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0643A - 현장 타설식 팽이파일용 거푸집 및 연약지반 보강공법 - Google Patents

현장 타설식 팽이파일용 거푸집 및 연약지반 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0643A
KR20090070643A KR1020070138727A KR20070138727A KR20090070643A KR 20090070643 A KR20090070643 A KR 20090070643A KR 1020070138727 A KR1020070138727 A KR 1020070138727A KR 20070138727 A KR20070138727 A KR 20070138727A KR 20090070643 A KR20090070643 A KR 20090070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formwork
soft ground
concret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영
Original Assignee
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 filed Critical 허영
Priority to KR1020070138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0643A/ko
Publication of KR20090070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6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02D27/14Pile framings, i.e. piles assembled to form the sub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66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5/665Mould-pipes or other moulds for mak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 타설식 팽이파일용 거푸집 및 연약지반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장에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킨 다음 거푸집과 함께 팽이파일을 설치하게 되는 현장 타설식 팽이파일용 거푸집 및 연약지반 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보강공법은 원형의 상면을 가지며 상면의 중앙에는 고리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상면의 하부에는 원추형상의 저면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 하부의 원추형상 저면의 중앙에는 파일축이 돌설되어지는 팽이파일을 설치하는 연약지반 보강공법으로서, 현장에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거푸집 콘크리트 파일을 양생하는 단계와, 철망을 포설하는 단계와, 거푸집에서 양생된 팽이파일을 거푸집과 함께 철망에 박는 단계와, 상방철근을 연결하는 단계와, 잡석을 공급하여 보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현장 타설식 팽이파일용 거푸집 및 연약지반 보강공법 {Molding for top base concrete and the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현장 타설식 팽이파일용 거푸집 및 연약지반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장에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킨 다음 거푸집과 함께 팽이파일을 설치하게 되는 현장 타설식 팽이파일용 거푸집 및 연약지반 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토목공사를 수행함에 있어 연약지반은 기초가 불안한 지반으로 이에 구조물을 건설함에 있어서는 지지력이 부족하게 되어 침하가 예상된다.
따라서 연약지반에 구조물을 건설하기 전에는 구조물의 규모 및 사용용도에 따라 지반을 보강해 주어야만 한다.
위와 같이 연약지반을 보강하는 공법으로는 지름이 약 10-30m되는 콘크리트 말뚝을 땅에 박아 지반의 기초를 보강하는 콘크리트 말뚝기초공법이 있으며, 그물망과 같은 매트를 연약지반 위에 겹겹이 깔고 그 사이 사이에 흙을 채운 후 다져 보강하는 매트공법이 있으며, 팽이형상의 콘크리트 파일을 설치하는 톱베이스공법 등을 사용하는 보강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위와 같은 보강공법 중에서 팽이형상의 콘크리트 파일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팽이파일(10)은 원형의 상면(1)을 가지며, 상면(1)의 중앙에는 고리(2)가 돌출되어 지며, 상면의 하부에는 원추형상의 저면(3)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 하부의 원추형상 저면(3)의 중앙에는 파일축(4)이 돌설되어지는 형상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팽이파일(10)은 저면(3)이 원추형상의 넓은 면을 가지며, 경사져 있기 때문에 위에서 아래로 작용하는 상재하중을 사방으로 분산되게 하므로 높은 지지력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팽이파일의 콘크리트 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공법은 지반의 지지력이 다소 부족한 경우나 하중이 크게 작용하지 않는 중소 규모의 구조물의 기초공시에 적절하게 사용되는 지반기초공법으로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팽이형상으로 된 콘크리트 파일(10)을 다수개 땅에 박고 팽이형 콘크리트 파일(10)의 상하를 연결철근으로 서로 연결하도록 하여 지반을 보강하게 된다. 즉,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약지반 위에 팽이형상의 콘크리트 파일의 축을 삽치할 수 있게 삽치구가 마련된 철망(24)을 포설한 다음 삽치구에 팽이형 파일의 축(4)을 끼워 박은 다음 팽이형 파일의 상면의 고리(2)를 가로 세로의 상방철근(22)으로 연결하며, 팽이형 콘크리트 파일(10) 사이에 잡석을 채워넣어 연약지반을 보강토록 하는 것이다.
즉 팽이형상으로 된 형틀에 U자형 고리(2)의 상단이 밖으로 돌출되게 하고 형틀에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형틀로부터 팽이형 콘크리트 파일을 빼냄으로 모든 작업이 완료되어 지게 된다.
종래의 연약지반 보강공법은 팽이파일을 공장에서 양생한 다음 거푸집으로부터 분리하여 현장으로 이송한 다음 공법을 진행하게 되기 때문에 팽이파일을 거푸집으로부터 분리해야 하고 또 현장까지 이송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고 이송 중 파손되는 팽이파일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얇은 플라스틱으로 사출된 거푸집을 현장에서 사용하여 팽이파일을 타설하고 양생한 다음 거푸집과 함께 지반에 투입하게 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은 원형의 상면을 가지며 상면의 중앙에는 고리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상면의 하부에는 원추형상의 저면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 하부의 원추형상 저면의 중앙에는 파일축이 돌설되어지는 팽이파일을 생산하는 거푸집으로서, 상기 팽이파일을 양생할 수 있도록 팽이파일 외면과 같은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두께로 일체로 플라스틱으로 생산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보강공법은 원형의 상면을 가지며 상면의 중앙에는 고리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상면의 하부에는 원추형상의 저면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 하부의 원추형상 저면의 중앙에는 파일축이 돌설되어지는 팽이파일을 설치하는 연약지반 보강공법으로서, 현장에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거푸집 콘크리트 파일을 양생하는 단계와, 철망을 포설하는 단계와, 거푸집에서 양생된 팽이파일을 거푸집과 함께 철망에 박는 단계와, 상방철근을 연결하는 단계와, 잡석을 공급하여 보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현장 타설식 팽이파일용 거푸집 및 연약지반 보강공법은 현장에서 거푸집으로 팽이파일을 타설하여 제작하고 거푸집과 함께 팽이파일을 투입하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하고 팽이파일의 파손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연약지반에 본 발명에 의한 팽이파일을 적용하여 시공한 것을 알 수 있다. 팽이파일(110)에는 팽이파일(110)을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200)이 분리되지 않고 그대로 시공되어 있다. 즉 연약지반 위에 팽이형상의 콘크리트 파일의 축을 삽치할 수 있게 삽치구가 마련된 철망(124)을 포설한 다음 삽치구에 팽이형 파일의 축(204)을 끼워 박은 다음 팽이형 파일의 상면의 고리(102)를 가로 세로의 상방철근(122)으로 연결하며, 팽이형 콘크리트 파일(110) 사이에 잡석을 채워넣어 연약지반을 보강토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20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200)은 얇은 두께의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이루어지되, 그 모양은 팽이파일(110)과 같은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거푸집(200)은 현장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그 양생된 콘크리트 파일과 함께 연약지반에 투입된다. 거푸집(200)은 상부는 콘크리트를 넣을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그로부터 팽이파일(110)과 마찬가지로 저면(203)과 파일축(204)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순서도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보강공법은 현장에서 거푸집(2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1)와, 거푸집 콘크리트 파일을 양생하는 단계(S2)와, 철망(124)을 포설하는 단계(S3)와, 거푸집(200)에서 양생된 팽이파일(110)을 거푸집(200)과 함께 철망(124)에 박는 단계(S4)와, 상방철근(122)을 연결하는 단계(S5)와, 잡석을 공급하여 보강하는 단계(S6)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점은 거푸집(200)으로부터 양생된 팽이파일(110)을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거푸집(200)과 함께 팽이파일(110)을 연약지반에 투입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거푸집(200)은 통상의 팽이파일(110)을 생산하기 위한 거푸집(200)보다 얇게 일체형으로 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단가를 낮추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팽이파일을 제작하는 것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를 막을 수 있고, 운송비용 등을 절약하게 되므로 비용절감도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팽이파일을 적용하여 시공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팽이파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법을 적용하여 시공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팽이파일용 거푸집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팽이파일 타설공법의 순서도이다.

Claims (2)

  1. 원형의 상면을 가지며 상면의 중앙에는 고리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상면의 하부에는 원추형상의 저면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 하부의 원추형상 저면의 중앙에는 파일축이 돌설되어지는 팽이파일을 생산하는 거푸집으로서, 상기 팽이파일을 양생할 수 있도록 팽이파일 외면과 같은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두께로 일체로 플라스틱으로 생산된 거푸집.
  2. 원형의 상면을 가지며 상면의 중앙에는 고리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상면의 하부에는 원추형상의 저면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 하부의 원추형상 저면의 중앙에는 파일축이 돌설되어지는 팽이파일을 설치하는 연약지반 보강공법으로서,
    현장에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거푸집 콘크리트 파일을 양생하는 단계와, 철망을 포설하는 단계와, 거푸집에서 양생된 팽이파일을 거푸집과 함께 철망에 박는 단계와, 상방철근을 연결하는 단계와, 잡석을 공급하여 보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연약지반 보강공법.
KR1020070138727A 2007-12-27 2007-12-27 현장 타설식 팽이파일용 거푸집 및 연약지반 보강공법 KR200900706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727A KR20090070643A (ko) 2007-12-27 2007-12-27 현장 타설식 팽이파일용 거푸집 및 연약지반 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727A KR20090070643A (ko) 2007-12-27 2007-12-27 현장 타설식 팽이파일용 거푸집 및 연약지반 보강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643A true KR20090070643A (ko) 2009-07-01

Family

ID=41322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727A KR20090070643A (ko) 2007-12-27 2007-12-27 현장 타설식 팽이파일용 거푸집 및 연약지반 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06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7342A (zh) * 2017-08-03 2017-10-10 天津港航工程有限公司 新型低桩承台基础结构及其施工方法
CN112359816A (zh) * 2020-11-05 2021-02-12 中铁十局集团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软基处理陀螺桩施工工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7342A (zh) * 2017-08-03 2017-10-10 天津港航工程有限公司 新型低桩承台基础结构及其施工方法
CN112359816A (zh) * 2020-11-05 2021-02-12 中铁十局集团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软基处理陀螺桩施工工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68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후인장 콘크리트 옹벽및 그 시공방법
KR100842802B1 (ko) 현장 타설형 팽이파일의 콘크리트 타설판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KR102102919B1 (ko)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7101407B2 (ja) 現場打設補強コマ型杭基礎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80077721A (ko) 옹벽용 블록 축조방법
KR101370102B1 (ko) 현장타설형 팽이파일 및 그 시공방법
KR100799848B1 (ko) 결합구조를 보강한 현장 타설형 팽이파일
KR20090070643A (ko) 현장 타설식 팽이파일용 거푸집 및 연약지반 보강공법
CN112411560A (zh) 一种深大基坑内支撑体系梁板结构分步快速施工方法
JP7232714B2 (ja) 基礎の構築方法
KR101111655B1 (ko) 팽이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방법
KR100798689B1 (ko) 팽이패널 조립체를 이용한 현장 타설용 팽이파일의시공방법
KR20090074426A (ko) 현장 타설식 팽이파일용 거푸집 및 연약지반 보강공법
KR100920688B1 (ko) 팽이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구조
KR101212279B1 (ko) Phc 합성 파일의 제조방법
CN112921962A (zh) 一种桩基加固方法
JP7101408B2 (ja) 現場打設コマ型杭基礎及びその施工方法
JP4418335B2 (ja) コンクリート積みブロックの施工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コンクリート積みブロック
JP4968676B2 (ja) 増杭による杭基礎補強工法
KR20090070640A (ko) 팽이파일용 거푸집
KR100928844B1 (ko) 팽이파일 생산장치
CN216809966U (zh) 基坑内基础承台侧模施工结构
CN215629894U (zh) 钻孔灌注桩加固结构
CN219386279U (zh) 一种高速公路路基碎石桩
KR102472057B1 (ko) 부분 프리캐스트 합성 기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