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0080A - 편광자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편광판 - Google Patents

편광자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0080A
KR20090070080A KR1020070137960A KR20070137960A KR20090070080A KR 20090070080 A KR20090070080 A KR 20090070080A KR 1020070137960 A KR1020070137960 A KR 1020070137960A KR 20070137960 A KR20070137960 A KR 20070137960A KR 20090070080 A KR20090070080 A KR 20090070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er
base film
aqueous solution
stretching
iod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7938B1 (ko
Inventor
여정섭
원종훈
함신균
임경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Priority to KR1020070137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938B1/ko
Publication of KR20090070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by squeezing between surface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노트북, 컴퓨터 모니터 및 TV용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TFT-LCD)에 사용되는 편광자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편광자의 제조방법은 상기 편광자의 기재필름인 폴리비닐알콜(PVA)필름을 염색단계 이전에 전처리단계로서 팽윤액이 담긴 팽윤조에서 팽윤시키는 팽윤단계; 상기 기재필름을 20 내지 40℃ 온도의 요오드 수용액에 침지하여 염색하되, 상기 요오드 수용액은 붕산이 0.05 내지 5중량% 포함되어 있는 요오드 수용액을 사용하는 염색단계; 상기 기재필름을 붕산 수용액 가교제에 의해 가교하는 가교단계; 상기 기재필름을 40 내지 60℃ 온도 하에서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염색단계 내지 건조단계 중 적어도 한 단계에서 상기 기재필름을 연신롤러를 이용하여 연신하는 연신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염색공정에서의 염색액의 온도범위와 최적의 화합물, 그 농도를 제시하여 염착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투과율, 편광도 등 편광자의 광특성 효율을 최적화시킨 편광자 및 편광판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편광자, 편광판, 염색공정, PVA필름, 염색액의 온도, 붕소화합물, 붕산

Description

편광자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편광판{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AND POLARIZING PLAT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모바일, 노트북, 컴퓨터 모니터 및 TV용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TFT-LCD)에 사용되는 편광자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액정표시장치의 표시패턴을 가시화 하기 위해, 광의 진동방향을 제어하는 목적으로 액정 셀의 안팎에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콜(PVA)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의 흡착에 의한 염색 및 일축 연신을 실시하여 그 이색성 색소를 배향시킨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층을 통해 투명수지필름, 특히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로 대표되는 아세트산 셀룰로오스계의 편광자 보호필름을 적층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을 필요에 따라 다른 광학필름을 통해 액정 셀에 점착제로 접합하여 액정표시소자가 구성된다. 이색성 색소로는 안트라퀴논 및 아조 염료, 뿐만 아니라 요오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편광자의 제조방법은 폴리비닐알콜(PVA) 필름 기재를 연신시키면서, 요오드 수용액에서 염색 처리하고, 요오드 칼륨 등에 의한 색상 보정과정을 거쳐 건조시키거나, 수세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편광자는 PVA 계열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편광자보호필름인 트리아세테이트셀룰로오스(TAC)필름 등과 합지하는 공정을 통하여 편광판을 제조한다.
상기 제조과정 중, 요오드 수용액에서의 염색공정은 편광판의 광특성 효율을 결정짓는 중요한 공정이다. 염색공정에서의 화합물은 주로 요오드 및 요오드화 칼륨이 사용되는데, 상기 염색공정에서의 용액의 온도와 상기 화합물의 농도가 염착 효율을 결정하고, 나아가 제조된 편광자의 광특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결정 요소이다.
즉, 염색액의 온도 및 첨가되는 화합물의 농도 및 종류에 따라 용액의 기재필름으로의 흡착 정도가 달라지고, 주름발생 여부가 결정되는 등, 편광자의 광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바, 편광자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두 요소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염색공정의 효율을 최대로 높이기 위한 염색액의 온도와 최적의 화합물 농도를 설정함으로써 광특성이 우수한 편광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로 인해 제조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편광자의 제조방법은, 상기 편광자의 기재필름인 폴리비닐알콜(PVA)필름을 염색단계 이전에 전처리단계로서 팽윤액이 담긴 팽윤조에서 팽윤시키는 팽윤단계; 상기 기재필름을 20 내지 40℃ 온도의 요오드 수용액에 침지하여 염색하되, 상기 요오드 수용액은 붕산이 0.05 내지 5중량% 포함되어 있는 요오드 수용액을 사용하는 염색단계; 상기 기재필름을 붕산 수용액 가교제에 의해 가교하는 가교단계; 상기 기재필름을 40 내지 60℃ 온도 하에서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염색단계 내지 건조단계 중 적어도 한 단계에서 상기 기재필름을 연신롤러를 이용하여 연신하는 연신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요오드 수용액은 요오드와 요오드화 칼륨의 농도가 각각 0.01 내지 1중량%, 0.01 내지 10중량%인 수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신단계는 상기 연신롤러의 회전속도의 변화에 따라 제1연신단 계와 제2연신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연신단계에서의 기재필름의 연신배율이 1.5 내지 3.0배이며, 상기 제2연신단계에서의 기재필름의 연신배율이 2.0 내지 3.0배이고, 상기 편광자 제조공정을 거친 기재필름의 전체 연신배율이 5.0 내지 8.0배인 것이 안정적인 공정과 기재필름의 절단 방지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연신단계는 상기 기재필름을 붕산수용액이 담긴 팽윤조와, 요오드 수용액 및 요오드화 칼륨 혼합수용액이 담긴 염색조와, 붕산 수용액이 담긴 가교조에 순차적으로 참지하면서 연신하고, 상기 제2연신단계는 상기 기재필름을 붕산수용액이 담긴 연신조에 침지하면서 연신하여 수행하는 것이 기재필름의 충분한 팽윤 및 효율적인 연신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편광자보호필름을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를 매개로하여 합지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편광자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편광판에 따르면, 염색공정에서의 염색액의 온도범위와 최적의 화합물, 그 농도를 제시하여 염착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투과율, 편광도 등 편광자의 광특성 효율을 최적화시킨 편광자 및 편광판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편광판의 정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편광판(10)은 편광자(100)의 양면에 접착제(200)를 매개로 하여 편광자보호필름(300)이 합지된 형태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편광자(100)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일실시예에서와 달리, 편광자보호필름(300)은 편광자(100)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일면에만 형성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편광자(100)는 후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며, 그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으로 한다.
접착제(200)는 편광자(100) 및 편광자보호필름(300)을 접착시키는 재료로서, 비닐알콜계 폴리머로 이루어진 접착제, 또는 이것과 붕산 또는 붕사, 글루타르알데히나나 멜라민, 옥살산 등, 비닐알콜계 폴리머의 수용성 가교제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는 수용액의 도포 건조층 등으로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다른 첨가제나 산 등의 촉매를 배합할 수 있다. 특히, 폴리비닐알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편광자용 PVA 기재와의 접착성이 가장 양호하다는 점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편광자보호필름(300)은 편광자(100)의 상하 양측에 부착되어 편광자를 지지 및 보호하는 필름이며, 투명성이나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이나 수분 차폐성 등이 뛰어난 폴리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와 같은 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편광 특성이나 내구성 등을 고려할 때 가장 바람직하게는 표면을 알칼리 등으로 비누화 처리한 두께 80㎛ 이상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편광자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의 제조방법은 팽윤단계(S10), 염색단계(S20), 가교단계(S30), 건조단계(S40), 연신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팽윤단계(S10)는 염색단계(S20)를 비롯한 본 공정을 수행하기 이전에 PVA 기재필름 내의 PVA의 분자 사슬을 보다 유연하게 하며, 분자 사슬을 이완시켜 염색공정에서 요오드 화합물 등의 염료가 PVA 필름 내부로 염착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공정이며, 본 발명에서의 팽윤단계(S10)에서는 편광자(100)의 기재필름인 폴리비닐알콜(PVA)필름을 염색단계(S20) 이전의 전처리단계로서 팽윤액이 담긴 팽윤조에서 팽윤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의 팽윤단계(S10)에서 제공되는 편광자의 기재필름인 폴리비닐알콜 필름은 통상 100㎛ 이하의 두께의 것이 적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5㎛,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0㎛ 두께의 필름을 적용한다. 상기 기재필름의 두께가 75㎛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염착 효율이 저하될 뿐 아니라, 제작된 편광자를 액정 표시장치에 실장할 경우, 표시패널의 색변화가 커질 우려가 있으며, 그 두께가 40㎛ 미만인 경우에는 연신단계(S50)를 수행하기가 용이하지 아니한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40 내지 75㎛의 얇은 두께의 기재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팽윤단계(S10)에서 기재필름의 팽윤 정도가 크기 때문에 주름 발생의 가능성이 높고, 건조단계(S40)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분 증발이 커서 취성이 커지므로, 편광자 제조 후 편광자보호필름과 합지하는 과정에서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높으므로, 공정조건에 따라 적절한 기재필름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팽윤단계(S10)에서 사용되는 팽윤액은 바람직하게는 순수 또는 바람직하게는 붕산수용액으로 이루어진 붕소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그 온도는 두께가 75㎛ 이상인 편광자 기재필름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20 내지 45℃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이고, 두께가 75㎛ 이하인 편광자 기재필름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15 내지 40℃이며,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이다. 여기서, 두께가 75㎛ 이하인 얇은 기재필름을 사용할 경우의 팽윤액의 온도 15 내지 40℃는 연신단계(S20)를 수행함에 있어 팽윤되는 정도를 적절히 작게하여 기재필름에서의 주름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설정하는 최적의 온도조건이다.
여기서, 상기 팽윤액으로서 붕산 수용액을 사용할 경우에는 붕산의 농도를 0.01중량% 내지 5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붕산의 농도가 5중량% 를 초과하여 포함된 경우에는 PVA의 표면 가교화가 이루어져 염색과정에서 기재필 름 내부로의 염색액의 염착이 용이하게 수행되지 못하며, 연신단계(S50)에서 기재필름이 절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기재필름에 주름이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염색단계(S20)는 기재필름을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에 침지하여 상기 염료를 기재필름 내부에 흡착시키는 공정이다. 여기서, 요오드 수용액을 염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요오드에 요오드화 칼륨 수용액을 용해 보조제로 하여 요오드 이온을 포함하는 혼합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요오드의 사용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01내지 1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8중량%이며, 상기 요오드화 칼륨의 사용 농도는 0.01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8중량%이다.
본 발명에 의한 편광자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상기 요오드 수용액에는 상기 요오드 및 요오드화 칼륨 이외에 가교공정에 사용되는 붕산이 더 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 붕산의 첨가 농도에 따라 제조된 편광자의 광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파악하고, 상기 붕산의 첨가 농도의 최적화 범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상기 요오드 수용액에 포함되는 붕산의 첨가 농도가 요오드 수용액 100중량% 대비 0.5 내지 5.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중량%가 함유된 경우가 가장 우수한 광특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붕산의 첨가 농도가 5.0중량%를 초과한 경우에는 기재필름인 PVA 필름의 표면 가교화에 따라 PVA 필름 내부로의 염착이 용이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며, 상기 농도가 0.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연신단계(S50)에서 기재필름의 절단 및 기재필름에 염착된 요오드 화합물의 탈리가 발생하기 쉬워 광특성 저하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염색액으로 사용되는 요오드 수용액의 온도 범위는 20 내지 40℃ 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이다. 상기 염색액의 온도가 4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재필름에 주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온도가 20℃ 미만인 경우에는 PVA 분자 사슬을 효과적으로 이완시키지 못해 PVA 내부로의 염착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가교단계(S30)는 기재필름을 가교제에 침적시킴으로써 기재필름의 PVA 분자사슬을 가교시키기 위하여 수행되는 단계로서, 사용되는 가교제는 붕산이나 붕사 수용액을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상기 붕산 수용액에는 요오드화 칼륨이 포함될 수 있다.
건조단계(S40)는 상기 기재필름을 45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65℃ 온도, 75㎛ 미만의 기재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4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60℃ 온도 하에서 건조하는 단계이다.
연신단계(S50)는 상기 팽윤단계(S10) 내지 건조단계(S40)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와 함께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단계들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의 시작되기 전이나 마친 후, 또는 각 단계들 사이에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연신단계(S50)에서 사용되는 연신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아니하지만, 습윤 연신법과 건식 연신법 양자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건식 연신법에 의한 연신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인터롤 연신법(inter-roll stretching method), 가열롤 연신법(heated roll stretching method) 및 압축 연신법(compression stretching method) 등이 있으며, 다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연신단계(S50)는 제1연신단계(S51)과, 제2연신단계(S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신단계(S51)와 제2연신단계(S52)로 연신단계(S50)를 나누는 것은 연신을 수행하는 연신롤러의 회전속도의 변화에 따라 구분한 것이다. 상기 2단 연신을 수행하는 것은 안정적인 연속생산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전체 연신비를 올리는데 유리하여 광특성 향상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1연신단계(S51)에서의 기재필름의 연신배율이 1.5 내지 3.0배이며, 상기 제2연신단계(S52)에서의 기재필름의 연신배율이 2.0 내지 3.0배이고, 상기 편광자 제조공정을 거친 기재필름의 전체 연신배율이 5.0 내지 8.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신단계(S51)에서의 연신배율을 1.5 내지 3.0배로 수행하는 것은 염색 처리에 의한 기재필름의 늘어짐이나 주름의 발생 염려를 감소시키고, 연신의 얼룩을 없애기 위함이다. 연신배율이 1.5배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이 늘어져 염색 시에 그 부분이 염색 얼룩이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3.0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투과율, 고편광도의 편광판을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제2연신단계(S52)에서의 연신배율이 2.0 내지 3.0배인 것은, 2.0배 미만인 경우에는 기재필름의 늘어짐 또는 주름의 발생이라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3.0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신 중의 필름의 절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제1연신단계(S51)에서의 기재필름의 연신배율이 1.5 내지 3.0배이며, 상기 제2연신단계(S52)에서의 기재필름의 연신배율이 2.0 내지 3.0배이고, 상기 편광자 제조공정을 거친 기재필름의 전체 연신배율이 5.0 내지 8.0배가 되도록 연신단계(S50)를 수행한다.
상기 제1연신단계(S51)에서의 연신배율을 1.5 내지 3.0배로 수행하는 것은 염색 처리에 의한 기재필름의 늘어짐이나 주름의 발생 염려를 감소시키고, 연신의 얼룩을 없애기 위함이다. 연신배율이 1.5배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이 늘어져 염색 시에 그 부분이 염색 얼룩이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3.0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투과율, 고편광도의 편광판을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제2연신단계(S52)에서의 연신배율이 2.0 내지 3.0배인 것은, 2.0배 미만인 경우에는 기재필름의 늘어짐 또는 주름의 발생이라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3.0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신 중의 필름의 절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편광자 제조공정을 거쳐 제조된 편광자(100)와 상술한 편광자보호필름(300)과 합지하는 합지공정을 통해 편광판(10)으로 제조된다.
편광자(100) 및 편광자보호필름(300)을 접착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아니하지만, 탑-다운(top-down) 방식, 다운-탑(down-top)방식, 그리고 수평합지방식으로 나뉜다. 본 발명에서는 세가지 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편광자(100)에 편광자보호필름(300)을 접착시킬 때에는 미리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시키거나, 편광자(100)와 편광자보호필름(300)이 합지되는 시점에 접착제를 떨어뜨려 접착시키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 착하거나, 떨어뜨려 접착시키는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두가지 방식을 모두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광판에 다른 광학층 등의 광학부재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광학부재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아니하나, 예를 들어 반사판이나 반투과 반사판, 위상차판(1/2 파장판, 1/4 파장판 등의 λ판도 포함한다.), 시각보상필름, 휘도향상 필름 등 액정 표시장치 등의 형성에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광학층의 1층 또는 2층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본 발명과 비교되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기재필름으로서 75㎛ 두께의 PVA필름을 25℃ 붕산수용액이 담긴 팽윤조와, 붕산 농도가 2.5중량%이고, 온도 30℃인 요오드 및 요오드화 칼륨의 혼합수용액이 담긴 염색조와, 50℃ 붕산 수용액이 담긴 가교조에 순차적으로 참지하면서 일축 연신하여 연신배율 2.70배로 연신한 후, 상기 기재필름을 붕산수용액이 담긴 연신조에 침지하면서 일축 연신하여 연신배율 2.33배로 연신하여 전체 연신배율 6.3배로 연신한 후, 55℃ 환경 하에서 건조하여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편광자 제작 후 편광자보호필름인 테트라아세테이트셀룰로오스(TAC) 필름을 편광자와 합지하는 방식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염색조에 담긴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 혼합수용액에 붕산이 1.5중량% 포함되고, 온도가 25℃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염색조에 담긴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 혼합수용액에 붕산이 1.5중량% 포함되고, 온도가 30℃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염색조에 담긴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 혼합수용액에 붕산이 1.5중량% 포함되고, 온도가 35℃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염색조에 담긴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 혼합수용액에 붕산이 2.5중량% 포함되고, 온도가 25℃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염색조에 담긴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 혼합수용액에 붕산이 2.5중량% 포함되고, 온도가 35℃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염색조에 담긴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 혼합수용액에 붕산이 3.5중량% 포함되고, 온도가 25℃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염색조에 담긴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 혼합수용액에 붕산이 3.5중량% 포함되고, 온도가 30℃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염색조에 담긴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 혼합수용액에 붕산이 3.5중량% 포함되고, 온도가 35℃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편광판의 특성 평가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투과율
투과율은 분광도계(Jasco사의 V-710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투과율(%) = (Iout/Iin) * 100
여기서, Iin 는 입사광, Iout 는 투과광이며,
단체투과율(Ts)은 1개의 편광판의 전광선 투과율(%),
평행투과율(Tp)은 2매의 편광판의 편광축을 평행으로 하여 겹칠 때의 전광선 투과율(%),
직교투과율(Tc)은 2매의 편광판의 편광축을 직교시켜서 겹칠 때의 전광선 투과율(%)이다.
편광도( PE )
편광도는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편광도(PE) = [(Tp-Tc)/(Tp+Tc)]1/2 * 100 (%)
편광판 CR
편광판 CR은 평행투과율(Tp)/직교 투과율(Tc)의 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상기 특성 평가데이터는 아래 <표 1>에 정리하였다.
단체투과율(Ts) (%) 평행투과율(T p) (%) 직교투과율(Tc ) (%) 편광도(PE) (%) 편광판 CR (Tp/Tc)
실시예 1 43.89 37.94 0.040 99.895 948.50
실시예 2 43.84 37.92 0.022 99.942 1723.64
실시예 3 43.79 37.87 0.018 99.953 2103.89
실시예 4 43.81 37.80 0.025 99.934 1512.00
실시예 5 43.77 37.79 0.042 99.889 899.76
실시예 6 43.85 37.92 0.043 99.887 881.86
실시예 7 43.82 37.90 0.067 99.823 565.67
실시예 8 43.78 37.81 0.065 99.829 581.69
실시예 9 43.75 37.76 0.067 99.823 563.58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까지의 모든 실시예로 제조된 편광자가 우수한 광특성(편광판 CR)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중에서 실시예 3의 경우가 편광판 광특성 효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붕산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광특성 효율이 낮았으며, 동일 붕산 농도일 경우에는 액 온도가 25 내지 35℃일 때 광특성 효율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염색 공정 조건에 있어서, 염색액의 온도, 붕소화합물의 첨가 및 상기 붕소화합물이 첨가된 농도에 대한 조절을 통해 광특성 효율이 높은 편광판 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성을 중심으로 실시예와 비교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첨부 된 특허청구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가능한 다양한 변형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편광판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편광자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편광자 200: 접착제 300: 편광자보호필름

Claims (5)

  1. 편광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기재필름인 폴리비닐알콜(PVA)필름을 염색단계 이전에 전처리단계로서 팽윤액이 담긴 팽윤조에서 팽윤시키는 팽윤단계;
    상기 기재필름을 20 내지 40℃ 온도의 요오드 수용액에 침지하여 염색하되, 상기 요오드 수용액은 붕산이 0.05 내지 5중량% 포함되어 있는 요오드 수용액을 사용하는 염색단계;
    상기 기재필름을 붕산 수용액 가교제에 의해 가교하는 가교단계;
    상기 기재필름을 40 내지 60℃ 온도 하에서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팽윤단계 내지 건조단계 중 적어도 한 단계에서 상기 기재필름을 연신롤러를 이용하여 연신하는 연신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 수용액은 요오드와 요오드화 칼륨의 농도가 각각 0.01 내지 1중량%, 0.01 내지 10중량%인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단계는 상기 연신롤러의 회전속도의 변화에 따라 제1연신단계와 제2연신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연신단계에서의 기재필름의 연신배율이 1.5 내지 3.0배이며,
    상기 제2연신단계에서의 기재필름의 연신배율이 2.0 내지 3.0배이고,
    상기 편광자 제조공정을 거친 기재필름의 전체 연신배율이 5.0 내지 8.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자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신단계는 상기 기재필름을 붕산수용액이 담긴 팽윤조와, 요오드 수용액 및 요오드화 칼륨 혼합수용액이 담긴 염색조와, 붕산 수용액이 담긴 가교조에 순차적으로 참지하면서 연신하고, 상기 제2연신단계는 상기 기재필름을 붕산수용액이 담긴 연신조에 침지하면서 연신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자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편광자보호필름을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를 매개로하여 합지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KR1020070137960A 2007-12-26 2007-12-26 편광자의 제조방법 KR100947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960A KR100947938B1 (ko) 2007-12-26 2007-12-26 편광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960A KR100947938B1 (ko) 2007-12-26 2007-12-26 편광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080A true KR20090070080A (ko) 2009-07-01
KR100947938B1 KR100947938B1 (ko) 2010-03-15

Family

ID=41321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960A KR100947938B1 (ko) 2007-12-26 2007-12-26 편광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9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5725A2 (ko) * 2010-06-09 2011-1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필름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400132B1 (ko) * 2013-10-07 2014-05-3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자의 제조 방법
JP2017107239A (ja) * 2015-11-27 2017-06-15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及び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の検出方法
WO2020091451A1 (ko) * 2018-11-02 2020-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자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005B1 (ko) * 2001-09-28 2008-10-2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과 액정 표시 장치
KR100714169B1 (ko) * 2001-10-16 2007-05-0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JP4394431B2 (ja) * 2003-12-11 2010-01-0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TWI272409B (en) * 2005-02-04 2007-02-01 Optimax Tech Corp Polarizing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5725A2 (ko) * 2010-06-09 2011-1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필름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11155725A3 (ko) * 2010-06-09 2012-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필름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8767296B2 (en) 2010-06-09 2014-07-01 Lg Chem, Ltd. Device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1400132B1 (ko) * 2013-10-07 2014-05-3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자의 제조 방법
JP2017107239A (ja) * 2015-11-27 2017-06-15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及び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の検出方法
WO2020091451A1 (ko) * 2018-11-02 2020-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자의 제조 방법
KR20200050717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938B1 (ko) 201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939B1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JP4928529B2 (ja)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437139B1 (ko) 편광판, 광학장치 및 편광판 제조방법
CN103718073B (zh) 光学层压体、光学层压体套件和使用所述光学层压体或所述光学层压体套件的液晶面板
JP5473840B2 (ja)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120053492A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편광자, 편광판, 광학 필름, 화상표시장치 및 세정장치
KR100950855B1 (ko) 폴리비닐알콜 편광자 제조방법
KR20100102292A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편광자 및 이것이 구비된 편광판
JP2012013764A (ja)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0947938B1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KR100947936B1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KR20100102291A (ko) 박형 편광자의 제조방법, 박형 편광자 및 이것이 구비된 편광판
KR100932049B1 (ko) 편광판의 제조방법
TW201738596A (zh) 偏光板之套組及使用該套組之ips模式液晶顯示裝置
KR20100008203A (ko) 박형 적층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72265B1 (ko)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판
KR100947937B1 (ko) 편광판의 제조방법
JP2018060150A (ja) Ipsモード用の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KR20130074663A (ko) 편광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KR101659134B1 (ko)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57924A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JP2018060149A (ja) 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TW202401049A (zh) 偏光板的製造方法
KR20190072139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2018060147A (ja) 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