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0488A -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0488A
KR20090070488A KR1020070138513A KR20070138513A KR20090070488A KR 20090070488 A KR20090070488 A KR 20090070488A KR 1020070138513 A KR1020070138513 A KR 1020070138513A KR 20070138513 A KR20070138513 A KR 20070138513A KR 20090070488 A KR20090070488 A KR 20090070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broadcast information
broadcast
information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8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0488A/ko
Priority to EP08160985A priority patent/EP2076034A1/en
Publication of KR20090070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4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5Arrangements for upd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가 제공된다. 복수의 채널들 중 일부의 채널을 통해 복수의 채널들에 대한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시스템에 적용되는 본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은,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을 선국하여 기저장된 방송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이에 따라,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시점에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을 선국하여 방송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방송 시청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NorDig, EIT barker, EIT Schedule, 업데이트

Description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Method for updating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 수신가능하거나 앞으로 수신가능한 방송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 압축 기술과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등장하게 된 디지털 방송은 시청자들에게 고화질의 방송은 물론이고, 그 방송에 대한 부가정보인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와 같은 방송정보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상태로 방송수신장치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근자에 이르러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된 방송채널의 개수로 인하여, 방송정보의 양도 비례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바로 방송정보들을 제공하려면, 방송수신장치가 이 방송정보들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방송정보들은 실시간으로 변하는 것이므로, 계속 업데이트 되어져야 한다.
그런데, 방송정보의 양의 증가는 업데이트 소요시간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 리고, 방송정보 업데이트가 수행되는 중에 방송수신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을 시청할 수 없으므로, 업데이트 소요시간의 증가는 사용자의 시청방해를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부 채널을 통해 전 채널에 대한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방송 시청방해를 최소화하면서 최신의 방송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방안으로,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시점에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을 선국하여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채널들 중 일부의 채널을 통해 상기 복수의 채널들에 대한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시스템에서의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은, 채널선국 동작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을 선국하는 단계; 및 상기 선국단계에서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정보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방송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방송정보는, 상기 방송정보가 제공되는 채널에 대한 방송정보 및 상기 방송정보가 제공되는 채널 이외의 채널에 대한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경우는, 1) 메뉴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2) EPG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3)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및 4)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영상을 입력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국단계는,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단계에서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을 선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은 EIT(Event Information Table) barker 채널이고, 상기 방송정보는 상기 EIT Schedule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정보가 저장된 저장매체 및 현재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은 EIT barker 채널이고, 상기 방송정보는 상기 EIT Schedule이고,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는, 현재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EIT Barker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업데이트 단계는, 상기 선국단계에서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로부터 상기 방송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및 상기 파싱단계에서 파싱된 상기 방송정보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방송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국단계는,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채널선국을 수행하는 수신소자의 최종 동작상태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을 선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은, 상기 업데이트 단계가 완료된 경우 또는 상기 채널선국 동작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수신소자를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최종 동작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채널들 중 일부의 채널을 통해 상기 복수의 채널들에 대한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시스템에 이용되는 방송수신장치는, 채널선국 동작을 수행하는 수신부; 상기 방송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수신부의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을 선국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부에서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방송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방송정보는, 상기 방송정보가 제공되는 채널에 대한 방송정보 및 상기 방송정보가 제공되는 채널 이외의 채널에 대한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경우는,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1) 메뉴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2) EPG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3)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및 4)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을 입력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을 선국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은 EIT(Event Information Table) barker 채널이고, 상기 방송정보는 상기 EIT Schedule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저장부 및 상기 수신부에 의해 현재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은 EIT barker 채널이고, 상기 방송정보는 상기 EIT Schedule이고,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는, 현재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EIT Barker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로부터 상기 방송정보를 파싱하고, 파싱된 상기 방송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기저장된 방송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부의 최종 동작상태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방송정보 업데이트가 완료된 경우 또는 상기 채널선국 동작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 기 최종 동작상태로 상기 수신부의 동작상태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부 채널을 통해 전 채널에 대한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시스템에서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시점에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을 선국하여 방송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방송정보 업데이트 시에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의 방송 시청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STB(Set Top Box)의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STB는 일부 채널을 통해 전 채널에 대한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시스템(방송규격)에 이용된다. 이와 같은 방송시스템의 대표적인 예가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의 일종인 NorDig이다.
이와 같은 방송시스템에서, 일부 채널의 개수에 대한 제한이 없다. 즉, 일부 채널은 1개이어도 무방하고, 2개 이상인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 채널의 개수가 100개인 경우, 1개의 채널을 통해 이 100개의 채널들에 대한 방송정보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1개의 채널을 통해, 그 채널에 대한 방송정보는 물론 나머지 99개의 채널들에 대한 방송정보들도 제공하게 된다. 환언하면, 그 1개의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정보에는 그 1개의 채널에 대한 방송정보 이외에 다른 99개의 채널들에 대한 방송정보들도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은 EIT(Event Information Table) barker 채널로 지칭되고, 방송정보는 EIT Schedule로 지칭된다. 그리고, 방송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신호에는 EIT Barker가 포함되어 있다. EIT Barker에는 채널 정보를 대신 제공하는 채널인 EIT barker 채널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STB는 방송 수신부(110), 방송 처리부(120), 방송 출력부(130), HDD(Hard Disk Drive)(140), 제어부(150),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생성부(160), 저장부(170) 및 사용자 입력부(180)를 구비한다.
방송 수신부(110)는 공중(Air) 또는 케이블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되는 방송들 중 어느 하나를 선국하여 복조한다. 방송 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은 지상파 방송은 물론 케이블 방송이나 위성 방송이 될 수도 있다. 즉, 방송 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의 종류에 대한 제한은 없다. 또한, 방송 수신부(110)는 원하는 방송을 선국하기 위한 튜너를 구비하고 있다.
방송 처리부(120)는 방송 수신부(110)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방송 처리부(120)는 방송 분리부(121), 오디오 디코딩부(123), 오디오 처리부(125), 비디오 디코딩부(127) 및 비디오 처리부(129)를 구비한다.
방송 분리부(121)는 방송 수신부(110)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부가 데이터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방송신호로부터 분리된 오 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는 오디오 디코딩부(123)와 비디오 디코딩부(127)로 각각 인가되어,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한편, 부가데이터에는 EIT Schedule 또는 EIT Barker가 수록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EIT barker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신호의 부가 데이터에는 EIT Schedule이 수록되어 있고, 그 외의 채널(EIT barker 채널이 아닌 채널, 즉 EIT Schedule을 제공하지 않는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신호의 부가 데이터에는 EIT Barker가 포함되어 있다. EIT Barker에는 채널 정보를 대신 제공하는 채널인 EIT barker 채널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부가 데이터는 제어부(150)에 의해 저장부(170)에 저장되며, 후에 제어부(150)에 의해 가공되어 사용된다. 제어부(150)에 의해 저장부(170)에는 EIT Schedule과 EIT Barker 채널 정보가 저장되어 있게 된다.
오디오 디코딩부(123)는 방송 분리부(121)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한다. 이에 따라, 오디오 디코딩부(123)에서는 압축해제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오디오 디코딩부(123)에서 출력되는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STB에 연결된 TV로 전달하기에 적합한 포맷의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125)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D/A(Digital to Analog)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비디오 디코딩부(127)는 방송 분리부(121)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한다. 이에 따라, 비디오 디코딩부(127)에서는 압축해제된 비디오 신호가 출력 되게 된다.
비디오 처리부(129)는 비디오 디코딩부(127)에서 출력되는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에 대한 비디오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GUI 생성부(160)는 제어부(150)의 제어하에, STB에 연결된 TV의 화면에 표시될 GUI를 생성한다. 여기서, GUI 생성부(160)에 의해 생성되는 GUI는 사용자가 STB에 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표시정보의 일종으로, 메뉴 화면, EPG(Electronic Program Guide) 화면 등과 같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수단은 물론, STB의 동작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수단도 포함된다.
GUI 생성부(160)에서 생성된 GUI는 비디오 처리부(129)로 인가되어, 비디오 디코딩부(127)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에 부가된다.
출력부(130)는 방송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연결된 TV로 각각 전달하는 오디오 출력부(131)와 비디오 출력부(135)를 구비한다. 따라서, TV에서는 STB로부터 수신한 비디오와 오디오가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통해 각각 출력되게 된다.
HDD(140)는 방송 수신부(110)에서 수신되어 방송 분리부(121)를 통해 전달되는 방송이 저장되는 저장매체이다. HDD(140)에 저장된 방송은 방송 분리부(121)로 인가되어 재생될 수도 있다.
저장부(170)는 제어부(150)가 STB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매체이다. 저장부(170)에 EIT Barker 채널 정보와 EIT Schedule이 저장되어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사용자 입력부(180)는 STB의 프런트 패널에 마련된 버튼들과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제어부(150)로 전달하며, 제어부(150)는 사용자 입력부(18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STB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을 수신하도록 방송 수신부(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EIT Schedule을 이용하여 EPG 화면을 구성하는 한편, 저장부(170)에 저장된 EIT Schedule을 최신으로 업데이트한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50)가 EIT Schedule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IT Schedule 업데이트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150)는 방송 수신부(110)의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방송 수신부(110)의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상황이란, 현 시점의 방송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메뉴 화면이나 EPG 화면이 호출되어 이 화면을 출력하여야 하는 경우는 방송 수신부(110)의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HDD(140)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을 출력하는 경우나, 외부 입력단자(미도시)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출력하는 경우도, 방송 수신부(110)의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S210단계에서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S210-Y), 제어부(150)는 방송 수신부(110)의 최종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70)에 저장한다(S220). 방송 수신부(110)의 최종 동작상태에는 방송 수신부(110)가 최종적으로 선국하였던 채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저장부(170)에 저장되어 있는 EIT Barker 채널 정보를 읽어들인다(S230). 이후, 제어부(150)는 S230단계에서 읽어들인 EIT Barker 채널 정보를 통해 알아낸 EIT Barker 채널을 선국하도록 방송 수신부(110)를 제어한다(S240).
이에 따라, 방송 수신부(110)에서는 EIT Barker 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신호가 수신되는데, EIT Barker 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신호의 부가 데이터에는 EIT Schedule이 수록되어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제어부(150)는 방송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후에 방송 분리부(120)에서 분리되는 EIT Barker 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신호의 부가 데이터에서 EIT Schedule을 파싱한다(S250).
그리고, 제어부(150)는 S250단계에서 파싱된 EIT Schedule을 이용하여, 저장부(170)에 기저장되어 있는 EIT Schedule을 업데이트한다(S260).
한편, STB의 동작모드가 EPG 모드인 경우(S270-Y), 제어부(150)는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EIT Schedule을 이용하여 EPG 화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EPG 화면이 TV를 통해 출력되도록 GUI 생성부(160)를 제어한다(S280).
여기서, EPG 모드란 사용자에 의해 EPG 화면이 호출되어 방송 수신부(110)에 의해 선국된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화면 대신 EPG 화면을 출력하여야 하는 모드를 말한다.
만약, STB의 동작모드가 EPG 모드가 아닌 경우라면(S270-N), S280단계는 수행되지 않는다.
이후, 제어부(150)는 S220단계에서 저장된 방송 수신부(110)의 최종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읽어들이고(S290), 읽어들인 정보를 토대로 방송 수신부(110)를 최종 동작상태로 회귀시킨다(S300).
지금까지, EIT Schedule 업데이트하는 과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언급한 EIT Schedule는 방송정보의 일종으로서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든 예에 불과하다. EIT Schedule 이외의 다른 방송정보의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EIT Barker 채널 역시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의 일 예를 지칭하는 문구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EIT Barker 채널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EIT Barker 채널 선국시 제어부(150)는 저장부(170)에 저장되어 있는 EIT Barker 채널 정보를 참조하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즉, 제어부(150)는 저장부(170)에 저장되어 있는 EIT Barker 채널 정보를 참조하여 EIT Barker 채널을 알아내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해당하기에, 반드시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방송 수신부(110)를 통해 현재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부가 데이터에 수록되어 있는 EIT Barker를 통해 EIT Barker 채널을 알아내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EIT Schedule 업데이트가 완료된 후에, 방송 수신부(110)를 최종 동작상태로 회귀시키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다른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도 방송 수신부(110)를 최종 동작상태로 회귀시키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상황의 예로, 메뉴 화면을 호출한 사용자가 다시 방송 화면을 호출하여 채널선국 동작이 필요하게 된 경우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부 채널을 통해 전 채널에 대한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시스템이면 어디에도 적용가능하며, NorDig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언급한 STB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든 방송수신장치의 예에 해당하므로, 본 발명은 STB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TB 이외의 다른 방송수신장치인 TV는 물론이고, 방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각종 모바일 장치(예를 들면, 휴대용 TV, 모바일 폰,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장치, MP3 플레이어 등)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STB의 블럭도,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IT Schedule 업데이트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방송 수신부 120 : 방송 처리부
130 : 방송 출력부 140 : HDD
150 : 제어부 160 : GUI 생성부
170 : GUI 생성부

Claims (18)

  1. 복수의 채널들 중 일부의 채널을 통해 상기 복수의 채널들에 대한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시스템에서의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채널선국 동작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을 선국하는 단계; 및
    상기 선국단계에서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정보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방송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정보는,
    상기 방송정보가 제공되는 채널에 대한 방송정보 및 상기 방송정보가 제공되는 채널 이외의 채널에 대한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경우는,
    1) 메뉴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2) EPG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3) 저장매체 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및 4)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영상을 입력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국단계는,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단계에서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을 선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은 EIT(Event Information Table) barker 채널이고,
    상기 방송정보는 상기 EIT Schedu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정보가 저장된 저장매체 및 현재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은 EIT barker 채널이고,
    상기 방송정보는 상기 EIT Schedule이고,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는, 현재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EIT Barker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단계는,
    상기 선국단계에서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로부터 상기 방송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및
    상기 파싱단계에서 파싱된 상기 방송정보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방송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국단계는,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채널선국을 수행하는 수신소자의 최종 동작상태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을 선국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은,
    상기 업데이트 단계가 완료된 경우 또는 상기 채널선국 동작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수신소자를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최종 동작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
  10. 복수의 채널들 중 일부의 채널을 통해 상기 복수의 채널들에 대한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시스템에 이용되는 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채널선국 동작을 수행하는 수신부;
    상기 방송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수신부의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을 선국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부에서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방송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정보는,
    상기 방송정보가 제공되는 채널에 대한 방송정보 및 상기 방송정보가 제공되는 채널 이외의 채널에 대한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경우는,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1) 메뉴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2) EPG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3)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및 4)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영상을 입력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을 선국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은 EIT(Event Information Table) barker 채널이고,
    상기 방송정보는 상기 EIT Schedu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저장부 및 상기 수신부에 의해 현재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은 EIT barker 채널이고,
    상기 방송정보는 상기 EIT Schedule이고,
    상기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는, 현재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EIT Barker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로부터 상기 방송정보를 파싱하고, 파싱된 상기 방송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기저장된 방송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선국 동작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부의 최종 동작 상태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방송정보 업데이트가 완료된 경우 또는 상기 채널선국 동작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최종 동작상태로 상기 수신부의 동작상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KR1020070138513A 2007-12-27 2007-12-27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KR2009007048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513A KR20090070488A (ko) 2007-12-27 2007-12-27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EP08160985A EP2076034A1 (en) 2007-12-27 2008-07-23 Method for updating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ceiving apparatus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513A KR20090070488A (ko) 2007-12-27 2007-12-27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488A true KR20090070488A (ko) 2009-07-01

Family

ID=40091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513A KR20090070488A (ko) 2007-12-27 2007-12-27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076034A1 (ko)
KR (1) KR200900704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990B1 (ko) 2012-01-27 2018-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3415A1 (en) 2002-06-06 2005-09-01 Fujitsu Limited Digital broadcast receiver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 acquisition of electronic program guides for specific stations
KR100575931B1 (ko) 2004-06-16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안내하는 디지털 방송수신용 단말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76034A1 (en)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43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channel
US20090089675A1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video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370347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069254B2 (ja) チャネル番号のお気に入りリストを更新する方法及び装置
JPWO2009098775A1 (ja) 受信装置、受信方法及び受信プログラム
JP4450022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6197085A (ja) 電子番組表受信装置、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90070488A (ko) 방송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KR20070014333A (ko) 방송 에이전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60173B1 (ko) 채널설정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EP2235937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earching channel
KR100735190B1 (ko) 방송 편성 정보 안내 방법 및 텔레비전 방송 수상기
US20090070818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setting favorite programs
US20040131328A1 (en)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program guide
KR20030097483A (ko) 텔레비전에서의 채널 예약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20001928A (ko)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22436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장르별 시청시간 제한 방법
KR10042610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방송 서비스 전환방법 및디지털 방송 서비스 정보 제공방법
KR20100001327A (ko) 디지털 tv의 채널 변경 방법
KR100662871B1 (ko) 방송 프로그램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1942541B1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표시 기기
JP2007082042A (ja) 受信装置、及び受信システム
JP2009049835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80019745A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별 시청환경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00035533A (ko) 방송 수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617

Effective date: 2015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