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1018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018A
KR20090071018A KR1020070139205A KR20070139205A KR20090071018A KR 20090071018 A KR20090071018 A KR 20090071018A KR 1020070139205 A KR1020070139205 A KR 1020070139205A KR 20070139205 A KR20070139205 A KR 20070139205A KR 20090071018 A KR20090071018 A KR 20090071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zone
evaporator
vehicl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4560B1 (ko
Inventor
강성호
정환명
서용은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9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560B1/ko
Publication of KR20090071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6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removing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2003/0691Adsorption filters, e.g. activated carb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오존을 분해 제거하는 오존 분해부재를 증발기의 공기 흐름 하류 및 공조케이스의 공기 토출 덕트부에 설치하여 오존이 차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구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다수의 공기 토출 덕트부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송풍장치에 의하여 내기유입구 및 외기유입구를 통해 선택적으로 도입되어 공기유입구 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도록 설치된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 상류측에 장착되도록 공조케이스의 내부통로에 방전전극이 돌출되게 설치되는 이온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 내 증발기의 공기 흐름 방향 하류에 증발기를 통과한 오존을 분해하고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존 분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조케이스 내 증발기의 공기흐름 방향 하류 또는 공기 토출 덕트부에 망상의 오존 분해부재를 설치하여 오존을 분해함으로써, 차 실내로 오존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증발기, 공기토출 덕트, 그물망, 공조케이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존을 분해 제거하는 오존 분해 촉매 성분을 이용하여 제작된 망상의 오존 분해부재를 증발기의 공기 흐름 방향 하류 또는 공기 토출 덕트부에 설치하여, 오존이 차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차량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써,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및 상기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피스타입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센터타입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 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으로 대별할 수 있다.
상기한 공조장치 중에서 세미 센터타입 공조장치는 도1,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측에 공기유입구(2)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다수의 공기토출 덕트부(4)가 형성된 공조케이스(6)와, 상부측에 형성된 내기유입구(8) 및 외기유입구(10)를 통해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상기 공기유입구(2)측으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장치(1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6)의 내부에는 증발기(14) 및 히터코어(16)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아울러 상기 공조케이스(6)의 내부에는 온도조절을 위한 온도조절도어(18) 및 다양한 공조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모드도어(20)들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장치(12)와 공조케이스(6)를 연결하는 중간 통로에는 음·양이온을 발생시켜 증발기(14)를 제균 및 탈취하는 이온발생기(12)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이온발생기(22)는, 본체(24)와 내부통로(26)로 돌출되는 음이온 방전전극(28)과 양이온 방전전극(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증발기(14)의 제균 및 탈취에 이용되는 이온발생기(22)는, 미세량의 오존을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오존은 차 실내로 미세량 유입되나 인체에 매우 유해하게 작용한다.
이러한 유해한 오존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제안된 일본국 공개특허 제1994-191263호는, 열교환용 핀의 표면에 오존 분해 촉매를 포함한 친수성 피막을 형성하여, 오존 포함 공기가 통과할 때 오존이 분해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3-039944호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너 하류측에 오존 분해촉매를 설치하여 방전기에 의해 발생한 오존이 분해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오존의 유해성 때문에 오존의 발생량을 억제하게 되면, 이온 발생량도 같이 줄어들기 때문에, 증발기에 대한 탈취 및 제균 성능도 함께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조케이스 내 증발기의 공기흐름 방향 하류 또는 공기 토출 덕트부에 망상의 오존 분해부재를 설치하여 미세량의 오존이 분해되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온발생기에 의한 증발기의 탈취 및 제균 성능은 그대로 유지하고 오존은 분해되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VC, 동선, 활성탄 등의 오존 분해 촉매성분을 이용하여 오존 분해부재를 망상으로 제작하고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 내 잔류 오존 분해부재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다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송풍장치에 의하여 내기유입구 및 외기유입구를 통해 선택적으로 도입되어 공기유입구 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도록 설치된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 상류측에 장착되도록 공조케이스의 내부통로에 방전전극이 돌출되게 설치되는 이온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 내 증발기의 공기 흐름 방향 하류에 증발기를 통과한 오존을 분해하고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존 분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존 분해부재는, 오존 분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PVC, 동선, 활성탄 등의 오존 분해 재질에 의하여 망상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존 분해부재는, 차 실내로 오존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공조케이스의 공기 토출 덕트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존 분해부재는, 증발기의 공기 흐름 방향 하류 또는 공기 토출 덕트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부재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존 분해부재는, 증발기의 공기 흐름 방향 하류 또는 공기 토출 덕트부 2곳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증발기의 공기 흐름 방향 하류 또는 공기 토출 덕트부에 설치된 오존 분해부재에 의하여 미세량의 오존도 분해 제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존 분해부재를 망상으로 제작하여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미세량의 오존을 분해할 수 있어 오존이 차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존 분해부재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 분해부재가 공조케이스의 공기 토출 덕트부 상에 설치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잔류 오존이 분해되는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6)의 공기 배출 통로에 설치되는 증발기(14)의 공기 흐름 방향 하류에 증발기(14)를 통과한 오존을 분해하여 제거하고 탈착도 가능하도록 설치된 잔류 오존 분해부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오존 분해부재(32)는, 증발기(14)의 공기 흐름 방향 하류에 오존의 분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PVC, 동선, 활성탄 등의 오존 분해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상기 오존 분해부재(32)는, 공기의 흐름이 방해되지 않도록 망상으로 형성 제작되며, 그 모양은 설치 부위에 따라 직사각형,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한 오존 분해부재(32)는, 공조케이스(6)의 공기 토출 덕트부(4)에 설치되어 차 실내로 오존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오존을 분해한다.
또한, 상기 오존 분해부재(32)는, 증발기(14)의 공기 흐름 방향 하류 또는 공기 토출 덕트부(4)에 착탈할 수 있도록 나사 등의 체결부재로 설치된다. 상기 체 결부재를 풀면 오존 분해부재(32)의 청소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오존 분해부재(32)는, 증발기(14) 공기 흐름 방향 하류 또는 공기 토출 덕트부(4) 2곳에 동시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운전자의 필요에 의하여 오존 분해부재(32)를 2곳에 설치하면 오존 분해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공조장치의 공조 케이스(6)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14)의 공기 흐름 방향 하류에 오존 분해부재(32)가 설치된 경우는, 신선한 외부 공기나 차내의 리사이클 공기가 송풍장치(12)를 통해 유입된다.
그리고 공조장치의 작동과 동시에 이온발생기(6)에서 발생시킨 음·양이온은 증발기(14)의 탈취 및 제균을 한다. 이러한, 이온발생기(6)는 음·양이온을 발생시킴과 함께 미세량의 오존도 같이 발생시킨다.
상기한 오존이 포함된 공기는, 공조케이스(6)의 증발기(14)를 통과한 후, 망상의 오존 분해부재(32)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량의 오존은, 오존 분해부재(32)에 의하여 분해된다. 이렇게 망상의 오존 분해부재(32)를 통과하면서 오존이 제거된 공기는, 공기 토출 덕트부(4)를 통해 차 실내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오존 분해부재(32)는 증발기(4)의 공기 흐름 방향 하류 또는 공기 토출 덕트부(4) 중 하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 있고, 오존 분해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2곳에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오존 분해부재를 장기간 사용한 후에는, 체결부재를 분리하면 청소도 간편하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증발기의 공기 흐름 방향 하류 및 공기 토출 덕트부에 망상의 오존 분해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인체에 유해한 잔류오존을 분해하여 차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 공조장치 산업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이온발생기가 설치된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이온발생기 설치 위치를 확대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은, 도 1의 공조케이스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존 분해부재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 분해부재가 공조케이스의 공기 토출 덕트부 상에 설치됨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공기유입구
4:공기 토출 덕트부
6:공조케이스
8:내기유입구
10:외기유입구
12:송풍장치
14:증발기
22:이온발생기
26:내부통로
28,30:음·양이온 방전전극
32:오존 분해부재

Claims (3)

  1. 입구측에 공기유입구(2)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다수의 공기 토출 덕트부(4)가 형성된 공조케이스(6)와, 송풍장치(12)에 의하여 내기유입구(8) 및 외기유입구(10)를 통해 선택적으로 도입되어 공기유입구(2) 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도록 설치된 증발기(14)와, 상기 증발기(14) 상류측에 장착되도록 공조케이스(6)의 내부통로(26)에 방전전극(28)(30)이 돌출되게 설치되는 이온발생기(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6)의 증발기(14) 공기 흐름 방향 하류에 증발기(14)를 통과한 오존을 분해하고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존 분해부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분해부재(32)는, 증발기(14)의 출구에 PVC, 동선, 활성탄중 하나의 오존 분해 재질을 이용하여 망상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분해부재(32)는, 증발기(14)의 공기 흐름 방향 하류 또는 공기 토출 덕트부(4)에 체결부재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 조장치.
KR1020070139205A 2007-12-27 2007-12-27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84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205A KR101384560B1 (ko) 2007-12-27 2007-12-27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205A KR101384560B1 (ko) 2007-12-27 2007-12-27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018A true KR20090071018A (ko) 2009-07-01
KR101384560B1 KR101384560B1 (ko) 2014-04-11

Family

ID=41322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205A KR101384560B1 (ko) 2007-12-27 2007-12-27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5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6109A1 (en) * 2020-01-17 2021-07-22 Inceptus Incorporated Cover assembly for disinfecting an air conditioner
KR20220009104A (ko) * 2020-07-15 2022-01-24 이성중 휴대용 활성탄 교체 흡입박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3116B2 (ja) * 1992-01-24 1999-07-26 株式会社ゼクセル 車両用空気調和機の防臭装置
JPH0574921U (ja) * 1992-03-18 1993-10-12 株式会社ゼクセル 空気調和装置の殺菌脱臭機構
JP2003039944A (ja) 2001-07-26 2003-02-13 Toshiba Corp 車両用空気浄化装置
KR100534804B1 (ko) * 2003-12-31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라즈마 반응기를 구비한 차량 공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6109A1 (en) * 2020-01-17 2021-07-22 Inceptus Incorporated Cover assembly for disinfecting an air conditioner
GB2607464A (en) * 2020-01-17 2022-12-07 Inceptus Incorporated Cover assembly for disinfecting an air conditioner
GB2607464B (en) * 2020-01-17 2023-10-18 Inceptus Incorporated Cover assembly for disinfecting an air conditioner
KR20220009104A (ko) * 2020-07-15 2022-01-24 이성중 휴대용 활성탄 교체 흡입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560B1 (ko) 201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7857B2 (en) Photocatalyst device and air conditioner for vehicle having the same
JP4470710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US20090042502A1 (en) Vehicle Air Purifier with a Negative and Positive Ion Generato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JP2008037247A (ja) 車両用静電霧化装置
JP2008105613A (ja) 車両用静電霧化装置
KR20070071571A (ko) 음/양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31580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8456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0070644A (ja) 自動車用水噴射式空気清浄器
JP2011075164A (ja) 静電霧化装置を備えた送風装置
JP2010149536A (ja) 空気清浄装置
US20110146816A1 (en) Device for disinfecting a motor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CN108698486B (zh) 车辆的空气调节系统
JP2009051387A (ja) イオン発生器付き車両用空調装置
KR2015001918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97138B1 (ko)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KR102120641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 방법
JP5130148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4258422B2 (ja) 換気設備
KR10200334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이온발생기 제어방법
KR20070115037A (ko) 차량용 공기조화시스템의 공기청정장치
KR101351783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KR102211714B1 (ko) 광촉매 기능을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JP201313300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10132003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