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920A -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920A
KR20110021920A KR1020107028880A KR20107028880A KR20110021920A KR 20110021920 A KR20110021920 A KR 20110021920A KR 1020107028880 A KR1020107028880 A KR 1020107028880A KR 20107028880 A KR20107028880 A KR 20107028880A KR 20110021920 A KR20110021920 A KR 20110021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information
channel state
transmission weight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1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52Feedback error handling
    • H04B7/0656Feedback error handling at the transmitter, e.g. error detection at base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최대공약수적인 송신 가중치로 인하여 통신 특성의 열화를 방지하고 피드백 MIMO의 통신 특성을 증대시키는 무선통신장치가 제공된다.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통신장치는 다른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사전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채널의 채널상태정보를 취득하는 수신부, 상기 채널상태정보의 전력의 크기에 의거하여, 상기 채널상태정보의 가중 평균치를, 상기 사전설정된 주파수 대역 전체의 대표채널상태정보로서 계산하는 채널상태정보계산부, 상기 대표채널상태정보에 의거하여, 송신 가중치를 선택하는 송신가중치선택부, 및 상기 송신 가중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본 출원은 일본특허출원 제2008-169577호(2008년 6월 27일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인용 참조되고 있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신호의 송수신에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통신 용량의 증대나 통신 품질의 향상을 꾀하고 있다. 이러한 복수 안테나를 사용한 송수신 기술을 MIM0(Multi-Input Multi-Output)라고 한다. 특히, 수신단말이 송신단말에 대한 CSI[Channel State Information(채널상태정보) : Propagation path information(전파로 정보)]에 관한 정보를 피드백하여, MIM0의 통신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기술을 Closed-Loop MIM0 또는 피드백 MIM0라고 한다.
상기 수신단말은, 송신단말이 일정 주기로 송신하는 전용의 참조신호(xi)와 수신단말의 수신신호(yj,i) 간의 관계에 의거하여, k 번째의 서브캐리어(채널)에 대한 CSIk를 수학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할 수 있다. 수학식 1에 있어서, TxAnt 및 RxAnt는 송신단말의 안테나수 및 수신단말의 안테나수를 각각 나타내는 반면, CSIk는 RxAnt×TxAnt의 차원을 갖는 복소행열(Complex matrix)을 나타낸다. 또한, 실제로는 수신단말이 수신신호를 분리할 수 있도록, 송신 안테나마다 참조신호가 삽입되는 서브캐리어는 다른 경우가 많다. 그러나, 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모든 서브캐리어의 수신신호와 참조신호가 각 안테나마다 독립적으로 취득되는 것으로 한다.
Figure pct00001
피드백 MIM0로서는, 수신단말에서 송신단말에 피드백하는 CSI의 정보가 보다 상세해질수록, MIM0의 통신 특성이 더욱 개선된다. 하지만, 수신단말이 피드백하는 CSI의 정보가 더욱 상세할수록, 통신 데이터량이 더욱 증가하기 때문에, 결국은 시스템의 무선통신용량이 타이트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송신단말 및 수신단말에서 미리 공통의 송신 가중치의 정보를 가지고, 수신단말이 CSI에 대응하는 송신 가중치의 인덱스 정보(식별 정보)만을 송신단말에 피드백하여 (즉, 수신단말이 사용될 송신 가중치의 인덱스 번호만을 송신단말에 통지함), 피드백 정보를 대폭 삭감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또한, 단 하나의 송신 가중치를 복수의 서브캐리어에 대하여 정리하여 적용함으로써, 피드백하는 송신 가중치의 인덱스 자체를 저감할 수 있어, 피드백 정보를 더욱 삭감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3.9 세대 이동체 통신 시스템(이하, "3.9G"라고 함) 중 하나인 UMB(Ultra Mobile Broadband, 예컨대 비특허문헌 1 참조) 및 E-UTRA(LTE)(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Long Term Evolution, 예컨대 비특허문헌 2 참조)에서는, 상기 송신 가중치의 정보를 PM(Precoding Matrix)으로 하여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공유하고 있다. 복수의 PM은 복수 안테나의 개수 등에 대응하여 정의되어 있다. 수신단말은 CSI에 따라 적절한 PM을 선택하여, 해당 PM의 식별번호인 PMI(Precoding Matrix Index)를 송신단말에 피드백한다. 수신단말에서 PMI를 수신하면, 송신단말은 PMI에 의해 특정되는 PM을 사용하여 복수 안테나의 송신 가중치제어를 행한다.
예컨대, UMB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밴드는 8개의 서브밴드로 분할되고, 각 서브밴드는 8개의 타일(tile)로 분할되며, 각 타일은 16개의 서브캐리어로 분할된다. 복수의 서브캐리어에 대하여 공통으로 적용가능한 PM을 선택하기 위해서, 수신단말은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서브밴드 단위나 타일 단위에서의 CSI의 평균치(CSIAve)를 계산한다. 여기서, NCSI는 서브밴드에 포함되는 서브캐리어의 개수를 나타내고, 서브밴드 단위의 평균화의 경우에는 128(8×16)로 되며, 타일 단위의 평균화의 경우에는 16으로 된다. 수신단말은, CSI의 평균치를 구하면, 해당 CSI 평균치에 대하여 가장 알맞은 PM을 선택하여, 해당 PM에 대응하는 PMI를 송신단말에 피드백한다.
Figure pct00002
도 6은 PMI의 선택에 필요한 CSI의 평균화를 서브밴드 단위로 행한 경우, 타일 단위로 행한 경우 및 PMI의 선택에 의한 송신 가중치의 제어를 행하지 않은 경우 각각의 피드백 MIM0의 주파수이용효율[bps/Hz]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신호의 SNR(Signal to Noise Ratio)이 같은 경우, 송신 가중치의 제어에 의해서 통신 특성이 개선된다. 또한, 보다 작은 단위로(즉, 서브밴드 단위가 아니라 타일 단위)로 PMI 선택을 행하는 편이 통신 특성을 더욱 개선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비특허문헌
비특허문헌 1: "Physical Layer for Ultra Mobile Broadband(UMB) Air Interface Specification(C.S0084-001-0 v1.0)", 3GPP2, 2007년 4월
비특허문헌 2: "Multiplexing and channel coding(3GPP TS36.212)", 3GPP, 2008년 5월
상술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방법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단말은 공통의 송신 가중치(PM)를 적용하는 범위(이하, "송신가중치적용범위"라고 함)의 각 서브캐리어(채널)의 통신 품질에 상관없이, 각 서브캐리어의 CSI의 평균치에 단순히 의거하여, 송신단말에 피드백하는 송신가중치인덱스(PMI)를 선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어떤 서브캐리어에 있어서도 최적이 아닌 최대공약수적인 송신 가중치가 선택되게 된다. 이러한 최대공약수적인 송신 가중치로서는,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캐리어의 위상이 회전하여, 복소평면 상에서 신호를 취소함에 따라, 송신 가중치를 사용한 경우의 MIM0의 통신 특성이 열화하여 버린다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특히, 멀티패스 페이딩(multipath fading) 환경 등, 주파수마다 무선통신품질의 변동이 심한 경우에 있어서는, 각 서브밴드/타일에 포함되는 128/16개의 서브캐리어각각의 무선통신품질이 크게 상이한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상기의 여러가지 과제를 고려한 본 발명의 목적은, 최대공약수적인 송신 가중치에 의한 통신 특성의 열화를 막아, 피드백 MIM0에 있어서의 통신 특성을 높이는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여러가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통신장치는,
다른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사전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채널의 채널상태정보를 취득하는 수신부;
상기 채널상태정보의 전력(power)의 크기에 의거하여, 상기 채널상태정보의 가중 평균치를, 상기 사전설정된 주파수 대역 전체의 대표채널상태정보로서 계산하는 채널상태정보계산부;
상기 대표채널상태정보에 의거하여, 송신 가중치를 선택하는 송신가중치선택부; 및
상기 송신 가중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통신장치는,
다른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사전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채널의 채널상태정보를 취득하는 수신부;
상기 채널상태정보의 진폭값의 크기에 의거하여, 상기 채널상태정보의 가중 평균치를, 상기 사전설정된 주파수 대역 전체의 대표채널상태정보로서 계산하는 채널상태정보계산부;
상기 대표채널상태정보에 의거하여, 송신 가중치를 선택하는 송신가중치선택부; 및
상기 송신 가중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 가중치선택부는, 상기 채널상태정보와 상기 송신 가중치 간의 대응관계를 저장하고, 상기 대표채널상태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송신 가중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통신장치의 무선통신방법은,
다른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사전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채널의 채널상태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채널상태정보의 전력의 크기에 의거하여, 상기채널상태정보의 가중 평균치를, 상기 사전설정된 주파수 대역 전체의 대표채널상태정보로서 계산하는 단계;
상기 대표채널상태정보에 의거하여, 송신 가중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가중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통신장치의 무선통신방법은,
다른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사전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채널의 채널상태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채널상태정보의 진폭값의 크기에 의거하여, 상기 채널상태정보의 가중 평균치를, 상기 사전설정된 주파수 대역 전체의 대표채널상태정보로서 계산하는 단계;
상기 대표채널상태정보에 의거하여, 송신 가중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가중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 가중치를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채널상태정보와 상기 송신 가중치 간의 대응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대표채널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가중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 가중치를 계산할 때, 송신 가중치 적용 범위에 속하는 서브캐리어의 CSI를 평균하여 단순히 구하는 것은 아니고, 송신 가중치 적용 범위에 속하는 서브캐리어의 CSI의 전력에 따른 가중 평균치에 의거하여 송신 가중치를 선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파로로서 채널용량이 한정되어 있는 서브캐리어의 영향을 저감시키고, 위상이 반전되어 서로 취소되는 CSI 정밀도를 열화시키는 현상을 저감시키며, 전력이 충분한 서브캐리어 영역에 대한 영향이 강한 송신 가중치를 선택함으로써, 피드백 MIM0의 통신 특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3.9G에 적용되는 컨벌루션 부호(CC: Convolutional Coding) 및 컨벌루션 터보 부호(CTC: Convolutional Turbo Coding) 등의 에러 정정의 성질상, 평균 전력이 일정한 조건 하에, 기본적으로 전체가 균등인 품질의 데이터 계열보다도, 품질이 좋은 부분과 나쁜 부분이 두드러진 데이터 계열 쪽에서 에러 정정의 효과를 더 발휘하게 된다는 특징(다이버시티 효과)을 활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이 사용가능한 통신네트워크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CSI계산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의 동작의 플로우차트;
도 5는 주파수 밴드 분할 단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송신 가중치 제어에 의한 주파수이용효율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및
도 7은 종래의 통신단말의 동작의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여러가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1)이 사용가능한 통신네트워크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1)은, 기지국(2)과 복수 안테나를 사용하여 MIMO에 의한 통신을 행한다. 상기 통신단말(1)은, 기지국(2)이 송신하는 참조신호로부터 각 서브캐리어의 CSI를 취득한다. 상기 통신단말(1)은, 해당 CSI에 사전설정된 처리를 행한 후, 상기 기지국(2)이 이용해야 할 송신 가중치(PM)를 선택하여, 해당 송신 가중치에 대응하는 송신 가중치 인덱스를 기지국(2)에 피드백한다. 상기 기지국(2)은, 해당 송신 가중치 인덱스에 대응하여 송신 가중치를 선택하여, 피드백 MIM0 제어를 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1)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통신단말(1)은, 예컨대 MIM0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 랩탑 컴퓨터 또는 PDA(휴대정보단말)일 수도 있다. 상기 통신단말(1)은, 기지국(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서브캐리어의 CSI를 취득하는 수신부(10), 수신부(10)로부터 CSI의 정보를 취득하여, CSI에 관한 사전설정된 계산을 행하는 CSI계산부(채널상태정보계산부)(20), CSI계산부(20)의 결과에 의거하여, 기지국(2)에 피드백할 송신 가중치의 송신 가중치 인덱스를 선택하는 송신가중치선택부(30), 송신 가중치선택부(30)가 선택한 송신 가중치 인덱스를, 통신 데이터 등과 함께 기지국(2)에 송신하는 송신부(40)를 구비한다.
상기 수신부(10) 및 송신부(40)는, 예컨대 피드백 MIMO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기기일 수도 있다. 상기 수신부(10) 및 송신부(40)는, 무선신호의 송수신에 필요한 신호의 변조/복조, 에러 정정의 복호화/부호화, PS/SP 변환, 및 채널추정 등과 같은 무선통신에 요하는 통상적인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CSI계산부(20) 및 송신가중치선택부(30)는, 예컨대 CPU(중앙처리장치) 등의 임의의 적절한 프로세서일 수도 있고, 상기 CSI계산부(20) 및 송신가중치선택부(30)의 각 기능은,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각 기능의 처리에 특화한 전용의 프로세서[예컨대, DSP(Digital Signal Processor)]에 의해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CSI계산부(2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블럭도이다. 상기 CSI계산부(20)는, 송신가중치적용범위에 속하는 각 CSI의 전력을 계산하는 CSI전력계산부(21), 상기 CSI전력계산부(21)의 계산 결과에 의거하여 송신가중치적용범위에 속하는 각 CSI에 대한 가중 처리를 행하는 CSI가중처리부(22), 상기 CSI가중처리부(22)의 가중 처리에서 가중된 CSI 전력을 계산하는 대표CSI계산부(23)를 구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의 동작의 플로우차트이다. 해당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통신단말(1)의 각 블럭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통신단말(1)이 기지국(2)으로부터 참조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단말(1)의 상기 CSI계산부(20)는 수신부(10)로부터 송신가중치적용범위에 속하는 서브캐리어의 CSI를 취득한다(SO01).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송신가중치적용범위에는 128개의 서브캐리어가 포함되는 것으로 가정한다(NCSI=128). 하지만, 상기 송신가중치적용범위에서의 서브캐리어의 개수가 128개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사항이다.
상기 CSI계산부(20)의 CSI전력계산부(21)는, 송신가중치적용범위에 속하는 각각의 서브캐리어의 CSI의 전력(Powk, O≤k≤NCSI)을 수학식 3에 의하여 계산한다(S002).
Figure pct00003
상기 CSI가중처리부(22)는, CSI전력계산부(21)가 구한 전력(Powk)을, 가중을 위하여 각 서브캐리어의 CSI와 곱셈하는 처리를 행한다(S003). 또한, 대표CSI계산부(23)는, CSI가중처리부(22)의 처리 이후, 서브캐리어들의 가중 평균을 얻어 송신가중치적용범위 전체의 대표 CSI(CSIw _ Avc, 대표채널상태정보)를 계산한다(S004). 수학식 4는 CSI가중처리부(22) 및 대표CSI계산부(23)의 계산을 정리하여 표시한 식이다.
Figure pct00004
상기 송신가중치선택부(30)는, 대표CSI계산부(23)로부터 제공된 대표 CSI(CSIw_Ave)에 의거하여, 송신 가중치를 선택한다(S005). 어떤 CSI로부터 대응하는 송신 가중치를 선택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것은 기재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상기 송신가중치선택부(30)는, 미리 CSI와 송신 가중치 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여, 이러한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대표채널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송신 가중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송신가중치선택부(30)는, 선택한 송신 가중치에 대응하는 송신 가중치 인덱스를, 송신부(40)를 통하여 기지국(2)에 피드백한다.
상기 기지국(2)은, 이러한 송신 가중치 인덱스를 사용하여 송신 가중치를 선택함으로써 피드백 MIM0의 통신 특성을 개선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대표 CSI에는 전력값이 큰 서브캐리어가 반영되고, 송신 가중치도 그 서브캐리어에 대응하는 것이 선택된다. 그러므로, 전파로로서 채널용량이 한정되어 있는 서브캐리어의 영향을 저감시키고, 위상이 반전되어 서로 취소되는 현상에 기인하는 CSI 정밀도 열화 현상도 줄여, 피드백 MIM0에 있어서의 통신 특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한편으로, 원래 채널용량이 모자란 서브캐리어에 대하여는, 대응하는 송신 가중치가 선택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서브캐리어에 위치하는 데이터는,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에러 정정 기술에 의해 복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여러가지 도면과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의 개시에 의거하여 여러가지의 변형이나 수정을 행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CSI의 가중의 기준으로서 전력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은 다른 기준, 예를 들면 위상이나 진폭값 등이라도 상관없다. 예컨대, 진폭값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수신부(10)가 진폭값의 크기를 검출하고, CSI가중처리부(22)는, 전력 대신에 진폭값을 가중의 계수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대표CSI계산부가 진폭값에 의해 가중된 대표 CSI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로서는 단순히 안테나 사이의 CSI에 관해서 논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시스템으로서, CSI에 송수신의 가중치를 곱셈한 전력레벨(power level)을 기준으로 해도 상관없다.
또한, 상술의 각 실시형태로서는, 무선통신방식으로서, UMB를 상정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러한 무선통신방식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LTE(Long Term Evolution) 등, 피드백 MIM0에 대응하는 모든 무선통신방식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UMB에서는, 상술된 바와 같이,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밴드는 8개의 서브밴드로 분할되고, 각 서브밴드는 8개의 타일로 분할되며, 그 각각은 16개의 서브캐리어로 분할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LTE에서는,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밴드가 경우에 따라서는 9개의 서브밴드로 분할되고, 이 경우, 각 서브밴드는 2개 내지 6개의 리소스 블럭(resource block; RB)으로 분할되며, 그 각각은 12개의 서브캐리어로 분할된다. 그러므로, 상기 기재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UMB에서의 타일 대신에 LTE의 리소스 블럭을 읽음으로써, 각 실시예의 기재를 LTE에 적용하는 실시예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밴드, 리소스 블럭(타일) 및 서브캐리어의 개수도 LTE에 대응하여 변경된다는 것을 이해될 것이다.
1 통신단말
2 기지국
10 수신부
20 CSI계산부
21 CSI전력계산부
22 CSI가중처리부
23 대표CSI계산부
30 송신가중치선택부
40 송신부

Claims (6)

  1.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다른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사전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채널의 채널상태정보를 취득하는 수신부;
    상기 채널상태정보의 전력의 크기에 의거하여, 상기 채널상태정보의 가중 평균치를, 상기 사전설정된 주파수 대역 전체의 대표채널상태정보로서 계산하는 채널상태정보계산부;
    상기 대표채널상태정보에 의거하여, 송신 가중치를 선택하는 송신가중치선택부; 및
    상기 송신 가중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통신장치.
  2.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다른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사전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채널의 채널상태정보를 취득하는 수신부;
    상기 채널상태정보의 진폭값의 크기에 의거하여, 상기 채널상태정보의 가중 평균치를, 상기 사전설정된 주파수 대역 전체의 대표채널상태정보로서 계산하는 채널상태정보계산부;
    상기 대표채널상태정보에 의거하여, 송신 가중치를 선택하는 송신가중치선택부; 및
    상기 송신 가중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통신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가중치선택부는, 상기 채널상태정보와 상기 송신 가중치 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고, 상기 대표채널상태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송신 가중치를 선택하는 무선통신장치.
  4.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통신장치의 무선통신방법에 있어서,
    다른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사전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채널의 채널상태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채널상태정보의 전력의 크기에 의거하여, 상기채널상태정보의 가중 평균치를, 상기 사전설정된 주파수 대역 전체의 대표채널상태정보로서 계산하는 단계;
    상기 대표채널상태정보에 의거하여, 송신 가중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가중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통신방법.
  5.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통신장치의 무선통신방법에 있어서,
    다른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사전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채널의 채널상태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채널상태정보의 진폭값의 크기에 의거하여, 상기 채널상태정보의 가중 평균치를, 상기 사전설정된 주파수 대역 전체의 대표채널상태정보로서 계산하는 단계;
    상기 대표채널상태정보에 의거하여, 송신 가중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가중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통신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가중치를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채널상태정보와 상기 송신 가중치 간의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대표채널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가중치를 선택하는 무선통신방법.
KR1020107028880A 2008-06-27 2009-06-25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KR201100219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69577 2008-06-27
JPJP-P-2008-169577 2008-06-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920A true KR20110021920A (ko) 2011-03-04

Family

ID=41444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880A KR20110021920A (ko) 2008-06-27 2009-06-25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261893A1 (ko)
JP (1) JPWO2009157522A1 (ko)
KR (1) KR20110021920A (ko)
WO (1) WO20091575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6148B (zh) * 2015-09-25 2019-02-12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用户设备的功率分配方法及装置
CN105306116B (zh) * 2015-09-25 2019-07-23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用户设备的下行权值向量的确定方法及装置
CN114286360B (zh) * 2020-09-27 2023-09-05 中国移动通信集团设计院有限公司 无线网络通信优化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8605B2 (ja) * 1999-07-30 2010-06-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Ofdm信号の伝送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DE60325921D1 (de) * 2002-08-22 2009-03-12 Imec Inter Uni Micro Electr Verfahren zur MIMO-Übertragung für mehrere Benutzer und entsprechende Vorrichtungen
US7305056B2 (en) * 2003-11-18 2007-12-04 Ibiquity Digital Corporation Coherent tracking for FM in-band on-channel receivers
BRPI0515153A (pt) * 2004-09-10 2008-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parelho de comunicação sem fio e método de comunicação sem fio
JP4266201B2 (ja) * 2004-12-24 2009-05-20 株式会社東芝 Ofdmダイバーシチ受信装置
KR101124932B1 (ko) * 2005-05-30 2012-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4671790B2 (ja) * 2005-07-07 2011-04-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KR100768510B1 (ko) * 2005-10-24 2007-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안테나를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시스템의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US7564912B2 (en) * 2006-02-15 2009-07-21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generation in a DVB-T receiver
US7826489B2 (en) * 2007-03-23 2010-11-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estimation of selective channels in an OFDMA system with dedicated pilot t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61893A1 (en) 2011-10-27
WO2009157522A1 (ja) 2009-12-30
JPWO2009157522A1 (ja)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84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cell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87261B2 (en)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CN102742312B (zh) 无线通信系统中的方法和装置
RU255345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отчета о качестве канала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8842763B2 (en) Precoding weight generation method,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base station apparatus
US10644773B2 (en) Feedback channel information using pre-cod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10025838A (ko) 하향 링크 송신을 위한 셀간 간섭 회피
US10917155B2 (en) Mobile station,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P2057760A2 (en) Transform-domain feedback signaling for mimo communication
US20110217921A1 (en) Enhancing Outage Capacity Based on Adaptive Mode Switching between On-Frequency and Frequency Translation
JP6583409B2 (ja) 無線通信制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受信装置および送信装置
CN108599819B (zh) 预编码矩阵指示的反馈方法、接收端和发射端
US866597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01663847A (zh) 接收器和接收方法
KR20110021920A (ko)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KR20110016948A (ko)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KR20110014226A (ko)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US89085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back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17778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1027650B1 (ko) 코드북을 이용한 빔포밍 시스템에서 최대 도플러 주파수 추정방법
KR101701857B1 (ko) 다중 기지국 상향링크 mimo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프리코딩 정보를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