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258B1 -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네트워크 연결 유지방법, 실시간 서비스 서버 및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네트워크 연결 유지방법, 실시간 서비스 서버 및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258B1
KR100953258B1 KR1020070133114A KR20070133114A KR100953258B1 KR 100953258 B1 KR100953258 B1 KR 100953258B1 KR 1020070133114 A KR1020070133114 A KR 1020070133114A KR 20070133114 A KR20070133114 A KR 20070133114A KR 100953258 B1 KR100953258 B1 KR 100953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data
terminal
connec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5691A (ko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3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258B1/ko
Publication of KR20090065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5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adapted to provide push services, e.g. data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네트워크 연결 유지 방법, 실시간 서비스 서버 및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접속을 요청하여 연결을 개시하고 실시간 서비스를 요청하여 시간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되,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서비스 데이터의 갱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 및 단말기와 연동하여 연결을 개시하고 단말기로부터 실시간 서비스를 요청받아 서비스 데이터를 단말기로 송신하되, 단말기로 하여금 연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며,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될 때마다 갱신 데이터를 푸시 방식으로 단말기로 송신하는 실시간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의 부하를 줄여주고, 신속한 실시간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간 서비스, 푸시(Push), 연결(Connection) 제어 정보, 콘텐츠 길이

Description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네트워크 연결 유지 방법, 실시간 서비스 서버 및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Realtime Services Based on Push Transmission through Persistent Connection}
본 발명은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네트워크 연결 유지 방법, 실시간 서비스 서버 및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단말기로부터 갱신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하지 않고도 갱신 데이터를 지속적인 연결을 통하여 푸시 방식으로 전송함으로써 실시간 서비스의 정보 갱신을 위한 데이터 처리량과 통신량을 줄여 시스템에 대한 부하를 줄이고, 이를 통해 신속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많은 사용자는 컴퓨터 또는 휴대전화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신속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실시간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간 서비스로서는 끊임없이 변하는 주식정보, 문자정보, 뉴스정보, 웹페이지 광고와 뉴스 정보 및 경기진행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실시간 증권 서비스, 실시간 문자 중계 서비스, 실시간 뉴스 방송, 웹 페이지 갱신 서비스 및 실시간 스 포츠 중계 서비스 등이 있다.
이러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이 실시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단말기가 웹 페이지를 다운로드한 후에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서비스 데이터를 갱신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가장 흔한 방식은 브라우저의 '새로고침(Refresh)'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변경된 정보를 위한 서비스 데이터의 갱신을 요청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새로고침' 버튼을 누름으로써, 단말기는 해당 실시간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연결이 개시되고, 이러한 연결을 통해 변경되지 않은 모든 그래픽 객체까지 포함하는 전체 웹 페이지에 대한 갱신 데이터를 해당 실시간 서비스 서버로부터 다시 다운로드한다. 다운로드를 마무리한 이후, 단말기는 해당 실시간 서비스 서버와의 연결을 해제(Close)한다. 따라서, 단말기가 서비스 데이터의 갱신을 다시 하기위해서는 해당 실시간 서비스 서버와의 연결 개시, 갱신 데이터 수신, 개시된 연결 해제의 일련의 과정을 다시 반복적으로 수행해야만 한다.
따라서, 종래의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단말기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매번 서비스 데이터 갱신 요청을 수신해야함으로, 끊임없이 변하는 정보를 다수의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갱신 요청의 오버플로우(Overflow)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의 과도한 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동시에 접속한 단말기의 수가 증가하고,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갱신 요청이 짧은 주기로 발생할수록 전술한 문제점은 더욱 심각해 지며, 이로 인해 네트워크 전송 효율이 저하되고, 신속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단말기로부터의 서비스 데이터 갱신 요청 수신시에만 갱신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식이므로, 사용자는 갱신 데이터가 발생한 시점에 맞춰서 신속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기로 전송할 갱신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져오기 위해서는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갱신 요청 수만큼의 데이터베이스 쿼리(Query)를 발생한다. 특히, 동시 접속자 수가 많을 때에는 과도한 데이터베이스 쿼리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베이스는 제한된 데이터베이스 쿼리 처리 능력을 가지기 때문에, 수많은 동시 접속자에 의한 서비스 데이터 갱신 요청이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쿼리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야하는 부담도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갱신 요청을 수신하지 않고도 갱신 데이터를 푸시 방식으로 전송함으로써 실시간 서비스의 정보 갱신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 처리량과 통신량을 줄여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부하를 저하시키고, 이를 통해 신속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접속을 요청하여 연결을 개시하고 실시간 서비스를 요청하여 시간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되,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서비스 데이터의 갱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 및 단말기와 연동하여 연결을 개시하고 단말기로부터 실시간 서비스를 요청받아 서비스 데이터를 단말기로 송신하되, 단말기로 하여금 연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며,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될 때마다 갱신 데이터를 푸시 방식으로 단말기로 송신하는 실시간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접속이 시도되면 단말기와의 연결을 개시하고 단말기로 하여금 연결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연결 관리부; 단말기로부터 실시간 서비스를 요청받으면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되,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되면 갱신 데이터를 단말기로 푸시 방식으로 송신하는 서비스 제공부; 및 서비스 데이터 및 갱신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 되,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갱신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부로 전달하는 서비스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서버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실시간 서비스 서버가 단말기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받아 연결을 개시하는 단계; (b) 단말기로부터 실시간 서비스를 요청받는 단계; (c) 단말기로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고 단말기로 하여금 연결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d)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되는 경우에는 갱신 데이터를 단말기로 푸시 방식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웹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HTTP 프로토콜에 의해 클라이언트가 송신하는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제 1 단계; 수신된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생성하여 HTTP 프로토콜에 의해 송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접속 요청 및 데이터 송신이 이루어진 연결을 유지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 유지하는 연결을 사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단계의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의 콘텐츠 사이즈를 설정하지 않거나 상기 송신할 데이터의 사이즈보다 크게 설정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유지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갱신 요청을 수신하지 않고도 갱신 데이터를 푸시 방식으로 전송함으로써 실시간 서비스의 정보 갱신을 위한 데이터의 처리량과 통신량을 줄여 시스템에 대한 부하를 줄이고, 이를 통해 신속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은,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로 실시간 서비스를 요청하여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100) 및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데이터 또는 갱신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20)를 포함한다.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는 단말기(100) 이외에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이렇게 동일한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에 접속 하여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들의 집합이 하나의 단말기 그룹(10)이 된다.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는 단말기 그룹(10) 내의 각 단말기(100)와는 인터넷 및 이동통신망 등의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고,서비스 데이터 및 갱신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20)와 연동하여 실시간 서비스를 각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단말기 그룹(10) 내의 단말기(100)는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및 휴대전화 등일 수 있고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데이터 및 갱신 데이터의 출력 및 갱신 등을 수행하는 응용프로그램인 브라우저(Browser) 프로그램을 구비한다.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 및 각 단말기(100)는 웹(Web) 또는 왑(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에 기반하여 실시간 서비스를 수행한다. 또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송수신되는 서비스 데이터 및 갱신 데이터는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또는 무선 마크업 언어(WML: Wireless Markup Language)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은 하나의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실제로는 복수 개의 실시간 서비스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이 복수 개의 실시간 서비스 서버로 구성되면, 각 단말기(100)는 복수의 실시간 서비스 서버 중 하나의 실시간 서비스 서버로 임의로(Random) 또는 일정한 접속 규칙에 따라 접속하여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실시간 서비스'란, 단말기(100)로 신속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예를 들면, 매우 빈번하게 변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간 증권 서비스, 실시간 문자 중계 서비스, 실시간 뉴스 방송, 웹 페이지 갱신 서비스 및 실시간 스포츠 중계 서비스 등이 있다. 이러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는 복수 개의 단말기(100)와 통신하여 실시간으로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기 때문에 심각한 시스템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은 시스템 부하를 줄이면서도 가능한 많은 사용자에게 신속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만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하 설명에서는,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의 다수의 실시간 서비스 서버들의 기능 및 역할을 하나의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의 기능 및 역할로써 대체 설명하고, 특정 단말기(100)에 대한 기능 및 역할을 설명함으로써 단말기 그룹(10)에 포함된 나머지 단말기들의 기능 및 역할을 대체 설명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은 접속을 요청하여 연결을 개시하고 실시간 서비스를 요청하여 시간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되,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서비스 데이터의 갱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100) 및 단말기(100)와 연동하여 연결을 개시하고 단말기(100)로부터 실시간 서비스를 요청받아 서비스 데이터를 단말기(100)로 송신하되, 단말 기(100)로 하여금 연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며,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될 때마다 갱신 데이터를 푸시 방식으로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를 포함한다.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는 서비스 데이터에 단말기(100)로 하여금 개시된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연결 제어 정보를 삽입하여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이로 인해, 단말기(100)는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에도 기 개시된 연결을 해제하지 않는다.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는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서비스 데이터의 헤더에 포함된 콘텐츠 길이 필드(Content Length Field)에 콘텐츠 길이를 미지정함으로써, 서비스 데이터에 위에서 언급한 연결 제어 정보를 삽입한다. 즉, 예를 들어 종래의 실시간 서비스에서는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와 단말기(100)가 HTTP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가 HTTP 헤더 필드의 콘텐츠 길이 필드에 단말기(100)가 다운로드해야 할 HTML 문서의 콘텐츠 길이(즉, 데이터 크기)를 지정하여 HTML 문서를 전송하면, 단말기(100)는 해당 데이터 길이만큼의 데이터만을 수신하고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와의 연결을 해제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길이 필드에 콘텐츠 길이를 지정하지 않음으로써 단말기(100)가 HTML 문서를 다운로드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다운로드해야 하는 데이터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여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와의 연결을 계속해서 유지하도록 한다.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는 데이터베이스(120)에서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되는지 여부를 데이터베이스 쿼리(Query)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서비스 데티 터가 갱신되면 갱신 데이터를 단말기(100)로 푸시 방식으로 전송한다. 즉, 종래의 실시간 서비스에서는 단말기(100)은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시간 변경된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즉 갱신 데이터)의 전송을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로 요청하면,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가 데이터베이스에서 갱신된 데이터(즉 갱신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갱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단말기(100)로 전송하였다. 따라서,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는 단말기(100)로부터 요청이 있을 때마다 데이터베이스 쿼리를 발생시켜야 한다. 만일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에 동시에 접속한 단말기(100)가 셀 수 없이 많다면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는 모든 단말기(100)로부터 갱신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받아야 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갱신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그 때마다 갱신 데이터를 각 단말기(100)로 송신해야 한다. 따라서,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의 부하 부담이 크게 증가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100)가 갱신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가 주기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갱신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갱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동시에 접속하고 있는 모든 단말기(100)로 일괄적으로 송신함으로써,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가 갱신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모든 단말기(100)로부터 요청을 수신하고 처리해야 하는 부하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는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갱신 데이터를 송신할 때, 단말기(100)로 하여금 구비된 브라우저(Brows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갱신 데이터 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출력 제어 정보를 갱신 데이터와 함께 송신한다. 이를 통해, 단말기(100)에 구비된 브라우저 프로그램은 서비스 데이터에서 갱신된 부분만을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출력 제어 정보는 갱신 데이터를 출력하는 특정 스크립트(Script) 함수에 대한 호출 정보일 수 있으며, 스크립트는 유닉스 중심의 펄(PERL)과 넷스케이프의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마이크로소프트의 VBSscript 등 일 수 있으며, IBM의 REE와 선마이크로시스템즈의 Tcl/Tk 등 일 수도 있다.
또한,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는 자신에게 접속된 단말기 그룹(10)에 포함된 복수 개의 단말기(100)와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될 때마다 복수 개의 단말기(100)로 갱신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송신한다. 갱신 데이터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 또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송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에 포함된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는 단말기(100)로부터 한 차례의 실시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여 단말기(100)와 연결을 유지하면서, 갱신 데이터가 발생할 때마다 서비스 데이터의 갱신 을 요청받지 않고도 갱신 데이터를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가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갱신 요청을 수신하지 않고도 발생한 갱신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또는 "이벤트 통보(Event Polling: EPOLL)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라 한다. 이러한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는 단말기(100)로부터의 서비스 데이터의 갱신 요청에 대한 데이터 처리량 및 통 신량을 줄여주고, 단말기(100)에서 갱신 시점을 인식하지 못한 경우에도 서비스 데이터의 갱신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신속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는 하나의 단말기(100)뿐만 아니라 연결이 유지된 단말기 그룹(10)에 포함된 모든 단말기 또는 복수의 단말기로 갱신 요청 없이 동일한 갱신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전송해줌으로써,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갱신 요청을 모든 단말기들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해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실시간 서비스 서버의 부하를 줄여주고, 네트워크 전송 효율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는 데이터베이스(120)로의 한 번의 데이터베이스 쿼리를 통하여 갱신 데이터(130)를 추출하고, 추출된 갱신 데이터(130)와 동일한 서비스 데이터(131, 132, 133)를 연결된 모든 단말기(100)들로 각자의 해당 연결을 통해 제공해줌으로써, 종래에는 갱신 요청의 수만큼 데이터베이스 쿼리가 발생하는 것에 비해 데이터베이스 쿼리를 상당히 줄일 수 있어, 이를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베이스(120)의 부담을 상당히 줄여주는 효과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간 서비스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를 단말기로 제공하는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는 연결 관리부(210), 서비스 제공부(220) 및 데이터 관리부(230)를 포함한다.
연결 관리부(210)는 단말기(100)로부터 접속이 시도되면 단말기(100)와 연동하여 연결을 개시하고 단말기(100)로 하여금 연결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서비스 제공부(220)는 단말기(100)로부터 실시간 서비스를 요청받으면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되,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되면 갱신 데이터를 단말기(100)로 푸시 방식으로 송신한다.
데이터 관리부(230)는 서비스 데이터 및 갱신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서비스 제공부(220)로 전달하되,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갱신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부(220)로 전달한다.
또한, 연결 관리부(210)는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데이터에 단말기(100)로 하여금 기 개시된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연결 제어 정보를 삽입한다.
연결 관리부(210)는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할 때 서비스 데이터의 헤더에 포함된 콘텐츠 길이 필드에 콘텐츠 길이를 미지정함으로써 서비스 데이터에 연결 제어 정보를 삽입한다. 이를 통해, 단말기(100)가 서비스 데이터의 헤더에 포함된 콘텐츠 길이 필드가 미지정된 것을 확인하게 되고, 모든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기 개시된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220)는 서비스 데이터의 갱신을 판단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갱신 데이터를 송신할 때, 단말기(100)로 하여금 구비된 브라우저(Brows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갱신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출력 제어 정보를 갱신 데이터와 함께 송신한다.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는 갱신 데이터를 송신할 때,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데이터의 갱신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의 단말기(100)뿐만 아니라 동일한 방식으로 복수 개의 단말기(100)와의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즉, 연결 관리부(210)는 복수 개의 단말기(100)와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부(220)는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될 때마다 복수 개의 단말기(100)로 갱신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가 단말기(100)로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단말기(100)로부터 접속을 요청받아 연결을 개시하는 단계(S300), 단말기(100)로부터 실시간 서비스를 요청받는 단계(S302), 단말기(100)로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고 단말기(100)로 하여금 연결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304) 및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되는 경우에는 갱신 데이터를 단말기(100)로 푸시 방식으로 송신하는 단계(S306)를 포함한다.
S304 단계에서의 실시간 서비스 서버는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데이터에 단말기(100)로 하여금 기 개시된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연결 제어 정보를 삽입한다.
S304 단계에서의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는 서비스 데이터 송신시 서비스 데이터의 헤더에 포함된 콘텐츠 길이 필드에 콘텐츠 길이를 미지정함으로써 서비스 데이터에 연결 제어 정보를 삽입한다. 이를 통해, 단말기(100)가 서비스 데이터의 헤더에 포함된 콘텐츠 길이 필드가 미지정된 것을 확인하게 되고, 모든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여 기 개시된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S306 단계에서의 실시간 서비스 서버는 서비스 데이터의 갱신을 판단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갱신 데이터를 송신하게 되는데, 이때 단말기(100)로 하여금 구비된 브라우저(Brows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갱신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출력 제어 정보를 갱신 데이터와 함께 송신한다.
실시간 서비스 서버(110)는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데이터의 갱신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의 단말기(100)뿐만 아니라 동일한 방식으로 복수 개의 단말기(100)와의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해둠으로써, S306 단계에서는 갱신 데이터를 복수 개의 단말기(100)로 일괄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이 운용되는 예시적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은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실시간 서비스 서버(510, 520, 530, 540)를 포함하고, 그 중 하나의 실시간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실시간 서비스를 요청하여 제공받는 단말기들,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데이터 및 갱신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600)를 포함한다.
편의상,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간 서비스 서버(510, 520, 530, 540)의 집합을 실시간 서비스 서버 그룹(500)이라 한다.
또한, 실시간 서비스 서버 A(510)에 접속한 단말기들의 그룹을 단말기 그룹 A(410), 실시간 서비스 서버 B(520)에 접속한 단말기들의 그룹을 단말기 그룹 B(420), 실시간 서비스 서버 C(530)에 접속한 단말기들의 그룹을 단말기 그룹 C(430), 실시간 서비스 서버 D(540)에 접속한 단말기들의 그룹을 단말기 그룹 D(440)라 한다. 각각의 단말기 그룹 내 포함된 단말기들은 해당 실시간 서비스 서버와 "지속적인 연결(Persistent Connection)"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하에서는, 단말기 그룹 A(510)에는 2개의 단말기, 단말기 그룹 B(520)에는 4개의 단말기, 단말기 그룹 C(530)에는 2개의 단말기, 그리고 단말기 그룹 D(540)에는 3개의 단말기가 포함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실시간 서비스를 증권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실시간 증권 서비스라 가정하고, 이러한 증권 관련 정보는 서비스 데이터로서 데이터베이스(600)에서 저장되고, 이벤트 발생시 갱신되는 것을 가정한다.
실시간 서비스 서버 그룹(500) 내 하나의 특정한 실시간 서비스 서버(510)가 해당 단말기들(410)로 제공할 증권 관련 정보가 갱신된 것을 데이터베이스(600)로의 한 차례 데이베이스 쿼리를 통하여 감지하면, 이를 감지한 실시간 서비스 서버(510)는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갱신 데이터(700)를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추출한다.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갱신 데이터(700)를 추출한 실시간 서비스 서버(510)는 실시간 서비스 그룹(500) 내 나머지 실시간 서비스 서버들(520, 530, 540)과 갱신 데이터(700)를 공유함으로써, 실시간 서비스 그룹(500) 내 모든 실시 간 서비스 서버들(510, 520, 530, 540)은 갱신 데이터(700)와 동일한 갱신 데이터(710, 720, 730, 740)를 각기 보유한다.
증권 관련 정보에 대한 갱신 데이터를 공유한 실시간 서비스 서버 A(510), 실시간 서비스 서버 B(520), 실시간 서비스 서버 C(530) 및 실시간 서비스 서버 D(540)는 접속된 해당 단말기 그룹(410, 420, 430, 440) 내 단말기들로 공유한 갱신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면, 실시간 서비스 서버 A(510)는 갱신 데이터(700)를 공유하여 보유하게 된 갱신 데이터(710)를 자신에게 접속하여 연결을 유지하고 있는 단말기 그룹 A(410)에 포함된 2개의 단말기로 711번 갱신데이터 및 712번 갱신데이터를 각각 전송한다.
전술한 실시간 증권 서비스에서는 데이터베이스(600)로의 한 차례 데이터베이스 쿼리를 통해 갱신된 증권 관련 정보인 갱신 데이터를 실시간 서비스 서버들이 공유하여 보유하고, 각 실시간 서비스 서버는 연결이 유지된 단말기들로부터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갱신 요청 없이 갱신된 증권 관련 정보를 연결이 유지된 단말기들로 일괄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에서의 전술한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기술은, 데이터베이스 및 실시간 서비스 서버에 부하를 상당히 줄여줄 수 있으며, 갱신 요청 없이도 갱신 여부를 능동적으로 판단하고, 갱신 데이터를 가능한 많은 단말기로 신속하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술한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기술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쿼리의 수가 현저하게 줄어듦으로써, 적은 개수의 데이터베이스로도 실시간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되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구축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간 서비스 서버(웹서버)가 실시간 서비스를 단말기(클라이언트)로 제공하기 위하여, 웹서버와 단말기 간의 연결을 유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는 방법은, HTTP 프로토콜에 의해 클라이언트가 송신하는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제 1 단계(S500), 수신된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생성하여 HTTP 프로토콜에 의해 송신하는 제 2 단계(S502), 제 1 단계(S500)에서의 접속 요청 및 제 2 단계(S502)에서의 데이터 송신이 이루어진 연결을 유지하는 제 3 단계(S504) 및 제 3 단계(S504)에서 유지하는 연결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에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4 단계(S506)를 포함한다.
제 2 단계(S502)의 데이터는 데이터의 콘텐츠 사이즈를 설정하지 않거나 송신할 데이터의 사이즈보다 크게 설정하여 송신한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는 원하는 데이터를 전부 수신하지 못하였다고 인식하여 해당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 유지한다.
제 2 단계(S502)의 데이터는 HTTP 헤더 필드의 콘텐츠 길이(Content Length) 필드의 값을 미지정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 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간 서비스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이 운용되는 예시적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단말기 그룹
100: 단말기
110: 실시간 서비스 서버
120: 데이터베이스
210: 연결 관리부
220: 서비스 제공부
230: 데이터 관리부

Claims (15)

  1.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접속을 요청하여 연결을 개시하고 실시간 서비스를 요청하여 상기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갱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와 연동하여 상기 연결을 개시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실시간 서비스를 요청받아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되,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연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될 때마다 상기 갱신 데이터를 푸시 방식으로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실시간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실시간 서비스 서버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에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연결 제어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헤더에 포함된 콘텐츠 길이 필드에 콘텐츠 길이를 미지정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데이터에 상기 연결 제어 정보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서비스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서비스 서버는 상기 갱신 데이터를 송신할 때,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구비된 브라우저(Brows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갱신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출력 제어 정보를 함께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 정보는 상기 갱신 데이터를 출력하는 특정 스크립트(Script) 함수를 호출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서비스 서버는 복수 개의 단말기와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상기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될 때마다 상기 복수 개의 단말기로 상기 갱신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
  8. 단말기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접속이 시도되면 상기 단말기와의 연결을 개시하고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연결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연결 관리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실시간 서비스를 요청받으면 상기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되, 상기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되면 갱신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푸시 방식으로 송신하는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서비스 데이터 및 상기 갱신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부로 전달하되, 상기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갱신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제공부로 전달하는 서비스 데이터 관리부
    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관리부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에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연결 제어 정보를 삽입하고,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헤더에 포함된 콘텐츠 길이 필드에 콘텐츠 길이를 미지정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데이터에 상기 연결 제어 정보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서버.
  9. 삭제
  10. 삭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갱신 데이터를 송신할 때,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구비된 브라우저(Brows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갱신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출력 제어 정보를 함께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서버.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관리부는 복수 개의 단말기와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될 때마다 상기 복수 개의 단말기로 상기 갱신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서버.
  13. 실시간 서비스 서버가 단말기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단말기로부터 접속을 요청받아 연결을 개시하는 단계;
    (b)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실시간 서비스를 요청받는 단계;
    (c) 상기 단말기로 상기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연결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d) 상기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되는 경우에는 갱신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푸시 방식으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실시간 서비스 서버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에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개시된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연결 제어 정보를 삽입하고,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헤더에 포함된 콘텐츠 길이 필드에 콘텐츠 길이를 미지정함으로써 상기 연결 제어 정보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방법.
  14. 웹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HTTP 프로토콜에 의해 클라이언트가 송신하는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제 1 단계;
    수신된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생성하여 HTTP 프로토콜에 의해 송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접속 요청 및 데이터 송신이 이루어진 연결을 유지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 유지하는 연결을 사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단계의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의 콘텐츠 사이즈를 설정하지 않거나 상기 송신할 데이터의 사이즈보다 크게 설정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유지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데이터는 HTTP 헤더 필드의 콘텐츠 길이 필드의 값을 지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유지 방법.
KR1020070133114A 2007-12-18 2007-12-18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네트워크 연결 유지방법, 실시간 서비스 서버 및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 KR100953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114A KR100953258B1 (ko) 2007-12-18 2007-12-18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네트워크 연결 유지방법, 실시간 서비스 서버 및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114A KR100953258B1 (ko) 2007-12-18 2007-12-18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네트워크 연결 유지방법, 실시간 서비스 서버 및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691A KR20090065691A (ko) 2009-06-23
KR100953258B1 true KR100953258B1 (ko) 2010-04-16

Family

ID=40993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114A KR100953258B1 (ko) 2007-12-18 2007-12-18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네트워크 연결 유지방법, 실시간 서비스 서버 및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2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743B1 (ko) 2011-07-19 2013-08-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메시지 부하 분산을 위한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73660B1 (ko) * 2013-10-14 2014-12-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기반 실시간 데이터 푸싱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001A (ko) * 2005-01-06 2006-07-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실시간 정보 갱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70045610A (ko) * 2005-10-27 2007-05-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상에 실시간으로 정보를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001A (ko) * 2005-01-06 2006-07-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실시간 정보 갱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70045610A (ko) * 2005-10-27 2007-05-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상에 실시간으로 정보를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691A (ko) 2009-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59497C (zh) 一种实现文件加速下载的系统及方法
CN102084392B (zh) 数据分发系统和方法
US8064890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information for a wireless information system
US20030100320A1 (en) Efficient hyperlinks for transmitted hyperlinked information
CN103051663A (zh) 图片共享对等网络中用于改进访客图像查看性能的代理高速缓存技术
US20040267900A1 (en) Dynamic mobile device characterization
JP2005149387A (ja) リアルタイムWeb共有システム
CN103167031A (zh) Web应用之间的通信
CN102984278A (zh) 实现浏览器数据同步的系统和方法
CN101459571A (zh) 一种网站镜像的方法、系统及装置
CN100496027C (zh) 即时消息数据共享的方法
KR100953258B1 (ko) 푸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제공 방법, 네트워크 연결 유지방법, 실시간 서비스 서버 및 실시간 서비스 시스템
CN107087013B (zh) 移动基站cdn系统及其服务方法
AU769963B2 (en) Remote saving method of the searc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KR20040012311A (ko) 무선 통신망에서 프리젠스 정보 기반 개인간 컨텐츠 공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10066709A1 (en) Web server caching for performance improvement
US7660848B2 (en) Information terminal, and server for efficiently exchanging messages via a network
CN102780680A (zh) Sns平台数据回推方法及系统
Chika et al. Financial stock application using websocket in Real Time Application
JP2000181862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及び情報提供方法
KR100365137B1 (ko) 무선 인터넷 연결 유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96078A (ko) SyncML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서로다른 클라이언트에 제공하기 위한 동기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45744B1 (ko) 클러스터링 환경에서의 모바일 비즈니스 응용 서버간 콘텐츠 캐시 동기화 방법
JP2009181386A (ja) コンテンツ更新情報配信方法、コンテンツ配信制御サーバ、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86068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lerating data communication that is using multi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