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708B1 - 중계기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중계기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708B1
KR101457708B1 KR1020080126921A KR20080126921A KR101457708B1 KR 101457708 B1 KR101457708 B1 KR 101457708B1 KR 1020080126921 A KR1020080126921 A KR 1020080126921A KR 20080126921 A KR20080126921 A KR 20080126921A KR 101457708 B1 KR101457708 B1 KR 101457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nack
ack
data
rep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9468A (ko
Inventor
서한별
김병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9/00586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062035A2/en
Priority to US13/127,204 priority patent/US8649316B2/en
Publication of KR20100049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6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payload signals; piggyb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7Re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중계기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ACK/NACK 전송 방법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에 대한 동기식 ACK/NACK(Synchronous Acknowledgement/Non-Acknowledgement)을 전송할 수 없는 경우, 특정 방식에 따라 ACK/NACK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지국과 중계기 간의 통신으로 인하여 ACK/NACK의 전송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애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계기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전송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ACKNOWLEDGEMENT/NON-ACKNOWLED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ME COMPRISING RELAY}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계기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무선 접속(radio access)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이동통신 시스템은 전세계에서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WCDMA의 첫번째 진화 단계로 정의할 수 있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는 중기적인(mid-term) 미래에서 높은 경쟁력을 가지는 무선 접속 기술을 3GPP에 제공한다. 그러나 사용자와 사업자의 요구 사항과 기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경쟁하는 무선 접속 기술 개발이 계속 진행되고 있으므로 향후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3GPP에서의 새로운 기술 진화가 요구된다. 비트당 비용 감소, 서비스 가용성 증대, 융통성 있는 주파수 밴드의 사용, 단순 구조와 개방형 인터페이스, 단말의 적절한 파워 소모 등이 요구 사항으로 되고 있다.
3세대 이후의 시스템에서 고려되고 있는 시스템 중 하나가 낮은 복잡도로 심볼간 간섭(Inter Symbol Interference) 효과를 감쇄시킬 수 있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이하 OFDM) 시스템이다. OFDM은 직렬로 입력되는 데이터 심볼을 N개의 병렬 데이터 심볼로 변환하여, 각각 분리된 N개의 부반송파(Subcarrier)에 실어 송신한다. 부반송파는 주파수 차원에서 직교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각각의 직교 채널은 상호 독립적인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을 경험하게 되고, 전송되는 심볼의 간격이 길어져 심볼간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또는 단말은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 또는 기지국은 데이터 수신에 대한 ACK/NACK(Acknowledgement/Non-Acknowledgement)을 전송한다. 이때, 데이터 전송 후, 일정 시간 이후에 ACK/NACK을 전송하는 방식을 동기식 ACK/NACK(Synchronous ACK/NACK)이라 한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중계기가 도입된 경우, 데이터 및 ACK/NACK은 중계기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과 단말만을 포함하는 기존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데이터 및 ACK/NACK 전송방식이 중계기가 도입된 무선통신 시스템에 그대로 적용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중계기가 도입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적용될 수 있는 데이터 및 ACK/NACK 전송방식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중계기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중계기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중계기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ACK/NACK 전송 방법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에 대한 동기식 ACK/NACK(Synchronous Acknowledgement/Non-Acknowledgement)을 전송할 수 없는 경우, 특정 방식에 따라 ACK/NACK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중계기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제 1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제 2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일정 시점 이후의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제 1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ACK/NACK을 필요로 하지 않는 데이터이다.
중계기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및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을 얻을 수 있다. 특히, 기지국과 중계기 간의 통신으로 인하여 ACK/NACK의 전송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애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중계기가 도입된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말(10, 11, 12, 13; Mobile Station, MS), 기지국(20; Base Station, BS) 및 중계기(30, 31; Relay Station, RS)를 포함한다. 단말(10, 11, 12, 13)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일반적으로 단말(10, 11, 12, 13)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20)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중계기(30, 31)는 커버리지의 확장 또는 다이버시티 효과에 따른 전송속도의 향상을 위한 것으로,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위치한다. 즉, 기지국(20)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단말들(10, 11)은 기지국(20)과 직접 통신할 수 있고, 기지국(20)의 커버리지 밖에 있는 단말들(12, 13)은 중계기(30, 31)를 거쳐서 기지국(20)과 통신한다. 또는, 기지국(20)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단말들(10, 11)이라 할지라도, 다이버시티 효과에 따른 전송속도의 향상을 위하여 중계기(30, 31)를 거쳐서 기지국(20)과 통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DL)는 기지국(20)에서 단말(10)로의 통신을 의미하고, 상향링크(Uplink;UL)는 단말(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따라서, 하향링크에서 소스 스테이션(Source Station)은 기지국(20)이고 목표 스테이션(Destination Station)은 단말(10)이며, 상향링크에서 소스 스테이션은 단말(10)이고 목표 스테이션은 기지국(20)이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일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 시스템일 수 있다. OFDM은 다수의 직교 부반송파를 이용한다. OFDM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과 FFT(Fast Fourier Transform) 사이의 직교성 특성을 이용한다. 송신기에서 데이터는 IFFT를 수행하여 전송된다. 수신기에서 수신 신호에 FFT를 수행하여 원래 데이터를 복원한다. 송신기는 다중 부반송파들을 결합하기 위해 IFFT를 사용하고, 수신기는 다중 부반송파들을 분리하기 위해 대응하는 FFT를 사용한다.
한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또는 단말은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 또는 기지국은 데이터 수신에 대한 ACK/NACK(Acknowledgement/Non-Acknowledgement)을 전송한다. 이때, 데이터 전송 후, 일정 시간 이후에 ACK/NACK을 전송하는 방식을 동기식 ACK/NACK(Synchronous ACK/NACK)이라 한다.
도 2는 동기식 ACK/NACK 전송 방식을 나타내는 일 예이다. 여기서, 3GPP E-UTRA 시스템에서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대하여 예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프레임(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하향링크(Downlink) 전송 및 상향링크(Uplink) 전송은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데이터 전송으로부터 m 서브프레임 이후에 동기식 ACK/NACK이 전송될 수 있다. 즉, 서브프레임 n에서 전송된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은 서브프레임 n+m에서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4라고 가정하면, 서브프레임 0에서 하향링크로 전송한 데이터 0를 수신한 단말은 서브프레임 4에서 상향링크로 ACK/NACK 0을 전송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1에서 하향링크로 전송한 데이터 1을 수신한 단말은 서브프레임 5에서 상향링크로 ACK/NACK 1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 2에서 상향링크로 전송한 데이터 2를 수신한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6에서 하향링크로 ACK/NACK 2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도 2의 동기식 ACK/NACK 전송 방법은 기지국과 단말만을 포함하는 기존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방법으로, 중계기가 도입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동기식 ACK/NACK 전송방법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중계기가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특정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신호의 전송과 수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 전송 신호가 수신 신호에 대하여 강한 간섭을 미치는 자기 간섭(Self Interference)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자기 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코 은닉(Echo Cancellation)과 같은 과정을 적용할 수 있으나, 이는 매우 복잡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중계기는 특정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신호의 전송과 수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중계기가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DL(Downlink)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자신에게 연결된 단말들에게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전송되는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중계기가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UL(Uplink)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에게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 자신에게 연결된 단말들로부터 상기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전송되는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두 가지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하, 하나의 방법을 블랭크 서브프레임(Blank Subframe) 방법이라 칭하고, 다른 하나의 방법을 밴드 스와핑(Band Swapping) 방법이라 칭한다.
도 3은 블랭크 서브프레임 방법을 적용하여 데이터 및 ACK/NACK을 전송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프레임(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한다. 하향링크(Downlink) 전송은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상향링크(Uplink) 전송은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데이터 전송으로부터 4 서브프레임 이후에 동기식 ACK/NACK이 전송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중계기는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DL 주파수 밴드의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을 블랭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중계기는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자신에게 연결된 단말들에게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없다. 또한, 중계기가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에게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UL 주파수 밴드의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을 블랭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중계기는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자신에게 연결된 단말들로부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서브프레임 1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중계기는 상기 DL 주파수 밴드의 서브프레임 1을 블랭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고, 단말들에게 상기 DL 주파수 밴드의 서브프레임 1을 통하여 일체의 하향링크 전송을 하지 않는다.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의 일부 영역에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나머지 영역에서는 일체의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수신만을 하는 부분적 블랭크 서브프레임도 가능하다. 이 부분적 블랭크 서브프레임은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서브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나타날 수도 있다. 한편, 중계기가 서브프레임 5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에게 서브프레임 1에서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전송하는 경우, 중계기는 UL 주파수 밴드의 서브프레임 5를 블랭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고, 단말들은 상기 UL 주파수 밴드의 서브프레임 5를 통하여 일체의 상향링크 전송을 하지 않는다. 또한, 중계기가 서브프레임 5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ACK/NACK과 함께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지국에게 전송한 경우,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9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상기 데이터 전송에 대한 ACK/NACK을 전송한다. 이 때, 중계기는 상기 DL 주파수 밴드의 서브프레임 9를 블랭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고, 단말들에게 상기 DL 주파수 밴드의 서브프레임 9를 통하여 일체의 하향링크 전송을 하지 않는다.
도 4는 밴드 스와핑 방법을 적용하여 데이터 및 ACK/NACK을 전송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프레임(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전송으로부터 4 서브프레임 이후에 동기식 ACK/NACK이 전송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기지국은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1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중계기는 기지국이 중계기로 전송하는 데이터와 직교(Orthogonal)하는 무선자원을 통하여 단말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5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에게 서브프레임 1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ACK/NACK과 함께 서브프레임 1에서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중계기는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므로, 단말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는 없다. 따라서, 서브프레임 5에서 단말들은 중계기로 신호를 전송할 수 없고, 기지국으로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9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서브프레임 5에서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전송한다.
도 3에서 예시하고 있는 블랭크 서브프레임 방법 및 도 4에서 예시하고 있는 밴드 스와핑 방법을 통하여 중계기는 자기 간섭(Self Interference)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기지국 및 단말들과의 데이터 및 ACK/NACK을 교환할 수 있다.
다만, 블랭크 서브프레임 방법의 경우,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를 포함하는 일체의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부분적 블랭크 서브프레임에서는 전송하는 참조 신호의 수가 줄어들게 되므로, 데이터 전송률이 저하되고, 단말들의 동기화 및 채널 추정 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3GPP E-UTRA 시스템에서는 매 프레임 내의 0번째 서브프레임과 5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의 초기화를 위한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을 전송하는데, 해당 서브프레임이 블랭크 서브프레임이 되면 단말의 초기 접속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반드시 전송해야 할 제어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을 블랭크 서브프레임 또는 부분적 블랭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는데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밴드 스와핑 방법의 경우, 기지국과 중계기가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들로부터 ACK/NACK을 수신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도 4의 예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 9에서 기지국은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신호를 전송하므로, 기지국에 연결된 단말들이 서브프레임 9에서 상기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ACK/NACK을 수신할 수 없다. 이는 기지국이 서브프레임 5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들에게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동기식 ACK/NACK을 수신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중계기가 서브프레임 5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 송하는 경우,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1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들에게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동기식 ACK/NACK을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중계기가 도입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블랭크 서브프레임 방법 또는 밴드 스와핑 방법을 보완하여 데이터와 ACK/NACK을 전송하는 적절한 방법이 필요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중계기는 데이터를 수신한다(S100). 중계기는 기지국 또는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블랭크 서브프레임 방법에 따르면, 중계기는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밴드 스와핑 방법에 따르면, 중계기는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 또는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중계기는 단계 S100에서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전송한다(S110). 우선적으로, 중계기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ACK/NACK을 전송하는 동기식 ACK/NACK 전송 방법을 이용한다. 다만, 동기식 ACK/NACK 전송 방법에 따라 ACK/NACK을 전송할 수 없는 경우, 동기식 ACK/NACK이 아닌 특정 방식에 따라 ACK/NACK을 전송한다.
도 5에서, 중계기가 데이터를 수신하고, ACK/NACK을 전송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지국 및 단말 역시 데이터를 수신하고 ACK/NACK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중계기, 기지국 및 단말 중 어느 하나가 데이터 수신 후, 동기식 ACK/NACK을 전송할 수 없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6 내지 도 9는 블랭크 서브프레임 방법에 따를 경우, 동기식 ACK/NACK을 전송할 수 없는 예들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동기식 ACK/NACK 전송 방법에 따르면,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일정 시간 후인 서브프레임 n+m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에게 ACK/NACK을 전송한다. 다만, 중계기가 서브프레임 n+m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반드시 수신해야 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동기식 ACK/NACK을 전송할 수 없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동기식 ACK/NACK 전송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일정 시간 후인 서브프레임 n+m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ACK/NACK을 전송한다. 다만, 중계기가 서브프레임 n+m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로 반드시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기지국은 중계기에게 동기식 ACK/NACK을 전송할 수 없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서브프레임 n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동기식 ACK/NACK 전송 방법에 따르면, 단말은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일정 시간 후인 서브프레임 n+m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ACK/NACK을 전송한다. 다만, 중계기가 서브프레임 n+m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반드시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단말은 중계기에게 동 기식 ACK/NACK을 전송할 수 없다.
도 9를 참조하면,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n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동기식 ACK/NACK 전송 방법에 따르면,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일정 시간 후인 서브프레임 n+m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에게 ACK/NACK을 전송한다. 다만, 단말이 서브프레임 n+m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로 반드시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중계기는 기지국에게 동기식 ACK/NACK을 전송할 수 없다.
도 10은 밴드 스와핑 방법에 따를 경우, 동기식 ACK/NACK을 전송할 수 없는 예들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서브프레임 n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동기식 ACK/NACK 전송 방법에 따르면, 단말은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일정 시간 후인 서브프레임 n+m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에게 ACK/NACK을 전송한다. 다만, 기지국이 서브프레임 n+m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로 반드시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게 동기식 ACK/NACK을 전송할 수 없다.
도 6 내지 도 10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수신한 데이터에 대하여 동기식 ACK/NACK을 전송할 수 없는 경우, 다른 방식에 따라 ACK/NACK을 전송하여야 한다. 이하, 동기식 ACK/NACK 전송 방법을 대체하는 다른 특정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ACK/NACK이 추가적인 시간지연을 가진 후 전송되는 방식>
1) 블랭크 서브프레임 방법
블랭크 서브프레임 방법에 따르면, 중계기가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수신하기 위하여 DL 주파수 밴드의 서브프레임 n+m를 블랭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한다. 만약, 중계기가 서브프레임 n+m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들에게 반드시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에게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수신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중계기가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들에게 반드시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의 예로, 단말의 초기 접속을 위한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추가적인 시간지연을 가지는 ACK/NACK을 사용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추가적인 시간지연을 가진 후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및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m=4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1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이 추가적인 시간지연을 가지도록 하면, 기지국은 일정한 시간지연을 더한 시점에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ACK/NACK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적인 시간지연은 1 서브프레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중계기의 서브프레임 1에서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ACK/NACK을 서브프레임 5로부터 1 서브프레임만큼의 추가적인 시간지연이 있는 서브프레임 6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추가적인 시간지연은 0보다 작은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동기식 ACK/NACK이 전송되는 시점 이전에 ACK/NACK이 전송된다. 이에 따라,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6을 블랭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고, 서브프레임 5에서는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에게 반드시 전송해야 하는 신호를 포함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이 서브프레임 2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에 대한 ACK/NACK도 1 서브프레임 만큼의 추가적인 시간지연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7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에게 ACK/NACK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기지국은 상위계층 또는 제어채널을 통하여 서브프레임 1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은 추가적인 시간지연을 가진 후 전송됨을 중계기에게 알릴 수 있다. 또는, 중계기는 상위계층 또는 제어채널을 이용하거나 전송 데이터 헤더(header)의 플래그 등을 통하여, 서브프레임 1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추가적인 시간지연을 가진 이후에 전송할 것을 기지국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5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ACK/NACK을 기다리지 않으므로, DL 주파수 밴드의 서브프레임 5를 블랭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지 않고, 단말에게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중계기는 상위계층 또는 제어채널을 통하여 서브프레임 2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은 추가적인 시간지연을 가진 후 전송될 것임을 단말들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이 서브프레임 n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n+m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에게 ACK/NACK을 전송한다. 만약, 중계기가 서브프레임 n+m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로부터 반드시 수신해야 하는 신호가 있는 경우,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n+m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에게 ACK/NACK을 전송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긴다. 여기서, 중계기가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로부터 반드시 수신해야 하는 신호의 예로, 상향링크 ACK/NACK(Uplink ACK/NACK) 및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Uplink Sounding Reference Signal) 등이 있다. 이때, 서브프레임 n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ACK/NACK에 추가적인 시간지연을 가지도록 하면,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n+m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후의 서브프레임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에게 상기 ACK/NACK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중계기가 서브프레임 n+m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반드시 전송해야 하는 신호가 있다면 상기 ACK/NACK에 대한 추가적인 시간지연을 사용하여 단말은 서브프레임 n+m 이후에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로 ACK/NACK을 전송하고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n+m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2) 밴드 스와핑 방법
밴드 스와핑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이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면, 서브프레임 n-m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에게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수신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때, 서브프레임 n-m에서 단말에게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이 추가적인 시간지연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및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m=4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지국이 서브프레임 5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고, 단말은 1 서브프레임 만큼의 추가적인 시간지연을 가진 후 상기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전송한다. 따라서, 단말은 제 1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9가 아닌, 제 2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0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에게 ACK/NACK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상위계층 또는 제어채널을 통하여 서브프레임 5에서 전송된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추가적인 시간지연을 가지고 전송할 것을 단말들에게 지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9에서 단말들로부터의 ACK/NACK을 기다릴 필요없이,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ACK/NACK이 ACK/NACK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전송되는 방식>
1) 블랭크 서브프레임 방법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및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 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200). 동기식 ACK/NACK 방식에 따르면,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n+m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로 ACK/NACK을 전송하여야 한다. 그러나, 만약 중계기가 서브프레임 n+m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로 반드시 전송해야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S210), 중계기는 단계 S200에서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이후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에게 전송한다(S220). 중계기는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신호가 없고,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ACK/NACK을 수신할 수 있는 경우, ACK/NACK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ACK/NACK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Response)으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ACK/NACK을 전송한다(S230).
여기서, 기지국은 상위계층 또는 제어채널을 통하여 중계기가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전송하는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은 ACK/NACK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한하여 전송할 것임을 중계기에게 알릴 수 있다. 또는, 중계기는 상위계층 또는 제어채널을 이용하거나 전송 데이터 헤더의 플래그 등을 통하여, 중계기가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전송하는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은 중계기로부터 ACK/NACK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한하여 전송할 것을 기지국에게 요청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중계기는 DL 주파수 밴드의 서브프레임 n+m을 블랭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지 않고, 서브프레임 n+m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에게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이 서브프레임 n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중계기는 상기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전송하기 위하여 UL 주파수 밴드의 서브프레임 n+m을 블랭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중계기가 서브프레임 n+m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로부터 반드시 수신해야 하는 신호가 있다면,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n+m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ACK/NACK을 전송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때, 중계기는 UL 주파수 밴드의 서브프레임 n+m에서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우선적으로 수신한 후, 이후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ACK/NACK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ACK/NACK을 전송하면 상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 밴드 스와핑 방법
밴드 스와핑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이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면, 서브프레임 n-4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에게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수신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및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n-m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S300). 동기식 ACK/NACK 방식에 따르면, 단말은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ACK/NACK을 전송하여야 한다. 그러나, 만약 기지국이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로 반드시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S310), 기지국은 단계 S300에서 전송한 데이터 에 대한 ACK/NACK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이후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에게 전송한다(S320). 기지국은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전송할 신호가 없고,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로부터 ACK/NACK을 수신할 수 있는 경우, ACK/NACK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ACK/NACK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Response)으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에게 ACK/NACK을 전송한다(S330).
여기서, 기지국은 상위계층 또는 제어채널을 통하여 기지국이 서브프레임 n-m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전송하는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은 ACK/NACK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한하여 전송할 것임을 단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ACK/NACK이 중간 매개 수단을 거친 후 전송되는 방식>
1) 블랭크 서브프레임 방법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및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기지국에 복수의 중계기가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중계기 1은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S400). 동기식 ACK/NACK 방식에 따르면,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n+m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 1에게 ACK/NACK을 전송한다. 그러나, 만약 중계기 1이 서브프레임 n+m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에게 반드시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S410),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n+m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 2에게 단계 S300에서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전송한다(S420). 이후의 서브프레임에서 중계기 2는 단계 S420에서 수신한 ACK/NACK을 중계기 1로 전송한다(S430).
이에 따라, 중계기 1은 서브프레임 n+m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에게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중계기 1은 기지국과의 신호 교환을 통하여, 단계 S400에서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은 추가적인 시간지연을 가진 후 다른 중계기로부터 수신할 것을 미리 알 수 있다.
2) 밴드 스와핑 방법
밴드 스와핑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이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면, 서브프레임 n-4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에게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수신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및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n-m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S500). 동기식 ACK/NACK 방식에 따르면, 단말은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ACK/NACK을 전송하여야 한다. 그러나, 만약 기지국이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로 반드시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S510), 단말은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단계 S500에서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전송한 다(S520). 이후의 서브프레임에서 중계기는 단계 S520에서 수신한 ACK/NACK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530).
이에 따라,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단계 S500에서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은 추가적인 시간지연을 가진 후 중계기로부터 수신할 것을 미리 알 수 있다.
이상, 도 6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수신한 데이터에 대하여 동기식 ACK/NACK을 전송할 수 없는 경우, 다른 특정 방식에 따라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상기 도 6 내지 도 10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ACK/NACK을 필요로 하지 않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1) 블랭크 서브프레임 방법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에게 제 1 데이터를 전송한다. 동기식 ACK/NACK 전송 방식에 따르면,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n+m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상기 제 1 데이터 전송에 대한 ACK/NACK을 수신하기 위하여, DL 주파수 밴드의 서브프레임 n+m을 블랭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한다. 그러나, 만약 중계기가 서브프레임 n+m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들에게 반드시 전송해야 하는 제 2 데이터가 있는 경우, 중계기는 제 1 데이터를 ACK/NACK을 필요로 하지 않는 데이터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계기가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들에게 반드시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의 예로, 단말의 초 기 접속을 위한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가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m=4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1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 동기식 ACK/NACK 전송 방식에 따르면,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5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ACK/NACK을 수신하여야 하므로, DL 주파수 밴드의 서브프레임 5를 블랭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한다. 그러나, 만약 중계기가 서브프레임 5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에게 반드시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 중계기는 상기 ACK/NACK을 수신할 수 없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계기가 서브프레임 1에서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데이터를 ACK/NACK을 필요로 하지 않는 데이터로 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상위계층 또는 제어채널을 통하여 서브프레임 1에서 ACK/NACK을 필요로 하지 않는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중계기에게 지시할 수 있다. 또는, 중계기는 상위계층 또는 제어채널을 이용하거나 전송 데이터 헤더(header)의 플래그 등을 통하여, 서브프레임 1에서 전송되는 데이터가 ACK/NACK을 필요로 하지 않는 데이터라는 것을 기지국에게 알릴 수 있다. 또는, 중계기가 서브프레임 1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에게 일체의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5에서 기지국으로부터 ACK/NACK을 기다리지 않고, 서브프레임 5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에게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이 서브프레임 n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데이 터를 전송하는 경우, 중계기는 상기 데이터 전송에 대한 ACK/NACK을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전송하기 위하여 UL 주파수 밴드의 서브프레임 n+m를 블랭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한다. 만약, 중계기가 서브프레임 n+m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들로부터 반드시 수신해야 하는 신호가 있는 경우,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n에서 ACK/NACK을 필요로 하지 않는 데이터를 중계기에게 전송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계기는 서브프레임 n+m에서 기지국으로 ACK/NACK을 전송할 필요가 없으므로, 서브프레임 n+m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수신을 할 수 있다.
2) 밴드 스와핑 방법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n-m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에게 제 1 데이터를 전송하고,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제 2 데이터를 전송한다. 동기식 ACK/NACK 전송 방식에 따르면,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제 2 데이터가 기지국이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반드시 전송해야 할 데이터라면, 기지국은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수신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데이터를 ACK/NACK을 필요로 하지 않는 데이터로 할 수 있다. ACK/NACK을 필요로 하지 않는 데이터의 일 예로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신호가 있다. 이때, 기지국은 상위계층 또는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 1 데이터는 ACK/NACK을 필요로 하지 않는 데이터라는 것을 단말들 에게 알릴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n-m에서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에게 어떠한 데이터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어떠한 제약없이 서브프레임 n에서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중계기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디자인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메모리 유닛이나 프로세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도 1은 중계기가 도입된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동기식 ACK/NACK 전송 방식을 나타내는 일 예이다.
도 3은 블랭크 서브프레임 방법을 적용하여 데이터 및 ACK/NACK을 전송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밴드 스와핑 방법을 적용하여 데이터 및 ACK/NACK을 전송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블랭크 서브프레임 방법에 따를 경우, 동기식 ACK/NACK을 전송할 수 없는 예들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밴드 스와핑 방법에 따를 경우, 동기식 ACK/NACK을 전송할 수 없는 예들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및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및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및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및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및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및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중계기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제 1 데이터를 제 1 서브프레임 안에 U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 2 데이터를 제 2 서브프레임 안에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일정 시점 이후의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제 2 데이터의 전송이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안에 상기 DL 주파수 밴드를 통하여 상기 중계기에 의해 수행되어야 할 때에 상기 제 1 데이터는 상기 제 1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ACK/NACK을 필요로 하지 않는 데이터이며, 상기 제 2 데이터는 상기 단말의 최초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동기화 신호와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는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6. 삭제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ACK/NACK 요청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ACK/NACK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ACK/NACK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080126921A 2008-11-03 2008-12-15 중계기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전송 방법 KR101457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5864 WO2010062035A2 (en) 2008-11-03 2009-10-13 Method for transmitting acknowledgement/non-acknowled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relay station
US13/127,204 US8649316B2 (en) 2008-11-03 2009-10-13 Method for transmitting acknowledgement/non-acknowled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relay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92308P 2008-11-03 2008-11-03
US61/110,923 2008-1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468A KR20100049468A (ko) 2010-05-12
KR101457708B1 true KR101457708B1 (ko) 2014-11-04

Family

ID=42275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921A KR101457708B1 (ko) 2008-11-03 2008-12-15 중계기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49316B2 (ko)
KR (1) KR101457708B1 (ko)
WO (1) WO201006203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5929A (ja) * 2008-12-02 2010-06-17 Fujitsu Ltd 無線中継装置
WO2010143445A1 (ja) * 2009-06-10 2010-12-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01925110B (zh) * 2009-06-16 2013-08-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中继链路上行反馈信息的传输方法、中继站及基站
KR101055574B1 (ko) * 2009-08-05 2011-08-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통신시스템 및 이를 위한 통신 수행 방법
US8611295B2 (en) * 2010-06-21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resource partitioning information (ARPI) transition behavior in heterogeneous networks
CN102480343B (zh) * 2010-11-22 2016-01-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回程链路ack/nack信息的处理方法及系统
US9446077B2 (en) 2013-03-13 2016-09-20 Allosource Fascia fibrou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use and manufacture
US9137642B2 (en) * 2013-03-20 2015-09-15 Google Inc. Multi-cast optimized medium access method for wireless network
US10264462B2 (en) * 2013-06-17 2019-04-16 Marvell World Trad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the effect of certain types of interference on a signal received in a wireless network
US9596615B1 (en) 2013-07-03 2017-03-14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a condition of a wireless channel in view of feedback under strong and sporadic interference received over the wireless channel
US9654257B2 (en) 2015-01-26 2017-05-16 Motorola Solutions, Inc. Time efficient group data acknowledgement
WO2019001695A1 (en) * 2017-06-28 2019-01-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BIDIRECTIONAL TRAFFIC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2739A1 (en) 2005-05-23 2006-1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Protocol Having Multiple Complementary Feedback Mechanisms
US20080240014A1 (en) 2007-03-30 2008-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synchronous control message transmission for data retransmission in wireless relay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384B1 (ko) * 2002-03-21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선택적 흐름제어를 통한 데이터 신뢰성 보장장치 및 방법
US7975199B2 (en) * 2006-04-03 2011-07-05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Relay-assisted HARQ transmission system
US20090257371A1 (en) * 2006-05-01 2009-10-15 Panasoni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base sta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in the radio communication base station apparatus
WO2007133022A1 (en) * 2006-05-11 2007-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y link zone information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7873002B2 (en) * 2006-09-19 2011-01-18 Zte (Usa) Inc. Frame structure for multi-hop r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2015498B1 (en) * 2007-04-03 2021-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laystations and methods for data retransmission in multihop rela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2739A1 (en) 2005-05-23 2006-1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Protocol Having Multiple Complementary Feedback Mechanisms
US20080240014A1 (en) 2007-03-30 2008-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synchronous control message transmission for data retransmission in wireless relay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62035A2 (en) 2010-06-03
US20110211523A1 (en) 2011-09-01
WO2010062035A3 (en) 2010-07-29
KR20100049468A (ko) 2010-05-12
US8649316B2 (en)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708B1 (ko) 중계기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전송 방법
US11470625B2 (en)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supporting single and multiple interlace modes
JP641005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動的時分割複信データチャンネル送信方法及び装置
US11212067B2 (en) Configurable bi-directional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JP4972694B2 (ja) Phich送信資源領域情報の獲得方法及びこれを用いるpdcch受信方法
US9271281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 (CA) in TDD (time division duplex) mode
US84009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backhaul transmission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relay
US201300837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dd (time division duplex)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 (c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13001B2 (en) Determin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timing
US106736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ment of TDD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302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400033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bund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080130526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LCR-TDD compatible frame structure
WO2017194167A1 (en) Radio transceiving device and method using waveform adaptation
CN110350955B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US91009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 division duplex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chan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66873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CN115589638A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US202303890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ind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9188615A1 (ja) 再送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