마다 패킷을 송신하도록 송신 제어를 실행한다.
그 때, 송신 제어 장치(10)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앞의 이동국 2로부터 수신한 CQI 정보를 참조하여 송신 형식을 선택할 수 있다. 단, 송신 제어 장치(10)는, 유음 구간에서는 송신 형식(T1A∼T1C) 중으로부터 선택하고, 무음 구간에서는 송신 형식(T2A, T2B) 중으로부터 송신 형식을 선택한다. 선택 시에, CQI가, 무선 환경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T1A∼T1C 중 보다 고속의 송신 형식을 선택할 수도 있고, CQI가, 무선 환경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T1A∼T1C 중 보다 저속의 송신 형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
그런데, 송신 제어 장치(10)는 필요에 따라서 제어 신호를 생성할 것을 제어 정보 생성 장치(13)에 지시하고, 또한 데이터 생성 장치(12)에 대해, 송신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1번째, 2번째, 4번째, 5번째, 7번째의 패킷을 송신할 때에는, 패킷의 송신 형식을 통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를 제어 신호 생성 장치(13)에 지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3번째, 6번째의 패킷을 송신할 때에는, 송신하는 패킷이, 유음 구간에 대응하는 것으로부터 무음 구간에 대응하는 패킷으로 절환되든지, 또는 무음 구간에 대응하는 패킷으로부터 유음 구간에 대응하는 패킷으로 절환되므로, 송신 제어 장치(10)는 소정의 신호(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 정보 생성 장치(13)에 지시한다. 생성되는 소정의 신호의 예는 앞서 설명한 것이어도 된다.
그런데, 수신 장치(11)는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 생성 장치에 전송하므로, 데이터 생성 장치는 송신 제어 장치(10)에 의한 스케줄링에 따라서, 송신할 데이터를 무선 프레임 생성 장치(14)에 공급한다.
무선 프레임 생성 장치(14)는 데이터 생성 장치(12)로부터 공급된 송신 데이터(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하여 송신되는 데이터)를 제어 정보 생성 장치(13)로부터의 제어 정보(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와 다중하여 무선 프레임을 형성하고, 무선 송신 장치(15)에 무선 신호로서 안테나로부터 송신시킨다. 또한, LTE에서는, 하향 방향의 송신에는 OFDMA가 적용되기 때문에,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부가 무선 송신 장치(15)에 포함된다.
도 4는, 하향 링크에 이용되는 프레임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세로 방향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가로 방향은 시간을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것은, 20㎳의 무선 프레임을 20개로 분할하여 얻어지는 1개의 서브 프레임(1㎳)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과 같이 서브 프레임은, 0.5㎳의 슬롯을 2개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점선 B로 둘러싼 영역(슬롯의 선두로부터 1∼3 심볼분)이 제어 신호가 저장되는 영역이며, 점선 C로 둘러싼 영역(잔여 부분)이, 데이터(패킷 데이터 등)를 송신하는 영역이다.
제어 채널은 소정의 신호(송신 형식의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형식의 예로서는, 변조 방식, 부호화 레이트, 송신 영역(송신 주파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점선 B의 영역을 좁게 하고, 데이터의 송신 영역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제어 채널에서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그 제어 정보에, 예를 들면 이동국 2의 ID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이동국 2이, 점선 B 중에서, 자신 앞의 제 어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그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송신 형식에 의해, 어느 영역에서, 어떠한 변조 방식에 의해 데이터가 송신되는지를 이동국에 통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처리를 실행하는 데에 적합한 무선 장치의 예로서의 이동국 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ㆍ「무선 통신 장치의 예로서의 이동국 2의 구성」
도 5는, 무선 통신 장치의 예로서의 이동국 2의 구성을 도시한다. 여기서는, LTE에 대응한 이동국으로 하지만, 다른 시스템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장치이어도 된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 20은 무선 수신 장치를 나타내고, 기지국 1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의 수신 처리를 행한다. 참조 부호 21은 무선 프레임 분해 장치를 나타내고, 무선 수신 장치(20)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를 처리하고, 제어 데이터, 패킷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각각 제어 정보 해석 장치(22), 데이터 수신 장치(23)에 공급한다.
제어 정보 해석 장치(22)는 입력된 수신 데이터에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것을 추출하고, 추출한 제어 정보를 데이터 수신 장치에 통지한다. 이동국 2 앞의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지의 여부의 판정은, 이동국 2의 ID가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등으로 하여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정보에 제1 세트, 제2 세트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정보, 또는 송신 형식 그것을 지정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것을 데이터 수신 장치(23)에 공급한다.
데이터 수신 장치(23)는, 예를 들면 제2 세트인 것이 통지되면, 제2 세트에 포함되는 송신 형식 T2A, T2B에 대응하는 수신 형식 R2A, R2B에 대응하는 수신 형식으로 수신 처리를 실행하도록, 무선 수신 장치(20), 무선 프레임 분해 장치(21)에 통지하고, 자신도 수신 형식 R2A, R2B에 대응하는 수신 형식으로 수신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이 통지에 의해, 모드의 절환을 검출하고, 그 후는 통지된 세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수신 형식(여기서는, R2A, R2B)을 이용하여, 수신 처리의 시행을 행한다(블라인드 디텍션을 행한다).
데이터 수신 장치(23)는, 예를 들면 송신 형식이 T2A인 것이 통지되면, 송신 형식 T2A에 대응하는 수신 형식 R2A에 대응하는 수신 형식으로 수신 처리를 실행하도록, 무선 수신 장치(20), 무선 프레임 분해 장치(21)에 통지하고, 자신도 수신 형식 R2A에 대응하는 수신 형식으로 수신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이 통지에 의해, 모드의 절환을 검출하고, 그 후는 통지된 T2A가 속하는 제2 세트에 포함되는 송신 형식 T2A, T2B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신 형식 R2A, R2B를 이용하여, 수신 처리의 시행을 행한다(블라인드 디텍션을 행한다).
그리고, 데이터 수신 처리 장치(23)는, 각 수신 형식에 의해 실행한 수신 처리의 결과를 오류 검출 장치(24)에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오류의 유무를 판정시킨다. 수신 처리를 시도한 순서대로, 오류의 유무를 판정하게 되어도 된다.
오류 검출 장치(24)는 데이터에 부가된 오류 검출 비트(예를 들면, CRC 비트) 등을 이용하여, 적용한 수신 형식 중 어느 형식이 올바른지를 추정하고, 오류 가 없었던 수신 형식이 올바른 수신 형식으로 하여, 그것에 대응하는 수신 처리 결과를 데이터 처리 장치에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수신 형식으로 수신 처리를 행한 경우에, 수신 결과가 올바르다고 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는, 오류 검출 장치(24)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 배경 잡음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 재생 처리 등(보코더에 의한 복호, 재생 처리)을 행한다.
제어 정보 해석 장치(22)에 의해, 이동국 2 앞의 소정의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그때까지 적용하고 있었던 측의 세트(제1 세트 또는 제2 세트)에 포함되는 송신 형식에 대응하는 수신 형식에 따라서 수신 처리를 실행한다.
무선 수신 장치(20)에서 수신 처리된 신호는 수신 품질 측정 장치(25)에도 공급된다. 수신 품질 측정 장치(25)는, 예를 들면 수신 SIR(Signal-to-Interference Ratio), SINR(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power Ratio), 수신 레벨 등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CQI로서 출력한다.
CQI는 측정한 수신 품질 그 자체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할 수도 있지만, 미리 설치된 각 수신 품질과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참조 부호 26은 무선 프레임 생성 장치(26)를 나타내고, CQI 정보나, 오류 검출 장치로 판정한, 수신 결과 정보(ACK/NACK)를 상향 제어 채널에서 송신한다. 여기서, NACK는 블라인드 디텍션이며, 대상의 세트(제1 세트 또는 제2 세트)에 포 함되는, 어떠한 수신 형식을 적용하여도 에러 없이 수신 데이터가 얻어지지 않았던 경우에 생성하고,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기지국 1에 송신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상향 데이터 채널에서 송신할 수도 있다.
그런데, 무선 프레임 생성 장치(26)에서 생성된 송신 데이터는, 무선 송신 장치(27)에 의해 무선 처리되어 안테나로부터 송신된다. 또한, LTE에서는 상향 방향의 무선 송신에는,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채용하기 위해, 무선 송신 장치(27)는 SC-FDMA 방식에 대응한 무선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다음에 도 6을 이용하여 기지국 1에서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ㆍ「기지국 1에서의 처리의 흐름」
도 6은, 기지국 1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스텝 1에서, 송신 제어 장치(10)는 적용하는 송신 형식을 제1 세트, 제2 세트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할지를 이동국 2에 대응시켜 기억한다. 초기값으로서, 이동국 2와 맞춰서(동기하여), 제0 세트로 할 수도 있다.
기억한 제1 세트, 제2 세트를 상위 레이어간의 통신에 의해 미리 이동국 2에 통지할 수도 있다.
스텝 2에서, 수신 장치(11)가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면, 스텝 3에서, 송신 제어 장치(10)는, 그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송신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그 때, 데이터가, 유음 구간에서 전송되는 음성 패킷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제1 세트(T1A∼ T1C)에 포함되는 송신 형식 중으로부터 송신 형식이 선택되고, 무음 구간에서 전송되는 음성 패킷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제2 세트(T2A, T2B)에 포함되는 송신 형식 중으로부터 송신 형식이 선택된다. 선택 시에, 이동국 2로부터 통지된 CQI에 기초하여 송신 파라미터를 선택할 수 있다.
스텝 4에서는, 송신 제어 장치(10)는 선택한 송신 형식이, 스텝 1에서 기억한 세트에 대응하는 송신 형식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3에서 선택된 송신 형식이, 스텝 1에서 기억한 세트 중으로부터 선택된 송신 형식인 경우에는, "예"로 되기 때문에, 스텝 6으로 진행하고, 선택한 송신 형식으로 송신 신호를 송신한다. 이 때, 이동국 2에 대해 송신 형식을 통지하는 제어 신호의 생성, 송신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스텝 3에서 선택된 송신 형식이, 스텝 1에서 기억한 세트 중으로부터 선택된 송신 형식이 아닌 경우(제0 세트의 경우도 포함됨)에는, "아니오"로 되기 때문에, 스텝 5로 진행하고, 송신 제어 장치(10)는 소정의 신호(제어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 정보 생성 장치(13)에 지시함과 함께, 스텝 1에서 기억하고 있는 세트의 정보를 변경하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제1 세트를 기억하고 있는 경우에, 제2 세트 중으로부터 선택한 송신 형식을 금회 적용하는 경우에는, 기억하고 있는 제1 세트를 제2 세트로 갱신한다. 또한, 세트의 기억은, 송신 제어 장치(10)가 구비한 기억부에 기억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세트의 갱신을 행하면, 송신 제어 장치(10)는, 무선 송신 장치(15)에, 선택한 송신 형식으로 데이터(패킷)를 송신시킴과 함께, 소정의 신호도 송신시킨다.
또한, 소정의 신호는, 예를 들면 도 4의 제어 채널 2에서 송신하고, 패킷 데이터는 데이터 채널 2에서 송신할 수 있다. 제어 채널 2는 데이터 채널 2에서 송신되는 패킷 데이터의 송신 형식 또는 적용한 세트 정보를 포함한다.
기지국 1은 세트의 갱신에 대해 더욱 신중하게 행할 수도 있다.
기지국 1은 소정의 신호를 송신함과 함께, 패킷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지만, 그 패킷 데이터에 대해, 이동국 2로부터 수신 결과(ACK 또는 NACK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세트의 갱신을 하지 않고, 원래의 상태로 할 수도 있다. 이동국 2가, 소정의 신호를 검출할 수 있었던 것이라면, 이동국 2은 적어도 어느 것인가의 수신 결과를 송신해야 하는 것이며, 수신 결과를 검출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은, 이동국 2는 소정의 신호의 검출에 실패하였다고 상정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기지국 1은, 다음 패킷의 송신 시에, 적용하는 송신 형식 또는 적용하는 송신 형식을 포함하는 세트 정보(제1 세트 또는 제2 세트의 식별 정보)를 이동국 2에 송신한다. 이것은, 패킷 데이터에 대해, 이동국 2로부터 수신 결과(ACK 또는 NACK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할 때까지를 계속할 수 있다. 물론, 소정 횟수의 반복으로 종료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 1은 소정의 신호를 송신함과 함께, 패킷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지만, 그 패킷 데이터에 대해, 이동국 2로부터 부정적인 수신 결과(NACK)를 수신한 경우, 세트의 갱신을 하지 않고, 원래의 상태로 할 수도 있다. 이동국 2가, NACK를 송신하였다고 하는 것은, 올바르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었던 것을 의미하고, 소정의 신호를 올바르게 수신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기지국 1은, 다음 패킷의 송신 시에, 적용하는 송신 형식 또는 적용하는 송신 형식을 포함하는 세트 정보(제1 세트 또는 제2 세트의 식별 정보)를 이동국 2에 송신한다. 이것은, 패킷 데이터에 대해, 이동국 2로부터 긍정적인 수신 결과(ACK)를 수신할 때까지 계속할 수 있다. 물론, 소정 횟수의 반복으로 종료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이용하여 이동국 2에서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ㆍ「이동국 2에서의 처리의 흐름」
도 7은, 이동국 2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스텝 1에서, 데이터 수신 장치(23)는, 적용하는 송신 형식을 제1 세트, 제2 세트 중 어느 것으로부터 선택할지를 기억한다. 기억한 제1 세트, 제2 세트를 상위 레이어간의 통신에 의해 미리 기지국 1로부터 통지될 수도 있다. 소정값으로서 제0 세트를 기억할 수도 있다.
스텝 2에서, 무선 수신 장치(20)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면, 스텝 3에서, 제어 정보 해석 장치(22)는 제어 정보가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정한다. 예를 들면, 도 4의 점선 틀 B로 나타낸 영역에 대해 자신의 ID(Identifier) 등을 이용하여, 자신 앞의 제어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스텝 4로 진행하고, 기억한 세트에 포함되는 송신 형식에 대응하는 각 수신 형식으로 수신 처리를 시행한다.
그리고, 각 수신 처리의 결과에 대해 오류 검출 처리 등을 오류 검출 장치(24)에서 실행하고, 오류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ACK를 무선 프레임 생성 장치(26)에 공급하여 송신시킴(스텝 6)과 함께, 오류가 검출되지 않은 데이터를 데이 터 처리 장치에 공급하고, 재생시킨다. 또한, 시행한 수신 형식에 어느 것에 대해서도 오류가 검출된 경우에는, NACK를 무선 프레임 생성 장치(26)에 공급하여 송신시킨다(스텝 6).
그런데, 스텝 3에서 제어 정보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5로 진행한다.
즉, 제어 정보를 제어 정보 해석 장치(22)가 해석한, 기지국 1이 적용한 송신 형식(세트 정보(제1 세트 또는 제2 세트의 별도))을 데이터 수신 장치(23)에 통지한다.
데이터 수신 장치(23)는 통지된 송신 형식에 대응하는 수신 형식으로 수신 처리를 실행하도록, 무선 수신 장치(20), 무선 프레임 분해 장치(21)에 지시함과 함께, 자신도 그 수신 형식에 따른 수신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기억한 세트를 통지받은 수신 형식에 대응하는 세트로 갱신한다. 예를 들면, 제1 세트를 기억하고 있는 경우에, 제2 세트가 통지된(제2 세트에 포함되는 송신 형식이 통지된) 경우에는, 기억하고 있는 제1 세트를 제2 세트로 갱신한다.
그리고, 이동국 2는 스텝 6에 의해 수신 결과를 기지국 1에 송신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장치(23)는, 어느 하나의 세트(여기서는, 제1 세트, 제2 세트)에도 속하지 않는 송신 형식을 자국 앞의 제어 정보에서 검출한 경우에는, 모드의 변경은 없는 것으로 하고, 그때까지 적용하고 있었던 세트를 유지한다. 기억하고 있었던 세트에 대응하는 수신 형식에 의한 수신 처리의 시행을 행하고, 기억하고 있는 세트의 갱신은 행하지 않는다. 제어 정보의 수신이 실패할 가능성이 있 기 때문이다.
또한, 기지국 1의 송신 제어 장치(10)가 제어 정보 생성부(13)에 대해 특정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지시한 경우에, 제어 정보 생성부(13)가 특정한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프레임 생성 장치(14)에 공급함으로써 특정한 신호의 송신을 행할 수도 있다. 그 때, 동일한 무선 프레임 내에서 음성 패킷을 송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동국 2는 특정한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정보 해석 장치(22)에서 그것을 검출한다. 데이터 수신 장치(23)는 제어 정보 해석 장치(22)로부터 특정한 신호를 수신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그 후 블라인드 디텍션에 의한 수신 처리를 규제할 수도 있다. 규제하는 기간은 소정의 시간 T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셀 서치 등을 위해 수신 처리를 행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고, 셀 서치에 필요로 되는 시간을 T로 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지국 1은 블라인드 디텍션을 행하는 이동국 2에 대해, 셀 서치 등의 별도의 수신 처리를 행하기 위한 수신 기간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에, 그 특정한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이동국 2에 대해 그와 같은 수신 처리를 허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모드 절환 제어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모드 절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무선 통신 장치의 예로서의 기지국 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하향 링크의 송신에 이용되는 프레임의 구성예를 나타낸는 도면.
도 5는 무선 통신 장치의 예로서의 이동국 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기지국 1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이동국 2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선 통신 장치(기지국 1)
2 : 무선 통신 장치(이동국 2)
10 : 송신 제어 장치
11 : 수신 장치
12 : 데이터 생선 장치
13 : 제어 정보 생성 장치
14 : 무선 프레임 생성 장치
15 : 무선 송신 장치
16 : 무선 수신 장치
17 : 무선 프레임 분해 장치
18 : 추출 장치
20 : 무선 수신 장치
21 : 무선 프레임 분해 장치
22 : 제어 정보 해석 장치
23 : 데이터 수신 장치
24 : 오류 검출 장치
25 : 수신 품질 측정 장치
26 : 무선 프레임 생성 장치
27 : 무선 송신 장치

Claims (18)

  1. 복수의 송신 형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송신 형식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형식에 따라서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그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무선 통신 장치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는,
    적용하는 송신 형식의 경향의 변화를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에 통지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와,
    생성된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 처리를 시도하는 수신 형식의 후보를 절환하는 수신 처리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송신 형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는 제1 모드로부터, 제2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송신 형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는 제2 모드로 절환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 절환할 때에, 통신 상대의 무선 통신 장치에 통지를 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2 그룹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어느 하나의 송신 형식을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어느 하나의 송신 형식을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지정되는 그 송신 형식은, 상기 제1 그룹에도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지정된 송신 형식으로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 정보를 수신 불가능한 경우, 또는 부정적인 수신 결과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어느 하나의 송신 형식을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더 생성하고,
    상기 송신부는, 더 생성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 상대의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송신 형식으로서, 상기 제1 그룹에 속하지 않는 송신 형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로의 절환에 따라서 최초에 송신되는 데이터는,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송신 형식 중,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지정된 송신 형식에 따라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모드에서는, 데이터의 송신 시에, 어느 송신 형식을 적용할지를 통지하지 않은 경우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로부터 상기 제1 모드로 더 절환할 때에는,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송신 형식으로서, 상기 제2 그룹에 속하지 않는 송신 형식을 상대 장치에 통지하는 제어 신호를 더 생성하고,
    상기 송신부는, 생성한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는 유음 구간, 상기 제2 모드는 무음 구간에 각각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는 각각 송신 간격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송신 형식은, 모두 송신 간격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4. 제1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송신 형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는 제1 모드로부터, 제2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송신 형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는 제2 모드로 절환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 절환될 때에 송신되는 통지를 수신하고, 그 통지의 수신에 따라서, 수신 처리를 시도하는 복수의 수신 형식을,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송신 형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신 형식으로부터,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송신 형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신 형식으로 절환하는 수신 처리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는,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어느 하나의 송신 형식으로서,
    상기 수신 처리부는, 통지된 상기 송신 형식에 따라서 수신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송신 형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신 형식에 대해서 수신 처리를 시도하는 모드에서, 상기 통지를 받기 전에, 어느 그룹에도 속하지 않는 송신 형식이 통지된 경우에,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송신 형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신 형식에 대해 수신 처리를 시도하는 모드인 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송신 형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신 형식에 대해 수 신 처리를 시도하는 모드에서, 상기 통지를 받기 전에, 어떠한 송신 형식을 통지받지 않고, 데이터가 송신된 경우에,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송신 형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신 형식에 대해 수신 처리를 시도하는 모드인 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송신 형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신 형식에 대해 수신 처리를 시도하는 모드에서, 상기 통지를 받기 전에, 특정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복수의 수신 형식에 대해 수신 처리를 시도하고, 수신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 데이터를 얻는 처리를 소정 시간 동안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1020080133855A 2007-12-28 2008-12-24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KR200900730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38949A JP5343354B2 (ja) 2007-12-28 2007-12-28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
JPJP-P-2007-338949 2007-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011A true KR20090073011A (ko) 2009-07-02

Family

ID=40527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855A KR20090073011A (ko) 2007-12-28 2008-12-24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170443A1 (ko)
EP (1) EP2076085A2 (ko)
JP (1) JP5343354B2 (ko)
KR (1) KR20090073011A (ko)
CN (1) CN1014717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5057B (zh) * 2010-04-01 2015-07-08 Lg电子株式会社 控制信息发送方法及其设备
US20130315190A1 (en) * 2011-02-10 2013-11-28 Panasonic Corporation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CN102739511B (zh) * 2011-04-14 2015-06-24 富士通株式会社 数据处理系统及数据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26C (zh) * 1993-10-20 2002-03-20 Ntt移动通信网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
US6549778B1 (en) * 1996-01-31 2003-04-15 Motorola, Inc. Method of communication mode change notification
FR2802380B1 (fr) * 1999-12-13 2002-02-15 Matra Nortel Communications Procede de controle d'un canal de communication partage par plusieurs stations, et station d'emission/reception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JPWO2005002253A1 (ja) * 2003-06-30 2006-08-10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モード選択方法
JP4681270B2 (ja) * 2004-10-27 2011-05-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制御用無線通信システム
EP1931062A4 (en) * 2005-09-27 2012-01-25 Sharp Kk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07148707A1 (ja) * 2006-06-19 2007-12-27 Ntt Docomo, Inc. 基地局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71751A (zh) 2009-07-01
JP2009159576A (ja) 2009-07-16
EP2076085A2 (en) 2009-07-01
JP5343354B2 (ja) 2013-11-13
US20090170443A1 (en)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62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timing synchronization
KR101261701B1 (ko) 라디오 링크에서 장애의 탐지 및 복구를 위한 방법들
JP4952794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09417718B (zh) 终端装置、基站装置、通信方法以及集成电路
JP2021072643A (ja) 時分割複信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
US94143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a burst period
US20080247375A1 (en) Network-Based Inter-Cell Power Control For Multi-Channel Wireless Networks
US8416740B2 (en) Grouping of users onto traffic channels in multiple-users-per-channel transmission schemes
JP5166287B2 (ja)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CN101971509A (zh) 与不连续接收相结合进行上行链路定时同步的系统和方法
CA2502844A1 (en) Method for channel quality predi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6550629B2 (ja)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CA24519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ain level of a supplemental channel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JP2013519321A (ja) 無線ofdmaシステム中のアップリンク電力制御メッセージ設計
CN111542106A (zh) 蜂窝iot系统中的下行链路数据传输前的信道反馈
TW200937895A (en)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adio terminal
JPWO2008084612A1 (ja) 基地局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局並びに通信制御方法
US2009004659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obile st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103323B2 (ja) 無線基地局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
KR101757304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방송메시지를 통해 전달되는 부가적인 시스템 정보의 갱신 방법 및 장치
KR20090073011A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JP2007181094A (ja) 基地局装置
EP30952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ing source selection and deselection distributed device to device synchronization
JP2007267263A (ja) 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及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