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4416A - 생크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생크 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4416A
KR20090064416A KR1020097006710A KR20097006710A KR20090064416A KR 20090064416 A KR20090064416 A KR 20090064416A KR 1020097006710 A KR1020097006710 A KR 1020097006710A KR 20097006710 A KR20097006710 A KR 20097006710A KR 20090064416 A KR20090064416 A KR 20090064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nk
arbor
drill
mounting hol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9952B1 (ko
Inventor
마사아키 미야나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 가이샤 미야나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 가이샤 미야나가 filed Critical 가부시키 가이샤 미야나가
Publication of KR20090064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07Retention by laterally-acting detents, e.g. pins, screws, wedges; Retention by loose elements, e.g. balls
    • B23B31/1071Retention by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4Drills for trepanning
    • B23B51/0426Drills for trepanning with cen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4Drills for trepanning
    • B23B51/0473Details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iven shaft and the tubular cutting part; Arb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761Side det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63Tool or tool-support with torque-applying ratch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895Having axial, core-receiving central por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94Tool-support
    • Y10T408/95Tool-support with tool-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비교적 큰 회전토크를 전달함과 동시에, 비교적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생크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드릴장치의 회전부에 코어드릴(50)을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버(1)와 생크(2)를 구비하며, 아버(1)는 회전부에 착탈이 자유롭고, 아버(1)와 생크(2)간에는 착탈이 자유로우며, 생크(2)는 코어드릴(50)에 착탈이 자유롭고, 아버(1)의 록킹부재(17)가 생크(2)의 록킹홈(21A)에 걸림으로써, 생크(2)가 아버(1)로부터 분리되는 축방향의 이동을 저지하고, 아버(1)의 제1 걸림부(12G)가 생크(2)의 제1 피걸림부(20G)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아버(1)의 회전토크를 생크(2)에 전달할 수 있고, 생크(2)가 아버(1)에 밀착하여 생크(2)가 아버(1)에 접근하는 축방향의 이동을 저지하는 구성이다.
드릴, 생크, 토크, 아버

Description

생크 부착 장치{Shank Attaching Device}
본 발명은 드릴 장치의 회전부에, 코어드릴을 포함하는 드릴을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드릴장치의 비교적 큰 회전토크를 드릴에 전달할 수 있는 생크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생크 부착 장치의 일례로서, 도 9에 도시된 것이 있다(특허문헌 1). 도 9에 도시된 생크 부착 장치(61)는, 드릴장치(도시되지 않음)의 회전부에 코어드릴(62)을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버(arbor, 63)와 생크(64)를 구비하고 있다. 아버(63)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축(63a)은, 드릴장치의 회전부에 착탈이 자유롭고, 아버(63)와 생크(64)는 서로 착탈이 자유로우며, 생크(64)는 코어드릴(62)과 결합되어 있다.
생크(64)는 아버(63)에 장착된 상태에서, 아버(63)에 설치된 록킹 강구체(65)가 생크(64)에 형성된 록킹 오목부(66)에 걸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록킹 강구체(65)와 록킹 오목부(66)의 걸림에 의해서, 생크(64)가 아버(63)로부터 분리되려는 축방향의 이동을 저지함과 동시에, 아버(63)의 회전토크를 생크(64) 및 코어드릴(62)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종래의 생크 부착 장치(61)는 아버(63)안에 센터 드릴 장착공이 형성되고, 이 센터드릴 장착공안에 센터드릴(67)의 기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이 센터드릴(67)의 기단부는 고정나사(68)에 의해 아버(63)에 고정되고, 이 고정나사(68)는 아버(63)에 형성된 고정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특개 제2002-192412호 공보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종래의 생크 부착 장치(61)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록킹 강구체(65)와 록킹 오목부(66)에 대하여 충격적으로 작용하는 회전토크에 충분히 견딜수 있도록 설계하려면, 생크 부착 장치(61)의 부피가 커지고, 천공작업의 작업성이 악화될 염려가 있다. 왜냐하면, 록킹 강구체(65)와 록킹 오목부(66)의 결합은, 아버(63)의 회전토크를 생크(64) 및 코어드릴(62)에 전달할 수 있는 기능과, 생크(64)가 아버(63)로부터 분리되려는 축방향의 이동을 저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큰 회전토크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생크(64)와 아버(63)의 축방향의 결합력도 겸비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어 소형화하기 위한 구조의 선택폭이 협소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생크 부착 장치(6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드릴(62) 및 센터드릴(67)을 장착하여 사용하면, 천공작업에 따른 진동에 의해 센터드릴(67)을 아버(63)에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나사(68)가 느슨해져서 이탈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교적 큰 회전토크를 전달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교적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생크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크 부착 장치는, 드릴장치의 회전부에 드릴을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버와 생크를 구비하고, 상기 아버는 상기 회전부에 착탈이 자유롭고, 상기 아버와 상기 생크는 서로 착탈이 자유로우며, 또한 상기 생크는 상기 드릴에 착탈이 자유로운 생크 부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크를 상기 아버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아버에 설치된 록킹부재가 상기 생크 측면에 형성된 록킹홈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생크가 상기 아버로부터 분리되려는 축방향의 이동을 저지하며, 상기 아버에 설치된 제1 걸림부가 상기 생크에 설치된 제1 피걸림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아버의 회전토크를 상기 생크에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생크가 상기 아버에 밀착되어 상기 생크가 상기 아버에 접근하는 축방향의 이동을 저지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크 부착 장치를 사용하여 천공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우선 아버에 생크를 장착하고, 이 생크에 드릴을 장착한다. 그리고, 이러한 생크 및 드릴을 장착한 아버를, 드릴장치의 회전부에 장착한다. 그리고, 드릴장치를 작동시켜서 드릴로 가공물에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생크를 아버에 장착한 상태에서, 아버에 설치된 록킹부재가 생크에 형성된 록킹홈에 결합하여 생크가 아버로부터 분리되려는 축방향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생크가 아버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더욱이, 이 상태에서, 아버에 설치된 제1 걸림부가, 생크에 설치된 제1 피걸림부에 결합함으로써, 아버의 회전토크를 생크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생크가 아버에 밀착되어 상기 생크가 아버에 접근하는 축방향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이 밀착부분을 통해서 천공작업 할때에 발생하는 축방향의 충격을 아버가 흡수 및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이 좋은 천공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드릴이 생크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됨으로써, 소모품인 드릴이 마모되면, 이 드릴만 교환하면 충분하고, 생크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크 부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릴을 상기 생크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생크에 설치된 제2 걸림부가 상기 드릴에 설치된 제2 피걸림부에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생크의 회전토크를 상기 드릴에 전달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생크의 비교적 큰 회전토크를 서로 결합되는 제2 걸림부 및 제2 피걸림부를 통해서 코어드릴 등의 드릴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직경이 큰 구멍을 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크 부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가 오목부 또는 볼록부이고, 상기 제1 피걸림부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이며, 상기 제2 걸림부가 오목부 또는 볼록부이며, 상기 제2 피걸림부가 볼록부 또는 오목부로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아버의 비교적 큰 회전토크를 생크에 전달할 수 있어 생크의 비교적 큰 회전토크를 드릴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크 부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 제1 피걸림부, 제2 걸림부 및 제2 피걸림부가 토크전달 환형부재에 형성되고, 이 토크전달 환형부재와 드릴을 서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양자를 상기 생크에 나사로 체결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걸림부, 제1 피걸림부, 제2 걸림부 및 제2 피걸림부를 토크전달 환형부재에 형성함으로써, 이 토크전달 환형부재의 직경을 크게함과 동시에, 제1 걸림부, 제1 피걸림부, 제2 걸림부 및 제2 피걸림부의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크게함으로써, 비교적 큰 회전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토크전달 환형부재는 아버 및 생크와 별개로 제작할 수 있어 아버 및 생크와 일체로 하여 제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비교적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크 부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버는 드릴장치의 회전부에 장착되는 장착축을 가지고, 이 장착축의 선단부에 확경부를 형성하며, 이 확경부는 상기 아버의 기초몸체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나사결합하고, 상기 생크가 상기 아버에 형성된 생크 장착공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구성이며, 상기 생크 장착공에 연통하는 센터드릴 장착공을 상기 아버의 기초몸체에 형성하고, 상기 센터드릴 장착공에 직교하여 상기 기초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센터드릴의 장착공의 중심 방향으로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나사공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나사공에 선단부가 상기 센터드릴 장착공안으로 돌출가능한 고정나사가 나사 결합되며, 상기 확경부가 상기 고정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상기 고정나사의 적어도 일부를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상기 고정나사가 상기 기초몸체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아버를 장착축 부분과 기초몸체 부분으로 착탈이 자유롭게 분할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장착축이 손상된 경우에, 이 손상된 장착축 부분을 다른 장착축 부분과 교환할 수 있어 기초몸체측 부분을 교환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이다. 그리고, 센터드릴은 센터드릴 장착공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나사에 의해 아버의 기초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고정나사는 드릴 및 센터드릴을 사용하여 천공작업을 하는 경우에, 이 진동에 의해 느슨해질 가능성이 있지만, 아버의 확경부가 고정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나사의 적어도 일부를 외측으로부터 덮어서 고정나사가 기초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크 부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크가 상기 아버에 형성된 생크 장착공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구성이고, 상기 생크가 상기 생크 장착공에 장착되지 않는 경우, 상기 록킹부재의 상기 생크 장착공안으로의 돌출을 규제하는 지지부재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생크장착공안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의 선단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기단부를 상기 생크 장착공의 내측부의 내주면에 접하는 걸림홈부에 결착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걸림부재의 생크 장착공안에서의 돌출을 규제하는 지지부재가 생크 장착공안에 배치되어 있는 코일스프링의 선단부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지지부재수만큼의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크 부착 장치에 의하면, 충격적으로 작용하는 회전토크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경우에는, 아버에 형성된 제1 걸림부 및 생크에 형성된 제1 피걸림부의 회전토크가 걸리는 방향의 강도를 크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생크가 아버로부터 분리되려는 축방향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록킹부재와 록킹홈의 결합강도를 크게할 필요가 없어져, 생크 부착 장치를 비교적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생크와 아버의 밀착부분으로 천공작업을 할때 발생하는 축방향의 충격을 흡수 및 저지할 수 있으므로, 제1 걸림부, 제1 피걸림부, 록킹부재 및 록킹홈에 대하여 축방향의 충격에 대한 강도를 고려할 필요가 없고, 이에 의해서도 상기 생크 부착 장치를 비교적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크 부착 장치를 분해한 상태(생크를 아버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생크 부착 장치를 조립한 상태(생크를 아버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생크 부착 장치의 아버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 확대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생크 부착 장치의 제1 걸림부를 도시한 도 1의 Ⅳ-Ⅳ선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생크 부착 장치의 제1 피걸림부를 도시한 도 1의 Ⅴ-Ⅴ선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크 부착 장치를 조립한 상태(생크를 아버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도 7(a)는 도 6의 생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6의 생크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도 8(a)는 도 6의 생크에 코어드릴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 정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생크에 장착된 코어드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생크 부착 장치를 도시한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A,B : 생크 부착 장치
D : 드릴장치
D1 : 드릴장치의 회전부
1 : 아버
2,3 : 생크
4 : 생크본체
11A : 장착축
11B : 확경부
11a : 암나사공
11b : 평면
11e : 걸림홈
12 : 기초몸체
12A : 생크 장착공
12D : 센터드릴 장착공
12E : 고정 나사공
12G : 제1 걸림부
12a : 오목부
12b : 숫나사부
12c : 록킹부재 수용공
12f : 걸림홈부
12p : 평면
13 : 조작 슬리브
13a,13c : 조작 슬리브의 확경부분
13b : 조작 슬리브의 축경(縮俓)부분
13d : 조작 슬리브의 확경부
14,30 : 코일 스프링
15,20 : 칼날형부
16 : 스토퍼링
17 : 록킹부재
20G : 제1 피걸림부
20a : 볼록부
21 : 삽입부
21A : 걸림홈
22 : 드릴장착부
25 : 숫나사
30a : 코일스프링의 기단부
30b : 코일스프링의 선단부
40 : 센터드릴
41 : 고정나사
50,51 : 코어드릴(드릴)
50a : 암나사
51a : 코어드릴의 제2 피걸림부
52 : 토크전달 환형부재
52a : 제2 걸림부
52c,51b : 중심공
53 : 너트
54 : 드릴장착부
54a : 제1 걸림둘레면
54b : 제2 걸림둘레면
54c : 숫나사부
60 : 비트장착공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크 부착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생크 부착 장치(A)는, 코어드 릴(50)을 전동드릴 등의 드릴장치(D)의 회전부(D1)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생크 부착 장치(A)는 아버(1)와 생크(2)를 구비한다.
아버(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단부에 그 단면이 6각형상의 장착축(11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장착축(11A)에는 작은 직경의 걸림홈(11e)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홈(11e)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크 부착 장치(A)가 회전부(D1)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이 생크 부착 장치(A)가 회전부(D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장착축(11A)의 선단측에는 확경부(11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확경부(11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 방향으로 개구되어 내부에 암나사공(11a)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확경부(11B)의 외주면에는, 스패너 등이 록킹되도록 하기 위한 평면(1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평면(11b)은 예를 들면 확경부(11B)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180도 간격으로 2곳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버(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경부(11B)와 나사 결합하는 기초몸체(12)를 구비하고, 이 기초몸체(12)의 기단부에는 확경부(11B)의 암나사공(11a)에 나사 결합하는 숫나사부(12b)가 형성되며, 이 숫나사부(12b)를 암나사공(11a)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확경부(11B)와 결합되는 장착축(11A)을 상기 기초몸체(12)에 장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나사 결합상태를 분해하여 기초몸체(12)로부터 장착축(11A)을 분리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기초몸체(1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단부로부터 중앙부에 걸친 부분에 선단측 방향으로 개구되는 생크 장착공(12A)이 형성되어 있다. 따 라서, 기초몸체(12)에는 생크 장착공(12A)의 선단으로부터 약간 기단측으로 부착되는 부분에,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는 록킹부재 수용공(1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몸체(12)의 선단부에는 그 외부 둘레를 덮는 조작 슬리브(13)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 슬리브(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짧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록킹부재 수용공(12c)의 외측을 아버(1)의 축방향(도 3의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슬리브(13)의 내주면에는 록킹부재(예를 들면 강구체)(17)를 생크 장착공(12A)안으로 돌출 및 후퇴시키는 캠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면은, 조작 슬리브(13)의 선단부의 내주면이 약간 확경된 부분(13a)과, 그 기단측으로 약간 축경된 부분(13b)을 구비하며, 이 2개의 부분(13a, 13b)에 의해 단면 직사각형상의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조작 슬리브(13)의 축경된 부분(13b)의 기단측에는 내주면이 확경된 부분(13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슬리브(13)의 기단부에는 외주면 및 내주면도 확경시킨 확경부(13d)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확경부(13d)와 확경된 부분(13c)의 경계부분에는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슬리브(13)는 그 내측에 코일스프링(14)이 장착되어 있고, 이 코일 스프링(14)에 의해 기초몸체(12)의 선단측(하부방향)에 지지되어 있다. 다만, 조작 슬리브(13)는 칼날형부(15)와의 밀착에 의해 그 이상의 선단측으로의 이동이 구속되어 있다. 또한, 이 조작 슬리브(13)는 기단 측 스토퍼링(16)과의 밀착에 의해 그 이상의 기단측으로의 이동이 구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작 슬리브(13)는 도 2의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슬리브(13)가 코일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위치로 이동하는 상태에서는, 축경된 부분(13b)이 록킹부재(17)를 가압하여 생크 장착공(12A)안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크(2)를 아버(1)로부터 분리한 상태, 즉, 코일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조작 슬리브(13)가 상승위치로 이동하는 상태에서는 확경된 부분(13a)이 록킹부재(17)를 수용하며, 록킹부재(17)를 생크 장착공(12A)안으로부터 록킹부재 수용공(12c)안에 후퇴시킬 수 있으며, 록킹부재(17)가 생크 장착공(12A)으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있을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록킹부재 수용공(12c)의 생크 장착공(12A)측의 내경은 약간 감소되어, 록킹부재(17)가 생크 장착공(12A)안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크 장착공(12A)안에는, 그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치수로 형성된 코일 스프링(30)이 장착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30)은 생크(2)를 선단측으로 압출하는 압출기능과, 록킹부재(17)가 생크 장착공(12A)안으로 돌출하는 동작(또는 이탈)을 규제하는 지지부재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코일 스프링(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단부(30a) 2조와 선단부(지지부재)(30b) 3조의 각 권취 피치가 코일 스프링(30)의 선재 소선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단부(30a)는, 생크 장착공(12A)의 기단 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링홈형상의 걸림홈부(12f)에 결착되어 있다. 또한, 이 코일 스프링(30)의 선단부(지지부재)(30b)는 생크(2)가 이 생크 장착공(12A)에 삽입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록킹부재 수용공(12c)의 생크 장착공(12A)측의 개구부를 내측으로부터 덮는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이 상태에서 선단부(30b)가 록킹부재(17)를 외측방향으로 지지하여 록킹부재(17)가 생크 장착공(12A)안으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몸체(2)에는 센터드릴 장착공(12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센터드릴 장착공(12D)은 센터드릴(40)이 삽입가능한 내경으로 형성되고, 센터드릴(40)을 기초몸체(12)의 회전중심에 장착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센터드릴 장착공(12D)은 생크 장착공(12A)의 기단측과 연통되고, 생크 장착공(12A)보다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몸체(12)에는 센터드릴 장착공(12D)에 직교하여 기초몸체(12)의 외주면으로부터 센터드릴 장착공(12D)의 중심으로 향하고, 내주면에 암나사를 구비한 고정나사공(12E)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고정나사공(12E)에는 6각 렌치공을 구비한 고정볼트(41)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더욱이, 이 고정볼트(41)에 의해 센터드릴(40)의 기단부를 센터드릴 장착공(12D)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고정볼트(41)는 고정나사공(12E)에 나사 결합하여 센터드릴(40)을 고정한 상태에서는, 고정볼트(41)의 기단(외측단부)이 고정나사공(12E)의 외측 개구부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이 상태에서 고정볼트(41) 기단의 적어도 일부는 확경부(11B)의 암나사공(11a)의 선단부에 덮여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고정볼트(41)는 센터드릴 장착공(12D)의 내경과 확경부(11B)의 암나사공(11a)의 내경과의 사이의 치수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초몸체(12)의 외면에는 스패너 등을 록킹하도록 하기 위한 평면(12p)이 형성되어 있다. 이 평면(12p)은 기초몸체(12)에 대하여 나사 결합하는 확경부(11B)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평면(12p)은 외주면에 180도 간격으로 2곳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몸체(12)의 칼날형부(15)의 하면에는 제1 걸림부(12G)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걸림부(12G)는 생크(2)의 칼날형부(2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피걸림부(20G)와 회전방향에 있어서 걸려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생크(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생크(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단부에 삽입부(21)가 형성되고, 선단부에 드릴 장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21)는 생크 장착공(12A)에 삽입되는 부분이고, 드릴 장착부(22)는 드릴(본 실시예에서는 코어드릴)(50)이 장착되는 부분이다.
삽입부(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이 생크 장착공(12A)보다 약간 소경으로 형성되는 대략 짧은 원통형상이다. 그리고, 이 삽입부(21)의 외부 둘레에는 아버(1)의 록킹부재(17)가 걸림도록 하기 위한 록킹홈(21A)이 형성되어 있다.
드릴 장착부(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짧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숫나사(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숫나사(25)는 코어드릴(5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50a)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코어드릴(50)의 암나 사(50a)를 생크(2)측에 형성된 숫나사(25)에 나사 결합시킴에 따라 코어드릴(50)을 생크(2)에 장착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생크 부착 장치(A)는, 코어드릴(50)을 장착할 수 있는 생크(2)를 채용하였지만, 이를 대신하여 장착하려고 하는 드릴이 코어드릴(50)이외의 드릴로서,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센터드릴(40)과 같은 원기둥체형의 외형을 가지며, 선단이 절단 블레이드로 절삭하고, 외주면에 스파이럴형으로 형성된 절삭칩 배출홈을 가지는 형상의 드릴인 경우는, 도 1에 도시된 생크(2)를 대신하여 도 1에 도시된 고정볼트(41)와 같은 볼트에 의한 나사멈춤구조를 드릴 장착부에 설치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종래 공지의 드릴을 회전축에 결착한 척구조에 의한 결착기구를 설치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1)와 드릴 장착부(22)의 사이에는 칼날형부(20)가 형성되고, 이 칼날형부(20)는 그 상면에 제1 피걸림부(20G)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피걸림부(20G)는 아버(1)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걸림부(12G)에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아버(1)의 회전토크를, 서로 맞물리는 제1 걸림부(12G)와 제1 피걸림부(20G)를 끼워서 생크(2)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걸림부(20G)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20a)가 120도 간격으로 둘레방향으로 3곳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걸림부(12G)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걸림부(20G)의 볼록부(20a)에 맞물릴 수 있는 오목부(12a)가 60도 간격으로 둘레방향으로 6곳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아버(1)에 생크(2)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생크(2)를 둘레방향으로 60도 회전시키 면, 볼록부(20a)를 오목부(12a)에 결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생크 부착 장치(A)를 사용하여 가공물 등에 대하여 천공작업을 수행하는 순서 및 이 생크 부착 장치(A)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크(2)에 예를 들어 코어드릴(50)을 장착한다. 생크(2)에 코어드릴(50)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코어드릴(50)의 암나사(50a)를 생크(2)의 숫나사(25)에 나사 결합하여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드릴(50)이 장착된 생크(2)를 아버(1)에 장착한다. 다시 말해서, 생크(2)의 삽입부(21)를 아버(1)의 생크 장착공(12A)에 삽입한다. 이 삽입과정에 있어서, 생크(2)의 선단이 코일 스프링(30)의 선단부(30b)를 생크 장착공(12A)의 깊은쪽으로 가압하고, 록킹부재(17)가 생크 장착공(12A)안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정도까지 밀어올리면, 록킹부재(17)가 삽입부(21)의 외주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칼날형부(15)의 하면이 칼날형부(20)의 상면과 밀착한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제1 걸림부(12G)의 오목부(12a)와 제1 피걸림부(20G)의 볼록부(20a)가 맞물리도록 생크(2)를 아버(1)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각도(적어도 60도 이하의 각도)만큼 회전시켜서 양자를 결합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다시 생크(2)의 삽입부(21)를 생크 장착공(12A)의 깊은쪽으로 삽입하면, 록킹부재(17)가 삽입부(21)의 록킹홈(21A)에 걸리고, 이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크(2)를 아버(1)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크(2)를 아버(1)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14)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조작 슬리브(13)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조작 슬리브(13)가 칼날형부(15)에 밀착되고, 이 경우, 축경부분(13b)이 록킹부재(17)를 록킹홈(21A)으로 누르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생크(2)를 아버(1)에 장착한 후 또는 그 전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드릴(40)의 기단부를 아버(1)의 센터드릴 장착공(12D)에 삽입하여 장착한다. 이 경우, 고정볼트(41)를 고정나사공(12E)에 체결하여 센터드릴(40)을 아버(1)의 기초몸체(12)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버(1)의 장착축(11A)을, 예를 들면 전동드릴 등의 드릴장치(D)의 비트장착공(60)에 장착하여 드릴장치(D)를 작동시킨다. 이에 의해 코어드릴(50) 및 센터드릴(40)을 사용하여 소정의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크(2)를 아버(1)에 장착한 상태로, 아버(1)에 설치된 록킹부재(17)를 생크(2)에 형성된 록킹홈(21A)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생크(2)가 아버(1)로부터 분리되는 축방향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어, 생크(2)가 아버(1)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더욱이, 이 상태에서 아버(1)에 형성된 제1 걸림부(12G)가 생크(2)에 형성된 제1 피걸림부(20G)에 걸리도록 하여 아버(1)로부터 큰 회전토크와 충격적인 회전토크를 생크(2)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생크(2)의 칼날형부(15)가 아버(1)의 칼날형부(20)에 밀착하여, 생크(2)가 아버(1)에 접근하는 축방향의 이동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어, 이 칼날형부(15, 20)를 매개하여 천공작업 할때에 발생하는 축방향의 충격을 아버(1)가 흡수하여 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효율좋은 천공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코어드릴(50)이 생크(2)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됨으로써, 소모품인 코어드릴(50)이 마모되면, 이 코어드릴(50)만 교환하면 충분하고, 생크(2)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도 1에 도시된 코어드릴(50)을 대신하여 이것과 외경이 다른 코어드릴을 생크(2)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코어드릴(50)의 암나사(50a)가 드릴 장착부(22)의 숫나사(25)에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이즈가 다른 코어드릴을 생크(2)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생크 부착 장치(A)에 의하면, 충격적으로 작용하는 회전토크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경우에는, 아버(1)에 형성된 제1 걸림부(12G) 및 생크(2)에 형성된 제1 피걸림부(20G)의 그 회전토크가 걸리는 방향의 강도를 크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생크(2)가 아버(1)로부터 분리되는 축방향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록킹부재(17)와 록킹홈(21A)의 걸림강도를 크게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 생크 부착 장치(A)를 비교적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생크(2)와 아버(1)의 밀착부분인 칼날형부(15, 20)로 천공작업시에 발생하는 축방향의 충격을 흡수저지할 수 있으므로, 제1 걸림부(12G), 제1 피걸림부(20G), 록킹부재(17) 및 록킹홈(21A)에 대하여 축방향의 충격에 대한 강도를 고려할 필요가 없고, 이에 의해서도 생크 부착 장치(A)를 비교적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더욱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버(1)를 장착축(11A)의 일부분과 기초몸체(12)의 일부분에 숫나사부(12b) 및 암나사공(11a)을 구비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분할되도록 함으로써, 장착축(11A)이 손상된 경우, 이 손상된 장착축(11A)의 부분 을 별도의 장착축(11A) 부분과 교환할 수 있고, 기초몸체(12) 부분을 교환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드릴(40)은 센터드릴 장착공(12D)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나사(41)에 의해 아버(1)의 기초몸체(12)에 고정할 수 있지만, 이 고정나사(41)는, 코어드릴(50) 및 센터드릴(40)을 사용하여 구멍형성작업을 하는 경우에, 그 진동에 의해 느슨해질 가능성이 있으나, 아버(1)의 확경부(11B)가 고정나사공(12E)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나사(41)의 적어도 일부를 외측으로부터 덮어서 고정나사(41)가 기초몸체(1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크 부착 장치(A)는, 생크(2)가 생크 장착공(12A)에 장착되지 않는 경우에, 록킹부재(17)의 생크 장착공(12A)안에서의 돌출을 규제하는 지지부재(선단 30b)를 가지며, 이 지지부재는 생크 장착공(12A)안에 배치되어 있는 코일스프링(30)의 선단(30b)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록킹부재(17)의 생크 장착공(12A)안에서의 돌출을 규제하는 지지부재를, 생크 장착공(12A)안에 배치되어 있는 코일스프링(30)의 선단(30b)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여 지지부재 수만큼의 부품수를 적게할 수 있다.
더욱이, 도 2에 도시된 생크 부착 장치(A)에서는 조작 슬리브(13)를 축방향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생크(2)를 아버(1)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됨으로써, 드릴장치(D)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 생크 부착 장치(A)에 대하여 회전방향의 관성력이 작용해도 이 관성력에 기인하여 조작 슬리브(13)가 회전방향으로 움직여 록킹부재(17)가 생크 장착공(12A)로부터 후 퇴하여 생크(2)가 아버(1)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더욱이, 생크(2)를 아버(1)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작업자가 조작 슬리브(13)를 기단측(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서, 록킹부재(17)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생크(2)가 코일 스프링(30)의 지지력에 의해 아버(1)의 생크 장착공(12A)으로부터 단부측으로 눌린 상태로 돌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크 부착 장치(B)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생크 부착 장치(B)와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크 부착 장치(A)의 상위한 점은, 코어드릴(51, 50)을 생크(3, 2)에 장착하는 구성이다. 이외에는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크 부착 장치(A)와 동일하고, 동일부분을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내며, 이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생크 부착 장치(B)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외경이 큰 코어드릴(51)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이 코어드릴(51)을 사용하여 비교적 직경이 큰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a)는 생크(3)의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b)는 생크(3)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크(3)는 생크본체(4), 토크전달 환형부재(52) 및 너트(53)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생크본체(4)는, 삽입부(21) 및 드릴장착부(54)를 구비한다. 다만, 삽입부(21)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삽입부(21)와 동등한 것이 다.
드릴 장착부(54)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짧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토크전달 환형부재(52)를 결합할 수 있는 제1 걸림 둘레면(54a), 코어드릴(51)의 상판(天板)이 결합될 수 있는 제2 걸림 둘레면(54b) 및 너트(53)가 나사 결합되는 숫나사부(54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걸림 둘레면(54a)의 외경이 최대로 형성되고, 제2 걸림 둘레면(54b)은 그보다 작게 형성되며, 숫나사부(54c)는 최소로 형성된다.
토크전달 환형부재(5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둥근 링형의 판형체이고, 그 상면에 제1 피걸림부(20G)가 형성되며, 그 하면에 제2 걸림부(5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피걸림부(20G)는 제1 실시예의 것과 동등한 3개의 볼록부(20a)를 구비하며, 이 3개의 볼록부(20a)가 맞물림가능하도록 도 6에 도시된 아버(1)의 칼날형부(15)의 하면에는 6개의 오목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6개의 오목부(12a)는 제1 걸림부(12G)로서, 제1 실시예와 동등한 것이다.
제2 걸림부(52a)는 코어드릴(51)의 상판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피걸림부(51a)에 맞물림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생크(3)의 회전토크를 서로 맞물리는 제2 걸림부(52a) 및 제2 피걸림부(51a)를 끼워서 코어드릴(51)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 걸림부(52a)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로서 180도 간격으로 둘레방향을 따라 2곳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피걸림부(51a)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걸림부(52a)인 볼록부에 걸림가능한 오목부(소공)로서, 180도 간격으로 둘레방향을 따라 2곳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생크본체(4)에 대하여 토크전달 환형부재(52) 및 코어드릴(51)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드릴장착부(54)에 토크전달 환형부재(52) 및 코어드릴(51) 각각의 중심공(52c, 51b)을 순차적으로 장착하여 토크전달 환형부재(52)의 제2 걸림부(52a)와, 코어드릴(51)의 제2 피걸림부(51a)를 서로 걸리도록 한다. 그리고, 너트(53)를 생크(3)의 숫나사부(54c)에 나사 결합하여 체결한다. 그리고,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드릴(51)이 장착된 생크(3)를 아버(1)에 장착한다.
그리고,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드릴(40)의 기단부를 아버(1)의 센터드릴 장착공(12D)에 삽입하여 고정볼트(41)로 센터드릴(40)을 아버(11)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버(11)의 장착축(11A)을, 예를 들면 충전식 드릴장치(D)의 비트 장착공(60)에 장착하여 드릴장치(D)를 작동시킨다. 이에 의해서, 코어드릴(51) 및 센터드릴(40)을 사용하여 소정의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생크 부착 장치(B)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드릴(51)을 생크(3)에 장착함과 동시에, 이 생크(3)를 아버(1)에 장착하면, 아버(1)의 회전토크를, 토크전달 환형부재(52)를 통해서 코어드릴(51)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토크전달 환형부재(52)에 형성된 제2 걸림부(52a)가, 코어드릴(51) 에 형성된 제2 피걸림부(51a)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생크(3)의 비교적 큰 회전토크를 코어드릴(51)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직경이 큰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부(12G)가 오목부(12a)(또는 볼록부)이고, 제1 피걸림부(20G)를 볼록부(20a)(또는 오목부)로 하고, 제2 걸림부(52a)가 오목부(또는 볼록부)이고, 제2 피걸림부(51a)를 볼록부(또는 오목부)로 하면,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아버(1)의 비교적 큰 회전토크를 생크(3)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생크(3)의 비교적 큰 회전토크를 코어드릴(5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부(12G), 제1 피걸림부(20G), 제2 걸림부(52a) 및 제2 피걸림부(51a)를 토크전달 환형부재(52)에 형성하고, 이 토크전달 환형부재(52)와 코어드릴(51)을 서로 걸림시킨 상태로, 이 양자를 생크(3)에 너트(53)로 체결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토크전달 환형부재(52)의 직경을 크게함과 동시에, 제1 걸림부(12G), 제1 피걸림부(20G), 제2 걸림부(52a) 및 제2 피걸림부(51a)의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크게하여 비교적 큰 회전토크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 토크전달 환형부재(52)는 아버(1) 및 생크(3)와 별개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아버(1) 및 생크(3)와 일체로 하여 제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비교적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외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을 하기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는 생크본체(4)와 토크전달 환형부재(52)를 별개의 부재로 하였지만, 양자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크 부착 장치는 비교적 큰 회전토크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비교적 소형으로 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며, 이러한 생크 부착 장치에 적용함에 적합하다.

Claims (6)

  1. 드릴장치의 회전부에 드릴을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버와 생크를 구비하고, 상기 아버는 상기 회전부에 착탈이 자유롭고, 상기 아버와 생크는 서로 착탈이 자유로우며, 상기 생크는 상기 드릴에 착탈이 자유로운 생크 부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크를 상기 아버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아버에 설치된 록킹부재가, 상기 생크의 측면에 형성된 록킹홈에 걸려 상기 생크가 상기 아버로부터 분리되는 축방향의 이동을 저지하고, 상기 아버에 형성된 제1 걸림부가, 상기 생크에 형성된 제1 피걸림부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아버의 회전토크를 상기 아버에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생크가 상기 아버에 밀착하여 상기 생크가 상기 아버에 접근하는 축방향의 이동을 저지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크 부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릴을 상기 생크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생크에 형성된 제2 걸림부가, 상기 드릴에 형성된 제2 피걸림부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생크의 회전토크를 상기 드릴에 전달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크 부착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가 오목부 또는 볼록부이고, 상기 제1 피걸림부가 볼록부 또는 오목부이며, 상기 제2 걸림부가 오목부 또는 볼록부이고, 상기 제2 피걸림부가 볼록부 또는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크 부착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 제1 피걸림부, 제2 걸림부 및 제2 피걸림부가 토크전달 환형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토크전달 환형부재와 드릴을 서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양자를 상기 생크에 나사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크 부착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버는, 상기 드릴장치의 회전부에 장착된 장착축을 가지고, 상기 장착축의 선단부에 확경부를 형성하며, 상기 확경부는 상기 아버의 기초몸체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나사결합되고,
    상기 생크가 상기 아버에 형성된 생크 장착공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구성이며,
    상기 생크 장착공에 연통되는 센터드릴 장착공을 상기 아버의 기초몸체에 형성하고,
    상기 센터드릴 장착공에 직교하도록 상기 기초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센터드릴 장착공의 중심 방향으로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나사공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나사공에 선단이 상기 센터드릴 장착공안으로 돌출가능한 고정나사가 나사 결합되고,
    상기 확경부가 상기 고정나사공에 나사 결합하는 상기 고정나사의 적어도 일부를 외측에서 덮도록 하여 상기 고정나사가 상기 기초몸체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크 부착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가 상기 아버에 형성된 생크 장착공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구성이고,
    상기 생크가 상기 생크 장착공에 장착되지 않는 경우, 상기 록킹부재의 상기 생크 장착공 안으로의 돌출을 규제하는 지지부재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생크 장착공안에 배치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의 선단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기단부가, 상기 생크 장착공의 내측부의 내주면에 접한 걸림홈부에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크 부착 장치.
KR1020097006710A 2006-11-06 2007-04-03 생크 부착 장치 KR101109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WOPCT/JP2006/322102 2006-11-06
PCT/JP2006/322102 WO2008056399A1 (fr) 2006-11-06 2006-11-06 Dispositif de montage de tige
PCT/JP2007/057428 WO2008056455A1 (fr) 2006-11-06 2007-04-03 Dispositif de fixation de que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416A true KR20090064416A (ko) 2009-06-18
KR101109952B1 KR101109952B1 (ko) 2012-02-17

Family

ID=39364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710A KR101109952B1 (ko) 2006-11-06 2007-04-03 생크 부착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608413B2 (ko)
EP (1) EP2080574B1 (ko)
JP (1) JP4722142B2 (ko)
KR (1) KR101109952B1 (ko)
CN (1) CN101528393B (ko)
AU (1) AU2007318824B2 (ko)
BR (1) BRPI0715272A2 (ko)
CA (1) CA2664346C (ko)
ES (1) ES2603833T3 (ko)
HK (1) HK1130729A1 (ko)
RU (1) RU2407613C1 (ko)
TW (1) TW200829353A (ko)
WO (2) WO20080563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1099100A1 (ja) * 2010-02-15 2013-06-13 株式会社ミヤナガ 回転工具の着脱装置と該回転工具
DE102012204491A1 (de) * 2012-03-21 2013-09-26 Hilti Aktiengesellschaft Bohrwerkzeug
DE102012212381B4 (de) * 2012-07-16 2024-02-29 Robert Bosch Gmbh Adapter zur Halterung einer Lochsäge an einer Werkzeugmaschine
SE540445C2 (sv) * 2016-04-29 2018-09-18 Kapman Ab Hållare för ett roterande verktyg, exempelvis en hålsåg
DE102016209867A1 (de) * 2016-06-06 2017-12-07 Robert Bosch Gmbh Schnell-Spann-Adapter
CN114559065B (zh) * 2022-02-25 2023-04-14 西安航天发动机有限公司 一种关节轴承收口用工具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98880A1 (ru) 1953-09-08 1953-11-30 Л.П. Иванов Сверло дл кольцевого сверлени
SU119053A1 (ru) 1958-09-22 1958-11-30 А.Г. Сальников Патрон дл двухступенчатого сверла
RU2060116C1 (ru) 1993-05-27 1996-05-20 Виктор Юрьевич Пирайнен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JP2802047B2 (ja) * 1995-04-17 1998-09-21 株式会社イケダ 孔加工工具
JPH09309106A (ja) 1996-05-20 1997-12-02 Junichi Isoda 長時間に及ぶ保存ができるレデイーミクストコンクリート
JPH09309016A (ja) * 1996-05-24 1997-12-02 House B M:Kk 孔開け工具
JPH106112A (ja) * 1996-06-20 1998-01-13 Tomio Ohira 穴明機のドリル取付装置及びその装置に用いる継手
JP3081797B2 (ja) * 1996-09-27 2000-08-28 株式会社ニコテック ホ―ルソ―脱着装置
US6966730B1 (en) * 1999-10-19 2005-11-22 Kabushiki Kaisha Miyanaga Shank installation structure and cutters
JP2002192412A (ja) * 2000-12-26 2002-07-10 Miyanaga:Kk コアドリルのコア体構造
JP3629016B2 (ja) * 2002-07-02 2005-03-16 株式会社ミヤナガ コアドリル
JP4363019B2 (ja) 2002-09-20 2009-11-11 マックス株式会社 コアビット
AU2003201841B2 (en) 2003-03-20 2005-04-07 Kym John Keightley A universal rotation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56399A1 (fr) 2008-05-15
AU2007318824B2 (en) 2010-11-11
AU2007318824A1 (en) 2008-05-15
EP2080574A4 (en) 2012-06-20
CA2664346A1 (en) 2008-05-15
RU2407613C1 (ru) 2010-12-27
CN101528393A (zh) 2009-09-09
CN101528393B (zh) 2010-12-22
JP4722142B2 (ja) 2011-07-13
JPWO2008056455A1 (ja) 2010-02-25
CA2664346C (en) 2011-02-15
HK1130729A1 (en) 2010-01-08
TW200829353A (en) 2008-07-16
EP2080574B1 (en) 2016-10-05
WO2008056455A1 (fr) 2008-05-15
KR101109952B1 (ko) 2012-02-17
EP2080574A1 (en) 2009-07-22
ES2603833T3 (es) 2017-03-01
BRPI0715272A2 (pt) 2013-01-01
TWI343287B (ko) 2011-06-11
US8608413B2 (en) 2013-12-17
US20100127465A1 (en)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952B1 (ko) 생크 부착 장치
US9022703B2 (en) Hole saw assembly
EP1753575B1 (en) A hole saw assembly
US8100612B2 (en) Core drill
KR20040074943A (ko) 만능 신속 변경 홀쏘 아버
US9346189B2 (en) Coupling device
JP5400502B2 (ja) ビット接続具の接続構造
CA2510287A1 (en) Method of securing a rotary cutter to a body of a down hole tool and a rotary cutter assembly
KR20120112512A (ko) 회전공구의 착탈장치 및 그 회전공구
JP4689360B2 (ja) ドリルホルダ
JP3602069B2 (ja) コアドリルのコア体結合構造
EP1260297B1 (en) Core body lock device of core drill and core body used for the device
JP4680560B2 (ja) 工具連結構造
JP2520577B2 (ja) コアドリル
AU2010100589A4 (en) A hole saw assembly
AU2005251825B2 (en) A hole saw assembly
AU2013245495B2 (en) A hole saw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