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5938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5938A
KR20090065938A KR1020070133491A KR20070133491A KR20090065938A KR 20090065938 A KR20090065938 A KR 20090065938A KR 1020070133491 A KR1020070133491 A KR 1020070133491A KR 20070133491 A KR20070133491 A KR 20070133491A KR 20090065938 A KR20090065938 A KR 20090065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ower case
motor
rotor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4694B1 (ko
Inventor
권정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3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694B1/ko
Publication of KR20090065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내부에 장착되어 모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와 로터를 감싸도록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모터,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제어부

Description

모터{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등에 사용되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로터의 회전력을 회전축으로 전달하고, 상기 회전축이 부하를 구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식기세척기의 펌프에 연결되어 펌프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송풍팬과 연결되어 필요한 공간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에서 로터는 스테이터와의 전자기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서 회전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테이터에는 코일이 권선 되며,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로터가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도 1은 모터가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사용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개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실외기를 공용으로 사용하면서 복수개의 실내기 각각을 냉방기 또는 난방기로 사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와, 상기 압축기(11)에 연결되어 압축기(11)로 기체 냉매만이 유입될 수 있도록 액체 냉매를 축적하는 어큐물레이터(미도시)와, 상기 압축기(11)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11)에서 냉매와 함께 토출된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분리기(미도시)와, 실외의 공기를 실외기(10) 내부로 흡입시킨 후 실외로 다시 토출시키는 송풍팬(12)과, 상기 송풍팬(12)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되게 하는 열교환기(13)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팬(12)는 도 2에 도시된 모터(20)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는 다수개의 실내기와 연결되므로 열교환 용량을 크게 해야 한다. 이와 같이 열교환 용량을 크게 하기 위해 열교환기(13)를 실외기(10)의 4개의 측면 또는 2개의 측면에 위치시키고 공기를 실외기(10)의 측면으로 흡입한 후 열교환된 공기를 상측으로 토출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공기를 실외기(10)의 측면으로 흡입하여 상측으로 토출시키기 위해 모터(20) 및 송풍팬(12)은 상하방향으로 설치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에 설치되어 송풍팬(12)을 구동시키는 모터(2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모터(20)는 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21)와, 다수의 철심을 적층시킨 후 코일을 권선하여 상기 코일을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22)와, 상기 스테이터(22)에 의해 형성된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로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21) 내부에 각종 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21)는 상부 케이스(21a)와 하부 케이스(21b)로 분리 제작된 후 상부 케이스(21a) 및 하부 케이스(21b)에 형성된 체결 보스를 통해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결합되거나,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서로 결합된다.
상기 스테이터(22)의 상부에는 로터의 속도를 감지하여 로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3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30)는 피씨비(31)와, 상기 피씨비(31)에 장착되어 로터의 속도를 감지하는 홀센서(32)와, 로터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회로소자(33)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30)는 스테이터(22)에 고정되는데, 상기 제어부(30)를 스테이터(22)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어부(30)는 후크(35)를 구비하고, 스테이터(22)는 상기 후크(35)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재(25)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22)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리드선(40)이 구비된다. 상기 리드선(40)이 케이스(21) 외부로 인출되도록 케이스(21)의 측면에는 인출구(23)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모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홀센서(32)가 장착되는 제어부(30)가 스테이터(22)에 고정되는데, 모터가 작동하여 로터가 회전하게 되면 스테이터(22)가 진동을 하게 되므로, 홀센서(32)가 로터의 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를 스테이터(22)에 고정할 때 홀센서(32)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어려웠다.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21a)와 하부 케이스(21b)가 나사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더라도 상부 케이스(21a)의 하단면과 하부 케이스(21b)의 상단면이 서로 접촉하는 접촉부에는 틈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틈으로 빗물과 같은 수분이 침투하게 된다. 또한, 케이스(21)의 측면에 형성된 인출구(23)를 통해서도 수분이 침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21)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여 케이스(21) 내부에 수분이 잔류하게 되면 케이스(21) 내부에 장착되는 각종 부품이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모터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모터에 설치되는 제어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홀센서를 정확한 곳에 위치시킬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한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등에 설치되는 모터의 케이스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부품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한다.
또한, 모터의 케이스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더라도 케이스 내부에 잔류하는 수분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와 로터를 감싸도록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터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홀센서가 실장되는 피씨비와, 상기 피씨비를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제어부 중 일측에는 위치결정홈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위치결정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위치결정홈과 위치결정돌기는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위치결정돌기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체결홀에 대응하는 체결공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홀과 상기 체결공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은 상기 케이스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보스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상기 케이스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분 침투 방지수단과, 상기 케이스 내부로 침투한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 배출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분 침투 방지수단은 상기 상부 케이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면 외주연을 감싸는 연장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는 각각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상부 체결 보스와 하부 체결 보스를 구비하고, 상기 수분 침투 방지수단은 상기 상부 체결 보스와 하부 체결 보스에 형성된 소정의 간극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분 침투 방지수단은 상기 스테이터로 전류를 인가하는 리드선이 인출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리드선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을 가지는 고무부싱이 설치된다. 상기 관통홀은 십자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의 주위에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리드선을 압착하는 복수개의 탄성편이 구비된다.
상기 고무부싱은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고무부싱이 상기 하부 케이스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와, 상기 하부 케 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외측리브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내측리브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수분 배출수단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에 마련된 배출홀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홀은 상기 제어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모터는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에 사용되며, 상기 실외기에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와 로터를 감싸도록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제어부 중 일측에는 위치결정홈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위치결정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위치결정홈과 위치결정돌기는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와 로터를 감싸도록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로터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홀센서가 실장되는 피씨비와, 상기 피씨비를 감싸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위치결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위치결정홈이 구비된다.
상기 위치결정홈은 상기 케이스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보스에 형성된다. 그 리고, 상기 제어부가 설치되는 곳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 배출홀이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 의하면 로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홀센서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를 케이스에 임시적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모터 케이스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부품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여 모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모터 케이스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더라도 신속하게 수분을 배출시킬 수 있어 모터 내부에 장착되는 각종 부품이 수분에 의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모터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실내기가 하나의 실외기와 연결되어 냉매 사이클을 형성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사용되어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100)와 다수의 철심을 적층시킨 후 코일을 감아 상기 코일을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200)와, 상기 스테이터(200)에 의해 형성된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로터(미도시)를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120)로 별도로 제작되며,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가 결합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케이스(100) 내부의 부품들이 수용되고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케이스(100) 내부에 장착되는 부품이 고장날 경우 수리를 쉽게 하기 위해 상, 하부 케이스(110,120)의 외면에 각각 구비되는 체결 보스(111,121)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나사 등을 체결함으로써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케이스(120)에는 모터를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등에 설치할 수 있도록 체결공을 가지는 브라켓(125)이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125)은 다이캐스팅과 같은 방법으로 하부 케이스(1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10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식에 강하고 성형이 쉬운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을 통하여 용이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알루미늄 재질은 열전도성이 매우 우수하므로 모터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매우 빠르게 전도시킬 수 있어 방열에 유리하다.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는 스테이터(200)는 다수의 링형 철심이 적층되어 형성된 스테이터 코어(210)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210)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된 권선부(220)와, 상기 권선부(220)에 감겨 회전자계를 발생시키는 코일(230)을 구비한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210)에 코일을 권선할 때에는 스테이터 코어(210)를 인슐레이터(240)로 감싸고 인슐레이터(240)에 코일(230)을 권선하게 된다. 상기 코일(230)은 모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리드선(250)과 결선되어 리드선(250)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게 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120)에는 로터에 형성된 마그네트의 전극변화를 감지하여 로터의 속도를 측정하고, 로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300)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300)가 하부 케이스(120)에 설치됨으로써 제어부(3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제어부(300)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제어부(300)가 하부 케이스(120)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하부 케이스(120)에는 로터에 설치되는 마그네트의 전극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홀센서(315)를 구비한 제어부(300)가 결합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다수개의 홀센서(315)가 장착되는 피씨비(310)와, 상기 피씨비(310)를 감싸는 하우징(320)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320)은 그 일측면이 로터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본체(321)와, 상기 본체(321)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된 리브(322)를 구비한다.
물론 하우징(320) 없이 피씨비(310)를 직접 케이스(100)에 결합할 수도 있으 나, 홀센서(315)가 장착되는 피씨비(310)를 수분 또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피씨비(310)를 하우징(320)에 결합한 후 하우징(320)을 하부 케이스(120)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씨비(310)를 하우징(320)에 결합할 때에는 나사 또는 후크 등과 같은 다양한 결합방법을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홀센서(315)가 장착되는 상기 제어부(300)를 하부 케이스(1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부 케이스(120)와 상기 제어부(300) 중 일측에 구비되는 위치결정홈(410)과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위치결정홈(410)에 삽입되는 위치결정돌기(4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300)에 위치결정돌기(420)가 구비되고, 하부 케이스(120)에 위치결정홈(410)이 구비된 것을 보였으나, 제어부(300)에 위치결정홈(410)이 구비되고, 하부 케이스(120)에 위치결정돌기(42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위치결정홈(410)과 위치결정돌기(420)는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위치결정홈(410)과 위치결정돌기(420)를 복수개로 마련하는 이유는 제어부(300)를 나사 등으로 하부 케이스(120)에 체결할 때 제어부(300)를 양측에서 임시 고정시킴으로써 제어부(3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수단으로 제어부(300)를 하부 케이스(120)에 임시고정시킨 후 제어부(300)를 하부 케이스(120)에 완전히 체결하기 위해 상기 하부 케이스(120)에는 체결홀(510)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홀(510)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부(300)의 위치에 는 체결공(520)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홀(510) 및 체결공(530)도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체결홀(510) 및 체결공(520)이 복수개로 마련됨으로써 제어부(300)가 하부 케이스(120)에 체결된 후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위치결정돌기(420) 및 체결공(520)은 하우징(320)의 본체(321)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리브(322)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결정돌기(420) 및 체결공(520)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위치결정홈(410) 및 체결홀(510)은 상기 하부 케이스(120)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보스(129)에 마련된다. 이와 같이 위치결정홈(410) 및 체결홀(510)을 보스(129)에 마련하고 제어부(300)가 보스(129)에 지지되도록 체결하게 되면 제어부(300)는 하부 케이스(12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300)가 하부 케이스(12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됨으로써 하부 케이스(120)의 바닥면에 물이 고이더라도 제어부(300)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2개의 위치결정돌기(420) 및 2개의 체결공(520)이 각각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보였으나, 일측 리브(322)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420) 및 체결공(520)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한쌍의 위치결정돌기(420) 및 한쌍의 체결공(520)이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면, 체결부재로 제어부(300)를 하부 케이스(120)에 체결할 때 체결부재가 제어부(300)에 가하는 압력이 균일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제어부(300)가 하부 케이스(120)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제어부(300)를 하부 케이스(120)에 체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300)를 하부 케이스(120)에 체결하기 위해 위치결정돌기(420)를 위치결정홈(410)에 각각 삽입한다. 이와 같이 위치결정돌기(420)를 위치결정홈(410)에 삽입하면 제어부(300)에 형성된 체결공(520) 및 하부 케이스(120)에 형성된 체결홈(510)은 서로 일치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300)는 양측에서 하부 케이스(120)에 임시적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300)가 하부 케이스(120)에 임시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제어부(300)를 하부 케이스(120)에 완전히 체결시킨다.
제어부(300)가 하부 케이스(120)에 완전히 체결되면 제어부(300)의 유동이 방지된다. 그 이유는 제어부(300)의 양측에 리브(322)가 형성되고, 각 리브(322)에는 복수개의 체결 개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제어부(300)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어떠한 방향으로도 유동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 의하면 케이스(100)와 제어부(300) 중 일측에는 위치결정홈(410)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위치결정돌기(420)가 구비되어 제어부(300)를 케이스(100)에 임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제어부(300)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어부(300)를 케이스(100)의 다수개의 위치에서 고정 및 체결하므로 제어부(3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로터의 위치를 정확히 감지하고 모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가 실외에 설치되면 빗물 등과 같은 수분이 케이스(100) 내부로 침투할 수 있다. 케이스(100)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면 케이스(100) 내부에 장착되는 각종 부품이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실외에 설치되더라도 케이스(100)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8은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가 서로 맞닿는 접촉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상부 케이스(110)는 상부 케이스(110)의 하단면과 하부 케이스(120)의 상단면이 서로 맞닿는 접촉부(15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상부 케이스(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리브(115)를 구비한다. 상기 연장리브(115)를 구비함으로써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를 결합할 때 하부 케이스(120)의 상단면은 연장리브(115)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부 케이스(110)의 하단면과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이 연장리브(115)가 형성됨으로써 빗물이 상부 케이스(110)를 따라 흘러내리더라도 연장리브(115)가 상부 케이스(110)의 하단면과 하부 케이스(120)의 상단면이 맞닫는 접촉부(150)를 감싸고 있으므로 케이스(100)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접촉부(150)와 연장리브(115)의 외주면이 서로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연장리브(115)의 하단이 접촉부(150)보다 하측에 위치하므로 연장리브(115)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이 접촉부(150)로 흘러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를 서로 결합하기 위해 상부 케 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에 각각 구비되는 체결 보스(111,121)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부 케이스(110)에 형성되는 상부 체결 보스(111)의 하단은 연장리브(115)의 하단과 일치하며, 하부 케이스(120)에 형성되는 하부 체결 보스(121)의 상단은 하부 케이스(120)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부 케이스(110)의 하단면과 하부 케이스(120)의 상단면이 서로 맞닿게 접촉되었을 때, 상부 체결 보스(111)와 하부 체결 보스(121)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그리고, 상부 체결 보스(111)의 내주면과 하부 케이스(120)의 외주면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이와 같이 상부 체결 보스(111)와 하부 체결 보스(121)가 이격된 상태에서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하게 된다. 상부 체결 보스(111)와 하부 체결 보스(121)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부 체결 보스(111)의 내주면이 하부 케이스(120)의 외주면과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케이스(100) 외부의 수분이 케이스(100) 내부로 이동하는 경로를 끊게 됨으로써 케이스(100)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20)의 바닥면에는 케이스(100)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이터(200)에 전원을 인가하는 리드선(250)이 케이스(100) 외부로 인출되는 개구부(126)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개구부(126)가 하부 케이스(120)의 바닥면에 구비됨으로써 케이스(100)를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이 상기 개구부(126)를 통해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줄어들게 된다.
그러나, 케이스(100)의 측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이 하부 케이스(120)의 바닥면을 따라 상기 개구부(126)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개구부(126)에는 하부 케이스(120)의 바닥면을 따라 타는 흘러내리는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부싱(400)이 설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무부싱(400)은 상기 개구부(126)를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120)의 단부와 접촉되어 고무부싱(400)이 상기 개구부(126)에 결합되었을 때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410)와, 상기 고무부싱(400)이 상기 개구부(126)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하부 케이스(120)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외측리브(420)와,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하부 케이스(120)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내측리브(430)를 구비한다.
상기 외측리브(420) 및 내측리브(430)는 상기 지지부(410)와 각각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무부싱(400)이 개구부(126)에 결합되었을 때 고무부싱(400)이 개구부(126)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하부 케이스(120)의 바닥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상기 개구부(126)를 통해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무부싱(400)은 중앙부에 리드선(250)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440)을 구비한다. 상기 관통홀(440)은 상기 고무부싱(400)의 중앙부가 십자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중앙부에 십자형상의 관통홀(440)이 구비되고, 관통홀(440) 주위에는 복수개의 탄성편(445)이 구비된다. 따라서, 리드선(250)이 관통홀(440)을 통과할 때 상기 탄성편(445)은 관통홀(440)을 넓히게 되고, 리드선(250) 이 관통홀(440)을 통과한 후에는 탄성 복원하면서 리드선(250)을 압착하여 고정시킨다. 따라서, 고무부싱(400)의 관통홀(440)과 리드선(250) 사이에 생기는 틈이 최소로 되어 관통홀(440)을 통해 수분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7에는 상기 고무부싱(400)이 하부 케이스에 장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상기와 같이 케이스(100)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나, 케이스(100)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케이스(100)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였을 때, 케이스(100) 내부의 수분을 신속하게 케이스(100)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20)의 바닥면에는 배출홀(127)이 구비된다.
상기 배출홀(127)은 케이스(100) 내부로 침투한 수분을 신속하게 배출시킴으로써 케이스(100) 내부로 침투된 수분이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100)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더라도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출홀(127)은 수분을 잘 배출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위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0)가 설치되는 보스(129)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출홀(127)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신속하게 케이스(10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케이스(100)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 및 케이스(100) 내부로 침투한 수분을 신속하게 배출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이 수분과 접촉되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모터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모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모터의 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모터에 장착되는 제어부의 사시도.
도 6은 하부 케이스에 제어부 및 고무부싱이 결합되기 전의 사시도.
도 7은 하부 케이스에 제어부 및 고무부싱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8는 도 3에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결합부의 확대도.
도 9은 도 3에서 상부 체결 보스와 하부 체결 보스의 확대도.
도 10는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는 고무부싱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케이스 300: 제어부
310: 홀센서 315: 피씨비
410: 위치결정홈 420: 위치결정돌기

Claims (24)

  1.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와 로터를 감싸도록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터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홀센서가 실장되는 피씨비와, 상기 피씨비를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제어부 중 일측에는 위치결정홈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위치결정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홈과 위치결정돌기는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돌기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체결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체결홀에 대응하는 체결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과 상기 체결공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은 상기 케이스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보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분 침투 방지수단과,
    상기 케이스 내부로 침투한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침투 방지수단은 상기 상부 케이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면 외주연을 감싸는 연장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는 각각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상부 체결 보스와 하부 체결 보스를 구비하고, 상기 수분 침투 방지수단은 상기 상부 체결 보스와 하부 체결 보스에 형성된 소정의 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침투 방지수단은 상기 스테이터로 전류를 인가하는 리드선이 인출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리드선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을 가지는 고무부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십자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주위에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리드선을 압착하는 복수개의 탄성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부싱은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고무부싱이 상기 하부 케이스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외측리브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내측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7.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배출수단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에 마련된 배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8.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은 상기 제어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9.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에 사용되며, 상기 실외기에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0.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와 로터를 감싸도록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제어부 중 일측에는 위치결정홈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위치결정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홈과 위치결정돌기는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2.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와 로터를 감싸도록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구비하는 케 이스와,
    상기 로터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홀센서가 실장되는 피씨비와, 상기 피씨비를 감싸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위치결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위치결정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홈은 상기 케이스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보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설치되는 곳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 배출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KR1020070133491A 2007-12-18 2007-12-18 모터 KR100964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491A KR100964694B1 (ko) 2007-12-18 2007-12-18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491A KR100964694B1 (ko) 2007-12-18 2007-12-18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938A true KR20090065938A (ko) 2009-06-23
KR100964694B1 KR100964694B1 (ko) 2010-06-21

Family

ID=40994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491A KR100964694B1 (ko) 2007-12-18 2007-12-18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6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26980A1 (de) * 2012-02-08 2013-08-14 Grundfos Holding A/S Pumpenaggregat
US20130323094A1 (en) * 2011-04-13 2013-12-05 Jeong Cheol JANG Fan motor
CN105449937A (zh) * 2016-01-29 2016-03-30 卧龙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霍尔线路板固定架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073Y1 (ko) * 1995-04-11 2000-04-15 구자홍 교류서보모터의 자극위치 검출장치
KR100518028B1 (ko) * 2003-12-12 200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팬 모터의 리드와이어구조
JP2005184921A (ja) * 2003-12-17 2005-07-07 Denso Corp モータハウジング
KR20070013779A (ko) * 2005-07-27 2007-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용 아웃터로터형 모터의 스테이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23094A1 (en) * 2011-04-13 2013-12-05 Jeong Cheol JANG Fan motor
EP2626980A1 (de) * 2012-02-08 2013-08-14 Grundfos Holding A/S Pumpenaggregat
WO2013117628A1 (de) * 2012-02-08 2013-08-15 Grundfos Holding A/S Pumpenaggregat
US10116183B2 (en) 2012-02-08 2018-10-30 Grundfos Holding A/S Pump assembly with a terminal box having a metallic contact collecting condensation with a drain channel
CN105449937A (zh) * 2016-01-29 2016-03-30 卧龙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霍尔线路板固定架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4694B1 (ko) 2010-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90767C (en) Bldc motor for a hair dryer
JP5587747B2 (ja) 電動ポンプ
US9419497B2 (en) Double-rotor motor
KR100887535B1 (ko) 어스피레이션 모터용 스테이터, 이를 이용한 어스피레이션모터 및 인카 센서
EP3208914B1 (en) Electric blower using an electric motor using a plurality of stator cores and vacuum cleaner using this electric blower
JP2006519576A (ja) 積層された層板を有する電動機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90005203A (ko) 전동기 및 공기 조화 장치
US20200271131A1 (en) Cooling fan
KR100964694B1 (ko) 모터
JP6012034B2 (ja) 軸流ファン
KR100937426B1 (ko) 모터
JP2002223552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12195986A (ja) Dc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換気扇
JP6091628B2 (ja) ブラシレスdcモ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器
EP3661019B1 (en) Motor, fan, and refrigerator
JP3370514B2 (ja) ブラシレス電動機
JP2012253845A (ja) 電動機および換気扇
JP5708432B2 (ja) 回転電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装置
JP7463046B2 (ja) 電動機、送風機および空気調和装置
KR101078386B1 (ko) 라디에이터 냉각팬용 비엘디씨 모터
JP2012200114A (ja) モールド電動機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送風装置。
JP6305971B2 (ja) 遠心ファン
JP6342374B2 (ja) 遠心ファン
KR100582300B1 (ko) 세탁기의 모터 장착 구조
WO2008060035A1 (en) Outer rotor type motor and outdoor unit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