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5567A -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5567A
KR20090065567A KR1020070132925A KR20070132925A KR20090065567A KR 20090065567 A KR20090065567 A KR 20090065567A KR 1020070132925 A KR1020070132925 A KR 1020070132925A KR 20070132925 A KR20070132925 A KR 20070132925A KR 20090065567 A KR20090065567 A KR 20090065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soil
mud
guide portion
coup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요한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2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5567A/ko
Publication of KR20090065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5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08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with means to exclude or remove foreign matter, e.g. sealing means, self-cleaning track links or sprockets, deflector plates or scra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2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 E02F9/028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with arrangements for levelling the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44Track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5Track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흙 쌓임 방지 장치는 지지체(2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궤도 트랙(10)에 흙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하는 궤도 트랙(10)에 일정 높이 이상 쌓인 흙이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23)에 설치된 흙 쌓임 방지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흙 쌓임 방지부재(30)는, 하단이 상기 지지체(23)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궤도 트랙(10)보다 높은 곳에 배치되는 결합판부(31); 및 상기 결합판부(31)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회전하는 궤도 트랙(10)과 함께 이동하는 흙을 제거하는 흙 제거용 가이드부(32);를 포함한다.
굴삭기, 백호(Backhoe), 궤도, 궤도 트랙(Track), 흙 쌓임, 방지, 저지

Description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 장치 {APPARATUS FOR PREVENTING MUD ADHERENCE TO TRACK}
본 발명은,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굴삭 작업시 궤도 트랙(Track)에 흙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쌓인 흙의 제거에 따른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궤도 트랙에 쌓여서 방치된 흙으로 인해 굴삭기의 상부 프레임 영역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 및 토목 현장에는 다양한 종류의 기계 장비나 중장비(이하, 이들을 건설 기계라 함)가 사용된다.
건설 기계 중의 하나인 휠로더(Wheel loader)는 굴삭된 토사, 골재, 파쇄암 등이나 혹은 모래, 눈 등을 별도의 운반 기계에 싣는데 사용되는 장비이다. 그리고 굴삭기는 굴삭기 버켓(Bucket)을 이용하여 땅을 파거나 깎을 때 사용되는 장비로서 소위, 백호(Backhoe)라고도 불린다.
휠로더는 그 방향 전환의 방법에 따라 보통 스키드 로더(Skid loader)와 휠 로더(Wheel loader)로 분류될 수 있다. 스키드 로더는 타이어, 즉 바퀴의 방향이 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방향을 전환한다. 다시 말해 한쪽 바퀴는 전진하고 다른 쪽 바퀴는 후진하는 방법에 의해 바퀴의 방향을 직선 형태로 유지하면서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휠로더는 통상의 자동차와 같이 방향 전환시 그에 연동하여 바퀴가 회전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차이로 인해 보통은 대형 장비일 경우에 휠로더를, 소형 장비일 경우에 스키드 로더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굴삭기는 그 종류에 따라 휠 굴삭기와 크롤라 굴삭기로 나뉘며,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중장비로서 배수로 묻기, 파이프 묻기, 건물 기초 바닥 파기, 토사적재 등 거의 모든 건설 작업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휠 굴삭기는 고무 타이어로 차체가 지지되기 때문에 기동성이 좋으며, 포장된 도로에서 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에 비해, 크롤라 굴삭기는 궤도 트랙(Track)에 의해 차체가 지지되기 때문에 주로 해사, 석산 및 광산 지역의 사지나 활지에서의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휠 굴삭기에 비해 견인력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굴삭기 중에서도 특히 궤도 트랙을 갖는 크롤라 굴삭기에 있어서는, 해사, 석산 및 광산 지역의 사지나 활지에서의 굴삭 작업시 궤도 트랙에 흙이나 진흙, 혹은 돌(이하, 이들을 통틀어 흙이라 함)이 쌓이게 되고, 이러한 흙을 궤도 트랙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별도의 시간을 할애해야만 하므로 불필요한 시간 및 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만약에, 적절한 시간 및 간격 주기로 쌓인 흙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에는 쌓여 방치된 흙이 굴삭기의 상부 선회체 선회시 상부 프레임 하단에 끼어 굴삭기의 상부 프레임 영역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굴삭 작업시 궤도 트랙(Track)에 흙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쌓인 흙의 제거에 따른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궤도 트랙에 쌓여서 방치된 흙으로 인해 굴삭기의 상부 프레임 영역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 장치는 지지체(2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궤도 트랙(10)에 흙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하는 궤도 트랙(10)에 일정 높이 이상 쌓인 흙이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23)에 설치된 흙 쌓임 방지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흙 쌓임 방지부재(30)는, 하단이 상기 지지체(23)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궤도 트랙(10)보다 높은 곳에 배치되는 결합판부(31); 및 상기 결합판부(31)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회전하는 궤도 트랙(10)과 함께 이동하는 흙을 제거하는 흙 제거용 가이드부(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흙 제거용 가이드부(32)는 롤러 타입(Roller type)으로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궤도 트랙(10)의 판면에 대해 일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흙 쌓임 방지 장치는 상기 한 쌍의 결합판부(31) 및 상기 흙 제거용 가이드부(32c)의 결합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결합판부(31)에 대하여 상기 흙 제거용 가이드부(32c)를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굴삭 작업시 궤도 트랙(Track)에 흙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쌓인 흙의 제거에 따른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궤도 트랙에 쌓여서 방치된 흙으로 인해 굴삭기의 상부 프레임 영역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들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 장치에 대한 부분 절취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흙 쌓임 방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실시예의 굴삭기는, 예를 들어 크롤라 굴삭기가 될 수 있다. 즉, 내부에 각종 부품이 장착된 기계실 등이 갖춰진 상부 선회체(미도시)와, 상부 선회체의 하부에 마련되어 굴삭기를 이동시키는 하부 주행체(미도시)와, 상부 선회체에 마련되는 운전실(미도시)과, 상부 선회체에 연결된 Front 장치인, 굴삭기 Boom과 Arm(미도시)의 단부 영역에 마련되 어 굴삭 작업시 흙을 파거나 각종 물건을 담는 굴삭기 Bucket(미도시)을 구비한 크롤라 굴삭기가 선택될 수 있다.
전술한 대부분의 구성들은 통상의 굴삭기와 유사하지만, 본 실시 예의 굴삭기는 이동 수단이 단순한 휠(Wheel)이 아닌 궤도 트랙(10, Track)으로 적용된다는 점에서 다른 굴삭기들, 예컨대 휠 굴삭기와는 차이가 있다. 이처럼 이동 수단으로서 궤도 트랙(10)이 사용될 경우, 궤도 트랙(10)에 의해 차체가 지지되기 때문에 주로 해사, 석산 및 광산 지역의 사지나 활지에서의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휠 굴삭기에 비해 견인력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루프를 형성하는 궤도 트랙(10)에는 궤도 트랙(10)을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부(20)가 마련된다. 회전 구동부(20)는 각종 기계 부품이 상호 연결되어 마련되는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다소 복잡한 구조를 보이므로 회전 구동부(20)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한다.
회전 구동부(20)에 대해 살펴보면, 크게 동력을 발생시키는 주행 모터(21)와 주행 모터(21)에 의해 회전하면서 궤도 트랙(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아이들러(22, Idler)와, 이들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체(23)를 구비한다. 아이들러(22)는 본 실시 예와 같은 궤도 트랙(10)을 떠받치는 롤러로서 캐리어(Carrier)라고도 불린다. 주철제로 제작되기도 하지만 보통은 강성 유지를 위해 강관으로 제작된다.
이에, 주행 모터(21)에 작동유가 공급되어 구동되면 복수의 아이들러(22)를 매개로 지지체(2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궤도 트랙(10)이 회전하고, 이에 의 해 굴삭기는 일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굴삭기는 궤도 트랙(10)에 의해 차체가 지지되면서 해사, 석산 및 광산 지역의 사지나 활지에서의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굴삭 작업시 궤도 트랙(10)에는 흙이나 진흙, 혹은 돌(이하, 이들을 통틀어 흙이라 함)이 쌓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별도의 시간과 노력을 할애하여 궤도 트랙(10)에 쌓인 흙을 제거해야 한다. 만약에, 적절한 시간 및 간격 주기로 쌓인 흙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에는 쌓여 방치된 흙이 굴삭기의 상부 선회체(전술한 본체부) 선회시 상부 프레임 하단에 끼어 굴삭기의 상부 프레임 영역을 손상시키게 된다.
하지만, 별도의 시간과 노력을 할애하여 궤도 트랙(10)에 쌓인 흙을 제거하는 작업은 상당히 번거롭거나 불편할 수밖에 없으므로, 본 실시 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별도의 흙 쌓임 방지부재(30)를 이용하여 궤도 트랙(10)으로 흙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흙 쌓임 방지부재(30)는 지지체(23)에 결합된 상태에서 궤도 트랙(10)의 외부에 배치되어 궤도 트랙(10)으로 흙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흙 쌓임 방지부재(30)는, 궤도 트랙(10)을 사이에 두고 지지체(23)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판부(31)와, 궤도 트랙(10)의 외측에서 양단이 한 쌍의 결합판부(31)의 노출단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궤도 트랙(10)으로 향하는 흙을 제거하는 흙 제거용 가이드부(32)를 포함한다.
궤도 트랙(10)은 연속해서 회전하는 물체이므로 궤도 트랙(10)의 회전을 구속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흙 쌓임 방지부재(30)를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결합판부(31)를 마련하고, 이들의 일단을 지지체(23) 양측에 각각 결합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때, 결합판부(31)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의 판상체가 되어도 좋지만 봉 타입의 형태가 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결합판부(31)를 회전 구동부(20)의 지지체(23)에 결합시키는데 있어 결합판부(31)에 형성된 볼트 공(31a)으로 앵커 볼트를 삽입하여 지지체(23)에 체결해도 좋고, 혹은 후크식 다른 결합 방식을 적용해도 좋다.
흙 제거용 가이드부(32)는 실질적으로 궤도 트랙(10)으로 흙이 쌓이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흙이 쌓이는 것을 저지한다는 의미는, 흙이 궤도 트랙(10)으로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 이외에도 이미 궤도 트랙(10)에 쌓인 흙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흙 제거용 가이드부(32)는 결합판부(31)에 결합된 상태에서 궤도 트랙(10)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흙을 떨어내는 구조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흙 제거용 가이드부(32)는 롤러 타입(Roller type)으로 적용하고 있다. 이 때, 롤러 타입의 흙 제거용 가이드부(32)는 해당 위치에서 자유 회전되어도 좋고 혹은 고정되어도 좋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흙 제거용 가이드부(32)를 반드시 롤러 타입으로 적용할 필요는 없다. 즉, 브러시 타입(Brush type)으로 마련해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흙 쌓임 방지부재(30)의 설치 위치와 관련해서 볼 때, 흙 쌓임 방지부 재(30)는 궤도 트랙(10)의 어떠한 위치에 마련되어도 좋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아이들러(22)와 주행 모터(21) 영역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이 위치 외의 다른 위치에 흙 쌓임 방지부재(30)를 마련해도 무방하며, 또한 그 개수 역시 2 개 이상 마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전 구동부(20)의 양측에 한 쌍의 결합판부(31)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결합판부(31)의 노출단에 흙 제거용 가이드부(32)를 체결한다.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궤도 트랙(10)을 회전시키면서 굴삭 작업을 진행할 경우, 흙 제거용 가이드부(32)로 인해 흙이 궤도 트랙(10)으로 쌓이거나 혹은 이미 궤도 트랙(10)에 쌓인 흙이 궤도 트랙(10)으로부터 떨어져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굴삭 작업시 궤도 트랙(10)에 흙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쌓인 흙의 제거에 따른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궤도 트랙(10)에 쌓여서 방치된 흙으로 인해 굴삭기의 상부 프레임 영역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 장치에서 흙 쌓임 방지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할 때,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흙 제거용 가이드부(32a)가 직사각형 형상의 나이프 타입(Knife type)으로 되어 있다. 이처럼 나이프 타입의 흙 제거용 가이드부(32a)를 마련한다 하더라도 굴삭 작업시 궤도 트랙(10)에 흙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임에 틀림이 없다.
도 5는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 장치에서 흙쌓임 방지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할 때,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흙 제거용 가이드부(32b)가 나이프 타입으로 되어 있기는 하지만, 궤도 트랙(10)의 판면에 대해 일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있다.
이처럼, 흙 제거용 가이드부(32b)를 경사지게 마련할 경우, 궤도 트랙(10)에 고착된 흙이 궤도 트랙(10)으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경사의 의미는 도시된 바와 같이, 흙 제거용 가이드부(32b)의 선단이 경사진 형태일 수도 있고, 혹은 흙 제거용 가이드부(32b)의 양단이 한 쌍의 결합판부(31)의 서로 다른 위치에 결합됨으로써 흙 제거용 가이드부(32b) 자체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32b)의 경사방향은 트랙의 진행방향을 따라 궤도 트랙(10)의 흙이 장비의 외곽쪽으로 안내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가이드부(32b)에 의해 제거되는 흙이 가이드부(32b)에 의해 안내되어 차량의 외곽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제거된 흙에 의한 장비의 2차손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장치에서 흙 쌓임 방지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할 때,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흙 제거용 가이드부(32c)는 별도의 회동부(40)에 의해 회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한 쌍의 결합판부(31) 및 흙 제거용 가이드부(32c)의 결합 영역에 마련된 회동부(40)에 의해 흙 제거용 가이드부(32c)는 한 쌍의 결합판부(31)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 때, 회동부(40)는 전자 제어 가능한 모터와 기계식 기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모터 구조로서 회동부(40)를 적용하고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흙 제거용 가이드부(32c)에 결합된 볼 스크류(42)와, 볼 스크류(42)에 연결된 회동 모터(41)로서 회동부(40)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동 모터(41)에 전원이 인가되어 볼 스크류(42)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에 연동하여 흙 제거용 가이드부(32c)는 도 6a의 (a) 및 (b)와 같이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흙 제거용 가이드부(32c)가 회전할 경우, 흙의 제거가 필요할 경우에는 흙 제거용 가이드부(32c)의 선단이 궤도 트랙(10)에 좀 더 근접될 수 있어 흙 제거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반대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궤도 트랙(10)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물론, 만약에 흙이 너무나 강하게 궤도 트랙(10)에 고착되어 흙 제거용 가이드부(32c)를 통해서는 궤도 트랙(10)으로부터 분리하기가 힘든 경우, 도 6a의 (b)와 같이, 흙 제거용 가이드부(32c)를 궤도 트랙(10)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흙 제거용 가이드부(32c)의 파손을 방지할 수는 있는 이점도 겸하게 된다.
본 실시 예의 흙 제거용 가이드부(32c)는 전술한 제 1 실시 예의 롤러 타입일 수도 있고, 혹은 브러시 타입일 수도 있으며, 혹은 나이프 타입일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미 도시된 스위치 등의 조작에 의해 전원부의 전원 이 회동 모터(41)에 인가되어 흙 제거용 가이드부(32c)가 회전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실시 예와 달리, 상기 흙 제거용 가이드부(32c)는 결합판부(31)에 토션 스프링 등에 의해 일 회전 방향으로 가압되게 설치하고 궤도 트랙(10)에 고착된 흙이 상기 흙 제거용 가이드부(32c)를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 이상으로 가압하면 흙 제거용 가이드부(32c)가 회전하여 고착된 흙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가이드부(32c)의 회동방향도 본 실시예에서는 궤도 트랙(10)에 접근/이격되는 방향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궤도 트랙(10)의 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게 된다. 이 경우, 가이드부(32c)에 일정 크기 이상의 하중이 작용할 경우 가이드부(32c)가 궤도 트랙(10)의 진행방향 쪽으로 피봇 회전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가이드부(32c)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장치에 대한 부분 절취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흙 쌓임 방지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 장치에서 흙 쌓임 방지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 장치에서 흙 쌓임 방지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 장치에서 흙 쌓임 방지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궤도 트랙 20 : 회전 구동부
21 : 주행 모터 22 : 아이들러
23 : 지지체 30 : 흙 쌓임 방지부재
31 : 결합판부 32,32a,32b,32c : 흙 제거용 가이드부
40 : 회동부

Claims (4)

  1. 지지체(2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궤도 트랙(10)에 흙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하는 궤도 트랙(10)에 일정 높이 이상 쌓인 흙이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23)에 설치된 흙 쌓임 방지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흙 쌓임 방지부재(30)는,
    하단이 상기 지지체(23)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궤도 트랙(10)보다 높은 곳에 배치되는 결합판부(31); 및
    상기 결합판부(31)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회전하는 궤도 트랙(10)과 함께 이동하는 흙을 제거하는 흙 제거용 가이드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흙 제거용 가이드부(32)는 롤러 타입(Roller 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흙 제거용 가이드부(32b)는 상기 궤도 트랙(10)의 판면에 대해 일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 장 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판부(31) 및 상기 흙 제거용 가이드부(32c)의 결합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결합판부(31)에 대하여 상기 흙 제거용 가이드부(32c)를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 장치.
KR1020070132925A 2007-12-18 2007-12-18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 장치 KR200900655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925A KR20090065567A (ko) 2007-12-18 2007-12-18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925A KR20090065567A (ko) 2007-12-18 2007-12-18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567A true KR20090065567A (ko) 2009-06-23

Family

ID=40993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925A KR20090065567A (ko) 2007-12-18 2007-12-18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55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6997A (zh) * 2016-04-29 2016-09-21 九阳农机(常州)有限公司 履带剥泥器、履带式行走机构以及履带式拖拉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6997A (zh) * 2016-04-29 2016-09-21 九阳农机(常州)有限公司 履带剥泥器、履带式行走机构以及履带式拖拉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7610A (en) Compact padding machine
US5261171A (en) Pipeline padding machine attachment for a vehicle
US10322704B2 (en) Stabilizer pad for a work machine
AU2019422012B2 (en) Bucket-wheel emergency dredging device
US5540003A (en) Padding machine with shaker for separator
JP2011089326A (ja) 管埋設用溝掘削機
CN204750336U (zh) 一种具有清扫功能的两用式挖掘机
CA2673597A1 (en) Compact padding attachments
CN204750337U (zh) 一种保护型两用式挖掘机
KR20090065567A (ko) 굴삭기용 궤도 트랙의 흙 쌓임 방지 장치
KR102636080B1 (ko) 도저와 롤러가 구비된 건설장비
CN207525796U (zh) 一种电动装载机
CN107119733B (zh) 一种土方处理装置及系统
JPS61502827A (ja) 岩石掘削機
RU232170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ыхления и удаления частиц грунта, снега и льда с дорожных покрытий
KR200418704Y1 (ko) 커버장치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
KR20080004106A (ko)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
JP4031372B2 (ja) 建設機械の排土装置
CN213233585U (zh) 一种多功能挖掘机推土结构
RU2320915C2 (ru) Способ вскрытия заглубленной трубы (варианты)
CN114277869B (zh) 推土铲装置和工程机械
US20060263190A1 (en) Tracked rotatable cab loader
CN214169196U (zh) 一种具有防物料洒落的装载机铲斗防护装置
EP2751345A1 (en) Suspension system for front working tools in a melioration device
JP2004217154A (ja) 装軌式車両の泥除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