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6857A - 표시창을 구비한 케이스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표시창을 구비한 케이스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6857A
KR20090066857A KR1020070134572A KR20070134572A KR20090066857A KR 20090066857 A KR20090066857 A KR 20090066857A KR 1020070134572 A KR1020070134572 A KR 1020070134572A KR 20070134572 A KR20070134572 A KR 20070134572A KR 20090066857 A KR20090066857 A KR 20090066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i
case
display device
pane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3151B1 (ko
Inventor
서인수
최주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4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151B1/ko
Priority to US12/316,841 priority patent/US8285335B2/en
Publication of KR20090066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창으로 인가되는 정전기로 인한 피해를 억제할 수 있는 표시창을 구비한 케이스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표시 장치를 덮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표시 장치의 패널이 노출되는 창이 형성된 케이스 몸체와, 상기 창에 부착되며 가장자리 둘레에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처리층이 형성된 표시창을 포함한다. 따라서 케이스의 표시창으로 인가되는 정전기는 표시창에 형성된 EMI 처리층을 통하여 그라운드 처리하기 때문에, 정전기에 의한 표시 장치와 외관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접지, EMI, 정전기, 표시창, 액정표시장치

Description

표시창을 구비한 케이스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Case with display plat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cas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창으로 인가되는 정전기로 인한 피해를 억제할 수 있는 표시창이 구비된 케이스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휴대 단말기의 제조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수행이 가능하고, 휴대가 용이한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가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형태는 바형(bar type), 덮개를 구비한 플립형(flip type), 폴더형(folder type), 슬라이드형(slide type)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사용중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정전기에 의해 부품이나 표면의 도장층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즉 휴대 단말기의 표시 장치의 패널을 덮고 있는 케이스의 표시창을 통하여 인가되는 정전기에 의해 패널의 구동 칩(drive IC)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고급스럽게 하기 위해서 표시창의 외곽에 형성된 도장층에 정전기가 인가될 경우, 표시창의 도장층에 블랙 스폿(black spot)과 같은 외관 불량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의 표시창으로 인가되는 정전기에 의한 구동 칩의 손상과 외관 손상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표시 장치를 덮는 케이스로서, 상기 표시 장치의 패널이 노출되는 창이 형성된 케이스 몸체와, 상기 창에 부착되며, 가장자리 둘레에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보호층이 형성된 표시창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하부 케이스, 표시 장치 및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패널이 전면을 향하게 상기 하부 케이스 내에 설치된다. 상부 케이스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표시 장치를 덮는다.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표시 장치의 패널이 노출되는 창이 형성된 케이스 몸체와, 상기 창에 부착되며 가장자리 둘레에 EMI 처리층이 형성된 표시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의 표시창의 가장자리 둘레에 EMI 처리층이 형성되고, 그 EMI 처리층은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의 표시창으로 인가되는 정전기를 그라운드 처리를 할 수 있어 정전기에 의한 구동 칩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평평한 표시창의 가장자리 둘레에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 EMI 처리층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저항값을 갖기 때문에, 높은 정전기 전압까지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케이스의 표시창의 외곽에 형성된 도장층 위에 EMI 처리층이 형성되고, 그 EMI 처리층은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정전기에 의해 도장층에 블랙 스폿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칩을 EMI 테이프로 덮고, EMi 테이프를 접지시킴으로써, 정전기에 의한 구동 칩을 손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로서, 제 1 본체(10)와, 슬라이드 힌지(20)를 매개로 제 1 본체(10)에 대해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 2 본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본체(10)는 전면에 키패드(12)가 배치되며, 키패드(12)는 제 2 본체(3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제 1 본체(10) 내에 휴대 단말기(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메인보드가 설치되며, 키패드(12)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메인보드로 전달된다.
제 2 본체(30)는 하부 케이스(40), 표시 장치(50), 방향키 조립체(60) 및 상 부 케이스(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 케이스(40)와 상부 케이스(70)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설치 공간에 표시 장치(50)와 방향키 조립체(60)가 설치된다. 하부 케이스(40)는 슬라이드 힌지(20)를 매개로 제 1 본체(10)의 전면에 결합된다. 표시 장치(50)는 패널(53)이 전면을 향하게 하부 케이스(40) 내에 설치된다. 방향키 조립체(60)는 방향키(69)가 전면을 향하게 하부 케이스(40) 내에 설치되며, 표시 장치(50) 아래에 설치된다. 그리고 표시 장치(50)와 방향키 조립체(60)는 방향키 조립체(60)에서 인출된 연결단자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표시 장치(5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케이스(51), 패널(53), 구동 칩(55) 및 테이프 배선기판(5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시 장치(50)로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 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패널 케이스(51)에 패널(53)이 내장되며, 패널(53)의 일측에 구동 칩(55)이 실장된다. 테이프 배선기판(57)의 일측으로 노출된 배선 패턴은 구동 칩(55)의 전극 패드에 접속되며, 구동 칩(55)과 함께 패널(53)의 일측에 실장된다. 테이프 배선기판(57)의 나머지 부분은 패널 케이스(51)의 후면쪽으로 밴딩되어 패널 케이스(51)의 후면에 설치되며, 테이프 배선기판(57)에는 구동 칩(55)을 통하여 패널(53)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전자 부품들(52)이 실장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프 배선기판(57)에서 입력되는 신호는 구동 칩(55)을 통하여 패널(53)에 전달되고, 패널(53)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구동 칩(55)을 통하여 테이프 배선기판(57)에 전달된다.
패널 케이스(51)의 소재로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금속 소재가 사용되는 경우 접지 처리된다. 예컨대 패널 케이스(51)는 테이프 배선기판(57)의 접지 배선에 연결되어 접지될 수 있다. 패널(53)은 패널 케이스(51)의 상부면보다는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패널 케이스(51)에 내장된다.
구동 칩(55)에 정전기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동 칩(55)은 EMI 테이프(59)로 덮는다. EMI 테이프(59)는 방향키 조립체(60)의 접지층(63)에 연결되어 정전기를 그라운드 처리할 수 있는 접지 경로를 형성한다. 구동 칩(55)이 EMI 테이프(59)에 의해 제로(zero) 전위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동 칩(55)과 EMI 테이프(59) 사이에 절연지를 추가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구동 칩(55)을 도시하기 위해서 EMI 테이프(59)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여기서 EMI 테이프(59)는 정전기로 인한 구동 칩(55)의 손상과, 전자파로 인한 구동 칩(55)의 이상 동작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플라스틱 소재의 테이프 내에 은(Ag)과 니켈(Ni)이 혼합되어 있다.
방향키 조립체(60)는 표시 장치(50)의 테이프 배선기판(57)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방향키 조립체(60)는 표시 장치(50)와 연결되어 하부 케이스(40)에 설치되며, 접지층(63)을 갖는다. 즉 방향키 조립체(60)는 베이스 필름(61)의 일면에 방향키(69)를 구성하는 복수의 돔 스위치(65)가 배치되고, 돔 스위치(65)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베이스 필름(61)의 일면에 접지층(63)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방향키 조립체(60)는 베이스 필름(61)의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커넥터(67)를 통하여 표시 장치(50)의 테이프 배선기판(59)에 접속된다. 예컨대, 베이스 필 름(61)의 일단에 설치된 커넥터(67)는 테이프 배선기판(57)에 형성된 소켓(54)에 결합되어 방향키 조립체(60)와 표시 장치(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방향키(69)는 돔 스위치(65)와, 돔 스위치(65)를 덮는 키패드(66)를 포함하며, 키패드(66)가 상부 케이스(70)의 구멍(85)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상부 케이스(70)는 케이스 몸체(80)와, 표시창(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 몸체(80)에는 표시 장치(50)의 패널(53)이 노출되는 창(83)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창(90)은 케이스 몸체(80)의 전면을 통하여 창(83)의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되며, 가장자리 둘레에 EMI 처리층(99)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몸체(80)의 전면에는 표시창(90)이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포켓(81)이 형성되어 있으며, 포켓(81)의 중심 부분에 창(83)이 형성되어 있다. 창(93)은 적어도 패널 케이스(51) 전체가 노출될 수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케이스 몸체(80)는 포켓(81)이 형성된 영역 아래에 방향키 조립체(60)의 방향키(69)가 노출될 수 있는 복수의 구멍(85)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창(90)은 빛의 투과율이 좋은 아크릴 소재로 제조되며, 표시 장치(50)의 패널(53)을 향하는 제 1 면(91)과, 제 1 면(91)에 반대되는 제 2 면(93)을 가지며, 제 1 면(91) 또는 제 2 면(93) 중 적어도 한 면의 가장자리 둘레에 EMI 처리층(99)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EMI 처리층(99)이 표시창(90)의 제 1 면(91)에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다.
특히 EMI 처리층(99)은 표시 장치(50)의 패널(55)이 노출되는 표시창(90)의 영역의 외곽 부분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EMI 처리층(99)의 일부는 창(83) 안쪽으 로 노출된다.
EMI 처리층(99)은 스프레이, 스퍼터링, 증착, EMI 테이프 부착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EMI 처리층(99)의 소재는 은(Ag)과 니켈(Ni)을 포함한다. 표시창(90)의 제 1 및 제 2 면(91, 93)은 굴곡이 거의 없는 평평한 면이기 때문에, 표시창(90)의 제 1 면(91)에 EMI 처리층(99)을 균일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표시창(90)과 EMI 처리층(99) 사이에는 도장층(95)이 형성되어 있다. 도장층(95)은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고급스럽게 하기 위해서 표시창(90)의 제 1 면(91)의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한다. 도장층(95)에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100) 제조사의 로고, 이동통신 사업자의 로고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장층(95)의 형성 방법으로는 무전해도금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장층(95)과 EMI 처리층(99) 사이의 안정적인 접합을 위해서, 도장층(95)과 EMI 처리층(99) 사이에는 프라이머층(97)이 형성된다. 도장층(95), 프라이머층(97) 및 EMI 처리층(99)은 표시창(99)의 제 1 면(91)의 가장자리 둘레의 동일한 영역에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형성된다.
특히 표시 장치(50) 및 방향키 조립체(90)가 설치된 하부 케이스(40)에 상부 케이스(70)를 조립하게 되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EMI 처리층(99)은 패널 케이스(51) 및 EMI 테이프(59)의 상부면에 각각 접촉한다.
따라서 표시창(90)에 인가되는 정전기는 EMI 처리층(99)과, EMI 처리층(99)에 접촉된 EMI 테이프(59)를 지나 방향키 조립체(60)의 접지층(63)으로 그라운드 처리되기 때문에, 정전기에 의한 구동 칩(55)의 손상과 표시창(90)의 외관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평평한 표시창(90)의 가장자리 둘레에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 EMI 처리층(99)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저항값을 갖기 때문에, 높은 정전기 전압까지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패널 케이스(51)가 금속 소재로 접지되어 있는 경우, 표시창(90)에 인가되는 정전기는 EMI 처리층(99)과, EMI 처리층(99)에 접촉된 패널 케이스(51)를 통하여 그라운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정전기에 의해 휴대 단말기(100)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창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구동 칩에 EMI 테이프가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평면도로서, 표시창 아래에 표시 장치가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 단면도로서, 표시창의 EMI 처리층이 패널 케이스에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Ⅶ선 단면도로서, 표시창의 EMI 처리층이 EMI 테이프에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제 1 본체 30 : 제 2 본체
40 : 하부 케이스 50 : 표시 장치
55 : 구동 칩 59 : EMI 테이프
60 : 방향키 조립체 63 : 접지층
70 : 상부 케이스 80 : 케이스 몸체
83 : 창 90 : 표시창
95 : 도장층 97 : 프라이머층
99 : EMI 처리층 100 : 휴대 단말기

Claims (20)

  1. 휴대 단말기의 표시 장치를 덮는 케이스로서,
    상기 표시 장치의 패널이 노출되는 창이 형성된 케이스 몸체와;
    상기 창에 부착되며, 가장자리 둘레에 EMI 처리층이 형성된 표시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MI 처리층은 상기 표시 장치의 패널이 노출되는 상기 표시창 영역의 외곽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은 상기 표시 장치의 패널을 향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에 반대되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 2 면을 가지며,
    상기 EMI 처리층은 상기 제 1 면 또는 제 2 면 중 적어도 한 면의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EMI 처리층은 상기 제 1 면의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EMI 처리층의 소재는 은과 니켈을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EMI 처리층은 스프레이, 스퍼터링, 증착, EMI 테이프 부착 방법 중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과 상기 EMI 처리층 사이에 형성된 도장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층과 상기 EMI 처리층 사이에 형성된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9. 하부 케이스와;
    패널이 전면을 향하게 상기 하부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표시 장치와;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표시 장치를 덮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표시 장치의 패널이 노출되는 창이 형성된 케이스 몸체와;
    상기 창에 부착되며, 가장자리 둘레에 EMI 처리층이 형성된 표시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EMI 처리층은 상기 표시 장치의 패널이 노출되는 상기 표시창 영역의 외곽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EMI 처리층은 상기 제 1 면 또는 제 2 면 중 적어도 한 면의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은 상기 표시 장치의 패널을 향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에 반대되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 2 면을 가지며,
    상기 EMI 처리층은 상기 제 1 면의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EMI 처리층의 소재는 은과 니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EMI 처리층은 스프레이, 스퍼터링, 증착, EMI 테이프 부착 방법 중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표시창과 상기 EMI 처리층 사이에 형성된 도장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도장층과 상기 EMI 처리층 사이에 형성된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에 설치되며, 접지층을 갖는 방향키 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상기 방향키 조립체의 방향키가 노출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패널 케이스에 내설되는 상기 패널과;
    상기 패널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 칩과;
    상기 구동 칩을 덮으며, 상기 방향키 조립체의 접지층에 연결된 EMI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EMI 층은 상기 EMI 테이프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케이스는 접지되어 있으며, 상기 EMI 처리층은 상기 패널 케이스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134572A 2007-12-20 2007-12-20 표시창을 구비한 케이스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101433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572A KR101433151B1 (ko) 2007-12-20 2007-12-20 표시창을 구비한 케이스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US12/316,841 US8285335B2 (en) 2007-12-20 2008-12-17 Case having display window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572A KR101433151B1 (ko) 2007-12-20 2007-12-20 표시창을 구비한 케이스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857A true KR20090066857A (ko) 2009-06-24
KR101433151B1 KR101433151B1 (ko) 2014-08-22

Family

ID=40789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572A KR101433151B1 (ko) 2007-12-20 2007-12-20 표시창을 구비한 케이스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85335B2 (ko)
KR (1) KR1014331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801B1 (ko) * 2010-12-30 2013-01-02 (주)미래글로텍 이동통신단말기용 윈도우일체형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US8939631B2 (en) 2009-09-11 2015-01-27 Azbil Corporation Controlling device with an insulating por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151B1 (ko) * 2007-12-20 2014-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창을 구비한 케이스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101587138B1 (ko) * 2009-08-27 201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345612B1 (ko) * 2015-07-08 2022-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WO2021096310A1 (en) * 2019-11-14 2021-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5939A (en) * 1990-03-26 1991-04-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oelectronic assembly
US6290542B1 (en) * 1999-12-17 2001-09-1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end connector
NL1015895C2 (nl) * 2000-08-08 2002-02-12 Beele Eng Bv Doorvoerinrichting.
WO2003009088A2 (en) * 2001-06-07 2003-01-30 Liquidmetal Technologies Improved metal frame for electronic hardware and flat panel displays
TW549792U (en) * 2001-07-27 2003-08-21 Hon Hai Prec Ind Co Ltd Enclosur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556899U (en) * 2002-05-14 2003-10-01 I O Interconnect Inc Improvement of PC card structure
US6659800B1 (en) * 2002-08-12 2003-12-09 Tung-Hsin Wu Interface connector for protecting against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S20050109522A1 (en) * 2003-11-25 2005-05-26 Midcon Cables Co., L.L.C., Joplin, Mo Conductive TEFLON film tape for EMI/RFI shield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071556B2 (en) * 2004-09-10 2006-07-04 Jinghui Mu Tape ball grid array package with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protection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package
KR101433151B1 (ko) * 2007-12-20 2014-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창을 구비한 케이스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US20100103348A1 (en) * 2008-10-24 2010-04-29 Compal Electronics, Inc. Displ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9631B2 (en) 2009-09-11 2015-01-27 Azbil Corporation Controlling device with an insulating portion
KR101217801B1 (ko) * 2010-12-30 2013-01-02 (주)미래글로텍 이동통신단말기용 윈도우일체형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151B1 (ko) 2014-08-22
US20090163249A1 (en) 2009-06-25
US8285335B2 (en) 2012-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4853B2 (en) Handset keypad
US7620175B2 (en) Handset device with audio porting
US7991147B2 (en) Handset device with laminated architecture
US8619067B2 (en) User interface substrate for handset device having an audio port
US7019242B2 (en) Electroluminescent metal dome keypad
JP4511387B2 (ja) 無線通信端末
US8982582B2 (en) Electronic device with antenna cable bracket
US9772734B2 (en) Touch window
EP1592208B1 (en) Electrostatic preventing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US20060189183A1 (en) Camera module connector
EP1039493A1 (en) El-combined sheet switch
KR101433151B1 (ko) 표시창을 구비한 케이스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WO2008017191A1 (en) Sub-assembly for handset device
CN108615460B (zh) 一种显示模组及移动终端
CN108829286B (zh) 触控显示装置
KR20100108265A (ko) 휴대 전자 기기
US20030089585A1 (en) Movable contact unit, panel switch using the same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the panel switch
JP4617988B2 (ja) スイッチシート及び携帯端末
US20090167680A1 (en) Electronic Apparatus
JP5206097B2 (ja) 電子機器および接地機構
JP2000106297A (ja) タッチパネル付電子機器
JP2007323880A (ja) キー装置
JP4702792B2 (ja) 無線通信端末
JP4545693B2 (ja) 携帯電子機器
US10192695B2 (en) Keyswitch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