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8254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홉 중계를 위한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홉 중계를 위한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8254A
KR20090068254A KR1020097007744A KR20097007744A KR20090068254A KR 20090068254 A KR20090068254 A KR 20090068254A KR 1020097007744 A KR1020097007744 A KR 1020097007744A KR 20097007744 A KR20097007744 A KR 20097007744A KR 20090068254 A KR20090068254 A KR 20090068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stations
protocol data
transmitting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1899B1 (ko
Inventor
신 카이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유에스에이)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유에스에이) 인크. filed Critical 지티이 (유에스에이) 인크.
Publication of KR20090068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05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중계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BS)과 하나 이상의 중계국(RS) 사이에 데이터 블록들의 무선 전송을 스케쥴링하는 시스템 및 기술의 구현들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홉 중계를 위한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FOR MULTI-HOP R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본 출원은 2006년 9월 19일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Frame Structure For Multi-Hop R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인 미국 특허 가출원 번호 제60/845,950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여기서는 이 출원의 명세서의 일부로서 참조로 포함한다.
본 출원은 기지국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중계국들을 이용한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시스템들의 커버리지 영역의 셀들 내에 위치된 고정 또는 이동 무선 통신 장치들, 예를 들어, 이동 무선 폰 및 무선 통신 카드를 가진 랩톱 컴퓨터들과 통신하기 위해 전자기 파들을 이용한다. 무선 통신 서비스 또는 특정 종류의 무선 서비스들을 위해 지정되거나 또는 할당된 무선 스펙트럼 범위 또는 대역은 서로 다른 통신 주파수 채널들을 발생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무선 반송파 주파수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셀들로 분할되는 지리적 서비스 영역에서의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기지국들을 이용한다. 이러한 셀룰라 배치에서, 각각의 기지국(BS)은 각각의 셀의 중심에 개념적 으로 위치되어 그 셀에 대해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BS 발생 다운링크(DL) 무선 신호를 통하여 이동 SS(MSS)와 같은 무선 가입자국(SS)에 정보를 전송한다. 특정 셀에서의 가입자국은 업링크(UL) 무선 신호들을 통하여 그 특정 셀에 대한 가입자국의 서빙 기지국에 정보를 전송한다. 기지국들은 각각의 셀을, 각각의 안테나가 하나의 섹터를 커버하는 서로 다른 셀 섹터들로 추가로 분할하기 위해 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셀의 이 섹터화는 통신 용량을 증가시킨다.
고정된 기지국의 네트워크의 무선 커버리지는 여러 요인들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여러 구조물들이 특정 기지국들의 무선 신호들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층 빌딩은 기지국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들로부터 특정 영역을 차폐할 수 있고 따라서, 원하지 않는 쉐도우 현상(shadowing)을 발생시킬 수 있다. 무선 셀의 에지에서, 신호 강도는 약해질 수 있고, 따라서, 무선 통신에서의 에러율이 증가할 수 있다. 이들 한계 및 다른 한계를 완화시키는 한 접근 방식은 주어진 서비스 영역에서의 기지국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 방식 하에서의 일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중계국들(RS들)이 가입자국과 기지국 사이의 통신 신호들을 중계하기 위해 특정한 고정된 기지국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커버리지를 확장시키고 기지국의 통신 용량 및 품질을 증가시킨다. 중계국은 관련 스테이션(relation station)과 같이, 배치를 위한 특정 조건들에 따라 고정된 트랜시버 또는 이동 트랜시버 스테이션일 수 있다. 가입자국 신호는 서빙 기지국에 도달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RS들을 통하여 홉핑(hop)할 수 있다. 제안된 IEEE 802.16j는 가입자에 대한 향상된 커버리지와 서비스를 위해 중계국들을 이용하도록 이동 멀티- 홉 중계(MMR; Mobile Multi-hop Relay) 모드들을 이용한다. IEEE 802.16j하에서의 멀티-홉 중계 무선 네트워크는 MMR 모드들의 지원 능력을 갖는 MMR 기지국들(MMR-BS)을 포함할 수 있다.
일 형태에서, 무선 중계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들, 중계국들 및 가입자국들 사이에 데이터 제어 메시지 스트림들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이 설명되어 있으며, 이 방법은 기지국이 네트워크로부터 가입자국들에 대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수신하도록 동작시키는 단계와, 기지국의 제어 하에서 하나 이상의 중계국들의 중계국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기지국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으로부터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생성하도록 동작시키는 단계와, 기지국이 채널 자원 할당 정보를 갖는 전송 스케쥴을 발생시키도록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중계국이 대응하는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수신하도록 지정된다.
다른 형태에서, 무선 중계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들과 중계국들 사이에 데이터 및 제어 메시지 스트림들을 수신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본 방법은,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1) 하위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 및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중 하나 이상으로 디코딩하는 단계와, (1) 하나 이상의 각각의 중계국들 및 (2) 하나 이상의 가입자국들 중 적어도 하나에 하나 이상의 하위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및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형태에서, 기지국들, 중계국들 및 가입자국들 사이에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무선 중계 통신 네트워크가 설명되어 있으며, 이 무선 중계 통신 네트워크는 기지국으로부터 각각의 가입자국으로의 통신 경로를 결정하는 스케쥴러 로직과, 다운링크 데이터 및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하고 업링크 데이터 및 제어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송신기/수신기 구성요소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하기 위한 지속 기간(time duration)을 결정하는 스케쥴러 로직과 데이터 및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하고 데이터 및 제어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송신기/수신기 구성요소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중계국을 포함한다. 기지국과 중계국은 하나 이상의 가입자국과 통신하도록 동작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 무선 중계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들, 중계국들 및 가입자국들 사이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중계국이 프레임 구조에 대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부분들에서 전송할 수 있게 하는 다운링크 중계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 특징 및 다른 특징은 첨부된 도면,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도 1은 멀티-홉 중계 무선 네트워크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들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4, 도 5a 및 도 5b는 중계 프레임 구조들의 3가지 예들을 나타낸다.
도 6은 기지국 스케쥴러의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그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지정된 하위 중계국들과 가입자국들에 중계하는데 있어 중계국의 예시적인 동작을 나타낸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이 애플리케이션에서 설명된 중계 프레임 구조들을 구현하는데 있어 무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3가지 예들을 나타낸다.
IEEE 802.16j에서 정의된 MMR(Mobile Multi-hop Relay; 이동 멀티-홉 중계) 모드들은 공개된 IEEE 802.16-2004 표준 및 IEEE 802.16e-2005 표준과 역방향으로 호환가능한 것을 필요로 한다. 중계국(RS) 및 MMR 기지국(MMR-BS)과 함께 동작하기 위해 기존의 이동국(MS)에 어떠한 변경도 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된 RS(Fixed RS), 휴대 이동 RS(Nomadic RS) 및 이동 RS(Mobile RS)와 같은 여러 유형들의 중계국들과 MMR-BS는 IEEE 802.16j 프로젝트 태스크 그룹(TGj)에 정의되어 있다. IEEE 802.16j 프로젝트 인증 요청(PAR; Project Authorization Request)에 따르면, 이 보정안은 중계국들과 기지국들의 상호 연동가능한 802.16 멀티-홉 중계 능력들과 기능들을 특정함으로써 802.16 네트워크들의 커버리지, 처리량 및 시스템 용량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 애플리케이션의 사양들은 다른 무엇보다도, 기지국(BS)과 하나 이상의 중계국들(RS) 사이의 데이터 블록들의 무선 전송을 스케쥴링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기술들의 구현을 설명한다. 스케쥴링은 기지국과 중계국들 사이의 전송 링크들의 품질, 중계국 셀 커버리지 영역들에서의 가입자국(SS) 또는 이동국(MS)을 지원하기 위해 중계국들에 대한 데이터량 및 데이터의 유형과 같은 하나 이상의 요인들에 기초할 수 있다. 일 형태에서, 스케쥴링은 데이터 블록들을 수신하거나 또는 전송하 기 위해 각각의 중계국들에 주파수 블록들과 타임 슬롯들을 할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블록들은 중계국의 셀과, 필요에 따라 중계국의 하위 셀들에 대한 트렁크 트래픽들(trunk traffic)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 기지국과 중계국들 사이에 데이터 스트림들을 전송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가입자국들 또는 이동국들에 대한 네트워크로부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PDU)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PDU들을 동일한 지정된 중계국에 대해 캡슐화하는 단계와,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R-PDU)을 생성하는 단계와, 기지국의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미리 정해진 주파수 블록들과 미리 정해진 타임 슬롯들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지정된 중계국은 알려진 스케쥴 정보에 따라 다운링크 트래픽을 디코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송 또는 수신 스케쥴은 일부 구현예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채널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 다운링크 스케쥴 정보는 무선 시스템에서 중계국들에 대해 미리 정해지고 알려져 있다. 이 구성에서, 전송 또는 수신 스케쥴은 기지국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중계국들에 전송되지 않는다.
다른 형태에서, 다운링크 스케쥴 정보는 기지국에 의해 발생되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이 스케쥴 정보는 기지국 다운링크 MAP, 중계국 고유 다운링크 MAP, 또는 특수 다운링크 정보 요소(IE)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 다운링크 스케쥴 정보는 중계국에 의해 발생되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이 스케쥴 정보는 일반 다운링크 MAP 또는 중계국 고유 다운링크 MAP 또는 특수 다운링크 정보 요소(IE)의 일부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 다운링크 스케쥴 정보는 기지국에 의해 발생되어,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데 이용되고 동일한 주파수 대역 내에 있는 무선 주파수 채널과는 다른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송된다. 다운링크 스케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이 무선 주파수 채널은 협대역폭을 가진 제어 채널일 수 있다. 다운링크 스케쥴 정보는 또한 데이터 패킷들을 전달하는 채널과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다운링크 스케쥴 정보는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위한 상이한 또는 동일한 기술을 이용하여 그리고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상이한 또는 동일한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다운링크 스케쥴 정보는 대역외 전송(out-of-band)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이 스케쥴 정보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의 특정 기간 또는 할당된 타임 슬롯에서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중계국에 의해 수신된다.
다른 형태에서, 다운링크 스케쥴 정보는 중계국에 의해 발생되어, 데이터 패킷들을 중계국의 하위 중계국에 전송하기 위한 채널과 다른 무선 주파수 채널에서 전송된다. 다운링크 스케쥴 정보에 대한 이 채널은 제어 채널을 통할 수 있다. 다운링크 스케쥴 정보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위한 상이한 또는 동일한 기술을 이용하여 또는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위한 상이한 또는 동일한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다운링크 스케쥴 정보는 대역외 전송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이 스케쥴 정보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의 특정 기간에서 또는 할당된 타임 슬롯에서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하위 중계국에 의해 수신된다.
다른 형태에서, 중계국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중계국에 대한 특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인 R-PDU(Relay Protocol Data Unit)을 수신하는 단계와, R-PDU를 R-PDU의 하위 R-PDU와 정규 PDU들로 디코딩하는 단계와, 이들을 지정된 중계국과 가입자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형태에서, 업링크 스케쥴 정보는 미리 정해질 수 있고 무선 시스템에서의 중계국에 알려질 수 있어 따라서 전송되지 않는다.
또 다른 형태에서, 업링크 스케쥴 정보는 기지국에 의해 발생되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이 스케쥴 정보는 기지국 업링크 MAP 또는 중계국 고유 업링크 MAP 또는 특수 업링크 정보 요소(IE)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에서, 업링크 스케쥴 정보는 중계국에 의해 발생되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이 스케쥴 정보는 업링크 MAP 또는 중계국 고유 업링크 MAP 또는 특수 업링크 정보 요소(IE)의 일부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에서, 업링크 스케쥴 정보는 기지국에 의해 발생되어, 동일한 주파수 대역 내에 있고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주파수 채널과 다른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송된다. 업링크 스케쥴 정보를 전달하는 무선 주파수 채널은 협대역폭을 가진 제어 채널일 수 있다. 업링크 스케쥴 정보는 또한 데이터 패킷들을 전달하는 채널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될 수 있다. 업링크 스케쥴 정보는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위한 상이한 또는 동일한 기술을 이용하여 또는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위한 상이한 또는 동일한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 다. 업링크 스케쥴 정보는 대역외 전송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이 스케쥴 정보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의 특정 기간 또는 할당된 타임 슬롯들에서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중계국에 의해 수신된다.
또 다른 형태에서, 업링크 스케쥴 정보는 중계국에 의해 발생되어,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데 이용되고 동일한 주파수 대역 내에 있는 주파수 채널과 다른 무선 주파수 채널로 전송된다. 이 업링크 스케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채널은 협대역폭을 가진 제어 채널일 수 있다. 업링크 스케쥴 정보는 또한 데이터 패킷들을 전달하는 채널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될 수 있다. 업링크 스케쥴 정보는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위한 상이한 또는 동일한 기술을 이용하여, 또는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위한 상이한 또는 동일한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업링크 스케쥴 정보는 대역외 전송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이 스케쥴 정보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의 특정 기간 또는 할당된 타임 슬롯들에서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하위 중계국에 의해 수신된다.
이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형태들은 하나 또는 복수의 중계국들을 통하여 다운링크 트래픽 스트림들을 전송하기 위한 기술들, 하나 또는 복수의 중계국들을 통하여 업링크 트래픽 스트림들을 전송하기 위한 기술들, 중계국들에 대한 전용 버스트 할당에 의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과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전송하기 위한 기술들 및 중계국들에 대한 전용 구역 할당에 의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과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전송하기 위한 기술들의 구현들을 포함한다.
도 1은 이 애플리케이션에서 기술된 중계국들에 대한 프레임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멀티-홉 중계 통신 시스템의 일부분을 나타낸다. 이 시스템은 서빙하는 하나 이상의 가입자국(예를 들어, SSl 내지 SS8)에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BS)(100)과 복수의 중계국(101; RSl, 102; RS2, 및 103; RS3)을 포함한다. 기지국(100)은 고정된 기지국일 수 있으며, 관련 스테이션들(101, 102 및 103)은 고정된 중계국, 휴대 이동(nomadic) 중계국들 또는 이동 중계국들일 수 있다. 이러한 중계국은 이동중에 있는 차량, 기차, 배 또는 보트 또는 다른 이동중인 플랫폼들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중계국은 고층 빌딩 또는 언덕의 쉐도우에서와 같이 빈약한 무선 수신 특성을 갖는 영역에서 빌딩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특정예에서, 2개의 가입자국들(SS3 및 SS4)이 RSl(101)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내어진다.
중계국은 기지국 또는 상위 또는 부모 중계국의 커버리지를 확장하는데 이용된다. 도 1에서의 예를 참조하여 보면, BS(100)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고 나머지 네트워크에 대해 중계국들(RSl; 101, RS2; 102 및 RS3; 103)에 대한 게이트웨이이기 때문에 중계국들(RSl; 101, RS2; 102 및 RS3; 103)은 BS(100)에 대해 하위에 있다. 이 환경에서, BS(100)는 중계국들(RSl; 101, RS2; 102 및 RS3; 103)에 대해 상위의 것이다. 추가로, 상위의 BS(100)의 제어 하에서의 중계국들(RSl; 101, RS2; 102 및 RS3; 103)은 서로에 대해 상위 관계 및 하위 관계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중계국(RS3; 103)이 중계국(RS2; 102)을 통하여 BS(100)와 통신하기 때문에 중계국(RS3; 103)은 중계국(RS2; 102)에 대해 하위에 있다. 따라서, 중계국(RS2; 102)은 중계국(RS3; 103)에 대해 상위에 있다. 이 환경에서, 도 1의 시스 템에서의 BS들과 중계국들은 이들의 상대적 관계들에 기초하여 상위 기지국들과 하위 기지국들로 분류될 수 있다. 도 1에서의 BS(100)는 모든 중계국들에 대해 상위 기지국이며, 중계국들(RS2; 102)은 BS(100)에 대해 하위의 기지국이지만 중계국(RS3; 103)에 대해 상위의 기지국이다.
기지국(100)은 기지국(100)으로부터 각각의 가입자국으로의 통신 경로를 결정하는 스케쥴러 로직과, 다운링크 데이터와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하고 업링크 데이터와 제어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송신기/수신기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중계국들(101, 102 또는 103)은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하기 위한 지속기간을 결정하는 스케쥴러 로직과, 데이터 및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하고 데이터와 제어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송신기/수신기를 포함한다. 기지국(100)과 중계국은 하나 이상의 가입자국과 통신하도록 동작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멀티-홉 중계 통신 시스템에 대한,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을 포함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 트래픽 스트림들의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가입자국들(SSl 및 SS2)은 어떠한 중계국들을 통해서도 호핑함이 없이 기지국(BS; 100)에 의해 직접 서빙된다. 기지국(BS; 100)은 RS2(102)를 통하여 SS5 및 SS6와 통신하여, DL 스트림들이 첫 번째로 BS(100)로부터 RS2(102)에 전송되고 그 후 RS2(102)가 SS5 및 SS6에 대해 DL 스트림을 전송한다. SS7 및 SS8에 대해, BS(100)와의 통신들은 RS2(102) 및 RS3(103)을 통한 2회의 호핑들을 경험한다.
도 4는 도 1에서의 시스템에 대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프레임을 포함한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횡축은 무선 자원의 타임 슬롯 부분을 나타내며, 종축은 무선 자원의 주파수 부분을 나타낸다. 다운링크 프레임은 기지국(BS; 100)으로부터 가입자국들로의 직접 전송과, 기지국(BS; 100)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중계국들을 통하여 가입자국들로의 전송을 포함한다. 업링크 프레임은 가입자국들로부터 기지국(BS; 100)으로의 직접 전송과, 가입자국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중계국들을 통하여 기지국(BS; 100)으로의 전송을 포함한다. 다운링크 프레임과 업링크 프레임은 기지국 송신/수신 전환 시간(TTG; transmit-to-receive transition time)에 의해 시간에 있어 분리된다. 하나의 프레임은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하나 이상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완료 후, 기지국 수신/송신 전환 시간(RTG; receiver/transmit transition gap)으로 알려진 시간 갭이 후속 프레임의 하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마지막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에 추가된다.
도 4에서의 종축에 따른 주파수 도메인에서, 공통 주파수 대역 내의 상이한 채널 주파수들 또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상이한 채널 주파수들이 도 1의 시스템에서 여러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할당된다. 이러한 상이한 채널 주파수들의 할당은 각각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변화한다. 이 예에서, 프레임의 프리앰블이 첫 번째로 BS(100)에 의해 전송되며, 후속하여 프레임 제어 헤더(FCH), 다운링크 MAP(DL-MAP) 및 업링크 MAP(UL-MAP)의 전송이 뒤따르는데 이들은 이 예에서 상이한 채널 주파수들에서의 전송을 위해 동일한 타임 슬롯에 할당된다.
도 4에서의 예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은 기지국(100)으로부터 기지국의 중계국들로 전송된 데이터 버스트들과, 하나의 중계국으로부터 다른 중계국으로 전송된 데이터 버스트들과, 중계국들로부터 관련 가입자 국들로 전송된 데이터 버스트들을 포함한다. 다운링크 버스트 할당은 다운링크 상에서 가입자국에 의해 시분할 멀티플렉스(TDD)와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양쪽 모두에 대해 버스트 시작 시간들을 정의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메시지를 기술하는 IEEE 802.16 네트워크에서 DL-MAP(Downlink Map)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DL-MAP과 다른 다른 다운링크 메시지들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버스트 할당 신호들이 신호의 부모 기지국들에 의해 또는 신호의 부모 중계국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유사하게, 업링크 서브프레임은 가입자국들로부터 지정 중계국들로의 데이터 버스트들과, 중계국들로부터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버스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업링크 버스트 할당은 UL-MAP(Uplink Map)에 의해 또는 다른 업링크 메시지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버스트 할당 신호들은 그 부모인 상위 기지국들 또는 상위 중계국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중계국들(RS2; 102 및 RS3; 103)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하는 주파수-시간 할당이 강조 표시되어 있고 관련 신호 전송 경로들이 화살표 선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중계국들(RS2; 102)에 대한 TTG가 나타나 있으며, 각각의 중계국에 대한 최소의 TTG(Transmit-to-Receive Transition Time)를 충족시키도록 설정된다. BS(100)로부터 중계국으로의 데이터 버스트는 중계국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하는 중계국은 수신하는 중계국들에 보내진 수신된 데이터 버스트에서의 데이터의 부분들을 디코딩하고 제거하며, 하나 이상의 하위 중계국들과 하나 이상의 하위 가입자 국들에 나머지 수신된 데이터 버스트를 중계한다. 적합한 데이터가 중계국과 기지국의 서빙 영역에서의 의도된 가입자국들에 라우팅될 때까지 다음 하위의 중계국들이 이 유사한 동작을 반복한다.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가입자국들, 중계국들 및 기지국에 의해 역처리가 수행되며, 여기서 가입자 국들로부터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이 중계국들에 의해 패키징되고, 자신의 가입자국으로부터 네트워크에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전송하는 기지국에 중계된다.
도 4에서의 프레임 구조에서, 전체 프레임은 모든 중계국들과 가입자국들에 대해 전송 및 수신 스케쥴들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의 단일 프리앰블, 하나의 UL-MAP, 하나의 DL-MAP 및 하나의 FCH를 갖는다. BS(100)는 프리앰블, UL-MAP, DL-MAP 및 FCH를 첫 번째로 전송한다. 이 프레임 설계에서, 2개의 다른 중계국들이 동시에 데이터 버스트들을 전송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의 타임 슬롯들이 서로 다른 시간 구역들로 분할되고, 각각의 시간 구역이 데이터 버스트들만을 전송하도록 기지국 또는 하나의 중계국에 대해 할당된다. 도 5a 및 도 5b는 이 프레임 설계의 2가지 예들을 나타낸다.
도 5a는 중계국들을 통한 호핑을 위하여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분할된 전송 시간 구역들을 갖는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다운링크 전송 구역들을 포함한다. DL BS 구역에서, 데이터 버스트들은 기지국으로부터 자신의 중계국들(RSl 및 RS2) 및 가입자국들(SSl 및 SS2)로 전송된다. BS는 전체 프레임에 대하여 단일의 UL-MAP, 단일의 DL-MAP 및 단 일의 FCH를 전송한다. DL RS 구역1에서, 데이터 버스트들은 중계국들(RS2)로부터 관련 중계국들(RS3) 및 가입자국들(SS5 및 SS6)로 전송된다. DL RS 구역 2에서, 데이터 버스트들이 중계국(RS3)으로부터 관련 가입자국들(SS7 및 SS8)로 전송된다. 제1 구역, 예를 들어, DL BS 구역에 후속하여, 각각의 구역이 선택적으로 다운링크 미드앰블 심볼에 의해 시작할 수 있다.
유사하게, 업링크 서브프레임은 또한 도 5a에서의 프레임에서의 복수의 업링크 전송 구역들(UL RS 구역 1, UL RS 구역 2 및 UL BS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UL RS 구역l에서, 데이터 버스트들은 가입자국들(SS7 및 SS8)로부터 가입자국들의 중계국들(RS3)로 전송되고 데이터 버스트들은 가입자국들(SS3 및 SS4)로부터 가입자국들의 중계국들(RSl)로 전송된다. UL RS 구역2에서, 일부 데이터 버스트들이 중계국(RS3)으로부터 관련 중계국들(RS2)로 전송되고 일부 데이터 버스트들은 중계국들(RSl)과 다른 관련 가입자국들(SSl 및 SS2)로부터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UL BS 구역에서, 데이터 버스트들은 중계국들(RSl 및 RS2)과 다른 가입자국들로부터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중계국들(RSl 및 RS3)은 UL RS 구역1에서 수신 모드에 있으며 그 후 후속하여 일부 중계국들(RSl 및 RS3)이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한다. UL BS 구역에서, 모든 중계국들(RSl 및 RS2)이 송신 모드에 있다.
도 5b는 중계국들을 통한 호핑을 위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해 분할된 전송 시간 구역들을 갖는 다른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5a에서의 프레임 구조와 다른 것은 BS가 BS의 지정된 DL BS 구역의 맨 처음에 BS의 UL-MAP, DL-MAP 및 FCH를 전송하고 각각의 중계국이 또한 중계국의 지정된 구역의 맨 처음 에 중계국의 UL-MAP, DL-MAP 및 FCH를 전송하는 점이다.
도 6은 기지국 스케쥴러의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 기지국은 첫 번째로 지정된 중계국의 PDU들을 그룹핑하여 R-PDU(Relay Protocol Data Unit)를 생성한 다음 스케쥴 정보와 R-PDU를 지정된 중계국에 전송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네트워크들로부터 가입자국들에 보내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PDU들)을 수신한다(단계 610). 기지국은 지정된 중계국들에 기초하여 수신된 PDU들을 그룹핑한다(단계 620). 이 그룹핑은 부모 기지국에 대한 하위-상위 관계들과 관련한 중계국 토폴로지에 기초한다. 기지국은 대응 그룹핑된 PDU들로부터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R1-PDU)을 생성한다(단계 630). 그 후, 기지국은 하위의 RN-1-PDU들과 대응 그룹핑된 PDU들로부터 멀티-홉(N-홉)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RN-PDU)을 생성한다(단계 640). 그 후 기지국은 다운링크 중계 MAP과 같은 스케쥴 정보에 의해 채널 자원들, 예를 들어 타임 슬롯들과 주파수 블록들을 지정된 중계국에 할당한다(단계 650). 기지국은 다운링크 중계 MAP와 같은 스케쥴 정보 및 각각의 RN-PDU들을 지정된 중계국에 전송한다(단계 660).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보면, 기지국에 의한 이 전송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맨 처음에 수행된다.
도 7은 중계국이 RN-PDU를 RN-1-PDU들과 PDU들로 디코딩한 다음 이들을 지정된 하위 중계국들과 가입자국들에 전송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이 처리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동안에 행해진다. 설명된 바와 같이, 중계국은 중계국의 부모 또는 상위 기지국(BS) 또는 상위 중계국으로부터 멀티-홉(N-홉)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RN-PDU)을 수신한다(단계 710). 중계국은 수신된 RN-PDU를 하위 RN-1-PDU들과 PDU들로 디코딩한다(단계 720). 그 후, 단계 730에서, 중계국은 RN-1-PDU들과 PDU들을 지정된 하위 중계국들(RS들) 및 가입자국들(SS들)에 전송한다.
위에서 설명된 중계 프레임 구조에서, 무선 자원 할당은 여러 구성들로 실시될 수 있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3가지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단일의 RF 채널이 도 4, 도 5a 및 도 5b에서의 프레임 구조들에서의 동작들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나타낸다. RF 채널의 주어진 대역폭 RFl은 도 4,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주파수 블록들로 분할된다. 2개의 인접하는 프레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2개의 상이한 채널 RFl과 RF2를 이용함으로써 스케쥴 정보를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하는 방법의 예들을 나타낸다. 스케쥴 정보는 802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무선 주파수(RF) 채널에서 할당된 자원들과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스케쥴 정보는 804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할당된 자원들의 RF 채널과 다른 RF 채널에서 또한 전송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할당된 자원들을 이용하기 위하여 제2 채널 RF2가 배타적으로 이용되고, 할당된 자원들의 스케쥴 및 제공 양쪽 모두를 행하기 위하여 제1 채널 RFl이 이용된다. 다운링크 스케쥴 정보는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위한 상이한 또는 동일한 기술을 이용하여 그 리고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위한 상이한 또는 동일한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 스케쥴 정보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의 특정 기간 또는 할당된 타임 슬롯들에서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중계국에 의해 수신된다.
도 10은 스케쥴 정보와 데이터 페이로드 각각을 전송하기 위한 2개의 다른 주파수 대역들에서 2개의 다른 채널들을 이용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2개의 채널들 RFl과 RF2는 2개의 다른 주파수 대역들에 있다. 제1 채널 RFl은 데이터 페이로드를 전달하는데 이용하지 않고 중계국들에 스케쥴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 채널로서 이용된다. 이 채널 RFl은 채널 RF2의 대역폭보다 작은 대역폭을 갖는 협대역 채널일 수 있다. 제어 채널(RFl)은 무선 채널 또는 유선 채널 또는 예를 들어, 이더넷 및 Tl/El 라인들일 수 있는 유선 네트워크 접속일 수 있다. 제2 채널 RF2는 데이터 페이로드를 전달하기 위하여 할당된 자원들을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따라서, 스케쥴 정보는 824, 826 및 828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할당된 자원들의 RF 채널과 다른 상이한 RF 채널 또는 RF 대역에서 전송될 수 있다. 스케쥴 정보를 제공하는 RF 채널은 RF 채널이 할당된 자원들을 제공하는 것과 동일한 대역폭을 가질 수 없고, 이들은 반드시 동일한 프레임 구조를 따를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이 구현예들은 기지국들, 중계국들 및 가입자국들 사이에 멀티-홉 중계 무선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가입자국들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정된 스테이션, 휴대 이동 스테이션 및 이동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국들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정된 중계국, 휴대 이동 중계국 및 이동 중계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된 기술들은 전용 무선 인프라구조 상에서 구 현될 수 있거나 또는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의 상단으로의 네트워크들의 확장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 사양은 많은 세부 내용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청구될 수 있는 것인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약들로서 간주되지 않아야 하며, 오히려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고유한 특성들의 설명에 불과하다. 별도의 실시예들의 문맥에서의 이 명세서에 설명된 일부 특성들은 또한 단일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단일의 실시예의 문맥으로 설명된 여러 특성들은 또한 임의의 적절한 하위 조합(subcombination)으로 또는 복수의 실시예들로 별도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특성들은 심지어 초기에 주장한 것으로서 특정 조합으로 작용하는 것으로서 위에서 설명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성들이 일부 경우 조합으로부터 실시될 수 있고 청구된 조합이 하위 조합 또는 하위 조합의 변형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들이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도 다음의 청구범위 내에 있다.

Claims (18)

  1. 무선 중계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들, 중계국들, 가입자국들 사이에 데이터 제어 메시지 스트림들을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기지국이 네트워크로부터 가입자국들에 대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수신하도록 동작시키는 단계와;
    기지국의 제어 하에서 하나 이상의 중계국들의 중계국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기지국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으로부터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생성하도록 동작시키는 단계와;
    기지국이 채널 자원 할당 정보를 갖는 전송 스케쥴을 발생시키도록 동작시키는 단계 - 하나 이상의 중계국은 대응하는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수신하도록 지정됨 -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제어 메시지 스트림들의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국이 전송 스케쥴에 따라 상기 대응하는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수신하게끔 전송 스케쥴을 하나 이상의 중계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제어 메시지 스트림들의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동일한 전송 프레임에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과 함께 전송 스케쥴을 하나 이상의 중계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제어 메시지 스트림들의 전송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기 위한 제2 무선 주파수 채널과 다른 제1 무선 주파수 채널에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과 함께 전송 스케쥴을 하나 이상의 중계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채널과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채널은 동일 주파수 대역에 있는 것인 데이터 제어 메시지 스트림들의 전송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제1 무선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 스케쥴을 하나 이상의 중계국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이한 제2 무선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하나 이상의 중계국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제어 메시지 스트림들의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채널은 유선 네트워크 접속인 것인 데이터 제어 메시지 스트림들의 전송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타임 슬롯들과 하나 이상의 주파수 블록들의 조합을 지정하는 단계와;
    지정된 중계국이 전송 스케쥴에 따라 상기 대응하는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수신하도록 동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제어 메시지 스트림들의 전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최소 시간 갭을 충족시키도록 각각의 중계국에 대해 TTG(Transmit-to-Receive Transition Time; 송신/수신 전환 시간)를 갖기 위해 하나 이상의 타임 슬롯들과 하나 이상의 주파수 블록들의 조합을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제어 메시지 스트림들의 전송 방법.
  9. 무선 중계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들과 중계국들 사이에 데이터 및 제어 메시지 스트림들을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1) 하위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 및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중 하나 이상으로 디코딩하는 단계와;
    (1) 하나 이상의 각각의 중계국들 및 (2) 하나 이상의 가입자국들 중 적어도 하나에 하나 이상의 하위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및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및 제어 메시지 스트림들의 수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수신하는 단계와;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하나 이상의 하위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디코딩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하위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하나 이상의 개개의 중계국들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및 제어 메시지 스트림들의 수신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수신하는 단계와;
    중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하나 이상의 하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으로 디코딩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하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하나 이상의 개개의 가입자국들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및 제어 메시지 스트림들의 수신 방법.
  12. 기지국들, 중계국들 및 가입자국들 사이에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무선 중계 통신 네트워크로서,
    기지국으로부터 각각의 가입자국으로의 통신 경로를 결정하는 스케쥴러 로직과, 다운링크 데이터 및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하고 업링크 데이터 및 제어 메시지 들을 수신하는 송신기/수신기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하기 위한 지속 기간(time duration)을 결정하는 스케쥴러 로직과, 데이터 및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하고 데이터 및 제어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송신기/수신기 구성요소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중계국
    을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국은 하나 이상의 가입자국과 통신하도록 동작하는 것인 무선 중계 통신 네트워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에서의 스케쥴러 로직은 정보를 전송하는 시간에 있어 시작 순간과 종료 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인 무선 중계 통신 네트워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의 스케쥴러 로직은 정보를 전송하는 시간에 있어 시작 순간과 종료 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인 무선 중계 통신 네트워크.
  15. 무선 중계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들, 중계국들 및 가입자국들 사이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중계국이 프레임 구조에 대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부분들에서 전송할 수 있게 하는 다운링크 중계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 보 전송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중계국이 프레임 구조 내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부분들에서 전송할 수 있게 하는 업링크 중계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최소 시간 갭을 충족시키도록 각각의 중계국의 RTG(Receive-to-Transmit Transition Time; 수신/송신 전환 시간)를 설정하도록 프레임 구조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는 다운링크 전송에만 적용되거나 또는 업링크 전송에만 적용되는 정보 전송 방법.
KR1020097007744A 2006-09-19 2007-09-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홉 중계를 위한 프레임 구조 KR101391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4595006P 2006-09-19 2006-09-19
US60/845,950 2006-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254A true KR20090068254A (ko) 2009-06-25
KR101391899B1 KR101391899B1 (ko) 2014-05-07

Family

ID=39201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744A KR101391899B1 (ko) 2006-09-19 2007-09-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홉 중계를 위한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7873002B2 (ko)
EP (1) EP2070214B1 (ko)
JP (1) JP5248509B2 (ko)
KR (1) KR101391899B1 (ko)
CN (1) CN101548481B (ko)
WO (1) WO200803678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5509B2 (en) 2000-09-13 2007-11-13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method in an OFDM multiple access system
US9137822B2 (en) 2004-07-21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signaling over access channel
US9461859B2 (en) * 2005-03-17 2016-10-04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36538B2 (en) 2005-04-19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hopping design for single carrier FDMA systems
CN101064555B (zh) * 2006-04-29 2012-05-23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多跳接入网络的帧构造、帧处理方法及设备和系统
US8000650B2 (en) * 2006-05-29 2011-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in wireless relay communication system
KR101391899B1 (ko) * 2006-09-19 2014-05-07 지티이 (유에스에이) 인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홉 중계를 위한 프레임 구조
JP4840043B2 (ja) * 2006-09-21 2011-12-21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装置
CN101523943A (zh) * 2006-10-13 2009-09-02 富士通株式会社 无线基站、中继站和通信控制方法
WO2008044317A1 (en) * 2006-10-13 2008-04-17 Fujitsu Limited Wireless base station, relay station and frequency band allocation method
KR100959565B1 (ko) * 2006-10-27 2010-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 프레임 제어 메시지 구성 장치 및 방법
US20080108355A1 (en) * 2006-11-03 2008-05-08 Fujitsu Limited Centralized-scheduler relay station for mmr extended 802.16e system
GB2443465A (en) * 2006-11-06 2008-05-07 Fujitsu Ltd Communication systems
US7742448B2 (en) * 2006-11-07 2010-06-22 Motorola, Inc. Optimizing topology learning in a multihop network
US8717965B2 (en) * 2006-12-01 2014-05-06 Apple Inc. Enhancing wimax performance with subscriber stations acting as ad hoc repeaters
WO2008078394A1 (ja) * 2006-12-26 2008-07-03 Fujitsu Limited 無線通信方法並びに無線制御局及び無線基地局
CN101715630A (zh) * 2007-02-22 2010-05-26 中兴通讯美国公司 无线通信系统中用于多跳中继的信令
KR101042800B1 (ko) * 2007-03-27 2011-06-20 한국과학기술원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957009B1 (ko) * 2007-04-03 2010-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동시전송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JP2009005240A (ja) * 2007-06-25 2009-01-08 Nec Tokin Corp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無線ネットワーク通信方法
KR101474585B1 (ko) * 2007-07-06 2014-12-18 지티이 (유에스에이) 인크. 무선 멀티홉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KR101015681B1 (ko) * 2007-07-16 201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할당 방법 및 장치
US20090046624A1 (en) * 2007-08-14 2009-02-19 Canam Technology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break-in signals in communication systems
US8379601B2 (en) * 2007-08-16 2013-02-19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 use of control channel element based implicit pointing
US20090059823A1 (en) * 2007-09-05 2009-03-05 Bolduc Timothy D System and method of edge caching when communicating data
WO2009035263A1 (en) * 2007-09-10 2009-03-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 and receiving data
KR101102673B1 (ko) 2007-10-30 2012-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90043927A (ko) * 2007-10-30 2009-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복원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90052784A (ko) * 2007-11-21 2009-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릴레이를 통한 통신 방법
KR101425440B1 (ko) * 2008-01-14 2014-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스테이션의 연합 자원 할당 및 연합 그룹 핸드오버를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연합 자원 할당 방법
US20090180434A1 (en) * 2008-01-16 2009-07-16 Institute For Information Industry Central control apparatus,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signal forwarding apparatus for use in a multi-hop wireless network
JP5145991B2 (ja) * 2008-02-07 2013-02-20 富士通株式会社 無線中継局
US8509162B2 (en) * 2008-02-13 2013-08-1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over multiple hops
KR101395562B1 (ko) * 2008-02-22 2014-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중계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이중 중계 방식 사용시 기지국 및 중계기 간 간섭회피 방법 및 장치
KR101433948B1 (ko) * 2008-03-05 2014-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400715B1 (ko) * 2008-04-02 2014-05-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협력 전송 기법 및 네트워크 코딩 전송 기법을 이용한 통신장치 및 그 방법
KR101500025B1 (ko) * 2008-04-21 2015-03-06 애플 인크. 무선 중계 프레임 구조, 프로토콜, 및 오퍼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078270B2 (en) 2008-07-03 2015-07-07 Qualcomm Incorporated Opportunistic relay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8355734B2 (en) 2008-08-07 2013-01-15 Apple Inc. Wireless system
EP2157820A1 (en) * 2008-08-22 2010-02-24 Fujitsu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1436044B1 (ko) * 2008-09-12 2014-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릴레이 시스템의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US8971241B2 (en) 2008-09-30 2015-03-03 Qualcol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upporting relay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203564B2 (en) 2008-10-20 2015-12-01 Qualcomm Incorporated Data transmission via a relay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97358B1 (ko) * 2008-10-21 2016-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방법
KR101215690B1 (ko) * 2008-10-31 2012-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 수행 방법 및 장치
KR101457708B1 (ko) * 2008-11-03 2014-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전송 방법
US20100110964A1 (en) * 2008-11-04 2010-05-06 Motorola, Inc. Method for Relays with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577455B1 (ko) * 2008-12-03 2015-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중계 방법
US8848594B2 (en) 2008-12-10 2014-09-30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y of relay nodes
US8402334B2 (en) * 2008-12-17 2013-03-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functionality in a relay node
US8311061B2 (en) * 2008-12-17 2012-11-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user multiplexing
US8355388B2 (en) 2008-12-17 2013-01-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initial access to relays
US8040904B2 (en) * 2008-12-17 2011-10-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combining
US8446856B2 (en) * 2008-12-19 2013-05-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lay node selection
US8335466B2 (en) * 2008-12-19 2012-12-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US8265128B2 (en) * 2008-12-19 2012-09-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with relay nodes
KR101584814B1 (ko) * 2008-12-23 2016-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요청 전송방법 및 장치
WO2010074536A2 (ko) * 2008-12-24 2010-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에 대한 자원 할당 방법
US9112576B2 (en) * 2008-12-26 2015-08-1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multi-hop relay system
KR101598910B1 (ko) * 2009-01-07 2016-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 이중화 방식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075964B1 (ko) * 2009-02-02 2011-10-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링크 중계 장치 및 방법
US9450727B2 (en) * 2009-02-03 2016-09-20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Physical layer acknowledgement signaling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BRPI1009456B1 (pt) 2009-03-13 2021-11-03 Blackberry Limited Sistema e método de sincronização de recepção de retransmissão
US8929303B2 (en) * 2009-04-06 2015-0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 and data channels for advanced relay operation
KR101611300B1 (ko) 2009-04-21 201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송 지시자를 이용한 중계기 통신 기법
KR101506576B1 (ko) * 2009-05-06 2015-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백홀 서브프레임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2422559B (zh) * 2009-05-08 2015-10-14 Lg电子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中从基站接收信号的中继节点和方法
US8780784B2 (en) 2009-05-29 2014-07-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from relay node on backhaul uplink
US8773971B2 (en) 2009-06-08 2014-07-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14082B2 (en) * 2009-06-25 2015-04-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signal transmission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EP2448146B1 (en) * 2009-06-25 2018-10-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signal transmission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1639081B1 (ko) * 2009-06-25 201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635888B1 (ko) 2009-06-26 2016-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를 위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그 방법
WO2011002243A2 (ko) * 2009-07-02 2011-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중계기
KR101754617B1 (ko) 2009-07-13 201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백홀 링크 전송을 위한 전송 모드 구성 방법 및 장치
CA2770708C (en) 2009-08-12 2016-10-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esign for uplink coordinated transmission in type ii relay
US8897203B2 (en) * 2009-08-12 2014-11-25 Blackberry Limited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esign for uplink coordinated transmission in type II relay using a punctur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CN102449944B (zh) * 2009-08-17 2015-11-25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多跳中继通信系统中对下行数据传输控制的方法和装置
US9001708B2 (en) * 2009-08-28 2015-04-07 Lg Electronics Inc. Method in which a mobile terminal transmits/receives a signal using a predetermined TDD frame struct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1025340A2 (en) * 2009-08-31 2011-03-0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using component carrier by relay station in multi-carrier system and relay station
JP5365442B2 (ja) * 2009-09-17 2013-12-11 富士通株式会社 中継局
JP5579747B2 (ja) * 2009-12-15 2014-08-2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無線中継装置および無線中継方法
EP2560299A4 (en) * 2010-04-14 2017-01-1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tting a search space for a relay n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CN109788475B (zh) * 2010-06-04 2024-01-02 得克萨斯系统大学评议会 无线通信方法、系统和计算机程序产品
CN101877858B (zh) * 2010-06-24 2012-09-26 四川平安都市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分布式系统的组网方法
JP5435139B2 (ja) * 2010-08-13 2014-03-05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中継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SG10201509644TA (en) 2010-11-24 2015-12-30 Elta Systems Ltd Various traffic management methods for dynamic multi-hop backhauling cellular network and system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WO2012122508A2 (en) 2011-03-09 2012-09-13 Board Of Regents Network rout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20252449A1 (en) * 2011-03-29 2012-10-04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high-speed mobil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2491857B (en) * 2011-06-14 2015-07-29 Sca Ipla Holdings Inc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9264912B2 (en) * 2012-01-19 2016-02-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Fractional frequency re-use and beamforming in relay nodes of a heterogeneous network
JP2013207476A (ja) * 2012-03-28 2013-10-07 Fujitsu Ltd 無線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無線基地局、無線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544782B2 (en) * 2012-11-02 2017-01-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range extens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CN106031270A (zh) * 2014-01-14 2016-10-12 诺基亚通信公司 多跳系统中的回程调度
JP6245351B2 (ja) * 2014-03-31 2017-12-13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517822B2 (ja) * 2014-09-03 2019-05-22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中継局
KR102254601B1 (ko) * 2014-10-24 2021-05-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홉 릴레이 선박 통신 장치
KR101627577B1 (ko) * 2015-04-27 2016-06-0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주파수 미러링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CN105896730B (zh) * 2016-04-01 2022-04-29 全球能源互联网研究院 一种适用于输电线路的分层混合通信系统的维护方法
WO2017213386A1 (en) * 2016-06-08 2017-12-14 Lg Electronics Inc. A communication method of using full duplex in nr
CN115866561B (zh) * 2023-02-21 2023-06-13 信通院(江西)科技创新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v2x网络的数据传输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5150A (en) * 1991-01-30 1993-11-23 At&T Bell Laboratories Automatically configuring wireless PBX system
US6785510B2 (en) * 2000-03-09 2004-08-31 Salbu Resarch & Development (Proprietary) Limited Routing in a multi-station network
JP2002135841A (ja) * 2000-10-20 2002-05-10 Telecommunication Advancement Organization Of Japan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6920171B2 (en) * 2000-12-14 2005-07-19 Motorola, Inc. Multiple access frequency hopping network with interference anticipation
JP3887547B2 (ja) * 2001-06-25 2007-02-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基地局、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通信プログラム
ATE441255T1 (de) * 2003-12-30 2009-09-15 Nokia Corp Asymmetrischer datenverbindung kommunikationssystem mit relaisstations
US7386036B2 (en) * 2003-12-31 2008-06-10 Spyder Navigations, L.L.C. Wireless multi-hop system with macroscopic multiplexing
JP2005252677A (ja) * 2004-03-04 2005-09-15 Kddi Corp マルチホップセルラー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及び中継通信装置、並びに無線リソース割当て方法
JP4494134B2 (ja) * 2004-09-01 2010-06-30 Kddi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中継局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JP2006246002A (ja) 2005-03-03 2006-09-14 Kddi Corp マルチホップセルラシステムにおける上位局及びその無線リソースリユース方法
KR100839966B1 (ko) * 2005-06-29 200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의 상태 보고 방법 및 시스템
US8554232B2 (en) 2005-08-17 2013-10-08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a wireless multi-hop relay network
KR100855225B1 (ko) * 2005-09-28 200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0615139B1 (ko) 2005-10-18 200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시간 구간의 할당 방법과 장치및 그 시스템
US20070155315A1 (en) * 2006-01-03 2007-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arent relaying in a multi-hop relay cellular network
EP1830490B1 (en) * 2006-03-03 2013-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7881276B2 (en) * 2006-07-31 2011-02-0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data
KR101391899B1 (ko) * 2006-09-19 2014-05-07 지티이 (유에스에이) 인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홉 중계를 위한 프레임 구조
KR100961746B1 (ko) * 2006-10-02 2010-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자원할당 장치 및 방법
EP1916782A1 (en) * 2006-10-26 2008-04-30 Nortel Networks Limited Frame structure for a multi-hop wireless system
US20080108355A1 (en) * 2006-11-03 2008-05-08 Fujitsu Limited Centralized-scheduler relay station for mmr extended 802.16e system
CN101715630A (zh) 2007-02-22 2010-05-26 中兴通讯美国公司 无线通信系统中用于多跳中继的信令
KR101474585B1 (ko) 2007-07-06 2014-12-18 지티이 (유에스에이) 인크. 무선 멀티홉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86207B2 (en) 2014-11-11
CN101548481B (zh) 2016-08-03
EP2070214A2 (en) 2009-06-17
WO2008036784A3 (en) 2008-12-04
JP5248509B2 (ja) 2013-07-31
EP2070214A4 (en) 2012-01-11
US8285296B2 (en) 2012-10-09
CN101548481A (zh) 2009-09-30
JP2010504705A (ja) 2010-02-12
US20110110310A1 (en) 2011-05-12
US7873002B2 (en) 2011-01-18
US20080070582A1 (en) 2008-03-20
WO2008036784A2 (en) 2008-03-27
US20130094432A1 (en) 2013-04-18
EP2070214B1 (en) 2014-12-31
KR101391899B1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89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홉 중계를 위한 프레임 구조
EP18304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80143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85977B1 (ko) 전이중 중계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자원할당을 위한 프레임 구조, 방법 및 장치
US81600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y servi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01374B1 (ko) 다중홉 릴레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셀 내 간섭 없이 다중링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1072065B (zh) 在多跳中继蜂窝网络中透明中继的装置和方法
AU20072391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7916704B2 (en) Method of communication scheduling in a multihop network
AU200722150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701537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arent relay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BWA)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31173A (ko) 다중홉 릴레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다중 링크를 지원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US8824413B2 (en) Direct communications in wireless networks
KR20080047001A (ko)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접속통신시스템에서 자원할당 장치 및 방법
EP19625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