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7088A - 타이어 몰드 - Google Patents

타이어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7088A
KR20090067088A KR1020080129465A KR20080129465A KR20090067088A KR 20090067088 A KR20090067088 A KR 20090067088A KR 1020080129465 A KR1020080129465 A KR 1020080129465A KR 20080129465 A KR20080129465 A KR 20080129465A KR 20090067088 A KR20090067088 A KR 20090067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mold
tire
segments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신 오야히아
크리스토프 장 알렉시 피에르
Original Assignee
더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90067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0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30/0629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with radially movable s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라 제공된 분할 몰드는 타이어 성형을 위한 환형 공동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세그먼트를 구비하고, 상기 세그먼트는 트레드 성형을 위한 내측면을 더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채널을 구비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수용되며, 상기 부재는 결합을 통해 내부에 유체를 순환시키는 유체 매니폴드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은 세그먼트의 반경 방향 외측면 상에 위치된다. 상기 세그먼트는 외측면에 제 1 및 제 2 채널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고, 각 채널은 관형 부재를 내장하며, 상기 제 1 세그먼트는 제 1 및 제 2 관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세그먼트는 제 1 및 제 2 관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세그먼트의 제 1 관형 부재는 제 1 크로스 부재에 의해 상기 제 2 세그먼트의 제 2 관형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세그먼트의 제 2 관형 부재는 제 2 크로스 부재에 의해 상기 제 2 세그먼트의 제 1 관형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부재 모두는 함께 결합되어 유체 순환을 위한 유체 매니폴드를 형성한다.

Description

타이어 몰드{TIRE MOLD}
본 발명은 공기압 래디얼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할된 타이어 몰드에 관한 것이다.
공기압 타이어의 성형을 위한 타이어 몰드는 전형적으로 강재나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며, 증기 압판(platen)에 의하거나 포스트 히터에 몰드를 적치하는 것에 의해 가열된다. 열전도는 타이어면을 형성하는 트레드(tread)와 측벽으로 열원의 열을 전달하는 것에 의존한다. 타이어면을 형성하는 트레드와 측벽으로의 열전도는 최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도가 최대인 상태에 이르지 못하면, 추가의 양생 시간(cure time)과 에너지 비용을 필요로 하므로 몰드의 생산성이 감소되고 운용 비용이 높아진다. 열전도가 비효율적이면 몰드에 온도 불균일이 생길 수 있다. 타이어 양생 시간은 통상 트레드 후면이나 비드(bead) 영역에 위치되는 타이어의 최소 양생의 포인트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이 영역을 보다 빨리 양생시킬 수 있으면, 공정 전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타이어를 빠르고 균일하며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개선된 몰드가 요망된다.
본 발명은 제 1 측면에 따른 분할 몰드를 제공하며, 이 분할 몰드는 타이어 성형을 위한 환형 공동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세그먼트를 구비하고, 상기 세그먼트는 트레드 성형을 위한 내측면을 더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채널을 구비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수용되며, 상기 부재는 결합을 통해 내부에서 유체를 순환시키는 유체 매니폴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은 세그먼트의 반경 방향 외측면 상에 위치된다.
본 발명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할 몰드를 제공하며, 이 분할 몰드는 타이어 성형을 위한 환형 공동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제 1 및 제 2의 세그먼트를 구비하며, 상기 세그먼트는 트레드 성형을 위한 내측면과 외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면은 2개 이상의 채널을 가지며, 각각의 채널은 내부에 수용되는 관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세그먼트는 제 1 및 제 2 관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세그먼트는 제 1 및 제 2 관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세그먼트의 제 1 관형 부재는 제 1 크로스 부재에 의해 상기 제 2 세그먼트의 제 2 관형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세그먼트의 제 2 관형 부재는 제 2 크로스 부재에 의해 상기 제 2 세그먼트의 제 1 관형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부재 모두는 함께 결합되어 유체 순 환을 위한 유체 매니폴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어를 빠르고 균일하며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개선된 몰드가 제공된다.
"축방향"은 타이어 또는 타이어 몰드의 회전 축에 평행한 라인 또는 방향을 의미한다.
"외주 방향"은 축방향에 수직인 환형 트레드 몰드의 표면의 주변을 따라 연장하는 라인 또는 방향을 의미한다.
"래디얼" 또는 "반경 방향"은 타이어 또는 타이어 몰드의 회전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측벽"은 트레드와 비드 사이의 타이어 부분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몰드 조립체(10)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몰드 조립체(10)는 조립시 환형 링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세그먼트(12)를 구비한다. 타이어의 외부 트레드 표면은 세그먼트(12)의 내측 성형면에 의해 형성되며, 세그먼트는 생타이어(green tire)에 트레드 패턴을 성형하기 위해 복수의 랜드(land) 및 홈을 구비한다. 몰드 세그먼트(12)는 몰드를 생타이어에 대해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도록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몰드 조립체(10)는 타이어(도시 생략)의 측벽 성형을 위해 제 1 및 제 2 측벽 플레이트(20, 22)를 더 구비한다. 각 측벽 플레이트(20, 22)는 타이어의 측벽 을 성형하기 위한 내부 성형면(24, 26)을 구비하고, 세그먼트(12)와 결합하여 타이어 트레드로부터 측벽에 이르는 매끄러운 연속면을 형성한다. 각각의 측벽 플레이트(20, 22)는 세그먼트의 제 1 및 제 2 플랜지 단부(32, 34)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L-형의 리세스를 형성하는 선택적인 반경 방향 외부 립(28, 3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측벽 플레이트(20, 22)는 몰드 비드 링(40, 42)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제 2의 L-형의 리세스(36, 38)를 형성하는 반경 방향 내부 연장부 또는 립을 더 구비한다. 각각의 비드 링(40, 42)은 생타이어의 비드 영역을 상부에 수용하기 위한 방사형 부분(44, 46)을 구비한다. 복수의 트레드 세그먼트(12)와 상부 및 하부 비드 링(40, 42)과 함께 상부 및 하부 측벽 플레이트(20, 22)는 서로 협력하여 생타이어의 성형을 위한 몰드 공동을 형성한다.
몰드 조립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인 컨테이너 하우징 내에 통상 내장된다. 컨테이너는 복수의 선택적인 마모판(52)을 상부에 구비하는 상부 및 하부 켄테이너 플레이트(49, 50)를 통상 포함한다. 하부 컨테이너 플레이트(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 플레이트(22)와 비드 링(42)을 상부에 지지하는 내부 고리부(54)를 구비한다. 세그먼트(12)는 측벽 플레이트(22) 주변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세그먼트(12) 둘레로 복수의 슬라이드 블록(60)이 존재한다. 슬라이드 블록(60)은 세그먼트(12)를 내부에 수용하고 지지하는 플랜지 단부(62, 65)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블록(60)은 컨테이너 플레이트(49, 50)와 마모판(52)에 접촉되는 상부 및 하부 표면(63, 65)을 갖는다. 슬라이드 블록(60)은 반경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다. 컨테이너 하우징은 환형 작동 링(70)을 더 포함한 다. 작동 링(70)의 내부 방사형 표면(72)은 슬라이드 블록(60)의 외부 경사면(74)과의 결합을 위해 경사를 이룬다. 작동 링(70)이 낮춰 질수록 작동 링의 내부면(72)이 슬라이드 블록의 외부면(74)을 조여서 슬라이드 블록을 반경 방향 내측으로 미끄러지도록 한다. 작동 링(70)의 캐밍 동작(camming action)은 슬라이드 블록(60)을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슬라이드 블록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드 블록의 반경 방향 내측 표면(76)은 인접 세그먼트의 반경 방향 외측면(78)을 조임으로써, 작동 링이 제위치로 낮춰지는 것처럼 세그먼트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2개의 트레드 몰드 세그먼트의 후면도이다. 트레드 몰드 세그먼트(12)는 제 1 또는 상부 부분(80)과 제 2 또는 하부 부분(82)을 갖는 반경 방향 외측면(78)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80, 82)은 각각 관형 부재(88, 90)를 내부에 수용하는 개방 채널(84, 86)을 더 구비한다. 상기 관형 부재(88, 90)는 가요성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형 부재는 예컨대, 다른 방향이 적용될 수 있지만 외주 방향을 따라 배향된다. 상기 채널은 상기 관형 부재(88, 90)가 채널에 장착시 같은 높이가 되거나 함몰되도록 충분히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개방 채널(84, 86)은 세그먼트의 두께나 다른 구속체에 따라 트레드 세그먼트의 상부 및 하부 표면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 7은 간결함을 위해 몰드를 제거한 완전한 매니폴드 조립체(100)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폴드 조립체(100)는 하나 이상의 유입 포 트(102)와 하나 이상의 유출 포트(104)를 구비한다. 증기와 같은 유체가 유입 포트(102)로 들어가서 관형 부재(88, 90)를 통해 유동한다. 관형 부재(88, 90)는 세그먼트(12)의 채널(84, 86)에 수용되어, 관형 부재(88, 90) 내에서 유동하는 유체로부터의 열전달을 통해 세그먼트를 가열하는 기능을 갖는다. 크로스 부재(92)는 제 1 세그먼트(12) 상의 관형 부재(88)를 인접하는 세그먼트(12') 상의 하부 관형 부재(90)에 연결시킨다. 제 2 크로스 부재(94)는 관형 부재(88)를 인접하는 세그먼트 상의 하부 관형 부재(90)에 연결시킨다. 상기 크로스 부재(92, 94)는 세그먼트 결합시 서로 교차된다. 바람직하게, 크로스 부재(92, 94)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강화된 스테인레스 강을 꼬아 놓은 밴드와 같은 강하고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연결 패턴은 각 세그먼트마다 반복된다. 마지막 세그먼트에서, 상부 및 하부 호스가 서로 결합되어 유출 포트를 형성한다. 세그먼트는 반경 방향 내외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호스 세그먼트는 그러한 이동을 수용하기 위해 유연하여야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관형 부재(88)는 원을 이루고 다른 상부 관형 부재(88)와는 직접 결합되지 않는다. 하부 관형 부재(90)는 서로 직접 또는 연속적으로 연결되지 않을지라도 마찬가지로 원을 이룬다.
도 4는 작동 링을 제거한 상태의 조립된 몰드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의 슬라이드 블록(60)은 갈지자 형태로 분리되게 보이도록 감소된 외주 폭을 가지며, 측면(96, 98)은 몰드 조립시 어떤 다른 것과도 접촉되지 않는다.
도 8-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세그먼트(12)의 반경 방향 외측면(78)을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12)의 반경 방향 외측면은 X-형 채널(100)을 가진다. X-형 채널에는 X-형 커플링(102)이 수용된다. X-형 커플링은 일 측면에 2개의 포트(104, 106)를 다른 측면에 2개의 포트(108, 110)를 구비한다. X-형 커플링은 각 세그먼트의 채널에 수용된다. 커플링은 크로스 부재(112, 11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크로스 부재(112)는 상부 커플링 포트(108)를 인접 커플링 상에 위치된 하부 커플링 포트(106)에 결합시킨다. 크로스 부재(114)는 상부 커플링 포트(104)를 인접 커플링의 하부 커플링 포트(110)에 결합시킨다. 각 세그먼트 상의 X-형 커플링은 그에 따라 크로스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유체를 내부에 안내하는 매니폴드를 형성한다. 유체는 증기이거나 소망하는 다른 유체일 수 있다. 다른 형태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X-형 커플링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정의 대표적인 실시예와 세부적 구성들이 발명의 예시를 위해 제공되었지만,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취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도 1은 세그먼트와 측벽 플레이트와 몰드링 만을 보여주는 내부 분할 몰드 조립체의 부분 절단도,
도 2는 2개의 세그먼트의 후면도,
도 3은 외부 컨테이너 부분을 보여주고 있는 내부 분할 몰드 조립체의 부분 절단도,
도 4는 작동 링을 제거한 도 1의 몰드 조립체의 부분 절단도,
도 5는 간결성을 위해 슬라이드 블록의 일부를 제거한 도 4의 몰드의 사시도,
도 6은 몰드의 내측부를 가상선으로 도시한 전체 조립체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가요성 스팀 벨트의 사시도,
도 8은 제 2 실시예의 2개 세그먼트의 후면도,
도 9는 커플링 조립체와 커플링을 상호 연결시키는 2개의 크로스 부재를 도시한 전면도,
도 10은 커플링 조립체의 삽입을 위한 채널을 도시하고 있는 2개의 세그먼트의 후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몰드 조립체 12 : 몰드 세그먼트
20 : 제 1 측벽 플레이트 22 : 제 2 측벽 플레이트
28, 30 : 반경방향 외부 립 32, 34 : 제 1 및 제 2 플랜지 단부
40, 42 : 비드 링 52 : 마모판
60 : 슬라이드 블록 62, 65 : 플랜지 단부
70 : 작동 링 72 : 내부 방사형 표면
74 : 외부 경사면 78 : 반경방향 외측면

Claims (5)

  1. 분할 몰드에 있어서,
    타이어 성형을 위한 환형 공동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세그먼트를 구비하고, 상기 세그먼트는 트레드 성형을 위한 내측면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채널을 구비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수용되며, 상기 부재는 함께 결합되어 유체를 순환시키는 유체 매니폴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몰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몰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는 각각 제 1 및 제 2 채널을 구비하고, 각 채널은 관형 부재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몰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세그먼트의 외주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몰드.
  5. 분할 몰드에 있어서,
    타이어 성형을 위한 환형 공동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제 1 및 제 2의 세그먼트를 구비하며, 상기 세그먼트는 트레드 성형을 위한 내측면과 외주면을 포함하며, 상기 외주면은 2개 이상의 채널을 가지며, 각각의 채널은 내부에 수용되는 관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세그먼트는 제 1 및 제 2 관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세그먼트는 제 1 및 제 2 관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세그먼트의 제 1 관형 부재는 제 1 크로스 부재에 의해 상기 제 2 세그먼트의 제 2 관형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세그먼트의 제 2 관형 부재는 제 2 크로스 부재에 의해 상기 제 2 세그먼트의 제 1 관형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부재 모두는 함께 결합되어 유체 순환을 위한 유체 매니폴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몰드.
KR1020080129465A 2007-12-20 2008-12-18 타이어 몰드 KR200900670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8207P 2007-12-20 2007-12-20
US61/015,382 2007-1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088A true KR20090067088A (ko) 2009-06-24

Family

ID=4037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465A KR20090067088A (ko) 2007-12-20 2008-12-18 타이어 몰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72120B2 (ko)
EP (1) EP2072233B1 (ko)
JP (1) JP2009149079A (ko)
KR (1) KR20090067088A (ko)
CN (1) CN101462318A (ko)
BR (1) BRPI080539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41841A (zh) * 2011-05-27 2011-11-16 焦作市万瑞轮胎辅料有限公司 活络模用翻新胎面胶及其生产工艺
US9138950B2 (en) * 2011-08-30 2015-09-22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Tire molding apparatus
US8535031B2 (en) 2012-02-14 2013-09-17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Pneumatic tire mold adapter
JP6253516B2 (ja) * 2014-05-27 2017-12-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モールド
US10766215B2 (en) 2016-01-21 2020-09-08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Adjustable tire mold
FI129386B (fi) * 2016-02-12 2022-01-31 Wd Racing Oy Ajoneuvorenkaan vulkanointilaite
CN110065183B (zh) * 2019-04-28 2024-01-19 青岛科技大学 一种环形胎面活络模具
JP2023002401A (ja) 2021-06-22 2023-01-1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成形用金型及びタイヤ製造方法
CN116728859B (zh) * 2023-08-14 2023-12-26 山东力创模具股份有限公司 一种轮胎模具、及其冷却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6372A (en) * 1935-06-12 1936-07-07 Shaler Company Heat exchanging mold
US2185542A (en) * 1936-08-03 1940-01-02 Royal G Daniel Vulcanizer adapter
US2932853A (en) * 1957-05-23 1960-04-19 Louis T Fike Tire capping apparatus
US3154814A (en) * 1963-04-30 1964-11-03 Super Mold Corp Tire curing apparatus
US3910735A (en) * 1971-10-15 1975-10-07 Pirelli Apparatus for molding and curing a pneumatic tire in a perfectly center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equatorial plane of the curing mold
US3833323A (en) 1973-02-26 1974-09-03 Uniroyal Ag Segmental mold
US3999907A (en) * 1976-04-05 1976-12-28 Pappas Constantine G Adjustable tire retread curing matrix
ZA835083B (en) * 1982-07-17 1984-03-28 British Gas Corp Apparatus for the heat treatment of materials
IT1160163B (it) 1983-01-12 1987-03-04 Pirelli Miglioramenti ai dispositivi di vulcanizzazione per pneumatici
IT1176523B (it) * 1984-08-01 1987-08-18 Pirelli Perfezionamenti nelle presse per la vulcanizzazione
IT1198210B (it) * 1986-12-01 1988-12-21 Pirelli Stampo per pneumatici e dispositivo automatico per lo smontaggio rapido dalla relativa pressa
JPH07266340A (ja) 1994-03-31 1995-10-17 Ngk Insulators Ltd 樹脂製成形用型
US6413068B1 (en) * 2000-07-10 2002-07-0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mold heat transf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72120B2 (en) 2009-08-11
US20090162461A1 (en) 2009-06-25
CN101462318A (zh) 2009-06-24
EP2072233B1 (en) 2012-08-15
JP2009149079A (ja) 2009-07-09
EP2072233A1 (en) 2009-06-24
BRPI0805395A2 (pt) 200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0730B1 (en) Tire mold
KR20090067088A (ko) 타이어 몰드
JP5106782B2 (ja) タイヤ加硫装置
JP4884934B2 (ja) タイヤ加硫装置
CN113524645B (zh) 成型装置
EP2072235B1 (en) Tire mold
WO2018029726A1 (ja) タイヤ加硫装置
EP0099735B1 (en) Apparatus for the heat treatment of materials
JP5036419B2 (ja) タイヤ加硫モールドの予熱装置及びタイヤ製造装置
EP3266599B1 (en) Tire vulcanizing apparatus
US9738043B2 (en) Tire vulcanizing apparatus
JP6605737B2 (ja) 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JP7417080B2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方法
US10836079B2 (en) Piping structure of tire vulcanizer, circulator, and method for vulcanizing tire with tire vulcanizer
CN219727271U (zh) 轮胎模具加热板
JP6503823B2 (ja) タイヤ加硫用モールドの予熱方法および装置
CN209920337U (zh) 轮胎硫化节能加热装置
JP2017217781A (ja) タイヤ加硫用コンテナ
KR200158590Y1 (ko) 타이어 가류장치
JP2017217830A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US1387381A (en) Tire-vulcanizing method and apparatus
US1542801A (en) Tire mold
KR20120063787A (ko) 가류 블라더의 클램핑 링
US2017005039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neumatic Tire and Manufacturing Device for Pneumatic Tire
KR980007023U (ko) 타이어의 가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