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7785A - 타깃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타깃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7785A
KR20090067785A KR1020070135556A KR20070135556A KR20090067785A KR 20090067785 A KR20090067785 A KR 20090067785A KR 1020070135556 A KR1020070135556 A KR 1020070135556A KR 20070135556 A KR20070135556 A KR 20070135556A KR 20090067785 A KR20090067785 A KR 20090067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arget
data
connection
targe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5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7785A/ko
Publication of KR20090067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2Application layer protocols, e.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깃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단말기로 타깃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받아 연결을 개시하고, 단말기와 연동하여 타깃 정보를 획득하는 접속 관리부; 및 타깃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타깃 데이터를 추출하고 단말기로 송신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한 단말기의 사용자를 고려하여 사용자마다 차별화된 타깃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타깃 데이터, 접속 지역, 나이, 성별, 타깃 정보

Description

타깃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Target Service}
본 발명은 타깃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의 접속 지역 또는 단말기의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별에 대한 정보들을 획득하고 이용함으로써, 단말기의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타깃 데이터를 제공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많은 사용자는 컴퓨터 또는 휴대전화 등의 단말기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하여, 웹 서버로부터 웹페이지를 내려받아 웹페이지에 담긴 여러 분야의 광고 및 뉴스 등의 수많은 정보를 이용한다.
이러한 웹 서버는 접속한 단말기의 사용자를 고려하지 않고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또는 차별화되지 않은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점 때문에, 종래의 웹 서버는 자신이 위치한 지역에 관한 정보 또는 자신의 나이나 성별에 적합한 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단말기가 웹 서버로부터 한 차례 웹 페이지를 수신한 이후, 웹 서버와의 연결을 해제하게 되는 데, 이러한 점 때문에 사용자가 웹페이지를 갱 신하고자 하는 경우 '새로고침(Refresh)' 버튼을 누르는 기능을 통해, 단말기가 해당 웹 서버와의 연결을 다시 개시하여 갱신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웹페이지를 갱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웹 서버는 단말기로부터 연결 개시 및 해제 절차의 반복을 통해 매번 웹페이지에 대한 갱신 요청을 수신하여 갱신 데이터를 검색하고 단말기로 제공한다. 이러한 갱신 요청에 의한 웹 페이지 갱신 방식은 웹 페이지에 대한 갱신 요청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웹 서버의 과도한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동시에 접속한 단말기의 수가 증가하고, 웹페이지에 대한 갱신 요청이 짧은 주기로 발생할수록 전술한 문제점은 더욱 심각해진다.
또한, 종래의 웹 서버는 단말기로부터의 웹 페이지 갱신 요청 수신시에만 웹페이지에서 갱신되는 정보(갱신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방식이므로, 사용자는 갱신 데이터가 발생한 시점에 맞춰 신속한 웹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뿐만 아니라, 전술한 종래의 웹 서비스의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웹 서비스를 이용하는 수많은 사용자의 특성(사용자가 웹 서비스에 접속한 지역과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별에 따른 특성)에 따라 그에 적합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웹 서버와 사용자의 단말기는 지속적으로 연결을 유지하지 못하고 한 차례의 통신을 수행한 후 연결을 해제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가 새로운 데이터 웹 서버로 송신하기 위해서는 웹 서버로 새로운 데이터를 요청해야 하므로 웹 서버 측에서는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정보 또는 컨텐츠 등이 새롭게 갱신된 경우 이러한 새로운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어려웠다.
예를 들면, 광고주가 웹 서버를 운영하는 운영자에게 특정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를 위한 광고를 실시간으로 의뢰한다면 종래의 웹 서비스에서는 웹 서버가 현재 접속한 단말기의 접속 지역을 파악하기 어려워 새로운 광고를 제공할 단말기를 특정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새로운 광고를 제공할 단말기들을 특정한다 하더라도 새로운 광고를 해당 단말기들로 일괄적으로 송신할 수 없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실시간 웹 서비스에서 웹 서비스에 접속하고 있는 특정 사용자 또는 특정 단말기의 특성을 파악하고 해당 특성에 적합한 새로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타겟 서비스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전술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의 접속 지역 또는 단말기 사용자의 나이, 성별 등의 정보를 획득하고 이용함으로써, 단말기의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타깃 데이터를 제공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단말기로 타깃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받아 연결을 개시하고, 단말기와 연동하여 타깃 정보를 획득하는 접속 관리부; 및 타깃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타깃 데이터를 추출하고 단말기로 송신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타깃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타깃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 타깃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받아 연결을 개시하고, 단말기와 연동하여 타깃 정보를 획득하며 타깃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단말기로 송신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가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단말기로 타깃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받아 연결을 개시하고, 단말기와 연동하여 타깃 서비스를 위한 타깃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b) 타깃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타깃 데이터를 추출하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한 단말기의 사용자를 고려하여 사용자마다 차별화된 타깃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한 단말기의 접속 지역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지역성 타깃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한 단말기의 사용자의 나이 또는 연령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연령별 또는 성별별 타깃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로부터 타깃 데이터에 대한 갱신 요청을 수신하지 않고도 갱신 데이터를 푸시 방식으로 전송함으로써, 데이터의 처리량과 통신량을 줄여 서버에 대한 부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깃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깃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타깃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110), 타깃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20) 및 단말기(110)로부터 접속을 요청받아 연결을 개시하고, 단말기(110)와 연동하여 타깃 정보를 획득하며 타깃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타깃 데이터를 추출하고 단말기(110)로 송신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깃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 수 있으며,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130)를 추가로 포함 할 수 있으며,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130)로부터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한 서비스 데이터를 지역별, 나이별 및 성별별 등에서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한다.
도 1에서는 전술한 데이터베이스(120)가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외부에서 연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연동할 수도 있다.
단말기(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및 휴대전화 등이 될 수 있으며,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타깃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갱신하는 응용 프로그램인 브라우저(Browser) 프로그램을 구비한다.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웹(Web) 서버 및 왑(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말기(110)와 인터넷 및 이동통신망 등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단말기(110)로 송신할 타깃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20)와 연동한다.
타깃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단말기(110)는 웹 또는 왑에 기반하여 타깃 서비스를 수행한다. 또한, 타깃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송수신 되는 타깃 데이터 등은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또는 무선 마크업 언어(WML: Wireless Markup Language)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타깃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하나의 단말기(110) 가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타깃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복수 개의 단말기가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타깃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타깃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하나의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복수 개의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타깃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복수 개의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로 구성되면, 단말기(110)는 복수 개의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 중 하나의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로 임의로 또는 일정한 접속 규칙에 따라 접속하여 타깃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타깃 서비스'란, 단말기(11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지리적인 위치, 나이 및 성별 등을 고려하여 그에 적합한 (타깃)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예를 들면, 서울에 있는 사용자의 단말기(110)가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한 경우 해당 단말기(110)로 서울 지역에 대한 뉴스, 광고 등을 타깃 데이터로서 송신하는 서비스가 타깃 서비스일 수 있다. 또한,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특정 사용자 ID로 로그인한 단말기(110)로는 단말기(110)의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별에 맞는 광고 등을 타깃 데이터로서 송신하는 서비스가 타깃 서비스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타깃 데이터'는 단말기(110)에 구비된 브라우저 프로그램에 의해 출력되는 웹 페이지 또는 왑 페이지 전체일 수도 있고, 웹 페이지 또는 왑 페이지에 포함된 정보 중 하나일 수도 있다.
이러한 타깃 서비스를 단말기(110)로 제공하기 위해,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단말기(110)로부터 타깃 정보를 획득해야만 한다. 여기서 타깃 정보는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이다.
단말기 식별 정보는 단말기(110)의 IP 주소, 단말기(110)가 속해 있는 네트워크에서의 게이트웨이 주소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식별 정보(MIN: Mobile Indentification Number) 등일 수 있으며, 로그인 절차를 거치거나 거치지 않은 단말기(110)로부터 모두 획득될 수 있는 타깃 정보이다.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타깃 정보로서 단말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110)의 접속 위치를 분석한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ID와 같은 로그인 정보일 수 있으며 로그인 절차를 거친 단말기(110)로부터 획득되는 타깃 정보이다.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타깃 정보로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110)의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별을 분석한다.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접속한 단말기(110)로부터는 IP 주소 등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단말기(110)의 접속 지역을 분석하고, 분석된 접속 지역에 따른 서비스 데이터를 타깃 데이터로 추출하여 단말기(110)로 송신함으로써 타깃 서비스를 제공한다.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이러한 획득한 단말기 식별 정보로부터 단말기(110)의 접속 지역을 분석하기 위해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할 수 있다.
한편,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로그인 절차를 거쳐서 접속한 단말 기(110)로부터는 전술한 단말기 식별 정보 이외에도 사용자 ID 등의 로그인 정보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여 단말기(110)의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별을 분석하고, 분석된 나이 또는 성별에 따른 서비스 데이터를 타깃 데이터로 추출하여 단말기(110)로 송신함으로써 타깃 서비스를 제공한다.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이러한 획득한 사용자 정보로부터 단말기(110)의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별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다.
물론,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로그인 절차를 거쳐서 접속한 단말기(110)로부터 단말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이용하여 타깃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단말기(110)로 타깃 데이터가 갱신될 때마다 타깃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개시된 단말기(110)와의 연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해야한다.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단말기(110)와 연동하여 연결을 개시하고 단말기(110)로부터 타깃 서비스를 요청받아 타깃 데이터를 단말기(110)로 송신하되, 단말기(110)로 하여금 연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연결 지향성의 프로토콜에 의해 단말기(110)와 연결을 개시하며, 프로토콜에 의해 송신하는 타깃 데이터의 컨텐츠 사이즈를 설정하지 않거나 타깃 데이터의 사이즈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단말기(110)로 하여금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프로토콜은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이하 "HTTP"라 칭함) 또는 무선 응용 통신 규약(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이하 "WAP"이라 칭함) 스택에서의 무선 전송 계층(WTP: Wireless Transport Layer)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전술한 프로토콜이 HTTP라면,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단말기(110)로 송신할 타깃 데이터의 HTTP 헤더 필드에 포함된 컨텐츠 길이 필드를 지정하지 않음으로써, 단말기(110)로 하여금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단말기(110)로부터 접속을 요청받아 연결을 개시하고, 단말기(110)와 연동하여 타깃 정보를 획득하는 접속 관리부(210) 및 타깃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20)에서 타깃 데이터를 추출하고 단말기(110)로 송신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접속 관리부(210)는 단말기(110)와 연동하여 연결을 개시하고 단말기(110)로부터 타깃 서비스를 요청받아 단말기(110)로 하여금 연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접속 관리부(210)는 연결 지향성(Connection Oriented)의 프로토콜에 의해 단말기(110)와 연결을 개시하며, 타깃 서비스 제공부(220)에서 프로토콜에 의해 송신하는 타깃 데이터의 컨텐츠 사이즈를 설정하지 않거나 타깃 데이터의 사이즈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연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프로토콜은 HTTP 또는 WAP 스택에서의 무선 전송 계층 프로토콜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HTTP에 의해 연결이 관리되고 타깃 데이터가 송수신된다면, 접속 관리부(210)는 타깃 데이터에서의 HTTP 헤더 필드에 포함된 컨텐츠 길이 필드를 지정하지 않음으로써, 단말기(110)로 하여금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타깃 서비스 제공부(220)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130)로부터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면 서비스 데이터를 지역별, 나이별, 성별별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130)가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면서 해당 서비스 데이터를 특정 사용자에게 제공할 것을 요청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타깃 서비스 제공부(220)를 이용하여 서비스 데이터를 전술한 기준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도록 하고 만약 컨텐츠 제공 단말기(130)로부터 새로운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 또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함으로써 서비스 데이터를 갱신한다.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단말기(110)로 타깃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단말기(110)로부터 타깃 정보를 획득해야만 한다.
단말기(110)가 로그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접속한 경우, 접속 관리부(210)는 단말기(110)의 IP 주소와 같은 단말기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깃 정보로서 단말기 식별 정보를 획득한 경우, 타깃 서비스 제공부(220)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110)의 접속 지역을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120)에 지역별로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는 여러 서비스 데이터 중에 해당 접속 지역에 따른 서비스 데이터를 타깃 데이터로서 추출한다.
타깃 서비스 제공부(220)는 이러한 단말기 식별 정보로부터 단말기(110)의 접속 지역을 분석하기 위해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할 수 있으며,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110)가 인터넷 가입자 단말기라면, 타깃 서비스 제공부(220)는 인터넷 서비스를 공급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nternet Service Provider: ISP)가 운용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단말기 식별 정보로부터 단말기(110)의 접속 지역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10)가 이동통신 가입자 단말기라면, 타깃 서비스 제공부(220)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공급하는 이동통신 사업자가 운용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단말기 식별 정보로부터 단말기(110)의 접속 지역을 분석할 수 있다. 이 경우, 타깃 데이터는 지역성이 있는 광고 데이터, 지역 뉴스 데이터 등일 수 있다.
한편, 단말기(110)가 로그인 절차를 거쳐서 접속한 경우, 접속 관리부(210)는 단말기(110)의 IP 주소와 같은 단말기 식별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 ID와 같은 로그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깃 정보로서 로그인 정보를 획득한 경우, 타깃 서비스 제공부(220)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110)의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별을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120)에서 나이 또는 성별별로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서비스 데이터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별에 따른 타깃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 경우, 타깃 데이터는 단말기(110)의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 별에 맞는 광고 데이터, 영화 데이터 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미성년자라면 타깃 서비스 제공부(220)는 미성년자가 시청할 수 없는 성인 광고 데이터, 성인 영화 데이터는 타깃 데이터로 추출하지 않고 미성년자가 시청할 수 있는 광고 데이터, 미성년자 관람가 영화 데이터를 타깃 데이터로서 추출하여 해당 단말기(110)로 송신한다.
한편, 접속 관리부(210)는 단말기(110)로부터 접속을 요청을 받으면 단말기(110)와 연결을 개시하고, 단말기(110)로 하여금 개시한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지속적인 연결 유지를 통하여, 단말기(110)는 타깃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해당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 유지한다. 이러한 연결 유지는 타깃 데이터의 헤더에 포함된 컨텐츠 길이 필드에 컨텐츠 길이를 미지정하거나 해당 타깃 데이터의 컨텐츠 길이보다 큰 값을 지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즉, 단말기(110)가 타깃 서비스 제공부(220)로부터 수신한 타깃 데이터의 헤더에 포함된 컨텐츠 길이 필드 상에 컨텐츠 길이가 미지정되어 있거나 해당 타깃 데이터보다 큰 값으로 지정되어 있음을 인식하면, 단말기(110)는 원하는 데이터를 전부 수신하지 못하였다고 인식하게 됨으로써, 접속을 요청하거나 타깃 데이터를 수신한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타깃 서비스 제공부(220)는 단말기(110)로 이미 송신한 타깃 데이터에 대한 갱신 여부를 데이터베이스(120)로의 쿼리(Query)를 통하여 판단하여, 타깃 데이터가 갱신될 때마다 타깃 데이터의 갱신 데이터에 대한 요청 없이 갱신 데이터를 푸시(Push) 방식으로 단말기(110)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타깃 서비스 제공부(220)가 컨텐츠 제공 단말기(130)로부터 서비스 데이터의 갱신 데이터를 수신하면 갱신 데이터를 전술한 기준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함으로써 서비스 데이터를 갱신하는데, 타깃 서비스 제공부(220)는 데이터베이스(120)에서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되면 해당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특정(즉, 기 획득한 타깃 정보를 이용하여 갱신된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할 단말기를 특정)하고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110)로 갱신된 서비스 데이터인 갱신 타깃 데이터를 푸시 방식으로 일괄적으로 송신한다.
전술한 푸시 방식의 타깃 서비스 제공은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단말기(110)로부터 갱신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여 처리해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푸시 방식의 타깃 서비스 제공은 매 갱신 데이터에 대한 요청마다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120)로의 쿼리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부하를 저하시킬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광고주가 새로운 광고를 제공하기를 원할때 해당 광고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모든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일괄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타깃 서비스 제공부(220)는 단말기(110)로 갱신 데이터를 푸시 방식으로 송신하되,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접속 관리부(210)가 지속적으로 연결을 유지하고 있는 다른 단말기들로도 단말기(110)로 송신하는 동일한 갱신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동시 접속자수가 많은 경우에는 갱신 데이터에 대한 요청의 상대적인 감소량이 더욱 많음 으로써 전술한 푸시 방식의 타깃 서비스 제공의 장점이 더욱 두드러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깃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데이터베이스(120)와 연동하여 단말기(110)로 타깃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단말기(110)로부터 접속을 요청받아 연결을 개시하고, 단말기(110)와 연동하여 타깃 서비스를 위한 타깃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00) 및 획득된 타깃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타깃 데이터를 추출하고 단말기(110)로 송신하는 단계(S302)를 포함한다.
또한,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데이터베이스(120)와 연동하여 단말기(110)로 타깃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전술한 S300 단계 이전에 컨텐츠 제공 단말기(130)로부터 타깃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서비스 데이터를 지역별, 나이별 및 성별별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S300 단계는 단말기(110)와 연동하여 연결을 개시하고 단말기(110)로부터 상기 타깃 서비스를 요청받아 타깃 데이터를 단말기(110)로 송신하되, 단말기(110)로 하여금 연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전술한 S300 단계는 연결 지향성의 프로토콜에 의해 단말기(110)와 연결을 개시하며, 프로토콜에 의해 송신하는 타깃 데이터의 컨텐츠 사이즈를 설정하지 않거나 타깃 데이터의 사이즈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연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위에서 언급한 프로토콜은 HTTP 또는 WAP 스택에서의 무선 전송 계층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만약, 이러한 연결 지향성의 프로토콜이 HTTP라면, 전술한 S300 단계에서의 타깃 데이터는 HTTP 헤더 필드의 컨텐츠 길이 필드가 지정되지 않음으로써, 연결이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S300 단계는 세부적으로,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단말기(110)로부터 접속을 요청받아 연결을 개시하는 단계, 단말기(110)로 하여금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단말기(110)로부터 타깃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S300 단계에서의 지속적인 연결 유지 제어를 통하여, 단말기(110)는 S302 단계에서 타깃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해당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 유지한다. 이러한 S300 단계에서의 연결 유지 제어는 타깃 데이터의 헤더에 포함될 컨텐츠 길이 필드에 컨텐츠 길이를 미지정하거나 해당 타깃 데이터의 컨텐츠 길이보다 큰 값을 지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S302 단계에서 단말기(110)가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타깃 데이터의 헤더에 포함된 컨텐츠 길이 필드 상에 컨텐츠 길이가 미지정되어 있거나 해당 타깃 데이터보다 큰 값으로 지정되어 있음을 인식하면, 수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전부 수신하지 못하였다고 인식하여, 개시된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또한,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데이터베이스(120)와 연동하여 단말기(110)로 타깃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S300 단계 이후에 컨텐츠 제공 단말기(130)로부터 서비스 데이터의 갱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갱신 데이터를 데이 터베이스(120)에 저장하는 단계 및 S300 단계에서의 지속적인 연결 유지 제어를 통해 지속적으로 유지된 연결을 통하여 갱신 데이터를 단말기(110)로 푸시 방식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비로그인 단말기로 타깃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에서는 타깃 정보인 단말기 식별 정보로써 단말기(110)의 IP 주소를 이용하며, 단말기(110)의 IP 주소는 'a.b.c.d'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도 4에서는,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데이터베이스(120)에 타깃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데이터를 접속 지역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120)는 서울 지역에 대하여 분류된 서비스 데이터(서비스 데이터 A, 서비스 데이터 B, 서비스 데이터 C 및 서비스 데이터 D) 및 부산 지역에 대하여 분류된 서비스 데이터(서비스 데이터 E, 서비스 데이터 F, 서비스 데이터 G 및 서비스 데이터 H) 등을 저장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로그인 절차 없이 단말기(110)가 접속되면, 단말기(110)의 단말기 식별 정보로서 IP 주소(a.b.c.d)를 획득하여 이를 통해 단말기(110)의 접속 지역을 판단한다. 이러한 접속 지역의 판단은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구비된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또는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가입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ISP: Internet Service Provider)에 구비된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전술한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와 연동하여 단말기 식별 정보로서 IP 주소(a.b.c.d)로부터 접속 지역을 '서울특별시'로 판단한 것으로 가정한다.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획득된 IP 주소(a.b.c.d)를 이용하여 분석한 접속 지역인 '서울특별시'을 토대로,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서비스 데이터 중에서 '서울특별시'와 관련되어 분류된 서비스 데이터를 타깃 데이터로서 추출한다.
즉, 예를 들어, '서울특별시'와 관련되어 분류된 서비스 데이터인 서비스 데이터 A, 서비스 데이터 B, 서비스 데이터 C 및 서비스 데이터 D 중에서 하나 이상을 임의로 또는 소정의 추출 규칙에 따라 타깃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으며, '서비스 데이터 C'가 타깃 데이터로 추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타깃 데이터로서 추출한 서비스 데이터 C를 단말기(110)로 송신함으로써 타깃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말기(110)는 구비된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타깃 데이터인 서비스 데이터 C를 400과 같이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로그인 단말기로 타깃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에서는 타깃 정보인 단말기 식별 정보로써, 로그인 절차에서 단말기(110)에서 입력된 사용자 ID를 이용하며, 이때 사용자 ID는 'abc123'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도 5에서는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데이터베이스(120)에 타깃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데이터를 나이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120)는 10대에 대하여 분류된 서비스 데이터(서비스 데이터 1, 서비스 데이터 2, 서비스 데이터 3 및 서비스 데이터 4) 및 20대에 대하여 분류된 서비스 데이터(서비스 데이터 5, 서비스 데이터 6, 서비스 데이터 7 및 서비스 데이터 8) 등을 저장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물론, 서비스 데이터는 성별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로그인 절차에 의해 단말기(110)가 접속되면, 사용자 정보로서 로그인 정보인 사용자 ID(abc123)를 획득하여 이를 통해 단말기(110)의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별을 판단한다. 단, 제 2 실시예에서는 나이만을 고려한다. 이러한 단말기(110)의 사용자 나이의 판단은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구비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또는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가입한 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구비된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전술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사용자 정보로서 사용자 ID(abc123)로부터 사용자의 나이를 '12세'로 판단한 것으로 가정한다.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응 획득된 사용자 ID(abc123)를 이용하여 분석한 사용자의 나이인 '12세'을 토대로,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서비스 데이터 중에서 '12세'와 관련되어 분류된 서비스 데이터를 타깃 데이터로서 추출한다.
즉, 예를 들어 '12세'와 관련되어 분류된 서비스 데이터인 서비스 데이터 1, 서비스 데이터 2, 서비스 데이터 3 및 서비스 데이터 4 중에서 하나 이상을 임의로 또는 소정의 추출 규칙에 따라 타깃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으며, '서비스 데이터 2'가 타깃 데이터로 추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타깃 데이터로서 추출한 서비스 데이터 2를 단말기(110)로 송신함으로써 타깃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말기(110)는 구비된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타깃 데이터인 서비스 데이터 2를 500과 같이 출력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깃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에 대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깃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깃 서비스 제공에 대한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깃 서비스 제공에 대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단말기
110: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
120: 데이터베이스
130: 컨텐츠 제공 단말기
210: 접속 관리부
220: 타깃 서비스 제공부

Claims (23)

  1.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단말기로 타깃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받아 연결을 개시하고, 상기 단말기와 연동하여 타깃 정보를 획득하는 접속 관리부; 및
    상기 타깃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타깃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관리부는 상기 단말기와 연동하여 상기 연결을 개시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타깃 서비스를 요청받아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연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관리부는 연결 지향성의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단말기와 상기 연결을 개시하며, 상기 타깃 서비스 제공부에서 상기 프로토콜에 의해 송신하는 상기 타깃 데이터의 컨텐츠 사이즈를 설정하지 않거나 상기 타깃 데이터의 사이즈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연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은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또는 무선 응용 통신 규약(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스택에서의 무선 전송 계층(WTP: Wireless Transport Layer)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데이터는 HTTP 헤더 필드의 컨텐츠 길이 필드가 지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정보는 단말기 식별 정보이되, 상기 타깃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접속 지역을 분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접속 지역에 따른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타깃 데이터로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IP주소, 상기 단말기가 속해 있는 네트워크에서의 게이트웨이 주소 및 이동통신서비스에서의 단말기 식별 정보(MIN: Mobile Indentification Number)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정보는 사용자 정보이되, 상기 타깃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나이 또는 성별을 분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나이 또는 성별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타겟 데이터로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로그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타깃 데이터가 갱신될 때마다 상기 타깃 데이터의 갱신 데이터를 푸시 방식으로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
  11. 타깃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타깃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
    상기 타깃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받아 연결을 개시하고, 상기 단말기와 연동하여 타깃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타깃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타깃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단말기와 연동하여 상기 연결을 개시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타깃 서비스를 요청받아 상기 타깃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되,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연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는 연결 지향성의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단말기와 상기 연결을 개시하며, 상기 프로토콜에 의해 송신하는 상기 타깃 데이터의 컨텐츠 사이즈를 설정하지 않거나 상기 타깃 데이터의 사이즈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연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은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또는 무선 응용 통신 규약 스택에서의 무선 전송 계층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데이터는 HTTP 헤더 필드의 컨텐츠 길이 필드가 지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지역별, 나이별 및 성별별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시스템.
  17. 타깃 서비스 제공 서버가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단말기로 타깃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받아 연결을 개시하고, 상기 단말기와 연동하여 상기 타깃 서비스를 위한 타깃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타깃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타깃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단말기와 연동하여 상기 연결을 개시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타깃 서비스를 요청받아 상기 타깃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되,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연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연결 지향성의 프로토콜에 의해 상기 단말기와 상기 연결을 개시하며, 상기 프로토콜에 의해 송신하는 상기 타깃 데이터의 컨텐츠 사이즈를 설정하지 않거나 상기 타깃 데이터의 사이즈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연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은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또는 무선 응용 통신 규약 스택에서의 무선 전송 계층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데이터는 HTTP 헤더 필드의 컨텐츠 길이 필드가 지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방법.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전에,
    (a-1) 컨텐츠 제공 단말기로부터 상기 타깃 서비스를 위한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a-2)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지역별, 나이별 및 성별별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방법.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이후에,
    (c1) 컨텐츠 제공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갱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c2) 상기 갱신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c2) 상기 갱신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푸시 방식으로 송신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깃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70135556A 2007-12-21 2007-12-21 타깃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20090067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556A KR20090067785A (ko) 2007-12-21 2007-12-21 타깃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556A KR20090067785A (ko) 2007-12-21 2007-12-21 타깃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785A true KR20090067785A (ko) 2009-06-25

Family

ID=40995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556A KR20090067785A (ko) 2007-12-21 2007-12-21 타깃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77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614B1 (ko) * 2009-11-23 2013-11-2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온라인 게임의 아이템 거래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614B1 (ko) * 2009-11-23 2013-11-2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온라인 게임의 아이템 거래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110B1 (ko) 3a 기반의 푸시형 이벤트를 제공하는 유비쿼터스노티피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
KR100906109B1 (ko) 3a 기반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상태를 제공하는유비쿼터스 프리젠스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2333092B (zh) 一种网络用户识别的方法及其应用服务器
US8255491B1 (en) Determining a particular type of wireless device to be emulated
KR101638315B1 (ko) 와이파이 망을 이용한 웹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06081725A1 (fr) Méthode et système pour assortir la page web d’un terminal mobile de communication
CN106874471B (zh) 信息推送方法和装置
US201700247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C Address Tracking for a Mobile Device
JP2005346734A (ja) コンテンツ提供方法
US20120124175A1 (en) Atom-based really simple syndication (rss) content reader system and method, and atom-based rss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CN103473107A (zh) 一种基于移动中间件的交互界面动态更新的方法
CN107087013B (zh) 移动基站cdn系统及其服务方法
WO2006035116A1 (en) Content presentation adaptation
EP1372320B1 (en) Wireless LAN device storing and forwarding Internet data to a mobile terminal
KR20090067785A (ko) 타깃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WO20060284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ccess from a website via web or wap access
JP2011514578A (ja) Ruiプロファイリング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10056447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20220085214A (ko) 웹툰 내 구독자 맞춤형 간접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56367A (ko) 모바일웹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2342213A (ja) コンテンツ提供方法
KR100953258B1 (ko)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네트워크 연결 유지방법, 실시간 서비스 서버 및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
KR100636873B1 (ko) 모바일 알에스에스(rss) 콘텐츠 리더처리시스템 및 그방법
KR100994607B1 (ko) 마크업 페이지 중계 서버 및 그 제어방법
JPWO2002044906A1 (ja) コンテンツ提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