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7874A -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7874A
KR20090067874A KR1020070135683A KR20070135683A KR20090067874A KR 20090067874 A KR20090067874 A KR 20090067874A KR 1020070135683 A KR1020070135683 A KR 1020070135683A KR 20070135683 A KR20070135683 A KR 20070135683A KR 20090067874 A KR20090067874 A KR 20090067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antenna
digital broadcasting
magnet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춘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5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7874A/ko
Publication of KR20090067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8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안테나를 넣고 빼는 간단한 동작으로 디지털 방송을 온/오프(on/off)하거나 디지털 방송 어플레케이션을 구동 및 종료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며, 정지점에 대해서 위로 또는 상기 정지점을 향하여 아래로 이동이 가능한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안테나의 이동 여부에 따른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디지털 방송의 온/오프하거나 디지털 방송 어플레이션을 구동 및 종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디지털 방송, 안테나, 홀 센서, 온/오프, 휴대 단말기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테나를 넣고 빼는 동작으로 디지털 방송을 온/오프(on/off)하거나 디지털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구동 및 종료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 시장은 소비자의 구매를 자극하는 새로운 기술 및 기능으로 인하여 짧은 기간에 대단히 빠른 성장을 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설치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음성 정보, 문자 정보, 화상 정보, MP3(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 3), 게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도 소개되고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지털 방송은 오디오, 비디오 및 텍스트 등 다양한 멀티미 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여 휴대 단말기에 제공한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을 통하여 수신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 마련된 메뉴키 또는 전용키를 눌러 디지털 방송을 수신한다.
그런데 메뉴키를 통하여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 여러번의 키입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 번거롭다. 이와 같은 번거로움은 전용키를 통하여 해소할 수 있다.
하지만 휴대 단말기에 새로운 기술이나 기능이 추가될 때마다 전용키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용키의 추가는 휴대 단말기를 디자인할 때 디자인의 자유도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용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을 온/오프하거나 디지털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구동 및 종료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테나를 넣고 빼는 간단한 동작으로 디지털 방송을 온/오프하거나 디지털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구동 및 종료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며, 정지점에 대해서 위로 또는 상기 정지점을 향하여 아래로 이동이 가능한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안테나의 이동 여부에 따른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디지털 방송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안테나의 이동 여부에 따른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디지털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및 종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안테나가 정지점에 대해서 위로 또는 상기 정지점을 향하여 아래로 이동하는 지의 여부를 센서로 감지하는 감지 과정과, 상기 안테나의 이동 여부에 따른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디지털 방송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안테나가 정지점에 대해서 위로 또는 상기 정지점을 향하여 아래로 이동하는 지의 여부를 센서로 감지하는 감지 과정과, 상기 안테나의 이동 여부에 따른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디지털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및 종료를 제어하는 제어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를 빼고 넣는 간단한 동작으로 디지털 방송을 온/오프하거나 디지털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및 종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디지털 방송 온/오프용 전용키가 설치된 영역은 다른 영역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를 디자인할 때의 제약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안테나를 빼고 넣는 간단한 동작으로 디지털 방송을 온/오프하거나 디지털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및 종료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를 통한 디지털 방송의 접근성을 높이면서, 사용자 편의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도 1 내지 도 2b를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와, 케이스(20)에 내장된 제어부(11), 입력부(12), 메모 리부(13), 방송수신부(14), 안테나(15), 음성처리부(16), 표시부(17) 및 홀 센서(18)를 구비하며, 안테나(15)의 끝단에는 자석(15a)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20)는 제 1 면(21)과, 제 1 면(21)에 반대되는 제 2 면(23)을 갖는다. 케이스(20)의 제 1 면(21)쪽에 안테나(15)가 설치되며, 안테나(15)에 근접하게 홀 센서(18)가 설치된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케이스(20)의 제 1 면(21)쪽에 설치된 안테나(15)는 제 1 면(21)에 설치되는 배터리에 의해 가려진다. 그리고 케이스(20)의 제 1 면(21)쪽에 표시부(17)와 키패드와 같은 입력부(12)가 설치된다.
제어부(11)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이다. 제어부(11)는 안테나(15)의 이동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온/오프하거나 디지털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및 종료를 제어한다.
입력부(12)는 휴대 단말기(10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키선택에 따른 선택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1)에 전달한다. 입력부(12)로는 키패드, 터치패드와 같은 포인팅 장치,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의 입력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부(13)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다. 메모리부(13)는 안테나(15)의 이동 여부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온/오프를 수행하거나 디지털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및 종료하기 위한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방송수신부(14)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안테나(15)를 통 하여 수신하여 제어부(11)에 전송한다. 제어부(11)는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방송 영상은 표시부(17)로 출력하고, 디지털 방송 음성은 음성처리부(16)로 출력한다.
현재 서비스되는 디지털 방송 방식은 크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와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DMB는 다시 지상파 DMB( Terrestrial DMB; T-DMB 라고도 함)와 위성 DMB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100)는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이 있다.
표시부(17)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메뉴를 비롯하여 메모리부(13)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7)는 수신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부(17)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표시 장치와 입력 장치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안테나(15)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며, 정지점(S)에 대해서 위로 또는 정지점(S)을 향하여 아래로 이동이 가능하다. 특히 안테나(15)의 끝단에는 자석(15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홀 센서(18)는 안테나(15)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부(11)에 전송한다. 홀 센서(18)는 반도체의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한 센서로서, 홀 센서(18)와 자석(15a) 사이의 거리에 따른 자석(15a)의 자기장 세기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홀 센서(18)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는 감지된 자기장 세기에 따른 내부저항값이나 전압값일 수 있다. 홀 센서(18)는 안테나(15)의 정지점(S)에 설치되어 안테나(15)의 이동에 따른 자석(15a)의 자기장 세기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안테나(15)의 이동 여부에 따른 홀 센서(18)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디지털 방송의 온/오프하거나 디지털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및 종료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1)는 안테나(15)의 끝단이 정지점(S)에 대해서 임계 거리 이내에 있는 것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홀 센서(18)로부터 수신하면, 디지털 방송을 오프(off)하고, 안테나(15)의 끝단이 정지점(S)에 대해서 임계 거리 밖에 있는 것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홀 센서(18)로부터 수신하면, 디지털 방송을 온(on)한다.
또는 제어부(11)는 안테나(15)의 끝단이 정지점(S)에 대해서 임계 거리 이내에 있는 것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홀 센서(18)로부터 수신하면, 디지털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안테나(15)의 끝단이 정지점(S)에 대해서 임계 거리 밖에 있는 것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홀 센서(18)로부터 수신하면, 디지털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예컨대, 자석(15a)의 N극이 홀 센서(18)를 향하고 있는 경우의 제어부(11)에 의한 디지털 방송의 온/오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1)는 안테나(15)의 자석(15a)이 홀 센서(18)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감지된 자기장 세기에 따른 내부저 항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디지털 방송을 오프한다. 제어부(11)는 안테나(150의 자석(15a)이 홀 센서(18)에서 멀어짐에 따라 감지된 자기장 세기에 따른 내부저항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디지털 방송을 온한다.
즉 안테나(15)가 케이스(20) 밖으로 인출되면, 제어부(11)는 디지털 방송을 온한다. 반대로 안테나(15)가 케이스(20) 안으로 삽입되면, 제어부(11)는 디지털 방송을 오프한다.
또는 자석(15a)의 S극이 홀 센서(18)를 향하고 있는 경우의 제어부(11)에 의한 디지털 방송의 온/오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1)는 안테나(15)의 자석(15a)이 홀 센서(18)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감지된 자기장 세기에 따른 내부저항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디지털 방송을 오프한다. 제어부(11)는 안테나(15)의 자석(15a)이 홀 센서(18)에서 멀어짐에 따라 감지된 자기장 세기에 따른 내부저항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디지털 방송을 온한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케이스(20)에서 안테나(15)를 빼고 넣는 간단한 동작으로 디지털 방송을 온/오프하거나 디지털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및 종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종래의 디지털 방송 온/오프용 전용키가 설치된 영역을 다른 영역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100)를 디자인할 때의 제약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를 통한 디지털 방송의 접근성을 높이면서, 사용자 편의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디지털 방송 온/오프 제 어 방법을 도 2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5)가 케이스(20) 안에 삽입되어 안테나(15)의 끝단이 홀 센서(18)에 접촉되어 있으면, 제어부(11)는 디지털 방송을 오프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7)에는 디지털 방송이 표시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5)가 케이스(20) 밖으로 인출되어 안테나의 끝단이 홀 센서(18)에서 떨어지면, 제어부(11)는 디지털 방송을 온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안테나(15)를 통하여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방송 영상은 표시부(17)로 출력하고, 디지털 방송 음성은 음성처리부(도 1의 17)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어플레이션 구동 및 종료 제어 방법 또한 전술된 디지털 방송 온/오프 제어 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예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안테나(15)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로 홀 센서(18)를 사용한 예를 개시하였지만,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센서(118)를 사용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15)의 끝단에 자석이 설치되지 않고, 홀 센서 대신에 접촉 센서(118)가 설치된 구조를 제외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접촉 센서(118)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촉 센서(118)는 안테나(115)의 정지점(S)에 설치되어 안테나(115)의 끝단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부(111)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11)는 안테나(115)의 이동 여부에 따른 접촉 센서(118)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디지털 방송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11)는 안테나(115)의 끝단이 접촉 센서(118)에 접촉한 것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접촉 센서(118)로부터 수신하면, 디지털 방송을 오프한다. 반대로 제어부(111)는 안테나(115)의 끝단이 접촉 센서(118)에서 떨어진 것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접촉 센서(118)로부터 수신하면, 디지털 방송을 온한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안테나(115)가 케이스(120) 밖으로 인출되어 접촉 센서(118)에서 떨어지면, 디지털 방송을 온한다. 반대로 안테나(115)가 케이스(120) 안으로 삽입되어 접촉 센서(118)에 접촉되면, 제어부(111)는 디지털 방송을 오프한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케이스(120)에서 안테나(115)를 빼고 넣는 간단한 동작으로 디지털 방송을 온/오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안테나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로 홀 센서와 접촉 센서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센서로 근접 센서나 광 센서 등도 가능하다. 근접 센서는 안테나의 정지점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안테나의 끝단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여 디지털 방송을 온/오프시킨다.
그리고 광 센서는 안테나가 인출되는 방향에 대해서 수평한 면에 설치되며, 안테나를 중심으로 양쪽에 설치되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한다. 안테나가 케이스 안으로 삽입되어 안테나의 끝단이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를 통과하면, 안테나는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수광부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광 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제어부가 수신하면, 제어부는 디지털 방송을 오프시킨다. 반대로 안테나가 케이스 밖으로 인출되면서 안테나의 끝단이 광 센서가 설치된 지점을 통과하면,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은 수광부로 입사된다. 이에 따라 광 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제어부가 수신하면, 디지털 방송을 온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온/오프 제어 방법에 따른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도 2a 및 도 도 2b는 디지털 방송이 오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3a 및 도 도 3b는 디지털 방송이 온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1, 111 : 제어부 12, 112 : 입력부
13 : 메모리부 14 : 방송수신부
15, 115 : 안테나 15a : 자석
16 : 음성처리부 17, 117 : 표시부
18 : 홀 센서 20, 120 : 케이스
100, 200 : 휴대 단말기 118 : 접촉 센서

Claims (22)

  1.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며, 정지점에 대해서 위로 또는 상기 정지점을 향하여 아래로 이동이 가능한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안테나의 이동 여부에 따른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디지털 방송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의 끝단이 상기 정지점에 대해서 임계 거리 이내에 있는 것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하면, 디지털 방송을 오프(off)하고,
    상기 안테나의 끝단이 상기 정지점에 대해서 임계 거리 밖에 있는 것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하면, 디지털 방송을 온(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끝단에 자석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는 상기 안테나의 정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안테나의 이동에 따른 상기 자석의 자기장 세기를 감지하는 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의 N극이 상기 센서를 향하고 있는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의 자석이 상기 센서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감지된 자기장 세기에 따른 내부저항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디지털 방송을 오프하고,
    상기 안테나의 자석이 상기 센서에서 멀어짐에 따라 상기 감지된 자기장 세기에 따른 내부저항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디지털 방송을 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의 S극이 상기 센서를 향하고 있는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의 자석이 상기 센서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감지된 자기장 세기에 따른 내부저항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디지털 방송을 오프하고,
    상기 안테나의 자석이 상기 센서에서 멀어짐에 따라 상기 감지된 자기장 세기에 따른 내부저항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디지털 방송을 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정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안테나의 끝단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의 끝단이 상기 센서에 접촉한 것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하면, 디지털 방송을 오프하고,
    상기 안테나의 끝단이 상기 센서에서 떨어진 것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하면, 디지털 방송을 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며, 정지점에 대해서 위로 또는 상기 정지점을 향하여 아래로 이동이 가능한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안테나의 이동 여부에 따른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디지털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및 종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의 끝단이 상기 정지점에 대해서 임계 거리 이내에 있는 것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하면, 디지털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상기 안테나의 끝단이 상기 정지점에 대해서 임계 거리 밖에 있는 것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하면, 디지털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안테나가 정지점에 대해서 위로 또는 상기 정지점을 향하여 아래로 이동하는 지의 여부를 센서로 감지하는 감지 과정과;
    상기 안테나의 이동 여부에 따른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디지털 방송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안테나의 끝단이 상기 정지점에 대해서 임계 거리 이내에 있는 것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하면, 디지털 방송을 오프(off)하고,
    상기 안테나의 끝단이 상기 정지점에 대해서 임계 거리 밖에 있는 것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하면, 디지털 방송을 온(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끝단에 자석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는 상기 안테나의 정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안테나의 이동에 따른 상기 자석의 자기장 세기를 감지하는 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의 N극이 상기 센서를 향하고 있는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안테나의 자석이 상기 센서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감지된 자기장 세기에 따른 내부저항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디지털 방송을 오프하고,
    상기 안테나의 자석이 상기 센서에서 멀어짐에 따라 상기 감지된 자기장 세기에 따른 내부저항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디지털 방송을 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의 S극이 상기 센서를 향하고 있는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안테나의 자석이 상기 센서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감지된 자기장 세기에 따른 내부저항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디지털 방송을 오프하고,
    상기 안테나의 자석이 상기 센서에서 멀어짐에 따라 상기 감지된 자기장 세기에 따른 내부저항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디지털 방송을 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정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안테나의 끝단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안테나의 끝단이 상기 센서에 접촉한 것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하면, 디지털 방송을 오프하고,
    상기 안테나의 끝단이 상기 센서에서 떨어진 것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하면, 디지털 방송을 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
  21. 안테나가 정지점에 대해서 위로 또는 상기 정지점을 향하여 아래로 이동하는 지의 여부를 센서로 감지하는 감지 과정과;
    상기 안테나의 이동 여부에 따른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디지털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및 종료를 제어하는 제어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안테나의 끝단이 상기 정지점에 대해서 임계 거리 이내에 있는 것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하면, 디지털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상기 안테나의 끝단이 상기 정지점에 대해서 임계 거리 밖에 있는 것을 감지한 감지 신호를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하면, 디지털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
KR1020070135683A 2007-12-21 2007-12-21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 KR200900678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683A KR20090067874A (ko) 2007-12-21 2007-12-21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683A KR20090067874A (ko) 2007-12-21 2007-12-21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874A true KR20090067874A (ko) 2009-06-25

Family

ID=40995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683A KR20090067874A (ko) 2007-12-21 2007-12-21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78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663A (ko) * 2015-02-16 2017-06-13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장치 부착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663A (ko) * 2015-02-16 2017-06-13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장치 부착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34763B (zh) 横竖屏切换方法、装置和终端
KR101568128B1 (ko) 모션 센서 기반의 ui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US201001317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ng mode of mobile terminal
US8271907B2 (en) User interface method for mobile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5182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1513785B1 (ko) 터치 스크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커맨드들을 변경하는 방법
US8773362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put interface thereof
US8793519B2 (en)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ased on motion sensor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811219B1 (ko) 손가락 추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장치
US7737945B2 (en) Pointing device with moveable magnetic disc and method
KR20110028834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터치 압력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20173983A1 (en) Scro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US20120162541A1 (en) Audio/visual device graphical user interface
US8925399B2 (en) Electronic apparatus use environment detecting method, electronic apparatus performance optimiz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1409802A (zh) 一种手机电视在屏显示控制方法和终端
JP2010257012A (ja) 情報端末装置および入力制御方法
US20160262097A1 (en) Mobile terminal device
CN102257794A (zh) 具有滑动显示屏和屏幕划分构件的移动通信设备
KR101618272B1 (ko) 단말기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KR2009006787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디지털 방송 제어 방법
US20110096235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hannel-switching method thereof
US20100060574A1 (en) Operating apparatus for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10049080A (ko) 물리적 접촉에 따른 동작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JP2010200322A (ja) 自動放映テレビユニット及びテレビユニット自動放映方法
JP2008269263A (ja) 入力装置、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