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2410A - 자동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2410A
KR20090072410A KR1020070140509A KR20070140509A KR20090072410A KR 20090072410 A KR20090072410 A KR 20090072410A KR 1020070140509 A KR1020070140509 A KR 1020070140509A KR 20070140509 A KR20070140509 A KR 20070140509A KR 20090072410 A KR20090072410 A KR 20090072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ehicle
information
customer vehicle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0028B1 (ko
Inventor
김형주
권길광
최창호
정봉근
윤석민
이원규
이범용
박세혁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40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028B1/ko
Publication of KR20090072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은, 주기적으로 방사한 적외선을 통해 고객차량이 충전교환소에 진입함을 감지하여 차량진입정보를 생성하는 차량진입감지장치; 및 차량진입감지장치로부터 인가받은 차량진입정보에 따라 컨베이어벨트를 구동하여 배터리거치대에 구비된 고객차량의 배터리를 분리함과 아울러 배터리거치대에 완충된 배터리를 결합하는 충전장치;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보충이 필요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와 완충된 배터리를 자동으로 교체함으로써, 배터리 교체 시간을 현저히 줄인다.
또한, 별도의 연료탱크 설치없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배터리만을 장착함으로써, 자동차부품의 단순화를 꾀함과 아울러 향상된 운송효율을 제공한다.
배터리, 충전, 차량이송, 컨베이어벨트, 교체

Description

자동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EXCHANGING MOTOR VEHICLE BATTERY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전력보충이 필요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완충된 배터리와 교환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란, 기존의 자동차와 같이 화석연료의 연소가 아닌 축전지(배터리)를 통한 전기에너지에 의해 바퀴를 구동시키는 자동차이다.
전기자동차는 1830년 스코틀랜드의 로버트 앤더슨이 개발하였지만, 재충전 되지 않아 매번 배터리를 교체해가면서 타야했다. 그 후 1881년 프랑스의 가스 톤 프란테가 재충전 가능한 전기자동차를 개발하였으나, 배터리의 무거운 중량과 장시간 동안 충전해야하는 불편함 때문에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최근에 자동차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오염과, 석유자원의 고갈, 및 그로인한 원유가격 상승으로 인해 가솔린 자동차를 대체할 수단으로 전기자동차에 대한 많은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크게 하이브리드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로 나눌 수 있다.
먼저 하이브리드자동차는 기존 화석연료(휘발유, 디젤) 구조에 전기자동차 개념을 더해 순수 전기의 힘, 화석 연료의 힘, 전기 및 화석 연료의 힘을 동시에 같이 사용하는 모드 등 3가지 방식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기존 화석연료 자동차와 전기자동차의 중간 단계를 잊는 매개체 역할로 개발되었으나, 기존 차량보다 부품이 많고, 실제주행효율이 예상보다 적어 기존시장에서 그 수가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기존 하이브리드보다 좀 더 진보된 단계로 전기자동차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설계ㆍ개발되었고, 가정에서 충전한 전기로 구동되다가 충전된 전기가 소진되면, 자체발전기를 통해 전기를 재충전하는 차량이다. 발전기에 쓰이는 연료로 휘발유, 디젤, LPG, 알코올, 수소 등 다양한 연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전기충전을 위한 배터리 외에 별도로 발전기에 쓰일 연료 저장수단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차량부품이 증가하고, 차량의 무게가 무거워져 운송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형태가 아닌 순수한 의미의 전기자동차를 들 수 있는데, 충전된 배터리 전기만을 이용해 모터를 가동시켜 움직이는 차량으로 가장 가벼운 무게와 뛰어난 효율을 가지고 있는데, 배터리의 경우, 과거 납축 배터리에 비해 5배 이상 작아지고, 무게 또한 가벼워져 전기자동차가 기술적으로 가능해졌으며, 충전시간 또한 많이 줄어들어 급속 충전 시 30분 내외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배터리 충전 시간이 30분가량 소요되며, 1회 충전 시 운행거리가 100Km 내외로 짧기 때문에 배터리 충전의 구조적 개선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전력보충이 필요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와 완충된 배터리를 자동으로 교체함으로써, 배터리 교체 시간을 현저히 줄이고, 별도의 연료탱크 설치없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배터리만을 장착함으로써, 자동차부품의 단순화를 꾀함과 아울러 향상된 운송효율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자동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은, 주기적으로 방사한 적외선을 통해 고객차량이 충전교환소에 진입함을 감지하여 차량진입정보를 생성하는 차량진입감지장치; 및 차량진입감지장치로부터 인가받은 차량진입정보에 따라 컨베이어벨트를 구동하여 배터리거치대에 구비된 고객차량의 배터리를 분리함과 아울러 배터리거치대에 완충된 배터리를 결합하는 충전장치; 를 포함한다.
한편 자동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 교환 방법은, 차량진입감지장치가 주기적으로 방사한 적외선을 통해 고객차량이 충전교환소에 진입함을 감지하여 차량진입정보를 생성하는 제1 과정; 차량진입정보를 인가받아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켜 고객차량의 배터리가 분리이송부에 위치하도록 고객차량을 이송하고, 배터리 분리정보를 생성하는 제2 과정; 배터리 분리정보에 따라 배터리 거치대에 결합된 고객차량의 배터리를 분리하고 배터리 충전정보를 생성하는 제3 과정; 배터리 충전정보에 따라 고객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배터리 결합정보를 생성하며, 고객차량의 배터리를 결합이송부로 이송하는 제4 과정; 배터리 충전정보에 따라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켜 고객차량의 배터리거치대가 결합이송부에 위치하도록 고객차량을 이송한 뒤, 차량 이송정보를 생성하는 제5 과정; 차량 이송정보 및 배터리 결합정보를 인가받아 완충된 배터리를 고객차량의 배터리거치대에 결합하는 제6 과정; 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이 필요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와 완충된 배터리를 자동으로 교체함으로써, 배터리 교체 시간을 현저히 줄인다.
또한, 별도의 연료탱크 설치없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배터리만을 장착함으로써, 자동차부품의 단순화를 꾀함과 아울러 향상된 운송효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동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S)은, 차량진입감지 장치(100) 및 충전장치(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배터리는 미생물 연료전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한다. 이 연료전지에 대해서는 본 발명자의 특허출원 제10-2007-0115701호('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한 전력 생산 및 전력의 이용과 전력 공급 방법')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차량진입감지장치(100)는 주기적으로 방사한 적외선을 통해 고객차량이 충전교환소에 진입함을 감지하여 차량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차량진입정보를 충전장치(200)로 인가한다. 여기서 차량진입정보란, 고객차량이 충전교환소에 진입함에 따라 컨베이어벨트(10)를 순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정보이다.
충전장치(200)는 차량진입감지장치(100)로부터 인가받은 차량진입정보에 따라 컨베이어벨트(10)를 구동하여 배터리거치대(20)에 구비된 고객차량의 배터리(30)를 분리함과 아울러 배터리거치대(20)에 완충된 배터리(40)를 결합하며, 차량이송부(210), 분리이송부(220), 충전부(230), 결합이송부(240) 및 제어부(250)로 구성된다.
차량이송부(210)는 차량진입감지장치(100)로부터 인가받은 차량진입정보에 따라 컨베이어벨트(10)를 구동시켜 고객차량의 배터리(30)가 분리이송부(220)에 위치하도록 고객차량을 이송하고, 배터리 분리정보를 생성하여 분리이송부(220)로 인가한다. 여기서 배터리 분리정보는, 고객차량의 배터리(30)를 분리토록 제어하는 정보이다.
또한, 차량이송부(210)는 분리이송부(220)로부터 인가받은 배터리 충전정보 에 따라 컨베이어벨트(10)를 구동시켜 고객차량의 배터리거치대(20)가 결합이송부(240)에 위치하도록 고객차량을 이송한 뒤, 차량 이송정보를 생성하여 결합이송부(240)로 인가한다.
분리이송부(220)는 차량이송부(210)로부터 인가받은 배터리 분리정보에 따라 배터리거치대(20)에 결합된 고객차량의 배터리(30)를 분리하고, 배터리 충전정보를 생성하여 차량이송부(210) 및 충전부(230)로 인가한다. 여기서 배터리 충전정보는, 분리된 고객차량의 배터리(30)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정보이다.
제1 흡착기(221)와 제2 흡착기(222)는 배터리 분리정보에 의해 고객차량의 배터리(30) 일측면과 타측면을 동시에 흡착하여 고정하며, 고객차량의 배터리(30) 일측면과 타측면을 동시에 탈착하여 분리한다.
분리기(223)는 제1 및 제2 흡착기를 지지ㆍ고정하고, 고객차량의 배터리(30)를 향해 인출하며, 제1 및 제2 흡착기에 의해 고객차량의 배터리가 고정되면, 고객차량의 배터리 반대방향으로 인입되고, 차량이송부(210)로부터 재차 배터리 분리정보를 인가받으면, 고객차량의 배터리(30)를 향해 인출한다.
충전부(230)는 분리이송부(220)로부터 인가받은 배터리 충전정보에 따라 고객차량의 배터리(30)에 전원ㆍ제어부(250)로부터 인가받은 양극 및 음극전원을 인가하여 충전하고, 배터리 결합정보를 생성하여 결합이송부(240)로 인가하고, 고객차량의 배터리(30)를 결합이송부(240)로 이송하며, 복수개의 배터리(40)들을 구비한다.
양극흡착기(231)와 음극흡착기(232)는 배터리 충전정보에 의해 고객차량의 배터리(30) 일측면과 타측면을 동시에 흡착하여 고정하며, 고객차량의 배터리(30) 일측면과 타측면을 동시에 탈착하여 분리한다.
충전기(233)는 양극흡착기(231)와 음극흡착기(232)를 지지ㆍ고정하며, 전원ㆍ제어부(250)로부터 인가받은 양극전원 및 음극전원을 인가하여 고객차량의 배터리(30)를 충전함과 아울러 결합이송부(240)로 이송한다.
결합이송부(240)는 차량이송부(210)로부터 차량 이송정보를 인가받으면, 충전부(230)로부터 인가받은 배터리 결합정보에 따라 충전부(230)에 구비된 완충된 배터리(40)를 분리하여 고객차량의 배터리거치대(20)에 결합한다.
제3 흡착기(241)와 제4 흡착기(242)는 차량이송부(210)로부터 차량 이송정보를 인가받은 후, 배터리 결합정보에 의해 충전부(230)에 구비된 완충된 배터리(40) 일측면과 타측면을 동시에 흡착ㆍ탈착하여 완충된 배터리(40)를 고정 또는 분리한다.
결합기(243)는 제3 및 제4 흡착기를 지지ㆍ고정하며 배터리거치대(20)를 향해 인입ㆍ인출하는데, 제3 및 제4 흡착기가 충전부(23)에 구비된 완충된 배터리(40)를 고정하면 고객차량의 배터리거치대(20)를 향해 인출하고, 완충된 배터리(40)가 제3 흡착기(241) 및 제4 흡착기(242)를 통해 배터리거치대(20)에 고정되면 초기위치로 인입된다.
전원ㆍ제어부(250)는 상기 구성요소 차량이송부(210), 분리이송부(220), 충전부(230) 및 결합이송부(240)로 전원공급하며, 고객차량의 배터리(30)가 완충될때까지 양극흡착기(231)에 양극전원을 음극흡착기(232)에 음극전원을 인가한다. 여기 서 배터리 충전에 사용되는 양극전원 및 음극전원은, 원자력, 수력, 화력, 풍력, 태양력 및 미생물 연료전지 등으로 생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자동차 배터리 교환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차량진입감지장치(100)가 주기적으로 방사한 적외선을 통해 고객차량이 충전교환소에 진입함을 감지하여 차량진입정보를 생성하고(S101), 생성된 차량진입정보를 충전장치(200)로 인가한다(S102).
차량이송부(210)는 차량진입감지장치(100)로부터 차량진입정보를 인가받아 컨베이어벨트(10)를 구동시켜 고객차량의 배터리(30)가 분리이송부(220)에 위치하도록 고객차량을 이송하고(S211), 배터리 분리정보를 생성하여(S212) 분리이송부(220)로 인가한다(S213).
분리이송부(220)는 차량이송부(210)로부터 인가받은 배터리 분리정보에 따라 배터리거치대(20)에 결합된 고객차량의 배터리(30)를 분리하고(S221), 배터리 충전정보를 생성하여(S222) 차량이송부(210) 및 충전부(230)로 인가한다(S223).
여기서 S221단계는, 제1 흡착기(221)와 제2 흡착기(222)가 배터리 분리정보에 의해 고객차량의 배터리(30) 일측면과 타측면을 동시에 흡착하여 고객차량의 배터리(30)를 고정하는 단계(S221a)와, 분리기(223)가 고객차량의 배터리(30) 반대방향으로 인입되는(S221b) 단계를 포함한다.
충전부(230)는 분리이송부(220)로부터 인가받은 배터리 충전정보에 따라 고객차량의 배터리(30)를 충전하고(S231), 배터리 결합정보를 생성하여(S232) 결합이 송부(240)로 인가하며(S233), 고객차량의 배터리(30)를 결합이송부(240)로 이송한다(S234).
여기서 S231단계는, 양극흡착기(231)와 음극흡착기(232)가 배터리 충전정보에 따라 고객차량의 배터리(30) 일측면과 타측면을 동시에 흡착하는 단계(S231a)와, 충전기(233)가 양극흡착기에 양극전원을 인가하고, 음극흡착기에 음극전원을 인가하여 고객차량의 배터리(30)를 충전하는 단계(S231b)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이송부(210)는 분리이송부(220)로부터 인가받은 배터리 충전정보에 따라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켜 고객차량의 배터리거치대가 결합이송부(240)에 위치하도록 고객차량을 이송한 뒤(S214), 차량 이송정보를 생성하여(S215) 결합이송부(240)로 인가한다(S216).
결합이송부(240)는 차량이송부(210)로부터 차량 이송정보를 인가받으면, 충전부(230)로부터 인가받은 배터리 결합정보에 따라 충전부(230)에 구비된 완충된 배터리(40)를 분리하여(S241) 고객차량의 배터리거치대(20)에 결합한다(S242).
여기서 S241단계는, 제3 흡착기(241)와 제4 흡착기(242)가 충전부(230)에 구비된 완충된 배터리(40)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동시에 흡착하여 분리하는 단계(S241a)와, 결합기(243)가 고객차량의 배터리거치대(20)를 향해 인출하는 단계(S241b)로 이루어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 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의 고객차량의 배터리 분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의 완충된 배터리를 배터리거치대에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 교환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 교환의 정보흐름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 자동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 10: 컨베이어벨트
20: 배터리거치대 30: 고객차량의 배터리
40: 완충된 배터리 100: 차량진입감지장치
200: 충전장치 210: 차량이송부
220: 분리이송부 221: 제1 흡착기
222: 제2 흡착기 223: 분리기
230: 충전부 231: 양극흡착기
232: 음극흡착기 233: 충전기
240: 결합이송부 241: 제3 흡착기
242: 제4 흡착기 243: 결합기
250: 전원ㆍ제어부

Claims (9)

  1. 고객차량의 배터리와 완충된 배터리를 교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방사한 적외선을 통해 상기 고객차량이 충전교환소에 진입함을 감지하여 차량진입정보를 생성하는 차량진입감지장치; 및
    상기 차량진입감지장치로부터 인가받은 차량진입정보에 따라 컨베이어벨트를 구동하여 배터리거치대에 구비된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를 분리함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거치대에 상기 완충된 배터리를 결합하는 충전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차량진입정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켜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가 분리이송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객차량을 이송하며, 배터리 분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분리이송부로부터 배터리 충전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거치대가 결합이송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키며 차량 이송정보를 생성하는 차량이송부;
    상기 배터리 분리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배터리거치대에 결합된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를 분리하고, 배터리 충전정보를 생성하는 분리이송부;
    상기 배터리 충전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에 양극 및 음극전 원을 인가하여 충전하고, 배터리 결합정보를 생성하는 충전부;
    상기 차량 이송정보 및 배터리 결합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충전부에 구비된 상기 완충된 배터리를 분리하여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거치대에 결합하는 결합이송부; 및
    상기 차량이송부, 분리이송부, 충전부, 및 결합이송부로 전원공급하며,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로 양극전원 및 음극전원을 인가하는 전원ㆍ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리이송부는,
    상기 배터리 분리정보에 의해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 일측면과 타측면을 동시에 흡착하여 고정하며,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 일측면과 타측면을 동시에 탈착하여 분리하는 제1 및 제2 흡착기; 및
    상기 제1 및 제2 흡착기를 지지ㆍ고정하고,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를 향해 인출하며, 상기 제1 및 제2 흡착기에 의해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가 고정되면,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 반대방향으로 인입되는 분리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배터리 충전정보에 의해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 일측면과 타측면을 동시에 흡착하여 고정하며,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 일측면과 타측면을 동시에 탈착하여 분리하는 양극 및 음극흡착기; 및
    상기 양극 및 음극흡착기를 지지ㆍ고정하고, 상기 전원ㆍ제어부로부터 인가받은 양극전원을 상기 양극흡착기로, 음극전원을 상기 음극흡착기로 인가하여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함과 아울러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를 상기 결합이송부로 이송하는 충전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이송부는,
    상기 배터리 결합정보에 의해 상기 완충된 배터리 일측면과 타측면을 동시에 흡착하여 고정하며, 상기 완충된 배터리 일측면과 타측면을 동시에 탈착하여 분리하는 제3 및 제4 흡착기; 및
    상기 제3 및 제4 흡착기를 지지ㆍ고정하고,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거치대를 향해 인입ㆍ인출하며, 상기 제3 및 제4 흡착기에 의해 상기 완충된 배터리가 고정되면,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거치대를 향해 인출하는 결합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
  6. 고객차량의 배터리와 완충된 배터리의 교환 방법에 있어서,
    차량진입감지장치가 주기적으로 방사한 적외선을 통해 상기 고객차량이 충전교환소에 진입함을 감지하여 차량진입정보를 생성하는 제1 과정;
    상기 차량진입정보를 인가받아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켜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가 분리이송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객차량을 이송하고, 배터리 분리정보를 생성하는 제2 과정;
    상기 배터리 분리정보에 따라 배터리 거치대에 결합된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를 분리하고 배터리 충전정보를 생성하는 제3 과정;
    상기 배터리 충전정보에 따라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배터리 결합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를 결합이송부로 이송하는 제4 과정;
    상기 배터리 충전정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켜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거치대가 상기 결합이송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객차량을 이송한 뒤, 차량 이송정보를 생성하는 제5 과정;
    상기 차량 이송정보 및 배터리 결합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완충된 배터리를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거치대에 결합하는 제6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 교환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은, 제1 흡착기 와 제2 흡착기가 상기 배터리 분리정보에 의해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 일측면과 타측면을 동시에 흡착하여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를 고정하는 제7 과정; 및
    분리기가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 반대방향으로 인입되는 제8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 교환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양극흡착기와 음극흡착기가 상기 배터리 충전정보에 따라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 일측면과 타측면을 동시에 흡착하여 고정하는 제9 과정; 및
    충전기가 상기 양극흡착기에 양극전원을 상기 음극흡착기에 음극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10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 교환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6 과정은, 제3 흡착기와 제4 흡착기가 상기 완충된 배터리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동시에 흡착하여 분리하는 제11 과정; 및
    결합기가 상기 고객차량의 배터리거치대를 향해 인출하는 제12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환 방법.
KR1020070140509A 2007-12-28 2007-12-28 자동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50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509A KR101450028B1 (ko) 2007-12-28 2007-12-28 자동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509A KR101450028B1 (ko) 2007-12-28 2007-12-28 자동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410A true KR20090072410A (ko) 2009-07-02
KR101450028B1 KR101450028B1 (ko) 2014-10-16

Family

ID=41329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509A KR101450028B1 (ko) 2007-12-28 2007-12-28 자동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0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44751A (zh) * 2009-07-06 2011-01-12 黄金富 采用太阳能风力发电的电动汽车智能充电站系统和方法
KR101102618B1 (ko) * 2009-07-07 2012-01-03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교체 충전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313279B1 (ko) * 2011-06-01 2013-09-3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교환 방법
KR101402672B1 (ko) * 2012-06-20 2014-06-1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요동방지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용 견인식 배터리 자동교환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494B1 (ko) * 1988-07-13 1991-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인반송차의 배터리 자동교환 장치
JPH05316605A (ja) * 1992-05-12 1993-11-26 Nec Corp 無人車
KR0153340B1 (ko) * 1995-04-03 1998-12-15 전성원 전기자동차용배터리장착구조
JP3211642B2 (ja) * 1995-10-03 2001-09-25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ボックスの収納構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44751A (zh) * 2009-07-06 2011-01-12 黄金富 采用太阳能风力发电的电动汽车智能充电站系统和方法
CN101944751B (zh) * 2009-07-06 2014-08-13 黄金富 采用太阳能风力发电的电动汽车智能充电站系统和方法
KR101102618B1 (ko) * 2009-07-07 2012-01-03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교체 충전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313279B1 (ko) * 2011-06-01 2013-09-3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교환 방법
KR101402672B1 (ko) * 2012-06-20 2014-06-1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요동방지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용 견인식 배터리 자동교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028B1 (ko)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4431B2 (en)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station, and power maintain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
US20050211482A1 (en) Hybrid electric vehicle having alternate power sources
US20190202316A1 (en) Battery 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Eberle et al. Fuel cell electric vehicles, battery electric vehicles, and their impact on energy storage technologies: an overview
KR101450028B1 (ko) 자동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 및 그 방법
US6536547B1 (en) Hybrid electric vehicle having alternate power sources
WO2017107253A1 (zh) 一种氢能纯电动动力总成
KR101853803B1 (ko) 주행거리 확장형 전기차 시스템
Oceano et al. Grid balancing support through Electric Vehicles mobile storage
US11926241B2 (en) Structure for attachment/detachment of energy pack for electric vehicle
CN211106988U (zh) 一种换电式增程电动汽车
CN211556955U (zh) 一种结合超级电容器与电池包的储能装置及相关电动车
CN201856657U (zh) 多能源自充电电动汽车
CN202413459U (zh) 用光能发电的电动汽车
US20080264704A1 (en) Hybrid electric vehicle having alternate power sources
US20230211656A1 (en) CO2 Electrochemical reduction based solar powered hybrid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battery electric vehicle
CN202413460U (zh) 一种太阳能与燃料动力混合发电的电动汽车
Bakhsh et al. Comparative study of alternative energy vehicles: state of the art review
CN201154672Y (zh) 电动车备用的小型直流发电机组
CN210000465U (zh) 一种燃料电池两轮车
KR20110078289A (ko) 전기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RU98365U1 (ru) Низкопольный городской автобус с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энергоустановкой
US20220402354A1 (en) Hybrid plug-in battery and hydrogen fuel engine vehicle with swappable hydrogen tanks and method for modular hydrogen storage and transportation and distribution
US20210146789A1 (en) Low voltage compensation system for micro electric vehicle
JP2023157867A (ja) 駐車時は水素燃料電池によって二次電池を充電し、走行時は走行区間に応じて前輪モータと後輪モータに電源を供給する二次電池の放電と回生が調整され効率よく配分する電気走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