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3830A -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3830A
KR20090063830A KR1020070131338A KR20070131338A KR20090063830A KR 20090063830 A KR20090063830 A KR 20090063830A KR 1020070131338 A KR1020070131338 A KR 1020070131338A KR 20070131338 A KR20070131338 A KR 20070131338A KR 20090063830 A KR20090063830 A KR 20090063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ntenn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1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중
유봉국
김은태
조권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1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3830A/ko
Publication of KR20090063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는 주변 무선 채널의 환경에 따라 주파수 자원을 선택하고, 그에 따른 송수신 알고리즘 정보에 따라 모뎀의 동작을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 무선 채널 환경이 반영된 주파수 자원에 따라 소프트웨어적으로 모뎀의 동작을 제어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주변 채널 환경에 최적화된 변복조 방식으로 시스템을 동작할 수 있고, 시스템의 가용 용량을 높일 수 있다.
인지 무선 기능,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다중 입력 다중 출력

Description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capacity of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변 무선 채널 환경에 따른 주파수 자원을 선택하고, 주파수 자원에 대응하는 송수신 알고리즘에 따라 무선 모뎀의 동작을 설정 및 제어하며, 무선 모뎀의 출력 신호를 안테나별로 처리하여 송수신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01-02, 과제명: 4세대 이동통신용 적응 무선접속 및 전송 기술개발]
1세대 아날로그 음성 통신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이동통신 환경에서 IS-95, GSM, CDMA2000, WCDMA, HSDPA, EV-DO, 또는 WiBro와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가 제시되어 왔다. 이동통신 서비스가 1세대에서 2세대, 3세대를 거쳐 4세대로 발전하면서 음성 통신뿐만 아니라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의 서비스를 이동통신 환경에서 제공할 수 있다.
현재는 하드웨어적으로 고정된 개별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이 구현되어 있으며, 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이용하는 통신 규격에 할당되는 주파수 대역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가입자가 늘어나는 경우 특정 주파수 대역 혹은 시간이 크게 혼잡해지는 현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 채널 환경에 따라 주파수 자원을 선택하고, 선택한 주파수 자원에 대응하는 송수신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모뎀의 동작을 설정 및 제어함으로써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시스템 가용 용량을 높일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는, 주변 무선 채널 환경에 따라 주파수 자원을 선택하여 송수신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인지 무선 기능부, 상기 송수신 알고리즘에 따라 모뎀의 동작을 설정하는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 상기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의 출력신호를 안테나별로 처리하는 안테나 신호처리부, 및 상기 안테나 신호처리부에서 처리한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광대역 무선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방법은, 주변 무선 채널 환경에 따라 주파수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자원에 대응하는 송수신 알고리즘을 수신하여 다수의 모뎀의 동작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모뎀의 출력 신호를 안테나별로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안테나별로 처리한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 채널 환경을 측정하여 주파수 자원을 선택하고, 선 택한 주파수 자원에 대응하는 송수신 알고리즘에 따라 모뎀의 동작을 설정하고 제어한다. 이에 따라, 무선 채널 환경의 변화에 따라 가장 적합한 알고리즘으로 모뎀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시스템의 가용 용량을 높일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량 제어 장치(100)는 인지 무선 기능부(200),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300, 310), 안테나 신호처리부(400, 410), 광대역 무선 신호처리부(500, 510), 및 다수의 안테나(600~610)를 포함한다.
인지 무선(Cognitive Radio, CR) 기능부(200)는 채널 환경을 인식하여 사용 가능한 무선 자원을 인식한다. 다채널(Multi-Channel) 방식으로 제공되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있어서, 특정 채널에 다수의 가입자가 집중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 효율이 떨어지고 시스템에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인지 무선 기능부(200)는 무선 채널의 대역폭 등과 같은 채널 환경을 인식하여 채널별로 용량을 측정함으로써, 가입자에게 가장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을 검색할 수 있다.
인지 무선 기능부(200)는 서비스를 가장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에 대응하는 송수신 알고리즘을 검색한다. 인지 무선 기능부(200)가 검색하는 송수신 알고리즘은 선택된 주파수 자원에서 무선 신호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하기 위 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송수신 알고리즘에 따라 소프트웨어적으로 무선 신호의 송수신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가능한 주파수 자원에 적합한 다수의 송수신 알고리즘을 확보함으로써 다양한 채널 환경에서 가장 적합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Software Defined Radio) 모뎀부(300, 310)는 무선 주파수를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적으로 바꿀 수 있는 모뎀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무선 주파수를 변동할 수 있는 모뎀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함으로써, 다수의 모드, 대역, 또는 채널 환경에서 다양한 주파수에 따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인지 무선 기능부(200)에서 채널 환경에 따라 주파수 자원을 선택하고, 선택한 주파수 자원에 대응하는 송수신 알고리즘을 전송하면,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300, 310)는 상기 송수신 알고리즘에 따라 소프트웨어적으로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정한다. 일실시예로,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300, 310)는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모뎀의 동작을 상기 송수신 알고리즘에 따라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300, 310)로 전송되는 송수신 알고리즘은 주변 무선 채널 환경 이외에 하드웨어 자원, 사용자의 요청 사항, 및 성능 요청 사항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주변 무선 채널 환경이 좋은 경우에는 하드웨어 자원을 가능한 적게 이용하여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는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주면 무선 채널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하드웨어 자원을 최대로 이용 하여 소모 전력이 늘어나더라도 좋은 성능을 얻을 수 있는 알고리즘을 선택할 수 있다.
안테나 신호처리부(400, 410)는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300, 310)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를 안테나별로 처리한다. 안테나 신호처리부(400, 410)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Input Multi-Output, MIMO) 환경에서 시스템의 용량이 최대화되도록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300, 310)의 출력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환경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안테나 신호처리부(400, 410)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서로 다른 데이터를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는 공간 다중화(Spatial Mulitplexing) 방법, 같은 데이터를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송수신 이득을 높이는 공간 다이버시티(Spatial Diversity) 방법, 및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시스템 전체의 주파수 영역을 변화하지 않고 채널 용량을 증가시켜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블라스트(BLAST) 방법 등을 이용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신호처리할 수 있다.
광대역 무선 신호처리부(500, 510)는 안테나 신호처리부(400, 410)가 안테나별로 처리한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광대역 무선 신호처리부(500, 510)는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상호 변환하고, 무선 신호 전송에 따른 전력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송신 측의 광대역 무선 신호처리부(500)는 A/D(Analog-to-Digital) 컨버터를 이용하여 안테나 신호처리부(400)가 전송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600-1~600-N)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수신 측의 광대역 무선 신호처리부(510)는 D/A(Digital-to-Analog) 컨버터를 이용하여 안테나(600-1~600-N)를 통해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 신호처리부(41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광대역 무선 신호처리부(500, 510)는 안테나(600~610)별로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소프트웨어 무선 정의 모뎀부(300, 310)에 포함되는 다수의 모뎀의 동작 방법이 하나의 송수신 알고리즘에 따라 통일되는 경우, 광대역 무선 신호처리부(500, 510)에서 무선 채널의 신호 강도, 페이딩, 혼선 등의 전파 상태에 따라 결정된 변조 및 코딩의 파라미터를 안테나(600~610)별로 변경함으로써 시스템 용량을 최대화하고, 신호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에 포함되는 인지 무선 기능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지 무선 기능부(200)는 채널 추정부(210), 자원 처리부(220) 및 신호 결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추정부(210)는 무선 구간에서 전송되는 신호로부터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채널 추정부(210)는 상기 신호로부터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채널을 추정하여, 추정한 채널을 신호 결정부(230)로 전송한다.
자원 처리부(220)는 가용한 주파수 자원 정보와, 선택한 주파수 자원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가장 적합한 송수신 알고리즘들의 정보를 신호 결정부(230)로 전송한다.
신호 결정부(230)는 채널 추정부(210)가 추정한 무선 채널에 따라 신호의 송수신 신뢰도를 판단한다. 채널 추정부(210)가 신호로부터 추정한 무선 채널 정보를 전송하면, 신호 결정부(230)는 상기 무선 채널 정보에 따라 송수신하는 신호의 신뢰도를 판단함으로써 사용가능한 채널 중 서비스 제공에 가장 적합한 채널을 판단하고, 이를 근거로 자원 처리부(220)에서 전달한 주파수 및 송수신 알고리즘들 중에서 가장 적합한 송수신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300, 310)로 전송한다.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300, 310)로 전송하는 송수신 알고리즘은 채널 환경 이외에 안테나(500~600)의 수,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300, 310)에 포함되는 모뎀 프로세서의 연산 능력,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요청하는 서비스의 종류, 비트 오류율(Bit Error Rate, BER), 및 최대 전송 전력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보다 효율적인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채널 환경이 좋은 경우에는 하드웨어 자원을 적게 이용하는 알고리즘을 제공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고, 채널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하드웨어 자원을 많이 이용하더라도 우수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에 포함되는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 른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300, 310)는 다수의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300-1~300-N, 310-1~310-N)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300-1~300-N, 310-1~310-N)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600~610)에 대응하며, 인지 무선 기능부(200)가 전송하는 송수신 알고리즘에 따라 소프트웨어적으로 동작 방법이 설정된다. 인지 무선 기능부(200)이 추정하는 무선 채널 환경에 따라 가장 적합한 송수신 알고리즘을 수신하여 그에 따라 동작 방법을 함으로써,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에 비해 제조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 알고리즘을 추후에 업데이트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이동통신 서비스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다.
송신 측 모뎀(300-1~300-N)과 수신 측 모뎀(310-1~310-N)은 인지 무선 기능부(200)가 결정하는 송수신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 방법을 설정하되, 시스템의 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송수신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수신 측 모뎀(310-1~310-N)에서 수신 환경이 좋은 안테나에 대응하는 모뎀은 연속 간섭 제거 방식(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C)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며, 수신 환경이 중간 정도인 안테나에 대응하는 모뎀은 최소 평균 자승 오류 방식(Minimum Mean Square Error, MMSE)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300, 310)는 상기 송수신 알고리즘에 따라 모뎀(300-1~300-N, 310-1~310-N)의 동작 방법을 결정하고, 결정한 동작 방법에 따라 모뎀(300-1~300-N, 310-1~310-N)이 처리하는 신호를 안테나 신호처리부(400, 410)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에 포함되는 안테나 신호처리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신호처리부(400, 410)는 논리 계층 안테나 신호처리부(401, 411) 및 물리 계층 안테나 신호처리부(403, 413)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신호처리부(400, 410)는 안테나(600~610)별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를 처리하여 광대역 무선 신호처리부(500, 510)에 전송한다. 안테나 신호처리부(400, 410)는 송수신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되는 모뎀(300-1~300-N, 310-1~310-N)의 동작 방법에 따라 안테나별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를 처리한다.
논리 계층 안테나 신호처리부(401, 411)는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300, 310)와 연결되어 논리 계층에서 신호를 송수신한다. 논리 계층 안테나 신호처리부(401, 411)가 송수신하는 논리 계층의 신호는 물리 계층의 신호와 상호 맵핑되어 물리 계층 안테나 신호처리부(403, 413)로 송수신된다.
물리 계층 안테나 신호처리부(403, 413)는 무선 구간에서 전송 가능한 물리 계층의 신호를 광대역 무선 신호처리부(500, 510)와 송수신한다. 물리 계층 안테나 신호처리부(403, 413)에서 물리 계층으로 맵핑된 무선 신호는 광대역 무선 신호처리부(500, 510)로 전송되어 무선 구간으로 전송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량 제어 방법은 무선 채널 구간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채널의 성능을 추정하는 것으로 시작된다(S500). 일실시예로, 인지 무선 기능부(200)의 채널 추정부(210)에서 무선 채널의 성능을 추정하여 상기 추정 결과를 신호 결정부(230)로 전송할 수 있다. 신호 결정부(230)는 상기 추정 결과에 따라 신호의 신뢰도를 산출한다.
무선 채널의 성능을 추정하고, 그에 따라 전송되는 신호의 신뢰도를 산출하면, 상기 무선 채널의 성능 및 상기 산출한 신뢰도에 따라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에 가장 적합한 주파수 자원을 선택한다(S510). 주파수 자원은 인지 무선 기능부(200)의 자원 처리부(220)에서 전송된 정보로부터 신호 결정부(230)가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한 주파수 자원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는 모뎀의 동작 방법이 결정될 수 있다.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에 적합한 주파수 자원을 선택하면, 선택한 주파수 자원에 따라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300, 310)의 동작 방법을 결정하는 송수신 알고리즘을 선택한다(S520). 상기 송수신 알고리즘은 S500 단계에서 추정한 무선 채널의 성능 및 신호의 신뢰도 이외에 가입자가 요청하는 서비스의 종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의 수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S500 단계에서 추정한 무선 채널의 성능이 좋은 경우에는 하드웨어 자원을 적게 소모하는 알고리즘을 선택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S520 단계에서 선택한 송수신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300, 310)의 동작을 설정한다(S530). 이때, 시스템의 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300, 310)가 포함하는 모든 모뎀(300-1~300-N, 310-1~310-N)에 동일한 송수신 알고리즘을 적용하거나, 모뎀(300-1~300-N, 310-1~310-N) 별로 서로 다른 송수신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송수신 알고리즘에 따라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300, 310)의 동작이 설정되면, 모뎀(300-1~300-N, 310-1~310-N)이 출력하는 신호를 안테나별로 처리한다(S540). 일실시예로, 안테나 신호처리부(400, 410)는 모뎀(300-1~300-N, 310-1~310-N)이 논리 계층으로 송신하는 신호를 물리 계층에 맵핑하여 안테나(600~610)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광대역 무선 신호처리부(500, 510)로 송신할 수 있다. 안테나별로 신호 처리가 완료되면, 다수의 모뎀(300-1~300-N, 310-1~310-N)이 동일한 송수신 알고리즘에 의해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50).
S550 단계의 판단결과, 다수의 모뎀(300-1~300-N, 310-1~310-N)이 동일한 송수신 알고리즘에 의해 동작하면, 시스템 용량을 최대화하고 신호 전송 속도를 높이기 위해 안테나(600~610) 별로 적응 변조 코딩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S560). 하나의 송수신 알고리즘에 의해 다수의 모뎀(300-1~300-N, 310-1~310-N)이 동작하는 경우라 해도, 광대역 무선 신호처리부(500, 510)에서 무선 채널이 송수신하는 전파 상태에 따라 안테나(600~610) 별로 무선 신호 변조 및 코딩의 파라미터를 변경하여 적용함으로써 시스템 용량 및 신호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안테나(600~610) 별로 적응 변조 코딩 방식을 적용하거나, S550 단계의 판단결과 다수의 모뎀(300-1~300-N, 310-1~310-N)이 서로 다른 송수신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면, 안테나(600~610) 별로 처리한 신호를 광대역 무선 신호처리부(500, 510)에서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한다(S570). 상기와 같이 무선 채널의 상태에 따라 송수신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모뎀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무선 채널 환경 변화에 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적응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모뎀(300-1~300-N, 310-1~310-N)에 서로 다른 송수신 알고리즘을 적용하거나, 무선 채널 환경에 따라 안테나(600~610) 별로 무선 신호 변조 및 코딩의 파라미터를 변경하여 적용함으로써 시스템 용량 및 신호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 *
100 : 용량 제어 장치 200 : 인지 무선 기능부
300, 310 :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
400, 410 : 안테나 신호처리부
500, 510 : 광대역 무선 신호처리부

Claims (10)

  1. 주변 무선 채널 환경에 따라 주파수 자원을 선택하여 송수신 알고리즘을 결정하는 인지 무선 기능부;
    상기 송수신 알고리즘에 따라 모뎀과 모뎀의 동작을 설정하는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
    상기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의 출력신호를 안테나별로 처리하는 안테나 신호처리부; 및
    상기 안테나 신호처리부에서 처리한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광대역 무선 신호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무선 기능부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Input Mulit-Output, MIMO) 환경에서 시스템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송수신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무선 기능부는,
    주파수 특성을 포함하는 무선 채널 환경을 측정하는 채널 추정부;
    주파수 자원과 이에 대응하는 송수신 알고리즘 정보를 제공하는 자원 처리 부;
    상기 측정한 무선 채널 환경에 따라 주파수 자원과 송수신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신호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정의 무선 모뎀부는,
    상기 송수신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는 모뎀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모뎀은 하나의 송수신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거나 서로 다른 송수신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신호처리부는,
    논리 계층의 신호를 처리하는 논리 계층 안테나 신호처리부; 및
    물리 계층의 신호를 처리하는 물리 계층 안테나 신호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무선 신호처리부는,
    안테나별로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 방식의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
  7. 주변 무선 채널 환경에 따라 주파수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자원에 대응하는 송수신 알고리즘을 수신하여 다수의 모뎀의 동작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모뎀의 출력 신호를 안테나별로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안테나별로 처리한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주파수 특성을 포함하는 무선 채널 환경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한 무선 채널 환경에 따라 주파수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의 출력 신호를 논리 계층 및 물리 계층으로 분류하여 안테나별로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별로 적응 변조 코딩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전송하 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방법.
KR1020070131338A 2007-12-14 2007-12-14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90063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338A KR20090063830A (ko) 2007-12-14 2007-12-14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338A KR20090063830A (ko) 2007-12-14 2007-12-14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830A true KR20090063830A (ko) 2009-06-18

Family

ID=40992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1338A KR20090063830A (ko) 2007-12-14 2007-12-14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38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7050A3 (ko) * 2010-10-06 2012-06-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안테나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 단말 장치 및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배포 및 설치 방법
US11240685B2 (en) 2018-01-29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s and methods of selecting signal processing algorithm based on parameter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7050A3 (ko) * 2010-10-06 2012-06-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안테나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 단말 장치 및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배포 및 설치 방법
US9042303B2 (en) 2010-10-06 2015-05-26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Smart antenna software definition radio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distributing and installing software definition radio terminal application
US11240685B2 (en) 2018-01-29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s and methods of selecting signal processing algorithm based on parameters
US11700538B2 (en) 2018-01-29 2023-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s and methods of selecting signal processing algorithm based on paramet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0548B2 (en) MIMO signal processing method involving a rank-adaptive matching of the transmission rate
EP1643661B1 (en) MIMO system with adaptive switching of transmission scheme
KR10075472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7843960B2 (en) Multi-carrier radio transmission system, transmission device, and reception device
US200701336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nnel assignment of OFDM channels
US8121106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anaging a reference signal for uplink channel estimation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9979508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0644773B2 (en) Feedback channel information using pre-cod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560109A1 (en) Bandwidth reduction with beamforming and data compression
US8498348B2 (en) Radio base st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radio base station
WO2006013693A1 (ja)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無線送信方法および無線受信方法
CN101931448A (zh) 用于在切换天线正交频分复用通信系统中实现上行链路发射分集的方法和装置
CN102089997A (zh) 使用信道探测的信号传输参数控制
CN103889036A (zh) 降低功耗的方法及其通信装置
JPWO2009147958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WO2007127450A2 (en) A method of training a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91327A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적응적인 화이트닝 장치 및 방법
US2007021886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ignal processing program therefor
KR20090063830A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용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51406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30265B1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사용자 스케줄링 방법
CN114039638A (zh) 一种混合波束成形器与模数转换器联合设计方法
KR20090109052A (ko) 인지 라디오 사용자와 기존 면허 사용자의 공존을 위한 인지적인 빔포밍 방법 및 장치
WO2009157523A1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20110021920A (ko)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